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809A - 의료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809A
KR20010086809A KR1020000010718A KR20000010718A KR20010086809A KR 20010086809 A KR20010086809 A KR 20010086809A KR 1020000010718 A KR1020000010718 A KR 1020000010718A KR 20000010718 A KR20000010718 A KR 20000010718A KR 20010086809 A KR20010086809 A KR 20010086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dix
glycerin
fructus
rhiz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9721B1 (ko
Inventor
배오성
Original Assignee
배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오성 filed Critical 배오성
Priority to KR102000001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721B1/ko
Priority to CN00107783A priority patent/CN1311010A/zh
Priority to JP2000187336A priority patent/JP2001247472A/ja
Publication of KR2001008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5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comprising as heat source a carbon fuel or an oxidized or thermally degraded carbonaceous fuel, e.g. carbohydrates,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재를 태워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므로서 질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증상을 완화시키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은행잎 20 ∼ 30중량%, 산자고, 갈근, 지골피, 반하, 당귀, 천궁, 백작약, 봉출, 황기, 천마, 계피, 정향, 유향, 몰약, 감국, 사상자, 소회향, 백복령, 길경, 진피, 오수유, 산사,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종 이상의 성분 70 ∼ 80중량%로 구성되는 한방재료에 대하여 물엿 1 ∼ 10중량% 및 글리세린 0.1 ∼ 1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최종 수분함량이 12 ∼ 13%가 되도록 건조하여 담배형태로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을 제조하고, 이를 끽연시 발생하는 연기 속에 포함된 약리적 유효 성분들이 구강을 통하여 흡입되므로서 질병의 여러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강제 흡입 방식이므로 질병의 증상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병 예방 및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Smoking material for relieving symptoms and preventing diease, and its preparing method}
본 발명은 약재를 태워 발생되는 연기를 구강 및 폐로 흡입하여 연기 속의 유효 성분들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병 예방 및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은행잎 20 ∼ 30중량%, 산자고, 갈근, 지골피, 반하, 당귀, 천궁, 백작약, 봉출, 황기, 천마, 계피, 정향, 유향, 몰약, 감국, 사상자, 소회향, 백복령, 길경, 진피, 오수유, 산사,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종 이상의 성분 70 ∼ 80중량%로 구성되는 한방재료에 대하여 물엿 1 ∼ 10중량% 및 글리세린 0.1 ∼ 1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최종 수분함량이 12 ∼ 13%가 되도록 건조하여 담배형태로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을 제조하고, 이를 끽연시 발생하는 연기 속에 포함된 약리적 유효 성분들이 구강을 통하여 흡입되므로서 질병의 여러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강제 흡입 방식이므로 질병의 증상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병 예방 및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질병의 치료에 있어서 외과적인 수술방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에 여러 가지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는 내복 또는 외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외용법으로는 환부에 바르거나 도포하는 방법과 비강이나 구강에 분무제로 살포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동양의학으로 질병을 치료할 경우에는 경구투여 즉, 내복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탕액의 맛이 써서 복용을 기피하거나 혐오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내복약을 복용함과 동시에 외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치료효과가 상승되는 잇점이 있으며, 현대적인 기기를 이용하면 한번 제형한 약물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고 깔끔하게 목적하는 부위에 약물을 투여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용약의 사용이 외면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요즈음은 많은 외용약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일정 간격으로 투여하여야 하므로 