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622A -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622A
KR20200097622A KR1020190095360A KR20190095360A KR20200097622A KR 20200097622 A KR20200097622 A KR 20200097622A KR 1020190095360 A KR1020190095360 A KR 1020190095360A KR 20190095360 A KR20190095360 A KR 20190095360A KR 20200097622 A KR20200097622 A KR 2020009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citron oil
cosmetic composition
citron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배
김예원
박지수
권구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JP201918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JP7330047B2/ja
Priority to US16/785,183 priority patent/US20200253858A1/en
Publication of KR2020009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적정 중량비로 포함하는 유자 오일 비드를 적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향에 대한 기호도가 향상되고, 상기 향이 심신을 안정시켜 편안한 잠자리를 유도함으로 인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ITRON OIL BEAD}
본 발명은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인류의 최대 과제는 삶의 질을 높이는 문제로 집약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적으로 인간이 제품에 대하여 갖는 정서 및 생리적 반응을 관찰하여 제품과 정서·생리적 상태의 상관관계를 밝혀 보려는 감성공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성관련 연구는 주로 시각과 청각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후각(향)에 대해서는 아직 미미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후각은 시각이나 청각과 같은 타 감각과 달리 화학적 감각이기 때문에 자극제어의 정밀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향의 자극제시와 동시에 뇌에 신경전달, 심리적 감성평가와 생리적 변화(중추 및 자율신경계)가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연구의 어려움이 크다.
후각을 자극하는 향은 향기로운 향이나 불쾌한 향 등의 다양한 종류의 향에 의해 인간의 감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삼림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라든가 동물의 성 행동에 관한 Pheromone(유인 물질)의 연구 외에도 암모니아 등의 악취가 생리작용에 미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의 Impulse는 코의 후세포를 통하여 대뇌 변연계에 전달, 후각의 정서·감정적 요소가 가미됨으로서 냄새의 질에 따라 즐거움 또는 역겨움이나 각성 또는 졸림감 등의 감정적·생리적 변화를 시킨다. 향수를 맡으면 강한 무드가 유발되며, 불유쾌한 냄새를 맡으면 재채기 등 방어 반사가 일어나고, 암모니아 냄새를 맡으면 반사적으로 호흡이 멈추어지는 것도 이러한 현상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이렇듯 후각은 인간의 생명유지와 냄새 대상의 식별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수면은 뇌를 발달시킨 동물의 중요한 생리기능이며 생존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행동이다.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졸리고 짜증이 나거나 활력이 없어져 삶의 질이 저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생명유지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수면이란 이와 같은 상태를 초래하지 않게 하기 위한 기능이며, 그렇기 때문에 숙면을 취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최근에는 천연 오일에 대한 수면 관련 기능성을 응용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 제2011-0037721호는 귤속(Citrus) 식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유를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천연 오일을 이용한 수면 개선 관련 제품들은 단순히 천연 오일이 수면 개선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기능성을 이용한 제품들이며, 이러한 천연 오일의 구체적인 조합 및 형태를 도출하여, 좀더 세부적인 수면 개선 효과를 제시하는 수면 개선 관련 제품, 특히, 화장품 분야의 제품은 개발된 바 없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0037721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천연 오일 중에서도 유자 오일을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과 혼합하여 비드 형태로 제조하였으며, 상기 비드를 적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잠자기 전에 사용할 경우, 향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져 심신이 안정되고, 이에 따라, 입면지연시간(sleep latency)을 감소시키고, 수면효율(sleep efficiency)을 향상시키며, 체동을 감소시켜, 전반적인 수면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상기 유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베헤닐 알코올 10 내지 140 중량부, 호호바 에스터 10 내지 140 중량부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 300 내지 10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입경은 0.05cm 내지 0.8cm 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멀젼,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팩, 젤, 피부 점착타입,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으로 제형화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자 오일을 비드 형태로 포함하여, 유자 오일의 향에 대한 기호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심신안정과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입면지연시간(sleep latency)을 감소시키고, 수면효율(sleep efficiency)을 향상시키며, 체동을 감소시켜 수면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적정 중량비로 포함함으로 인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적합한 형태의 비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향취 기호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잔향 강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전체적인 향의 이미지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비교예 5 및 6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입면지연시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비교예 5 및 6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수면 효율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비교예 5 및 6에서 제조된 수면 팩을 사용한 경우 수면 중 체동횟수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비드를 의미한다.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서, 상기 유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베헤닐 알코올 10 내지 140 중량부, 호호바 에스터 10 내지 140 중량부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 300 내지 100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는 비드 형태가 잘 형성되도록 최적화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자 오일이 비드 형태에 감싸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자 오일 유래의 향이 심신의 안정을 유도할 수 있을 만큼 발현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은 천연 유자의 껍질을 압착하여 얻어지는 노란색의 액체로 비타민C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로 인해 피부에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푸는데 효과가 있고,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헤스페리딘 성분이 들어 있어 뇌혈관 장애와 중풍을 막아 주는 효과가 있으며, 배농(排膿) 및 배설작용을 해서 몸 안에 쌓여 있는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효능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천연 유자란 가공된 형태의 유자가 아닌, 유자 나무로부터 재배하여 수확한 유자 열매를 의미한다.
