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761B1 -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761B1
KR102151761B1 KR1020190019921A KR20190019921A KR102151761B1 KR 102151761 B1 KR102151761 B1 KR 102151761B1 KR 1020190019921 A KR1020190019921 A KR 1020190019921A KR 20190019921 A KR20190019921 A KR 20190019921A KR 102151761 B1 KR102151761 B1 KR 10215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be
power spectrum
absolute
weight
be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038A (ko
Inventor
김성문
김민주
송지은
이차율
송운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라이프투게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라이프투게더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7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11B9/0019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carboc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4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six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7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 C11B9/0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the hetero rings containing six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7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 C11B9/008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the hetero rings containing more than six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향료 조성물,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과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특정 뇌 위치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FA(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ALB(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AMB(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및 AHB(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RST(Ratio of SMR to theta), RMT(Ratio of mid beta to theta) 및 RSMT(Ratio of SMR~mid beta to theta)의 증가를 유도하여 긴장 완화 및 집중력 강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Aquatic aroma composition for relaxation and enhancing concentration of human brai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향료 조성물,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과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향수는 휘발성의 향기 화합물 원료인 정유(essential oils)를 에탄올로 희석한 제품으로 이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향료는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로 나뉜다. 천연향료는 동물로부터 얻는 동물향료와 식물로부터 얻는 식물향료로 나뉜다. 동물향료로는 향류고래로부터 얻는 앰버그리스(ambergris), 사향노루로부터 얻는 무스크(musk), 사향고양이로부터 얻는 비벳(vivette), 비버로부터 얻는 캐스토리움(castorium)이 있지만 요즘은 잘 사용되고 있지 않다. 식물향료는 약 1,500여 종의 식물의 꽃, 잎, 과실, 종자, 수지, 뿌리, 줄기를 증류, 추출, 압착 등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지만 순도가 낮고, 추출 및 증류시 향취 변화가 심하며, 생산지역, 수확시기 및 수확 후 보관방법에 따라 강도와 품질변화가 심하며, 공급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지금은 약 200여 종 정도가 시장에서 시판되고 있다.
유기합성 향료는 실험실에서 유기합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데 천연향보다는 순도가 높아 사용하기 저렴하고, 안정적이며 보존기간이 길고, 농도가 높으며, 계절적 공급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향료업계에서는 주로 많이 선호되고 있다. 유기합성 향료의 대표적인 예로는 샤넬 No.5에 사용되는 알데히드를 들 수 있다.
향료 하나하나는 각각의 독특하고 고유한 향취를 나타내는데 이를 향조 또는 노트라고 한다. 향조는 일반적으로 시트러스(citrus), 플로랄(floral), 그린(green), 프루티(fruity), 알데히드(aldehyde), 오리엔탈(oriental), 스파이시(spicy), 우디(woody), 시프레(psypre), 후제아(fougere), 마린(marine), 그리고 구루망(gourmand)으로 나타낸다. 향료를 여러 개를 섞으면 각각의 향료가 나타내는 향취가 변하게 된다. 단품 향료를 여러 개를 섞는 것을 조향이라고 하는데 이를 통해서 다양한 향취를 갖는 조합향료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조합향료는 용도에 따라서 프래그런스(방향향료)와 플래버(식품향료)로 나뉜다. 프래그런스는 정유의 함유량에 따라 제품의 명칭은 향수(15-30%), 오 드 퍼퓸(15-18%), 오 드 토일렛(4-8%), 오 드 코롱(3-5%)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조합향료를 섞어 새로운 향료제품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뿌렸을 때 향이 즉시 나타나는 탑 노트, 향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미들 노트, 그리고 향기에 깊이와 볼륨을 부여하는 라스트 노트가 상호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인간이 향수를 흡입하게 되면 향기분자들이 비강을 따라 이동하여 후각수용체(olfactory receptors)와 결합하면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후구(olfactory bulb)에 있는 후각로(olfactory tract)를 따라 대뇌피질에 전달되면 뇌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향료에 함유된 냄새분자는 인간의 뇌에 영향을 주어 뇌파를 변화시키고 생리적, 심리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뇌피질이 어떤 자극에 의해 활성화가 이루어지면 뇌파(brain wave)가 발생하는데 뇌파는 인간의 대뇌피질의 신경계에서 뉴런들 사이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이다. 두피에 대뇌 전기 활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전극을 붙이고 얻은 파형을 그래프로 기록하고 이를 분석하며 뇌의 자율적인 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인 뇌파는 뇌의 활동을 기록하고 관찰함으로써 인간에 뇌에 관한 각성, 활성, 불안 및 안정 등의 인간의 정신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뇌파는 객관적, 비침습적,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지과학, 의학, 약학, 범죄조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뇌파는 주로 0~60 Hz 주파수와 5~300 uV의 진폭을 나타내는데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delta파(0~4 Hz), theta파(4~8 Hz), alpha파(8~13 Hz), beta파(13~30 Hz), gamma파(30~50 Hz)로 나뉜다. Delta파, theta파는 서파(slow wave)이며 두뇌 내부의 정보를 활용해 생각하고 활동할 시에 나타난다. Alpha파보다 높은 beta파는 속파(fast wave)이다. 