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335A -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335A
KR20200055335A KR1020180138883A KR20180138883A KR20200055335A KR 20200055335 A KR20200055335 A KR 20200055335A KR 1020180138883 A KR1020180138883 A KR 1020180138883A KR 20180138883 A KR20180138883 A KR 20180138883A KR 20200055335 A KR20200055335 A KR 20200055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ring
absolute
power spectrum
oil
be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희
김민주
송지은
손하라라잔 칸다사미
Original Assignee
최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희 filed Critical 최연희
Priority to KR102018013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5335A/ko
Publication of KR2020005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시 인간의 전두엽 다양한 지점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진정시키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플로랄 이미지에 맞는 천연물인 로즈 앱솔루트(rose absolute)와 재스민 삼박(jasmine sambac)과 달콤한 이미지에 맞는 천연물인 리날룰(linolool) 등을 사용하여 풍부한 꽃의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자연의 느낌을 강조하기 위하여 초임계이산화탄소유체 추출법으로 추출된 당귀 정유와 진피 정유를 첨가하여 풍요로운 이미지를 구축한 복합 향료를 흡입시 전두엽 다양한 지점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Fruity Jasmine Floral Fragrance Composition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Brain Concentration by Reducing 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in Frontal Lobes}
본 발명은 흡입시 인간의 전두엽 다양한 지점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편안하게 하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플로랄 이미지에 맞는 천연물인 로즈 앱솔루트(rose absolute)와 재스민 삼박(jasmine sambac)과 달콤한 이미지에 맞는 천연물인 리날룰(linolool) 등을 사용하여 풍부한 꽃의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자연의 느낌을 강조하기 위하여 초임계이산화탄소유체 추출법으로 추출된 당귀 정유와 진피 정유를 첨가하여 풍요로운 이미지를 구축한 복합 향료를 흡입시 전두엽 다양한 지점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향수는 휘발성의 향기 화합물 원료인 정유(essential oils)를 에탄올로 희석한 제품으로 이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향료는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로 나뉜다. 천연향료는 동물로부터 얻는 동물향료와 식물로부터 얻는 식물향료로 나뉜다. 동물향료로는 향류고래로부터 얻는 앰버그리스(ambergris), 사향노루로부터 얻는 무스크(musk), 사향고양이로부터 얻는 시벳(vivette), 비버로부터 얻는 캐스토리움(castorium)이 있지만 요즈음은 잘 사용되고 있지 않다. 식물향료는 약 1,500여 종의 식물의 꽃, 잎, 과실, 종자, 수지, 뿌리, 줄기를 증류, 추출, 압착 등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지만 순도가 낮고, 추출 및 증류시 향취 변화가 심하며, 생산지역, 수확시기 및 수확후 보관방법에 따라 강도와 품질변화가 심하며, 공급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지금은 약 200여 종 정도가 시장에서 시판되고 있다.
유기합성 향료는 실험실에서 유기합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데 천연향보다는 순도가 높아 사용하기 저렴하고, 안정적이며 보존기간이 길고, 농도가 높으며, 계절적 공급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향료업계에서는 주로 많이 선호되고 있다. 유기합성 향료의 대표적인 예로는 샤넬 No.5에 사용되는 알데히드를 들 수 있다.
향료 하나 하나는 각각의 독특하고 고유한 향취를 나타내는데 이를 향조 또는 노트라고 한다. 향조는 일반적으로 시트러스(citrus), 플로랄(floral), 그린(green), 프루티(fruity), 알데히드(aldehyde), 오리엔탈(oriental), 스파이시(spicy), 우디(woody), 시프레(psypre), 후제아(fougere), 마린(marine), 그리고 구루망(gourmand)으로 나타낸다. 향료를 여러 개를 섞으면 각각의 향료가 나타내는 향취가 변하게 된다. 단품 향료를 여러 개를 섞는 것을 조향이라고 하는데 이를 통해서 다양한 향취를 갖는 조합향료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조합향료는 용도에 따라서 프래그런스(방향향료)와 플래버(식품향료)로 나뉜다. 프래그런스는 정유의 함유량에 따라 제품의 명칭은 향수(15-30%), 오 드 퍼퓸(15-18%), 오 드 토일렛(4-8%), 오 드 코롱(3-5%)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조합향료를 섞어 새로운 향료제품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뿌렸을 때 향이 즉시 나타나는 탑 노트, 향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미들 노트, 그리고 향기에 깊이와 볼륨을 부여하는 라스트 노트가 상호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인간이 향수를 흡입하게 되면 향기분자들이 비강을 따라 이동하여 후각수용체(olfactory receptors)와 결합하면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후구(olfactory bulb)에 있는 후각로(olfactory tract)를 따라 대뇌피질에 전달되면 뇌 활성화가 이루어진다(Sowndhararajan K, Kim S (2016) Influence of fragrances on human psychophysiological activ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response. Sci. Pharm. 84(4):724-751). 대뇌피질이 어떤 자극에 의해 활성화가 이루어지면 뇌파(brain wave)가 발생하는데 뇌파는 인간의 대뇌피질의 신경계에서 뉴런들 사이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이다.
두피에 대뇌 전기활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전극을 붙이고 얻은 파형을 그래프로 기록하고 이를 분석하며 뇌의 자율적인 활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인 뇌파는 뇌의 활동을 기록하고 관찰함으로써 인간에 뇌에 관한 각성, 활성, 불안 및 안정 등의 인간의 정신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뇌파는 객관적, 비침습적,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지과학, 의학, 약학, 범죄조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뇌파는 주로 0~60 Hz 주파수와 5~300 μV의 진폭을 나타내는데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delta파(0~4 Hz), theta파(4~8 Hz), alpha파(8~13 Hz), beta파(13~30 Hz), gamma파(30~50 Hz)로 나뉜다. Delta파, theta파는 서파(slow wave)이며 두뇌 내부의 정보를 활용해 생각하고 활동할 시에 나타난다. Alpha파보다 높은 beta파는 속파(fast wave)이다. 뇌파분석에서는 절대 파워값(absolute power)뿐만 아니라 두개골의 두께 차이, 두피의 전기적 상태, 긴장도와 같은 개인차를 줄이고 정확한 뇌파반응을 분석할 수 있는 상대 파워값(relative power)이 사용된다.
