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501B1 - 욕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욕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501B1
KR0163501B1 KR1019940039931A KR19940039931A KR0163501B1 KR 0163501 B1 KR0163501 B1 KR 0163501B1 KR 1019940039931 A KR1019940039931 A KR 1019940039931A KR 19940039931 A KR19940039931 A KR 19940039931A KR 0163501 B1 KR0163501 B1 KR 0163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anium
bath composition
organic
weight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008A (ko
Inventor
정재수
최영호
김여경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4003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501B1/ko
Publication of KR96002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게르마늄(Ge·CH2CH2·COOR)2O3(여기에서 R은 수소, 알칼리금속, 암모니아, 유기아민 또는 아미드를 나타낸다)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질환 치료, 피부미용 효과, 피로회복 효과 및 보온 효과 등을 증진시켜 건강과 미용 및 질병 치료에 뛰어난 개선 효과를 갖는 욕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용제 조성물
본 발명은 유기게르마늄(Ge·CH2CH2·COOR)2O3(여기에서 R은 수소, 알칼리금속, 암모니아, 유기아민 또는 아미드를 나타낸다)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질환 치료, 피부미용 효과, 피로회복 효과 및 보온 효과 등을 증진시켜 건강과 미용 및 질병 치료에 뛰어난 개선 효과를 갖는 욕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소산화물이나 금속의 탄산염 등을 제외한 탄소를 함유하는 유기화합물구조 속에 게르마늄을 함유한 유기게르마늄(Organic Germanium
) 및 식물 추출물로서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인삼, 영지, 마늘, 포리포라버섯, 땅두릅, 캄프리, 명일초, 산두근, 구기자, 알로에, 크로렐라, 율무, 마름열매 등의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일반적인 욕용제 베이스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질환 치료 및 피부미용과 건강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욕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르마늄은 광물성(무기질), 식물성 그리고 유기 게르마늄으로 대별되며, 통상 게르마늄을 지칭할 때는 광물성 게리마늄이나 식물성 게르마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광물성 게르마늄은 무기질로서 섭취가 불가능하고 인체에 적용할 수 없으며 전자회로 및 공업용 원료로 사용되는 것이고, 식물성 게르마늄(GeO2 함유)은 먹을 수는 있으나 독성과 부작용이 있어 선택에 주의하여야 한다. 반면에, 유기 게르마늄 화합물은 무기 게르마늄(광물성)을 원료로 사용하여 축출 합성된 것으로서 무해 무독하여 섭취, 질병치료 등 인체에 적용할 수 있으나 순도가 99.99% 이상으로서 독성이 완전히 제거된 것만이 부작용이 없다.
욕용제는 욕에 임의의 온천적 조건을 조성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정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욕용제는 일반적으로 무기염류, 무기산류, 유기산류, 식물 및 생약류에 각종 천연 정유류, 유지류, 알콜류, 향료, 색소 등을 그 목적에 따라 적당량 배합시켜 제조하는데, 이와 같이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그 작용 및 효과도 배합되는 성분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욕용제는 통상 신체를 따뜻하게 하여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발한작용을 촉진하여 신체 노폐물을 제거하며, 목욕 후 염류가 신체 표면에 부착되어 장시간 신체를 보온시키는 공통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한편, 욕용제에는 피부에 대한 적당한 청정 작용과 살균 작용, 각종 피부질환, 류머티스 또는 신경통에 대한 치료 효과,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보습 효과, 착향제, 착색제에 의한 심리적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욕용제의 제형은 일반적으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제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중 산제와 과립제는 온천 성분에서 유래한 탄산수소나트륨, 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등의 무기염류 기제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있고, 정제는 탄산가스 발포성의 욕용제로서 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또는 탄산나트륨과 유기산들의 반응에 의해 탄산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용해시 액성에 따라 발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액제는 보습제로서 글리콜류와 유지류 등을 배합하여 사용하며, 캡슐제는 젤라틴질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들 각 제형의 기제에는 특정의 효능효과를 얻기 위하여 식물 및 생약류를 첨가할 수도 있고 착향제, 착색제 및 기타의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현대인의 건강 및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피부질환 치료, 피부건강 증진 등을 목적으로 하여 땀띠, 습진, 무좀, 가려움증, 피부거칠음 등과 같은 증상에 대해 효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여러가지 무기염 등의 욕용원료를 배합한 욕용제 조성물이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다.
