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227A -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227A
KR20200093227A KR1020190010432A KR20190010432A KR20200093227A KR 20200093227 A KR20200093227 A KR 20200093227A KR 1020190010432 A KR1020190010432 A KR 1020190010432A KR 20190010432 A KR20190010432 A KR 20190010432A KR 20200093227 A KR20200093227 A KR 20200093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composition
sm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592B1 (ko
Inventor
동리 쉔
Original Assignee
동리 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리 쉔 filed Critical 동리 쉔
Priority to KR102019001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5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완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파고지 추출물, 청반하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전호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귤피 추출물, 길경 추출물, 천패모 추출물, 사간 추출물, 앵속각 추출물, 건강 추출물, 육계 추출물 및 세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효성분들은 모두 한약재 성분이기 때문에 인체에 아무런 부작용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 중의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금연보조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COMPOSITION FOR RERPESSING SMOKING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흡연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담배(Cigarette)에는 인체에 해로운 수천 종류의 성분이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로 인하여 장기간 흡연은 암이나 심혈관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인자이다. 즉 흡연을 통하여 담배에 포함된 많은 해로운 성분이 인체로 흡입되는데, 흡입된 유해 성분으로 인하여 인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지질· 단백질·DNA와 같은 거대 분자(macro molecule)에 산화적 손상(oxidative damages)을 유발할 수 있는 많은 양의 반응성 프리-래디컬(free radical)이 인체에 유입된다. 이로 인하여 인체 내 조직에서 산화적 손상이 유발되고, 심혈관 질환은 물론이고 폐암이나 흡연을 통하여 유입된 독성 물질이 뇌로 전달되어 염증이나 뇌 세포 괴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금연이다. 그러나 담배에는 니코틴과 같은 중독성이 강한 독성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금연이 쉽지 않으며 금단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니코틴 대체 요법이나 전자 담배 또는 금연초 등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금연에 완벽하게 성공하는 확률은 그리 높지 않고 때로는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도 종종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6341호(2005. 09. 14.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인체에 대한 아무런 부작용이 없는 한약재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완(
Figure pat00001
, Aster tataricus L. fil.) 추출물, 관동화(款冬花, Tussilago farfara L.) 추출물, 파고지(破古紙, Psoralea corylifolia) 추출물, 청반하(淸半夏, Pinellia ternata) 추출물, 비파엽(枇杷葉,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추출물, 전호(前胡, Anthriscus sylvestris) 추출물, 백복령(
Figure pat00002
, Poria cocas Wolf) 추출물, 귤피(橘皮, Citrus sp.) 추출물,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추출물, 천패모(川貝母, Fritillariae sp.) 추출물, 사간(射干, Belamcanda chinensis Leman) 추출물, 앵속각(罌粟殼, Papaver somniferum) 추출물, 건강(乾薑, Zingiber officinale Roscoe) 추출물, 육계(肉桂, Cinnamomum cassia Presl) 추출물 및 세신(細辛, Asiasarum sp.)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은 상기 자완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관동화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파고지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청반하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비파엽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전호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백복령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귤피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길경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천패모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사간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앵속각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건강 추출물 4 내지 14 중량부, 상기 육계 추출물 2 내지 10 중량부, 상기 세신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구성하는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예를 들어 금연 