(긴장완화용 베타카로틴 혼합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서 조 등(2017)은 긴장완화용 베타카로틴 혼합조성물을 개발하고 이의 뇌파를 측정하였는데 우측 측두엽에서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중앙 두정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좌측 후두엽 및 우측 후두엽에서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측두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중앙 두정엽에서 RSA(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유도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허문헌 1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는 전혀 다르고 또 이들 조성물로 인한 뇌파 차이도 발견되었기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시음시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민들레 혼합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서 김 등(2018)은 민들레 혼합 추출액이 시음시에 좌측 전전두엽, 우측 전두엽, 좌측 후두엽, 우측 후두엽, 중앙 후두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및 좌측 두정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와 중앙 전전두엽에서 ASEF(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의 증가를 유도하여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효능에 대해 보고하였다 (김성수, 김민주, 칸다사미 손하라라잔, 김성문. 시음시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민들레 혼합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대한민국특허 10-1847375). 본 발명과 특허문헌 05와는 조성물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지고 인체적용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기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집중력 강화 및 심리적 안정용 매실차 조성물 및 이의 용도)은 시음시 우측 전전두엽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및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전두엽에서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및 RST(Ratio of SMR to Theta)의 감소를, 우측 전두엽 및 좌측 측두엽에서 ASEF(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의 감소를 유도하는 매실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는 조성물에 있어서 차이가 클 뿐만 아니라 인체 적용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서 이와 서(2011)는 파출리 오일, 프랭킨센스 오일, 샌들우드 오일로 이루어진 향료 조성물은 알파파를 증가시키고, 베타파를 감소시켜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이은주, 서형제. 2012.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1100050499).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에서 차이가 있으며, 또한 이들 조성물로 인한 뇌파 차이도 발견되었기에 상이하다고 판단된다.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서 최와 이(2011)는 진범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범 향취를 재현한 조합향료를 만들었는데 이에 함유된 조성물은 cis-3-hexenol, linalool, terpineol, nerol, alpha-ionone, geraniol, phenylethyl alcohol, beta-caryophyllene, coriander oil, thyme oil, angelica oil, myrrhe resinoid, copahu balsam oil, olibanum resinoid, bergamot oil, target oil, ginger oil, patchouli oil, vertiver oil, isocyclo citral, stemon, 2-methyl pyrazine, camphene, viridine, benzyl benzoate 이었고, 이 조성물은 EEG 검사시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A) 과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AT)를 감소시켜 뇌에 각성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연희, 이세미.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11-0093066). 본 특허의 조성물에서는 진범(Aconitum psedo-laeve var. erectum NAKAI) 향료가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기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에서 홍 등(2006)은 산달우드 오일, 세다우드 오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라벤더 오일, 일랑일랑 오일 및 인삼향을 함유하는 복합물은 뇌 우반구의 알파파를 증가시켜 스트레스 완화효과와 쾌감 및 진정감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홍연주, 전병배, 서형제. 2006.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06-0030871). 특허문헌 03에서 사용된 복합조성물은 본 특허의 조성물과는 상이하였으며, 또한 이로 인한 뇌파 변화 역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맨틱한 감정을 일으키는 향료 조성물)에서 전과 서(2007)는 네롤리 오일과 일랑일랑 오일의 복합향은 알파파에 대한 베타파의 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병배, 서형제. 2007. 로맨틱한 감정을 일으키는 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07-0118380). 특허문헌 02에서 사용된 조성물은 본 특허의 조성물과는 상이하였으며, 이로 인한 뇌파 결과 역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다양한 플로랄 이미지에 맞는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이용하여 풍부한 플로랄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전전두엽에서 베타파나 감마파의 발현이 감소하여 뇌가 편안해지는 특징을 갖는 조합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 다양한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이용하여 플로랄 향취를 갖는 조합향료 조성물을 제작하는 단계, (2) 향료 조성물의 선호도 조사 단계, (3) 향료 조성물의 뇌파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리날룰(linalool),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에틸 리날룰(ethyl linalool),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플로롤(florol), 제라니올(geraniol), 이소 이 수퍼(iso e super), 암브로픽스(ambrofix), 헤디온(hedion), 인돌(indole), 무스크 T(musk T), 헬리오날(helional), 그레이프후르트 오일 화이트(grapefruit white), 오렌지 오일(orange oil), 로즈 오일(rose oil), 일랑 오일 엑스트라(yalng oil extra), 재스민 삼박 앱솔루트(jasmin sambac absolute), 마욜(mayol), 무세논(muscenone), 당귀 오일, 진피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로 구성된 것으로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한 향취를 특징으로 한다. 조합향료를 흡입시에는 전두엽 다양한 지점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조합항료는 흡입시 두엽 다양한 지점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징을 나타내기 때문에 스트레스로부터 뇌를 편안하게 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다양한 향 산업제품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국제 10-20 뇌파검사 시스템의 전극 부착 부위를 나타낸다.
도 2는 뇌파 검사를 위해 검사용 캡을 쓴 피험자의 사진이다.
이하, 발명의 내용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적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시료 확보
본 발명의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료를 개발하는데 사용된 리날룰(linalool),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에틸 리날룰(ethyl linalool),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플로롤(florol), 제라니올(geraniol), 이소 이 수퍼(iso e super), 암브로픽스(ambrofix), 헤디온(hedion), 인돌(indole), 무스크 T(musk T), 헬리오날(helional), 그레이프후르트 오일 화이트(grapefruit white), 오렌지 오일(orange oil), 로즈 오일(rose oil), 일랑 오일 엑스트라(yalng oil extra), 재스민 삼박 앱솔루트(jasmin sambac absolute), 마욜(mayol), 무세논(muscenon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는 카스 넘버(CAS Number)가 명확하게 명기된 시료를 국내의 원료공급업체로부터 구입하였다. 그리고 당귀 오일, 진피 오일은 초임계이산화탄소 유체 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시료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체 추출장치(ISA-SCCO-S-050-500, ILSHIN, Korea)에 당귀 또는 진피 각각 100 g을 추출조의 시료용기에 넣고 액체 이산화탄소의 압력과 온도를 각각 400 bar와 50oC에서 정유를 추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참당귀 시료의 추출 압력과 온도는 선행연구(압력, 200, 300, 400 bar; 온도 40, 50, 60oC)를 통해 가장 높은 회수율을 나타내었던 조건에 따른 것이다. 최적 온도, 압력 조건에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1 시간동안 흘려주면서 정유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정유는 무수황산나트륨이 담겨 있는 삼각깔대기에 통과시켜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시켰으며, 수집된 정유는 향취분석, 성분분석, 뇌파분석시까지 4oC의 냉장고에서 보관하였다. 일반적으로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된 당귀오일의 경우 약간은 herbal하고 camporus한 향취가 강했고 진피오일의 경우 약간은 herbal, camporus, citrus한 향취가 강했던 반면, 초임계이산화탄소 유체 추출법으로 추출된 오일의 경우에는 herbal 한 향취가 사라진 맑고 깔끔한 당귀와 진피 고유의 향취를 느낄 수 있었다.
실시예 2.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향료 조성물 개발
본 발명의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는 과일의 달콤함과 꽃 향기가 복합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신규의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를 갖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리날룰(linalool),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에틸 리날룰(ethyl linalool),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플로롤(florol), 제라니올(geraniol), 이소 이 수퍼(iso e super), 암브로픽스(ambrofix), 헤디온(hedion), 인돌(indole), 무스크 T(musk T), 헬리오날(helional), 그레이프후르트 오일 화이트(grapefruit white), 오렌지 오일(orange oil), 로즈 오일(rose oil), 일랑 오일 엑스트라(yalng oil extra), 재스민 삼박 앱솔루트(jasmin sambac absolute), 마욜(mayol), 무세논(muscenon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당귀 오일, 진피 오일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8종을 개발하였다. 본 실시예의 당귀 오일과 진피 오일은 초임계이산화탄소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향료로 강원대학교 김성문교수로부터 공급받은 것을 사용하였다.