예를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54-44013호, 일본 특허 공개 소58-177912호, 일본 특허 공개 평2-115117호, 일본 특허 공개 소56-156210호, 일본 특허 공개 소62-45517호 등에는 주성분으로서 무기염류를 사용하고 여러가지 첨가제를 추가한 욕용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은 주로 무기염류에 의한 온열 효과 또는 보온 효과를 기대한 것으로서 무좀, 땀띠, 습진, 가려움증, 피부거칠음,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치료, 피부미용 효과 및 피로회복 효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욕용제 본래의 효과를 유지 및 증진시키는 동시에 피부질환치료 효과, 피부미용 효과, 보온효과 및 피로회복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욕용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기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욕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면 종래의 욕용제가 갖는 보온 효과 및 온열 효과를 더욱더 개선함과 동시에, 종래의 욕용제에서는 그다지 기대하지 못하고 있었던 피부질환 치료등의 효과에 대해서도 탁월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자들이 의도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기게르마늄(Ge·CH2CH2·COOR)2O3(여기에서 R은 수소, 알칼리금속, 암모니아, 유기아민 또는 아미드를 나타낸다)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고 그 이외에 무기염류, 무기산류, 유기산류, 각종 천연 정유류, 유지류, 알콜류, 향료 또는 색소 등의 천연 원료를 목적에 따라 적당량 배합시켜 피부질환치료 효과, 보온 효과, 피부미용 효과 및 피로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욕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특정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유기 게르마늄은 음용시 체내 인터페론 유발에 의한 질병 저항력 증가, 항바이러스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항염증 작용, 진통 작용, 동통완화 작용, 골다공증 개선작용, 항암 작용, 과산화지질 억제작용, 단백변성 억제작용, 간기능저하 억제작용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첩부에 의한 유기 게르마늄의 효과로는 상완신경통, 관절염, 어깨결림, 경완견증후군, 두통, 치통, 요통, 산전산후의 신경통, 관절류머티스통증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게르마늄을 입욕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면, 변비, 냉증, 피부진무름, 치질, 거친피부, 피로회복, 어깨결림, 요통, 신경통, 관절염, 생리통, 습진, 땀띠, 무좀 등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일본건강연구소의 임상시험 결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유기 게르마늄은 섭취 가능하고 질병 치료에 사용 가능한 순도 99.99% 이상의 일본 (주)동해산업 제품을 사용하였다.
한편, 유기 게르마늄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한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는 인삼, 영지, 마늘, 포리포라버섯, 땅두릅, 캄프리, 명일초, 산두근, 구기자, 알로에, 크로렐라, 율무, 마름열매 등의 추출물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게르마늄의 함량이 많고 먹을 수 있으며, 질병치료 능력이 있는 원료를 선별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은 이와 같이 유기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목욕시 욕탕에 천연온천수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로를 풀어주고, 유효성분이 피부 및 체내에 흡수되어 피부질환의 치료 및 발한 작용을 촉진시켜 신체 깊숙한 곳의 노폐물 제거를 촉진하여 부드럽고 탄력있는 피부로 가꾸어 주며, 보온 효과가 뛰어나 목욕 후에도 보온성이 오랫동안 유지되고, 탕내의 오염 물질 및 잡균은 물론 피부에 묻어 있는 세균과 중독성 물질을 제거하여 피부질환치료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궁극적으로 건강증진에 월등히 우수한 입욕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욕용제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사용가능한 무기염류 유기산류 등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무기염류: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암모늄,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중질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세스키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철, 치오황상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칼슘, 인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인산수소칼슘, 황, 황화나트륨, 황와칼륨, 아황화철, 산화칼슘, 요오드화칼륨, 운모분말, 중성백토, 규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붕사, 과망간산칼륨, 온천침전물 등.
