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397B1 - 약초 방향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초 방향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397B1
KR100509397B1 KR10-2003-0040803A KR20030040803A KR100509397B1 KR 100509397 B1 KR100509397 B1 KR 100509397B1 KR 20030040803 A KR20030040803 A KR 20030040803A KR 100509397 B1 KR100509397 B1 KR 100509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rbal
crushed
fragrance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203A (ko
Inventor
배근희
Original Assignee
배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근희 filed Critical 배근희
Priority to KR10-2003-004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39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초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을 포함하고, 여기에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여기에 곽향, 육계 및 목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약초 방향제 조성물{A composition of an aromatic using medical plant}
본 발명은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방 약초를 이용한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향제는 향으로서 실내 분위기에 청량함을 주며,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편안함을 주기 위하여, 또는 냉장고 등의 악취가 발생하기 쉬운 곳에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용도(탈취제)로서 사용된다. 그래서 방향제는 청량감과 상쾌감, 편안함 등이 요구되며, 때로는 심신의 안정감과 진정효과까지도 요구되는 것이며, 특히,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술한 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방향제는 일부의 천연향료와 합성 향료로 구성됨으로써, 방향제의 향을 발산하는 데에 그 주요 목적이 주어진 것으로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의 효과는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방향제는 향기로서 청량함을 제공하기 보다는 오히려 악취와 방향제의 방향 성분이 혼재하여 더욱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었으며, 특히, 합성 향료의 경우에는 그 향취의 강약 정도에 따라 때로는 혼미스럽고, 두통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천연적인 자연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향기가 나는 식물(허브, 한방 약초 등)을 건조시켜 방향제로 사용하는 시도가 늘고 있으나,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향을 제공하는 방향제 조성물은 아직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그리고, 식물 건초를 이용하여 방향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습기가 많은 지역 또는 습기가 많은 시기에는 식물 건초가 습기를 흡수하여 축축하게 되므로, 향기를 발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건초가 습기를 흡수하게 될 경우에는 부패하게 되어 오히려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향을 제공하고, 발산된 향이 방향제를 설치한 곳의 주위에 오랜시간 동안 향기가 유지될 수 있는 약초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초 방향제 조성물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각종 미생물에 의한 부패가 되지 않도록 하며,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건조성을 장시간 유지시켜 습기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향제의 구성 성분으로 한방적으로 인체를 건강하게 하는 한방 약초를 이용함으로서, 한방 약초의 향기에 의하여 인체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을 포함하는 약초 방향제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 여기에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여기에 곽향, 육계 및 목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의 성질에 대하여 살펴본 후,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의 구성비에 따른 본 발명의 효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가장 큰 특징은 방향제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모두 한방 약초로 구성하였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자는 종래의 방향제 조성물로 주로 사용하던 합성 향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한의원 등에서 사용되는 한방 약초 중에서 각각의 향 배합이 잘 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는 한방 약초의 종류 및 구성 성분, 구성 비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백지'는 한방적으로 인체를 따듯하게 하고 두통을 없애며, 이목구비를 통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 가려움증도 다스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백지'는 다량의 휘발성 정유를 포함하고 있어 약간 매운향이 나며, 그 휘발성 정유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쾌한 향을 느끼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성분인 '천궁'은 백지와 같이 한방적으로 인체를 따듯하게 하고, 두통을 없애며, 피를 기르고 맑게 하여 울혈을 풀어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천궁'의 향은 약간 맵고 쓴 것이 특징이다.
또, '홍화'는 한방적으로 인체를 따듯하게 하고, 피가 뭉쳐 열나는 것을 없애주며, 피를 활발하게 하고 보(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향은 약간 매운 것이 특징이다.
'박하'는 머리와 눈을 밝게 하고 땀을 나게 하며, 해열 작용이 있어 감기, 두통에 효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향은 맵고 약간 쓴 것이 특징이며, 사용자로 하여금 청량 상쾌함을 느끼게 해준다. 이러한, '박하'의 맵고 청량 상쾌한 향은 중추 신경을 자극하여 간접적으로 말초신경에 전도됨으로서, 피부 모세 혈관의 확대 및 땀샘의 분비를 촉진하여 인체에 발한해열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감국'은 해열작용이 있고, 어지럽고 눈이 붉고 눈물이 흐르는 것을 다스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감국'은 쓰고 단 향을 가지는 휘발성 정유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진피'는 인체를 따듯하게 하고 몸의 기를 순조롭게 하고 소화불량, 복부 팽만에 효과가 있으며, '진피'의 정유는 건위성 방향으로서 쓰고 달고 매운 향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초두구'는 인체를 따듯하게 하고 밥맛을 나게 하고 구토를 멎게 하고 차운 음식을 먹어 위가 아픈 것을 다스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향은 약간 매운 것이 특징이다.
