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792A -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792A
KR20140047792A KR1020120113917A KR20120113917A KR20140047792A KR 20140047792 A KR20140047792 A KR 20140047792A KR 1020120113917 A KR1020120113917 A KR 1020120113917A KR 20120113917 A KR20120113917 A KR 20120113917A KR 20140047792 A KR20140047792 A KR 20140047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laciniata
extract
composition
indica v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명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지평선 유기농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지평선 유기농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지평선 유기농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7792A/ko
Publication of KR2014004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불안증상을 개선하고, 스트레스 노출시 유발되는 호르몬의 양을 감소시키고, 수면 및 숙면 부족 증상을 개선하는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스트레스에 따른 각종 질환에 이용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또는 가축사료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rising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for anti-stress function}
본 발명은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불안증상을 개선하고, 스트레스 노출시 유발되는 호르몬의 양을 감소시키고, 수면 및 숙면 부족 증상을 개선하는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각종 스트레스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불안 증상, 우울증, 정신질환 및 각종 질병이 발현되고 있는 상황이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스트레스를 받으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이적 적응 반응들이 활성화되는데, 그 중 하나가 중추신경계 내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균형 장애가 일어난다.
즉 스트레스 반응은 중추, 말초 신경계의 노르아드레날린 합성에 영향을 주고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혈압 상승, 어지럼, 발한, 근육 긴장 등을 초래한다. 만성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교감신경계가 지나치게 오랫동안 활성화될 경우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코르티코스테론은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면서 당질 대사에 관계되는 호르몬으로서 육체적,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항 스트레스의 효과적인 지표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현재 임상에서 불안 증상이나 정신질환에 사용되는 약물은 주로 다이아제팜(diazepam), 로라제팜(lorazepam), 알프라졸람(alprazolam) 등의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계통의 약물이다.
그런데 벤조디아제핀 계통 약물은 불면, 과민반응, 근육통, 허약, 구역, 운동장애, 흐린시력, 피곤증, 교란, 망상 등을 포함하는 부작용을 갖으며, 신체적으로도 의존을 하게 하여 약물 남용이 우려되는 등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활용하여 항스트레스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바, 이하 왕고들빼기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서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와 세스퀴테르펜 락톤(sesquiterpene lactone), β-Amyrin, Stigmasterol, β-sitosterol를 함유하고 있으며, 특유의 쓴맛과 풍미가 있어서 민간에서 나물과 쌈채로 이용되어 왔다.
유사 식물로서 김치로 사용되는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Bunge) Maxim)나 이고들빼기(Youngia denticulata (Houtt.) Kitamura) 및 농가에서 재배하여 판매되고 있는 씀바귀(Ixeris dentata)와는 그 모양이 다르며 생육특성과 성분도 다르다.
한방에서는 왕고들빼기를 산와거라 부르며 고들빼기는 약사초(藥師草), 포엽고매채(抱葉苦매菜), 씀바귀는 고채(苦菜), 황과채(黃瓜彩)로 불리고 있어서 확연하게 구별된다. 왕고들빼기는 한방에서 소화불량과 식욕부진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왕고들빼기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먼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32944호에는 고들빼기(Ixeris sonchifolia Hance)의 뿌리, 줄기 및 잎으로써 분리한 항산화 물질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두 번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53982호에는 마과, 씀바귀 및 고들빼기(Ixeris sonchifolia)의 추출물을 함유한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세 번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18733호에는 고들빼기(Younia sonchifolia) 추출물을 함유한 바이러스성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네 번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39582호에는 이고들빼기 및 왕고들빼기를 이용한 숙취해소 및 에탄올성 간 해독 작용을 가진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종래기술을 총괄하여 보면, 왕고들빼기를 이용한 조성물은 에탄올성 간 해독 작용을 갖도록 한 것만 공개되어 뿐으로서, 항스트레스 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출원인은 왕고들빼기를 시료로 제작하여 동물 실험을 수행하되, 스트레스로 인하여 유발되는 불안 행동, 호르몬 분비 및 뇌파 변화에 