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658B1 -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658B1
KR101841658B1 KR1020160117153A KR20160117153A KR101841658B1 KR 101841658 B1 KR101841658 B1 KR 101841658B1 KR 1020160117153 A KR1020160117153 A KR 1020160117153A KR 20160117153 A KR20160117153 A KR 20160117153A KR 101841658 B1 KR101841658 B1 KR 101841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luble fraction
ethyl
hwanggi
ange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368A (ko
Inventor
김진희
최정원
Original Assignee
(주)힐링네이처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힐링네이처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힐링네이처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6011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6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로부터 초임계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울 증상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pression containing oriental medicine herbs o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울증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역병(modern epidemics)이라 불리는 우울 증상은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고 국가적 근심사가 되고 있다. 상기 우울 증상의 발병원인은 다양하나 스트레스가 중요한 원인으로 간주된다.
상기 우울 증상은 정서적 장애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인지적 및 신체 생리적 증상으로도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우울 증상은 우울, 슬픔 등이 장기간 지속되는 기분장애 등의 정서적 증상을 유발하고; 주의집중력, 기억력,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 저하, 죄책적 망상, 자기비하, 피해망상, 비관적 생각 등의 인지적 증상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체중 및 식욕 변화(과다, 과소), 활력 및 생기 저하, 심한 피로감, 수면장애(불면증 또는 과다수면), 소화불량, 두통, 면역력 저하 등의 신체 생리적 증상을 유발한다.
상기 우울 증상은 크게 유전적 요인과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에 수반되는 세부기전으로는 도파민,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의 감소, 신경영양인자 발현의 감소 및 이와 관련된 새로운 신경세포 생성의 저하, 후생유전학적 기전의 영향으로 장기적으로 신경계 핵심 유전자들의 발현이 억제되거나 증가, 신경세포의 에너지 대사의 변화, 산화성 스트레스의 축적으로 인한 신경세포의 손상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우울 증상의 원인이 다양하다는 것은 우울 증상의 예방이나 치료 방법도 그에 맞게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우울 증상 치료제는 대체로 우울 증상 동물 모델을 통해 개발되고 검정되고 있다. 우울 증상 치료제는 모두 뇌 신경세포 간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세로토닌, 노에피네프린 등의 모노아민의 분해, 재흡수 등을 억제하여 시냅스에서 약물 작용을 강화하는 약물 작용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다만, 상기 약물은 환자에 따라 약효의 차이가 커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새로운 항우울제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발표한 우울 증상 진료 통계를 보면 2007년에 비해 2011년의 우울증 환자가 12.4% 증가했고, 2009~2010년 자살원인 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정신적, 정신과적 문제로 인한 자살이 자살원인 1위이며, 해당 원인으로 자살을 한 사람이 2009년에 4,132명(28.1%), 2010년엔 4,357명(29.5%)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우울증뿐만 아니라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인 ADHD(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환자도 2007년 4만 8천명에서 2012년 5만 7천명으로 5년간 9천명이 증가하였고, 연 평균 4.4%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한편, 최근에 힐링 트렌드와 맞물려 향기 마케팅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아로마테라피는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아로마테라피는 아로마와 테라피의 합성어로 향기가 발생하는 식물의 꽃, 줄기, 잎, 뿌리, 열매 등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한 휘발성의 에센셜 오일을 코로 흡입하거나 피부에 바름으로써 병이나 증상을 치유하는 치료법이다.
체내로 흡입된 에센셜 오일 분자는 신경계를 자극함으로써 다양한 치유효과를 나타내며, 효과가 신속하고 비교적 안전하며 부작용이 거의 없다.
따라서, 우울 증상을 신속하게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안정하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의 한약재로부터 휘발성의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6295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008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70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우울 증상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도록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울 증상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도록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울 증상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도록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울 증상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도록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향 조성물은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 시 용매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 시 압력은 300 내지 400 bar이며, 온도는 50 내지 70 ℃일 수 있다.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는 1 : 1-2 : 1-2 : 1-2 : 1-2 : 0.2-1 : 0.2-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는 수분함량이 3 내지 10%로 건조된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0.001 내지 0.1 중량%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0.1 내지 1.0 중량%의 α-피넨(α-pinene), 0.001 내지 0.5 중량%의 캄펜(camphene), 0.001 내지 0.1 중량%의 헥산알(hexanal), 0.001 내지 0.1 중량%의 β-피넨(β-pinene), 0.001 내지 0.5 중량%의 리모넨(limonene), 0.001 내지 0.1 중량%의 이소부틸 헥세노에이트(isobutyl hexenoate), 0.001 내지 0.1 중량%의 아세트산(acetic acid), 0.001 내지 0.8 중량%의 사이페린(cyperene), 0.1 내지 1.3 중량%의 버크헤야라듀렌(berkheyaradulen), 0.1 내지 2.0 중량%의 트랜스-카요필렌(rans-caryophyllene), 0.001 내지 0.1 중량%의 β-파르네센(β-farnesene), 0.1 내지 1.0 중량%의 α-후물렌(α-humulene), 0.1 내지 1.0 중량%의 β-히마칼렌(β-himachalene), 0.1 내지 3.0 중량%의 유데스마4(14),11-디엔(eudesma-4(14),11-diene), 0.001 내지 0.2 중량%의 시트로넬롤(citronellol), 0.5 내지 5 중량%의 살린-3,8(11)-디엔(saline-3,8(11)-diene), 0.5 내지 4 중량%의 제르마크렌 B(germacrene B), 0.001 내지 0.1 중량%의 β-이오논(β-lonone), 0.05 내지 0.9 중량%의 카요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0.001 내지 0.5 중량%의 네롤리돌(nerolidol), 0.01 내지 1.0 중량%의 α-에레몰(α-Elemol), 0.001 내지 0.2 중량%의 구아이올(guaiol), 0.01 내지 1.0 중량%의 불네솔(bulnesol), 0.01 내지 1.0 중량%의 에틸팔미드산(ethyl palmitate), 0.1 내지 5 중량%의 에틸 스테아르산염(ethyl stearate), 0.1 내지 5 중량%의 에틸 올레산염(ethyl oleate), 0.01 내지 2 중량%의 에틸 리놀레이트(ethyl linolete), 1 내지 15 중량%의 아줄레노(4,5-b)퓨란-2(3H)-원(azuleno(4,5-b)furan-2(3H)-one) 및 0.1 내지 5 중량%의 스쿠알렌(squalene)으로 이루어진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주름진 다공성 실리카 담지체에 담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울 증상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은 독성이 없는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정신적인 불안감이 해소되어 정신적인 안정 및 집중력 향상이 수반되므로 우울 증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안감뿐만 아니라, 행동발달 장애(ADHD), 집중력 산만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학 첨가제를 사용한 합성향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합성향료가 주는 부작용이 없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 및 fluoxetine을 각각 투입 후 꼬리 매달기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 및 fluoxetine을 각각 투입 후 꼬리 매달기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 및 fluoxetine을 각각 투입 후 강제 수영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 및 fluoxetine을 각각 투입 후 강제 수영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10-20 국제 표준전극부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지용성 분획 추출물 등의 향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의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을 사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다(참고용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 AG변화를 확인하여 위해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 RFA변화를 확인하여 위해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 RMB변화를 확인하여 위해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 RAHB변화를 확인하여 위해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울증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향기로 흡입되거나 피부에 도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 및 식품으로 흡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우울증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은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당귀(當歸)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산형과의 숙근초(Angelica gigas NAKAI)로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여 신체허약, 두통, 현기증, 관절통, 복통, 변비, 월경불순, 타박상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용안육(龍眼肉)은 무환자나무과의 용안(Dimocarpus longan Lour.:龍眼)의 가종피를 의미하며, 옴균억제, 강장작용, 항산화작용, 면역 기능활성화작용 등을 수행한다.
