KR20130131102A -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1102A KR20130131102A KR1020120054902A KR20120054902A KR20130131102A KR 20130131102 A KR20130131102 A KR 20130131102A KR 1020120054902 A KR1020120054902 A KR 1020120054902A KR 20120054902 A KR20120054902 A KR 20120054902A KR 20130131102 A KR20130131102 A KR 201301311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s
- weight
- dermis
- composition
- cont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n organic compound other than a macromolecular compoun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진피를 유효물질로 하여 산조인, 영지, 죽여, 원지, 백복신, 백자인, 백단향, 감송향, 목향, 유향, 몰약, 천궁, 안식향 및 용뇌를 첨가함으로써 신경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학 첨가제를 사용한 향료가 아닌 천연의 한약재만을 이용하여 신경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거부터 몸과 마음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발달해온 동양의학에서는 불면, 흥분, 긴장, 불안 등에 대한 의학적 치료법으로 향기 흡입에 의해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향기요법이 있다.
향기를 이용한 치료법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 역사가 장구하며, 특히 동양에서는 전국시대의 ‘오십이병방(五十二病方)’에서부터 체계화가 되어지기 시작한 이래 약물이나 꽃 등의 향기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고 심신을 회복시켜왔다.
향을 내는 물질인 방향제는 주로 실내 분위기에 청량함을 주어 기분을 상쾌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향기요법에 사용하기 위하여 청량감은 물론 신경의 안정감을 나타낼 수 있는 방향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부분의 방향제 조성물은 향료, 알코올, 가용화제, 정제수 및 방향제품의 여러 기제를 이용하여 조성된 합성향료만을 사용하거나, 합성향료 및 일부 시트러스 계통의 천연 오일이 혼합된 것으로서, 향취의 강약 정도에 따라 때로는 정신을 혼미하게 하고 두통을 유발하여 사용자가 기피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합성향료를 사용하지 않는 방향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503495호에는 목향 30~60 중량부; 정향, 천궁, 백지, 사인 각각 15~30 중량부; 박하뇌 3~6 중량부;를 혼합한 생약재 중에서 25~40 중량부는 분말상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60~75 중량부는 편상으로 형성하여 상호 혼합한 후 직물제 외부 주머니에 넣고, 상기 분말상 및 편상의 혼합 생약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생약재와 동일한 조성으로 된 생약재 분말 15~30 중량부를 직물제 내부 주머니에 넣은 후 상기 직물제 내부 주머니에 넣은 생약재 분말을 직물제 외부 주머니에 넣은 방향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향제는 생약제를 분말화 또는 판상으로 제조해야 하므로 추가 공정이 필요하고, 신경을 안정화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정도가 약하다.
따라서 화학 첨가제를 사용한 합성향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합성향료가 주는 부작용을 막을 뿐만 아니라, 천연의 한약재만을 사용하여 우수한 신경의 안정성 및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 첨가제를 사용한 향료가 아닌 천연의 한약재만을 이용하여 신경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훈향 조성물은 진피를 유효물질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상기 진피에 산조인, 영지 및 죽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진피 외에 원지, 백복신 및 백자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진피 외에 산조인, 영지, 죽여, 원지, 백복신 및 백자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각각의 실시예의 조성에 백단향, 감송향, 목향, 유향, 몰약, 천궁, 안식향 및 용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조인 20 내지 70 중량부, 영지 10 내지 60 중량부, 죽여 10 내지 60 중량부, 원지 5 내지 60 중량부, 백복신 10 내지 70 중량부, 백자인 1 내지 50 중량부, 백단향 80 내지 130 중량부, 감송향 30 내지 90 중량부, 목향 20 내지 70 중량부, 유향 30 내지 90 중량부, 몰약 5 내지 50 중량부, 천궁 20 내지 70 중량부, 안식향 5 내지 50 중량부 및 용뇌 5 내지 5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훈향 조성물은 화학 첨가제를 사용한 합성향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합성향료가 주는 부작용이 없으며, 신경 및 심리적 안정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소화기 질환, 두통, 하지 통증 등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훈향 조성물은 아로마테라피 효과 외에 나쁜 냄새를 제거하는 소취효과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훈향 조성물은 오랜 시간 천천히 탄화되므로 장시간 동안 향기요법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훈향 조성물을 이용하여 후각 감성형용사 평가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화학 첨가제를 사용한 합성향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의 한약재만을 이용하여 신경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훈향 조성물은 스스로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향에 의하여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서, 진피를 유효물질로 한다. 상기 진피를 유효물질로 사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훈향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진피 외에 산조인, 영지 및 죽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다른 실시예로 진피 외에 원지, 백복신 및 백자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또 다른 실시예로 진피 외에 산조인, 영지, 죽여, 원지, 백복신 및 백자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각각의 실시예의 조성에 백단향, 감송향, 목향, 유향, 몰약, 천궁, 안식향 및 용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는 밀감의 숙과피를 건조한 것으로서, 주요성분은 정유인 헤스피리딘이다. 상기 진피는 위액 분비량을 늘리고 입맛을 돋우는 방향성 고미건위제로 사용되며, 동의보감 내경편 위부에 단방으로 위의 기를 잘 통하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어 스트레스로 인한 기울증상 및 소화기 장애증상에 사용된다.