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완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파고지 추출물, 청반하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전호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귤피 추출물, 길경 추출물, 천패모 추출물, 사간 추출물, 앵속각 추출물, 건강 추출물 육계 추출물 및 세신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유효 성분들은 모두 한약재 성분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아무런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안전하게 인체에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 중의 유효 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국민건강 체계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적·국가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는 흡연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연을 억제할 수 있는 한약재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완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파고지 추출물, 청반하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전호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귤피 추출물, 길경 추출물, 천패모 추출물, 사간 추출물, 앵속각 추출물, 건강 추출물 육계 추출물 및 세신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성분인 한약재 추출물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든 한약재 성분 및 이들의 추출물에 대해서는 복합 한약재 및 복합 한약재 추출물로 지칭한다. 복합 한약재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 및 각각의 추출물에 대해서는 각각의 한약재 또는 자완 등 및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 또는 자완 등 추출물로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
자완(
Figure pat00003
)은 일명 반혼초·탱알·명나물 또는 개미취로도 불리는데, 국화과 식물에 속하는 개미취(Aster tataricus L. fil.)의 뿌리를 가리킨다. 한방에서 자완은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며, 거담작용·지해작용·항암작용·항균작용 등의 약리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급성 기관지염이나 폐농양에 활용되기도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자완 추출물은 1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부는 배합되는 한약재 또는 식물 추출물 사이의 상대적인 중량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관동화(款冬花)는 일명 과동(顆冬)이라고도 불리는데, 국화과에 속하는 관동(Tussilago farfara L.)의 꽃봉오리를 건조시킨 것이다. 한방에서 관동화는 가래를 삭이며 기침을 멎게 하며, 지해작용·거담작용·기관의 이완작용, 혈관 수축작용 등의 약리효과가 밝혀졌다. 특히 관동화는 소아의 급성기관지염·기관지 천식·인후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관동화 추출물은 1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고지(破古紙)는 일명 개암풀 열매 또는 보골지(補骨脂)라고도 불리는데, 콩과 식물인 한해살이풀 개암풀(Psoralea corylifolia)의 열매를 건조시킨 것을 가리킨다. 한방에서 파고지는 강심작용·항암작용·지혈작용·조혈작용·강장작용 등의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유정·유뇨·허리 통증이 있을 때 사용되기도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파고지 추출물은 7 내지 1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반하(淸半夏)는 천남성과 식물인 반하(Pinellia ternata)의 코르크 층을 제거한 덩이줄기인 반하를 아리한 맛이 가실 때까지 찬물로 담근 뒤에 백반 용액으로 처리한 것을 말한다. 한방에서 청반하는 가래 해소작용·해수작용 등이 알려져 있고, 천식이나 담으로 인한 두통·어지럼증·구토·인후통 등에 사용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청반하 추출물은 7 내지 1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파엽(枇杷葉)은 장미과 식물인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의 잎을 건조시킨 것을 가리킨다. 한방에서 비파엽은 폐와 위의 열을 내리고 구토를 멎게 하며 가래를 삭히고 소갈병 등에 사용된다. 비파엽의 약리 작용으로는 거담작용, 유행성 감기 바이러스 억제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비파엽 추출물은 7 내지 1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삼(蛾蔘)이라고 불리는 전호(前胡)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Anthriscus sylvestris)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이다. 전호는 안스리틴(Anthritine)·이소안스리틴(Isoanthritine)·알파-피넨(α-Pinene)·디-리모넨(d-Limonen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전호는 해열작용·거담작용·진해작용· 진정작용이 있어, 한방에서는 감기를 비롯하여 김치를 하거나 열이 나는 증상이나 두통·천식·구역질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전호의 약리효과와 관련해서 항궤양·항경련·항알레르기·항암·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전호 추출물은 7 내지 1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백복령(
Figure pat00004
