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349B1 -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349B1
KR101232349B1 KR1020100127126A KR20100127126A KR101232349B1 KR 101232349 B1 KR101232349 B1 KR 101232349B1 KR 1020100127126 A KR1020100127126 A KR 1020100127126A KR 20100127126 A KR20100127126 A KR 20100127126A KR 101232349 B1 KR101232349 B1 KR 101232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oil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813A (ko
Inventor
이유선
김재영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0012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3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로서, 상세하게는 벤조인 수지, 레몬 오일 및 만다린오일을 메인으로 함유하고, 이외에 헤디온,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리나롤, 갈락소라이드 및 아이소 이 수퍼를 더 함유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또는 스트레스 진정 작용을 부여하고 또한 숙면에 도움을 주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미용 및 화장품 분야 뿐 아니라 피부 외용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 for providing sedative effect and leading sound sleep}
본 발명은 진정 효과 및 숙면을 취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벤조인 수지, 레몬 오일 및 만다린오일을 메인으로 함유하고, 이외에 헤디온,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리나롤, 갈락소라이드 및 아이소 이 수퍼를 더 함유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작용을 부여하고 또한 숙면에 도움을 주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 사회는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과 가치관의 다원화로 현대인에게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있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심리적인 불안정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자율 신경계인 교감 신경계가 과도하게 자극되어 긴장감 고조와 함께 수면 장애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지금까지의 스트레스성 질병에 대한 치료는 주로 정신의학적 약물 요법에 의존하고 있으나, 약물 요법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근래에는 다양한 보완 대체 요법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고 이 보완 대체 요법 중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가 아로마테라피이다.
우리 몸은 자율 신경계를 통하여 아로마에 반응한다. 시상하부가 향 정보를 받게 되면 이 화학적 메시지를 혈액으로 송출하여 인체의 변화가 야기되는데 받아들인 정보에 따라서 면역 시스템이나 혈압, 소화 기관 자극 등의 생리적인 과정을 시작한다. 이러한 뇌와 인체의 반응은 냄새를 맡을 때마다 일어난다.
예를 들면, 클라리세이지는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엔세팔린이란 신경 화학 전달 물질을 방출하여 통증을 제거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하며 일랑일랑은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엔도르핀을 방출하여 성적 흥분 신경 화학 전달 물질을 자극한다. 라벤더, 케모마일, 네롤리 등은 세로토닌 분비를 자극하여 공포, 스트레스, 불면증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뇌파는 뇌전도(EEG)라고 불리며 뇌신경 세포의 활동에 수반되어 생성되는 전기적 변화를 머리 표면에서 측정하고 기록한 것이다. 따라서, 뇌기능의 활동성이 약해지는지, 반대로 높아지는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뇌 활동의 변동을 공간적, 시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로서 신경 생리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뇌파는 저주파에서 고주파 영역 순으로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α파(alpha:8-12.99Hz), β파(beta:13-29.99Hz), γ파(gamma:30-50Hz), δ파(delta:0-3.99Hz), θ파(theta: 4-7.99Hz)로 분류하며, 8Hz 미만을 서파(slow wave), 13Hz 이상을 속파(fast wave)로 구분한다.
서파에 속하는 δ파는 깊은 수면시에, θ파는 졸리거나 깊은 명상시에 출현하며, α파와 β파는 신체 또는 정신 활동의 이완과 각성에 관련하여 우세하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스트레스 완화 또는 스트레스 진정 작용을 가지고, 숙면에 도움을 주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스트레스 완화 또는 스트레스 진정 작용을 가지며 숙면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벤조인(benzoin) 수지, 레몬 오일(Lemon oil), 만다린 오일(Mandarin oil), 헤디온(Hedion),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Hydroxy citronellal), 리나롤(linalool),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및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스트레스 진정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상기 벤조인 수지 10 내지 35 중량%, 상기 레몬 오일 5 내지 50 중량%, 상기 만다린 오일 5 내지 50 중량%, 상기 헤디온 5 내지 20 중량%, 상기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5 내지 15 중량%, 상기 리나롤 5 내지 20 중량%, 상기 갈락소라이드 1 내지 10 중량%, 상기 아이소 이 수퍼 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본 발명의 항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로션, 크림, 에멀젼,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향수, 연고, 가용화상,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및 패치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 또는 스트레스 진정 작용을 가지고, 숙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이를 미용 및 화장품 분야 뿐 아니라 피부 외용제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8의 향료 조성물 제시시의 알파파를 측정한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팩 A(대조군)와 팩 B(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알파파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팩 A(대조군)와 팩 B(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엔트로피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팩 A(대조군)와 팩 B(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HBA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를 부여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러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을 차례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를 부여하는 향료 조성물은 필수 구성 성분으로서 벤조인(benzoin) 수지, 레몬 오일(Lemon oil), 만다린 오일(Mandarin oil), 헤디온(Hedion),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Hydroxy citronellal), 리나롤(linalool),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및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를 함유한다.