반드시 휴대하여야 하지만 휴대가 곤란하거나 잊어버리고 휴대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가정이 아닌 외부에서 적용하기 힘든 부위일 경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동양의학에서도 수천년전부터 약재를 태워 연기를 비강으로 훈연하는 치료법이 사용되어 왔으므로, 본 발명은 이 훈연치료법의 단점을 개선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질병에 적용할 수 있는 훈연치료법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동의보감에도 기록되어 있으나 코와 일정 간격을 두고 숨을 들이 쉴 때 연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산된 연기가 눈으로 유입되어 눈물이 날 뿐만 아니라 결막과 각막을 자극하여 충혈이 될 수도 있으며, 바람이 부는 곳에서는 연기가 비강내로 잘 흡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기호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질병 예방 및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은행잎 20 ∼ 30중량%, 산자고, 갈근, 지골피, 반하, 당귀, 천궁, 백작약, 봉출, 황기, 천마, 계피, 정향, 유향, 몰약, 감국, 사상자, 소회향, 백복령, 길경, 진피, 오수유, 산사,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종 이상의 성분 70 ∼ 80중량%로 구성되는 한방재료에 대하여 물엿 1 ∼ 10중량% 및 글리세린 0.1 ∼ 1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최종 수분함량이 12 ∼ 13%가 되도록 건조하여 담배형태로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을 제조하고, 이를 끽연시 발생하는 연기 속에 포함된 약리적 유효 성분들이 구강을 통하여 흡입되어 폐순환을 통하여 뇌로부터 전신에 이르기까지 전달시켜서 질병의 여러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강제 흡입 방식이므로 질병의 증상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끽연물에 대한 동물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질병 예방 및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은 은행잎 20 ∼ 30중량%, 산자고, 갈근, 지골피, 반하, 당귀, 천궁, 백작약, 봉출, 황기, 천마, 계피, 정향, 유향, 몰약, 감국, 사상자, 소회향, 백복령, 길경, 진피, 오수유, 산사,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종 이상의 성분 70 ∼ 80중량%로 구성되는 한방재료에 대하여 물엿 1 ∼ 10중량% 및 글리세린 0.1 ∼ 1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최종 수분함량이 12 ∼ 13%가 되도록 건조하여 담배형태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은행잎은 여러 종류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어 혈액 계통의 질병에 효과적이고 염증제거, 신경통 완화, 항암작용 등의 작용을 하는 것이며, 산자고(Santsigu Tuber)는 다년생 초본인 산자고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각종 급성 열병, 패혈증, 농녹증, 폐암, 피부암 등에 효과가 있고, 갈근(Puerariae Radix)은 콩과에 속하는 칡의 뿌리로서 두드러기, 두통, 숙취해소, 해독, 피부염, 감기 등에 효과가 있다.
지골피(Lycii Cortex Radicie)는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자 나무의 근피로서 베타인, 베타시스테롤, 리놀릭산이 함유되어 있고, 해열, 소염, 진통, 진해, 거담 작용이 우수하며, 반하(Pinelliae Rhizoma)는 천남성과의 다년생 초본인 반하의 뿌리로서 주로 편도선염, 인후염, 진해, 거담, 구토, 두통, 기관지염, 폐암에 효과가있고,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참당귀의 뿌리로서 디커시놀(decursinol), 니코틴산, 비타민 B12등을 함유하고 잇어, 빈혈, 피로회복, 관절염, 타박상, 종양 등에 효과가 있어 사용빈도가 높다.
천궁(Cnidii Rhizoma)은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인 궁궁이의 뿌리로서 두통, 간염, 생리불순, 신경통, 종양, 복통 등에 효과가 우수하고, 백작약(Paeoniae Radix)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인 작약의 뿌리로서 복통과 위염, 대장염, 자궁염증 등에 효과가 좋고 습관성 유산, 생리불순 등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봉출(Zedoariae Rhizoma)은 생강과에 속하는 봉출의 근경으로 주로 방향성 건위와 간염, 간경화, 직장암 등과 타박상, 어혈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황기(Astragali Radix)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단너삼의 뿌리로서 면역기능을 증가시켜 감염성질환에 우수하고 종양, 만성 소화기 궤양, 피로회복, 심장성 부종, 하혈, 결핵성 질환 등에 효과가 우수하며, 천마(Gastrodiae Rhizoma)는 난초과에 속하는 천마의 뿌리로서 두통, 뇌염, 뇌경색, 고혈압, 간질, 현훈 등에 우수한 효과가 있고 신경쇠약 등 중추신경계 질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계피(Cassiae cortex)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계수나무의 껍질로 주로 해소, 소화기 질환, 식욕부진, 신경통, 습관성 유산, 자궁암, 방광암, 신경쇠약 등에 효과가 탁월하며, 정향(Caryophylli flos)은 정향과에 속하는 정향나무의 꽃봉오리로서 정유(essential oil)이 주성분이고 복통, 신장염, 위암통증, 구토, 설사, 염증성 질환, 식욕부진 등과 살균작용이 강하고, 유향(Olihanum)은 유향수의 수지로서 강력한 진통작용과 신경안정작용, 월경통, 종양, 피부염 등에 효과가 우수하며, 몰약(Myrrha)은 미즈라의 수지로서 종양, 어혈, 산후통, 요통, 디스크, 관절염, 근육통에 효과가 우수하다.