)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담자균류·민주름버섯목·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인 복령(Poria cocas Wolf.)의 균핵을 건조시킨 것을 가리킨다. 한방에서 백복령은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백복령의 약리 작용으로 이뇨 작용과 혈당량 저하, 진정 작용 및 면역 증강 작용, 항종양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백복령 추출물은 7 내지 1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피(陳皮)라고도 불리는 귤피(橘皮)는 시트러스속(Citrus sp.)의 성숙한 과실의 껍질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라 복합 한약재 성분의 하나인 귤피는 운향과 식물인 귤(Citrus unshiu Markovich)·병감(Citrus reticulata Blanco)·귤감(橘柑, Citrus tachibana(Makino) Tanaka)과 같은 시트러스속에 속하는 과실의 껍질일 포함할 수 있다. 한방에서 귤피는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가래를 삭이며, 구토·메스꺼움·소화불량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약리실험에서 귤피는 이뇨작용, 위액 분비 촉진작용, 소화작용 등이 밝혀졌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한약재 추출물 중에 귤피 추출물은 7 내지 1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길경(桔梗)은 초롱꽃과의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을 가리키는데, 길경근·방도·백약·경초 또는 이여 등으로 불린다. 한방에서 길경은 인후통·감기로 인한 기침·가래·코 막힘·천식·기관지염증·흉막염·두통·오한·편도선염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거담작용, 혈당 강하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길경은 7 내지 1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천패모(川貝母)는 백합과 패모속(Fritillariae sp.)의 비늘줄기를 가리킨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사용될 수 있는 천패모는 천패모(Fritillaria cirrhosa D. Don)·암자패모(Fritillaria nibracteata Hsiaoet. K. C Hsia)·감숙패모(Fritillaria prezewalskii Maxim.) 및/또는 사사패모(Fritillaria delavayi Franch)와 같은 패모속의 비늘줄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방에서 천패모는 해수·천식에 사용되며, 화농성 염증을 화농성 염증을 치료하거나 감상선종·위산과다·위궤양 진통 등에 사용된다. 천패모의 약리작용으로서 진해작용·거담작용·혈압 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천패모 추출물은 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간(射干)은 붓꽃과의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Leman.)의 뿌리줄기를 건조시킨 약재이다. 한방에서 사간은 인후염·폐열로 인한 기침·천식·결핵성 림프선염 초기에 쓰인다. 사간의 약리효과로는 피부 진균 억제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염증 작용, 혈압 강하작용이 보고되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사간 추출물은 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앵속각(罌粟殼)은 일명 어미각(御米殼) 또는 속각(粟殼)으로도 불리며, 양귀비(Papaver somniferum) 열매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을 가리킨다. 한방에서 앵속각은 기침과 설사를 멎게 하고 통증을 없애며, 설사·이질·기침·복통·대장염·기관지염 등에도 사용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앵속각 추출물은 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乾薑)은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말린 뿌리줄기를 말한다. 한방에서 건강은 구토·설사를 억제하는 데 사용된다. 건강의 약리효과로는 위액 분비촉진·장관 연동작용 활성화·소화촉진·구토를 가라앉히며 심장을 흥분시켜 혈압을 상승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항염작용·진통작용·억균작용이 보고되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건강 추출물은 4 내지 1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육계(肉桂)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육계나무(Cinnamomum cassia Presl)의 줄기껍질로서 이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약간 제거한 것을 가리킨다. 육계의 주성분은 신남알데히드이고, 그 외에도 캄펜·시네올·리날로올·오이게놀을 포함하고 있다. 한방에서 육계는 허리와 무릎 연약증·양기부족, 소변을 자주 보고 묽게 보는 것, 묽은 변, 설사, 구토,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어혈복통, 종기, 피부궤양, 사지마비동통 등에 쓴다. 육계의 약리 효과로는 중추억제, 진정, 진통, 해열,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피부진균 억제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육계 추출물은 2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신(細辛)은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는 죽두리풀속(Asiasarum sp.)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사용될 수 있는 세신은 민족족두리풀(Asiasarum heterotropoides F. Maekawavar. mandshuricum F. Maekawa; 북세신)·족두리풀(Asiasarum sieboldi F. Maekawa; 화세신) 및 서울족도리풀(Asiasarum sieboldi var. seoulense Nakai; 한성세신)과 같은 죽두리풀속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방에서 세신은 복통·두통·오한·발열·해수·천식·가래가 많은 증상, 축농증·중풍 등에 쓰인다. 세신의 약리효과로는 해열·진정·진통·국부마취·항염·기관지 이완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 중에 세신 추출물은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은 용매를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추출 용매는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물,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는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에탄올, 또는 물일 수 있다.