벤조인(Styrax benzoin)은 자바, 수마트라, 타이 등에서 생산되고, 바닐라처럼 달콤한 향을 가지고 있어 신경계에 진정 작용을 발휘,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숙면에도 도움을 주는 향으로 알려져 있어 ‘안식향(安息香)’이라고도 불린다. 벤조인은 수지 상태이기 때문에 향료로 사용하기 위해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등의 용매에 희석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레몬(Citrus limon) 오일은 브라질, 캘리포니아, 지중해 연안 등에서 얻어지는 것으로서, 시원한 향을 가지고 있어 상큼한 기분을 유지시키고 두통 해소에 도움을 준다.
만다린(Citrus reticulata) 오일은 인도 동북부가 원산지로 부드럽고 풍부하며, 자극적이지 않고 우아한 향을 가지고 있다. 흥분이나 자극을 진정시켜 주는 작용이 있어 마음을 안정시키고, 신경 과민성 불면증, 우울증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상기 헤디온(Hedion)은 재스민 향취를 지닌 휘발성이 강한 물질로서 꽃 향을 조합할 경우 많이 사용하는 합성 물질이다.
상기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Hydroxy citronellal) 및 리나롤(Linalool)은 뮤게노트의 대표적인 합성 물질로 은은하면서도 깨끗하고 싱그러운 꽃 향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갈락소라이드(Galaxolide)는 합성 머스크 향으로, 따뜻하면서도 관능적인 분위기를 내어 향수의 베이스 노트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는 파우더리한 앰버의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그 향이 은은하게 퍼지면서 오래 지속되어 향수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상기 벤조인 수지 10 내지 35 중량%, 상기 레몬 오일 5 내지 50 중량%, 상기 만다린 오일 5 내지 50 중량%, 상기 헤디온 5 내지 20 중량%, 상기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5 내지 15 중량%, 상기 리나롤 5 내지 20 중량%, 상기 갈락소라이드 1 내지 10 중량% 및 상기 아이소 이 수퍼 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인 수지는 벤조인 수지 자체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매 중에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희석시킨 것이다.
이러한 벤조인 수지, 레몬 오일, 만다린 오일, 헤디온,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리나롤, 갈락소라이드 및 아이소 이 수퍼의 함량은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작용을 가지고 숙면에 도움을 부며 향취의 기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수많은 반복 실험을 거쳐 그 구성 성분의 함량의 최적의 범위를 설정한 것이다. 이러한 함량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함량으로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을 향료 조성물 중에 첨가하게 되면 조합 향료의 밸런스를 깨뜨릴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 중에서는 상기한 필수 구성 성분 이외에 일반적으로 향료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성분들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항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로션, 크림, 에멀젼,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등과 같은 화장품 뿐만 아니라 향수,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등의 피부 외용 기재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각각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중에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포함되는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또한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향취에 대한 기호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 중의 향료 조성물의 함량은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적용하고자 하는 제형의 특성에 따라, 또는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작용을 가지고 숙면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그에 대한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좀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목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것이다.