상기 유자 오일은, 유자 오일 자체의 향에 비해 비드에 감싸진 형태로 인한 향에 대한 기호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유자 오일 비드의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4가지 구성 성분의 적정 중량비에서, 상기 유자 오일의 함량이 작으면 유자 오일의 향이 미미하여 향에 대한 기호도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이에 따른 심신 안정 및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유자 오일의 함량이 과량이면, 비드 형태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유자 오일의 향이 과도하게 강하거나 변질되어 향에 대한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유자 오일은 함량은 0.1 내지 1.4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유자 오일이 상기 범위의 함량을 만족시킬 경우, 향에 대한 기호도가 향상시켜 심신을 안정시키고 결과적으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은 코코넛과 팜 오일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유래 지방 알코올 성분이다. 상기 베헤닐 알코올은 화학 알코올 성분이 아닌 천연 유래 지방 알코올 성분으로서, 피부 속 수분 손실을 방지하여 촉촉함을 유지하는 보습 기능과,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4가지 구성 성분에 있어서, 상기 베헤닐 알코올은 상기 유자 오일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저하되어 비드 형태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호호바 에스터(Jojoba Esters)는 호호바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트호호바오일 또는 이들 혼합물을 에스터 교환반응하여 얻은 에스터의 복합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호호바 에스터는 피부 유연화제 역할을 하여, 피부결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유연화시키고, 피부 속 수분의 증발을 차단하여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4가지 구성 성분에 있어서, 상기 호호바 에스터는 상기 유자 오일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비드 형태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Hydrogenated C6-14 Polyolefin)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피부 속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차단하여 피부 보습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비수용선 점증제 기능을 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4가지 구성 성분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은 상기 유자 오일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 내지 1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8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6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저하되어 비드 형태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향에 대한 기호도 향상은 인한 심신 안정 효과와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향에 대한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입경은 0.05cm 내지 0.8c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cm 내지 0.6cm, 보다 바람직하게는 0.2cm 내지 0.5cm 일 수 있다. 상기 유자 오일 입드의 입경이 상기 범위 범위에 포함될 경우 비드의 균일도가 높아져 우수한 품질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유자 오일 범위 비드에 포함된 유자 오일의 함량이 적어 향에 대한 기호도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이에 따른 심신 안정과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멀젼,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팩, 젤, 피부 점착타입,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수면 전에 피부에 적용하도록 제형화될 경우, 수면의 질 개선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면 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성분,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상기한 특정 적색 복합 분체 및 각 안료 이외의 다른 분체, 보습제, 방부제, 약효 성분, 자외선 흡수제, 색소, 무기염 또는 유기산염, 향료,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물 등을 더 배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 나트륨, 팔미트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 비누로 대표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라가칸스검, 카라기난, 로커스트빈검, 덱스트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젤라틴, 알긴산 나트륨, 아라비아 고무, 수용성 콜라겐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또한,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톨, 자일리톨, 글리세린, 말티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 락트산, 락트산 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보습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 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나트륨, 소르브산 칼륨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방부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약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류, 생약, 소염제, 살균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성분이 사용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색소로서는 헤마토코커스조 색소 등인 천연 색소 등의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는 색소를 들 수 있다.
