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972A -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972A
KR20160054972A KR1020140154644A KR20140154644A KR20160054972A KR 20160054972 A KR20160054972 A KR 20160054972A KR 1020140154644 A KR1020140154644 A KR 1020140154644A KR 20140154644 A KR20140154644 A KR 20140154644A KR 20160054972 A KR20160054972 A KR 20160054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riental
oriental oriental
herbal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985B1 (ko
Inventor
조숙자
Original Assignee
조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숙자 filed Critical 조숙자
Priority to KR1020140154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9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선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한방성 향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뇌를 용해하는 준비하는 단계, 유향, 곽향, 자단, 백단은 잎, 뿌리, 꽃 등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서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뇌, 유황, 곽향분말, 자단분말, 백단분말을 동등 중량으로 배합하고 여기에 전체중량의 1 ~ 5 % 의 안식향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전체 한방성분을 혼합하고 상기 곽향분말, 자단분말, 백단분말을 100증숙시키고, 야자수분말을 전체 혼합중량의 5 ~ 20 % 중 한약재 채취시기에 따라 선택되는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하여 반죽을 얻는 단계, 상기 반죽을 성형기에 투입하여 압출 또는 가압성형의 방법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한방약재를 주로 하여 만들어지므로 천연성 한방향을 얻게 되어 다양한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약재의 약리성분에 의하여 건강에도 극히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천연성 약재를 기본적인 소재로서 사용함으로써 향을 태울 시에 발암성 물질을 배제하게 하여 한방의원 등의 업소에서의 사용이나 일상 생활에서 방향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생활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나아가 한방 약재의 다양한 약리효과를 얻을 수 있어 각종 성인병의 치료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한방선향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MASSAGER AND ITSELF}
본 발명은 한방선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방약재를 워재료로서 사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향, 특히 한방선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례에 널리 사용되는 향은 종래 목분이나 숯가루 등으로 성형한 스틱 형상의 성형체에 각종의 인공적인 또는 천연향료를 스며들게 하거나 향료를 성형체에 함께 투입하여 성형하여 만들어왔다.
또한 스틱 등의 성형을 위하여 화학성분을 가지는 값싼 응고제를 사용하여 성형함으로써 향을 태울 시에 응고제 및 화학향료의 고열에서의 반응에 의하여 카드늄, 납 등과 같은 미소한 발암물질이 유발되어 공기중에 유출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공적인 합성물이 아닌 한약재 100%와 천연향재를 사용하고 응고제 역시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향이 요청되어 왔다.
이러한 향은 종래 제례용 등에 국한되어 사용되어왔으나 근래에는 웰빙소재로서 거실이나 작업실, 한방의원, 피부마시지실 등에서 환경개선을 위한 방향(芳香)을 위하여 사용하는 건강향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되어 왔다.
따라서 종래의 향료에 의한 향기가 아닌 천연한방재의 배합에 의햐 천연향기와 향내를 제공하는 향이 소망되어 왔다.
특허등록 제 10-0277381 호 특허 공개번호 제 10-2014-0093416 호
본 발명의 한방선향의 제조방법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한방성 약재를 그 향의 소재로서 사용함으로써 건강에 유익한 방향을 다양한 냄새로서 제공하게 하고, 응고재로서도 천연의 것을 사용하여 어떠한 발암성 성분도 배출되지 않게 하는 방향성 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향의 방향성을 더욱 증대하고 약리적인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한방선향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한방선향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뇌를 용해하는 준비하는 단계, 유향, 곽향, 자단, 백단은 잎, 뿌리, 꽃 등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서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뇌, 유황, 곽향분말, 자단분말, 백단분말을 동등 중량으로 배합하고 여기에 전체중량의 1 ~ 5 % 의 안식향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전체 한방성분을 혼합하고 상기 곽향분말, 자단분말, 백단분말을 100증숙시키고, 야자수분말을 전체 혼합중량의 5 ~ 20 % 중 한약재 채취시기에 따라 선택되는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하여 반죽을 얻는 단계, 상기 반죽을 성형기에 투입하여 압출 또는 가압성형의 방법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방선향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향은 한방약재를 주로 하여 만들어지므로 천연성 한방향을 얻게 되어 다양한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약재의 약리성분에 의하여 건강에도 극히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천연성 약재를 기본적인 소재로서 사용함으로써 향을 태울 시에 발암성 물질을 배제하게 하여 한방의원 등의 업소에서의 사용이나 일상 생활에서 방향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생활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나아가 한방 약재의 다양한 약리효과를 얻을 수 있어 각종 성인병의 치료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한방선향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한방약재는 하기와 같다.
