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380A -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380A
KR20120008380A KR1020100069199A KR20100069199A KR20120008380A KR 20120008380 A KR20120008380 A KR 20120008380A KR 1020100069199 A KR1020100069199 A KR 1020100069199A KR 20100069199 A KR20100069199 A KR 20100069199A KR 20120008380 A KR20120008380 A KR 20120008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fragrance
less
cut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070B1 (ko
Inventor
신동원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0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방향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상태의 한약재를 조성물로 하여 향이 은은하고 오랫동안 신선한 향의 상태를 유지하며 현대인의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 완화, 살균, 악취제거 및 정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5 내지 10㎜의 크기로 세절한 한방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약재에 곰팡이가 생기거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주머니에 상기 한방 방향제를 밀봉한 한방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herbal air freshe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방 방향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상태의 한약재를 조성물로 하여 향이 은은하고 오랫동안 신선한 향의 상태를 유지하며 현대인의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 완화, 살균, 악취제거 및 정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5 내지 10㎜ 이하의 크기로 세절한 한방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방향제는 방, 사무실 등의 실내, 공중 화장실, 자동차 내부 등의 생활공간에서 악취나 혐오스러운 냄새를 제거하거나 대체하고 향기를 통해 청정감이나 안정감 등을 얻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삶의 질을 중요하게 여기면서 스트레스 해소나 치료 효과를 위한 용도로 범위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합성 방향제의 경우 초기에는 향의 발산력이 우수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기가 감소하여 제품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고 합성 방향제의 성분 중 하나인 화학 합성향 오일의 경우 장기간 사용할 경우 투통을 유발하거나 신경과민, 환각, 마취, 근육 경색, 무기력, 뇌신경 경색 등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합성 방향제의 다른 성분 중 하나인 에탄올의 경우 인체에 유해성이 적다고 하여 사용이 허용되고 있으나 장시간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막에 자극을 주거나 두통이 일어나는 등 흡입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된다. 합성 방향제의 일부 제품의 성분 중 하나인 메탄올의 경우 인체 내에서 독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로 산화되는데 인체에는 포름알데히드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가 없어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신경을 손상시키거나 눈의 실명, 이명, 소화 장애, 감각 상실 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다른 성분 중 하나인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의 경우 두통이나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체내에도 축적될 수 있다.
합성 방향제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의 우려로 인하여 최근에는 로즈마리, 라벤더, 자스민, 장미 등 천연 아로마 오일을 이용한 아로마 허브 방향제가 출시되어 합성 방향제의 부작용을 줄임과 동시에 향기 요법 등을 통한 심신 안정, 피로 회복, 스트레스 해소 등의 치료 효과를 보려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농도가 너무 짙거나 오랜 시간 냄새를 맡을 경우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향기의 지속력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허브나 한약재 등을 건조한 식물 건초를 이용하여 방향제를 제조하는 경우 습기가 많은 지역이나 장마철과 같이 습기가 높은 시기에 방향제를 사용하는 경우 식물 건초가 축축하게 되어 향기의 지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건초가 습기를 흡수하게 되는 경우에는 건초가 부패하여 오히려 악취를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합성 방향제가 인체에 미치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아로마 허브 방향제의 단점인 치료 효과가 미미한 점 및 향의 지속시간이 짧다는 점을 보완하며 건초가 습기를 흡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연 상태의 한약재를 혼합하여 방향제를 만들려고 시도하였다. 