상기 산조인(酸棗仁)은 산조(酸棗, 갈매나무과 Rhamnaceae)의 잘 익은 씨로서, 신경과민, 불면증, 건망증, 식은땀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황기(黃)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쉽게 피로하고 힘이 약하며, 음성이 낮고 맥박이 연약하고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백출(白朮)은 국화과의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말린 약재로서, 장관(腸管) 억제 작용과 흥분 작용을 조절, 항궤양, 간 기능 보호 작용, 면역 기능 항진작용, 혈관 확장 작용, 이뇨 작용, 혈당 강하 작용 및 항암 작용 등을 수행한다.
상기 목향(木香)은 국화과의 목향(Aucklandia lappa Decne.)의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복통, 헛배 부른 증상, 구토, 설사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감초(甘草)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되며, 근육이완, 해독작용, 이뇨작용, 항염작용 등을 수행한다.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는 1 : 1-2 : 1-2 : 1-2 : 1-2 : 0.2-1 : 0.2-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 : 1 : 1 : 1 : 0.4-0.6 : 0.2-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당귀를 기준으로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의 중량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우울 증상에 대한 효능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유기화합물이 상이한 다른 물질이 얻어진다.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는 물로 세척한 후 40 내지 60 ℃의 건조기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건조되어 수분함량이 3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가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한약재의 수분함량은 11 내지 15%인데, 수분함량이 11 내지 15%인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이용하면 향취가 좋지 못하며 우울증에 대한 효능이 저하되므로 수분함량을 3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가 되도록 건조한다.
상기 초임계 추출법은 300 내지 400 bar,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00 bar의 압력 및 50 내지 7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 온도의 초임계 상태에서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로부터 지용성 분획을 추출하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용매로는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로 이루어진 군에 선택된 1종 이상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높은 추출 효율, 우울 증상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위해서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로 임계상태(이산화탄소의 임계온도: 31 ℃, 임계압력: 74 bar)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법은 수증기 증류 추출법 등의 다른 추출법으로 추출하는 경우에 비하여 향취가 우수하며 추출 효율이 높고 우울 증상에 대한 더욱 우수한 효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수증기 증류 추출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출 회수율이 0.01% 이하로 매우 낮다.
초임계 추출 시 압력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한약재로부터 지용성 분획이 거의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향취가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 시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효율이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오히려 우울 증상에 대한 효능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추출효율'은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로부터 얻어진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양을 의미한다.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가 혼합된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외에 기타 다른 물질들도 함유된다.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이 상이하면 서로 다른 조성물로 해석되며,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이 달라진다.
본 발명의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가 혼합된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에는 다양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유기화합물에는 0.001 내지 0.1 중량%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0.1 내지 1.0 중량%의 α-피넨(α-pinene), 0.001 내지 0.5 중량%의 캄펜(camphene), 0.001 내지 0.1 중량%의 헥산알(hexanal), 0.001 내지 0.1 중량%의 β-피넨(β-pinene), 0.001 내지 0.5 중량%의 리모넨(limonene), 0.001 내지 0.1 중량%의 이소부틸 헥세노에이트(isobutyl hexenoate), 0.001 내지 0.1 중량%의 아세트산(acetic acid), 0.001 내지 0.8 중량%의 사이페린(cyperene), 0.1 내지 1.3 중량%의 버크헤야라듀렌(berkheyaradulen), 0.1 내지 2.0 중량%의 트랜스-카요필렌(rans-caryophyllene), 0.001 내지 0.1 중량%의 β-파르네센(β-farnesene), 0.1 내지 1.0 중량%의 α-후물렌(α-humulene), 0.1 내지 1.0 중량%의 β-히마칼렌(β-himachalene), 0.1 내지 3.0 중량%의 유데스마4(14),11-디엔(eudesma-4(14),11-diene), 0.001 내지 0.2 중량%의 시트로넬롤(citronellol), 0.5 내지 5 중량%의 살린-3,8(11)-디엔(saline-3,8(11)-diene), 0.5 내지 4 중량%의 제르마크렌 B(germacrene B), 0.001 내지 0.1 중량%의 β-이오논(β-lonone), 0.05 내지 0.9 중량%의 카요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0.001 내지 0.5 중량%의 네롤리돌(nerolidol), 0.01 내지 1.0 중량%의 α-에레몰(α-Elemol), 0.001 내지 0.2 중량%의 구아이올(guaiol), 0.01 내지 1.0 중량%의 불네솔(bulnesol), 0.01 내지 1.0 중량%의 에틸팔미드산(ethyl palmitate), 0.1 내지 5 중량%의 에틸 스테아르산염(ethyl stearate), 0.1 내지 5 중량%의 에틸 올레산염(ethyl oleate), 0.01 내지 2 중량%의 에틸 리놀레이트(ethyl linolete), 1 내지 15 중량%의 아줄레노(4,5-b)퓨란-2(3H)-원(azuleno(4,5-b)furan-2(3H)-one) 및 0.1 내지 5 중량%의 스쿠알렌(squalene)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오랜시간 천천히 향기 및 조성물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담지체에 흡착될 수 있는데, 상기 담지체로는 주름진 다공성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더욱 흡착시키기 위해서는 표면이 실라놀(silanol) 그룹, 아민 그룹 또는 에폭시 그룹으로 개질된 다공성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추출물 자체로 이용하거나 사용이 편리하도록 분말화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분말화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건조 방법으로는 동결건조, 냉풍건조 또는 자연건조를 들 수 있으나, 성분의 변질이 없고 빠르게 분말을 얻기 위하여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10 내지 1500 mg/k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mg/kg의 농도로 사용된다.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kg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 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3. 수증기 증류 추출법 이용
당귀 37.5 g, 용안육 37.5 g, 산조인 37.5 g, 황기 37.5 g, 백출 37.5 g, 목향 18.7 g 및 감초 11.2 g을 수분함량이 5%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수증기 증류 추출법으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증기 증류 추출법은 수증기로 상기 한약재시료의 표면 또는 조직에 있는 정유 성분을 휘발시키고, 급랭시켜 농축 시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한약재시료로부터 천연 정유를 수증기 증류 추출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온도 조건과 추출시간이 매우 중요 하다. 온도는 110 ℃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추출시간을 2시간, 4시간, 6시간으로 하여 추출한 다음 회수율(%)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88786008-pat00001
구분 2 hr 4 hr 6 hr
회수율(%) - - 0.01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증기 증류 추출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6시간 동안 추출해야 겨우 0.01%의 회수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수증기 증류 추출법을 이용하면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거의 얻을 수 없다.