뇌파분석에서는 절대 파워값(absolute power)뿐만 아니라 두개골의 두께 차이, 두피의 전기적 상태, 긴장도와 같은 개인차를 줄이고 정확한 뇌파반응을 분석할 수 있는 상대 파워값(relative power)이 사용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855737호에는 긴장완화용 블루베리향 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5-0014762호에는 목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성 효과 또는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에틸 리나룰, 리나릴 아세테이트, 버테넥스, 스티라릴 아세테이트, 아이소 이 수퍼, 하바놀라이드, 헤디온, 산달로어, 벤질 아세테이트, 리나룰, 플로로팔, 플로롤, 머스크 티, 갈락솔라이드, 그레이프푸르트 오일, 오렌지 오일,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블랙페퍼 오일의 20가지 물질을 포함하는 향료 혼합물이 특정 뇌 위치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ALB(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AMB(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및 AHB(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AFA(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RST(Ratio of SMR to theta), RMT(Ratio of mid beta to theta) 및 RSMT(Ratio of SMR~mid beta to theta)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틸 리나룰, 리나릴 아세테이트, 버테넥스, 스티라릴 아세테이트, 아이소 이 수퍼, 하바놀라이드, 헤디온, 산달로어, 벤질 아세테이트, 리나룰, 플로로팔, 플로롤, 머스크 티, 갈락솔라이드, 그레이프푸르트 오일, 오렌지 오일,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블랙페퍼 오일이 혼합된 향료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틸 리나룰, 리나릴 아세테이트, 버테넥스, 스티라릴 아세테이트, 아이소 이 수퍼, 하바놀라이드, 헤디온, 산달로어, 벤질 아세테이트, 리나룰, 플로로팔, 플로롤, 머스크 티, 갈락솔라이드, 그레이프푸르트 오일, 오렌지 오일,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블랙페퍼 오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료 흡입을 통해, 특정 뇌 위치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FA(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ALB(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AMB(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및 AHB(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RST(Ratio of SMR to theta), RMT(Ratio of mid beta to theta) 및 RSMT(Ratio of SMR~mid beta to theta)의 증가를 유도하여 긴장을 완화시키고 집중력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장 향료(fragrance)와 식품 향료(flavor) 등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향장산업용 제품에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에 첨가하여 긴장 완화 및 집중력을 높이는 기능의 뉴로푸드(NeuroFood)의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뇌파측정을 위해 인간의 두뇌에 전극을 붙이는 부위를 제시한 10-20 국제표준 전극부착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피험자의 두뇌에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용 모자를 씌우고 뇌파를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버테넥스(vertenex),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헤디온(hedione), 산달로어(sandalor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리나룰(linalool), 플로로팔(floropal), 플로롤(florol), 머스크 티(musk t),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오렌지 오일(orange oil),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및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이 혼합된 향료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서, 상기 향료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7~8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5.2~6 중량%, 버테넥스(vertenex) 5.2~6.2 중량%,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2.1~2.5 중량%,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18~22 중량%,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1.8~2.2 중량%, 헤디온(hedione) 17~19 중량%, 산달로어(sandalore) 2~2.8 중량%,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1.6~1.8 중량%, 리나룰(linalool) 0.4~0.6 중량%, 플로로팔(floropal) 0.8~1 중량%, 플로롤(florol) 0.6~0.8 중량%, 머스크 티(musk t) 0.8~1.2 중량%,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0.7~0.9 중량%,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3~3.8 중량%, 오렌지 오일(orange oil) 5~6 중량%,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17~19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3.5~4.5 중량% 및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 0.08~0.12 중량%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7.5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5.6 중량%, 버테넥스(vertenex) 5.7 중량%,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2.3 중량%,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20 중량%,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2 중량%, 헤디온(hedione) 18 중량%, 산달로어(sandalore) 2.4 중량%,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1.7 중량%, 리나룰(linalool) 0.5 중량%, 플로로팔(floropal) 0.9 중량%, 플로롤(florol) 0.7 중량%, 머스크 티(musk t) 1 중량%,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0.8 중량%,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3.4 중량%, 오렌지 오일(orange oil) 5.6 중량%,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17.8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4 중량% 및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 0.1 중량%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좌측 측두엽, 우측 측두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좌측 전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좌측 후두엽, 중앙 후두엽, 좌측 전두엽, 좌측 전전두엽 및 우측 