그 결과 악취 제거 뿐 아니라 스트레스 감소, 혈액 순환 등의 치료 효과를 가지며 방향제가 습기를 흡수하는 것을 방지하고 향기의 지속력이 오랜 기간 유지되도록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일정한 간격의 구멍을 낸 부직포 주머니에 한약재를 밀봉하여 한방 방향제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방향성 화학 물질을 배합하여 방향제를 제조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인 방향의 지속력이 짧다는 점과 인체에 유해하다는 점 그리고 아로마 허브 방향제를 제조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인 알레르기의 유발 가능성, 치료 효과가 미미한 점 및 방향의 지속력이 짧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악취 제거 뿐 아니라 종래에 비해 지속적이고 긴 시간동안 향이 유지되며 스트레스 해소 및 기 소통에 도움을 주고 정신 집중력 향상, 심신 안정 등의 기능을 가지는 한방 방향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한방 방향제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고 세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고 한약재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향의 지속력이 장기간 고르게 지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상기의 한방 방향제를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방향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5 내지 10㎜ 이하의 입자로 세절한 용뇌, 목향, 정향, 천궁 및 팔각회향을 0.9 내지 1.1: 0.9 내지 1.1: 0.9 내지 1.1: 0.9 내지 1.1: 1.8 내지 2.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한방 방향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뇌는 용뇌향과에 속하는 용뇌향의 진 또는 줄기나 가지를 잘라서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액을 식힐 때 생긴 덩이를 모아 그늘에 말린 것을 말한다. 이는 정신을 맑게 하고 부기를 내리고 통증을 완화시켜주며 고열, 인후염, 가려움증, 충혈, 중이염, 구강염 등의 염증에 이용되며 항균, 항염증 작용, 국소적인 진통작용 및 방부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향은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복부가 차서 생기는 복통, 헛배가 부른 증상, 구토, 설사 등에 사용하며 기의 순환을 도와 기체에 의한 통증과 소화불량 등의 치료에 쓰이며 혈압 강하작용, 구충 살균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정향은 정향나무과의 정향나무의 꽃봉오리를 말하며 위가 차가워서 생기는 구토, 복통 등의 치료와 잇몸염증 및 통증 등에 쓰이며 원활한 혈액 순환, 위액분비 촉진, 진통, 항염, 항산화, 항균, 구충, 혈압강하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천궁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약간 맵고 쓴 향을 가지며 인체를 따뜻하게 하고 기와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월경불순, 두통, 신경통 등의 통증과 빈혈증에 쓰이며 점막 충혈작용, 진통, 진정작용, 말초혈관을 확장하는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팔각회향은 봇순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식물로서 부드럽고 달콤한 향을 가지며 요통, 변비, 방광염의 치료, 산통이나 급성 류머티스의 통증 완화에 쓰이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복부팽만감이나 구역질을 완화하는 작용을 가진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수많은 한약재 중에서 사용 가능한 한약재를 1차 선별하였고, 다음으로 향의 선호도가 우수한 한약재를 2차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머리를 맑게 하고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복합적으로 잘 작용할 수 있는 한약재로 상기 한약재가 선별되었다. 또한 상기 선별된 한약재 중 선호도가 가장 우수한 팔각회향을 다른 한약재와 대비하여 1.8 내지 2.2 배의 함량이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용뇌, 목향, 정향, 천궁 및 팔각회향은 0.9 내지 1.1: 0.9 내지 1.1: 0.9 내지 1.1: 0.9 내지 1.1: 1.8 내지 2.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1: 1: 2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한약재를 다양한 크기로 세절하거나 분쇄한 후 향의 지속력을 살펴본 결과 한약재의 크기를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상태에서 다른 크기로 세절한 한약재에 비하여 1년 이상 방향 효과가 가장 잘 유지되었으므로 한약재를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동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향의 차이를 가지도록 상기 한방 방향제에 5 내지 10㎜ 이하의 입자로 세절한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및 향부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한약재를 팔각회향 중량의 45 내지 55 중량%로 각각 추가로 포함하는 한방 방향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당귀는 달고 맵고 약간 쓴 향을 가지며 식욕증진, 변비치료, 혈당강하, 냉증, 갱년기 장애, 두통에 쓰이고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주는 보혈작용,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의 생성을 왕성하게 하는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박하상은 박하유를 정제, 냉각하여 얻는 바늘 모양의 무색 결정체이다. 