또한, 유화 안정화제로서 염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향에 대한 기호도 향상으로 인하여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면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면지연시간 감소, 수면 효율 향상 및 체동 감소를 통하여 수면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잠자기 전 사용하는 제품으로 제품화됨으로써,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천연 유자 향이 밖으로 나오면서 향의 기호도가 증가하고, 향이 오랫동안 유지되면, 상기 천연 유자 향이 심신을 안정시켜 편안한 잠자리를 유도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잠자기 전에 사용하는 제형, 예를 들어, 수면 팩으로 제형화될 경우, 수면의 질 개선에 더욱 유리할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S1)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혼합하여 유자 오일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S2) 상기 유자 오일 비드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단계에서,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3 내지 10분 동안 가온하여 혼합한 후, 건조시켜 유자 오일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일 수 있다. 상기 온도가 70℃ 미만이면 원료들이 충분히 혼합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초과이면 원료들의 물성이 변성되고, 비드 형태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가온하여 혼합하는 시간은 3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분 일 수 있다. 상기 시간이 3분 미만이면 원료들이 충분히 혼합되지 않을 수 있고, 10분 초과이면 시간 초과에 따른 추가적인 이점이 없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은 사용량은 전술한 바와 같은 중량비와 같다.
상기 (S2) 단계에서는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특정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료 및 방법에, 상기 유자 오일 비드를 적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원료와 상기 유자 오일 비드를 이용하여 유화법(emulsification)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숙면 유도용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조성은 앞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숙면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로는, 선잠을 잔다거나, 수면 중 여러 차례 깨어나는 것과 같이 건강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현상과, 충분한 수면을 취했음에도 낮 동안에 각성을 유지못하는 현상과 같이, 수면과 관련된 정신 및 신체적인 어려움을 겪게되는 경우를 광범위하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은 상기 숙면 유도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향에 대한 기호도 향상은 인한 심신 안정 효과와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0 중량% 초과이면, 향에 대한 기호도가 저하되어, 숙면 유도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유자 오일 비드 향의 기호도가 우수하다. 특히,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향취 및 향의 강도로부터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심리적으로 안정이 되며, 편안하게 잠들 수 있어,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은,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향으로 인하여, 입면지연시간(sleep latency)을 단축시키고, 수면효율(sleep efficiency)이 우수하며, 체동횟수가 적어 수면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면 유도용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멀젼,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팩, 젤, 피부 점착타입,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제형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숙면 유도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숙면 유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숙면 유도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을, 수면 장애로 인하여 숙면을 이루지 못하는 대상에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숙면 유도용 조성물은 숙면을 이루지 못하는 대상의 피부, 바람직하게는 얼굴 피부에 도포하여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얼굴 피부에 도포할 경우, 유자 오일 비드의 향으로부터 심신의 안정을 얻어 숙면을 취하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면 유도용 조성물은 하루에 1회, 바람직하게는 잠들기 전에 피부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유자 오일 비드의 향이 수면을 유도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잠들기 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숙면 유도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면 유도용 조성물은 하루에 1회, 3주 내지 8주 동안 피부에 도포시, 숙면 유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숙면 유도용 조성물은 하루 1회 피부에 적용하는 것만으로도 우수한 숙면 유도 효과를 나타내며, 통상, 3주 이상, 바람직하게는 3주 내지 8주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했을 때 매우 우수한 숙면 유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숙면 유도용 조성물의 1회 적용량은 숙면을 이루지 못하는 대상의 상태, 수면 장애 정도, 도포 면적 및 조성물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25 mg ~ 150 mg 일 수 있으며, 상기 1회 적용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도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6: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수면 팩의 제조