측두엽에서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좌측 측두엽, 우측 측두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중앙 전전두엽, 좌측 전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AFA(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좌측 측두엽, 우측 측두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중앙 전전두엽 및 좌측 전전두엽에서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좌측 전두엽에서 ALB(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좌측 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AMB(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우측 측두엽에서 AHB(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좌측 전전두엽, 좌측 후두엽,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우측 두정엽, 중앙 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전전두엽, 우측 전전두엽, 중앙 전전두엽, 좌측 전두엽, 우측 전두엽, 중앙 전두엽, 좌측 측두엽, 우측 측두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좌측 후두엽, 우측 후두엽 및 중앙 후두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후두엽에서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우측 측두엽, 좌측 후두엽, 좌측 측두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중앙 전전두엽, 좌측 전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RST(Ratio of SMR to theta)의 증가를, 우측 전전두엽에서 RMT(Ratio of mid beta to theta)의 증가를, 우측 측두엽, 중앙 전전두엽 및 우측 전전두엽에서 RSMT(Ratio of SMR~mid beta to theta)의 증가를 유도하여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A는 alpha파의 절대 파워를 뜻하는 것이고, ASA는 slow alpha파의 절대 파워를 뜻하는 것으로, AA와 ASA의 감소는 주의능력이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AB, AFA, ALB, AMB 및 AHB의 감소는 뇌는 긴장 및 각성상태를 완화하여 정신적으로는 편안해진다. RA는 전체 중 Alpha파의 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RA의 증가는 뇌의 긴장 및 각성상태를 완화하여 정신적으로는 편안해진다. 상기 RFA의 증가는 향 자극(향 흡입)에 의해 뇌에서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fast alpha파가 증가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RLB는 전체에서 low beta파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고, beta파는 일반적인 작업을 하거나 의식적인 행동을 할 때 나타나며 정신활동이 있을 때 활성화된다. RST는 SMR파/Theta파의 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주의집중 능력이 증가할 때 나타나며, RMT는 Mid Beta파/Theta파의 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한가지 주제에 집중할 때 나타나며, RSMT는 SMR~Mid Beta파/Theta파를 의미하며, 신경생리학적 뇌파 집중 지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버테넥스(vertenex),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헤디온(hedione), 산달로어(sandalor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리나룰(linalool), 플로로팔(floropal), 플로롤(florol), 머스크 티(musk t),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오렌지 오일(orange oil),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및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향료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7~8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5.2~6 중량%, 버테넥스(vertenex) 5.2~6.2 중량%,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2.1~2.5 중량%,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18~22 중량%,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1.8~2.2 중량%, 헤디온(hedione) 17~19 중량%, 산달로어(sandalore) 2~2.8 중량%,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1.6~1.8 중량%, 리나룰(linalool) 0.4~0.6 중량%, 플로로팔(floropal) 0.8~1 중량%, 플로롤(florol) 0.6~0.8 중량%, 머스크 티(musk t) 0.8~1.2 중량%,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0.7~0.9 중량%,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3~3.8 중량%, 오렌지 오일(orange oil) 5~6 중량%,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17~19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3.5~4.5 중량% 및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 0.08~0.12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향료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7.5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5.6 중량%, 버테넥스(vertenex) 5.7 중량%,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2.3 중량%,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20 중량%,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2 중량%, 헤디온(hedione) 18 중량%, 산달로어(sandalore) 2.4 중량%,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1.7 중량%, 리나룰(linalool) 0.5 중량%, 플로로팔(floropal) 0.9 중량%, 플로롤(florol) 0.7 중량%, 머스크 티(musk t) 1 중량%,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0.8 중량%,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3.4 중량%, 오렌지 오일(orange oil) 5.6 중량%,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17.8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4 중량% 및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 0.1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료 시료의 준비
본 발명의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향료를 개발하는데 사용된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버테넥스(vertenex),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헤디온(hedione), 산달로어(sandalor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리나룰(linalool), 플로로팔(floropal), 플로롤(florol), 머스크 티(musk t),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오렌지 오일(orange oil),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은 카스넘버(CAS Number)가 명확하게 명기된 시료를 국내의 원료공급업체로부터 구입하였다.
