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656B1 - 한방 방향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 방향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656B1
KR101175656B1 KR1020050119039A KR20050119039A KR101175656B1 KR 101175656 B1 KR101175656 B1 KR 101175656B1 KR 1020050119039 A KR1020050119039 A KR 1020050119039A KR 20050119039 A KR20050119039 A KR 20050119039A KR 101175656 B1 KR101175656 B1 KR 101175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agrance
herbal
effe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775A (ko
Inventor
이용태
Original Assignee
(주)경동한방솔루션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한방솔루션제약 filed Critical (주)경동한방솔루션제약
Priority to KR102005011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6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한방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익지인 20~35중량%, 진피 20~35중량%, 팔각향 10~15중량%, 계피 10~15중량%, 정향 10~15중량%, 박하 5~8중량%, 당귀 5~8중량%, 용뇌 2~3중량%, 및 천궁 3~5중량%을 함유한 한방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한방 방향제 조성물은 방향제 사용시 심신의 안정과 진정효과를 주며 또한 세균방지, 악취제거 및 담배냄새 제거뿐만 아니라 숙면 및 축농증(코막힘) 개선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는 방향제를 제공한다.
한방방향제, 익지인, 진피, 팔각향, 계피, 정향, 숙면효과, 냄새제거

Description

한방 방향제 조성물{composition for korean herbal aromatic}
본 발명은 기능성 한방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익지인 20~35중량%, 진피 20~35중량%, 팔각향 10~15중량%, 계피 10~15중량%, 정향 10~15중량%, 박하 5~8중량%, 당귀 5~8중량%, 용뇌 2~3중량% 및 천궁 3~5중량%를 함유하는 식물성 생약재를 주재로 한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향제는 향으로서 실내 분위기에 청량함을 주며, 기분을 상쾌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래서 향료는 청량감과 상쾌감이 요구되어 지고, 때로는 심신의 안정감과 진정효과까지도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대부분 일반적인 방향제용 향료는 일부의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로 구성되어져 있어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향취의 강약 정도에 따라 때로는 혼미스럽고, 머리가 아프다는 이유로 사용을 기피하는 경우도 있기도 하다. 즉, 일반적인 방향제 조성물은 향료, 알코올, 가용화제, 정제수 및 방향제품의 여러 기제를 이용하여 조성된 것으로서, 합성 향료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합성 향료 및 일부 시트러스 계통의 천연 오일이 혼합됨으로써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다.
한편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식물성 생약재는 질병의 치료 및 예방효과를 위하여 즉 한방약재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식물성 생약재는 대부분이 향을 발산하고 있는바, 상기 식물성 생약재는 식물성 생약재가 함유하고 있는 향이 휘발되어 대기중에 은은한 향이 발산되고, 상기 은은한 향이 대기중에 방향(발산)되면서 사람의 피부와 코 등을 통하여 몸에 깊이 스며듦으로써 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83924호에는 한방 향기 주머니는 식물성 생약재인 당귀, 천궁, 목향, 박하, 유향, 정향, 자단향, 곽향, 고본, 영능향, 울향, 용뇌, 회향을 분말상으로 특정비로 혼합하여서 직포제 주머니에 넣은 한약향기주머니가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03495호에는 목향 30~60 중량부와, 정향, 천궁, 백지, 사인 각 15~30 중량부와, 박하뇌 3~6 중량부로 된 생약재 25~40 중량부는 분말상으로, 60~75 중량부는 편상으로 형성하여 상호 혼합한 후 직물제 외부주머니에 넣고, 상기 분말상 및 편상의 혼합 생약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생약재와 동일한 조성으로 된 생약재 분말 15~30 중량부를 직물제 내부 주머니에 넣은 후 상기 생약재 분말을 넣은 직물제 내부 주머니를 상기 직물제 외부 주머니에 넣어서 된 방향제가 기재되어 있으나, 이들은 모두 분말화 또는 편상으로 사용함으로써 추가 공정이 필요하고 보다 경제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33281호에는 라벤더 오일, 카모마일 오일, 제라늄 오일, 오렌지 오일, 산달우드 오일, 및 일랑일랑 오일 등을 포함하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국산 생약제가 아닐 뿐만 아니라 오일을 사용하고 화학첨가제를 첨가하여 액제화 한 것으로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생약재를 그대로 사용하는 한방 방향제와는 거리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생약재를 