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008B1 -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008B1
KR101809008B1 KR1020160011791A KR20160011791A KR101809008B1 KR 101809008 B1 KR101809008 B1 KR 101809008B1 KR 1020160011791 A KR1020160011791 A KR 1020160011791A KR 20160011791 A KR20160011791 A KR 20160011791A KR 101809008 B1 KR101809008 B1 KR 101809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ve
extract
composition
orien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866A (ko
Inventor
송민지
최진실
최성윤
강학중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0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for specific us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향기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은 종래 아로마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과는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적고, 비용면에서도 부담이 없으며, 향기 분사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improving sleep disorder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면은 인간이 정상적인 활동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이다. 부족한 수면은 위장관계, 관절이나 근육통 등 신체적 측면뿐만 아니라, 피로, 불안, 긴장 등 생리적, 정신적 측면의 항상성 유지에도 영향을 미친다.
국내의 수면장애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일반 성인의 31%가 때때로 입면곤란, 자주 깸, 너무 일찍 깨는 등 의 수면곤란을 호소하며, 56.9%의 노인이 젊었을 때에 비해 수면양상의 변화가 보고되었다.
수면장애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불면증은 잠이 들기 어렵거나, 자다가 깨서 잠을 유지하기 힘들거나, 너무 일찍 일어나서 다시 잠들지 못하기 때문에 수면의 양이나 질이 불만족스러운 것이 주요한 양상이다. 불면증이 심하게되면, 다음날 주간 졸림, 피로감, 집중력의 어려움과 같이 정신 기능 및 행동의 수행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며, 이로 인해 사회적, 직업적, 여러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한 고통이나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최근 불안과 수면장애를 개선시키고자 수면제를 사용하는 대신에 아로마 오일을 이용한 향기 요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고, 이러한 아로마 오일을 이용한 방법은 향기 요법은 약물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경제적이며, 안위감을 증진시키는 데 적절한 중재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아로마 오일은 향기가 나는 식물의 꽃이나 나무, 뿌리, 잎, 꽃, 열매 등의 부분들을 모아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추출한 정유(essntial oil)로서, 추출 과정에 들어가는 비용이 높아져 정유의 가격도 고가인 문제점이 있고, 여러 가지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어, 이에 따른 부작용과 효능 저하 등의 염려가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10-528220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아로마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과는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적고, 비용면에서도 부담이 없는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개선용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은 에테르 추출물인 것인 수면 개선용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은 30 내지 60 : 10 내지 20 : 15 내지 25 : 10 내지 20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수면 개선용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즈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수면 개선용 조성물.
5.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를 추출용매에 각각 침지시킨 후, 45 내지 55 ℃ 온도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 1의 수면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위 5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에테르인 것인 수면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위 5에 있어서, 상기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은 30 내지 60 : 10 내지 20 : 15 내지 25 : 10 내지 20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은 종래 아로마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과는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적고, 비용면에서도 부담이 없으며, 향기 분사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의 수면 질의 개선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안식향은 스티락스 벤조인 드루안데르(Styrax benzoin Druander)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때죽나무과 Styracaceae)에 상처를 내어 삼출되는 수지를 채집한 것으로, 회갈색 또는 어두운 적갈색의 고르지 않은 덩어리이며 깨어진 면에서 흰색 또는 엷은 황적색의 알맹이가 박혀있고 상온에서는 단단하면서 무르고 가열하면 연화된다. 미(味)는 신고(辛苦)하고 성(性)은 평(平)하며, 귀경(歸經)은 심비폐위(心碑肺胃)경이다. 주 약리작용은 방향개규, 행기, 행혈, 거담작용이 있다. 임상에서는 뇌졸중등에서의 의식장해 개선에 응용되고 있으며, 기혈을 통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흉복의 동통을 멎게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목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당목향의 뿌리이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다. 주 약리작용으로서 신경과민 치료, 위.십이지장 궤양 치료에 사용되고, 보약에서 기순환에 도움을 주며, 소화촉진약재로서 사용된다.
유향은 감람나무과에 속하는 활혈약으로 미(味)는 신고(辛苦)하고 성(性)은 온(溫)하며 귀경(歸經)은 심(心), 간(肝), 폐(肺)경이다. 유향의 효능은 활혈지통(活血止痛)으로 임상에서는 어혈로 인한 동통 등에 응용되고 있다.