그리고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은 수증기증류장치(EssenLab-Plus, HANIL LABTECH, Kore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수증기 증류장치의 수증기 발생부위에 2 L의 증류수를 넣고, 정유 발생부위에 블랙페퍼 시료 1 kg을 넣은 다음, 냉각관에는 4℃의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흐르도록 하였다. 수증기 발생부위의 온도를 100℃로 90분간 유지시키면서 수증기를 발생시켰고, 블랙페퍼에 함유된 정유는 냉각관에서 응축된 후 수용기에서 증류수층과 정유층으로 모였다. 순수한 정유만을 모으기 위하여 정유층을 무수황산나트륨이 담겨있는 삼각깔대기에 통과시켜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시켰으며, 수집된 정유는 4℃의 냉장고에서 보관하였다.
제조예 1.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향취의 향료 조성물 개발
본 발명의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향취는 시원한 바다의 향취와 상큼한 시트러스 향기, 풍부환 꽃 향기와 나무껍질이 주는 느낌이 복합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신규의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향취를 갖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버테넥스(vertenex),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헤디온(hedione), 산달로어(sandalor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리나룰(linalool), 플로로팔(floropal), 플로롤(florol), 머스크 티(musk t),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오렌지 오일(orange oil),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7종을 개발하였다.
신규의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향료 개발을 위한 조성물과 조성비
향료 성분 조합
향료
1
조합
향료
2
조합
향료
3
조합
향료
4
조합
향료
5
조합
향료
6
조합
향료
7
1 ethyl linalool 10.3 10.3 7.5 7.5 5.5 5.3 5.3
2 linalyl acetate 5.0 5.0 5.6 5.6 6.2 6.2 6.2
3 vertenex 4.7 4.0 5.7 5.7 6.7 6.7 4.7
4 styrallyl acetate 2.3 2.0 2.3 2.3 2.0 2.0 1.5
5 iso e super 23.0 23.0 20.0 20.0 25.0 25.0 27.0
6 habanolide 2..0 2.0 2.0 2.0 1.0 1.0 1.0
7 hedion 14.0 15.0 18.0 16.0 16.0 18.0 20.0
8 sandalore 0.4 0.2 2.4 5.6 0.1 1.9 0.3
9 benzyl acetate 1.5 1.5 1.7 1.7 1.9 1.9 1.9
10 linalool 0.5 0.5 0.5 0.5 0.5 0.5 0.5
11 floropal 0.7 0.5 0.9 0.9 0.9 0.9 0.5
12 florol 0.5 0.7 0.7 0.7 0.7 0.7 0.7
13 musk t 1.0 1.0 1.0 1.0 1.0 1.0 1.0
14 galaxolide 50 ipm 0.6 0.5 0.8 0.8 0.8 0.8 0.5
15 grapefruit oil white 4.0 4.3 3.4 3.4 5.4 4.6 5.5
16 orange oil 7.6 7.6 5.6 5.6 4.6 4.6 6.5
17 isopropyl myristate 17.8 17.8 17.8 15.6 15.6 13.8 13.8
18 dipropylene glycol 4.0 4.0 4.0 6.0 6.0 5.0 3.0
19 blackpepper oil 0.1 0.1 0.1 0.1 0.1 0.1 0.1
합계 100 100 100 101 100 100 100
실시예 1.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향료 조성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
본 제조예 1에서 조향된 7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10-30대의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시향지(0.5 cm × 13 cm)에 적신 다음, 코로부터 5 cm 되는 위치에서 향을 맡게 하고 가장 선호하는 향료에 10점, 가장 비선호하는 향료에 0점을 주도록 하였다. 선호도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값을 구하였고,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향취 조성물 7종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10대~30대의 소비자들은 조합향료 3의 조성물을 가장 좋아하였다(선호도 평균 9.3). 선호도가 가장 낮았던 것은 조합향료 7로 선호도가 4.5이었다.