감국(Chrysanthemi flos)은 국화과에 속하는 들국화의 꽃으로서 두통, 안구통, 유행성 결막염, 고혈압, 중풍, 발열, 간염 등에 효과가 우수하며, 사상자(Torilis fructus)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사상자의 종자로서 비뇨기염증, 전립선비대, 자궁염증, 치질,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소회향(Foeniculi fructus)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회향의 과실로서 위염, 대장염, 맹장염, 방광염, 전립선비대, 요통, 디스크, 관절염등에 적용되며, 백복령(Hoelen)은 소나무 뿌리의 균사체로 신장염, 부종, 협심증, 심근경색증, 위염, 설사, 불면증 등에 효과가 탁월하다.
길경(Platycodi radix)은 도라지과에 속하는 도라지의 뿌리로서 편도선염, 기관지염, 폐결핵, 고혈압, 두통, 치통, 위궤양, 해소, 천식에 효과가 좋고, 진피(Aurantii nohilis pericarpium)는 귤과의 귤나무 과실의 껍질로서 기관지염, 위염, 간염, 비장종대, 천식 등에 효과가 좋으며, 오수유(Evodiae fructus)는 산초과 오수유의 과실로서 구토, 설사, 두통, 현훈, 노인성치매, 기생충 등에 효과가 우수하며, 산사(Cartaegi fructus)는 장미과에 속하는 산사나무의 과실로서 위궤양, 간경화, 고혈압, 비만증, 소아 알레르기 등에 효과가 좋고, 감초(Glycyrrhizae radix)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감초의 뿌리로서 인후염, 편도선염, 신장염, 위염, 기관지염 등과 해독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의 질병 예방 및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은행잎을 0.5 ∼ 1㎜ 간격으로 절단한 다음, 산자고, 갈근, 지골피, 반하, 당귀, 천궁, 백작약, 봉출, 황기, 천마, 계피, 정향, 유향, 몰약, 감국, 사상자, 소회향, 백복령, 길경, 진피, 오수유, 산사,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종 이상의 성분에 2배량의 물을 가하여 100℃의 온도로 열수추출하고, 열수추출물 을 은행잎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수분함량이 18 ∼ 21% 정도 되게 하여 밀폐된 용기내에서 10 ∼ 20일간 숙성시킨 후, 수분함유율이 13 ∼ 14%가 되도록 건조 냉각한 후에 전체 중량에 대하여 물엿 1 ∼ 10중량%와 글리세린 0.1 ∼ 1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수분함량이 12 ∼ 13%가 되도록 조절하고 담배형태로 제조한다.
물엿과 글리세린은 약재들의 응집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되는 끽연물의 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범주 미만의 양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향미효과가 미약하고, 상기 범주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에는 건조를 장시간 행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약재들이 과다하게 응집되므로 별도의 분쇄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끽연물을 환자 개인이 일정 간격으로 담배와 같은 방법으로 끽연하되 연기가 비강과 구강을 통하여 체내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약재의 약리효능이 발현되어 질병 예방 및 질병 증상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은행잎 20g을 0.5 ∼ 1㎜ 간격으로 절단하고, 별도로 산자고 5g, 갈근 5g, 지골피 5g, 반하 5g, 당귀 5g, 천궁 5g, 백작약 5g, 봉출 5g, 황기 5g, 천마 5g, 계피 5g, 정향 5g, 유향 5g, 몰약 5g, 감국 5g, 사상자 5g, 소회향 5g, 백복령 5g, 길경 5g, 진피 5g, 오수유 5g, 산사 5g, 감초 5g을 잘 혼합하고 2배량의 물을 가하여 3시간 동안 끓여 열수추출하여 얻능 열 수추출액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수분함량이 18 ∼ 21% 정도가 되도록 하여 밀폐된 용기내에서 15일간 숙성시킨 후, 수분함유율이 13 ∼ 14%가 되도록 건조 냉각한 후에 전체 약재 중량에 대하여 물엿 50g과 글리세린 5g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수분함량이 12 ∼ 13%가 되도록 조절하고 담배형태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끽연물을 제조한다. 