'당귀'는 인체를 따듯하게 하고 피를 생성하고 심장이 허하고 피로한 것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향은 달고 맵고 약간 쓴 것이 특징이다.
'향부자'는 오래된 식체를 소화시키고 모든 울체를 풀어주며 정신 우울로 인한 모든 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향부자'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는 건위성 방향으로서, 달고 쓴 향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형개'는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감기로 인한 두통과 찬 기운을 발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형개'에는 다량의 휘발성 정유가 포함되어 그 발산하는 향기는 약간 매운 향으로서 박하향과 비슷하여, 땀샘의 분비를 왕성케하고, 신경의 경련을 안정시키며, 피부의 혈액순환을 왕성케 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곽향'은 한방적으로 인체를 따듯하게 하고, 구토를 멎게 하며, 바람과 한기를 발산시키고 토사곽란 - 입으로는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하면서 배가 뒤틀리듯이 몹시 아픈 병 - 을 다스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향은 휘발성 발산 방향제로서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황'은 인체를 매우 차갑게 하며 몸에 깨끗하지 못한 피를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본 발명자가 대황에 대한 성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대황의 방향성에 대한 성질은 다른 향을 가라앉혀 한곳에 응집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러한 대황을 다른 약초 방향제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에는 전체의 방향이 쉽게 발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발하였다.
'육계'는 인체를 뜨겁게 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고, 차운 것을 따듯하게 보호하며, 극심한 복통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향은 건위성 방향이며, 부폐, 발효 및 세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목향'은 한방적으로 인체를 따듯하게 하고 위장을 편안하게 하고, 음식에 채한 것을 흩어 버리는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향'에 함유된 다량의 휘발성 정유에 의한 향기는 위장의 기능을 조정하여 위산의 부족을 증가하고, 소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특히, '목향'은 구충 살균의 효과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창출'은 인체를 따듯하게 하고 비위를 튼튼하게 하며, 풍토병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창출'에 함유된 정유는 살균작용이 있으며, 습기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한방 약초를 제외한 기타 다른 한방 약초들도 각각의 향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한방 약초들은 일반 한방 약초들과 달리 특별히 그 향이 독특하고, 각 약초들 상호간의 향의 배합이 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한방 약초들 중에서 그 향의 배합이 잘 이루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적인 향을 제공하여 편안함, 상쾌함, 청량감 등을 일으키는 약초 방향제 조성물로서 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곽향,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각 압착 분쇄물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특히, 본 발명자는 상기 약초들의 향의 강약 정도에 따라 그 구성 성분의 중량 %를 달리하여 실험하여 본 결과, 그 향의 배합이 가장 적합한 구성 성분비를 개발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은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6 내지 22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축 분쇄물 각 7 내지 12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3 내지 7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여기에서, 각 중량 %는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술한 한방 약초라 하더라도 각각의 약초들을 분리하여 단향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너무 쉽게 발산하여 그 향이 금방 사라지기 쉬우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약초의 구성 성분으로 배합하여 여러 향의 배합에 의하여 그 향이 쉽게 발산되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 구성 성분의 양을 각각 달리하여 배합함으로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은 사용자에게 특별한 청량감, 상쾌함, 편안함 등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향이 발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은 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곽향, 당귀, 향부자 및 형개로 이루어져, 상술한 약초들의 향은 그 발산하는 성질이 강하므로, 약초 방향제 조성물이 설치된 곳의 주위에 그 향이 정체되어 있지 못하고, 더 넓은 공간으로 발산하려하므로, 이러한 향의 발산을 억제하여 약초 방향제 조성물이 설치된 곳의 일정 주위로부터 향이 흩어지지 않고 그대로 정체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황을 더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황의 구성 성분의 중량비를 적당히 함으로서, 대황에 의한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향의 발산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은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5 내지 21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축 분쇄물 각 6 내지 11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3 내지 7 중량 %; 및,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3 내지 7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각 중량 %는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술한 약초 방향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약초들(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곽향, 당귀, 향부자, 형개)은 장시간 사용시 습기를 흡수할 경우에는 부패하기 쉬우며, 또한, 벌레 등이 번식하기 쉬우므로, 이러한 약초들의 부패 및 벌레 등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육계, 목향 및 창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약초들의 향 배합이 잘 되면서, 부패 및 벌레 등의 번식이 억제되는 향 배합은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2 내지 17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축 분쇄물 각 5 내지 10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2 내지 5 중량 %, 육계 및 목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5 내지 10 중량 %; 및, 창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2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약초들의 향 배합이 잘 되고, 그 향의 발산을 잘 억제하며, 부패 및 벌레 등의 번식이 억제되는 각 구성 성분의 중량비는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2 내지 