상기 산조인은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한 산조(Ziziyphus spinosa Hu .)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것으로서, 마음을 안정시키고 심이 허해서 발생되는 불면 증상과 꿈을 많이 꾸는 증상, 경계(驚悸) 증상 등에 사용된다.
산조인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부이다. 산조인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은 경우에는 심신의 안정을 나타낼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산조인의 진액에 의하여 조성물이 잘 타지 않아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
상기 영지는 구멍쟁이버섯과(Polyporaceae)에 속한 적지(赤地, ganoderma lucidum, LEYSS. EX FR.) 또는 자지(紫芝, G.japonicum)를 건조한 것으로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유기산(ricinoleic acid, fumaric acid 등), 글루코사민(glucosamine), 다당류, 만니톨(mannitol), 베타인(betaine), 부티로베타인(γ-butyrobetaine)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미코오스(α-mycos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안식향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영지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기혈을 보충하는 효능이 있어 불면증, 심계정충, 건망증, 고혈압, 고지혈증, 간염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영지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이다. 영지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심신의 안정을 가질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복통과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증가되는 비용 증가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상기 죽여는 대나무과(bambusaceae)에 속한 솜대(Phyllostachys nigra(LODD.) MUNRO war. henonis(BEAN.)STAPF)의 줄기 외피를 제거한 중간층을 건조한 것으로 펜토산(pentosan), 리그닌(lignin), 셀룰로오스(cellulos), 트리테르펜(triterpene)의 성분을 함유한다. 죽여는 몸에서 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는 효능이 있어 위염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구역, 태동불안(胎動不安), 중풍으로 의식이 혼미할 때, 경계불면(驚悸不眠)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죽여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이다. 죽여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스트레스가 이완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훈향 조성물이 빨리 타서 오랜 시간 동안 훈향을 즐길 수 없다.
상기 원지는 원지과(Polygalacea)에 속한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 혹은 난엽원지(P. sibirica L.)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원지 saponin A, 원지 saponin B와 계피산의 유도체 등의 성분을 함유한다. 원지는 정신을 안정시키고 담을 삭이며 기억력 및 인지기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해소해주는 효능이 있어 불면, 불안, 건망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원지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이다. 원지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신경의 안정을 가져올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구역감,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백복신은 구멍쟁이 버섯과(Polyporaceae)에 속한 진균인 복령(Poria cocos(SCHW.) WOLF)의 균핵 중에서 가운데 송근(松根)이 있는 것을 건조한 것으로 β-파시만(β-pacyman)이 7.5% 함유되어 있고,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화합물인 복령산(pachymic acid), 치공산(ebricoic acid), 괴령산(tumulosic acid), 송령산(pinicolic acid) 등의 성분을 함유한다. 백복신은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어 심약하여 잘 놀라거나 건망, 불면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백복신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이다. 백복신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우수한 신경안정성, 집중력 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백복신의 균사체의 난연성 때문에 조성물이 잘 연소되지 않아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
상기 백자인은 측백나무과(Cupressacae)에 속한 상록교목인 측백나무(Biota orientalis(L.) EnDL.)의 성숙한 종인(種仁)을 건조한 것으로 약 14%의 지방유, 소량의 정유와 사포닌(sapon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백자인은 심장의 기운을 길러 안신(養心安神)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불면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백자인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이다. 백자인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우수한 신경안정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기름성분에 의하여 훈향 조성물이 단시간에 탈 수 있다.