그대로 사용하며 방향효과와 소취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조성의 방향제를 연구하던 중 이를 해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은 생약제 그대로 향료를 구성하여 합성향료가 주는 화학적인 느낌으로 인한 방향제의 부작용을 막고, 아로마테라피 효과와 함께 냄새 제거 등의 소취효과를 향상시킨 한방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약재로서 익지인(Alpinia oxyphylla Miquel),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팔각향(Illicium verum Hooker fil.), 계피(Cinnamomum cassia Blume), 정향(Syzygium aromaticum),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당귀(Angelica gigas Nakai), 용뇌(Dryobalanops aromatica),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을 함유하는 한방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가 잘 통할 수 있고 천연섬유로 된 방향제주머니에 상기 한방 방향제 조성물을 넣어서 된 방향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방향제의 조성물 구성이 모두 천연 생약재로 되어있다는 것이며 우수한 소취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방향제 조성물에서 쓰이는 합성향료 또는 합성향료와 천연오일을 조합한 조합향료가 아닌 생약재로만 구성되어진 방향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서 기존방향제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심신에 대한 릴랙싱(Relaxing) 효과로 안정감, 진정작용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고, 새로운 조성으로 악취제거 및 담배냄새제거 등 소취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숙면 및 축농증(코막힘)개선 효과도 있는 방향제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생약제는 깨끗이 세척된 것으로 사용함으로써 친자연적으로 하였으며 분말화 또는 편상으로 하지 않아도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익지인(Alpinia oxyphylla Miquel)은 생강과 다년생 식물인 익지의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방향성 정유성분인 테르펜, 세스쿠이테르펜알콜 등이 주성분이며 동의치료에서 찬기운을 받아 설사하고 배가 아플 때 건위구풍약으로 사용한다.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는 밀감의 숙과피를 건조한 것으로 주요성분은 정유인 헤스페리딘이다. 위액분비량을 늘이고 입맛을 돋우는 방향성 고미건위제로 사용되며, 동의보감 내경편 위부에 단방으로 위의 기를 잘 통하게 한다고 기재 되어 있다.
팔각향(Illicium verum Hooker fil.)은 훈증소독작용이나 구충작용이 있는 물질로써 주로 요즘에는 음식물에 향을 돋구는 향신료로 사용되며 그 이외에도 강심,건위), 구충, 구풍, 분만촉진, 살충, 소화촉진, 이뇨, 최음, 제토, 항흉부감염의 작용을 가지고 있다.
계피(Cinnamomum cassia Blume)는 계수나무의 얇은 나무껍질. 줄기 및 가지의 나무껍질을 벗기고 코르크층을 제거하여 말린 것으로 독특한 향기가 있고, 맛은 조금 떫으나 달며 점액성이다. 향수?향료의 원료 및 교미(矯味)?교취제(矯臭劑)?건위제(健胃劑)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허한(虛汗)을 거두는 데도 사용된다.
정향(Syzygium aromaticum)은 정향나무의 꽃봉오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증류하여 얻어지는 정향유는 화장품이나 악품의 부향료 등으로 이용된다. 항균?구충?건위작용 등이 알려져 약용으로도 쓰이고 있으며 그 외에 향수?염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정향은 식품?약품?방부제로 사용되며, 치과에서는 진통제 등으로도 사용된다.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는 통화식물목 광대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습기가 있는 들판 등에서 자란다. 모든 종에 방향(芳香)이 있으며, 박하뇌와 박하기름을 얻기 위해서 재배도 한다. 잎에는 마른 잎 무게의 1% 안팎의 정유가 함유되었고, 주성분은 멘톨(menthol)이며, 그 밖에 멘톤(menthone) 등을 함유한다. 한방에서는 잎을 말린 것을 박하잎이라고 하여, 발한?해열?진통?건위?해독제로서, 감기 초기, 두통, 인후통, 피부병 등의 치료에 쓴다. 잎에는 정유 1.5 %, 타닌 약 10% 외에 고미질(苦味質)이 포함되어 있다. 치과의가 사용하는 구중수(口中水)는 박하기름을 물에 탄 것으로, 그 방향(芳香)으로 입속의 악취를 제거할 뿐 아니라, 멘톨이 지니는 국소마비?살균?방부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참당귀의 뿌리이며 참당귀는 산형과에 속하는 숙근초(宿根草)인데, 방향성 정유와 설탕?비타민 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당귀는 혈액순환에 탁월하고 여성의 냉증이나 혈색불량, 산전산후의 회복, 월경불순, 자궁 발육부진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며 오랫동안 복용하면 손발이 찬 증상을 개선시키고 심장을 보하며 허한 것을 도와주고 나쁜 피를 몰아내는 정혈작용을 할 뿐 아니라 뿌리는 자궁의 기능을 조절하고, 진정작용?진통작용?항균작용?설사작용 및 비타민E 결핍 치료작용을 하므로 빈혈증?진통?강장?통경 및 부인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쓰이며, 당귀를 삶은 물은 예로부터 여성의 피부를 희게 하는 약재로 유명하다.