신규의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료 개발을 위한 조성물과 조성비
향료 성분 CAS No. 조합향료 1 조합향료 2 조합향료 3 조합향료 4 조합향료 5 조합향료 6 조합향료 7 조합향료 8
1 linalool 78-70-6 2.0 1.8 1.6 1.4 1.2 1.0 0.8 0.6
2 linalyl acetate 115-95-7 2.0 1.8 1.6 1.4 1.2 1.0 0.8 0.6
3 ethyl linalool 10339-55-6 1.0 1.2 1.5 2.0 2.5 3.0 3.5 4.0
4 benzyl acetate 140-11-4 1.2 1.4 1.6 1.8 2.0 2.0 2.0 2.0
5 florol 63500-71-0 1.0 2.0 2.5 3.0 4.0 5.0 6.0 7.0
6 geraniol 106-24-1 1.0 1.2 1.5 2.0 2.5 3.0 3.5 4.0
7 iso e super 54464-57-2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8 ambrofix 6790-58-5 1.0 1.2 1.5 2.0 2.5 3.0 3.5 4.0
9 hedion 24851-98-7 19.0 21.0 24.0 27.0 30.0 31.0 35.0 37.0
10 galaxolide 1222-05-5 1.0 2.0 3.0 4.0 5.0 6.0 0.0 0.0
11 indole 120-72-9 0.1 0.1 0.1 0.1 0.1 0.1 0.1 0.1
12 musk T 105-95-3 16.5 16.5 14.5 14.5 10.5 10.5 6.5 6.5
13 helional 1205-17-0 1.2 1.4 1.6 1.8 2.0 2.0 2.0 2.0
14 grapefruit oil white 8016-20-4 2.0 1.8 1.6 1.4 1.2 1.0 0.8 0.6
15 orange oil 8008-57-9 1.0 1.2 1.5 2.0 2.5 3.0 3.5 4.0
16 rose absolute 8007-01-0 0.1 0.1 0.1 0.1 0.1 0.1 0.1 0.1
17 ylang oil extra 8006-81-3 0.1 0.1 0.1 0.1 0.1 0.5 0.5 0.5
18 jasmin sambac absolute 91770-14-8 0.1 0.1 0.1 0.1 0.2 0.2 0.2 0.2
19 mayol 5502-75-0 20.6 22.6 21.6 22.6 6.0 7.0 8.0 9.0
20 muscenone 82356-51-2 0.5 0.5 0.5 0.5 0.5 0.5 0.5 0.5
21 당귀 오일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22 진피 오일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23 isopropyl myristate 110-27-0 18.5 11.9 9.4 2.1 15.8 10.0 12.6 7.2
함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3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료 조성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
본 실시예 2에서 조향된 8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10대-30대의 일반 소비자 100명 으로 시향지(0.5 cm x 13 cm)에 적신 다음, 코로부터 5cm 되는 위치에서 향을 맡게 하고 가장 선호하는 향료에 10점, 가장 비선호하는 향료에 0을 주도록 하였다. 선호도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값을 구하였고, 이를 표 2 나타내었다.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 조성물 8종에 대한 선호도 조사결과, 10대-30대의 소비자들은 조합향료 6의 조성물을 가장 좋아하였다(선호도 평균 9.2). 선호도가 가장 낮았던 것은 조합향료 1로 선호도가 1.2이었다.
조합향료 8종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소비자 선호도 조합향료 1 조합향료 2 조합향료 3 조합향료 4 조합향료 5 조합향료 6 조합향료 7 조합향료
8
평균값 1.2 3.9 5.7 5.3 8.4 9.2 7.5 6.2
실시예 4.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6이 인간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3을 통하여 소비자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조합향료 6을 흡입시에 인간의 뇌 활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하여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를 측정하였다. 뇌파측정은 최대한 잡음이 혼입되지 않은 온도 23oC, 습도 50%가 유지되는 32.4 m2 크기의 실험실에서 남녀 각각 10명씩 총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뇌파측정을 위해 사용한 뇌파측정기기는 QEEG-32 System (LAXTHA Inc. Korea)이었으며,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LAXTHA의 데이터 수집 장비 및 분석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피험자들에게 10~20 국제표준 전극 부착법을 이용하여 8개의 접지전극을 뇌파전용 Electro-Gel(Electro-Cap Internationals, Inc. U.S.A.)을 사용하여 좌측과 우측 전전두엽 (Fp1, Fp2), 좌측과 우측 전두엽 (F3, F4), 좌측과 우측 측두엽 (T3, T4), 좌측과 우측 두정엽 (P3, P4) 부분에 부착하고 오른쪽과 왼쪽 귓볼 뒷부분에도 각각 하나씩의 전극(CovidienTM)을 부착하였다 (도 4). 윗면 지름 5 cm, 높이 4.8 cm, 아랫면 지름 3.5 cm의 종이컵에 가로 3.5 cm, 세로 4 cm의 거즈를 넣고 피펫을 이용해 정유를 첨가하여 거즈에 고루 뭍인 후, 피험자의 코로부터 약 5 cm 거리를 유지하고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포도향료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 상태(향자극)로 하여 각각 45초씩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조합향료 6에 대한 뇌파측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 처리는 피험자의 뇌파신호 중 대표적인 30초간의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뇌파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수행한 후,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SPSS(SPSS 18.0 version)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료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 중(향자극)에 얻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뇌파지표의 종류는 표 3에, 그리고 각각의 뇌파 지표의 의미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지표의 종류
No. 분석 지표 뇌파분석 지표2.3의 전체 이름 파장대(Hz)
1 AT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4~8
2 AA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8~13
3 AB Absolute Beta Power Spectrum 13~30
4 AG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30~50
5 AFA 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
6 ASA 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
7 ALB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
8 AMB 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
9 AHB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
10 RT Relative Theta Power Spectrum (4~8) / (4~50)
11 RA 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8~13) / (4~50)
12 RB Relative Beta Power Spectrum (13~30) / (4~50)
13 RG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30~50) / (4~50)
14 RFA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 / (4~50)
15 RSA 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 / (4~50)
16 RLB 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 / (4~50)
17 RMB 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 / (4~50)
18 RHB 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 / (4~50)
19 RST Ratio of SMR to Theta (12~15) / (4~8)
20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15~20) / (4~8)
21 RSMT Ratio of (SMR~Mid Beta) to Theta (12~20) / (4~8)
22 RAHB Ratio of Alpha to High Beta (8~13) / (20~30)
23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4~50
24 SEF90 Spectral Edge Frequency 90% 4~50
25 ASEF 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 8~13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 지표의 의미
No. 분석 지표 의미
1 AT Theta파의 절대파워 (명상, 졸릴때)