일례로 한약재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적절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는 냉침 추출법·온침추출법 또는 열추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준비된 각각의 한약재 성분에서 염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건조 시료를 제조하고, 준비된 각각의 한약재를 적당한 크기(예를 들어, 0.5 내지 10 mm)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고, 분쇄된 건조 시료에 적절한 추출 용매(예를 들어, 메탄올/에탄올과 같은 알코올이나 물)을 첨가하고, 12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추출하여 조추출액을 얻으며, 얻어진 조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염분 및 불순물의 제거는 유수를 이용하여 씻어내서 수행될 수 있고 건조한 후에 분쇄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분쇄된 건조 시료에 알코올이나 물과 같은 적절한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대략 2 내지 10시간 가열하여 조추출액을 얻고, 얻어진 조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을 수득할 수도 있다. 이때 추출 용매는 준비된 각각의 한약재에 대하여 대략 5 내지 20배 부피로 첨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한약재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수회 이상 반복 수행할 수 있고, 추출액을 여과하며,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아울러 수득된 한약재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이때 한약재 추출물은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한약재 추출물은 분말 형태로 사용하거나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된 추출물은 이후 헥산·메틸렌클로라이드·아세톤·에틸아세테이트·에틸에테르·클로로포름·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될 수도 있다. 일례로 분획 용매는 에탄올 수용액·물·에틸아세테이트·클로로포름 또는 클로로포름과 에탄올 혼합액일 수 있다.
일례로 분획 용매는 에탄올 수용액, 물/에틸아세테이트/클로로포름 또는 클로로포름과 에탄올 혼합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또는 클로로포름과 에탄올 혼합액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일수 있다. 이때 클로로포름과 에탄올 혼합액은 중량을 기준으로 7:1 내지 1:1(클로로포름: 에탄올),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2:1, 가장 바람직하게는 3:1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과정은 4℃ 내지 12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분획 시 용매는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분획 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 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례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건조는 일례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약재 추출물은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되는 추출물은 물론이고, 분획 과정을 통하여 수득되는 분획물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분획물은 수득된 분획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시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것일 수 있으며,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한약재 분획물은 분말 형태로 사용하거나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유출 용매로 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v/v))·헥산/에틸아세테이트(5:1(v/v))·헥산/에틸아세테이트(2:1(v/v))·헥산/에틸아세테이트(1:1(v/v))·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한약재 분획물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한약재 추출물"은 전술한 추출·분획 또는 정제 등의 과정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분획물 및 정제물, 이들의 희석액·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완 등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체에 복용·투여하면, 흡연 욕구가 사라져서 금연치료 또는 금연억제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완 등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보조제, 예를 들어 금연보조제로서의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흡연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항산화 활성저하와 같은 생리적 기능을 촉진 및/또는 보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사용되어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식품첨가제·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며 바람직하게는 껌 또는 캔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한약재 추출물로 이루어진 흡연 억제용 조성물이 첨가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음료·껌·캔디·차·비타민 복합제·기능성 식품 등이 있으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한약재 추출물로 이루어진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소시지·빵·초콜릿·캔디류·스넥류·과자류·피자·라면·기타 면류·껌류·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음료수·차·드링크제·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 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된장/고추장/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음료,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생화학적/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 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할 수 있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생화학적/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복합 한약재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복합 한약재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 중에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캡슐제·환제·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흡연 욕구 억제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과 같은 식품 보조 첨가제 성분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오스·수크로오스 등과 같은 이당류, 덱스트린·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은 물론이고, 자일리톨·소르비톨·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 또는 감미제로서 타우마틴·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천연 