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214B1 -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 - Google Patents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214B1
KR102165214B1 KR1020180158731A KR20180158731A KR102165214B1 KR 102165214 B1 KR102165214 B1 KR 102165214B1 KR 1020180158731 A KR1020180158731 A KR 1020180158731A KR 20180158731 A KR20180158731 A KR 20180158731A KR 102165214 B1 KR102165214 B1 KR 102165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bed
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235A (ko
Inventor
박현종
Original Assignee
(주)금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천 filed Critical (주)금천
Priority to KR102018015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2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침대로서, 특히 침대 등의 침구류에 부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의 한방 성분이 포함되어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면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향부(110), 침대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향부(110)는 정유향 조성물이 포함되어 향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한 정유향 조성물은 백복령 100중량부에 산조인초 10~500중량부, 감초 80~300 중량부, 반하 10~400중량부, 길경 20~200중량부, 당귀 10~150중량부, 대황 10~150중량부, 박하 10~150중량부, 방풍 10~150중량부, 백출 10~150중량부, 천궁 10~130중량부, 치자 10~130중량부, 황금 10~130중량부, 생강 10~130중량부, 연교 10~130중량부, 백작약 5~100중량부, 형개 3~80중량부를 혼합하고 추출하여 조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향부(110)는 침대본체(120)의 측면부 또는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a stress reducible and deep sleep inducing oil composition and the good sleeping be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침대로서, 특히 침대 등의 침구류에 부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의 한방 성분이 포함되어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면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침대는 대부분의 경우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쿠션성을 갖는 매트리스를 안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메트리스를 안치하여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침대는 방바닥에 비하여 비교적 탄력성이 높은 쿠션을 가지기 때문에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으나, 매트리스의 특성상 초기의 쿠션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형되어 편안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메트리스를 구성하는 재질인 직물지나 부직포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집진드기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해충이 서식함으로서 수면을 취하는 동안 유해충등에 의하여 피부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기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전통적으로 온돌을 사용하던 고유의 취침문화를 서양화로 변해가는 취향에 맞도록 변화시킨 돌침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돌침대는 프레임의 상방에 옥이나 맥반석과 같은 원판을 안치하여 구성하거나, 황토판넬을 안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침대의 경우, 프레임과 정확한 수평을 맞추어야 안치되는 원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유동으로 야기될 수 있는 충격에 의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 시공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원판(판넬)이 중량으로 구성되어 보관이나 이동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은 물론,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원판을 얇게 하는 경우에는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으며, 원판이 파손되거나 균열이 발생한 경우에는 원판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정비나 보수작업 또한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내부에 쿳션층이 내장된 매트리스의 표면 전면에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세라믹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부착하여 매트리스를 구성하여, 상기 세라믹을 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매트리스가 알려져 있다.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 사회는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과 가치관의 다원화로 현대인에게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있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심리적인 불안정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자율 신경계인 교감 신경계가 과도하게 자극되어 긴장감 고조와 함께 수면 장애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지금까지의 스트레스성 질병에 대한 치료는 주로 정신의학적 약물 요법에 의존하고 있으나, 약물 요법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근래에는 다양한 보완 대체 요법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고 이 보완 대체 요법 중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가 아로마테라피이다.
우리 몸은 자율 신경계를 통하여 아로마에 반응한다. 시상하부가 향 정보를 받게 되면 이 화학적 메시지를 혈액으로 송출하여 인체의 변화가 야기되는데 받아들인 정보에 따라서 면역 시스템이나 혈압, 소화 기관 자극 등의 생리적인 과정을 시작한다. 이러한 뇌와 인체의 반응은 냄새를 맡을 때마다 일어난다.