2 AA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안정)
3 AB Beta파의 절대파워 (긴장, 각성, 활성, 인지작용)
4 AG Gamma파의 절대파워 (고도의 인지작용 또는 불안, 흥분)
5 AFA Fast alpha파의 절대파워 (편안하면서 몰입, 창의력)
6 ASA Slow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7 ALB Low beta파의 절대파워, SMR파라고도 함 (주의나 경계)
8 AMB Mid beta파의 절대파워 (집중, 주의)
9 AHB High beta파의 절대파워 (스트레스, 정신부하, 긴장)
10 RT 전체 중 theta파의 비율
11 RA 전체 중 alpha파의 비율
12 RB 전체 중 beta파의 비율
13 RG 전체 중 gamma파의 비율
14 RFA 전체에서 fast alpha파의 비율
15 RSA 전체에서 slow alpha파의 비율
16 RLB 전체에서 low beta파의 비율
17 RMB 전체에서 mid beta파의 비율
18 RHB 전체에서 high beta파의 비율
19 RST 전체 중 SMR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0 RMT 전체 중 mid beta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1 RSMT SMR~mid beta파/theta파 (뇌파집중지표)
22 RAHB Alpha파/high beta파 (안정 및 이완도)
23 SEF5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 (뇌파각성)
24 SEF9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 (정신부하, 스트레스)
25 ASEF Alpha파의 SEF50 (쾌적성: fast alpha파가 많음)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6이 인간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25개의 지표 중 AB 파워 스펙트럼, AG 파워 스펙트럼, AMB 파워 스펙트럼, AHB 파워 스펙트럼, RMT 파워 스펙트럼, RSMT 파워 스펙트럼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p<0.05)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조합향료 6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부착부위인 전두엽 Fpz 부위에서 AB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p<0.05)하게 감소하였다(표 5).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 파워 스펙트럼은 beta 파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나타내는데, beta 파는 14 Hz 이상 30 Hz 미만의 주파수 영역과 2~20 μV 범위의 진폭을 가진 속파에 속하는 뇌파로 정신적인 활동이나 신체적인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동뇌파 혹은 각성뇌파라고도 불리우는 beta 파는 일상적인 생활을 할 때 정상적으로 전두엽에서 많이 나타나며 집중하여 정신활도을 할 때에는 뇌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확인도 가능하다(조해미. 2014. 삽주 정유가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또한 beat 파는 불안과 같은 긴장상태와 스트레스에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각적, 정서적 자극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합향료 6은 흡입시 뇌가 집중, 긴장, 각성으로부터 편안해졌다는 것을 시사하여 준다.
조합향료 6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absolute beta power spectrum 변화
AB (Absolute b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20 378.5417 767.4391 1.1115 0.2802
During 20 217.0454 284.4172
Fp2 Before 20 238.9643 306.6901 -0.8155 0.4249
During 20 321.1678 554.1574
F3 Before 20 276.2981 592.3565 -0.5875 0.5638
During 20 318.7412 500.7827
F4 Before 20 432.2432 757.5363 -0.3487 0.7312
During 20 498.1133 932.4983
T3 Before 20 253.0480 552.1323 1.3347 0.1977
During 20 189.0785 372.6191
T4 Before 20 136.6525 257.8653 0.8337 0.4148
During 20 111.4119 188.9953
P3 Before 20 252.3452 408.3781 -0.8165 0.4243
During 20 333.7042 666.4981
P4 Before 20 203.2893 376.8817 0.8142 0.4256
During 20 174.3064 297.9113
O1 Before 20 386.1615 674.4280 0.3512 0.7293
During 20 325.6628 582.5297
O2 Before 20 363.6089 675.1311 0.2858 0.7781
During 20 325.7605 717.7617
F7 Before 20 291.3460 592.1259 0.3225 0.7506
During 20 256.6722 599.2006
F8 Before 20 561.4496 884.5080 1.4949 0.1514
During 20 363.1382 505.3550
T7 Before 20 323.5090 533.3654 0.3801 0.7081
During 20 268.3382 523.4561
T8 Before 20 154.8219 249.4057 -0.0025 0.9980
During 20 154.9754 338.5882
P7 Before 20 167.1682 309.6009 0.8193 0.4228
During 20 107.7786 218.1474
P8 Before 20 159.7480 263.7170 1.2791 0.2163
During 20 108.9039 183.3331
Afz Before 20 156.5648 260.0925 0.8114 0.4272
During 20 132.5100 199.1840
Cz Before 20 468.8086 582.1907 0.1423 0.8883
During 20 460.5383 676.3578
Fz Before 20 492.3127 813.4642 0.6111 0.5484
During 20 432.4056 735.4746
Pz Before 20 346.7187 713.4847 1.7803 0.0910
During 20 144.4680 289.0171
Fpz Before 20 648.8982 832.9878 2.2258 0.0383
During 20 343.8496 482.2243
Oz Before 20 288.6914 360.9015 0.7757 0.4475
During 20 262.6641 337.5101
Af3 Before 20 153.5225 257.8403 0.8518 0.4049
During 20 128.4057 193.9016
Af4 Before 20 498.2056 782.9641 0.0233 0.9817
During 20 494.0401 633.2806
Fc1 Before 20 188.9330 319.9115 0.1096 0.9139
During 20 178.7995 338.8383
Fc2 Before 20 505.1784 690.2101 1.2127 0.2401
During 20 339.8279 393.4618
Fc5 Before 20 564.0900 866.0804 0.1881 0.8528
During 20 543.6751 1049.4872
Fc6 Before 20 623.2675 1125.0524 0.7440 0.4660
During 20 482.5533 1054.0917
Cp1 Before 20 237.4590 415.7537 -0.2480 0.8068
During 20 277.6602 677.0562
Cp2 Before 20 219.0874 272.8307 1.0065 0.3268
During 20 187.8114 208.2430
Cp5 Before 20 457.1832 732.3698 1.4041 0.1764
During 20 373.9866 572.1508
Cp6 Before 20 388.7710 877.6077 -0.2383 0.8142
During 20 437.5587 1010.0084
Fp1/Af3 : left prefrontal, Fp2/Af4 : Right prefrontal, Fpz/Afz : Central prefrontal, F3/F7/Fc1/Fc5 : Left frontal, F4/F8/Fc2/Fc6 : Right frontal, Fz : Central frontal, T3/T7/Cp5 : Left tomporal, T4/T8/Cp6 : Right temporal, P3/P7/Cp1 : Left parietal, P4/P8/Cp2 : Right parietal, Cz/Pz : Central parietal, O1: Left occipital, O2: Right occipital, Oz : Central occipital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조합향료 6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두엽 Fp2, Fpz, 측두엽 Fc6 부위에서 AG 지표가 감소하였다. 감마파는 주파수 30-50 Hz에 해당하는 두뇌 활동 파 중에서 가장 속파에 속하며 정서적으로 더욱 초조한 상태나 추리, 판단 등 고도의 인지작용시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합향료 6의 흡입으로 AG 지표가 감소하였다는 것은 뇌가 초조한 상태로부터 벗어나 편안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합향료 6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변화
AG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20 133.1907 203.8320 0.8635 0.3986
During 20 106.3825 141.8671
Fp2 Before 20 134.8157 194.9875 2.4161 0.0259
During 20 108.8025 168.5978
F3 Before 20 140.1524 298.4202 -0.5500 0.5887
During 20 146.4511 283.6580