향미제/감미제·사카린·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향미제/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기능식품으로서 건강 음료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건강 음료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 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복합 한약재 추출물로 이루어진 흡연 억제용 조성물 이외에도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비타민·미네랄(전해질)·감미제·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꿀·수크로오스·프럭토오스·락토오스·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레몬·감귤·포도·딸기·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둥굴레·대잎·계피·국화 잎·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죽순·알로에 베라·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알코올·알데하이드·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물질로서는 카테킨·에피카테킨·갈로가테킨·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아스코르브산·토코페롤·칼시페롤·티아민·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마그네슘·크롬·코발트·구리·불소화물·게르마늄· 요오드·철·리튬·마그네슘·망간·몰리브덴·인·칼륨·셀레늄·규소·나트륨· 황·바나듐·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유화제·산미료·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건강기능식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르브산칼슘·소르브산나트륨·소르브산칼륨·벤조산칼슘·벤조산나트륨·벤조산칼륨·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잔탄검·펙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말산·푸마르산·아디프산·인산·글루콘산·타르타르산·아스코르브산·아세트산·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침강제·겔형성제·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는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복합 한약재 추출물로 이루어진 흡연 억제용 조성물 100 중량부당 0 내지 약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례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례 1: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 제조
복합 한약재 추출물의 재료인 자완·관동화·파고지·청반하·비파엽·전호·백복령·귤피·길경·천패모·사간·앵속각·건강·육계·세신 등을 시중에서 구입하고, 구입된 각각의 한약재를 유수로 깨끗이 씻고 건조시켰다. 세척 및 건조된 각각의 한약재를 0.5 내지 1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각각의 한약재 시료에 대략 10배 가량의 물을 추출 용매로 첨가하였다. 각각의 한약재가 넣어진 물을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시간 가열하는 열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한약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제조된 각각의 한약재 추출액을 건조하여 물을 모두 제거하였다.
전술한 절차에 따라 얻어진 자완 추출물 15g, 관동화 추출물 15g, 파고지 추출물 12g, 청반하 추출물 12g, 비파엽 추출물 12g, 전호 추출물 12g, 백복령 추출물 12g, 귤피 추출물 12g, 길경 추출물 12g, 천패모 추출물 12g, 사간 추출물 10 g, 앵속각 추출물 10g, 건강 추출물 9g, 육계 추출물 6g, 세신 추출물 3g을 배합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례 2: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 제조
실시례 1과 비교하여 자완 추출물 12g, 관동화 추출물 12g, 파고지 추출물 9g, 청반하 추출물 9g, 비파엽 추출물 9g, 전호 추출물 9g, 백복령 추출물 9g, 귤피 추출물 9g, 길경 추출물 9g, 천패모 추출물 7g, 사간 추출물 7g, 앵속각 추출물 7g, 건강 추출물 6g, 육계 추출물 3g, 세신 추출물 1g을 배합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례 3: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 제조
실시례 1과 비교하여 자완 추출물 18g, 관동화 추출물 18g, 파고지 추출물 15g, 청반하 추출물 15g, 비파엽 추출물 15g, 전호 추출물 15g, 백복령 추출물 15g, 귤피 추출물 15g, 길경 추출물 15g, 천패모 추출물 13g, 사간 추출물 13g, 앵속각 추출물 13g, 건강 추출물 12g, 육계 추출물 9g, 세신 추출물 5g을 배합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례 1: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 제조
시중에서 강황·감초·두충·상백피·천궁·세신·원두충·인삼·백출을 구입한 후, 실시례 1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이들 한약재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 15g을 배합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례 2: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 제조
시중에서 알로에·감초·산두근·진피·전호·나복자·정향·하수오·오가피·산사자·오미자·고본·연근·익모초·길경을 구입한 후, 실시례 1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이들 한약재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 15g을 배합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례 3: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 제조
시중에서 자소영·애엽·육계·사인·건강·박하를 구입한 후, 실시례 1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이들 한약재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 15g을 배합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례 1: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흡연 욕구 억제 평가
실시례 1에서 제조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총 100명의 흡연자를 대상으로 40일 동안 복용하게 한 후, 담배에 대한 욕구 정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 결과는 아래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40일 동안 복용한 결과 대부분의 흡연자가 흡연 욕구가 완전히 사라지거나, 흡연 횟수 또는 빈도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자완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흡연자가 복용하는 경우, 흡연 욕구를 억제할 수 있으며 금연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복합 한약재 추출물 복용에 따른 흡연 욕구 평가
평 가 인 원 비율(%) 비 고
치유 20 20 완전 치유;
담배 냄새와 연기를 아주 싫어함
유효 60 60 하루 담배 1-2 개비 흡연;
계속 복용하면 금연 효과 가능
무효 20 20 하루 담배 4개 이상 흡연
실험례 2: 복합 한약재 추출물의 흡연 억제 효과 평가
실시례 1-3과 비교례 1-3에서 각각 제조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의 흡연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하여 흡연을 하고 있는 총 600명을 6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 각각의 그룹에서 하루에 담배 1-5개비를 피우는 인원은 10명, 6-10개비를 피우는 인원은 60명, 하루에 담배 11-20개비를 피우는 인원은 25명, 20개피를 초과하여 피우는 인원은 5명이 되도록 하였고, 각각의 그룹에서 20대, 30대, 40대, 50대 및 60대 이상을 각각 20명으로 통일시켰다.