예를 들면, 클라리세이지는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엔세팔린이란 신경 화학 전달 물질을 방출하여 통증을 제거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하며 일랑일랑은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엔도르핀을 방출하여 성적 흥분 신경 화학 전달물질을 자극한다. 라벤더, 케모마일, 네롤리 등은 세로토닌 분비를 자극하여 공포, 스트레스, 불면증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뇌파는 뇌전도(EEG)라고 불리며 뇌신경 세포의 활동에 수반되어 생성되는 전기적 변화를 머리 표면에서 측정하고 기록한 것이다. 따라서, 뇌기능의 활동성이 약해지는지, 반대로 높아지는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뇌 활동의 변동을 공간적, 시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로서 신경 생리학 분야에 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뇌파는 저주파에서 고주파 영역 순으로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α파(alpha:8-12.99Hz), β파(beta:13-29.99Hz), γ파(gamma:30-50Hz), δ파(delta:0-3.99Hz), θ파(theta: 4-7.99Hz)로 분류하며, 8Hz 미만을 서파(slow wave), 13Hz 이상을 속파(fast wave)로 구분한다.
서파에 속하는 δ파는 깊은 수면시에, θ파는 졸리거나 깊은 명상시에 출현하며, α파와 β파는 신체 또는 정신 활동의 이완과 각성에 관련하여 우세하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작용을 가지고, 숙면에 도움을 주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또한 숙면에 도움을 주는 침대 기술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006789호(원적외선 방사 맥섬석 세라믹을 갖는 숙면침대)는 "침대의 안치 공간부의 내주면에 일정 두께의 펠트(felt)층이 착설되어, 여름철 실내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침대의 안치 공간부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상기 펠트층을 통하여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항상 보온(保溫)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안치 공간부의 발열판 상측에 적층되는 동판의 저면(低面)에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부에 의해, 상기 발열판과 동판이 이격되어 동판을 간접가열토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발열판의 오동작 또는 합선 등에 의한 순간적인 고열 발생에 동판 및 맥섬석 세라믹등이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한 원적외선 방사 맥섬석 세라믹을 갖는 숙면침대"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은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를 나타내긴 하였으나 여전히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에 있어서 부족함이 있었는바, 본 발명은 특히 한방 약재의 천연 성분을 이용하여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의 현저한 효과가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하여 숙면을 제공하는 숙면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향부(110), 침대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향부(110)는 정유향 조성물이 포함되어 향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한 정유향 조성물은 백복령 100중량부에 산조인초 10~500중량부, 감초 80~300 중량부, 반하 10~400중량부, 길경 20~200중량부, 당귀 10~150중량부, 대황 10~150중량부, 박하 10~150중량부, 방풍 10~150중량부, 백출 10~150중량부, 천궁 10~130중량부, 치자 10~130중량부, 황금 10~130중량부, 생강 10~130중량부, 연교 10~130중량부, 백작약 5~100중량부, 형개 3~80중량부를 혼합하고 추출하여 조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향부(110)는 침대본체(120)의 측면부 또는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의 천연 성분을 이용하여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의 현저한 효과가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하여 숙면을 제공하는 숙면 침대는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으며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에 비하여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에 있어서 현저한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의 천연 성분을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하여 숙면을 제공하는 숙면 침대는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의 지속력이 높아서 취침시의 사용자의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에 있어서 더욱 현저한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의 제조 과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의 천연 성분을 이용하여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의 현저한 효과가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하여 숙면을 제공하는 숙면 침대의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발향부(110), 침대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100)를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향부(110)는 정유향 조성물이 포함되어 향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구조를 의미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향부(110)는 침대본체(120)의 측면부 또는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침대본체(12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침대본체(120)는 통상의 매트리스가 포함되지 않은 침대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발향부(110)에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이 포함되어 숙면 기능을 유도하는 점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유향 조성물은 백복령, 산조인초, 감초, 반하, 길경, 당귀, 대황, 박하, 방풍, 백출, 천궁, 치자, 황금, 생강, 연교, 백작약, 형개를 혼합하고 추출하여 조성한 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조성물로 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복령, 산조인초, 감초, 반하, 길경, 당귀, 대황, 박하, 방풍, 백출, 천궁, 치자, 황금, 생강, 연교, 백작약, 형개를 혼합하고 추출하여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백복령 100중량부에 산조인초 10~500중량부, 감초 80~300 중량부, 반하 10~400중량부, 길경 20~200중량부, 당귀 10~150중량부, 대황 10~150중량부, 박하 10~150중량부, 방풍 10~150중량부, 백출 10~150중량부, 천궁 10~130중량부, 치자 10~130중량부, 황금 10~130중량부, 생강 10~130중량부, 연교 10~130중량부, 백작약 5~100중량부, 형개 3~80중량부를 혼합하고 추출하여 조성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백복령은 흰솔풍령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의 소나무를 베어 낸 곳에 자라며 재배도 한다. 베어 낸 지 여러 해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소나무 그루터기 주변을 쇠꼬챙이로 찔러서 찾아낸다. 지름 30~50㎝ 쯤의 덩어리로 겉은 소나무 껍질처럼 거칠고 속은 희거나 분홍빛이 난다. 속이 흰 것은 백복령이라 하고 분홍빛인 것은 적복령이라고 하는데 백복령은 적송의 뿌리에 기생하고 적복령은 곰솔 뿌리에 기생한다. 그리고 솔뿌리를 둘러싼 것을 복신이라고 한다. 맛은 달고 심심하며 성질이 평(平)하여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지만 강하지 않다.