이는 맵고 약간 쓴 향을 가지며 신경통, 위통, 천식, 두통에 쓰이고 눈과 머리를 맑게 하고 기억력을 증진시키며 피부 모세 혈관을 확대하고 땀샘의 분비를 촉진하여 발한 해열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백지는 산형과의 구릿대 또는 변종의 뿌리를 말려 만든 것을 말한다. 이는 특이한 냄새가 있고 두통, 코막힘, 위장장애, 산전 산후 두통, 어지럼증, 치통, 안면신경통, 부녀자들의 냉대하 치료 등에 효과가 있으며 항균 작용, 관상동맥의 혈류량 증가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곽향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향은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악취를 제거하며 비위에 습이 정체되어 생기는 복부창만,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설사를 치료하고 소화 장애를 동반한 감기, 구취, 무좀이나 버짐의 치료에 쓰이며 위액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력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석창포는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비위의 습기를 제거하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 건망, 불면, 이명, 인후염, 종기, 피로 회복 등에 쓰이며 진정 작용, 항경련 작용, 소화액 분비 촉진, 위장의 이상발효 억제, 피부의 진균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향부자는 사초과의 다년초로서 달고 쓴 향을 가지며 두통, 복통, 월경불순 등에 쓰이며 신경을 안정시키고 소화불량, 식욕 감퇴 등에 효과가 있으며 기의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가진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수많은 한약재 중에서 사용 가능한 한약재를 1차 선별하고 다음으로 향의 선호도가 우수한 한약재를 2차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머리를 맑게 하고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복합적으로 잘 작용할 수 있는 한약재로 상기 한약재가 선별되었다. 또한 상기 한약재와 향을 혼합할 경우 향의 거부감이 없으면서 새로운 향을 발산하여 다양한 향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향의 선호도 조사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선호도를 나타내며 상기 한약재의 심신 안정 등의 효능을 증진시키고 피로 회복이나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능도 부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하여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및 향부자가 선별되었다. 또한 상기 한약재 중 선호도가 가장 우수한 팔각회향을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및 향부자와 대비하여 1.8 내지 2.2 배의 함량이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또는 향부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한약재는 상기 한약재에 팔각회향 중량의 45 내지 55 중량%로 각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상기 한약재를 다양한 크기로 세절하거나 분쇄한 후 향의 지속력을 살펴본 결과 한약재의 크기를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상태에서 다른 크기로 세절한 한약재에 비하여 방향 효과가 1년 이상 우수하게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마찬가지 이유로 한약재를 너무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경우 방향의 지속력이 떨어지거나 부직포 주머니에 형성된 구멍 사이로 한약재가 새어 나갈 우려가 있고, 반대로 한약재를 너무 큰 크기로 세절하는 경우 방향의 지속성이 떨어지거나 여러 가지 한약재를 혼합하는 경우 한약재의 혼합이 잘 되지 않아서 향이 고르게 발산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및 향부자의 크기를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상기 한방 방향제에 동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향의 차이를 가지도록 상기 한방 방향제에 5 내지 10㎜ 이하의 입자로 세절한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및 유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한약재를 팔각회향 중량의 45 내지 55 중량%로 각각 추가로 포함하는 한방 방향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단은 단향과의 상록 활엽 교목으로 심신을 안정시키며 혈액 순환을 돕고 정신을 맑게 하는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자단향은 자단 나무를 잘게 깎은 향을 말한다. 이는 맛이 짜며 서늘한 성질을 가지고, 해독 및 살균 작용이 있어 상처와 피부병에 쓰이고 구토설사, 복통 등에 쓰인다.