용뇌(Dryobalanops aromatica)는 용뇌수에서 나오는 무색투명한 결정체이다. 용뇌수의 심재부에는 용뇌향(龍腦香;Borneo camphor)이 함유되어 있고 때로는 흰 결정으로 존재하는데 용뇌는 예로부터 향료?약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주성분은 보르네올이다. 나무껍질에 구멍을 뚫거나 목재를 증류해서 얻는 용뇌유는 테르펜류를 많이 함유하여 안약과 치통약으로 사용된다.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은 산형화목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뿌리줄기는 굵으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가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열매는 달걀꼴이고 성숙하지 않으며, 뿌리는 진정?진통 및 강장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방 방향제조성물은 상기 생약재를 그대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생약재의 조성비는 익지인(Alpinia oxyphylla Miquel) 20~35중량%,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20~35중량%, 팔각향(Illicium verum Hooker fil.) 10~15중량%, 계피(Cinnamomum cassia Blume) 10~15중량%, 정향(Syzygium aromaticum) 10~15중량%,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5~8중량%, 당귀(Angelica gigas Nakai) 5~8중량%, 용뇌(Dryobalanops aromatica) 2~3중량%,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3~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방 방향제조성물은 50~100g씩 방향제주머니에 넣어 한방방향제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0~18㎡의 실내에서는 70~90g을 넣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80g을 넣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방 방향제 조성물은 필요로 하는 효과의 강약을 조절하기 위하여 생약재의 조성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조성비의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벗어나면 어떤 효과는 너무 약해지거나 또 다른 효과는 너무 강하게 되어 오히려 필요로 하는 효과를 제대로 얻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약재는 발산 효과를 위하여 청정한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청정한약"은 원재료를 3번의 세척작업과 3번의 선별작업을 거친 깨끗한 생약재로 정의 하며 청정한약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1) 구입한 원재료를 검사하여 재료의 수준을 유지하고
(2) 3번의 세척작업을 하며
(3) 일광으로 건조하고
(4) 3번의 선별 작업을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청정한약은 찌꺼기들이 제거되어 저급한 생약재가 제거된 생약재로서 분말화를 하지 않아도 생약재의 향이 잘 발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제 주머니는 생약재가 천연물이므로 천연섬유 직물이 바람직하고 향이 잘 발산될 수 있도록 공기가 잘 통하는 것이 좋으며 본 발명에 적합한 것은 이 분야의 업자라면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3번의 세척과정을 거친 청정한약을 생약재로서 구입하고 익지인 23.5중량%, 진피 23.5중량%, 팔각향 11.8중량%, 계피 11.8중량%, 정향 11.8중량%, 박하 5.9중량%, 당귀 5.9중량%, 용뇌 2.3중량% 및 천궁 3.5중량%를 생약재 그대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한방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천연섬유로 된 방향제주머니에 상기 한방 방향제 조성물을 80g 넣고 끈으로 묶어 한방 방향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향취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사용시의 향취 기호도와 심신 안정 및 진정, 숙면, 축농증(코막힘) 개선 효과를 서로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효과 시험은, 남자 10명, 여자 10명(연령비는 구성 성별에 따라 20대, 30대, 40대를 각각 2:3:5로 함)으로 구성된 관능 평가 집단에 의하여 집(실내)에 방치하면서 3 주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방치된 방향제는 실내 공기에 확산된 향취를 평가하였고, 향취를 통상적으로 20회, 20초/1일 코 주위에 대어 맡게 한 후, 그 측정치를 대비하여 본 발명 방향제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향취 만족도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향취 만족도
구분 실시예
좋다 7
약간 좋다 6
보통이다 5
약간 나쁘다 2
나쁘다 -
심신 안정 및 진정 효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심신 안정 및 진정 효과
구분 실시예
대단히 유효 5
유효 6
약간 유효 8
효과 없음 1
악화 -
냄새제거효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냄새제거효과
구분 실시예
대단히 유효 9
유효 6
약간 유효 3
효과 없음 2
악화 -
숙면효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숙면효과
구분 실시예
대단히 유효 11
유효 5
약간 유효 3
효과 없음 1
악화 -
축농증(코막힘) 개선 효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축농증(코막힘) 개선 효과
구분 실시예
대단히 유효 7
유효 5
약간 유효 5
효과 없음 3
악화 -
상기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한방 방향제는 향취 만족도에서 약간 좋은 것으로, 심신 안정 및 진정 효과, 냄새제거 효과 및 축농증(코막힘)개선 효과는 유효한 것으로, 그리고 숙면효과는 대단히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로운 조성에 의해 숙면효과가 대단히 우수하였고, 냄새제거효과, 심신 안정 및 진정 효과와 축농증(코막힘)개선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생약재를 분말화하지 않고도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익지인, 진피, 팔각향, 계피, 정향, 박하, 당귀, 용뇌 및 천궁의 새로운 조성에 의한 기능성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냄새제거 등의 소취효과, 향취만족도, 심신 안정 및 진정 효과, 충분한 숙면효과를 나타내며, 축농증(코막힘)개선 효과도 우수한 기능성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1)