제조예 4-29. 초임계 추출법 이용
당귀 37.5 g, 용안육 37.5 g, 산조인 37.5 g, 황기 37.5 g, 백출 37.5 g, 목향 18.7 g 및 감초 11.2 g을 수분함량이 5%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재순환 방식을 이용한 초임계 추출기(ILSHIN Auto, Korea)에 넣은 후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40 내지 60 ℃ 및 200 내지 500 bar의 초임계 상태 하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추출하여 회수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30 g/min이다.
구분 온도(℃) 압력(bar)
250 300 350 400 450
회수율(%) 40 3.07 3.12 3.65 4.11 4.00
50 3.11 7.26 8.16 9.21 8.13
60 3.50 8.02 8.42 11.02 10.45
70 1.62 5.43 7.13 8.56 9.12
80 1.11 2.12 3.47 4.01 4.55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임계 추출법은 이용하는 것이 수증기 증류 추출법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회수율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초임계 추출온도 및 압력이 각각 50 내지 70 ℃ 및 300 내지 400 bar인 경우가 회수율, 향취 성분 및 점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60 ℃ 및 400 bar에서 추출된 추출물의 회수율이 가장 높아 회수율만 보면 산업화에 적합하지만; 향취, 점도, 층분리 등을 고려하면 60 ℃ 및 300 bar에서 추출된 추출물이 향취가 우수하고, 원하는 정도의 점도를 보이며, 층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압력이 400 bar 초과인 경우에는 회수율은 높지만 수지상 형태를 지니는 성상을 보여 산업화에 적합하지 않으며, 에탄올에 용해시 부유물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온도 및 압력이 모두 높은 경우, 예컨대 70 ℃ 초과 및 400 bar 초과인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하였다.
이에 따라, 산업화에 가장 적합한 60 ℃ 및 300 bar에서 추출된 지용성 분획추출물을 이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60 ℃ 및 300 bar로 추출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60 ℃ 및 300 bar의 초임계 상태 하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2.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이용
상기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담지시켰다.
비교예 1 내지 7.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 각각을 60 ℃ 및 300 bar의 초임계 상태 하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 시험예 >
시험예 1. 향취 분석
후각훈련이 되어 있는 향수전문가 5명에게 의뢰하여 향취평가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00 % 원액을 시향지(0.5cm x 5cm)에 적신 후, 코로부터 5 cm되는 위치에서 향의 특징을 향료 평가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였다. 사용된 향취 타입은 알데하이드(aldehyde), 애니마릭(animalic), 발사믹(balsamic), 시트러스(citrus), 코니퍼로스(coniferous), 얼띠(earthy), 플로랄(floral), 푸루이티(fruity), 그린(green), 허벌(herbal), 메디시날(medicinal), 민티(minty), 마린(marine), 모씨(mossy), 머스키(musky), 오일리(oily), 오리엔탈(oriental), 파우더리(powdery), 스모키(smoky), 스파이시(spicy), 스위트(sweet), 우디(woody), 리프레싱(Refreshing)이다.
상기 향취를 분석한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취는 달콤한 향과 파우더리(powdery)gksg 향이 어우러져 독특한 향취를 나타내었다. 또한, 발사믹(balsamic), 허벌(herbal), 오리엔탈(oriental), 민티(minty), 우디(woody) 타입으로서, 향장제품의 기본 향료로 사용하여도 손색이 없는 향취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휘발성 유기 화합물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에 함유된 휘발성 화학성분은 PDMS(polydimethyl siloxane) 섬유가 장착된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 장치에 흡착시킨 다음,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정확도를 위하여 일본 향료 분석 전문 기관에 의뢰하여 향료 Library의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Mass Spectrum Data)를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에 함유된 휘발성 화학성분은 하기 [표 3]에; 비교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에 함유된 휘발성 화학성분은 각각 하기 [표 4] 내지 [표 10]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No. 유기화합물 중량%
1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0.01
2 α-피넨(α-pinene) 0.30
3 캄펜(camphene) 0.04
4 헥산알(hexanal) 0.01
5 β-피넨(β-pinene) 0.02
6 리모넨(limonene) 0.04
7 이소부틸 헥세노에이트(isobutyl hexenoate) 0.01
8 아세트산(acetic acid) 0.03
9 사이페린(cyperene) 0.08
10 버크헤야라듀렌(berkheyaradulen) 0.47
11 트랜스-카요필렌(rans-caryophyllene) 0.65
12 β-파르네센(β-farnesene) 0.03
13 α-후물렌(α-humulene) 0.37
14 β-히마칼렌(β-himachalene) 0.10
15 유데스마4(14),11-디엔(eudesma-4(14),11-diene) 0.96
16 시트로넬롤(citronellol) 0.02
17 살린-3,8(11)-디엔(saline-3,8(11)-diene) 2.65
18 제르마크렌 B(germacrene B) 1.39
19 β-이오논(β-lonone) 0.02
20 카요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0.15
21 네롤리돌(nerolidol) 0.09
22 α-에레몰(α-Elemol) 0.11
23 구아이올(guaiol) 0.05
24 불네솔(bulnesol) 0.12
25 에틸팔미드산(ethyl palmitate) 0.24
26 에틸 스테아르산염(ethyl stearate) 1.20
27 에틸 올레산염(ethyl oleate) 1.18
28 에틸 리놀레이트(ethyl linolete) 0.53
29 아줄레노(4,5-b)퓨란-2(3H)-원(azuleno(4,5-b)furan-2(3H)-one) 6.51
30 스쿠알렌(squalene) 0.74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에 함유된 총 30가지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양은 총 18.12 중량%이며, 이 중에서 주된 유기화합물은 살린-3,8(11)-디엔(saline-3,8(11)-diene), 제르마크렌 B(germacrene B), 에틸 스테아르산염(ethyl stearate), 에틸 올레산염(ethyl oleate), 아줄레노(4,5-b)퓨란-2(3H)-원(azuleno(4,5-b)furan-2(3H)-one) 및 스쿠알렌(squalene)이다.