이를 중풍, 노인성 치매, 두통, 현기증 환자 각 100명에게 끽연케 한 결과 치료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내복약을 복용하면서 병용케 한 결과 치료상승효과가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끽연물에 대한 인체에 미치는 효능과 효과를 상지대학교 한의과 대학의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끽연물을 태워 연기를 채집하여 검액을 만들었고, 흰쥐의 경구 및 복강주사를 행하여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외견상 건강하고 식욕이 왕성한 평균 체중 200g 내외의 흰쥐를사용하였으며, 흰쥐 40두를 정상군, 사염화탄소(CCl4)처리군, 사염화탄소와 검액 경구투여군 및 사염화탄소와 검액 복강투여군의 4군으로 나누어 각 처리군별 10두씩 평균체중이 유사하게 임의 배치하였고, 실험동물의 환경적응은 2주간 행하였고, 실험사료는 시판 펠렛형 흰쥐사료를 사용하였고, 사료 및 물은 자유급식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3개 사염화처리군은 시판 농사염화탄소와 올리브기름을 1 : 3으로 희석한 용액을 0.5㎖/200g B.W. 수준에서 격일로 3회 죤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발하였으며, 약물경구투여군은 2.5㎖/200g B.W. 수준에서 매일 오전 8시와 오후 8시에 2회씩 죤대를 이용하여 3주간 경구투여하였고, 약물의 복강투여군은 0.5㎖/200g B.W. 수준에서 매일 오전 8시에 3주간 복강주사하였다.
그 후 소변을 시험종료일 3일전부터 일일배설량 단위로 채취, 공시하였으며, 소변 중 카테콜라민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기기분석하였고, 실험성적의 통계분석은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즉, 사염화탄소에서 중독된 흰쥐에서 끽연물 검액이 소변내 카테콜라민 특히, 에피네피린(Epinephrine), 노어에피네피린(Norepinephrine), 도파민(Dopamin)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표 1 내지 표 3 및 도 1 내지 도 3에 기재 및 도시하였다.
실험동물 수 에피네피린(㎍/일)
정상군 10 0.47 ±0.25
대조군(CCl4) 10 0.17 ±0.06
CCl4+ 약물경구투여군 10 3.33 ±0.31
CCl4+ 약물복강투여군 10 4.43 ±0.35
실험동물 수 노어에피네피린(㎍/일)
정상군 10 8.33 ±2.05
대조군(CCl4) 10 3.63 ±0.23
CCl4+ 약물경구투여군 10 7.90 ±0.98
CCl4+ 약물복강투여군 10 10.03 ±3.19
실험동물 수 도파민(㎍/일)
정상군 10 181.03 ±29.69
대조군(CCl4) 10 44.47 ±8.86
CCl4+ 약물경구투여군 10 99.37 ±12.07
CCl4+ 약물복강투여군 10 67.13 ±11.83
카테콜라민은 아세틸콜린과 더불어 뇌의 말초부위에서 분비되는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이며, 아세틸콜린은 신경과 근접합부와 같은 말초 시냅스에 작용하여 동물의 학습과 기억을 좌우하고, 알츠하이머병은 기저핵의 아세틸콜린 뉴런이 손상될 때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테콜라민은 도파민과 노어에페피네프린과 아드레날린이라 부르는 에피네프린이며, 뇌와 말초신경계에 널리 분포하고, 도파민은 운동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파민이 결핍되면 손의 떨림, 반복적 운동과 보행 장애, 직립 장애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파킨스씨병이 나타나고, 도파민은 정신분열증과 깊은 관게가 있고, 도파민의 상승과 쾌감이 비레하기 때문에 약물 중독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학자들은 도파민을 인위적으로 높이거나 줄이는 방식을 통해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예일대 연구팀은 최근 뇌속 도파민 수용체에 적용하는 복합제제가 코카인을 끊은 뒤 금단현상을 완화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계에서는 노어에피네프린을 신경전달물질로 사용하는데 노어에피네프린은 심장에 대해서 흥분성 전달물질이며, 반대로 아세틸콜린은 억제성이다.