정향꽃 및 정향피는 정향과에 속하는 정향나무의 꽃과 나무 껍질로서, 특이한 냄새가 강하고 맛은 강렬하며 나중에 혀를 마비시킨다. 그의 주된 성분은 유게놀(eugenol), 아세틸 유게놀(acetyl eugenol), 베타-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이며,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곽란을 멎게 하며 냉기의 복통을 낫게 하고 허리와 무릎을 따뜻이 하고 반위를 고치고 주독을 풀어주고 풍독과 제종을 없애주고 향을 잘나게 한다. 또한, 정향은 구토, 설사, 소화불량치료, 구취해소, 신경안정 작용, 통증해소, 살균제, 방부제, 협심증통증 치료, 딸국질 치료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은 종래 아로마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과는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적고, 비용면에서도 부담이 없으며, 향기 분사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은 에테르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이 가능하다. 가령,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을 얻기 위해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에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하여 혼합한 후 2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주일 이상 침지시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은 환류냉각추출, 초음파 추출방법, 초임계 유체 추출방법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추출방법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은 30 내지 60 : 10 내지 20 : 15 내지 25 : 10 내지 20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로 포함하는 경우, 수면 유도효과 및 만족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로즈 오일을 한두방울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향기를 풍부하게 만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를 추출용매에 각각 침지시킨 후, 45 내지 55 ℃ 온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용매는 에테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은 30 내지 60 : 10 내지 20 : 15 내지 25 : 10 내지 20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이 가능하다. 가령,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을 얻기 위해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에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하여 혼합한 후 2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주일 이상 침지시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은 환류냉각추출, 초음파 추출방법, 초임계 유체 추출방법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추출방법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서도 수면 유도효과 및 만족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참조).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 1 내지 4
안식향 3 g, 목향 3 g, 유향 3 g, 정향꽃 3 g 및 정향피 3 g 각각의 약재를 에테르 1 L에 침지시킨 후, 50 ℃ 온도에서 일주일 동안 추출 및 여과하고,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테르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추출된 각각의 안식향 에테르 추출물, 목향 에테르 추출물, 유향 에테르 추출물, 정향꽃 에테르 추출물 및 정향피 에테르 추출물을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정향피
실시예 1 3 mg 1 mg 1.5 mg 1 mg 0.5 mg
실시예 2 4.5 mg 1.5 mg 2 mg 1.5 mg 0.7 mg
실시예 3 3 mg 2 mg 2.5 mg 2 mg 1 mg
실시예 4 5.5 mg 1 mg 1.5 mg 1 mg 0.5 mg
실시예 5
안식향 에테르 추출물, 목향 에테르 추출물, 유향 에테르 추출물, 정향꽃 에테르 추출물 및 정향피 에테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장미향 오일을 한방울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2의 함량으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정향피
비교예 1 3 mg 1 mg - 1 mg 0.5 mg
비교예 2 3 mg 1 mg 1.5 mg - -
비교예 3 3 mg 1 mg - 1 mg -
비교예 4 3 mg 1 mg - - 0.5 mg
비교예 5 - 1 mg 1.5 mg 1 mg 0.5 mg
비교예 6 1 mg 1 mg 1 mg 1 mg 1 mg
비교예 7
안식향 3 g, 목향 3 g, 유향 3 g, 정향꽃 3 g 및 정향피 3 g 각각의 약재를 에테르 1 L에 침지시킨 후, 상온(25 ℃)에서 일주일 동안 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소합향 3 g, 향부자 3 g, 용뇌 3 g, 침향 3 g 및 단향 3 g 각각의 약재를 에테르 1 L에 침지시킨 후, 50 ℃ 온도에서 일주일 동안 추출 및 여과하고,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테르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추출된 소합향 에테르 추출물 1 mg, 향부자 에테르 추출물1 mg, 용뇌 에테르 추출물 1 mg, 침향 에테르 추출물 1 mg 및 단향 에테르 추출물 1 mg 각각을 혼합하여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안식향 3 g, 목향 3 g, 유향 3 g, 정향꽃 3 g 및 정향피 3 g 각각의 약재를 헥산 1 L에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일주일 동안 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안식향 3 g, 목향 3 g, 유향 3 g, 정향꽃 3 g 및 정향피 3 g 각각의 약재를 에탄올 1 L에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일주일 동안 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타이머(시간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향기 분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을 공급하게 한 후, 수면 장애가 있는 남녀 성인(평균 연령 24세) 30명을 선정하고, 수면 질의 개선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조성물을 공개하지 않고, 샘플 시료 각각에 대한 수면 유도효과가 있음을 느꼈는지 여부와 만족도를 판단하여 수면 질 개선 여부를 10점 만점으로 점수를 기재하도록 하였다.