본 발명의 육계는 상록 교목으로 맵고도 단맛을 가지고 잎을 자르면 계피 냄새가 난다. 이는 허리와 무릎 연약증, 양기부족, 설사, 구토, 피부궤양 등에 쓰이며 중추억제, 진정, 진통, 해열,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등의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안식향은 때죽나무과의 소문답랍안식향 또는 동속 식물에서 얻은 수지를 말한다. 이는 맵고 쓰고 아린 맛을 가지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기와 혈의 순환을 촉진하며 정신혼몽, 복통, 기침 등에 사용하며 거담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유향은 감람과에 속하는 유향나무의 진을 말린 것을 말한다. 이는 매운맛을 가지며 혈액 순환이 잘되게 하고 진통, 경련을 멈추게 하며 타박상, 부스럼 등에 쓰인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수많은 한약재 중에서 사용 가능한 한약재를 1차 선별하고 다음으로 향의 선호도가 우수한 한약재를 2차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머리를 맑게 하고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복합적으로 잘 작용할 수 있는 한약재로 상기 한약재가 선별되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한방 방향제에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한약재는 아니지만 향의 조화나 방향재의 효능을 고려하여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및 향부자가 선별되었다. 상기 한약재와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및 향부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 방향제에 향을 혼합할 경우 향이 조화되어 자연스러운 향을 내도록 하면서도 새로운 향을 발산하여 다양한 향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향의 선호도 조사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선호도를 나타내며 본 발명인 한방 방향제가 가지는 효능인 심신 안정, 피로 회복,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및 유향이 선별되었다. 또한 상기 한약재 중 선호도가 가장 우수한 팔각회향을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및 유향과 대비하여 1.8 내지 2.2 배의 함량이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또는 유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한약재를 팔각회향 중량의 45 내지 55 중량%로 각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상기 한약재를 다양한 크기로 세절하거나 분쇄한 후 향의 지속력을 살펴본 결과 한약재의 크기를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상태에서 다른 크기로 세절한 한약재에 비하여 1년 이상 방향 효과가 1년 이상 우수하게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마찬가지 이유로 한약재를 너무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경우 방향의 지속력이 떨어지거나 부직포 주머니에 형성된 구멍 사이로 한약재가 새어 나갈 우려가 있고, 반대로 한약재를 너무 큰 크기로 세절하는 경우 방향의 지속성이 떨어지거나 여러 가지 한약재를 혼합하는 경우 한약재의 혼합이 잘 되지 않아서 향이 고르게 발산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한약재의 크기를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한약재는 한방 방향제로서 사용 전 세척이 필요하다. 이러한 세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빛깔이 선명하고 깨끗하고 윤기가 돌며 향이 진하며 모양이 바르고 굵기가 굵은 한약재를 엄선하여 흙을 털어내고 잔뿌리를 제거한 후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세척한 후 약재의 틈새에 남아있는 흙먼지, 중금속, 또는 잔류농약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음파 세척기로 1 내지 5분간 세척한다. 그 후 건조기에서 60℃에서 24시간 건조시켜 수분율이 5% 이하로 되도록 한 다음 한약재의 입자가 5 내지 10㎜ 이하가 되도록 절단기로 세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한방 방향제는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지 않은 부직포 주머니에 입자가 5 내지 10㎜ 이하가 되도록 세절한 한약재를 밀봉한 경우,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동종 및 동량의 한약재를 밀봉한 경우에 비하여 한약재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정도나 한약재가 습기를 함유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약재는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를 사용하여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 주머니는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 주머니에 다양한 크기의 구멍을 내고 1년간 향의 지속력을 관찰한 결과 0.5 내지 1.0㎜의 구멍을 낸 경우 향의 지속력이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다(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의 한방 방향제는 사용시에 1개월에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3회 흔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본 발명의 상기 한약재를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한 후 부직포 주머니를 한 달에 1회 흔들어 준 경우, 흔들어 주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1년 및 2년 후에도 향의 지속력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한방 방향제는 사용시에 1개월에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3회 흔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수 조성물인 용뇌, 백지, 목향, 정향, 천궁 및 팔각회향으로 한방 방향제를 제조하거나 상기의 한방 방향제에 추가적으로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향부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한약재를 포함하여 방향제를 제조하거나 상기의 한방 방향제에 추가적으로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유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한약재를 포함하여 한방 방향제를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방향성 화학 물질을 배합하여 방향제를 제조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인 방향의 지속력이 짧다는 점과 인체에 유해하다는 점, 아로마 허브를 이용하여 방향제를 제조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인 알레르기의 유발 가능성, 치료 효과가 미미한 점 및 방향의 지속력이 짧다는 점을 해결할 뿐 아니라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기 소통에 도움을 주고 정신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한방 방향제를 제공하며 동등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한약재의 조합에 따른 방향제의 향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한방 방향제를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하여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시켜 한 달에 1회 흔들어주는 경우 한방 방향제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세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고 한약재에 습기가 침투하여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방향 기능이 1년 이상까지 고르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한약재의 선호도 조사 및 선별