왕고들빼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활용하여 항스트레스 기능을 보유하는 일반건강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차, 과자, 화장품, 가축사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기능을 보유하는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및 가축사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왕고들빼기의 뿌리, 줄기 및/또는 잎을 건조 분쇄한 건조 분말을 을 포함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순도 저급 알코올 또는 물로 추출하여 얻은 왕고들빼기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왕고들빼기를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얻고, 이 알코올 추출물을 다시 증류수로 희석시켜 유기 용매로 반복 분획함으로써 다양한 용매 분획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스트레스 약학적 조성물, 항우울증 약학적 조성물, 항불안증용 약학적 조성물, 항불면증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음료, 건강보조식품, 차, 과자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되기 위하여는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물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 또는 가축용 사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각 경우에 화장품 또는 사료에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추가제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환, 과립, 음료, 타블렛, 캅셀 등의 제형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제형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스트레스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불안증상,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수면부족증상을 완화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 상태의 부족 또는 이상 상태를 개선하여 면역을 증강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질환, 예를 들어 암, 성인병, 뇌졸중, 알러지성 질환, 스트레스성 질환, 염증성 질환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이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성 식품으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스트레스가 부과된 실험동물의 수면(낮) 주기에 왕고들빼기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스트레스가 부과된 실험동물의 수면(밤) 주기에 왕고들빼기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실험예, 제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왕고들빼기 건조분말의 제조
왕고들빼기 뿌리, 줄기 및/또는 잎을 오존수로 살균 세척한 후 55℃ 이하의 냉풍건조기나 제습건조기를 이용한 저온으로 건조하여 엽록소가 살아있도록 가공한다. 다음에, 발열이 적은 마쇄 방식의 분쇄기로 분쇄하여 녹색의 왕고들빼기 분말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일반 태양 건조나 60℃ 이상의 건조는 가급적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식물 세포의 엽록소가 파괴되어 갈변되고 비타민C와 항산화 성분이 감소됨으로써 약학적으로 효능이 감소되며 식품과 기타 제품의 소재로서 가치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살균 세척 후에 동결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왕고들빼기 분말을 제조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왕고들빼기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한 왕고들빼기 분말 1㎏을 100% 메탄올에 1주일간 냉침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210.5g)을 얻었다. 여기에 증류수 1000ml를 첨가한 다음 헥산 1000ml를 첨가하여 물층과 헥산층으로 분획하였다. 물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 1000ml를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물층으로 분획하고, 물층에 다시 부탄올 500ml를 첨가하여 부탄올층과 물층으로 최종적으로 분획하였으며, 각 과정은 3회 반복하였다.
위에서 얻은 각 분획을 진공 농축한 결과 헥산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 및 물 분획을 각각 34.3g, 5.7g, 15.6g, 141.5g씩 얻을 수 있었다.
설계조건에 따라, 왕고들빼기의 뿌리, 줄기 및/또는 잎을 세척한 후 35℃에서 1차 건조하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다음 마쇄하여 생즙으로 가공하여 분말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실험예 1. 명암 이동 실험( Light - Dark test )
명암 이동 실험은 마우스가 선천적으로 밝은 빛을 싫어하며, 새로운 환경에서 자발적으로 탐색 활동을 한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실험이다. 즉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증세가 있는 마우스들은 자발적인 탐색 활동을 활발히 하지 않고 암실에서 명실로 옮겨가는 횟수가 적을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왕고들빼기를 투여한 마우스들이 암실에서 명실로 이동하는 횟수를 측정함으로써 왕고들빼기의 항불안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1-1. 실험동물 준비
20~25g의 ICR mice 웅성 rat(Samtako, Korea) 또는 200~250g의 웅성 rat(Samtako, Korea)가 위 실험에 사용되었다.
아크릴 케이지(45×60×25cm)에서 사육되었으며, 충분한 사료와 물이 공급되며 적절한 인공조도로 12시간의 낮, 밤을 조절하였다(AM 7:00부터 낮). 그리고 20~24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었으며,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스트레스를 부과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일정한 구속 스트레스 상자에 넣고 22시간 구속하였다.