  1. 생약재로서 익지인(Alpinia oxyphylla Miquel) 20~35중량%,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20~35중량%, 팔각향(Illicium verum Hooker fil.) 10~15중량%, 계피(Cinnamomum cassia Blume) 10~15중량%, 정향(Syzygium aromaticum) 10~15중량%,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5~8중량%, 당귀(Angelica gigas Nakai) 5~8중량%, 용뇌(Dryobalanops aromatica) 2~3중량%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3~5중량%를 함유한 한방 방향제 조성물.
KR1020050119039A 2005-12-07 2005-12-07 한방 방향제 조성물 KR101175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039A KR101175656B1 (ko) 2005-12-07 2005-12-07 한방 방향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039A KR101175656B1 (ko) 2005-12-07 2005-12-07 한방 방향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775A KR20070059775A (ko) 2007-06-12
KR101175656B1 true KR101175656B1 (ko) 2012-08-21

Family

ID=3835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039A KR101175656B1 (ko) 2005-12-07 2005-12-07 한방 방향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6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318A (ko) 2017-09-05 2019-03-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심신안정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KR101985530B1 (ko) 2017-12-26 2019-06-03 편수헌 천연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
KR20220067622A (ko) 2020-11-17 2022-05-2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495B1 (ko) 2003-05-21 2005-07-27 조재근 방향제
KR100509397B1 (ko) 2003-06-23 2005-08-18 배근희 약초 방향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495B1 (ko) 2003-05-21 2005-07-27 조재근 방향제
KR100509397B1 (ko) 2003-06-23 2005-08-18 배근희 약초 방향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318A (ko) 2017-09-05 2019-03-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심신안정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KR101985530B1 (ko) 2017-12-26 2019-06-03 편수헌 천연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
KR20220067622A (ko) 2020-11-17 2022-05-2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775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usinowska et 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lavender L). A review
BAĞDAT et al. The essential oil of 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L.), its components and using fields
KR101765832B1 (ko) 항균성 에센셜 오일
KR20170122383A (ko) 식물정유물질을 이용한 VOCs 및 악취 탈취제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100843680B1 (ko) 스트레스완화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CN108452060A (zh) 复方精油组合物、其应用以及缓解抑郁的产品
KR101175656B1 (ko) 한방 방향제 조성물
KR101877409B1 (ko) 천연 약용식물 에센셜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용 항진균, 살균 및 탈취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3692B1 (ko) 정서안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KR20120008380A (ko)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64643A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KR101667518B1 (ko) 가습기용 천연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3689B1 (ko) 기분고양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KR102194210B1 (ko) 애완동물의 멀미, 오심 및 구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방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6243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CN106309199A (zh) 护肤及防害虫用天然湿巾及其制备方法
CN105496857A (zh) 柠檬香花露水
KR101940050B1 (ko) 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Tourles Stephanie Tourles's Essential Oils: A Beginner's Guide: Learn Safe, Effective Ways to Use 25 Popular Oils; Make 100 Aromatherapy Blends to Enhance Health; Soothe Common Ailments and Promote Well-Being
Curtis et al. Neal's Yard Remedies Essential Oils: Restore* Rebalance* Revitalize* Feel the Benefits* Enhance Natural Beauty* Create Blends
Curtis et al. Essential Oils: All-natural remedies and recipes for your mind, body and home
CN108635440B (zh) 复方精油组合物、其应用以及缓解压力的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