상기 백단향은 단향과(Santalaceae)에 속한 상록교목인 단향(Santaium album L.)의 나무 심부(心府)를 건조한 것으로, 백단유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90% 이상이 α-, β- 산탄올(santanol)이다. 백단향은 한의학뿐만 아니라 사색과 명상의 용도로도 폭넓게 사용된다.
백단향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중량부이다. 백단향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 경우에는 훈향 조성물을 탄화 시 향기가 나지 않고 맑은 정신이 갖도록 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매운 성분에 의하여 탄화 시 눈이 아릴 수 있다.
상기 감송향은 마타리과(Valerianaceae)에 속한 감송향(Nardostachys chinensis BATAL.)과 관엽관송(N. jatamanse DC.)의 뿌리와 근경(根莖)을 건조한 것이다. 감송향은 기를 원활하게 하여 통증을 없애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소화기를 활성화하는 효능이 있다.
감송향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부이다. 감송향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스트레스가 완화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탄화 시 눈이 아릴 수 있다.
상기 목향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운목향(Aucklandia lappa DECNE.)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44%의 이눌린(inulin)성분이 있고 0.3 내지 3%의 정유 중에는 알란토락탄(alantolactone), 알란틱산(alantic acid), 이오논(α-lonone), 셀리넨(β-selinene), 사우수레아락톤(saussurea lactone), 코스튜놀라이드(costunolide), 코스틱산(costic acid), 코스톨(cost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목향은 기를 통하게 하여 통증을 멎게하고 소화기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신경과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치료 및 소화촉진 약재로에 사용된다.
목향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이다. 목향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신경을 안정화 시키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유향은 감람나무과(Burseraceae)에 속하는 유향수(Boswellia carterii BIRDW.)와 동속 식물의 수간피에서 삼출한 수지를 응고시켜 채취한 것이다.
유향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부이다. 유향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탄화 시 눈이 아릴 수 있으며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몰약은 감람나무과(Burseraceae)에 속하는 몰약나무(Commiphoramyrrha ENGL.) 또는 애륜보몰약나무(Balsamodendronehrenbergjanum BERG.)의 껍질에 상처를 내어 나오는 수지를 응고시킨 것으로, 무기력한 기분을 고양시키고 격양된 감정을 누그러뜨리는 효능이 있다.
몰약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이다. 몰약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신경의 안정을 가져올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훈향 조성물을 단시간에 태울 수 있으며,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천궁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1 내지 2%의 정유 및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천궁은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가슴, 옆구리, 복부의 통증, 답답한 증상에 사용된다.
천궁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이다. 천궁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스트레스가 완화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안식향은 때죽나무과(Styracacwae)에 속한 안식향 나무(Styrax benzoin DRYAND.) 또는 동속 식물에 상처를 내어 삼출한 수지를 응고시켜 채취한 것으로, 수지의 안식향산 함유율은 10 내지 20%이고 계피산의 함유율은 10 내지 30%이다. 안식향은 머리를 맑게하고 기혈의 운행을 활발하게 하여 통증을 멎게하는 효능이 있어 히스테리 증상, 소아의 경련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안식향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식향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이다. 안식향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신경의 안정을 가져올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탄화 시 눈이 아릴 수 있다.