1-2. 명암 이동 실험
쥐들을 각 군당 5마리씩 5개 군으로 임의로 분류한다. 1군은 생리식염수{physiological saline (normal saling, NS)} 투여군, 2군은 왕고들빼기 추출물 1 ug/ml 투여군, 3군은 왕고들빼기 추출물 10 ug/ml 투여군, 4군은 왕고들빼기 추출물 100 ug/ml 투여군 및 5군은 다이아제팜(Diazepam) 투여군으로 분류한다. 여기에서, 다이아제팜은 인간에게 나타나는 불안증세를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물로서, 5군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다. 구속 스트레스 상자에 있는 동안 각 군에게 해당 시료를 공급하였다.
실험이 수행되는 명암이동실은 암실, 문 및 명실로 이루어지며, 암실은 명암이동실의 3분의 1(45cm × 24cm × 24cm)을 차지하도록 하고 암실의 상단부위는 덮개를 씌웠다. 명실은 명암이동실의 3분의 2를 차지하도록 하며 빛을 밝게 비추었다. 마우스들이 드나들 수 있는 통로로서 양 실 사이에 문을 제작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이 시작될 때 명실의 중앙에 놓여지고, 마우스의 등은 암실을 향한다. 마우스가 암실로 들어갔다가 명실로 돌아오는 횟수를 10분 안에 측정한다. 그 횟수는 약물의 항불안 기능을 측정하는 지표(index)이다.
1-3. 명암 이동 실험결과
실험동물 개체 수 암실에서 명실로 이동한 횟수
생리식염수(음성대조군) 5 5.1±4.65
왕고들빼기 추출물 1ug/ml 5 9.3±3.82*
왕고들빼기 추출물 10ug/ml 5 12.1±5.25**
왕고들빼기 추출물 100ug/ml 5 13.2±4.52**
다이아제팜(양성대조군) 5 11.2±4.54
(음성대조군과 비교: *P<0.05, **P<0.01, 데이터는 평균±SD로 표시)
[표 1]을 참조하여 보면, 인간에게 나타나는 불안증세를 치료하는데에 사용되는 임상 약물 다이아제팜은 마우스의 자발적 탐색 활동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왕고들빼기 추출물 투여군들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암실에서 명실로 옮겨가는 횟수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는 왕고들빼기의 항스트레스 및 항불안 기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2. 십자로 실험( Elavated plus - maze test )
십자로 실험에 사용되는 시험장치는 난간이 있는 통로(closed arm)와 난간이 없는 통로(open arm)이 교차하는 십자의 판넬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실험동물을 시험장치의 중앙 중립 지역에 올려놓으면 클로즈드 암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신경안정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여 불안 요소를 제거하면 난간이 없는 통로인 오픈 암으로 가기 위해 시도한다.
즉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증세를 갖는 실험동물은 주로 클로즈드 암에 체류하는 시간이 많을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왕고들빼기를 투여한 이후에 오픈 암으로 이동하는 횟수 및 오픈 암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왕고들빼기의 항불안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2-1. 십자로 실험준비 및 방법
실험동물은 실험예 1에서 준비한 마우스들을 이용하였으며,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방법 역시 실험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실험군의 구성과 구속기간 중에 시료를 공급하는 방법 역시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십자로 시험장치의 중앙에 각각의 마우스를 올려놓되, 오픈 암을 바라보도록 올려놓고 시작했다. 5분 동안 각 마우스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오픈 암 또는 클로즈드 암으로 들어갔다는 판정 기준은 중앙과 팔의 경계 부분을 마우스 네 개의 발이 모두 건너갔을 때로 하였다.
2-2. 십자로 실험결과
오픈 암으로의 이동횟수(%) 오픈 암에서의 체재시간(%)
생리식염수(음성대조군) 2.1 4.8
왕고들빼기 추출물 1ug/ml 3.5 7.2
왕고들빼기 추출물 10ug/ml 7.1 18.3
왕고들빼기 추출물 100ug/ml 6.9 20.1
다이아제팜(양성대조군) 7.5 23.2
(데이터는 평균값으로 표시)
오픈 암으로의 이동 횟수(%)는 각 암에 출입한 전체 횟수 중에서 오픈 암으로의 이동 회수 비율을 의미하며, 오픈 암에서의 체재시간(%)은 각 암에 체재한 전체 시간 중에서 오픈 암에서의 체재 시간 비율을 의미한다.