하기 표 1은 천연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수면 팩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천연 유자 오일(Citus junos peel oil, 한국 고흥산, 서울향료 제조),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85℃에서 6분 동안 가온하여 혼합한 후 건조하여 유자 오일 비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유자 오일 비드와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들을 통상적인 에멀젼 제조방법인 유화법(emulsification)으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6.30 6.30 6.30 6.30 6.30 6.30 6.30
3. 부틸렌글라이콜 6.00 6.00 6.00 6.00 6.00 6.00 6.00
4. 글리세린 2.10 2.10 2.10 2.10 2.10 2.10 2.10
5. 트레할로스 2.00 2.00 2.00 2.00 2.00 2.00 2.00
6.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0.10 0.10 0.10 0.10 0.10 0.10 0.10
7. 디메치콘올 0.20 0.20 0.20 0.20 0.20 0.20 0.20
8.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9.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50 0.50 0.50 0.50 0.50 0.50 0.50
10. 카보머 0.20 0.20 0.20 0.20 0.20 0.20 0.20
11. 트로메타민 0.40 0.40 0.40 0.40 0.40 0.40 0.40
12. 폴리소르베이트2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13. 천연 유자 오일 0.50 0.10 1.00 1.50 0.50 - -
14. 베헤닐 알코올 0.50 0.20 1.00 1.50 - - -
15. 호호바 에스터 0.50 0.10 1.50 1.50 - - -
1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 2.50 0.50 5.00 7.50 - - -
17. 라벤더 오일 - - - - - - 0.50
실험예 1: 유자 오일 비드의 형성 여부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유자 오일 비드가 형성되었는지에 대해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유자 오일 : 베헤닐 알코올 : 호호바 에스터 :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의 4가지 중량비가 1 : 1 : 1 : 5 인 실시예 1의 경우에 최적의 유자 오일 비드, 즉, 깨지지 않고 일정한 입경을 가진 유자 오일 비드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제조된 유자 오일 비드는 0.05 cm 내지 0.8 cm 범위의 입경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은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상기 4가지 성분의 중량비가 1 : 2 : 1 : 5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4가지 성분의 함량이 0.9 중량%로서, 실시예 1에 비해 상기 4가지 성분 중 베헤닐 알코올의 중량비가 높고, 상기 4가지 성분의 합이 작아, 유자 오일 비드 형성이 잘 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제조된 유자 오일 비드는 0 cm 내지 0.05 cm 범위의 입경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입경이 0 cm는 비드 자체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일부 형성된 비드는 입경이 작아 향에 대한 기호도가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는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상기 4가지 성분의 중량비가 1 : 1 : 1.5 : 5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4가지 성분의 함량이 8.5 중량%로서, 실시예 1에 비해 상기 4가지 성분 중 호호바 에스터의 중량비가 높아 유자 오일 비드 형성이 잘 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일부 형성된 유자 오일 비드는 0.4 cm 내지 1 cm 범위의 입경을 가지며, 입경이 다소 큰 비드도 형성이 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상기 4가지 성분의 중량비가 1 : 1 : 1 : 5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하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4가지 성분의 함량이 12 중량%로서 높아 유자 오일 비드 형성이 잘 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일부 형성된 유자 오일 비드는 0.5 cm 내지 1.2 cm 범위의 입경을 가지며, 입경이 다소 큰 비드도 형성이 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실험예 2: 천연 유자 오일의 형태( 비드 또는 오일)에 따른 향취 기호도 및 심신 안정 효과 조사
천연 유자 오일의 형태, 즉, 천연 유자 오일 비드 또는 천연 유자 오일에 따른 향취 기호도, 향취 강도 및 심신 안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천연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수면 팩인 실시예와 비드화 하지 않은 천연 유자 오일을 포함하는 수면 팩인 비교예 4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 평가 기준 및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평가 방법
(1) 피험자
조사대상자는 건강하고, 현재 약물 복용을 하지 않으며, 취맹(臭盲)이 아닌 20 ~ 30대 여성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실험자는 실험 전일에 무리한 운동이나 과다한 음주 섭취를 자제하도록 하였고, 실험 당일에는 중추신경계와 후각 감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흡연, 음료 및 약물, 껌 섭취를 삼가도록 하였다.
(2) 실험 시료
실험 시료는 본 발명품인 천연 유자 오일을 함유하는 수면 팩(실시예)과 비드화 하지 않은 천연 유자 오일을 함유하는 수면 팩(비교예 4)을 사용했다. 실험은 세안을 한 후 직접 팩을 얼굴에 사용하여 흡수시키는 방법을 동일하게 하였으며 팩이 흡수 된 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다.