이어서 각각의 그룹에 실시례 1-3과 비교례 1-3에서 각각 제조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40일 동안 하루에 2회(아침과 저녁에 각각 복합 한약재 추출물 40g) 복용하게 하고, 흡연 욕구가 발생하면 흡연하도록 허용하였다. 아울러 금단 현상(금연으로 인한 심장 박동수 증가와 혈압 상승으로 인한 불안·초조 등 신경 예민이나 분노 조절 장애 증상)의 발생 횟수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40일이 경과한 후, 각각의 그룹에서 흡연량과 금단 현상을 평가한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즉 실시례 1-3에서는 금단 현상을 경험하는 자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비교례 1-3에서는 금단 현상을 경험하는 자가 각각 2명, 5명, 6명으로 확인되었다.
복합 한약재 복용 후 흡연량 및 금단 현상
그 룹 흡연량(명) 금단 현상
경험자(명)
금연 1-5개비 6-10개비 11-20개비 20개비 초과
실시례 1 41 47 11 1 - -
실시례 2 39 51 8 2 - -
실시례 3 40 46 10 4 - -
비교례 1 11 25 56 8 - 2
비교례 2 8 17 69 4 2 5
비교례 3 6 11 70 10 3 6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복용하는 경우 흡연 욕구가 사라지면서 금연에 성공한 인원이 크게 증가하였고, 전체적으로도 흡연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특히 하루에 1-5개비의 담배를 피우던 사람들은 실시례 1-3의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40일 복용한 뒤에 전원이 금연에 성공하였으며, 6-10개비의 담배를 피우던 사람들의 약 40%는 금연에 성공하였고, 나머지 대부분의 인원도 하루에 담배 1-5개비만을 피우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하루에 6-11개비의 담배를 피우던 사람들의 대부분은 흡연량이 1-5개비로, 11-20개비의 담배를 피우던 사람들의 대부분은 6-11개비로 흡연량이 각각 감소하였으며, 20개비를 넘게 피우던 사람들도 6-20개비로 흡연량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흡연 억제 효과는 나이가 어릴수록 개선되었고, 20대에서는 대부분이 금연 또는 하루 1-5개비 정도만을 흡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비교례 1-3에서 제조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복용한 그룹에서는 흡연량이 다소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실시례 1-3에 비하여 흡연 억제 효과는 매우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부는 금단 현상도 경험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례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례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범위에서 분명해질 것이다.