[표 2]를 참조하여 보면,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왕고들빼기 투여군 및 양성대조군의 오픈 암으로의 이동횟수 및 오픈 암에서의 체재시간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는 왕고들빼기의 항스트레스 및 항불안 기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3. 홀 보드 실험( Hole - board test )
홀 보드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보드로서, 구멍의 크기는 실험동물의 머리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들의 스트레스 및 불안 상태가 강할수록 구멍에 머리를 넣어서 엿보는 행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왕고들빼기를 투여한 이후 구멍에 머리를 넣는 횟수를 측정함으로써 왕고들빼기의 항불안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3-1. 홀 보드 실험준비 및 방법
실험동물은 실험예 1에서 준비한 마우스들을 이용하였으며,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방법 역시 실험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실험군의 구성과 구속기간 중에 시료를 공급하는 방법 역시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홀 보드는 일정 높이의 사각형 필드에 직경 3~4cm의 구멍 10개가 설치되도록 제작하였다.
홀 보드 중앙에 각각의 마우스를 위치시키되, 관찰자를 마주보도록 위치시켰다. 5분 동안 각 마우스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구멍에 머리를 집어넣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3-2. 홀 보드 실험결과
실험동물 개체 수 구멍에 머리를 넣은 횟수(회)
생리식염수(음성대조군) 5 15.1±2.65
왕고들빼기 추출물 1ug/ml 5 21.3±4.82
왕고들빼기 추출물 10ug/ml 5 37.6±3.25
왕고들빼기 추출물 100ug/ml 5 36.0±5.82
다이아제팜(양성대조군) 5 40.2±2.74
(데이터는 평균±SD로 표시)
[표 3]을 참조하여 보면,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왕고들빼기 투여군 및 양성대조군에서 마우스들의 구멍에 머리를 넣는 횟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는 왕고들빼기의 항스트레스 및 항불안 기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4. 호르몬 농도 변화 실험
스트레스가 부과되면 노르아드레날린, 코르티코스테론 및 도파민 등의 분비가 증가되므로, 시료를 제공한 실험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유도한 후에 이들 물질들의 분비량을 분석함으로써 왕고들빼기의 항스트레스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파민은 노르아드레날린과 아드레날린 합성체의 전구물질로서, 뇌신경 세포의 흥분 전달 역할을 한다.
4-1. 호르몬 농도 변화 실험준비
실험동물 및 실험군의 구성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시료를 실험군 1~5의 마우스들에게 4주간 경구투여하였다. 시료 투여를 종료한 후에, 각 마우스에게 전기 충격(electric foot shock)을 30분 동안 5초 간격으로 1초당 0.6mA를 가하는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유도했다.
스트레스가 유도된 마우스를 각각 부검하여 혈액 및 뇌조직(대뇌피질, 해마, 줄무늬체)을 적출하였고, 적출된 혈액 및 뇌조직에서 분비된 도파민, 코르티코스테론 및 노르아드레날린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분석하였다.