조합향료 7종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소비자 선호도 조합향료 1 조합향료 2 조합향료 3 조합향료 4 조합향료 5 조합향료 6 조합향료 7
평균값 6.6 5.6 9.3 8.1 7.8 7.5 4.5
실시예 2.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향취의 조합향료 3이 인간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을 통하여 소비자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조합향료 3을 흡입시에 인간의 뇌 활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하여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를 측정하였다. 뇌파측정은 최대한 잡음이 혼입되지 않은 온도 23℃, 습도 50%가 유지되는 32.4 m2 크기의 실험실에서 남녀 각각 10명씩 총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뇌파측정을 위해 사용한 뇌파측정기기는 QEEG-32 System (LAXTHA Inc. Korea)이었으며,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LAXTHA의 데이터 수집 장비 및 분석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피험자들에게 10~20 국제표준 전극 부착법을 이용하여 32개의 접지전극을 뇌파전용 Electro-Gel(Electro-Cap Internationals, Inc. U.S.A.)을 사용하여 좌측과 우측 전전두엽(Fp1, Fp2, Fpz, Af3, Af4, Afz), 좌측과 우측 전두엽(F3, F4, F7, F8, Fz, Fc1, Fc2, Fc5, Fc6), 좌측과 우측 측두엽(T3, T4, T7, T8, Cp5, Cp6), 좌측과 우측 두정엽(P3, P4, P7, P8, Cp1, Cp2, Cz, Pz), 좌측과 우측 후두엽(O1, O2, Oz) 부분에 부착하고 왼쪽과 오른쪽 귓볼에도 각각 하나씩의 레퍼런스 전극을 부착하였다. 윗면 지름 5 cm, 높이 4.8 cm, 아랫면 지름 3.5 cm의 종이컵에 가로 3.5 cm, 세로 4 cm의 거즈를 넣고 피펫을 이용해 향료를 첨가하여 거즈에 고루 뭍인 후, 피험자의 코로부터 약 5 cm 거리를 유지하고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조합향료 3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 상태(향자극)로 하여 각각 60초씩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조합향료 3에 대한 뇌파측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 처리는 피험자의 뇌파신호 중 대표적인 50초간의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뇌파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수행한 후,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SPSS(SPSS 18.0 version)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아쿠아틱 시트러스 플로랄 우디 향료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 중(향자극)에 얻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뇌파지표의 종류는 표 3에, 그리고 각각의 뇌파 지표의 의미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 지표의 종류
No. 분석지표 뇌파 분석 지표의 전체 이름 파장대(Hz)
1 AT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4~8
2 AA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8~13
3 AB Absolute Beta Power Spectrum 13~30
4 AG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30~50
5 AFA 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
6 ASA 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
7 ALB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
8 AMB 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
9 AHB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
10 RT Relative Theta Power Spectrum (4~8)/(4~50)
11 RA 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8~13)/(4~50)
12 RB Relative Beta Power Spectrum (13~30)/(4~50)
13 RG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30~50)/(4~50)
14 RFA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4~50)
15 RSA 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4~50)
16 RLB 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4~50)
17 RMB 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4~50)
18 RHB 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4~50)
19 RST Ratio of SMR to Theta (12~15)/(4~8)
20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15~20)/(4~8)
21 RSMT Ratio of (SMR-Mid Beta) to Theta (12~20)/(4~8)
22 RAHB Ratio of Alpha to High Beta (8~13)/(20~30)
23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4~50
24 SEF90 Spectral Edge Frequency 90% 4~50
25 ASEF 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 8~13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 지표의 의미
No. 분석지표 의미
1 AT Theta파의 절대파워 (명상, 졸릴때)
2 AA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안정)
3 AB Beta파의 절대파워 (긴장, 각성, 활성, 인지작용)
4 AG Gamma파의 절대파워 (고도의 인지작용 또는 불안, 흥분)
5 AFA Fast alpha파의 절대파워 (편안하면서 몰입)
6 ASA Slow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7 ALB Low beta파의 절대파워, SMR파라고도 함 (주의나 경계)
8 AMB Mid beta파의 절대파워 (집중, 주의)
9 AHB High beta파의 절대파워 (스트레스, 정신부하, 긴장)
10 RT 전체 중 Theta파의 비율
11 RA 전체 중 Alpha파의 비율
12 RB 전체 중 Beta파의 비율
13 RG 전체 중 Gamma파의 비율
14 RFA 전체에서 Fast Alpha파의 비율
15 RSA 전체에서 Slow Alpha파의 비율
16 RLB 전체에서 Low Beta파의 비율
17 RMB 전체에서 Mid Beta파의 비율
18 RHB 전체에서 High Beta파의 비율
19 RST 전체 중 SMR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0 RMT 전체 중 Mid Beta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1 RSMT SMR~Mid Beta파/Theta파 (뇌파집중지표)
22 RAHB Alpha파/High Beta파 (안정 및 이완도)
23 SEF5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 (뇌파각성)
24 SEF9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 (정신부하, 스트레스)
25 ASEF Alpha파의 SEF50 (쾌적성: Fast Alpha파가 많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3이 인간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25개의 지표 중 AA 파워 스펙트럼, AB 파워 스펙트럼, AFA 파워 스펙트럼, ASA 파워 스펙트럼, ALB 파워 스펙트럼, AMB 파워 스펙트럼, AHB 파워 스펙트럼, RLB 파워 스펙트럼, RST 파워 스펙트럼, RMT 파워 스펙트럼, RSMT 파워 스펙트럼, RA 파워 스펙트럼, RFA 파워 스펙트럼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나머지 12개의 파워스펙트럼은 향자극 전후에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는 기술하지 않았다.