비교예 1(당귀)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No. 유기화합물 중량%
1 Calamenene 12.27
2 Pinene 11.95
3 β-Cadinene 10.90
4 α-Muurolene 9.75
5 Calacorene 4.94
6 β-Selinenol 4.79
7 Spatulenol 4.33
8 Tridecane 4.10
9 Calarene 3.93
10 Caryophyllene 3.58
11 cis-3-Butyl-4-vinyl-cyclopentene 3.45
12 β-Elemene 2.87
13 Ethyl geranate 2.67
14 Cyclosativene 2.48
15 Copaene 1.86
16 n-Heptylphenol 1.81
17 2-Butyl-5-methyl-3-(2-methylprop-2-enyl) 1.61
18 Tricyclo[3.1.0.0(2,4)]hexane, 3,6-diethy 1.41
19 γ-Muurolene 1.34
20 n-Hexadecanoic acid 1.32
21 2-Hydroxy-cyclopentadecanone 1.26
22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1.17
23 trans-13-Octadecenoic acid 1.17
24 trans-Pipertiol 1.00
25 Dehydroxy-isocalamendiol 1.00
26 Isolongifolol 0.96
27 p-Aminofenetol 0.79
28 α-Gurjunene 0.68
29 Germacrene D 0.59
비교예 2(용안육)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No. 유기화합물 중량 (%)
1 Ethanone, 1-(2-hydroxy-4-methoxyphenyl)- 4.24
2 Caryophyllene oxide 1.90
3 2-Naphthalenemethanol, 1,2,3,4,4a,5,6,7-octahydro-a',a',4a,8-tetramethyl-, (2R-cis)- 3.65
4 2-Naphthalenemethanol, decahydro-a',a',4a-trimethyl-8-methylene-, [2R-(2a',4aa',8aa')]- 21.36
5 2-Naphthalenemethanol, decahydro-a',a',4a-trimethyl-8-methylene-, [2R-(2a',4aa',8aa')]- 4.09
6 n-Hexadecanoic acid 5.69
7 9-Octadecynoic acid 5.84
8 Oleic Acid 5.31
9 9,12-Octadecadienoyl chloride, (Z,Z)- 2.01
10 9,10-Anthracenedione, 1,4-bis(methylamino)- 15.45
11 9,10-Anthracenedione, 1,4-bis[(1-methylethyl)amino]- 4.81
12 Andrographolide 4.99
13 Equilenin 6.83
14 α-Sitosterol 4.83
15 9,19-Cycloergost-24(28)-en-3-ol, 4,14-dimethyl-, acetate, (3α,4α,5α)- 9.00
비교예 3(산조인)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No. 유기화합물 중량%
1 Diisooctyl phthalate 54.71
2 METHYL FORMATE 43.61
3 Hexa-hydro-farnesol 1.67
비교예 4(황기)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No. 유기화합물 중량%
1 6-Butyl-1,4-cycloheptadiene 22.63
2 Humulene 10.25
3 Cyclopentanone, 3,4-bis(methylene)- 10.09
4 1,1-Dimethyl-1,2,3,5,7,8,9,9a-octahydro- 9.71
5 Dehydroxy-isocalamendiol 9.08
6 Butylphthalide 6.05
7 Shyobunone 5.63
8 Calamenene 5.31
9 Asarone 3.66
10 7-Tetracyclo[6.2.1.0(3.8)0(3.9)]undecano 2.01
11 trans-β-Farnesene 1.97
12 Calacorene 1.96
13 α-Selinene 1.73
14 Methoxyeugenol 1.53
15 β-Cadinene 1.42
16 Spiro[3.6]deca-5,7-dien-1-one,5,9,9-trimethyl 1.15
17 trans-13-Octadecenoic acid 0.76
18 Cyclohexanone, 2-(2-furanylmethylene)-6- 0.68
19 Hexadecanoic acid 0.68
20 Italicene 0.60
21 2-Cyclopenten-1-one, 4-hydroxy-3-methyl- 0.60
22 Cycloisolongifolene, 8,9-dehydro- 0.53
23 9,12-Octadecadienoyl chloride, (Z,Z)- 0.43
24 Ethyl hexadecanoate 0.41
25 Aldehyde C-14 0.38
26 3-Methyl-but-2-enoic acid, 2,2-dimethyl- 0.36
27 Methyl 11,14-octadecadienoate 0.29
28 Pinene 0.10
비교예 5(백출)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No. 유기화합물 중량%
1 Cycloisolongifolene, 8,9-dehydro-9-formy 11.47
2 γ-Elemene 10.62
3 Panasinsene 9.73
4 β-Selinene 6.69
5 Longiverbenone 6.42
6 Bicyclo[5.3.0]decane, 2-methylene-5-(1-m 4.04
7 3-Methyl-but-2-enoic acid, 2,2-dimethyl- 4.01
8 Germacra-1(10),4,11(13)-trien-12-oic acid 3.44
9 Bicyclo[2.2.1]heptan-2-one, 1-ethenyl-7,7-dimethyl 3.00
10 Caryophyllene 2.71
11 1-Heptatriacotanol 2.68
12 Octadecanoic acid 2.22
13 2-Butanone, 4-(2,6,6-trimethyl-2-cyclohexen-1-ylidene)- 2.16
14 Estafiatin 1.91
15 α-Caryophyllene 1.73
16 Guaiene 1.68
17 β-Maaliene 1.51
18 cis-Z-bisabolene epoxide 1.48
19 1,3,3-Trimethyl-2-(2-methyl-cyclopropyl) 1.12
20 Didehydro-cycloisolongifolene 1.12
21 Deoxynivalenol 1.06
22 Pinene 1.00
23 Trichothec-9-en-8-one, 12,13-epoxy-3,7,1 0.97
24 4-Deoxynivalenol 0.93
25 6,9-Octadecadiynoic acid, methyl ester 0.85
26 Digitoxigenin 0.79
27 3,9-Dodecadiyne 0.79
28 trans-13-Octadecenoic acid 0.76
29 Caryophyllene oxide 0.74
30 2-Isopropenyl-4a,8-dimethyl-1,2,3,4,4a,5,6,7-octahydronaphthalene 0.71
31 cis-13-Eicosenoic acid 0.66
32 6-Isopropenyl-4,8a-dimethyl-4a,5,6,7,8,8a-hexahydro-1h-naphthalene-2-one 0.66
33 Octadecane, 3-ethyl-5-(2-ethylbutyl)- 0.60
34 Cyperene 0.56
35 3,7(11)-Selinadiene 0.53
36 Nerolidyl acetate 0.47
비교예 6(목향)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No. 유기화합물 중량%
1 bis(trimethylsilyl)mercaptoaceticacid 22.29
2 (Z,Z,Z)-9,12,15-Octadecatrien-1-ol 19.03
3 Tetracosamethyl-cyclododecasiloxane 16.58
4 Hexanoic acid, 2-ethyl-, hexadecyl ester 13.00
5 Diisooctyl phthalate 4.70
6 Peonol 3.04
7 1H-2-Benzopyran-1-one, 3,4-dihydro-8-hyd 2.58
8 Cyclooctasiloxane, hexadecamethyl- 2.28
9 β-Selinene 2.27
10 Cycloheptasiloxane, tetradecamethyl- 2.04
11 (Z)6,(Z)9-Pentadecadien-1-ol 1.35
12 α- Selinene 1.16
13 levo-β-Elemene 0.78
14 Caryophyllene oxide 0.74
15 Heneicosane 0.68
16 Phenylethyl Alcohol 0.64
17 α-Curcumene 0.64
18 Tetradecane, 2,6,10-trimethyl- 0.60
19 1-Monolinoleoylglycerol trimethylsilyl ether 0.57
20 Phenol,2,6-bis(1,1-dimethylethyl)-4-(1-meth 0.55
21 Heptadecane, 2,6,10,15-tetramethyl- 0.52
22 Z,Z,Z-1,4,6,9-Nonadecatetraene 0.52
23 1,2,3,4,4a,5,8,9,12,12a-Decahydro-1,4-met 0.44
24 Hexadecane 0.42
25 Caryophyllene 0.41
26 α-Ionone 0.32
27 α-Bergamotene 0.30
28 5-[3,4-bis(trimethylsilyloxy)-1-cyclohexa-1,5- 0.25
29 Tetradecane 0.24