(3) 실험 조건
실험은 아모레퍼시픽 고객연구센터 향연구실3의 평가 부스에서 수행되었고, 실험 시 쾌적한 평가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신선한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했고, 평가실의 온도는 24 ℃, 습도는 40%를 유지했다.
(4) 실험 방법
실시예와 비교예 4의 수면 팩을 무작위로 순서를 정해 사용하도록 했고,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무향 클렌징 폼으로 세안을 해서 기존 향을 완전히 제거하고 수면 팩을 얼굴 전체에 바른 후에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다. 피로도를 감안해서 한 가지 제품의 평가가 끝나면 20분간의 휴식을 취한 후에 다음 제품을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도록 했다.
(5) 결과 분석
피험자가 작성한 설문지의 점수를 입력하여 JM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예와 비교예2의 쌍체 분석(Paired t-test)를 실시하여 설문 결과를 분석하고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2. 평가 기준
(1) 향취 기호도 평가를 위한 설문지
- 질문 : 수면 팩을 얼굴 전체에 바른 후 향취 기호도를 평가해 주세요. 해당되는 향취 기호도에 대하여 하기 평가기준에 해당하는 점수를 적어 주세요.
- 평가기준
1점: 매우 싫다
2점: 상당히 싫다
3점: 약간 싫다
4점: 보통이다
5점: 약간 좋다
6점: 상당히 좋다
7점: 매우 좋다
(2) 진행 강도 평가
- 질문 : 수면 팩을 바르고 10분 후의 잔향을 평가해 주세요. 향이 얼마나 강하게 느껴지시는지 하기 평가기준에 해당되는 점수를 적어 주세요.
- 평가기준
1점: 매우 약하다
2점: 꽤 약하다
3점: 약간 약하다
4점: 보통이다
5점: 약간 강하다
6점: 꽤 강하다
7점: 아주 강하다
(3) 전체적인 향취 이미지 평가
- 질문 : 수면 팩을 사용하고 느껴지는 전체적인 향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아래 제시된 평가항목 (① 내지
Figure pat00001
항목)에 대하여, 하기 평가기준에 해당되는 점수를 적어 주세요.
- 평가항목
① 피로가 풀리는 느낌이다
② 위로 받는 느낌이다
③ 에너지가 채워지는 느낌이다
④ 걱정이 사라지는 느낌이다
⑤ 편안하게 잠들 수 있는 느낌이다
⑥ 행복한 느낌이다
⑦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것 같은 느낌이다
⑧ 심리적으로 안정되는 느낌이다
- 평가기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2점: 그렇지 않다
3점: 조금 그렇지 않다
4점: 보통이다
5점: 조금 그렇다
6점: 그렇다
7점: 매우 그렇다
3. 평가 결과
(1) 향취 기호도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향취 기호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천연 유자 오일 비드가 포함된 실시예의 향취 기호도가 비드화 하지 않은 천연 유자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4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평가에 참여한 35명의 피험자 모두 천연 유자 오일 비드가 함유된 수면 팩인 실시예에 대해서 높은 호감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잔향 강도 평가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잔향 강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면 팩을 얼굴 전체에 바르고 10분 후의 잔향에 대한 강도 평가에서도 실시예의 천연 유자 오일 비드를 함유한 수면 팩에서 유자 향을 더 강하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3) 전체적인 향의 이미지 평가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전체적인 향의 이미지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천연 유자 오일 비드를 함유한 수면 팩이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느낌이다', '심리적으로 안정되는 느낌이다', '편안하게 잠들 수 있는 느낌이다' 등의 항목에서 비교예 4의 비드화 하지 않은 천연 유자 오일을 함유하는 수면 팩과 비교해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여, 실시예의 천연 유자 오일 비드 함유 수면 팩이 스트레스 해소 및 심신 안정 효과와 더블어 편안한 잠자리를 유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향의 유무 및 향의 종류에 따른 수면 팩의 숙면 효과 평가
향의 유무 및 향의 종류에 따른 수면 팩의 숙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수면 팩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는 천연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수면 팩으로서, 유자 향을 나타내고, 비교예 5는 천연 오일 비드를 포함하지 않는 수면 팩으로서, 무향이며, 비교예 6은 일반적으로 숙면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진 라벤더 오일(Lavender oil)을 함유하는 수면 팩으로서 라벤더 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수면 팩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숙면 효과를 함께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 평가 기준 및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평가 방법
(1) 피험자
조사대상자는 건강하고, 현재 약물 복용을 하지 않으며, 취맹(臭盲)이 아닌 20 ~ 30대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실험자는 실험 전일에 무리한 운동이나 과다한 음주 섭취를 자제하도록 하였고, 실험 당일에는 중추신경계와 후각 감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흡연, 음료 및 약물, 껌 섭취를 삼가도록 하였다.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으로 여성의 성주기에 따른 향에 대한 감각의 변화, 여성의 생리주기와 기분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어 조사대상자의 생리주기를 고려하여 실시하였다.