(2) 유기산류:호박산, 퓨말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등의 디카르본산, 트리카르본산, 아미노산, 피롤리돈카르본산 등.
(3) 식물 및 생약류:길초, 창출, 백출, 등피, 생강분말, 계피, 박하잎, 복령, 애엽, 삼백초, 화양풀, 알로에, 유자, 감초, 카모마일, 형개, 천궁, 당귀, 인삼, 작약, 황금, 창포, 백지, 진피, 감피분말, 로즈마리, 복숭아, 마늘분말, 샤프란, 국화, 수세미, 녹두, 쇠비름, 레몬, 금잔화 등.
(4) 유(油)성분류:쌀겨유, 올리브유, 대두유, 유동파라핀, 백색와셀린, 에몰리엔트제, 스테아릴알콜, 파인유, 라벤다유, 창포유, 소나무유, 등피유, 계피유, 마늘엑기스, 박하유, 테레핀유, 아몬드유, 피마자유, 세레신유, 스쿠알란, 밍크유 등.
(5) 고분자류: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덱스트린, 카제인, 난황분말, 탈지분유 등.
(6) 약제류:dl-멘톨, l-멘톨, dl-캠퍼, l-캠퍼,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 살리실산나트륨, 안식향산, 안식향산염 등.
(7) 계면활성제: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
(8) 기타: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호호바알콜, 라놀린알콜 등과 같은 1과 알콜류,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글리세린, 포도당, 설탕 등과 같은 다가 알콜류, 비타민류, 향료류, 색소류 등.
상기 열거된 것 중에서 특히, 식물 및 생약류는 각 원료의 뿌리, 줄기, 잎 및 꽃을 건조시키고 건조 중량에 대하여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을 1 내지 10 부피배량 가한 다음, 실온에서 또는 가온한 상태로 침출시키고 여과한 후 수욕상에서 감압농축시키는 방법으로 얻어진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무기염류에 배산시켜 산제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앞에서도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의 욕용제 조성물의 제형으로 이용되고 있는 산제, 과립제, 정제(발포성), 액제 등의 제형이 모두 본 발명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이 산제 또는 과립제 형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욕용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유기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01 내지 40.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0 중량% 함유하고, 무기염류를 0.5 내지 97.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이때, 사용가능한 무기염류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으로는 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명반 및 붕사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발포성 정제형의 욕용제 조성물은 무기염과 유기산의 화학적 작용으로 발포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욕용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유기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01 내지 30.0 중량%, 특히 0.01 내지 25.0 중량% 함유하고, 유기산류 5.0 내지 60.0 중량%, 무기염류 5.0 내지 7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무기염류와 유기산류의 함량은 조절이 가능한데, 유기산류의 함량이 6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정제의 경도 및 발포량에 문제가 있고, 반면에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에 적합하지 않으며 용액의 액성에 따라서도 발포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정제형 욕용제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기염류로는 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명반 및 붕사를 들 수 있고 유기산류로는 호박산, 퓨말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을 들 수 있으며 각각으로 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한편, 액제형 욕용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유화를 안정화시키며 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는 사용량으로서 일반적인 액제형 욕용제 베이스에 욕용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유기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01 내지 4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0 중량% 함유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에 대한 각종 제형은 일반적인 제조 방법에 의거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조성물의 종류 및 사용목적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각 제형별로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6:산제형 욕용제]
본 발명에 따른 산제형 욕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욕용제 제조에 사용되는 무기염증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유기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하기 표1과 같은 성분 및 함량비로 혼합하여 산제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1의 성분 및 함량비는 그대로 과립제를 제조하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
[비교예 2 및 실시예 7 내지 12]
정제형 욕용제
정제형 욕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욕용제 제조에 사용되는 무기염류 1종 이상과 호박산, 퓨말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류 1종 이상에 유기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하기 표2와 같은 성분 및 함량비로 혼합하여 정제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및 실시예 13 내지 18]
액제형 욕용제
액제형 욕용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액제형 욕용제 베이스에 유기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하기 표3과 같은 성분 및 함량비로 혼합하여 액제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질환 치료에 대한 평가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각 제형별 욕용제 조성물에 대해 피부질환 치료 효과를 실험하였다.