뇌의 노어에피네프린 회로는 뇌간에서 소뇌, 시상하부, 시상, 대뇌피질, 해마, 증격, 기저핵, 편도체 등으로 직접 연결을 이루고 있으며, 부신은 노어에피네프린을 혈류로 방출하여 스트레스를 받으면 노어에피네프린을 분비하고, 흥분이나 각성이 노어에피네프린의 기능이며 이 때 뇌의 혈류를 증가시키므로 우울증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은 주로 노에피네프린 회로에 작용한다.
또한, 뇌와 신체의 노어에피네프린이 학습과 기억 인출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스트레스와 카테콜라민과의 관계는 긴급반응에 의해 부신수질로부터 에피네프린의 분비증가가 보고되고 있으며, 스트레스는 면역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데, 스트레스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 (hypothalamic - pituitary - adrenalaxis, HPA axis)에 의한 조절기능을 일으키고, 로빈슨(Robinson)은 면역기능과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해 교감신경계-부신수질계(SAM)와 시상하부-교감신경-부신피질계(HPAS)의 두 종류 반응을 제시하였으며, 교감신경-부신수질계 반응은 스트레스원과 결합하여 도피 혹은 도전을 하기 위하여 노어에피네프린을 방출하고, 이 결과는 코르티솔(cortisol)의 분비를 향상시켜 면역기능 즉, T세포의 기능, 대식세포 및 자연 살해세포의 활동을 억제시킨다.
상기 표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피네프린은 검액처리군 모두가 증가하였고, 노어에피네프린과 도파민 또한 사염화탄소처리군은 감소하였으나 검액처리군은 증가하였으며, 본 발명의 끽연물은 부신피질 및 교감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고, 임상적으로는 파킨스씨병, 두통, 우울증, 만성 피로증후군, 약물중독 등에 치료제 및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고,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에도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은행잎 20 ∼ 30중량%, 산자고, 갈근, 지골피, 반하, 당귀, 천궁, 백작약, 봉출, 황기, 천마, 계피, 정향, 유향, 몰약, 감국, 사상자, 소회향, 백복령, 길경, 진피, 오수유, 산사,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종 이상의 성분 70 ∼ 80중량%로 구성되는 한방재료에 대하여 물엿 1 ∼ 10중량% 및 글리세린 0.1 ∼ 1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최종 수분함량이 12 ∼ 13%가 되도록 건조하여 담배형태로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을 제조하고, 이를 끽연시 발생하는 연기 속에 포함된 약리적 유효 성분들이 구강을 통하여 흡입되어 폐순환을 통하여 뇌로부터 전신에 이르기까지 전달시켜서 질병의 여러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강제 흡입 방식이므로 질병의 증상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은행잎 20 ∼ 30중량%, 산자고, 갈근, 지골피, 반하, 당귀, 천궁, 백작약, 봉출, 황기, 천마, 계피, 정향, 유향, 몰약, 감국, 사상자, 소회향, 백복령, 길경, 진피, 오수유, 산사,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종 이상의 성분 70 ∼ 80중량%로 구성되는 한방재료에 대하여 물엿 1 ∼ 10중량% 및 글리세린 0.1 ∼ 1중량%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예방 및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
  2. 은행잎 20 ∼ 30중량%, 산자고, 갈근, 지골피, 반하, 당귀, 천궁, 백작약, 봉출, 황기, 천마, 계피, 정향, 유향, 몰약, 감국, 사상자, 소회향, 백복령, 길경, 진피, 오수유, 산사,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종 이상의 성분 70 ∼ 80중량%로 구성되는 한방재료에 대하여 물엿 1 ∼ 10중량% 및 글리세린 0.1 ∼ 1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최종 수분함량이 12 ∼ 13%가 되도록 건조하여 담배형태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예방 및 질병 증상 완화용 끽연물의 제조방법.