30 3-Hydroxy-2,4,4-trimethylpentyl-ester-2-met 0.21
31 Oxirane, 2,2-dimethyl-3-[3,7-dimethyl-9- 0.19
32 beta-Bisabolene 0.18
33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 0.17
34 Hexanedioic acid, bis(2-ethylhexyl) ester 0.17
35 Hydrazine, trimethyl- 0.11
비교예 7(감초)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No. 유기화합물 중량 (%)
1 Menthol 5.47
2 n-Hexadecanoic acid 44.40
3 6-Octadecenoic acid 50.12
위 표 4 내지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한약재를 모두 혼합하여 추출한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 및 함량이 상이한 다른 물질인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항우울증 검증_꼬리 매달기 실험(Tail suspension test)
우울증에 대한 동물 실험 모델을 설정하기 위하여 기존에 주로 사용되어 오던 수중 미로 찾기 테스트가 아니라 우울증 모델을 새로 세팅하였다. 꼬리 매달기 실험을 통해 우울증에 걸린 마우스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삶에 대한 행동의 의지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울증에 걸린 경우 행동에 대한 능동성과 긴급한 상황이 발생 하여도 의지력이 감소하며 행동에 대한 억압의 제약이 오는 것에 착안하여 동물 실험 모델을 설정하였다.
마우스(6주령의 숫컷 랫드(SD rat, 180-200g)로, 중앙실험동물(주)에서 공급받아 실험동물 사육장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에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 50 mg/kg, 100 mg/kg, 200 mg/kg을 각각 경구 투여하고, 대조구로 fluoxetine 10 mg/kg 및 증류수에 10% Tween 80이 함유된 용액 10 mg/kg을 경구투여하여 1시간 후, 마우스의 TST 측정법을 위해 높이 80 cm의 모서리에 접착력이 강한 테이프를 마우스 꼬리 끝 1~2 cm를 붙여서 마우스를 매달고, 1시간 후 마우스를 매달아 6분 동안 비디오 레코더를 사용하여 녹화하였다. 녹화된 결과는 처음 2분간을 제외한 나머지 4분 동안을 기준으로 마우스가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immobility time, sec)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는 S.E.M. 값으로 표기하며, Prism 5.0 (GraphPad software, Inc., USA)을 이용하여 bonferroni post-hoc 방법에 의한 one-way ANOVA 통계처리를 한다. 통계적인 유의적인 p<0.05 범위 내에서 허용하여 처리하였다.
도 1A는 실시예 1에 따라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 및 fluoxetine을 각각 투입 후 꼬리 매달기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 및 fluoxetine을 각각 투입 후 꼬리 매달기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 200 mg/kg을 경구투여한 그룹이 증류수에 10% Tween 80이 함유된 용액(증류수로 표시)을 경구투여한 그룹에 비하여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immobility time)이 유의적으로 35% 이상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이 항우울에 효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전체 그룹에서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immobility time)이 약간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의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immobility time)은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보다 감소폭이 적으므로 경구 투여 후 짧은 시간 내에서는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이 항우울에 효능이 더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의 경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휘발속도나 퍼짐속도가 느리고 담지체에 추출물이 소량이 흡착되어 있어 반응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이 실시예 2의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에 비하여 효과가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장기간 같은 양(동일한 지용성 분획 추출물 양)을 사용하면 항우울에 대한 효과는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4. 항우울증 검증_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ming test)
강제 수영 실험을 통해 긴급 상황에서의 회피 능력에 대한 항우울 실험을 행동 약리학적 관점에서 수행하였다.
마우스(6주령의 숫컷 랫드(SD rat, 180-200g)로, 중앙실험동물(주)에서 공급받아 실험동물 사육장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에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을 50 mg/kg, 100 mg/kg, 및 200 mg/kg을 각각 경구 투여하고, 대조구로 fluoxetine 10 mg/kg 및 증류수에 10% Tween 80이 함유된 용액 10 mg/kg을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FST 측정법을 위해 높이 50 cm 이상의 투명 비이커에 30 cm만큼 물로 채우고 1시간 후 마우스를 입수시켜 6분 동안 비디오 레코더를 사용하여 녹화하였다. 녹화된 결과는 처음 2분간을 제외한 나머지 4분 동안을 기준으로 마우스가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immobility time, sec, 마우스가 어떠한 미동도 없이 수면에 부유되는 상태)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는 S.E.M. 값으로 표기하며, Prism 5.0 (GraphPad software, Inc., USA)를 이용하여 bonferroni post-hoc 방법에 의한 one-way ANOVA 통계처리를 한다. 통계적인 유의적인 p<0.05 범위 내에서 허용하여 처리하였다.
도 2A는 실시예 1에 따라 추출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 및 fluoxetine을 각각 투입 후 강제 수영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 및 fluoxetine을 각각 투입 후 강제 수영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50 mg/kg, 100 mg/kg, 및 200 mg/kg 경구투여한 그룹들이 증류수에 10% Tween 80이 함유된 용액을 경구투여한 그룹에 비하여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immobility time)이 각각 11%, 17% 및 22%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이 항우울에 효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전체 그룹에서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immobility time)이 약간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다공성 나노 실리카 담지체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의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immobility time)은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보다 감소폭이 적으므로 경구 투여 후 짧은 시간 내에서는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이 항우울에 효능이 더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뇌파를 이용한 항우울 검사
-피험자 선정
피험자는 냄새 구분이 가능한 만 20세 이상 30세 미만의 건강한 성인 남녀 10명을 선정하였다. 코 수술 이력이 있거나 코 질환이 있는 사람, 정신 질환이 있거나 약을 복용중인 사람은 피험자 선정에서 제외하였다. 뇌파 측정시 최대한 잡파(artifacts)의 혼입을 막기 위하여 눈을 감았을 때 안면의 떨림이 있는 사람도 제외하였다. 피험자에게는 충분한 수면을 취하여 몸에 피로가 없도록 주의를 주었으며, 금주, 금연을 하도록 하였다.