본 발명의 상기한 산조인초는 볶은 산조인을 의미한다.
산조인은 갈매나무과 식물인 멧대추나무 Zizyphus jujuba Mill. var. spinosus Bge.의 여문 씨를 말린 것이다. 메대추나무(살맹이나무 · 산대추나무)는 우리 나라 각지의 낮은 산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며 특히 석회암 지대에 많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물에 담가 두어 열매살을 썩여 버리거나 벗겨 버리고 씨만 모아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심경(心經) · 비경(脾經) · 간경(肝經) · 담경(膽經)에 작용한다.
본 발명의 감초는 한약재로 사용되는 감초를 의미한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 L.)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줄기 일부를 껍질이 붙은 채로, 또는 껍질을 벗겨서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甘草), 광과감초(Glycyrrhiza glabra L.:光果甘草), 창과감초(Glycyrrhiza inflata Batal: 脹果甘草)의 말린 뿌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반하는 우리나라 각처의 밭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풀이 많고 물 빠짐이 좋은 반음지 혹은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20~40㎝이고, 잎은 작은 잎은 3개이고 길이가 3~12㎝, 폭이 1~5㎝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한 긴 타원형이고, 잎자루는 길이가 10~20㎝이고 밑부분 안쪽에 1개의 눈이 달리며 위 끝에 달릴 수도 있다. 뿌리는 땅속에 지름 1㎝의 구근이 있고 1~2개의 잎이 나온다. 꽃은 녹색이고 길이는 6~7㎝이며 통부는 길이가 1.5~2㎝이다. 꽃줄기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며 윗부분에는 약 1㎝ 정도의 수꽃이 달리는데 수꽃은 대가 없는 꽃밥만으로 되며 연한 황백색이다. 열매는 8~10월경에 녹색으로 달리는데 크기가 작다. 덩이줄기는 약용으로 쓰인다.
본 발명의 상기한 길경은 초롱꽃과의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의 뿌리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만든 약재(한국)를 의미하며 길경이라는 이름은 뿌리가 단단하고 곧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이 약은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 [苦辛平]
길경은 폐에 작용하여 해수와 가래가 많고 호흡이 불편한 증상을 치료하며, 폐를 맑게 하고 답답한 가슴을 풀어주며 뱃속의 찬 기운을 풀어주어 기침을 멈추고 담을 없앤다. 소변을 잘 보지 못하여 전신부종이 있고 소변양이 적을 때도 쓴다.
인후통, 감기로 인한 기침, 가래, 코막힘, 천식, 기관지염증, 흉막염, 두통, 오한, 편도선염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거담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개선균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당귀는 한국에서는 산형과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국에서는 산형과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의 건조시킨 뿌리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산형과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또는 홋카이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var. sugiyamae Hikino)의 뿌리를 말려서 사용한다.