F4 Before 20 160.3585 265.2165 0.4713 0.6428
During 20 130.7070 281.1212
T3 Before 20 89.2548 159.9033 -0.3032 0.7651
During 20 94.8445 212.0145
T4 Before 20 59.3264 105.9082 1.2950 0.2108
During 20 48.5219 83.2001
P3 Before 20 133.3005 288.1523 0.7502 0.4623
During 20 101.7510 143.0505
P4 Before 20 115.2285 262.2601 1.3636 0.1886
During 20 88.9219 184.6830
O1 Before 20 129.2583 153.1486 -0.6472 0.5253
During 20 143.6444 194.9571
O2 Before 20 163.9744 301.8346 1.4294 0.1691
During 20 104.9908 202.5315
F7 Before 20 121.9359 234.5604 -0.1716 0.8656
During 20 124.4680 276.8759
F8 Before 20 159.9543 226.6934 0.8109 0.4274
During 20 138.0903 210.2778
T7 Before 20 94.6937 151.6738 0.4959 0.6257
During 20 75.8515 121.7265
T8 Before 20 74.5141 115.7777 1.5296 0.1426
During 20 56.7045 109.9260
P7 Before 20 63.4231 117.3407 0.7258 0.4768
During 20 44.6034 89.4087
P8 Before 20 74.0688 117.7820 1.8391 0.0816
During 20 50.1986 89.3985
Afz Before 20 75.4062 120.5824 1.5487 0.1380
During 20 62.3684 97.9702
Cz Before 20 186.4048 256.1692 1.3330 0.1983
During 20 146.5023 157.1274
Fz Before 20 187.0074 239.0799 1.5089 0.1478
During 20 151.8207 184.4794
Pz Before 20 98.3907 162.1166 1.5800 0.1306
During 20 70.1250 153.3853
Fpz Before 20 204.4290 272.1738 2.5121 0.0212
During 20 123.6937 204.5022
Oz Before 20 130.5567 155.7120 -0.9815 0.3387
During 20 169.6006 285.4822
Af3 Before 20 66.6268 106.1282 1.3319 0.1986
During 20 55.5142 84.7894
Af4 Before 20 195.7138 224.7310 1.2557 0.2245
During 20 155.8615 151.4478
Fc1 Before 20 83.8724 140.7089 0.4277 0.6737
During 20 69.6347 116.1076
Fc2 Before 20 191.3699 214.2520 0.8553 0.4030
During 20 156.4985 182.8385
Fc5 Before 20 205.0239 250.8248 1.6514 0.1151
During 20 131.0639 161.0505
Fc6 Before 20 188.0840 295.8439 2.1946 0.0408
During 20 90.5015 122.6875
Cp1 Before 20 121.2590 255.2133 0.3925 0.6990
During 20 96.1003 185.3786
Cp2 Before 20 115.8902 151.7429 1.5838 0.1297
During 20 87.6321 102.0325
Cp5 Before 20 158.2265 245.2144 -0.0006 0.9995
During 20 158.2494 311.3247
Cp6 Before 20 71.9583 100.6493 -1.4557 0.1618
During 20 144.2135 268.6302
Fp1/Af3 : left prefrontal, Fp2/Af4 : Right prefrontal, Fpz/Afz : Central prefrontal, F3/F7/Fc1/Fc5 : Left frontal, F4/F8/Fc2/Fc6 : Right frontal, Fz : Central frontal, T3/T7/Cp5 : Left tomporal, T4/T8/Cp6 : Right temporal, P3/P7/Cp1 : Left parietal, P4/P8/Cp2 : Right parietal, Cz/Pz : Central parietal, O1: Left occipital, O2: Right occipital, Oz : Central occipital
본 실시예에서 조합향료 6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두엽 Fpz 부위에서 AMB 지표와 AHB 지표가 감소하였다. Mid beta 파(15-20 Hz)는 계산, 암산과 같이 한 가지에 집중하면서 비교적 정신부하 수준이 높은 사고활동을 수행할 때 우세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igh beta 파(20-30 Hz)는 복잡한 추론이나 정신부하가 높은 복잡한 정보처리 활동을 수행하거나 정서적인 긴장, 흥분, 초조, 스트레스 상태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합향료 6 흡입으로 AMB 지표와 AHB 지표가 특히 인간의 사고를 담당하는 전두엽 부위에서 감소하였다는 것은 뇌가 긴장, 흥분, 초조,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 편안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합향료 6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변화
AMB (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20 256.9747 682.8210 1.1948 0.2469
During 20 88.4361 126.6072
Fp2 Before 20 108.9650 191.7756 -1.0175 0.3217
During 20 206.3096 481.9969
F3 Before 20 166.9640 521.0652 -0.5557 0.5849
During 20 203.9873 443.4671
F4 Before 20 343.4737 698.7785 -0.4408 0.6643
During 20 423.1585 875.8714
T3 Before 20 152.7480 457.9894 1.2254 0.2354
During 20 111.9792 315.6637
T4 Before 20 49.7950 98.3993 0.7107 0.4859
During 20 41.5386 71.1910
P3 Before 20 151.7009 318.3942 -1.0302 0.3158
During 20 246.4507 618.2660
P4 Before 20 103.2262 255.9996 0.3556 0.7261
During 20 95.7460 205.3351
O1 Before 20 223.6426 606.5872 0.1604 0.8742
During 20 196.8415 501.9985
O2 Before 20 259.0332 607.9735 0.0277 0.9782
During 20 255.5237 674.4583
F7 Before 20 198.2014 513.1234 0.1823 0.8573
During 20 178.0133 536.8250
F8 Before 20 411.8276 802.3783 1.3289 0.1996
During 20 238.8457 446.9588
T7 Before 20 231.1332 464.4171 0.3013 0.7665
During 20 189.9326 478.0223
T8 Before 20 67.2992 107.6453 -0.3559 0.7259
During 20 85.9792 246.7445
P7 Before 20 102.0724 222.1997 0.6768 0.5067
During 20 60.9896 158.9135
P8 Before 20 74.5399 141.4862 1.1951 0.2468
During 20 40.9723 68.8535
Afz Before 20 56.8841 99.0026 0.7802 0.4449
During 20 48.1013 72.8152
Cz Before 20 304.1901 529.1586 -0.3577 0.7245
During 20 321.7250 626.3240
Fz Before 20 340.1685 753.1274 0.4089 0.6872
During 20 303.3300 671.5225
Pz Before 20 259.3192 654.2649 1.6643 0.1125
During 20 81.2426 226.4232
Fpz Before 20 522.7498 773.2745 2.1556 0.0441
During 20 228.1469 416.3814
Oz Before 20 137.6029 222.7097 -0.0038 0.9970
During 20 137.6709 241.3591
Af3 Before 20 56.0491 98.9981 0.6853 0.5014
During 20 48.4092 73.4867
Af4 Before 20 316.2935 710.4625 -0.1532 0.8799
During 20 343.6938 575.5399
Fc1 Before 20 97.4686 213.4034 -0.1059 0.9168
During 20 105.9722 282.7083
Fc2 Before 20 326.3685 608.6571 0.9343 0.3619
During 20 200.7917 291.3095
Fc5 Before 20 395.6773 778.7068 -0.2206 0.8277
During 20 416.7756 974.4077
Fc6 Before 20 505.0972 1062.1402 0.7155 0.4830
During 20 369.7617 982.6677
Cp1 Before 20 149.5335 328.7504 -0.2672 0.7922
During 20 189.6991 622.3751
Cp2 Before 20 79.3425 103.1786 0.7793 0.4454
During 20 70.2487 79.5128
Cp5 Before 20 328.2429 666.7293 1.0821 0.2928
During 20 269.4308 524.6882
Cp6 Before 20 305.2530 788.8121 -0.1951 0.8474
During 20 342.9570 927.0427
Fp1/Af3 : left prefrontal, Fp2/Af4 : Right prefrontal, Fpz/Afz : Central prefrontal, F3/F7/Fc1/Fc5 : Left frontal, F4/F8/Fc2/Fc6 : Right frontal, Fz : Central frontal, T3/T7/Cp5 : Left tomporal, T4/T8/Cp6 : Right temporal, P3/P7/Cp1 : Left parietal, P4/P8/Cp2 : Right parietal, Cz/Pz : Central parietal, O1: Left occipital, O2: Right occipital, Oz : Central occipital