(2) 실험 시료
실험 시료는 본 발명품인 천연 유자 오일 비드를 함유하는 수면 팩(실시예)과 비교예로서 무향의 수면 팩(비교예 5), 숙면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진 라벤더 오일(Lavender oil)을 함유하는 수면 팩(비교예 6)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팩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로 하였다.
실험은 팩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와 3 종의 수면 팩 시료를 사용한 총 4가지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팩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를 제외한 3가지 조건은 세안을 한 후 직접 팩을 얼굴에 사용하여 흡수시키는 방법을 동일하게 하였으며 팩이 흡수 된 후 수면을 취하도록 하였다. 수면을 취하는 중 EEG(electroencephalogram), EOG(electrooculogram), 턱 EMG(electromyography), ECG(electrocardiography)를 측정하여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였다.
(3) 실험 조건
실험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구축한 수면 실험실(4.8 m × 3 m × 2.4 m)에서 수행되었고, 내부에는 실험 시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방음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수면 실험실은 항온·항습이 유지되며 온도는 24 ℃, 습도는 40%였다.
(4) 측정 방법
수면 중 생리신호는 수면다원검사장치를 이용하여 EEG, EOG, 턱 EMG, ECG를 측정하였으며, 체동 측정을 위해서 Mini Mitter Company, Inc의 Actiheart를 사용하였다.
(5) 실험 순서
팩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와 3 종의 팩 시료를 사용한 총 4가지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세안을 한 후 직접 팩을 얼굴에 사용하여 흡수시키는 방법을 동일하게 하였으며 팩이 흡수 된 후 수면을 취하도록 하였다. 수면에 대한 순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피험자마다 시료의 종류는 무작위로 실시하였으며, 본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수면 실험실에 대한 적응을 위해서 1-2회 수면 실험실에서 수면을 취하도록 하였다. 수면 시간은 주간에 2시간동안 취하도록 하였으며, 각 피실험자마다 같은 시간에 수면을 취하도록 하였다.
(6) 분석 방법
피실험자가 수면을 취하는 동안 수면다원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생리신호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수면단계를 분석하였다. 수면단계의 판정은 국제표준인 Rechtschaffen and Kales(1968)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분되어진 수면단계를 이용하여, 입면지연시간(sleep latency), 수면효율(sleep efficiency)을 비교하였으며 이외에 각 조건에 대한 체동횟수를 비교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t-test 및 사후 검증으로 Turkey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2. 평가 기준 및 평가 결과
(1) 입면지연시간(sleep latency)
입면지연시간은 침상에 들어가서부터 잠들 때까지의 시간으로, 시료에 따른 수면에 이르기까지의 시간(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도 4는 실시예, 비교예 5 및 6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입면지연시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면지연시간의 평균은 수면 팩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조건이 수면에 들기까지가 가장 길었으며, 천연 유자 오일 비드가 포함된 실시예가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수면에 드는 것을 알 수 있다.