마땅히 돌아오기를 바란다는 뜻을 담아 '당귀(當歸)'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이는 오래 전 중국에서 부인들이 싸움터에 나가는 남편을 염려하며 품 속에 당귀를 넣어줬다는 풍습에 유래하는데, 전쟁터에서 기력이 다했을 때 당귀를 먹으면 다시 기운이 회복되어 돌아올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일설에는 '이 약을 먹으면 기혈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대황은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대황류의 뿌리로 만든 한약재이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지 않는 풀이기 때문에, 중국산 대황류의 뿌리를 이용한다.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개대황(Rumex longifolius DC.), 토대황(Rumex aquaticus L.)을 대용품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효능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약재의 바깥 면은 황갈색~엷은 갈색을 띄고, 흰색의 가는 그물눈 모양이 치밀하고 단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내부 조직은 갈색의 작은 원이 고리모양(環狀)으로 배열되거나 불규칙하게 산재된 형상을 한다.
대황을 복용하면 설사를 하여 체내의 독(毒), 열(熱)을 없앤다는 ‘사하작용’이 일어난다. 장위를 세척하고 대사를 촉진하며 열성변비와 더부룩한 속을 치료한다. 또한 두통, 충혈, 인후통, 변비, 코피, 토혈, 종기에 효과가 있고 이뇨, 부종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대장운동촉진, 해열, 체온강하, 담즙분비 촉진, 혈액응고 시간 단축, 항균, 이뇨, 간기능 보호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박하는 야식향(夜息香)·번하채·인단초(仁丹草)·구박하(歐薄荷)라고도 한다. 습기가 있는 들에서 자란다. 높이 60∼100cm이다. 줄기는 단면이 사각형이고 표면에 털이 있다. 잎은 자루가 있는 홑잎으로 마주나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잎 표면에는 기름샘이 있어 여기서 기름을 분비하는데 정유(精油)의 대부분은 이 기름샘에 저장된다.
박하유의 주성분은 멘톨이며, 이 멘톨은 도포제(塗布劑)·진통제·흥분제·건위제·구충제 등에 약용하거나 치약·잼·사탕·화장품·담배 등에 청량제나 향료로 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방풍은 산형과의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防風)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사용해 만든 약재이다.
방풍은 외감성 두통, 오한, 발열, 전신통, 인후통 등 모든 풍증(風症)에 효과가 있다. 풍한습의 사지관절동통, 파상풍,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피부가려움증, 버짐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해열, 항염증, 진경, 면역활성화, 항알레르기, 항궤양, 항균, 피부개선균 억제 등이 보고되었다.
방풍은 원주모양을 하고 있으며 아래쪽은 약간 가늘다. 바깥면은 엷은 갈색을 띠며 뿌리줄기의 윗부분에는 촘촘히 돌림마디모양의 세로주름이 있고 갈색의 털모양으로 된 엽초의 잔기가 붙어 있는 것도 있다. 뿌리에는 많은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의 자국이 있다. 뇌두부위에 붓(筆)과 같은 잔털이 많으며 방사상무늬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백출은 국화과의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또는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말린 약재이다.
백출은 비위(脾胃)의 기능이 허약해서 소식, 권태감이 생기고 얼굴빛이 황색이며 대변을 묽게 보거나 설사에 좋으며 수분이 정체되어 전신이 붓고 소화가 안 될때 수분 배설을 돕는다. 비(脾)에 수(水)와 습(濕)이 쌓여 담음(痰飮)을 인한 가슴 뜀, 기침, 맑은 가래등에도 쓰며 비기(脾氣) 허약으로 피부에 땀이 저절로 날때, 임신 구토에도 사용한다. 위장 장애가 있는 감기, 사지동통 에도 쓴다.