실시예 1 및 2: 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2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함량; 중량 %) 실시예 1 실시예 2
벤조인(5% in DPG) 25 25
레몬 오일 15 10
만다린 오일 15 10
헤디온 15 10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10 10
리나롤 10 10
갈락소라이드 5 5
아이소 이 수퍼 5 5
진저오일 0 5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0 5
헬리오날 0 5
디프로필렌글리콜 0 0
총 합 100 100
비교예 1 내지 8: 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 및 3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1 내지 8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함량; 중량 %)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벤조인(5% in DPG) 0 25 25 25
레몬 오일 10 0 10 10
만다린 오일 10 10 0 10
헤디온 10 10 10 0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10 10 10 10
리나롤 10 10 10 10
갈락소라이드 5 5 5 5
아이소 이 수퍼 5 5 5 5
진저오일 5 5 5 5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5 5 5 5
헬리오날 5 5 5 5
디프로필렌글리콜 25 10 10 10
총 합 100 100 100 100
성분명(함량; 중량 %) 비교예 5 비교예6 비교예 7 비교예 8
벤조인(5% in DPG) 25 25 25 25
레몬 오일 10 10 10 10
만다린 오일 10 10 10 10
헤디온 10 10 10 10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0 10 10 10
리나롤 10 0 10 10
갈락소라이드 5 5 0 5
아이소 이 수퍼 5 5 5 0
진저오일 5 5 5 5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5 5 5 5
헬리오날 5 5 5 5
디프로필렌글리콜 10 10 5 5
총 합 100 100 100 100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젤 타입의 수면 팩)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젤 타입 수면팩을 조성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함량(중량%)
ALLANTOIN 0.1
DIPOTASSIUM GLYCYRRHIZATE 0.05
DISODIUM EDTA 0.02
TREHALOSE 1.00
NIACINAMIDE 2.00
BETAINE 2.00
PEG-32 3.00
SODIUM HYALURONATE 0.02
BUTYLENE GLYCOL 5.00
DIPROPYLENE GLYCOL 1.50
BETA-GLUCAN 2.00
POLYQUATERNIUM-51 0.50
ALCOHOL 2.00
METHYLPARABEN 0.15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 0.30
DIETHOXYETHYL SUCCINATE 1.00
BIS-PEG-18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0.80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40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0
POTASSIUM HYDROXIDE 0.06
HYDROGENATED LECITHIN 0.50
GLYCERIN 0.50
DIMETHICONE 0.5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0.50
WATER 75.90
총합 100.00
실험예 1: 향료 조성물 성분별 알파파 비교 실험
향료 조성물 중 어떠한 성분이 스트레스 완화, 진정 작용 및 숙면에 도움을 주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알파파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1. 피험자 및 실험 환경
건강하고 현재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20~30대 남,여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일 무리한 운동이나 과다한 음주 섭취를 자제하도록 하였고, 실험 당일에는 탄산음료, 카페인 음료를 제한하였으며, 검사 시작 2시간 전에 식사를 마치도록 하였다.
내부 온도 25℃, 습도 40~50%이며, 강한 빛이 차단된 조용한 환경에서 알파파를 측정하였다.
2. 측정 시료 및 측정 방법
실험 시료: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8의 향료 조성물을 실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 방법: 실험 전 뇌파 및 생리 신호 센서를 부착하고 약 5분간 안정을 취한 후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시료를 코 밑 1 내지 2cm 거리에 두고 1분간 제시하였다.
3. 측정 기기 및 전극 부착 위치
뇌파 측정 기기는 Laxtha사의 Poly G-Ⅰ를 사용하였다.
머리에 부착하는 전극의 배치는 국제 뇌파 및 임상 뇌대사 학회에서 추천하는 10-20 시스템을 따라 전극용 풀을 이용하여 8개의 도금된 전극을 Fp1, Fp2, F3, F4, T3, T4, C3, C4에 부착하여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접지 전극(ground electrode)은 우측 유양돌기 부위에 부착하였고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은 우측 귓불에 부착하였다. 8개의 채널에서 각각 측정한 뇌파를 각 채널별로 평균하여 뇌파의 지표로 활용하였다.
4. 통계 처리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향료 조성물로 인한 진정 및 숙면 뇌파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 Wilcoxon test를 수행하였다.