상기 용뇌는 용뇌향과(Diterocarpaceae)에 속하는 용뇌향의 수지를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은 결정체로 수지를 가공한 것이다. 용뇌는 머리를 맑게하고 열을 내리게 하며 통증을 멎게할 뿐만 아니라 항균작용 및 방향제로도 사용된다.
용뇌의 함량은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이다. 용뇌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신경의 안정을 가져올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강한 향기로 인하여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훈향 조성물은 조성물이 탄화되는 시간, 사용자에 적합한 향기 및 우수한 신경 안정성, 스트레스 이완 등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평균입경이 200 내지 400 메쉬(mesh)로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조인 30 중량부, 영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훈향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훈향 조성물은 미세분쇄기(RT-08, MHK상사)로 5분 동안 분쇄됨으로써 평균입경이 250 내지 300 메쉬인 분말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영지 대신에 원지 20 중량부, 백복신 10 중량부를 사용하여 훈향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산조인 및 영지 대신에 백복신 10 중량부, 백자인 20 중량부를 사용하여 훈향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조인 30 중량부, 영지 25 중량부, 죽여 25 중량부, 백단향 100 중량부, 감송향 50 중량부, 목향 30 중량부, 유향 50 중량부, 몰약 20 중량부, 천궁 30 중량부, 안식향 20 중량부 및 용뇌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훈향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진피를 사용하지 않고 훈향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목향 75g, 정향, 천궁, 백지, 사인 각각 37.5g, 박하뇌 3.75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생약재 중 76g은 분말상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152.75g은 편상으로 형성하여 분말상 및 편상이 혼합된 훈향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
향기요법을 실시하기 전에 패널 28명의 심박변이도(HRV) 검사 및 스트레스 지표 검사를 한 후, 상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서 제조된 훈향 조성물을 착화하여 5분 동안 향기요법을 실시한 후 심박변이도(HRV) 검사, 스트레스 지표 검사 및 후각 감성형용사 평가를 하였다. 훈향 조성물을 착화한 공간의 온도는 25 ℃, 습도는 45%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시험예
1.
심박변이도
(
HRV
) 검사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변화를 측정하는 장비(QECG-3, 주식회사 락싸)를 사용하였으며, 좌우 손목과 발목에 전극을 부착하는 표준사지유도 방법으로 5분 동안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심박변이도(HRV) 검사는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으로 분석된다.
시간영역 분석은 평균 심박간격(meanPR), 평균 심박수(mean HR), 정상 심박간격 표준편차(SDNN)를 지표로 하였고, 주파수영역 분석은 매우 낮은 주파수(VLF, very low frequency), 낮은 주파수 (LF, low frequency), 높은 주파수(HF, high frequency), 파워값의 총합(TP), 정량화된 LF(normLF), 정량화된 HF(norm HF)를 지표로 하여 얻어진 원점수를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비교예1 | 비교예2 | |||||||
전 | 후 | 전 | 후 | 전 | 후 | 전 | 후 | 전 | 후 | 전 | 후 | ||
시간영역 | meanPR(ms) | 676.94 | 705.09 | 582.94 | 637.24 | 780.66 | 823.06 | 776.07 | 800.76 | 1,036.60 | 1,041.92 | 685.41 | 700.09 |
SDNN(ms) | 38.76 | 45.23 | 17.15 | 24.81 | 42.20 | 58.62 | 42.24 | 46.94 | 60.62 | 52.79 | 35.74 | 30.10 | |
meanHR(ms) | 89.01 | 85.43 | 103.02 | 94.30 | 77.06 | 73.27 | 81.79 | 76.19 | 58.17 | 57.76 | 87.79 | 85.97 | |
주파수영역 | VLF | 1,038.90 | 1,561.51 | 96.38 | 158.72 | 1,055.70 | 3,016.30 | 889.77 | 1126.14 | 2,903.30 | 2,062.17 | 771.64 | 633.61 |