16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4 내지 9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2 내지 5 중량 %, 육계 및 목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4 내지 9 중량 %, 창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2 내지 5 중량 %; 및,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2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이루는 약초인 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곽향, 당귀, 향부자, 형개, 육계, 목향, 창출 및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의 입자는 그 크기가 너무 작을 경우에는 향의 발산이 너무 많이 되어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향 발산이 장기간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클 경우에는 향이 적게 발산하게 되므로 방향제로서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구성성분을 이루는 약초인 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곽향, 당귀, 향부자, 형개, 육계, 목향, 창출 및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의 입자는 그 크기가 10 내지 500 메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술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에 대한 향미 검사를 실시한 경과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약초 방향제 조성물에 대한 향미 검사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연령대별 표본 집단으로 총 160명을 추출하여 시행하였으며,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각각이 실시예(하기 실시예 1 내지 4)를 샘플링하여 향미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향미 검사를 위한 샘플로서 각각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일 실시예로서,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6 내지 22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축 분쇄물 각 7 내지 12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3 내지 7 중량 %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하나인 실시예 1의 구성 성분 및 구성 성분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또,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일 실시예로서,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5 내지 21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축 분쇄물 각 6 내지 11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3 내지 7 중량 %,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3 내지 7 중량 %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하나인 실시예 2의 구성 성분 및 구성 성분비는 하기 표 2와 같다.
또,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일 실시예로서,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2 내지 17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축 분쇄물 각 5 내지 10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2 내지 5 중량 %, 육계 및 목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5 내지 10 중량 %, 창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2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하나인 실시예 3의 구성 성분 및 구성 성분비는 하기 표 3과 같다.
또,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일 실시예로서,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2 내지 16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4 내지 9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2 내지 5 중량 %, 육계 및 목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4 내지 9 중량 %, 창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2 내지 5 중량 %,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2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하나인 실시예 4의 구성 성분 및 구성 성분비는 하기 표 4와 같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 1 내지 4는 그 약초의 입자의 크기를 10 내지 500 메시의 크기로 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실시예 1 내지 4를 본 시험의 표본 집단인 20대 남, 여 각 20명씩, 30대 남, 여 각 20명씩, 40대 남, 여 각 20명씩, 50대 남, 여 각 20명씩 총 160명을 대상으로 각 실시예의 향기에 대한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연령별로 남, 여를 20명씩 표본 집단으로 하여 시험을 한 결과 그 기호도는 상기 표 5와 같이 나왔다. 즉, 20대에 있어서는 보통보다 양호한 결과가 나왔으나, 30대 이상의 연령층으로부터는 본 발명인 각 실시예의 기호도가 약 8.5 이상의 높은 기호도를 나타났고, 특히, 40대와 50대에서는 아주 좋은 평가가 나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향기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향제 조성물 보다 그 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알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1년 동안 그 향기의 지속성을 실험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지속성 시험을 위하여 상술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각 실시예(실시예 1 내지 4)를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주요 사용처인 자동차 내부에 설치하여 1년간 테스트하여 본 결과이다. 즉,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각각 50대의 자동차에 설치하여, 그 사용자로 하여금 초기의 향기와 1년간의 사용과 함께 그 지속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설치한 날로부터 1년 후의 시점에 있어서, 향기의 지속성을 평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실시예 4는 1년간 그 향이 약 90 % 이상 지속되었으며, 실시예 1과 실시예 3는 약 60% 이상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에 있어서, 각 약초들의 향기의 발산을 억제하는 대황이 첨가 되었을 경우에는 대황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그 향기의 지속성이 상당히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1년 동안 부폐의 정도를 실험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부폐도 시험을 위하여 상술한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각 실시예(실시예 1 내지 4)를 습도 약 80%이상, 온도 약 25℃의 환경을 유지되는 밀폐된 공간에 각각 30개씩을 설치하여 1년간 테스트한 결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4는 육계, 목향, 창출을 포함함으로서, 상술한 환경에서 1년의 기간동안 부패의 정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도 조사와 향기의 지속성 및 부패도 시험을 통한 효과이외에,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이루는 