(2) 수면효율(sleep efficiency)
수면효율은 침상에 있는 시간에 대한 총수면시간의 비율이며, 실험시간동안 수면을 취한 시간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도 5는 실시예, 비교예 5 및 6에서 제조된 수면 팩에 대한 수면 효율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면효율의 평균은 대조군에서 수면효율이 가장 낮았으며, 천연 유자 오일 비드가 포함된 실시예가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수면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체동
체동은 수면을 취하는 동안 피실험자가 움직인 횟수로서, 피험자가 수면시간 동안 움직인 횟수를 체동계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도 6은 실시예, 비교예 5 및 6에서 제조된 수면 팩을 사용한 경우 수면 중 체동횟수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 5의 조건에서는 실험 시간 동안 16회 정도의 움직임을 보여 4가지 조건에서 가장 많은 움직임을 보였으며, 특히 본 발명품인 천연 유자 오일 비드가 포함된 실시예 조건에서는 수면을 취했을 경우 다른 조건에 비해서 훨씬 적은 움직임을 보였다.

Claims (7)

  1.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상기 유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베헤닐 알코올 10 내지 140 중량부, 호호바 에스터 10 내지 140 중량부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 300 내지 10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입경은 0.05cm 내지 0.8cm 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멀젼,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팩, 젤, 피부 점착타입,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으로 제형화 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

KR1020190095360A 2019-02-08 2019-08-06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7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81282A JP7330047B2 (ja) 2019-02-08 2019-10-01 柚子オイルビーズを含む化粧料組成物
US16/785,183 US20200253858A1 (en) 2019-02-08 2020-02-07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itron oil b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5002 2019-02-08
KR1020190015002 2019-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622A true KR20200097622A (ko) 2020-08-19

Family

ID=7229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360A KR20200097622A (ko) 2019-02-08 2019-08-06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6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1262A (zh) * 2022-09-02 2022-12-30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提高油溶性抗坏血酸衍生物稳定性的方法及其应用
CN115813844A (zh) * 2022-03-03 2023-03-21 广州真极和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凝脂油珠精华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7180136A (zh) * 2023-09-14 2023-12-08 广州市白云区白云美湾南方航天国际化妆品研究中心 一种制备具有均匀稳定油珠的高粘度护肤品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721A (ja) 2009-08-06 2011-02-24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睡眠改善作用の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721A (ja) 2009-08-06 2011-02-24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睡眠改善作用の皮膚外用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3844A (zh) * 2022-03-03 2023-03-21 广州真极和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凝脂油珠精华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531262A (zh) * 2022-09-02 2022-12-30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提高油溶性抗坏血酸衍生物稳定性的方法及其应用
CN115531262B (zh) * 2022-09-02 2024-04-05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提高油溶性抗坏血酸衍生物稳定性的方法及其应用
CN117180136A (zh) * 2023-09-14 2023-12-08 广州市白云区白云美湾南方航天国际化妆品研究中心 一种制备具有均匀稳定油珠的高粘度护肤品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356B1 (ko) 향료 조성물
JP5007833B2 (ja) 自律神経調整剤
US9248320B2 (en) Perfume and 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stress and relaxing effect
KR20200097622A (ko)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1970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A2761458C (en) Fragrance composition having good sleep-inducing effect
KR101074955B1 (ko)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US2020025385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itron oil bead
KR101232349B1 (ko)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KR101981058B1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JP2007197334A (ja) 自律神経調整剤、睡眠改善剤又はストレス緩和剤用組成物
KR20210033326A (ko)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스트 조성물
KR100748019B1 (ko)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JP2006257023A (ja) 月経前及び/又は月経中の身体的及び/又は精神的不快症状の緩和剤
JPH11343497A (ja) 化粧料
KR102551075B1 (ko) 천연성분 함유 수면 개선용 발향체
KR102266870B1 (ko) 안심 인형
JP7108012B2 (ja) マッサージ用化粧料
CN114209774B (zh) 一种改善睡眠的组合物、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2031199A (ja) 月経前及び/又は月経中の身体的及び/又は精神的不快の緩和剤
KR20200127774A (ko) 각성에 도움을 주는 천연오일 조성물
JP4886202B2 (ja) 月経前及び/又は月経中の身体的及び/又は精神的不快の緩和剤
KR20200127776A (ko) 숙면에 도움을 주는 천연오일 조성물
CN117883324A (zh) 一种精油组合物及应用
JP5349564B2 (ja) 月経前及び/又は月経中の身体的及び/又は精神的不快の緩和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