약리적으로 생쥐의 체중 증가와 지구력 증가, 탐식 능력을 증가, 세포 면역 기능 촉진이 보고되었다. 또한 장관(腸管) 억제 작용과 흥분 작용을 조절, 항궤양 및 간 기능 보호 작용, 면역 기능 항진작용, 혈관 확장 작용, 이뇨 작용 및 혈당 강하 작용, 항암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천궁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잎은 2회 3출 우상복엽이며 갈래조각은 난상 피침형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진정 ·진통 ·강장 등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을 치료하는데 쓴다. 9~11월에 근경을 캐어 잎과 줄기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후 3~6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제(丸劑)나 산제(散劑)로 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치자는 꼭두서니과 식물인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이다. 치자나무는 우리 나라의 중부 이남에서 심으며 북부에서는 온실에 심는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심경(心經) · 폐경(肺經) · 위경(胃經) · 간경(肝經) · 삼초경(三焦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낫게 하며 습열사(濕熱邪)를 없애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또한 출혈을 멈추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해독한다.
열매는 해열·이담(利膽)·지혈·소염(消炎) 등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약재로 이용된다. 약성은 한(寒)하고 고(苦)하며 염증성질환·간염·황달·토혈 등의 증상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황금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20∼60cm이다. 여러 대가 나와 포기로 자라고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빛이 돌며 총상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화관(花冠)은 밑부분에서 꼬부라져 곧게 서고 통형이며 길이 1.5∼2.5cm이고 입술 모양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4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9월에 결실하며 둥근 모양으로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원뿌리는 원뿔형이고 살이 황색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생강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식용과 약용으로 쓰인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쓰는데,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어 끓는물에 생강을 달여서 차로 마시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한자어로는 강근(姜根), 모강(母薑), 백랄운(百辣蕓), 염량소자(炎凉小子), 인지초(因地草), 자강(子薑), 자강(紫薑), 건강(乾薑)이라고도 한다. 또, 뿌리줄기는 말려 갈아서 빵·과자·카레·소스·피클 등에 향신료로 사용하기도 하고, 껍질을 벗기고 끓인 후 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생강차와 생강주 등을 만들기도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연교는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당개나리(Forsythia suspensa Vahl)의 건조시킨 열매를 말한다.
연교는 열매가 연꽃과 비슷하게 방(房)을 형성하고 있고 여러 풀 중에 길게 솟아나와(翹) 있어 얻은 이름이다. 또는 씨앗을 쪼개면 한 조각 한 조각이 깃털과 비슷하기 때문에 '잇닿다'라는 의미의 연(連)과 '깃털'이라는 의미의 교(翹)를 써서 연교라고 부른다고도 알려져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그 맛은 쓰고, 기운은 약간 차다[苦微寒].
약효는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풍열(風熱)을 없애고, 종기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도록 하거나 뭉치거나 몰린것을 풀어주는 소종산결(消腫散結)하는 효능을 갖는다. 따라서 온열병 초기에 열을 내려서 고열과 정신이 혼몽한 것을 가라앉히거나 종기, 림프절염, 인후염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사상의학에서는 소양인에게 활용할 수 있는 약재이다.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혈압강하, 지혈작용, 간치료작용, 해열, 진토, 이뇨작용이 보고되었다. 주요 화학성분으로는 포르시톨(forsythol), 스테롤(sterol) 화합물, 사포닌(saponin),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백작약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강작약이라고도 한다. 깊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40∼50cm이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잎은 3∼4개가 어긋나고 3개씩 2번 갈라진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다.