LF | 496.22 | 372.10 | 302.46 | 274.83 | 535.00 | 248.30 | 564.80 | 502.97 | 709.56 | 728.80 | 353.09 | 420.32 | |
HF | 113.56 | 189.65 | 31.95 | 96.14 | 296.06 | 544.51 | 456.07 | 521.57 | 157.89 | 147.98 | 303.73 | 298.09 | |
TP | 1,648.66 | 2,123.26 | 430.79 | 529.69 | 1,886.75 | 2,309.11 | 1910.64 | 2150.68 | 3,770.71 | 2,938.95 | 1,428.46 | 1,352.02 | |
LF/HF | 4.37 | 1.96 | 9.47 | 2.86 | 1.81 | 0.46 | 1.24 | 0.96 | 4.49 | 4.92 | 1.16 | 1.41 | |
normLF(nu) | 81.38 | 66.24 | 90.45 | 74.08 | 64.38 | 31.32 | 55.33 | 49.09 | 81.80 | 83.12 | 53.76 | 58.51 | |
normHF(nu) | 18.62 | 33.76 | 9.55 | 25.92 | 35.62 | 68.68 | 44.67 | 50.91 | 18.20 | 16.88 | 46.24 | 41.49 |
* p<0.05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영역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훈향 조성물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평균 심박간격(meanPR)이 더 증가하고 평균 심박수(mean HR)이 더 감소하므로 비교예에 비하여 더욱 부교감신경이 활성화 되고 스트레스가 이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가 비교예에 비하여 정상 삼박간격 표준편차(SDNN)가 더 증가하므로 자율신경계가 신체에 대한 제어능력을 더욱 향상시켜 스트레스 원이 될 수 있는 외부 상태 변화에 적응할 능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주파수영역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훈향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낮은 주파수(LF), 높은 주파수(HF), 파워값의 총합(TP)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자율신경계, 특히 부교감신경의 활성도가 많이 증가하여 스트레스 이완효과와 함께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정량화된 LF(normLF)은 더 감소하고, 정량화된 HF(norm HF)는 더 증가하므로 부교감신경에 대한 교감신경의 활동성이 감소하여 향기요법에 의하여 신체가 안정과 휴식의 상태로 더욱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스트레스 지표 검사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변화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스트레스 각성 검사지(SACL)를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각성 검사지는 생활환경과 작업환경에서 유발되는 불규칙적인 감정을 관찰하기 위하여 개발된 지표이다. 총 30문항 중 17개의 스트레스 관련 문항과 13개의 각성(경계, 기상, 자각 등) 관련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커트식 4점 척도를 적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와 각성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4 | 비교예1 | 비교예2 | ||||
전 | 후 | 전 | 후 | 전 | 후 | 전 | 후 | |
긴장한 | 2.89 | 1.39 | 3.00 | 1.39 | 1.96 | 1.39 | 1.95 | 1.39 |
느긋한 | 1.89 | 3.29 | 1.60 | 3.29 | 1.83 | 2.29 | 1.82 | 2.29 |
편안한 | 1.79 | 3.46 | 1.68 | 3.46 | 1.71 | 2.46 | 1.80 | 2.46 |
활기있는 | 1.75 | 1.75 | 2.00 | 1.75 | 1.71 | 1.75 | 1.68 | 1.75 |
염려되는 | 2.29 | 0.96 | 2.80 | 1.06 | 1.99 | 1.46 | 2.23 | 1.46 |
걱정스러운 | 2.25 | 0.86 | 2.80 | 1.46 | 2.25 | 1.46 | 2.27 | 1.46 |
활동적인 | 1.79 | 1.79 | 2.40 | 1.79 | 1.79 | 1.79 | 1.82 | 1.79 |
나른한 | 2.11 | 2.43 | 1.80 | 2.43 | 2.08 | 2.43 | 2.09 | 2.43 |
지루한 | 2.04 | 1.82 | 1.60 | 1.32 | 2.04 | 1.82 | 2.09 | 1.92 |
마음이 편치않은 | 2.54 | 1.46 | 3.00 | 1.46 | 2.63 | 1.96 | 2.68 | 1.96 |
실망스러운 | 1.71 | 0.54 | 2.00 | 0.84 | 1.71 | 1.14 | 1.73 | 1.14 |
신경질적인 | 1.79 | 1.43 | 2.80 | 1.43 | 1.75 | 1.43 | 1.82 | 1.43 |
고민스러운 | 2.25 | 1.21 | 2.80 | 1.61 | 2.33 | 1.81 | 2.32 | 1.81 |
활기찬 | 1.71 | 1.68 | 1.60 | 1.68 | 1.75 | 1.68 | 1.73 | 1.68 |
평화로운 | 1.89 | 3.1 | 1.40 | 2.50 | 1.88 | 2.00 | 1.82 | 2.10 |