(1)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전두엽 Fpz 및 Af3과 전두엽 Fc1, 측두엽 T7 및 T8, 두정엽 P7, P8 및 Pz 부위에서 AA 지표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p<0.05)하게 감소하였다(표 5). AA는 alpha파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나타내는데 8 Hz 이상 14 Hz 미만의 주파수 영역의 뇌파로 두뇌의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 눈을 감고 안정적인 상태에 있을 때 alpha파가 나타나며, 눈을 뜨거나 정신적으로 흥분 상태에 이르면 alpha파는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lpha파는 긴장해 있는 뇌의 상태를 이완시켜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상태로 만드는데, 이러한 상태가 되면 창조적 사고와 아이디어가 발생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조합향료 3의 흡입시 AA파가 감소하였으므로 두뇌의 안정도가 낮아지고 집중도가 증가하였다고 판단된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01
(2)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전두엽 Af3, 전두엽 Fc5 및 Fc1, 측두엽 Cp6, 후두엽 O1 및 Oz 부위에서 AB 지표가 감소하였다(표 6). AB는 beta파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나타내는데, beta파는 14 Hz 이상 30 Hz 미만의 주파수 영역과 2~20V 범위의 진폭을 가진 속파에 속하는 뇌파로 정신적인 활동이나 신체적인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동뇌파 혹은 각성 뇌파라고도 불리는 beta파는 일상적인 생활을 할 때 정상적으로 전두엽에서 많이 나타나며 집중하여 정신활동을 할 때에는 뇌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확인도 가능하다. 또한 beta파는 불안과 같은 긴장상태와 스트레스에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각적, 정서적 자극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조합향료 3의 흡입으로 AB가 감소하였다는 것은 뇌의 긴장도가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02
(3) AFA(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전두엽 Fpz 및 Af3, 전두엽 Fc1, 측두엽 T3, T4, T7 및 T8, 두정엽 P7, P8 및 Pz 부위에서 AFA 지표가 감소하였다(표 7). Alpha파는 주파수 영역에 따라 fast alpha(11~14 Hz)파, slow alpha(8~11 Hz)파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fast alpha파는 beta파의 주파수에 가까우며 근육이 긴장되거나 위험상태에서 집중할 때 발생하며, fast alpha파가 증가하면 두뇌활동의 최적상태가 유지되므로 기억력과 창의력이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 뇌는 alpha파에서 beta파로의 이행 준비 상태가 지속될 때 즉, fast alpha파 상태일 때 주의 집중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조합향료 3의 흡입으로 AFA가 감소하였다는 것은 뇌의 긴장도가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03
(4)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전두엽 Fpz 및 Af3, 측두엽 T7 및 T8, 두정엽 P7, P8 및 Pz 부위에서 ASA 지표가 감소하였다(표 8). ASA 지표는 slow alpha(8~10 Hz)파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이며,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나 약간 졸릴 때 나타나며 휴식을 하면서도 언제든지 활동할 수 있게 집중하고 있는 상태일 때 확인된다. 조합향료 3의 흡입으로 ASA가 감소하였다는 것은 활동 상태, 즉 긴장도가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04
(5) ALB(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두엽 Fc5 부위에서 ALB 지표가 감소하였다(표 9). ALB는 slow beta파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이다. Low beta파는 beta파의 12~30 Hz의 주파수 영역 중에서 12~15 Hz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며 대뇌 피질 중 감각 피질(sensory cortex)과 운동 피질(motor cortex)에서 발견되므로 SMR파라고도 한다. 휴식에서 활동으로 전환할 경우나 휴식에서 수면 상태로 전환될 때 완충 역할을 하는 뇌파로 신체의 움직임이 없는 운동감각 피질의 활동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비교적 단순한 과제를 수행할 때 우세하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05
(6) AMB(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및 AHB(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두엽 Fc5 및 Fc1, 후두엽 O1 부위에서 AMB 지표가 감소하였고(표 10), 측두엽 Cp6 부위에서 AHB 지표가 감소하였다(표 11). Mid beta파(15-20 Hz)는 계산, 암산과 같이 한 가지에 집중하면서 비교적 정신부하 수준이 높은 사고활동을 수행할 때 우세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igh beta파(20-30 Hz)는 복잡한 추론이나 정신부하가 높은 복잡한 정보처리 활동을 수행하거나 정서적인 긴장, 흥분, 초조, 스트레스 상태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합향료 3 흡입으로 AMB 지표와 AHB가 감소하였다는 것은 뇌가 긴장, 흥분, 초조,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 편안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06
Figure 112019018080618-pat00007
(7)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전두엽 Fp1, 전두엽 F8 및 Fc5, 측두엽 T8, 두정엽 P8, 후두엽 O1 및 Oz 부위에서 RA 지표가 증가하였다(표 12). RA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alpha파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alpha파 영역(8~13 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 Hz)으로 나누어 준 상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상대 파워 값은 뇌파 데이터의 개인차를 줄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우세한 주파수 대역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대파워 스펙트럼으로 뇌파를 주파수 대역 별로 분석하면 특정 주파수 대역이 어느 영역에서 우세를 보이고, 어떤 뇌 기능이 활성화되는지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조합향료 3의 흡입으로 RA 지표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정신적 안정 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08
(8)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전두엽 Fp1, Fp2, Afz, Fpz, Af3 및 Af4과 전두엽 F3, F4, F7, F8, Fz, Fc1, Fc5 및 Fc6, 측두엽 T3, T8 및 Cp6, 두정엽 P4, P8, Cz 및 Pz, 후두엽 O1, O2 및 Oz 부위에서 RFA 지표가 증가하였다(표 13). RFA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fast alpha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fast alpha파 영역(11~13 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 Hz)으로 나누어 준 상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09