조합향료 6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변화
AHB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20 89.5458 121.6204 -0.3578 0.7244
During 20 97.8939 150.6012
Fp2 Before 20 96.3239 114.6903 0.9895 0.3349
During 20 85.2356 97.3803
F3 Before 20 79.8797 97.2968 -1.2403 0.2300
During 20 85.3621 98.8889
F4 Before 20 65.6695 101.2453 0.6455 0.5263
During 20 56.6994 82.5190
T3 Before 20 71.9638 114.7546 1.3015 0.2087
During 20 55.5188 86.2931
T4 Before 20 60.9589 110.1501 0.9825 0.3382
During 20 49.6218 85.5749
P3 Before 20 74.3265 110.2946 0.7492 0.4629
During 20 65.2322 89.0506
P4 Before 20 72.6905 115.8322 1.3009 0.2089
During 20 57.3710 87.5777
O1 Before 20 123.3320 153.0424 1.9357 0.0679
During 20 96.2377 117.1521
O2 Before 20 79.3426 118.4469 2.1181 0.0476
During 20 51.4032 83.0767
F7 Before 20 67.1588 109.5590 0.6353 0.5328
During 20 59.0393 90.1667
F8 Before 20 109.3748 120.8962 1.4059 0.1759
During 20 92.6433 103.0068
T7 Before 20 68.3030 103.9243 0.6789 0.5054
During 20 58.6996 82.8798
T8 Before 20 63.9116 110.8776 1.0482 0.3077
During 20 51.8635 90.0465
P7 Before 20 47.2964 99.5611 0.9693 0.3446
During 20 35.1458 72.4512
P8 Before 20 61.6699 108.6161 0.9642 0.3471
During 20 50.7102 87.7641
Afz Before 20 70.9209 112.6699 0.8781 0.3908
During 20 60.9459 93.6349
Cz Before 20 119.3672 111.6858 1.4185 0.1722
During 20 102.6304 97.7176
Fz Before 20 108.3169 111.3546 1.0041 0.3280
During 20 95.8381 99.9489
Pz Before 20 62.2733 105.7065 1.3607 0.1895
During 20 46.4428 80.8078
Fpz Before 20 93.9154 107.3716 0.2945 0.7716
During 20 89.1597 109.5731
Oz Before 20 110.0795 134.2886 1.4818 0.1548
During 20 92.4342 108.8959
Af3 Before 20 68.2996 109.6439 1.0075 0.3264
During 20 56.8682 87.1421
Af4 Before 20 131.8680 125.2242 1.2202 0.2373
During 20 114.0695 106.9278
Fc1 Before 20 66.5043 110.2890 0.9214 0.3684
During 20 54.0723 84.2602
Fc2 Before 20 133.9529 150.8960 1.8774 0.0759
During 20 104.0836 114.0450
Fc5 Before 20 123.7714 126.7460 1.6933 0.1067
During 20 96.0111 107.1128
Fc6 Before 20 85.5279 113.7323 -0.0197 0.9845
During 20 85.8071 109.4521
Cp1 Before 20 64.1435 93.5431 -0.1123 0.9118
During 20 65.6541 107.8532
Cp2 Before 20 101.0775 120.6559 1.2638 0.2216
During 20 84.9524 95.4750
Cp5 Before 20 92.1523 114.9845 1.2875 0.2134
During 20 77.3778 96.0420
Cp6 Before 20 62.0734 99.9288 -0.7297 0.4745
During 20 72.6366 104.8427
Fp1/Af3 : left prefrontal, Fp2/Af4 : Right prefrontal, Fpz/Afz : Central prefrontal, F3/F7/Fc1/Fc5 : Left frontal, F4/F8/Fc2/Fc6 : Right frontal, Fz : Central frontal, T3/T7/Cp5 : Left tomporal, T4/T8/Cp6 : Right temporal, P3/P7/Cp1 : Left parietal, P4/P8/Cp2 : Right parietal, Cz/Pz : Central parietal, O1: Left occipital, O2: Right occipital, Oz : Central occipital
본 실시예에서 측두엽 T3 부위와 T4 부위, 그리고 후두엽 Oz 부위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가 증가하였다. RMT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mid beta/theta 비로 정해진 특정한 대상에만 초점을 맞추어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을 나타내는 뇌파 분석지료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합향료 6을 흡입시 RMT 지표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피험자들이 조합향료 6을 흡입하면서 정신이 집중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조합향료 6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MT power spectrum 변화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20 1.1751 2.0000 0.5556 0.5850
During 20 0.9418 1.0896
Fp2 Before 20 0.6454 0.6882 -1.6293 0.1197
During 20 1.3350 2.3115
F3 Before 20 0.7535 0.9853 -1.2434 0.2289
During 20 2.9407 7.9883
F4 Before 20 3.6210 6.1440 -0.1585 0.8758
During 20 3.9192 8.2942
T3 Before 20 1.1837 2.6461 -2.2382 0.0374
During 20 1.3435 2.8952
T4 Before 20 0.6570 0.4938 -2.1341 0.0461
During 20 0.7540 0.4881
P3 Before 20 1.2121 2.3116 -1.8085 0.0864
During 20 2.0907 4.3347
P4 Before 20 0.9301 1.4024 -0.2658 0.7932
During 20 0.9640 0.9897
O1 Before 20 1.7224 5.0830 0.2037 0.8407
During 20 1.5346 2.6413
O2 Before 20 2.6999 5.8630 -0.1658 0.8701
During 20 2.9039 6.9109
F7 Before 20 1.3198 2.5987 -0.2011 0.8427
During 20 1.4563 2.8946
F8 Before 20 2.3392 4.2049 0.3079 0.7615
During 20 2.1505 3.9627
T7 Before 20 2.2247 4.6800 -0.2789 0.7834
During 20 2.7933 7.8517
T8 Before 20 3.4792 9.5581 1.2914 0.2121
During 20 0.7895 0.6972
P7 Before 20 3.3531 8.9392 0.6785 0.5057
During 20 2.0945 5.3821
P8 Before 20 2.9596 8.8830 1.2032 0.2437
During 20 0.6453 0.3807
Afz Before 20 0.5898 0.4209 -1.7643 0.0937
During 20 0.6757 0.4272
Cz Before 20 2.8015 5.1166 0.0340 0.9732
During 20 2.7645 5.2360
Fz Before 20 2.4525 5.2178 -1.3770 0.1845
During 20 2.9416 5.7300
Pz Before 20 6.0111 14.7204 1.4030 0.1767
During 20 1.5749 3.9313
Fpz Before 20 4.6975 10.3803 1.4513 0.1630
During 20 2.6272 4.8075
Oz Before 20 0.9602 1.2135 -2.2865 0.0339
During 20 1.2482 1.7343
Af3 Before 20 0.6274 0.4820 -1.5221 0.1445
During 20 0.6992 0.4168
Af4 Before 20 1.6368 3.2502 -0.7420 0.4672
During 20 2.2812 3.6614
Fc1 Before 20 1.6460 4.1810 -0.4471 0.6599
During 20 2.5999 8.4210
Fc2 Before 20 2.2991 4.7893 0.8269 0.4185
During 20 1.4054 1.7957
Fc5 Before 20 2.5385 5.0590 -0.7445 0.4657
During 20 3.0235 6.4500
Fc6 Before 20 5.9754 13.5031 1.0656 0.3000
During 20 3.0088 7.0597
Cp1 Before 20 1.8376 3.9903 -1.4038 0.1765
During 20 2.7781 5.0539
Cp2 Before 20 1.0003 2.4397 0.7915 0.4384
During 20 0.6117 0.3699
Cp5 Before 20 2.4494 4.5886 -0.9444 0.3568
During 20 4.8595 14.7025
Cp6 Before 20 3.7237 8.8748 0.5295 0.6026
During 20 2.6158 5.4425