한방 방향제의 구성 성분의 선택을 위해 용뇌, 목향, 정향, 천궁, 팔각회향,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향부자,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유향, 감국, 진피, 초두구, 백두구, 공사인, 애엽, 계피, 육두구, 고본, 황기 등의 다양한 한약재를 선택하고, 이들 한약재에 대한 선호도를 일반인인 측정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3평의 폐쇄 공간에서 각각의 한약재로부터 30㎝ 떨어졌을 때 코로 느끼는 향을 측정하고 이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결과는 측정자의 결과를 평균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볼 수 있듯 팔각회향의 선호도가 90 %로 가장 높았으며 용뇌, 목향, 정향, 천궁의 선호도가 80 %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향부자의 경우 65 내지 75 %의 선호도를 보였으며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유향의 경우 50 내지 60 %의 선호도를 보였다. 그러나 감국, 진피, 초두구, 백두구, 공사인, 애엽, 계피, 육두구, 고본, 황기의 경우 20 내지 45 %의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팔각회향, 용뇌, 목향, 정향, 천궁을 한방 방향제의 주성분으로 결정하였으며 가장 선호도가 높고 부드럽고 달콤한 향을 가져 다른 향기와 조화가 잘 되는 팔각회향의 경우 다른 한약재에 비하여 2배의 용량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상기 다섯 가지 주성분 이외에 선호도가 65 내지 75 %인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향부자의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한약재를 선택한 것을 상기 한방 방향제에 추가하여 한방 방향제를 제조하였고 선호도가 50 내지 60 %인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유향의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한약재를 선택한 것을 상기 한방 방향제에 추가하여 한방 방향제를 제조하기로 하였다.
실시예 2: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 속의 한약재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한약재의 곰팡이 발생 정도 비교
일반 부직포 주머니와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한약재를 밀봉하였을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밀봉한 한약재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부패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필수 조성물인 정향, 목향, 용뇌, 천궁 각각 100g씩과 팔각회향 200g을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후 각 한약재를 일반 부직포 주머니와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밀봉하여 40℃의 습기가 있는 상태의 밀폐된 방에 놓아둔 후 초기의 한약재의 상태와 6개월 후 상태를 비교해 보았을 때 곰팡이의 발생 정도에 대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곰팡이가 발생한 한약재의 무게가 전체 한약재의 무게에 대비하여 어느 정도의 중량%를 차지하는지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표 2에서 볼 수 있듯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한약재를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한 경우 곰팡이의 발생정도는, 실험한 모든 한약재에서 일반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한 것에 비하여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한 경우에 곰팡이의 발생정도가 2배 내지 3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 속의 한약재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한약재의 습기 함유 정도
일반 부직포 주머니와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한약재를 밀봉하였을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밀봉한 한약재가 습기를 함유하고 있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필수 조성물인 정향, 목향, 용뇌, 천궁 각각 100g씩과 팔각회향 200g을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후 각 한약재를 일반 부직포 주머니와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밀봉하여 40℃의 습기가 있는 상태의 밀폐된 방에 놓아둔 후 초기의 한약재의 상태와 6개월 후 상태를 비교해 보았을 때 습기의 함유 정도에 대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실험 시작시 한약재의 무게 대비하여 6개월 후 한약재의 무게가 어느 정도의 중량%를 차지하는지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표 3에서 볼 수 있듯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한약재를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한 경우, 습기 함유 정도는 실험한 모든 한약재에서 일반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한 것에 비하여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한 경우에 3배 내지 5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에 따른 향의 지속력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주머니와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주머니에 여러 가지 크기 및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한 후 한약재를 밀봉하였을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향의 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필수 조성물인 정향, 목향, 용뇌, 천궁 각각 100g씩과 팔각회향 200g을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후 각 한약재를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한 부직포 주머니,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1.0 내지 3.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밀봉하여 초기의 향과 1년 후 향을 비교해 보았을 때 향의 지속력을 평가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표 4에 나타내었다. 향의 지속력은 일반인인 측정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3평의 폐쇄 공간에서 각각의 한약재로부터 30㎝ 떨어졌을 때 코로 느끼는 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결과는 측정자의 결과를 평균한 것이다.