(9)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후두엽 O1 부위에서 RLB 지표가 증가하였다(표 14). RLB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low beta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low beta파 영역(12~15 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 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10
(10) RST(Ratio of SMR to theta)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전두엽 Af3 및 Fpz, 전두엽 Fc1, 측두엽 T4, T7 및 T8, 두정엽 P7, P8 및 Pz, 후두엽 O1 부위에서 RST 지표가 증가하였다(표 15). RST 지표는 SMR파 영역을 theta파 영역으로 나눈 수치이다. SMR파는 13~15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으며, 주의력이 최고조일 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RST 지표는 주의, 집중을 나타내는 SMR파에 대한 theta파의 비율로 주의능력을 나타내는 뇌파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다. RST 지표와는 반대로 theta파 영역을 SMR파 영역으로 나눈 수치를 주의지수(Attention quotient)라 하여 뇌의 각성 정도와 면역기능을 판단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조합향료 3의 흡입으로 RST 지표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정신의 집중력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11
(11) RMT(Ratio of mid beta to theta)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전두엽 Af4 부위에서 RMT 지표가 증가하였다(표 16). RMT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mid beta/theta 비로 정해진 특정한 대상에만 초점을 맞추어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을 나타내는 뇌파 분석지표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합향료 3을 흡입시 RMT 지표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피험자들이 조합향료 3을 흡입하면서 정신이 집중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12
(12) RSMT(Ratio of SMR~mid beta to theta)
조합향료 3을 흡입 전과 흡입 중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 부착부위인 전전두엽 Af4 및 Fpz, 측두엽 T8 부위에서 RSMT 지표가 증가하였다(표 17). RSMT 지표는 신경생리학적 뇌파 집중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SMR~mid beta 파 영역은 뇌가 집중하는 상태에서 높은데 그때 theta 파가 같이 높으면 집중력이 떨어지는 상태가 되므로 RSMT 지표는 집중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합향료 흡입으로 RSMT 지표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조합향료 3의 흡입으로 피험자들이 집중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9018080618-pat00013

Claims (7)

  1.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7~8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5.2~6 중량%, 버테넥스(vertenex) 5.2~6.2 중량%,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2.1~2.5 중량%,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18~22 중량%,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1.8~2.2 중량%, 헤디온(hedione) 17~19 중량%, 산달로어(sandalore) 2~2.8 중량%,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1.6~1.8 중량%, 리나룰(linalool) 0.4~0.6 중량%, 플로로팔(floropal) 0.8~1 중량%, 플로롤(florol) 0.6~0.8 중량%, 머스크 티(musk t) 0.8~1.2 중량%,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0.7~0.9 중량%,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3~3.8 중량%, 오렌지 오일(orange oil) 5~6 중량%,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17~19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3.5~4.5 중량% 및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 0.08~0.12 중량%가 혼합된 향료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좌측 측두엽, 우측 측두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좌측 전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좌측 후두엽, 중앙 후두엽, 좌측 전두엽, 좌측 전전두엽 및 우측 측두엽에서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좌측 측두엽, 우측 측두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중앙 전전두엽, 좌측 전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AFA(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좌측 측두엽, 우측 측두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중앙 전전두엽 및 좌측 전전두엽에서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좌측 전두엽에서 ALB(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좌측 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AMB(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측두엽에서 AHB(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좌측 전전두엽, 좌측 후두엽,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우측 두정엽, 중앙 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고, 좌측 전전두엽, 우측 전전두엽, 중앙 전전두엽, 좌측 전두엽, 우측 전두엽, 중앙 전두엽, 좌측 측두엽, 우측 측두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좌측 후두엽, 우측 후두엽 및 중앙 후두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고, 좌측 후두엽에서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고, 우측 측두엽, 좌측 후두엽, 좌측 측두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중앙 전전두엽, 좌측 전전두엽 및 좌측 전두엽에서 RST(Ratio of SMR to theta)를 증가시키고, 우측 전전두엽에서 RMT(Ratio of 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키고, 우측 측두엽, 중앙 전전두엽 및 우측 전전두엽에서 RSMT(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건강기능식품.