(1)용뇌: 한방 약재(藥材)의 하나로서 동인도(東印度)에서 나는 용뇌수(龍腦樹)의 줄기에서 덩어리로 되어 나오는 무색 투명한 결정체(結晶體)로서 방충제 또는 훈향(薰香) 등으로 사용된다.
용뇌향과의 용뇌향(Dryobalanops aromatica Gaertner:龍腦香)의 수간창구에서 흘러나온 수지 또는 수간과 가지를 썰어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백색의 결정체를 말한다.
용뇌향은 수마트라, 보르네이, 말레이시아 등의 남양군도와 인도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용뇌는 약재에 귀중하다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용을 붙인 명칭이며, 희고 반짝이는 얼음과 같고 매화꽃잎 같은 것이 좋다는 뜻으로 빙편뇌(氷片腦) 혹은 매화뇌(梅花腦)라고도 부른다. 옛날부터 방충제나 방부제의 원료로 쓰였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고, 약리작용으로 항균, 항염증작용이 있으며, 국소적인 진통작용과 방부작용이 보고되었다.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여 정신혼몽, 의식장애 등을 경감시키며 통증을 완화시켜주며, 고열, 경련, 소아 경기에 효과가 있으며 인후염과 구내염, 눈병, 가려움증, 충혈, 귀코의 염증 등 각종 염증에 이용된다.
(2) 곽향: 특이한 향기가 있고 약성은 맵고 약간 따듯하다.[辛微溫] 비위에 습이 정체되어 복부창만,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을 치료한다. 소화장애를 동반한 감기, 여름철 식체로 인한 구토, 설사, 구취, 옴이나 버짐 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피부 진균, 대장균, 이질균, 폐렴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억제, 위액분비 촉진작용 등이 있다.
전국의 산에서 자라며 추위와 건조에도 강하여 재배하고 있고 방애잎, 중개풀, 방아풀이라 하여 어린잎을 추어탕 등 고기비린내 제거용으로 사용한다.
(3) 자단:스리랑카 원산으로서 높이 6∼8m이고 가지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에는 회색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노란색이며 원뿔형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꼬투리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목재가 자줏빛이고 박달나무처럼 단단하기 때문에 자단이라고 하며, 가구재·건축재로 쓰인다. 인도 남부에서 스리랑카에 분포한다. 자단이란 이 종(種)의 재목을 말하지만 가까운 종은 물론 다른 속(屬)의 재목까지도 섞어서 취급한다. 그러나 자단속의 목재를 열탕 또는 암모니아수로 침출하면 형광성이 나타나므로 다른 것과 구별할 수 있다. 심재에서 산탈린(santaline)이란 혈적색소(血赤色素)를 추출한다.
고대로부터 유향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4) 백단:소형의 막대기 모양으로 길이 10~15cm 정도. 가지가 많이 나와 군생한다. 수출되는 황색 접목선인장 산취의 원종이다. 가시 는 백색으로 가늘고 짧으며 꽃은 짙은 적색으로 직경 3~5cm 정도이며 봄에 개화한다. 고대로부터 유향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5) 유향:감람과에 속하는 유향나무의 수액을 건조시켜 만든 약재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생산되지 않고 홍해 연안에서 생산되어 수입하는 약재이다. 효능은 타박상으로 어혈되었거나,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사지동통에 진통효과가 뛰어나다.
(6) 소량의 안식향산: 방향성을 극대화하고 인체에 무해하다.
본 발명의 한방선향의 제조방법을 이하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제조방법의 실시예]
(1) 상기의 용뇌를 용해해 놓는다.
(2) 유향, 곽향, 자단, 백단은 잎, 뿌리, 꽃 등을 선별하여 건조하여 분말형로 준비한다.
(3) 한방재중 유향, 곽향분말, 자단분말, 백단분말은 숙성과정(200)을 거치게 되는바, 숙성과정은 곽향, 자단, 유향, 백단의 분말을 100 도 섭씨 이상의 열탕에서 1시간이상 증숙시킨다. 이러한 숙성과정을 거쳐서 곽향, 자단, 유향, 백단분말은 고유의 군내나 숙내가 제거되면서 향기가 깊어지고 차단 또한 향기가 더욱더 ?어져 향을 태울 시에 청아한 방향과 태울 시 발암물질이 제거된다.
(4) 용뇌, 유향, 곽향분말, 자단분말, 백단분말을 동등 중량으로 배합하고 여기에 전체중량의 1 ~5 정도의 안식향을 첨가한다.
(5) 상기의 전체 한방성분을 혼합하고 여기에 야자수분말을 전체 중량의 5 ~ 20% 정도 혼합하여 교반하여 반죽을 얻게 된다.