Fp1/Af3 : left prefrontal, Fp2/Af4 : Right prefrontal, Fpz/Afz : Central prefrontal, F3/F7/Fc1/Fc5 : Left frontal, F4/F8/Fc2/Fc6 : Right frontal, Fz : Central frontal, T3/T7/Cp5 : Left tomporal, T4/T8/Cp6 : Right temporal, P3/P7/Cp1 : Left parietal, P4/P8/Cp2 : Right parietal, Cz/Pz : Central parietal, O1: Left occipital, O2: Right occipital, Oz : Central occipital
본 실시예에서 조합향료 6을 흡입시에는 후두엽 Oz 부위에서 RSMT 지표가 증가하였다. RSMT 지표는 신경생리학적 뇌파 집중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SMR~mid beta 파 영역은 뇌가 집중하는 상태에서 높은데 그때 theta 파가 같이 높으면 집중력이 떨어지는 상태가 되므노 RSMT 지표는 집중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합향료 흡입으로 RSMT 지표가 증가되었다는 것은 조합향료 6의 흡입으로 피험자들이 집중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합향료 6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SMT power spectrum 변화
RSMT (Ratio of (SMR~mid beta) to theta)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20 1.5419 1.9853 0.4851 0.6332
During 20 1.3401 1.1558
Fp2 Before 20 0.9869 0.7498 -1.6595 0.1134
During 20 1.6932 2.3236
F3 Before 20 1.1232 1.0354 -1.2390 0.2304
During 20 3.3139 7.9827
F4 Before 20 3.9963 6.1731 -0.1705 0.8664
During 20 4.3157 8.2792
T3 Before 20 1.5885 2.7001 -2.0783 0.0515
During 20 1.7564 2.9363
T4 Before 20 1.0738 0.6946 -1.8762 0.0761
During 20 1.1866 0.6818
P3 Before 20 1.5626 2.3587 -1.8328 0.0826
During 20 2.4551 4.3623
P4 Before 20 1.3262 1.4972 -0.3354 0.7410
During 20 1.3719 1.0783
O1 Before 20 2.1045 5.0857 0.1909 0.8506
During 20 1.9299 2.6806
O2 Before 20 3.0794 5.9108 -0.1950 0.8475
During 20 3.3175 6.9489
F7 Before 20 1.7096 2.6464 -0.2292 0.8212
During 20 1.8653 2.9194
F8 Before 20 2.7406 4.1930 0.2862 0.7778
During 20 2.5656 3.9630
T7 Before 20 2.5865 4.7285 -0.2939 0.7720
During 20 3.1864 7.8924
T8 Before 20 3.8221 9.5960 1.2821 0.2152
During 20 1.1736 0.7588
P7 Before 20 3.7504 9.0079 0.6658 0.5135
During 20 2.5181 5.4790
P8 Before 20 3.3163 8.9266 1.2008 0.2446
During 20 1.0242 0.5025
Afz Before 20 0.9777 0.6017 -1.4944 0.1515
During 20 1.0736 0.5916
Cz Before 20 3.1560 5.1120 0.0271 0.9787
During 20 3.1265 5.2209
Fz Before 20 2.8480 5.2480 -1.3533 0.1919
During 20 3.3402 5.7559
Pz Before 20 6.3890 14.7886 1.3990 0.1779
During 20 1.9923 3.9962
Fpz Before 20 5.0103 10.3976 1.4380 0.1667
During 20 2.9780 4.8721
Oz Before 20 1.3824 1.2796 -2.2361 0.0375
During 20 1.6772 1.7831
Af3 Before 20 1.0219 0.6644 -1.4266 0.1699
During 20 1.1062 0.5748
Af4 Before 20 2.0172 3.2314 -0.7435 0.4663
During 20 2.6608 3.6467
Fc1 Before 20 2.0391 4.2640 -0.4544 0.6547
During 20 3.0087 8.4633
Fc2 Before 20 2.6697 4.8230 0.8147 0.4253
During 20 1.7973 1.7998
Fc5 Before 20 2.9633 5.0563 -0.7229 0.4785
During 20 3.4383 6.4381
Fc6 Before 20 6.3902 13.5382 1.0663 0.2997
During 20 3.4381 7.0423
Cp1 Before 20 2.2797 4.0124 -1.4041 0.1764
During 20 3.2227 5.0330
Cp2 Before 20 1.3643 2.5903 0.7568 0.4584
During 20 0.9844 0.4911
Cp5 Before 20 2.8539 4.5821 -0.9461 0.3560
During 20 5.2668 14.7003
Cp6 Before 20 4.1705 8.8756 0.5248 0.6058
During 20 3.0744 5.4101
Fp1/Af3 : left prefrontal, Fp2/Af4 : Right prefrontal, Fpz/Afz : Central prefrontal, F3/F7/Fc1/Fc5 : Left frontal, F4/F8/Fc2/Fc6 : Right frontal, Fz : Central frontal, T3/T7/Cp5 : Left tomporal, T4/T8/Cp6 : Right temporal, P3/P7/Cp1 : Left parietal, P4/P8/Cp2 : Right parietal, Cz/Pz : Central parietal, O1: Left occipital, O2: Right occipital, Oz : Central occipita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바와 같이 조합향료 6은 흡입하였을 때 전두엽 Fpz 부위에서 AB 지표, AMB 지표, AHB 지표를 감소시키고, 전두엽 Fp2와 Fpz, 그리고 측두엽 Fc6 부위에서 AG 지표를 감소시켜 긴장, 불안, 스트레스로부터 뇌를 편안하게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합향료 6은 측두엽 T3와 T4 부위 그리고 후두엽 Oz 부위에서 RMT 지표를 증가시키고, 후두엽 Oz 부위에서 RSMT 지표를 증가시켰는데 이러한 결과들은 뇌를 긴장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든 결과들은 조합향료 6의 흡입시 뇌가 편안한 상태에서 집중력이 고도로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2)

  1. 리날룰(중량비 1.0%), 리날릴 아세테이트(1.0%), 에틸 리날룰(3.0%), 벤질 아세테이트(2.0%), 플로롤(5.0%), 제라니올(3.0%), 이소 이 수퍼(10.0%), 암브로픽스(3.0%), 헤디온(31.0%), 갈락소라이드(6.0%), 인돌(0.1%), 무스크 T(10.5%), 헬리오날(2.0%), 그레이프후르트 오일 화이트(1.0%), 오렌지 오일(3.0%), 로즈 앱솔루트 오일(0.1%), 일랑 오일 엑스트라(0.5%), 재스민 삼박 앱솔루트(0.2%), 마욜(7.0%), 무세논(0.5%), 당귀 오일(0.05%), 진피 오일(0.05%),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10.0%)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를 이용한 뇌파분석시 전두엽 Fpz 부위에서 AB 지표, AMB 지표, AHB 지표를 감소시키고, 전두엽 Fp2와 Fpz, 그리고 측두엽 Fc6 부위에서 AG 지표를 감소시켜 긴장, 불안, 스트레스로부터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KR1020180138883A 2018-11-13 2018-11-13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KR20200055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83A KR20200055335A (ko) 2018-11-13 2018-11-13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83A KR20200055335A (ko) 2018-11-13 2018-11-13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35A true KR20200055335A (ko) 2020-05-21

Family

ID=7091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83A KR20200055335A (ko) 2018-11-13 2018-11-13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533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71A (ko) 2006-03-14 2006-04-11 홍호명 폐비닐을 이용한 파레트의 제조방법 및 그 파레트
KR20070118380A (ko) 2006-06-12 2007-12-17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수평배관을 이용한 감/가압 조절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의 유류 및 유기물 오염의 동시 지중정화방법
KR20110050499A (ko) 2008-10-24 2011-05-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71A (ko) 2006-03-14 2006-04-11 홍호명 폐비닐을 이용한 파레트의 제조방법 및 그 파레트
KR20070118380A (ko) 2006-06-12 2007-12-17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수평배관을 이용한 감/가압 조절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의 유류 및 유기물 오염의 동시 지중정화방법