실험 시작 4시간 전에는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의 섭취도 금하였다. 뇌파 측정 장소는 일정한 온도(23 ℃)와 습도(50%)를 유지한 32.5 m2(9.8평) 크기의 실험실에서 최대한 잡음이 혼입이 되지 않은 안정적인 상태에서 성인 남녀 총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뇌파 측정하였다.
-뇌피 측정 장치
뇌파측정 시 사용한 기기는 QEEG-8 system(LXE3208, LAXTHA Inc. Korea)이며,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데이터 수집 장비 및 분석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전극 부착 및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흡입 방법
도 3에 나타낸 10-20 국제 표준전극부착법을 이용하여 8개의 접지전극에 뇌파전용 무해 접착풀을 묻혀 피험자의 전전두엽(Fp1, Fp2), 전두엽(F3, F4), 측두엽(T3, T4), 두정엽(P3, P4) 부분에 부착하고 오른쪽과 왼쪽 귓불 뒷부분에도 각각 하나씩의 전극을 부착하였다. 그리고 바이알에 담겨진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피험자의 코로부터 약 3 cm 거리를 유지하고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향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상태(향자극)를 각각 1분씩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지표
1분 측정 중 25초 측정된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데이터 처리를 하였고, SPSS 18.0 version의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하였다. 이때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을 흡입 시 측정된 뇌파 신호 중 잡파가 발견된 피험자의 데이터는 제외시켰다. 상기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지표는 하기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1]은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지표의 종류 및 그 의미를 나타낸 것이다.
No. 분석 지표 뇌파분석 지표의 전체 이름 의미 파장대(Hz)
1 AT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Theta파의 절대파워(명상, 졸릴때) 4~8
2 AA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lpha파의 절대파워(이완, 안정) 8~13
3 AB Absolute Beta Power Spectrum Beta파의 절대파워(긴장, 각성, 활성, 인지작용) 13~30
4 AG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Gamma파의 절대파워(고도의 인지작용 또는 불안, 흥분) 30~50
5 AFA 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Fast alpha파의 절대파워(편안하면서 몰입, 창의력) 11~13
6 ASA 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Slow alpha파의 절대파워(이완) 8~11
7 ALB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Low beta파의 절대파워, SMR파라고도 함(주의나 경계) 12~15
8 AMB 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Mid beta파의 절대파워(집중, 주의) 15~20
9 AHB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High beta파의 절대파워(스트레스, 정신부하, 긴장) 20~30
10 RT Relative Theta Power Spectrum 전체 중 theta파의 비율
전체에서 나오는 비율,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편차가 적음
(4~8) / (4~50)
11 RA 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전체 중 alpha파의 비율 (8~13) / (4~50)
12 RB Relative Beta Power Spectrum 전체 중 beta파의 비율 (13~30) / (4~50)
13 RG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전체 중 gamma파의 비율 (30~50) / (4~50)
14 RFA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전체에서 fast alpha파의 비율 (11~13) / (4~50)
15 RSA 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 전체에서 slow alpha파의 비율 (8~11) / (4~50)
16 RLB 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전체에서 low beta파의 비율 (12~15) / (4~50)
17 RMB 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전체에서 mid beta파의 비율 (15~20) / (4~50)
18 RHB 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전체에서 high beta파의 비율 (20~30) / (4~50)
19 RST Ratio of SMR to Theta 전체 중 SMR파에서 theta파의 비율 (12~15) / (4~8)
20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전체 중 mid beta파에서 theta파의 비율 (15~20) / (4~8)
21 RSMT Ratio of (SMR~Mid Beta) to Theta SMR~mid beta파/theta파(뇌파집중지표) (12~20) / (4~8)
22 RAHB Ratio of Alpha to High Beta Alpha파/high beta파(안정 및 이완도) (8~13) / (20~30)
23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뇌파각성) 4~50
24 SEF90 Spectral Edge Frequency 90% 정신부하, 스트레스 4~50
25 ASEF 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 Alpha파의 SEF50(쾌적성: fast alpha파가 많음) 8~13
하기 [표 12]는 뇌파의 종류 및 그 특징으로 나타내었다.
파형 특 징
Theta
(4~8Hz)
깊은 수면 상태가 아닌 졸릴 때 주로 나타나는 파형으로 마음의 상처가 있거나 예술적인 노력을 기울일 때, 즐겁고 기쁜 업무나 놀이 시에 크게 나타난다.
Alpha
(8~13Hz)
긴장을 풀고 깨어있는 상태에서 눈을 감고 있을 때 나타나는 파형으로 정신적 안정 상태에 있을 때, 기분이 편안하고 느긋할 때, 조용한 명상음악을 듣거나 명상 상태에 있을 때 그리고 외부 자극에 습관화되었을 때 나타난다.
Beta
(13~30Hz)
뇌신경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우에 나타나며 이 상태가 계속되면 뇌는 혼돈에 이르고 초조해진다. 긴장하거나 동작이 일어날 때, 각성 상태에서 두뇌 외부의 정보를 활발히 받아들이는 학습 활동을 할 때 나타난다.
Gamma
(30~50Hz)
초월적인 마음상태 또는 이완으로 벗어난 새로운 의식 상태의 신경자원(neural resources)을 활성화시켜 정신적으로 총력을 집중할 때 발생하며, 추리판단 등 고도의 인지작용 시 활성화 된다. 또한 정서적으로 더욱 초조, 불안, 흥분 상태에서도 나타난다.
-3차원 뇌 맵핑 프로그램
도 4는 향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의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을 사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며, 상기 사진은 뇌파변화를 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보이는 Value 막대는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을 흡입하기 전과 흡입 상태에서 측정된 뇌파신호의 평균 데이터를 색깔로 나타낸 것으로 뇌파지표마다 각각 다른 평균값을 나타낸다. Fp1, Fp2, F3, F4, T3, T4, P3, P4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신호 중 평균값이 높을수록 위쪽에 있는 색깔을 나타내고 평균값이 낮을수록 아래쪽에 있는 색깔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3 위치에서 alpha파가 출현하였는데 향을 흡입 전에는 파랑색을 나타내고 향을 흡입 중에 보라색으로 나타났다면 alpha파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로는 총 4가지의 지표(AG, RFA, RMB, RAHB)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볼 수 있었다.