피부질환의 치료 효과는 신체에 무좀, 습진, 가려움증, 여드름, 부스럼 등의 피부질환이 있는 남, 여 20명을 피험자로 하여 각 시료를 수도수에 용해시킨 세정수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수행하였으며, 입욕하기 전, 후에 피부에서 피부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미생물 수를 측정하여 미생물 제거 정도에 따른 피부질환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피부중의 미생물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세정하기 전에 피험자의 환붕 지름 47㎜의 영양 평판 배지를 첩보시키고 30분 동안 피부미생물이 복제되도록 기다린 후 떼어내었다. 이를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집착수를 측정하고 이것을 세정전의 미생물 수로 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동일한 피험자의 환부를 각각의 시료를 수도수에 용해시킨 세정수를 사용하여 세정하고 1분 경과 후에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중의 미생물수를 측정하여 세정 후의 미생물 수로 하였다. 세정 전의 미생물 수와 세정 후의 미생물 수로 부터 하기 식에 의거하여 미생물 제거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미생물 제거율은 90% 이상이 되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본 실험예에서는 세정수로서 40℃, 180리터에 각 시료 30그램을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고, 영양배지는 육즙 3그램, 펩톤 5그램, 한천 15그램을 1리터 멸균수에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표 4,5,6의 결과로 부터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을 유기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에 따라 비교예인 공지의 욕용제 조성물에 비해 미생물 제거율이 월등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보온효과에 대한 평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에 대하여 목욕후 보온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15명(23세 내지 34세; 평균 28.5세)을 대상으로 하기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즉, 이들 피험자를 온도 25.3±1.2℃, 습도 32.7±0.8%의 조건하에 30분 동안 적응시킨 후, 40℃의 물 180리터에 각각의 조성물 30그램씩을 용해시킨 욕에서 10분 동안 목욕하게 한 다음 서머그래피(Thermograpy:서모뷰아-4200)를 사용하여 흉부 및 슬와부의 표피 피부온도를 목욕 후 10분, 30분, 60분, 90분, 120분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온도로 부터 평균적인 체온상승의 지속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8,9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7,8,9의 결과로 부터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은 유기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셩분으로 함유함에 따라 비교예인 공지의 욕용제 조성물에 비해 평균적인 체온상승의 지속성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보온성에 의한 혈행촉진과 피로회복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미용효과 및 피로회복효과에 대한 평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미용효과 및 피로회복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남, 여 25명을 대상으로 하기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즉, 피험자로 하여금 각 시료(1회 30그램, 40℃, 180리터)를 사용하여 15분간 목욕을 하는 방법으로 4주간 계속 실시하도록 한 다음, 하기 표의 각 항목에 대해 최고 10점, 최저 1점을 기준으로 25명의 점수를 합산한 후 평균하여 '9.0-10.0:아주좋다, 8.0-8.9:좋다, 6.0-7.9:있다, 4.0-5.9:그저그렇다, 2.0-3.9:거의없다, 1.0-1.9:전혀없다'의 6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피부미용 면에서는 촉촉함, 부드러움을 위주로 평가하였고 피로회복 면에서는 상쾌감, 릴렉스감을 위주로 평가하였다.
상기 표 10,11,12의 결과로 부터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은 유기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에 따라 비교예인 공지의 욕용제 조성물에 비해 피부미용효과 및 피로회복효과 면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8)

  1. 욕용제 비누베이스에 하기 일반식을 갖는 유기게르마늄 및 게르마늄-함유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며, 상기 식물추출물이 인삼, 영지, 마늘, 포리포라버섯, 땅두릅, 캄프리, 명일초, 산두근, 구기자, 알로에, 크로렐라, 율무 및 마름열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건조시키고 건조중량에 대하여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콜을 1 내지 10 부피배량 가한 다음 실온에서 또는 가온한 상태로 침출시킨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욕용제 조성물.