지친 | 3.00 | 1.04 | 3.00 | 1.34 | 3.08 | 2.94 | 3.05 | 2.84 |
한가한 | 1.57 | 2.74 | 1.40 | 2.54 | 1.54 | 2.04 | 1.59 | 2.04 |
초조한 | 2.14 | 0.43 | 2.20 | 1.03 | 2.29 | 1.83 | 2.23 | 1.93 |
빈틈없는 | 1.71 | 0.59 | 1.40 | 0.29 | 1.58 | 1.29 | 1.55 | 1.29 |
생생한 | 1.79 | 1.68 | 1.60 | 1.68 | 1.71 | 1.68 | 1.77 | 1.68 |
쾌활한 | 1.75 | 1.64 | 1.60 | 1.78 | 1.75 | 1.64 | 1.77 | 1.64 |
만족스러운 | 1.79 | 2.04 | 1.80 | 2.04 | 1.67 | 2.04 | 1.73 | 2.04 |
안절부절못하는 | 1.75 | 1.29 | 2.00 | 1.29 | 1.79 | 1.49 | 1.77 | 1.69 |
둔한 | 2.11 | 2.00 | 1.40 | 1.00 | 2.13 | 2.00 | 2.14 | 2.00 |
유쾌한 | 1.64 | 1.81 | 1.80 | 1.91 | 1.58 | 1.71 | 1.64 | 1.71 |
졸리는 | 2.61 | 2.87 | 2.20 | 2.57 | 2.71 | 2.57 | 2.82 | 2.57 |
안락한 | 1.82 | 3.32 | 1.60 | 3.32 | 1.83 | 2.32 | 1.86 | 2.32 |
온화한 | 1.93 | 3.29 | 1.60 | 3.29 | 1.92 | 2.29 | 1.96 | 2.29 |
지극적인 | 1.43 | 1.07 | 1.80 | 1.07 | 1.42 | 1.07 | 1.46 | 1.07 |
활기있게 하는 | 1.61 | 1.64 | 1.40 | 1.64 | 1.58 | 1.64 | 1.64 | 1.64 |
* p<0.05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4에 따라 제조된 훈향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긴장한, 염려되는, 걱정스러운, 마음이 편치 않은, 신경질적인, 고민스러운, 초조한, 빈틈없는, 안절부절못하는, 실망스러운, 지치는 등의 스트레스 상태와 관련된 형용사의 척도가 감소하였으며, 느긋한, 편안한, 평화로운, 한가한, 안락한, 온화한 등의 이완 및 안정 상태와 관련된 형용사의 척도도 증가하였다. 이는 향기요법을 통하여 심리적으로 긴장되고, 초조한 스트레스 상태에서 벗어나서 편안하고 느긋한 이완상태로의 심리적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피로감도가 감소하여 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심리적인 회복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3. 후각
감성형용사
평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훈향 조성물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위하여 향의 세부적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리커트식 7점 척도를 적용하였고 이들 값으로 향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들은 실시예 4의 훈향 조성물로 부터 전체적으로 무겁고 진정되며 따뜻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로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전원적이고 고풍스러우며 자연스러운 느낌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7)
- 진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향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산조인, 영지 및 죽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향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지, 백복신 및 백자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향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단향, 감송향, 목향, 유향, 몰약, 천궁, 안식향 및 용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향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조인 20 내지 70 중량부, 영지 10 내지 60 중량부 및 죽여 10 내지 6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향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원지 5 내지 60 중량부, 백복신 10 내지 70 중량부 및 백자인 1 내지 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향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백단향 80 내지 130 중량부, 감송향 30 내지 90 중량부, 목향 20 내지 70 중량부, 유향 30 내지 90 중량부, 몰약 5 내지 50 중량부, 천궁 20 내지 70 중량부, 안식향 5 내지 50 중량부 및 용뇌 5 내지 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향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4902A KR101419859B1 (ko) | 2012-05-23 | 2012-05-23 |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4902A KR101419859B1 (ko) | 2012-05-23 | 2012-05-23 |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1102A true KR20130131102A (ko) | 2013-12-03 |