결과(배점)(10점 만점)
실시예 1 9
실시예 2 7
실시예 3 8
실시예 4 8
실시예 5 9
비교예 1 5
비교예 2 4
비교예 3 5
비교예 4 1
비교예 5 4
비교예 6 3
비교예 7 4
비교예 8 4
비교예 9 5
비교예 10 4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에서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추출물들을 사용하되, 혼합 비율을 다르게 한 비교예 6의 경우, 오히려 수면 유도효과 및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함량비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은 종래 아로마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과는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적고, 비용면에서도 부담이 없으며, 향기 분사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수면 장애 개선용 방향제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의 에테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은 30 내지 60 : 10 내지 20 : 15 내지 25 : 10 내지 20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수면 개선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즈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수면 개선용 조성물.
  5.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를 에테르 추출용매에 각각 침지시킨 후, 45 내지 55 ℃ 온도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식향, 목향, 유향, 정향꽃 및 정향피 추출물은 30 내지 60 : 10 내지 20 : 15 내지 25 : 10 내지 20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11791A 2016-01-29 2016-01-29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9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791A KR101809008B1 (ko) 2016-01-29 2016-01-29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791A KR101809008B1 (ko) 2016-01-29 2016-01-29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866A KR20170090866A (ko) 2017-08-08
KR101809008B1 true KR101809008B1 (ko) 2017-12-14

Family

ID=5965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791A KR101809008B1 (ko) 2016-01-29 2016-01-29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0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06Y1 (ko) 1999-12-21 2000-06-01 김성수 기능성 반창고
KR100523452B1 (ko) * 2002-02-28 2005-10-24 이동웅 한약재 향기성분을 함유하는 불면 및 경련의 치료 및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16906B1 (ko) 2010-01-11 2011-02-22 조원기 헥산추출물
KR101419859B1 (ko) 2012-05-23 2014-07-1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06Y1 (ko) 1999-12-21 2000-06-01 김성수 기능성 반창고
KR100523452B1 (ko) * 2002-02-28 2005-10-24 이동웅 한약재 향기성분을 함유하는 불면 및 경련의 치료 및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16906B1 (ko) 2010-01-11 2011-02-22 조원기 헥산추출물
KR101419859B1 (ko) 2012-05-23 2014-07-1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866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asem Prospects of wild medicinal and industrial plants of saline habitats in the Jordan valley
CN105594766A (zh) 一种天然竹炭蚊香及其制作方法
KR101523554B1 (ko)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101685631B1 (ko) 숙면용 한방 방향제
KR102571344B1 (ko)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4689B1 (ko) 저온찜통, 6단 냉각장치 및 저온진공압력탱크를 이용한 에센셜워터 및 에센셜오일 추출방법, 이를 이용한 에멀젼워터의 제조방법
KR101968890B1 (ko) 호흡기능 개선을 위해 청미래덩굴을 함유한 마스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809008B1 (ko)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758520A (zh) 一种具有抗失眠效果的复方精油
KR20130070065A (ko) 한방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101715076B1 (ko)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2318032B1 (ko)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KR102194210B1 (ko) 애완동물의 멀미, 오심 및 구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방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7613B1 (ko) 봉선화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좀치료제 제조방법
KR101974752B1 (ko) 욕창 치료용 크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65214B1 (ko)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
KR101884627B1 (ko) 천연식물 에센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58221A (zh) 一种蜘蛛冻干粉蚊虫水及其制备方法
KR102276638B1 (ko) 편백유와 편백수를 함유하는 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031092B1 (ko) 모기 기피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KR20040001513A (ko)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CN109221513A (zh) 一种提高免疫力的茉莉白茶的加工方法
KR102663826B1 (ko) 한방 재료로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CN107468555A (zh) 一种茶油驱蚊水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