5. 실험 결과
실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는데, 실시예 1 및 2의 항료 조성물로 실험한 경우 확인된 알파파가 비교예 1 내지 8의 향료 조성물로 실험한 경우의 알파파에 비하여 매우 우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심리적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을 0.3 중량% 부향한 상기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뇌파(EEG)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을 부향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상기한 향료 조성물 0.3 중량% 대신 물을 더 함유시킨, 화장료 조성물임)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
1. 피험자 및 실험 환경
건강하고 현재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20~30대 남,여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일 무리한 운동이나 과다한 음주 섭취를 자제하도록 하였고, 실험 당일에는 탄산 음료, 카페인 음료를 제한하였으며, 검사 시작 2시간 전에 식사를 마치도록 하였다.
내부 온도 25℃, 습도 40~50%이며, 강한 빛이 차단된 조용한 환경에서 검사를 진행하였다.
2. 측정 시료 및 측정 방법
실험 시료로는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을 0.3 중량% 부향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표 4의 조성의 젤 타입 수면팩)(이하, ‘팩 B’로 표시)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을 부향하지 않고 대신 물을 함유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의 화장료 조성물(젤 타입 수면팩)(이하, ‘팩 A’로 표시)을 대조군로 하였다.
측정은 머리에 전극을 부착하고 편안한 침대에 눕게 한 후 5분간 뇌파 및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팩 A 또는 팩 B을 얼굴에 도포하고 40분간 편안한 상태에서 뇌파 및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3. 측정 기기 및 전극 부착 위치
뇌파측정기기는 Laxtha사의 Poly G-Ⅰ을 사용하였다.
머리에 부착하는 전극의 배치는 국제 뇌파 및 임상 뇌대사 학회에서 추천하는 10-20 시스템을 따라 전극용 풀을 이용하여 8개의 도금된 전극을 Fp1, Fp2, F3, F4, T3, T4, C3, C4에 부착하여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접지 전극(ground electrode)은 우측 유양돌기 부위에 부착하였고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은 우측 귓불에 부착하였다. 8개의 채널에서 각각 측정한 뇌파를 각 채널별로 평균하여 뇌파의 지표로 활용하였다.
4. 통계 처리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향료 조성물 함유로 인한 진정 및 숙면 뇌차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 Wilcoxon test를 수행하였다.
5. 측정 지표
1) Absolute α, β, γ, δ, θ파 변화 측정: 일반적으로 알파파는 긴장 이완, 편안한 상태일 때 발생하며 베타파는 각성 상태일 때, 세타파는 졸리거나 명상시, 감마파는 고도의 인지 작용시, 델타파는 수면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다섯가지 파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2) 근사 엔트로피 변화: 뇌파의 무질서 정도를 정량화하여 수치화한 것으로 수면이 깊어지면 뇌파는 각성 시보다 느려지고 규칙적으로 되며 반대로 각성 상태나 얕은 마취에서는 상대적으로 불규칙하게 된다.
3) HBA(high beta/alpha)값: High beta파는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 상태에서 우세하게 나타난다. 즉 HBA값이 높을수록 긴장, 불안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6. 실험 결과
1) Absolute α파 증가: 상기의 뇌파-알파파 측정 결과는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향료 조성물의 유무에 따른 반응을 뇌파로 측정하여 알파파 활성을 비교한 결과, 팩 B(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함유된 팩)를 사용하였을 때 팩 A(대조군)에 비해 알파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긴장을 이완시키고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 주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좌측 전두엽과 좌측 중심구에서 높은 알파파 증가를 보였는데, 좌측 대뇌 반구의 알파파 활성화가 긍정적인 정서 상태와 관련있다는 보고를 고려할 때 상기의 향료 조성물이 함유된 팩 B는 심신의 안정뿐만 아니라 기쁘며 평화로운 긍정적인 정서에도 도움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2) 근사 엔트로피 변화: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함유된 팩 B를 사용하였을 경우 전반적으로 근사 엔트로피가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뇌파의 무질서도가 낮아진 것으로 수면이 깊어졌음을 의미한다.