  5.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
  6. 향료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틸 리나룰(ethyl linalool) 7~8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5.2~6 중량%, 버테넥스(vertenex) 5.2~6.2 중량%, 스티라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2.1~2.5 중량%, 아이소 이 수퍼(iso e super) 18~22 중량%, 하바놀라이드(habanolide) 1.8~2.2 중량%, 헤디온(hedione) 17~19 중량%, 산달로어(sandalore) 2~2.8 중량%,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1.6~1.8 중량%, 리나룰(linalool) 0.4~0.6 중량%, 플로로팔(floropal) 0.8~1 중량%, 플로롤(florol) 0.6~0.8 중량%, 머스크 티(musk t) 0.8~1.2 중량%,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50 ipm) 0.7~0.9 중량%, 그레이프푸르트 오일(grapefruit oil white) 3~3.8 중량%, 오렌지 오일(orange oil) 5~6 중량%,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17~19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3.5~4.5 중량% 및 블랙페퍼 오일(blackpepper oil) 0.08~0.12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긴장 완화 및 집중력 증가 효과를 지니는 향료 혼합물.
KR1020190019921A 2019-02-20 2019-02-20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5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21A KR102151761B1 (ko) 2019-02-20 2019-02-20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21A KR102151761B1 (ko) 2019-02-20 2019-02-20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038A KR20200102038A (ko) 2020-08-31
KR102151761B1 true KR102151761B1 (ko) 2020-09-03

Family

ID=7223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921A KR102151761B1 (ko) 2019-02-20 2019-02-20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074B1 (ko) * 2020-10-12 2021-05-31 (주)나우코스 아로마테라피를 이용한 뇌파 유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427B1 (ko) * 2020-10-30 2023-08-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향료 조성물
EP4190308A1 (de) * 2021-12-06 2023-06-07 Marome GmbH Schlafduft sowie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dies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951A (ja) 2000-09-08 2002-05-28 Hayashibara Bijutsu Minto:Kk 脳波抑制剤
JP2005290379A (ja) 2004-04-02 2005-10-20 Amorepacific Corp 生理・心理的治療効果を有する香料組成物
KR101349592B1 (ko) 2013-05-22 2014-02-13 김성문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377A (ja) * 1996-05-08 1997-11-25 Pola Chem Ind Inc ストレス緩和香料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20120131970A (ko) * 2011-05-27 2012-12-05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951A (ja) 2000-09-08 2002-05-28 Hayashibara Bijutsu Minto:Kk 脳波抑制剤
JP2005290379A (ja) 2004-04-02 2005-10-20 Amorepacific Corp 生理・心理的治療効果を有する香料組成物
KR101349592B1 (ko) 2013-05-22 2014-02-13 김성문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074B1 (ko) * 2020-10-12 2021-05-31 (주)나우코스 아로마테라피를 이용한 뇌파 유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038A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761B1 (ko)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55737B1 (ko) 긴장완화용 블루베리향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1970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4543B1 (ko) 오미자 정유 및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
KR101843977B1 (ko) 뇌파 지표 rsmt, rb, rmt, afa를 증가시키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구상나무 혼합 향료 조성물
KR1021517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로마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트로피칼 패션 플라워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60B1 (ko)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KR102060957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딥 포레스트 믹스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33673B1 (ko)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06628B1 (ko) 두뇌의 쾌적성 및 집중력을 증진시키는 아쿠아 그린 구상나무 향료 조성물
KR102570019B1 (ko)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6624B1 (ko) 두뇌의 집중력을 증진시키는 프루티 프로랄 구상나무 향료 조성물
KR102340205B1 (ko) 두뇌의 집중력을 높이고 각성을 증가시키는 우디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2369379B1 (ko) 스트레스 완화용 그루망 플로랄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2363321B1 (ko)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KR101877290B1 (ko)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오미자와 참당귀 정유를 함유하는 포도향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13255B1 (ko)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20200055339A (ko) 시트러스의 쌉싸름함, 칼라만시의 달콤함, 국내산 박하 오일의 시트러스 민트 향이 복합적으로 어울어져 달콤하면서도 시트러스 민트 풍미를 나타내면서 섭취시 전두엽 Fp2 부위에서 RSMT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집중 효과를 나타내는 플래버 조합향료 조성물
KR20210135741A (ko)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뇌를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루망 플로랄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1538417B1 (ko) 천궁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KR20200055335A (ko)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KR101577643B1 (ko)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44814B1 (ko)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