KR20110050499A (ko) 2008-10-24 2011-05-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긴장완화용 베타카로틴 혼합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서 조 등(2017)은 긴장완화용 베타카로틴 혼합조성물을 개발하고 이의 뇌파를 측정하였는데 우측 측두엽에서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중앙 두정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좌측 후두엽 및 우측 후두엽에서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측두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중앙 두정엽에서 RSA(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유도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허문헌 1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는 전혀 다르고 또 이들 조성물로 인한 뇌파 차이도 발견되었기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시음시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민들레 혼합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서 김 등(2018)은 민들레 혼합 추출액이 시음시에 좌측 전전두엽, 우측 전두엽, 좌측 후두엽, 우측 후두엽, 중앙 후두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및 좌측 두정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와 중앙 전전두엽에서 ASEF(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의 증가를 유도하여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효능에 대해 보고하였다 (김성수, 김민주, 칸다사미 손하라라잔, 김성문. 시음시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민들레 혼합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대한민국특허 10-1847375). 본 발명과 특허문헌 05와는 조성물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지고 인체적용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기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서 최와 이(2011)는 진범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범 향취를 재현한 조합향료를 만들었는데 이에 함유된 조성물은 cis-3-hexenol, linalool, terpineol, nerol, alpha-ionone, geraniol, phenylethyl alcohol, beta-caryophyllene, coriander oil, thyme oil, angelica oil, myrrhe resinoid, copahu balsam oil, olibanum resinoid, bergamot oil, target oil, ginger oil, patchouli oil, vertiver oil, isocyclo citral, stemon, 2-methyl pyrazine, camphene, viridine, benzyl benzoate 이었고, 이 조성물은 EEG 검사시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A) 과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AT)를 감소시켜 뇌에 각성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연희, 이세미.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11-0093066). 본 특허의 조성물에서는 진범(Aconitum psedo-laeve var. erectum NAKAI) 향료가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기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집중력 강화 및 심리적 안정용 매실차 조성물 및 이의 용도)은 시음시 우측 전전두엽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및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전두엽에서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및 RST(Ratio of SMR to Theta)의 감소를, 우측 전두엽 및 좌측 측두엽에서 ASEF(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의 감소를 유도하는 매실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는 조성물에 있어서 차이가 클 뿐만 아니라 인체 적용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wndhararajan et al. Influence of fragrances on human psychophysiological activ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response
KR101349592B1 (ko)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Gulluni et al. Cannabis essential oil: A preliminary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brain effects
Sowndhararajan et al. Effect of olfactory stimulation of isomeric aroma compounds,(+)-limonene and terpinolene on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KR101372754B1 (ko)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Kim et al. Effect of inhalation of isomers,(+)-α-pinene and (+)-β-pinene on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Seo et al. Influence of binasal and uninasal inhalations of essential oil of Abies koreana twigs o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of human
KR102151761B1 (ko)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owndhararajan et al. Effect of essential oil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on human EEG activity
KR101843977B1 (ko) 뇌파 지표 rsmt, rb, rmt, afa를 증가시키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구상나무 혼합 향료 조성물
Kim et al. Changes in the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in response to odors produced by organic compounds
KR1021517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로마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60B1 (ko)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KR1020609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트로피칼 패션 플라워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57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딥 포레스트 믹스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55335A (ko)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KR102000095B1 (ko)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조성물
KR102340205B1 (ko) 두뇌의 집중력을 높이고 각성을 증가시키는 우디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2001127B1 (ko) 전두엽 Fc5 부위에서 RSA 지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전두엽 Af3 부위와 두정엽 Cz 부위에서 RHB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의 집중을 유도하는 플로럴 부케 내추럴 조합향료 조성물
KR102369379B1 (ko) 스트레스 완화용 그루망 플로랄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1355307B1 (ko)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63321B1 (ko)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KR20200055339A (ko) 시트러스의 쌉싸름함, 칼라만시의 달콤함, 국내산 박하 오일의 시트러스 민트 향이 복합적으로 어울어져 달콤하면서도 시트러스 민트 풍미를 나타내면서 섭취시 전두엽 Fp2 부위에서 RSMT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집중 효과를 나타내는 플래버 조합향료 조성물
KR101313255B1 (ko)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20210135741A (ko)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뇌를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루망 플로랄 향취의 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