3) HBA(high beta/alpha)값: 정서적인 불안, 긴장, 흥분 상태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HBA 값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함유된 팩 B를 사용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4 참조).
이상, 본 발명을 도시된 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니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의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5)

  1. 벤조인 수지, 레몬 오일, 만다린 오일, 헤디온,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리나롤, 갈락소라이드 및 아이소 이 수퍼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스트레스 진정용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벤조인 수지 10 내지 35 중량%, 상기 레몬 오일 5 내지 50 중량%, 상기 만다린 오일 5 내지 50 중량%, 상기 헤디온 5 내지 20 중량%, 상기 하이드록시 시트로네랄 5 내지 15 중량%, 상기 리나롤 5 내지 20 중량%, 상기 갈락소라이드 1 내지 10 중량% 및 상기 아이소 이 수퍼 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스트레스 진정용 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로션, 크림, 에멀젼,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향수, 연고, 가용화상,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및 패치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27126A 2010-12-13 2010-12-13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KR101232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126A KR101232349B1 (ko) 2010-12-13 2010-12-13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126A KR101232349B1 (ko) 2010-12-13 2010-12-13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813A KR20120065813A (ko) 2012-06-21
KR101232349B1 true KR101232349B1 (ko) 2013-02-08

Family

ID=4668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126A KR101232349B1 (ko) 2010-12-13 2010-12-13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6803A (zh) * 2015-03-16 2017-11-28 奇华顿股份有限公司 有机化合物中或与之相关的改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058B1 (ko) 2013-02-19 2019-05-23 (주)아모레퍼시픽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CN109077280A (zh) * 2018-09-07 2018-12-25 上海百润投资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柠檬香精配方
KR20240021787A (ko) * 2021-06-15 2024-02-19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무알코올 나노에멀젼 향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5518A (en) 1998-02-23 1999-10-12 Nakatsu; Tetsuo Fragrance composi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KR20040021689A (ko) * 2001-08-08 2004-03-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향료 조성물
KR20050097668A (ko) * 2004-04-02 2005-10-10 주식회사 태평양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20100004446A (ko) * 2008-07-04 2010-01-13 김종화 마이크로 클러스터 결합수를 함유하는 유채꽃 꽃봉오리,감귤 외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5518A (en) 1998-02-23 1999-10-12 Nakatsu; Tetsuo Fragrance composi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KR20040021689A (ko) * 2001-08-08 2004-03-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향료 조성물
KR20050097668A (ko) * 2004-04-02 2005-10-10 주식회사 태평양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20100004446A (ko) * 2008-07-04 2010-01-13 김종화 마이크로 클러스터 결합수를 함유하는 유채꽃 꽃봉오리,감귤 외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6803A (zh) * 2015-03-16 2017-11-28 奇华顿股份有限公司 有机化合物中或与之相关的改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813A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yorwan et al. Effects of inhaled rosemary oil on subjective feelings and activities of the nervous system
KR20120131970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9248320B2 (en) Perfume and 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stress and relaxing effect
KR101232349B1 (ko)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KR20100124620A (ko) 숙면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KR20200097622A (ko)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5783B1 (ko) 우수한 숙면 효과를 갖는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981058B1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20210033326A (ko)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스트 조성물
KR101810230B1 (ko) 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3782A (ko)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48019B1 (ko)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KR101313255B1 (ko)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101791217B1 (ko) 측백엽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한약 조성물
CN111877023A (zh) 一种沉香蚕丝被及制作方法
JP7108012B2 (ja) マッサージ用化粧料
Buchbauer Lavender oil and its therapeutic properties
JPH11343497A (ja) 化粧料
KR20190024623A (ko)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심리적 안정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심리적 안정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GB2577747A (en) Fragrance Compositions
KR20180083783A (ko) 옥수수오일, 귀리, 보리 또는 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839610B2 (ja) マッサージ用化粧料
KR102597516B1 (ko) 신규한 유기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102348202B1 (ko) 뇌파에서 상대적 베타파는 감소시키고 상대적 세타파는 증가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91601B1 (ko) 수면 유도용 헤어밴드 및 이를 이용한 수면유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