Figure pat00004
표 4에서 볼 수 있듯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한약재를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한약재를 밀봉한 경우 향의 지속력은, 실험한 모든 한약재에서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직포 주머니 및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1.0 내지 3.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밀봉한 것에 비하여 지속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한약재의 분쇄 정도에 따른 향의 지속력
본 발명은 입자의 크기가 5 내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한약재를 50 내지 100㎜ 이하로 세절하거나 10 내지 50㎜의 크기로 세절한 경우 또는 5㎜ 미만으로 분쇄한 경우보다 향이 고르면서도 장기간 지속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필수 조성물인 정향, 목향, 용뇌, 천궁 각각 100g씩과 팔각회향 200g을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후 각 한약재를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밀봉하여 초기의 향과 1년 후 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입자의 분쇄 정도에 따른 향의 지속력을 평가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표 5에 나타내었다. 향의 지속력은 일반인인 측정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3평의 폐쇄 공간에서 각각의 한약재로부터 30㎝ 떨어졌을 때 코로 느끼는 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결과는 측정자의 결과를 평균한 것이다.
Figure pat00005
표 5에서 볼 수 있듯 한약재를 5㎜ 미만으로 분쇄한 경우 1년 동안의 향의 지속력은, 50 내지 100㎜의 크기로 세절한 한약재나 10 내지 50㎜로 세절한 한약재 또는 5 내지 10㎜ 이하의 크기로 세절한 한약재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으며, 실험한 모든 한약재에서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경우 향의 지속력이 가장 오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시간의 경과에 따른 향의 지속력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한약재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향의 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필수 조성물인 정향, 목향, 용뇌, 천궁 각각 100g씩과 팔각회향 200g을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후 각 한약재를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밀봉하여 초기 밀봉한 때에 비하여 30일, 6개월, 1년 및 2년의 기간이 지난 후 향의 지속력을 비교해 본 결과를 다음과 같이 표 6에 나타내었다. 향의 지속력은 일반인인 측정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3평의 폐쇄 공간에서 각각의 한약재로부터 30㎝ 떨어졌을 때 코로 느끼는 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결과는 측정자의 결과를 평균한 것이다.
Figure pat00006
표 6에서 볼 수 있듯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한약재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향의 지속력은 실험 시작 후 30일이 경과한 경우 실험한 모든 한약재에서 초기와 거의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었으며 6개월 후에도 초기에 비해 88 내지 93 %의 지속력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후에는 75 내지 86 %의 지속력이 유지되어 방향제로서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으나 2년 후에는 향의 지속력이 처음에 비하여 절반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1개월에 한 번씩 방향제를 흔들어 주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향의 지속력
방향제를 1개월에 한 번씩 흔들어 주는 경우와 흔들어 주지 않은 경우 향의 지속력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필수 조성물인 정향, 목향, 용뇌, 천궁 각각 100g씩과 팔각회향 200g을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후 각 한약재를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밀봉하여 초기 밀봉한 때에 비하여 1년 및 2년이 지난 후 향의 지속력을 비교해 본 결과를 다음과 같이 표 7에 나타내었다. 향의 지속력은 일반인인 측정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3평의 폐쇄 공간에서 각각의 한약재로부터 30㎝ 떨어졌을 때 코로 느끼는 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결과는 측정자의 결과를 평균한 것이다.
Figure pat00007
표 7에서 볼 수 있듯 5 내지 10㎜ 이하로 세절한 한약재를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밀봉한 후 한 달에 한 번씩 방향제를 흔들어 주는 경우와 가만히 놓아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향의 지속력를 비교한 결과, 실험 시작 후 1년이 경과한 경우 실험한 모든 한약재에서 방향제를 한 달에 한 번 흔들어 준 경우가 흔들어 주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향의 지속력이 증가하였다. 실험 시작 후 2년이 경과한 경우 실험한 모든 한약재에서 방향제를 한 달에 한 번 흔들어 준 경우가 흔들어 주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향의 지속력이 22 내지 30 % 증가하였다.