잎의 뒷면에 털이 난 것을 털백작약(var.pilosa), 잎의 뒷면에 털이 나고 암술대가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리며 꽃이 붉은색인 것을 산작약(P.obovata), 산작약 중에서 잎의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민산작약(p.o.var.glabra)이라고 한다. 뿌리를 진통·진경·부인병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형개는 꿀풀과의 1년초로 중국 북부 원산이며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60 cm 내외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밑부분은 자줏빛이 돌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향기가 강하다. 잎은 마주달리고 대가 있으며 깃처럼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선형이고 길이 1.5∼2 c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맥이 뚜렷하지 않다.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자홍색이며 층층으로 달린다. 화관은 양순형(兩脣形)이고 상순은 2개로 갈라지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며 상순에 달린 2개는 짧고 하순에 달린 2개는 길다. 씨방은 4개로 갈라지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한방에서는 전초(全草)를 말려서 형개라고 하며, 감기로 열이 나고 두통이 생기거나 목이 아프거나, 종처(腫處)에서 피가 날 때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중량부대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증류수 80~50,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한 후 추출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정유향 조성물에 천연 강화 조성물을 혼합하여 추출된 정유향의 심신 안정 효과를 증진시킨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을 정유향 조성물에 혼합하여 정유향을 추출하는 경우 정유향의 심신 안정 효과를 증진시키고 정유향의 지속력을 높여서 숙면 안정을 유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백복령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천연 강화 조성물을 0.5 ~ 1.5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은 삼초, 우슬, 황기, 방기, 천오두, 어성초, 금은화, 백지, 인진쑥, 백선피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은 삼초 100중량부에 우슬 80~120중량부, 황기 80~120중량부, 방기 80~120중량부, 천오두 80~120중량부, 어성초 80~120중량부, 금은화 80~120중량부, 백지 80~120중량부, 인진쑥 80~120중량부, 백선피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0~85%[질량%] 에탄올 800~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 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천연 강화 조성물을 약 50~150중량부 정도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정유향 조성물에 천연 개선 첨가물을 더 첨가하여 추출된 정유향의 숙면 지속 효과를 증진시킨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백복령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천연 개선 첨가물을 0.1 ~ 1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천연 개선 첨가물은 천궁, 형개, 방풍, 신이, 세신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개선 첨가물은 천궁 100중량부에 형개 80~120중량부, 방풍 80~120중량부, 신이 80~120중량부, 세신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개선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원재료를 이용하여 정유향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중량부대로 혼합한 원재료를 분쇄하여 혼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과정)
본 발명은 상기에서 혼합한 원재료를 초임계 추출하여 초임계오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2과정)
상기한 초임계 추출 과정은 용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고 400~500bar의 압력으로 60~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초임계오일을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추출한 초임계오일을 가열한 후 냉각하는 숙성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
즉, 본 발명은 상기에서 추출한 초임계오일을 45~55 ℃의 온도로 바람직하게는 50 ℃의 온도로 20~40분간 바람직하게는 30분간 가열한 후 냉각하는 숙성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정 후에 오일층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4과정)
상기한 오일층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의 숙성 과정을 거친 초임계오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거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초임계오일을 거름하는 필터페이퍼(filter paper)는 200mm의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하는 것이 효율에서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오일층이 제거된 초임계오일과 에탄올을 혼합하고 교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5과정)
상기한 에탄올은 60~80%(중량%)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70%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혼합하고 교반하는 시간은 10~20분간 교반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5분 정도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의 초임계오일과 에탄올을 혼합하고 교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나온 혼합 초임계오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거름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다시 한지로 여과하는 과정을 수행한다.(6과정)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정으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실시예>
1. 백복령 12g, 산조인초 9g, 감초 14g, 반하 8g, 길경 7g, 당귀 5g, 대황 5g, 박하 5g, 방풍 5g, 백출 5g, 천궁 4g, 치자 4g, 황금 4g, 생강 4g, 연교 4g, 백작약 3g, 형개 2g를 혼합한 100g을 분쇄하여 원재료로 준비한다.
상기의 준비된 원재료를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고 400~500bar의 압력으로 60~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초임계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추출한 초임계오일을 50 ℃로 30분 가열한 후 냉각하여 숙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과정 후의 초임계오일을 200mm Filterpaper로 오일층을 제거한다.
상기한 초임계오일과 에탄올 70%를 혼합 후 15분간 충분히 교반한다.
상기에서 혼합 교반한 초임계오일을 Filterpaper로 1차 필터 후 한지 2중 여과하여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제조한다.
2. 실험
(1) 상기에서 제조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 검사 대상 인원은 164명으로 20~50대의 남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정유향 조성물 1~2 방울을 10ml의 물에 떨어뜨린 후 침실의 책상 이나 머리 부근에 위치시킨후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 여부를 살펴보았다.