Claims (4)

  1. 자완(
    Figure pat00005
    , Aster tataricus L. fil.) 추출물, 관동화(款冬花, Tussilago farfara L.) 추출물, 파고지(破古紙, Psoralea corylifolia) 추출물, 청반하(淸半夏, Pinellia ternata) 추출물, 비파엽(枇杷葉,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추출물, 전호(前胡, Anthriscus sylvestris) 추출물, 백복령(
    Figure pat00006
    , Poria cocas Wolf) 추출물, 귤피(橘皮, Citrus sp.) 추출물,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추출물, 천패모(川貝母, Fritillariae sp.) 추출물, 사간(射干, Belamcanda chinensis Leman) 추출물, 앵속각(罌粟殼, Papaver somniferum) 추출물, 건강(乾薑, Zingiber officinale Roscoe) 추출물, 육계(肉桂, Cinnamomum cassia Presl) 추출물 및 세신(細辛, Asiasarum sp.)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은 상기 자완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관동화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파고지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청반하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비파엽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전호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백복령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귤피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길경 추출물 7 내지 17 중량부, 상기 천패모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사간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앵속각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건강 추출물 4 내지 14 중량부, 상기 육계 추출물 2 내지 10 중량부, 상기 세신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구성하는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억제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흡연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90010432A 2019-01-28 2019-01-28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14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32A KR102147592B1 (ko) 2019-01-28 2019-01-28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32A KR102147592B1 (ko) 2019-01-28 2019-01-28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227A true KR20200093227A (ko) 2020-08-05
KR102147592B1 KR102147592B1 (ko) 2020-08-24

Family

ID=7204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432A KR102147592B1 (ko) 2019-01-28 2019-01-28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2938A (zh) * 2023-03-15 2023-05-30 北京工商大学 一种具有舒缓功效的川贝枇杷组合物的制备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825B1 (ko) * 1997-06-03 2000-12-15 배오성 금연겸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86809A (ko) * 2000-03-03 2001-09-15 배오성 의료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00373A (ko) * 2001-06-23 2003-01-06 한성신약(주) 금연제 및 그 금연제 제조방법
KR20040040984A (ko) * 2002-11-07 2004-05-13 주식회사 한솔바이오텍 한방재료를 사용한 흡연차단용 환제품의 성분구성비 및제조방법
KR100516341B1 (ko) 2000-07-21 2005-09-22 타이요 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흡연 욕구 억제 조성물
KR100553643B1 (ko) * 2002-11-27 2006-02-22 이호재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825B1 (ko) * 1997-06-03 2000-12-15 배오성 금연겸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86809A (ko) * 2000-03-03 2001-09-15 배오성 의료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16341B1 (ko) 2000-07-21 2005-09-22 타이요 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흡연 욕구 억제 조성물
KR20030000373A (ko) * 2001-06-23 2003-01-06 한성신약(주) 금연제 및 그 금연제 제조방법
KR20040040984A (ko) * 2002-11-07 2004-05-13 주식회사 한솔바이오텍 한방재료를 사용한 흡연차단용 환제품의 성분구성비 및제조방법
KR100553643B1 (ko) * 2002-11-27 2006-02-22 이호재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2938A (zh) * 2023-03-15 2023-05-30 北京工商大学 一种具有舒缓功效的川贝枇杷组合物的制备工艺
CN116172938B (zh) * 2023-03-15 2024-05-03 北京工商大学 一种具有舒缓功效的川贝枇杷组合物的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592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8671B (zh) 一种解酒保肝植物营养饮料及其制造方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134385B1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KR102448542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406291B (zh) 一种草本植物营养饮料及其制造方法
KR102147592B1 (ko)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JP2001322944A (ja) 漢方健康飲料およびこれに用いる抽出処理方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93730B1 (ko) 발계(Smilax chin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20008263A (ko)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JP7354448B2 (ja) 喘息改善用組成物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EP1968401B1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79642A (ko) 마늘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음료의 제조방법
KR101192853B1 (ko) 민들레 추출액 및 홍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KR101490793B1 (ko)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차 조성물
Zaharan et al. The potential use of herbs as immunity booster II
KR102048203B1 (ko) 발효 흑강황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 흑강황
KR102355106B1 (ko) 도라지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49407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감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5784B1 (ko) 유자 외과피를 이용한 술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자술
KR102428525B1 (ko) 은행잎추출물, 홍삼농축액 및 해안소나무껍질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