5-1. 지표 AG의 변화 측정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AG)은 뇌파 스펙트럼에서 30~50 Hz에 해당하는 영역이며 두뇌 활동 파 중에서 가장 속파(fast wave)에 속하는 것으로서, 정서적으로 더욱 초조한 상태이거나 추리, 판단 등 고도의 인지 작용 시 활성화된다.
도 5는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 AG변화를 확인하여 위해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하기 [표 13]은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에 뇌에서 유발된 AG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N 평균 수치 t-test p
Fp1 흡입 전 10 6.494±3.312 1.657 0.136
흡입 후 10 4.765±1.832
Fp2 흡입 전 10 4.695±1.689 2.517 0.036
흡입 후 10 3.642±1.316
F3 흡입 전 10 3.304±1.197 2.318 0.049
흡입 후 10 2.805±0.931
F4 흡입 전 10 2.522±0.814 1.369 0.208
흡입 후 10 2.220±0.511
T3 흡입 전 10 7.7111±0.302 -0.191 0.853
흡입 후 10 7.873±9.413
T4 흡입 전 10 5.281±4.384 0.585 0.575
흡입 후 10 4.665±2.030
P3 흡입 전 10 2.901±1.403 1.764 0.116
흡입 후 10 2.460±1.187
P4 흡입 전 10 2.644±1.355 2.523 0.036
흡입 후 10 2.078±0.999
도 5 및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을 흡입하기 전과 흡입하고 난 후의 뇌파를 확인한 결과, AG 뇌파분석 지표 값이 우측 전전두엽(FP2), 좌측 전두엽(F3), 우측 두정엽(P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 < 0.05). 이는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기를 흡입 시 초조한 상태, 즉 긴장상태가 완화되어 안정한 상태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5-2. 지표 RFA 의 변화 측정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RFA)은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대역의 절대 파워를 기준으로 각 주파수의 절대파워를 비율로 계산한 값으로서, fast alpha파 영역(11~13 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 Hz)으로 나누어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도 6은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 RFA변화를 확인하여 위해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하기 [표 14]는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에 뇌에서 유발된 RFA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N 평균 수치 t-test p
Fp1 흡입 전 10 0.057±0.025 -0.930 0.380
흡입 후 10 0.066±0.038
Fp2 흡입 전 10 0.059±0.028 -1.145 0.285
흡입 후 10 0.070±0.041
F3 흡입 전 10 0.059±0.028 -1.176 0.274
흡입 후 10 0.074±0.044
F4 흡입 전 10 0.056±0.022 -1.378 0.205
흡입 후 10 0.071±0.043
T3 흡입 전 10 0.064±0.030 -1.296 0.231
흡입 후 10 0.081±0.047
T4 흡입 전 10 0.051±0.018 -2.380 0.045
흡입 후 10 0.069±0.030
P3 흡입 전 10 0.095±0.039 -1.487 0.175
흡입 후 10 0.120±0.059
P4 흡입 전 10 0.089±0.046 -1.569 0.155
흡입 후 10 0.115±0.085
도 6 및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을 흡입하기 전과 흡입하고 난 후의 뇌파를 확인한 결과, RFA 뇌파분석 지표 값이 우측 측두엽(T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 < 0.05). 이는 두뇌활동이 최적의 상태로 활성화되고 안정된 상태에서 집중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5-3. 지표 RMB 의 변화 측정
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RMB)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mid beta 대역의 절대파워의 비로서, mid beta파 영역(15~20 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 Hz)으로 나누어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상기 RMB 지표는 계산이나 암산 등 정신 부하가 높은 사고활동을 수행할 때 높아진다.
도 7은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 RMB변화를 확인하여 위해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하기 [표 15]는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에 뇌에서 유발된 RMB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N 평균 수치 t-test p
Fp1 흡입 전 10 0.054±0.017 -2.653 0.029
흡입 후 10 0.060±0.017
Fp2 흡입 전 10 0.053±0.018 -0.341 0.742
흡입 후 10 0.054±0.016
F3 흡입 전 10 0.055±0.017 -1.013 0.341
흡입 후 10 0.058±0.016
F4 흡입 전 10 0.051±0.016 -1.073 0.315
흡입 후 10 0.053±0.015
T3 흡입 전 10 0.078±0.026 0.167 0.871
흡입 후 10 0.076±0.025
T4 흡입 전 10 0.067±0.014 -0.271 0.794
흡입 후 10 0.069±0.026
P3 흡입 전 10 0.062±0.016 -1.131 0.291
흡입 후 10 0.067±0.018
P4 흡입 전 10 0.062±0.018 0.253 0.807
흡입 후 10 0.060±0.014
도 7 및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을 흡입하기 전과 흡입하고 난 후의 뇌파를 확인한 결과, RMB 뇌파분석 지표 값이 좌측 전전두엽(Fp1)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 < 0.05). 이는 집중력이 증가된 것으로서, 두뇌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우울 증상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5-4. 지표 RMB 의 변화 측정
Ratio of alpha to high beta(RAHB)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alpha/high beta 비로 alpha파 영역(8~13 Hz)을 high beta파 영역(20~30 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하며 안정된 상태를 관측하는 안정 지표로 사용된다.