    (Ge·CH2CH2·COOR)2O3
    상기식에서, R은 수소, 알칼리금속, 암모니아, 유기아민 또는 아미드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욕용제 조성물이 산제, 과립제, 정제 또는 액제형인 욕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유기게르마늄 및 게르마늄-함유 식물추출물을 0.01 내지 40.0 중량%, 무기염을 0.5 내지 97.0 중량% 함유하는 산제 또는 과립제형 욕용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무기염이 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명반 및 붕사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욕용제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유기게르마늄 및 게르마늄-함유 식물추출물을 0.01 내지 30.0 중량%, 무기염을 5.0 내지 75.0 중량% 및 유기산을 5.0 내지 60.0 중량% 함유하는 정제형 욕용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무기염이 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명반 및 붕사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욕용제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호박산, 퓨말산, 사과산, 주석산 및 구연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욕용제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유기게르마늄 및 게르마늄-함유 식물추출물을 0.01 내지 40.0 중량% 함유하는 액제형 욕용제 조성물
KR1019940039931A 1994-12-30 1994-12-30 욕용제 조성물 KR016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931A KR0163501B1 (ko) 1994-12-30 1994-12-30 욕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931A KR0163501B1 (ko) 1994-12-30 1994-12-30 욕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008A KR960021008A (ko) 1996-07-18
KR0163501B1 true KR0163501B1 (ko) 1998-12-01

Family

ID=1940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931A KR0163501B1 (ko) 1994-12-30 1994-12-30 욕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5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914B1 (ko) * 2000-09-16 2003-01-24 김정자 다기능 목욕용재의 제조방법
KR20030089373A (ko) * 2002-05-17 2003-11-21 (주)에이프로 사우나용 바디크림제조에 관한방법
KR101074955B1 (ko) * 2004-04-02 2011-10-18 (주)아모레퍼시픽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144645B1 (ko) * 2010-03-04 2012-05-14 서용일 건강 비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998A (ko) * 2002-03-22 2003-09-26 임은규 목욕용 생약제 조성물
KR20040024160A (ko) * 2002-09-13 2004-03-20 정동윤 게르마늄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페이스 팩
KR101616629B1 (ko) 2014-09-01 2016-04-29 김승환 탄산수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63379B1 (ko) 2017-11-14 2020-01-07 김승환 천연성분을 이용한 클렌징 파우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914B1 (ko) * 2000-09-16 2003-01-24 김정자 다기능 목욕용재의 제조방법
KR20030089373A (ko) * 2002-05-17 2003-11-21 (주)에이프로 사우나용 바디크림제조에 관한방법
KR101074955B1 (ko) * 2004-04-02 2011-10-18 (주)아모레퍼시픽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144645B1 (ko) * 2010-03-04 2012-05-14 서용일 건강 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008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5452A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JPH08325156A (ja) ステビオール配糖体含有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KR0163501B1 (ko) 욕용제 조성물
JP4495406B2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CN108938501A (zh) 应用于口腔护理产品的中药组合物及口腔护理产品
JP2000109421A (ja) 皮膚用保湿保護剤
KR20010000706A (ko) 새로운 기능성 소금의 제조 방법과 용도의 개발
CN110339249B (zh) 一种用于痔疮肛裂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093619A (zh) 男性清洁剂及其制备方法
CN105213285A (zh) 一种祛痘洗面奶及其制备方法
CN109077988A (zh) 一种山羊奶沐浴露
KR101794437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CN106176495B (zh) 一种逍遥沐浴露及其制备方法
CN108624426A (zh) 一种抑菌保湿艾草凝脂冷制精油皂及其加工工艺
CN110870885B (zh) 一种具有清洁、杀菌、保湿作用的药液及其应用
JPH0545567B2 (ko)
CN105687050A (zh) 一种沐浴盐及制法
CN102846517B (zh) 祛痱止痒的中药组合物及含该中药组合物的化妆品
JP2708699B2 (ja) 浴用組成物
CN105232433A (zh) 一种浴盐及其制备方法
CN105411934A (zh) 含有甘草的无水油型清洁霜
JPH06128167A (ja) 医薬品組成物
JPH026735B2 (ko)
JP2000072656A (ja) 浴用化粧料
JP2001226254A (ja) 浴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