KR1020000010718A 2000-03-03 2000-03-03 질병예방 및 질병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19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718A KR100319721B1 (ko) 2000-03-03 2000-03-03 질병예방 및 질병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00107783A CN1311010A (zh) 2000-03-03 2000-05-26 医疗用吸烟物及其制造方法
JP2000187336A JP2001247472A (ja) 2000-03-03 2000-06-22 医療用喫煙物及びそれ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718A KR100319721B1 (ko) 2000-03-03 2000-03-03 질병예방 및 질병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809A true KR20010086809A (ko) 2001-09-15
KR100319721B1 KR100319721B1 (ko) 2002-01-09

Family

ID=1965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718A KR100319721B1 (ko) 2000-03-03 2000-03-03 질병예방 및 질병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247472A (ko)
KR (1) KR100319721B1 (ko)
CN (1) CN13110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836A (ko) * 2001-09-14 2003-03-20 최윤기 금연제 및 그 금연제 제조방법
CN108524742A (zh) * 2018-07-16 2018-09-14 新乡医学院第附属医院 一种治疗妇科肿瘤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248485A (zh) * 2018-11-30 2020-06-09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在线调整混丝加香水分的方法
KR20200093227A (ko) * 2019-01-28 2020-08-05 동리 쉔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66A (ko) * 2001-07-25 2003-02-05 조주환 은행잎 성분을 이용한 권련용 여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5672A (ko) * 2002-01-30 2003-08-09 최영진 담배 개선제
KR100574097B1 (ko) * 2004-09-01 2006-04-27 이행우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CN1319539C (zh) * 2005-07-11 2007-06-06 深圳市生物谷科技有限公司 具有协同作用的药物组合物
CN101028356B (zh) * 2007-04-13 2011-05-25 曹亚杰 一种抗菌消炎药液及其制备方法
CN102423120A (zh) * 2011-10-11 2012-04-25 中国烟草总公司郑州烟草研究院 果丹皮型无烟气烟草制品
CN105146738B (zh) * 2015-09-17 2017-02-01 洛阳祥和牡丹科技有限公司 一种牡丹花的香烟替代品的制备方法
CN105686061A (zh) * 2016-03-28 2016-06-22 云南养瑞科技集团有限公司 陈皮丝状材料及其在卷烟中的应用
CN106617271A (zh) * 2017-01-26 2017-05-10 白山市禄程农林科技有限公司 大青叶/丁香叶非烟草香烟及其制备方法
CN111838743B (zh) * 2019-04-28 2023-05-16 北京第一生物化学药业有限公司 鼻烟及其制备方法
CN110558602A (zh) * 2019-09-06 2019-12-13 熊发翠 一种保健香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836A (ko) * 2001-09-14 2003-03-20 최윤기 금연제 및 그 금연제 제조방법
CN108524742A (zh) * 2018-07-16 2018-09-14 新乡医学院第附属医院 一种治疗妇科肿瘤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248485A (zh) * 2018-11-30 2020-06-09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在线调整混丝加香水分的方法
KR20200093227A (ko) * 2019-01-28 2020-08-05 동리 쉔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47472A (ja) 2001-09-11
KR100319721B1 (ko) 2002-01-09
CN1311010A (zh) 200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elory et al. Herbal interventions in asthma and allergy
KR101445010B1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0319721B1 (ko) 질병예방 및 질병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Musthaba et al. Patented herbal formulations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CN104399011A (zh) 一种用于食管癌疼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10138459A (ko) 기능성 한방 식품 조성물
KR101592451B1 (ko) 니코틴 해독작용을 가지는 생약재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89881A (zh) 一种活血散瘀膏
KR101999742B1 (ko) 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JP2007527358A (ja) ツボクサとゴマを含む、脳の強壮剤としての薬草製剤
CN104225507A (zh) 一种治疗脑溢血所致的肢体麻痹和疼痛的中药
CN105641419A (zh) 一种治疗肺癌阴虚咳嗽的中药组合物
Kumar et al. Assessment of the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Metabolites in the Medicinal Plants and Herbal Medicine Used in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Respiratory Diseases
CN109106842B (zh) 一种用于戒烟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90041776A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차 조성물 및 건강차
CN106039075A (zh) 一种治疗肺胃蕴热型慢性咽炎的中药组合物及方法
Vyawahare et al. Phytomedicines for Neuroprotection
CN105998979A (zh) 一种治疗肺肾阴虚型慢性咽炎的中药组合物及方法
CN105169259A (zh) 治疗癫狂的方剂及制备方法
CN104784666A (zh) 一种骨科护理用中药药膏
CN104337898A (zh) 一种含郁李仁的治疗痛风的中药组合物
CN106620347A (zh) 一种适用于缓解和治疗牙痛的藤婆茶组合物
CN106963909A (zh) 一种用于神经外科术后护理头痛的中药组合物
CN107789586A (zh) 一种用于治疗肝火犯肺型咳嗽变异型哮喘的中药胶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