KR101419859B1 KR101419859B1 (ko) | 2014-07-15 |
Family
ID=4998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4902A KR101419859B1 (ko) | 2012-05-23 | 2012-05-23 |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985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4972A (ko) * | 2014-11-07 | 2016-05-17 | 조숙자 |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
KR102118542B1 (ko) * | 2020-02-03 | 2020-06-03 |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9008B1 (ko) | 2016-01-29 | 2017-12-14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2936A (ko) * | 1997-11-28 | 1999-06-15 | 배오성 | 질병 치료용 끽연물 및 이를 이용한 질병의 치료 방법 |
KR20000073624A (ko) * | 1999-05-12 | 2000-12-05 | 정석용 | 한약 청향제의 제조 방법 |
KR100475197B1 (ko) * | 2002-07-13 | 2005-03-10 | 김우영 |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JP2011084474A (ja) * | 2009-10-13 | 2011-04-28 | Tadaaki Fujii | 柑橘類の皮を使ったお香 |
-
2012
- 2012-05-23 KR KR1020120054902A patent/KR10141985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4972A (ko) * | 2014-11-07 | 2016-05-17 | 조숙자 |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
KR102118542B1 (ko) * | 2020-02-03 | 2020-06-03 |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9859B1 (ko) | 2014-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31970A (ko) |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03564643B (zh) | 一种藏香保健香烟 | |
CN109010587A (zh) | 中药安神养生熏香及其制备方法 | |
CN105594766A (zh) | 一种天然竹炭蚊香及其制作方法 | |
Sharma et al. | Health benefits of lavender (Lavandula angustifolia) | |
KR101419859B1 (ko) |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 |
CN108142986A (zh) | 一种中草药复合提取物、制备方法及其在卷烟中的应用 | |
KR20010086809A (ko) | 의료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570019B1 (ko) |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 |
CN106037034A (zh) | 活性炭抗菌型胸罩及制备方法 | |
CN109758520A (zh) | 一种具有抗失眠效果的复方精油 | |
CN110051744B (zh) | 一种治疗失眠的复方中药精油 | |
CN111642786B (zh) | 一种具有防疫和保健功效的中草药茶烟及其应用 | |
CN107569547A (zh) | 一种灵芝改善睡眠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CN108685805B (zh) | 一种养颜美容艾碳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101841658B1 (ko) |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CN112807468A (zh) | 一种安神助眠香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20040001513A (ko) |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 |
CN113521145B (zh) | 一种安神助眠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DE102005001252A1 (de) |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der Apnoe, des Schnarchens und von Schlafstörungen | |
CN104921567B (zh) | 一种具有红外线保健功能的多用途卧室用地毯 | |
CN107982101A (zh) | 一种有效修复再生的天然修复因子、其制备方法和用途 | |
CN107198689A (zh) | 用于治疗疼痛病症的河豚毒素药物组合物及外用药 | |
CN107362318A (zh) | 一种安神解郁的离子化中药组合物及其应用 | |
CN106043052A (zh) | 一种汽车座椅的靠枕组件及应用该靠枕的汽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