4-2. 호르몬 농도 변화 실험결과
도파민 농도
(%)
노르아드레날린
농도(%)
코르티코스테론
농도(%)
생리식염수
(음성대조군)
100 100 100
왕고들빼기 추출물 1ug/ml 89.5 85.4 50.7
왕고들빼기 추출물 10ug/ml 65.0 60.2 35.2
왕고들빼기 추출물 100ug/ml 61.2 58.6 32.5
다이아제팜
(양성대조군)
42.0 38.5 15.6
(생리식염수 투여군의 농도를 100%로 설정한 상대적인 값)
[표 4]를 참조하여 보면, 왕고들빼기 투여군들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및 코르티코스테론의 분비량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왕고들빼기는 스트레스로 인한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바 항스트레스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5. 뇌파 측정( EEG ) 실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수면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숙면에 필요한 NREM 수면이 감소하게 되는 등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부족 현상이 유발된다. 따라서 실험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유도한 후에 뇌파를 측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왕고들빼기의 항스트레스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5-1. 뇌파 측정 실험준비
실험동물 및 실험군의 구성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EEG 측정을 위해서 트랜스미터 와이어(Transmitter wire)를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의 늑골 상부에서 두골 사이를 수술용 메스로 갈라내어 전두면 피질(Frontal Cortex) 위의 전두골 부위가 보이게 한다. 전두골 위의 조직을 메스의 칼등이나 날을 이용하여 깔끔하게 제거한다. 흘러나오는 피는 멸균된 솜을 이용하여 닦아낸다. 전두면 피질에 트랜스미터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해 전두골의 좌우측에 의료용 드릴을 이용하여 작은 구멍을 뚫은 다음, 피복을 벗긴 wire를 각각의 구멍을 통하여 뇌의 전두면 피질 부위에 삽입한다. 수술 후 구멍은 치과용 시멘트로 봉인하여 와이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추가 오염도 막도록 한다. 치과용 시멘트가 완전히 굳으면 피부를 단단히 봉합한다.
1주일 동안 항생제를 투여하면서 실험동물을 회복시켰다. 실험동물이 회복된 후 5일 동안 실험 시료를 정해진 용량별로 투여하였다.
EEG 측정 하루 전에 실험동물들을 구속 케이지에 22시간 구속하여 스트레스를 부과하였다. 이후 DSI Data Matrix & Receiver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낮/밤을 나누어 EEG 패턴을 측정했다.
5-2. 뇌파 측정 실험결과
도 1은 실험동물의 수면(낮) 주기에 왕고들빼기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험동물의 수면(밤) 주기에 왕고들빼기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왕고들빼기는 낮과 밤의 주기에서 수면량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숙면에 필요한 농도 의존적으로 NREM 수면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왕고들빼기는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 및 숙면 부족 현상을 회복시키는 것을 알 수 있는바 항스트레스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Claims (8)

  1.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왕고들빼기는 분말 또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불안 증상 또는 호르몬 분비 또는 수면부족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고순도 저급 알코올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고순도 저급 알코올 추출물, 고순도 저급 알코올로 추출한 후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물로 더 분획하여 각각 추출한 추출물인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건강기능성식품.
  7.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화장품.
  8.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가축사료.
KR1020120113917A 2012-10-15 2012-10-15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KR20140047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917A KR20140047792A (ko) 2012-10-15 2012-10-15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917A KR20140047792A (ko) 2012-10-15 2012-10-15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792A true KR20140047792A (ko) 2014-04-23

Family

ID=5065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917A KR20140047792A (ko) 2012-10-15 2012-10-15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77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562A (ko) 2019-07-17 2021-01-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562A (ko) 2019-07-17 2021-01-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CN103893549B (zh) 一种缓解疲劳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20059207A (ko) 동충하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불면증 개선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20180010961A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7853517B (zh) 一种提神抗疲劳的中药饮料及其制备方法
CN1408397A (zh) 含褪黑素和益智中药的组合物
Lanje et al. Medicinal natural drug of Valerian (Valerina Officinalis): an-over review
CN107303006A (zh) 改善更年期症状或骨质疏松症的组合物
CN107106624A (zh) 预防、改善或治疗退行性神经系统疾病的含桑葚和茯苓皮的混合提取物的组合物
KR101861784B1 (ko) 한약재 추출물(cjs03)을 함유하는 불면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S2538088T3 (es) Extractos vegetales de Sideritis y su uso para el aumento de la capacidad cognitiva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8741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JP2018506524A (ja) バーンアウト症候群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CN103623109B (zh) 一种治疗缺血性脑血管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11699B1 (ko) 광천수가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40047792A (ko) 왕고들빼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KR101470241B1 (ko)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3520302A (zh) 一种沙棘叶抗疲劳胶囊及其制备方法
CN113018398A (zh) 一种抗疲劳保健品及其制备方法
US10406190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menopausal symptoms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