(6) 위 반죽을 성형기에 투입하여 압출 또는 가압성형등의 방법으로 소망하는 향의 형태 예를들면 스틱형태 또는 콘, 원주형바아, 사각형 바아 등의 형태로서 성형한다.
(7) 성형체를 건조 이후 상품을 선별하고 포장하여 출하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되는 한방선향은 종래의 인공향의 가미를 통한 선향의 제조와는 달리 천연 한방재의 사용과 숙성과정을 거침으로서 고유의 군내나 숙내가 제거되고 향을 태울 시에 청아한 방향이 남게 되는 효과를 얻으며 야자수분말을 사용함으로서 종래 인공합성재의 사용을 지양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한방성 방향을 배출하여 그 방향성이 극대화되고 인체에 유익한 한방성 약리성분에 의한 건강증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한방성 향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뇌를 용해하는 준비하는 단계, 유향, 곽향, 자단, 백단은 잎, 뿌리, 꽃 등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서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뇌, 유황, 곽향분말, 자단분말, 백단분말을 동등 중량으로 배합하고 여기에 전체중량의 1 ~ 5 % 의 안식향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전체 한방성분을 혼합하고 상기 곽향분말, 자단분말, 백단분말을 100증숙시키고, 야자수분말을 전체 혼합중량의 5 ~ 20 % 중 한약재 채취시기에 따라 선택되는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하여 반죽을 얻는 단계, 상기 반죽을 성형기에 투입하여 압출 또는 가압성형의 방법으로 성형하는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KR1020140154644A 2014-11-07 2014-11-07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KR10196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644A KR101962985B1 (ko) 2014-11-07 2014-11-07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644A KR101962985B1 (ko) 2014-11-07 2014-11-07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972A true KR20160054972A (ko) 2016-05-17
KR101962985B1 KR101962985B1 (ko) 2019-07-31

Family

ID=5610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644A KR101962985B1 (ko) 2014-11-07 2014-11-07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20A (ko) * 2017-11-09 2019-05-17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824B1 (ko) 2021-05-10 2021-11-10 더캔들 주식회사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KR102387727B1 (ko) 2021-05-10 2022-04-19 더캔들 주식회사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381B1 (ko) 1998-11-11 2001-09-22 김환 향 및 그 향의 제조방법
KR20040084583A (ko) * 2003-03-28 2004-10-06 김영주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380A (ko) * 2010-07-16 2012-01-3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1102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KR20140093416A (ko) 2013-01-18 2014-07-28 이주미 유골 제사 향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381B1 (ko) 1998-11-11 2001-09-22 김환 향 및 그 향의 제조방법
KR20040084583A (ko) * 2003-03-28 2004-10-06 김영주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380A (ko) * 2010-07-16 2012-01-3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1102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KR20140093416A (ko) 2013-01-18 2014-07-28 이주미 유골 제사 향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20A (ko) * 2017-11-09 2019-05-17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985B1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Sahu et al. Quisqualis indica Linn: A review of its medicinal properties
Bahmani et al. Ethnobotanical and therapeutic uses of camomille
KR20190059063A (ko) 강아지 간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19675A (ko)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어류의 양식 방법
KR101962985B1 (ko)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KR10126101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24819A (zh) 一种活性矿物质与驱蚊提取物复配的文具收纳筒
Ugbabe et al. Preliminary phytochemical, antimicrobial and acute toxicity studies of the stem, bark and the leaves of a cultivated Syzygium cumini Linn.(Family: Myrtaceae) in Nigeria
KR101901297B1 (ko)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24953A (zh) 一种具有提神健脑功能的汽车脚垫组件
KR101145498B1 (ko)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바디워시제조방법 및 그 바디워시조성물
KR20130113225A (ko) 국화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국화수
Sharma et al. Conservation of phyto-diversity of Parvati Valley in northwestern Himalayas of Himachal Pradesh-India
Abbas et al. Herbal significance of horse mint (Mentha longifolia) a review
Tokhirjon et al. Medicinal Plants of the Lamiaceae Family in Namangan Region
Momin et al. Biochemical analysis of leaves of some medicinal plants of genus Sesbania
Prasad et al. Interaction of medicinal plants with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and symbiotic fungi
CN103638143B (zh) 一种解酒醒脾组合物
Barno Study of the Effect of Common Flavanoids of the Medicinal Plant Mavrak (Salvia Officinalis) on Cellular Processes
Chandrakala CULTIVATION OF OCIMUM SANCTUM L.(TULSI) A SUBSTITUTE SOURCE OF LIVELIHOOD FOR RURAL WOMEN FARMERS
Shoaib et al. Pharmacological Aspects of Quisqualis Indica Linn and its Medicinal Properties.
AL-Shybany Review of Medicinal Uses of Mint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