(2) 정유향 조성물에 대한 정신 안정 효과
구분 %
효과 있음 87 53
그저 그렇다 65 39.6
효과 없음 12 7.3
합계 164 100
상기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유향 조성물은 실험자의 53%가 정신 안정의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3) 정유향 조성물에 대한 숙면 유도 기능 효과
구분 %
효과 있음 68 41.5
그저 그렇다 77 47
효과 없음 19 11.5
합계 164 100
상기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유향 조성물은 실험자의 41.5%가 숙면 유도 기능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침구 또는 침대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조성물을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발향부(110), 침대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한 발향부(110)는 정유향 조성물이 포함되어 향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한 정유향 조성물은 백복령 100중량부에 산조인초 10~500중량부, 감초 80~300 중량부, 반하 10~400중량부, 길경 20~200중량부, 당귀 10~150중량부, 대황 10~150중량부, 박하 10~150중량부, 방풍 10~150중량부, 백출 10~150중량부, 천궁 10~130중량부, 치자 10~130중량부, 황금 10~130중량부, 생강 10~130중량부, 연교 10~130중량부, 백작약 5~100중량부, 형개 3~80중량부를 혼합하고 추출하여 조성하되,
    상기한 백복령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천연 개선 첨가물을 0.1 ~ 1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한 천연 개선 첨가물은 천궁 100중량부에 형개 80~120중량부, 방풍 80~120중량부, 신이 80~120중량부, 세신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이고,
    상기한 백복령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천연 강화 조성물을 0.5 ~ 1.5 중량부 혼합하되,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은 삼초 100중량부에 우슬 80~120중량부, 황기 80~120중량부, 방기 80~120중량부, 천오두 80~120중량부, 어성초 80~120중량부, 금은화 80~120중량부, 백지 80~120중량부, 인진쑥 80~120중량부, 백선피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1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발향부(110)는 침대본체(120)의 측면부 또는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100).

KR1020180158731A 2018-12-11 2018-12-11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 KR102165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31A KR102165214B1 (ko) 2018-12-11 2018-12-11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31A KR102165214B1 (ko) 2018-12-11 2018-12-11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235A KR20200071235A (ko) 2020-06-19
KR102165214B1 true KR102165214B1 (ko) 2020-10-13

Family

ID=7113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731A KR102165214B1 (ko) 2018-12-11 2018-12-11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3888C1 (ru) * 2021-04-30 2022-01-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плат Глобал" Применение зубной пасты для снижения реактивной и личностной тревожности и/или повышения эмоционального фон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599Y1 (ko) * 2003-10-13 2004-01-24 인운자 향기나는 돌 매트리스
KR101795234B1 (ko) * 2016-04-07 2017-11-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적 손상 및 염증에 효능이 있는 천궁다조산가미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297B1 (ko) * 2016-12-29 2018-09-28 (주)금천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599Y1 (ko) * 2003-10-13 2004-01-24 인운자 향기나는 돌 매트리스
KR101795234B1 (ko) * 2016-04-07 2017-11-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적 손상 및 염증에 효능이 있는 천궁다조산가미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235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4252B2 (ja) 炮製を活用した薬用植物抽出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4957298B (zh) 养生茉莉花茶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Qasem Prospects of wild medicinal and industrial plants of saline habitats in the Jordan valley
KR101523554B1 (ko)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20200060598A (ko)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901297B1 (ko)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5214B1 (ko)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을 이용한 숙면 침대
KR101236366B1 (ko) 천연산 조성물을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0923043B1 (ko) 한방생약 혈압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03341139A (zh) 一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0279107A (zh) 一种参鹿酥油膏及其制备方法
CN104924953A (zh) 一种具有提神健脑功能的汽车脚垫组件
KR102066872B1 (ko) 견운모와 한약재를 이용한 숙면유도 기능성 개인용 온열기
KR101297918B1 (ko) 비만치료 조성물 및 상기 비만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083495B (zh) 一种用于治疗老年性失眠的中药
CN106724515A (zh) 一种益智山苍子的中药保健枕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1510A (ko) 아토피 피부 치유 개선제
KR101435610B1 (ko) 한방추출물을 함유한 알레르기 비염 개선용 약학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921567B (zh) 一种具有红外线保健功能的多用途卧室用地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