도 8은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 RAHB변화를 확인하여 위해 피험자 뇌를 3차원 뇌 맵핑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하기 [표 16]은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흡입하기 전 및 흡입한 후에 뇌에서 유발된 RAHB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N 평균 수치 t-test p
Fp1 흡입 전 10 8.183±5.747 -0.993 0.350
흡입 후 10 10.444±9.500
Fp2 흡입 전 10 9.071±6.017 -0.841 0.425
흡입 후 10 10.943±8.543
F3 흡입 전 10 11.240±7.877 -0.490 0.637
흡입 후 10 12.218±9.525
F4 흡입 전 10 13.067±9.678 -0.371 0.720
흡입 후 10 13.941±10.838
T3 흡입 전 10 6.860±5.538 1.264 0.242
흡입 후 10 5.538±3.316
T4 흡입 전 10 6.109±6.576 -1.041 0.328
흡입 후 10 6.722±6.419
P3 흡입 전 10 10.689±6.216 -1.940 0.088
흡입 후 10 12.525±8.188
P4 흡입 전 10 10.100±6.927 -2.322 0.049
흡입 후 10 12.074±9.314
도 8 및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을 흡입하기 전과 흡입하고 난 후의 뇌파를 확인한 결과, RAHB 뇌파분석 지표 값이 우측 두정엽(P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 <0.05). 이는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기를 흡입 시, 흡입 전에 비해 안정된 상태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뇌파를 측정한 결과, 25개의 뇌파지표 중 4개의 지표(AG, RFA, RMB, RAHB)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의 향기를 흡입함으로써 정신적인 안정을 얻음과 동시에 집중력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즉, 우울 증상으로 발생되는 정신적인 불안감이 해소되어 정신적인 안정 및 집중력 향상이 수반되므로 우울 증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안감뿐만 아니라, 행동발달 장애(ADHD), 집중력 산만 등에 효과가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m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m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m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m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지용성 분획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유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9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 내지 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 내지 35 ℃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 0.0001 1 10
제제예 9.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하기 표 18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실시예 1의 지용성 분획 추출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2

Claims (12)

  1.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는 1 : 1-2 : 1-2 : 1-2 : 1-2 : 0.2-1 : 0.2-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향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 시 용매는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향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 시 압력은 300 내지 400 bar이며, 온도는 50 내지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향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는 수분함량이 3 내지 10%로 건조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향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α-피넨(α-pinene), 캄펜(camphene), 헥산알(hexanal), β-피넨(β-pinene), 리모넨(limonene), 이소부틸 헥세노에이트(isobutyl hexenoate), 아세트산(acetic acid), 사이페린(cyperene), 버크헤야라듀렌(berkheyaradulen), 트랜스-카요필렌(rans-caryophyllene), β-파르네센(β-farnesene), α-후물렌(α-humulene), β-히마칼렌(β-himachalene), 유데스마4(14),11-디엔(eudesma-4(14),11-diene), 시트로넬롤(citronellol), 살린-3,8(11)-디엔(saline-3,8(11)-diene), 제르마크렌 B(germacrene B), β-이오논(β-lonone), 카요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네롤리돌(nerolidol), α-에레몰(α-Elemol), 구아이올(guaiol), 불네솔(bulnesol), 에틸팔미드산(ethyl palmitate), 에틸 스테아르산염(ethyl stearate), 에틸 올레산염(ethyl oleate), 에틸 리놀레이트(ethyl linolete), 아줄레노(4,5-b)퓨란-2(3H)-원(azuleno(4,5-b)furan-2(3H)-one) 및 스쿠알렌(squalene)으로 이루어진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향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0.001 내지 0.1 중량%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0.1 내지 1.0 중량%의 α-피넨(α-pinene), 0.001 내지 0.5 중량%의 캄펜(camphene), 0.001 내지 0.1 중량%의 헥산알(hexanal), 0.001 내지 0.1 중량%의 β-피넨(β-pinene), 0.001 내지 0.5 중량%의 리모넨(limonene), 0.001 내지 0.1 중량%의 이소부틸 헥세노에이트(isobutyl hexenoate), 0.001 내지 0.1 중량%의 아세트산(acetic acid), 0.001 내지 0.8 중량%의 사이페린(cyperene), 0.1 내지 1.3 중량%의 버크헤야라듀렌(berkheyaradulen), 0.1 내지 2.0 중량%의 트랜스-카요필렌(rans-caryophyllene), 0.001 내지 0.1 중량%의 β-파르네센(β-farnesene), 0.1 내지 1.0 중량%의 α-후물렌(α-humulene), 0.1 내지 1.0 중량%의 β-히마칼렌(β-himachalene), 0.1 내지 3.0 중량%의 유데스마4(14),11-디엔(eudesma-4(14),11-diene), 0.001 내지 0.2 중량%의 시트로넬롤(citronellol), 0.5 내지 5 중량%의 살린-3,8(11)-디엔(saline-3,8(11)-diene), 0.5 내지 4 중량%의 제르마크렌 B(germacrene B), 0.001 내지 0.1 중량%의 β-이오논(β-lonone), 0.05 내지 0.9 중량%의 카요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0.001 내지 0.5 중량%의 네롤리돌(nerolidol), 0.01 내지 1.0 중량%의 α-에레몰(α-Elemol), 0.001 내지 0.2 중량%의 구아이올(guaiol), 0.01 내지 1.0 중량%의 불네솔(bulnesol), 0.01 내지 1.0 중량%의 에틸팔미드산(ethyl palmitate), 0.1 내지 5 중량%의 에틸 스테아르산염(ethyl stearate), 0.1 내지 5 중량%의 에틸 올레산염(ethyl oleate), 0.01 내지 2 중량%의 에틸 리놀레이트(ethyl linolete), 1 내지 15 중량%의 아줄레노(4,5-b)퓨란-2(3H)-원(azuleno(4,5-b)furan-2(3H)-one) 및 0.1 내지 5 중량%의 스쿠알렌(squalene)으로 이루어진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향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분획 추출물은 주름진 다공성 실리카 담지체에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향 조성물.
  10.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는 1 : 1-2 : 1-2 : 1-2 : 1-2 : 0.2-1 : 0.2-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1.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는 1 : 1-2 : 1-2 : 1-2 : 1-2 : 0.2-1 : 0.2-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12.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당귀, 용안육, 산조인, 황기, 백출, 목향 및 감초는 1 : 1-2 : 1-2 : 1-2 : 1-2 : 0.2-1 : 0.2-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17153A 2016-09-12 2016-09-12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1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153A KR101841658B1 (ko) 2016-09-12 2016-09-12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153A KR101841658B1 (ko) 2016-09-12 2016-09-12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68A KR20180029368A (ko) 2018-03-21
KR101841658B1 true KR101841658B1 (ko) 2018-03-26

Family

ID=6190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153A KR101841658B1 (ko) 2016-09-12 2016-09-12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6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1055A (ja) * 2005-03-02 2006-09-14 Niigata Bio Research Park Kk 抗うつ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1055A (ja) * 2005-03-02 2006-09-14 Niigata Bio Research Park Kk 抗うつ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68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0925C (zh) 一种鼻烟气雾剂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RU2559784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нятия усталости, состав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101855737B1 (ko) 긴장완화용 블루베리향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09235015A (ja) 自律神経調整剤
US20210000904A1 (en) Novel use of maydis stigma extract in prophylaxis and therapy of sleep disorder
KR102320299B1 (ko) 천연 기능성 비누 조성물
WO2014017243A1 (ja) 睡眠の質改善剤
KR101885000B1 (ko) 지칭개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US11596664B2 (en) Plant extracts made of Sideritis and use thereof to boost cognitive performance
CN111567797A (zh) 复方茉莉花茶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20210089350A (ko) 신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41658B1 (ko)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9056B1 (ko) 인삼 복합 생약 추출물, 진세노사이드 Rg2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4435298B (zh) 一种抗抑郁药物组合物
KR101791217B1 (ko) 측백엽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한약 조성물
KR102060960B1 (ko)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CN101130028B (zh) 抗衰老和治疗前列腺增生的天浆子药物
CN110051744B (zh) 一种治疗失眠的复方中药精油
KR20130131102A (ko)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WO2019131444A1 (ja) 認知機能改善剤
CN105287943A (zh) 复方火麻仁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260255A (zh) 一种木本复方防暑精油及其制备方法
JP2019151585A (ja) アミロイドβ蛋白の生成阻害剤
KR20140047792A (ko)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