각 한방 약초들의 한약학적 약리적 현상에 의하여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 특히, 이러한 각각의 한방 약초의 향기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키며, 그 효과로 인한 불안감, 우울감 등을 해소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은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향을 제공하고, 발산된 향이 방향제를 설치한 곳의 주위에 오랜시간 동안 향기가 유지될 수 있는 약초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각종 미생물에 의한 부패가 되지 않으며,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건조성을 장시간 유지시켜 습기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방향제의 구성 성분으로 한방적으로 인체를 건강하게 하는 한방 약초를 이용함으로서, 한방 약초의 향기에 의하여 인체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약초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한방 약초를 이용한 방향제 조성물에 있어서,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5 내지 21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축 분쇄물 각 6 내지 11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3 내지 7 중량 %; 및,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3 내지 7 중량 %를 포함하는 약초 방향제 조성물(각 중량 %는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곽향, 당귀, 향부자, 형개 및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은 그 각 압착 분쇄물의 각 입자 크기가 10 내지 500 메시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
  5. 한방 약초를 이용한 방향제 조성물에 있어서,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2 내지 17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축 분쇄물 각 5 내지 10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2 내지 5 중량 %;
    육계 및 목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5 내지 10 중량 %; 및,
    창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2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약초 방향제 조성물(각 중량 %는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곽향, 당귀, 향부자, 형개, 육계, 목향 및 창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은 그 각 압축 분쇄물의 입자 크기가 10 내지 500 메시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
  7. 한방 약초를 이용한 방향제 조성물에 있어서,
    백지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12 내지 16 중량 %;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및 곽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4 내지 9 중량 %;
    당귀, 향부자 및 형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2 내지 5 중량 %;
    육계 및 목향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각 4 내지 9 중량 %;
    창출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2 내지 5 중량 %; 및,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 2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약초 방향제 조성물(각 중량 %는 본 발명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백지, 천궁, 홍화, 박하, 감국, 진피, 초두구, 곽향, 당귀, 향부자, 형개, 육계, 목향, 창출 및 대황 건조물의 압착 분쇄물은 그 각 압축 분쇄물의 입자 크기가 10 내지 500 메시인 약초 방향제 조성물.
KR10-2003-0040803A 2003-06-23 2003-06-23 약초 방향제 조성물 KR100509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03A KR100509397B1 (ko) 2003-06-23 2003-06-23 약초 방향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03A KR100509397B1 (ko) 2003-06-23 2003-06-23 약초 방향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203A KR20050000203A (ko) 2005-01-03
KR100509397B1 true KR100509397B1 (ko) 2005-08-18

Family

ID=3721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803A KR100509397B1 (ko) 2003-06-23 2003-06-23 약초 방향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3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71A2 (ko) * 2009-11-12 2011-05-19 주식회사 자연인 식욕감퇴 방향제 조성물
KR101175656B1 (ko) 2005-12-07 2012-08-21 (주)경동한방솔루션제약 한방 방향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404B1 (ko) * 2017-11-09 2019-03-21 한국콜마주식회사 변색내성이 우수한 조합향료 함유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656B1 (ko) 2005-12-07 2012-08-21 (주)경동한방솔루션제약 한방 방향제 조성물
WO2011059171A2 (ko) * 2009-11-12 2011-05-19 주식회사 자연인 식욕감퇴 방향제 조성물
WO2011059171A3 (ko) * 2009-11-12 2011-07-14 주식회사 자연인 식욕감퇴 방향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203A (ko) 200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2215B (zh) 含有肉桂油的微囊化植物精油驱蚊剂
Prusinowska et 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lavender L). A review
CN105284936B (zh) 一种驱蚊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050003976A1 (en) Sympathetic nerve-stimulating fragrant compositions
CN112970788B (zh) 一种高效电热蚊香液及其制备方法
CN109260054A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KR100987534B1 (ko) 식욕감퇴 방향제 조성물
CN104924819A (zh) 一种活性矿物质与驱蚊提取物复配的文具收纳筒
KR101488642B1 (ko) 한방약초 방향이 나오는 소형 공기청정기
CN107242259A (zh) 一种驱蚊香囊及其制备方法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0509397B1 (ko) 약초 방향제 조성물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2265977A (ja) 交感神経活性化香料組成物
CN105520849B (zh) 一种舒缓身体经脉的外用精油
CN112273957A (zh) 一种有助睡眠的中药枕头及其制备方法
KR101419859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CN109042780A (zh) 一种驱蚊中药及其制备方法
CN107549203A (zh) 一种中草药蚊香
KR20060022214A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CN110354048A (zh) 一种天然植物活性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00100144A (ko) 라벤더오일 분말이 포함된 목초액 혼합분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목초수액패치
JPH02264663A (ja) 芳香消臭剤
KR102663826B1 (ko) 한방 재료로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