Claims (5)

  1. 5 내지 10㎜ 이하의 입자로 각각 세절한 용뇌, 목향, 정향, 천궁 및 팔각회향을 0.9 내지 1.1: 0.9 내지 1.1: 0.9 내지 1.1: 0.9 내지 1.1: 1.8 내지 2.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방향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방향제는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또는 향부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한약재를 5 내지 10㎜ 이하의 입자로 세절하고 팔각회향 중량의 45 내지 55 중량%로 각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방향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방향제는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유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한약재를 5 내지 10㎜ 이하의 입자로 세절하고 팔각회향 중량의 45 내지 55 중량%로 각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방향제.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방향제는 항균 및 발수 처리를 하고 0.5 내지 1.0㎜ 크기의 구멍이 1 내지 2㎝ 간격으로 형성된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방향제.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방향제는 한 달에 1 내지 3회 흔들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방향제.
KR1020100069199A 2010-07-16 2010-07-16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2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199A KR101224070B1 (ko) 2010-07-16 2010-07-16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199A KR101224070B1 (ko) 2010-07-16 2010-07-16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80A true KR20120008380A (ko) 2012-01-30
KR101224070B1 KR101224070B1 (ko) 2013-01-18

Family

ID=4561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199A KR101224070B1 (ko) 2010-07-16 2010-07-16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0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673B1 (ko) * 2013-01-23 2014-04-0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훈향 조성물
KR20150146126A (ko) 2014-06-22 2015-12-31 이경록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천연다기능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4972A (ko) * 2014-11-07 2016-05-17 조숙자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KR101685631B1 (ko) * 2016-06-10 2016-12-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숙면용 한방 방향제
WO2019117491A1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굿바이오랩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46Y1 (ko) 2001-08-27 2002-01-09 동국제향주식회사 한약 방향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673B1 (ko) * 2013-01-23 2014-04-0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훈향 조성물
KR20150146126A (ko) 2014-06-22 2015-12-31 이경록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천연다기능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4972A (ko) * 2014-11-07 2016-05-17 조숙자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KR101685631B1 (ko) * 2016-06-10 2016-12-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숙면용 한방 방향제
WO2019117491A1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굿바이오랩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070B1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04966B (zh) 一种平版胶印油墨
KR101618162B1 (ko)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CN105542557A (zh) 一种喷墨印刷水性uv墨水
KR101224070B1 (ko)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00216A (ko) 솔잎 추출물, 쑥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5631B1 (ko) 숙면용 한방 방향제
CN104924819A (zh) 一种活性矿物质与驱蚊提取物复配的文具收纳筒
KR200405651Y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06037034A (zh) 活性炭抗菌型胸罩及制备方法
CN104985963A (zh) 一种电气石与活性炭复配的新型文具收纳装置
KR20180064643A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CN106336730A (zh) 一种环保水性黑色油墨
KR102540377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식물 추출 항균 조성물
KR101175656B1 (ko) 한방 방향제 조성물
KR20040001513A (ko)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CN105029728B (zh) 一种具有远红外线及负离子保健功能的胸罩及其制造方法
CN107998025A (zh) 一种地椒精油驱蚊花露水及制备方法
CN107982101A (zh) 一种有效修复再生的天然修复因子、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105011B1 (ko) 한약재를 이용한 방향제
CN104924954A (zh) 一种薰衣草芳香型汽车脚垫
CN104958027A (zh) 一种浸渍中药有效成份的芜荑驱蚊纸巾筒
KR20010017072A (ko)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 약재와 그 제조 방법
CN105966129A (zh) 一种具有远红外线保健功能的文具收纳盒
CN106336735A (zh) 一种遮盖型纺织品喷墨印花颜料油墨
CN104939725A (zh) 一种覆盆子抗菌型负离子纸巾盒的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