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754B1 -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754B1
KR101372754B1 KR1020130058669A KR20130058669A KR101372754B1 KR 101372754 B1 KR101372754 B1 KR 101372754B1 KR 1020130058669 A KR1020130058669 A KR 1020130058669A KR 20130058669 A KR20130058669 A KR 20130058669A KR 101372754 B1 KR101372754 B1 KR 10137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wer spectrum
fragrance
region
absol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문
조해미
송재은
서성연
김수지
Original Assignee
김성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문 filed Critical 김성문
Priority to KR1020130058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벤더(lavender)오일, 레몬(lemon)오일, 바질(basil)오일, 버가모트(bergamot)오일, 베티버(vetiver)오일, 아코러스(acorus)오일, 패츌리(patchouli)오일, 페티그레인(petitgrain)오일, 메틸 이오논 감마(methyl ionone gamma),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시트랄(citral), 에버닐(evernyl), 유게놀(eugenol), 쿠마린(coumarin), 헤디온(hedion),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hexyl cinnamic aldehyde), 헬리오날(helional) 로 구성된 조합향료는 시트러스(citrus), 코니퍼러스(coniferous), 그린(green), 허벌(herbal), 민티(minty), 오일리(oily), 파우더리(powdery), 스파이시(spicy)한 향취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합향료는 EEG를 이용한 뇌파분석시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Description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Fragrance Chemicals on Enhancing Concentration State of Brain Function by Decreasing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at Left Prefrontal Region (Fp1), Increasing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at Right Parietal Region (P4), and Increasing RMT Index at Left (P3) and Right Parietal Regions (P4)}
본 발명은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벤더(lavender)오일, 레몬(lemon)오일, 바질(basil)오일, 버가모트(bergamot)오일, 베티버(vetiver)오일, 아코러스(acorus)오일, 패츌리(patchouli)오일, 페티그레인(petitgrain)오일, 메틸 이오논 감마(methyl ionone gamma),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시트랄(citral), 에버닐(evernyl), 유게놀(eugenol), 쿠마린(coumarin), 헤디온(hedion),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hexyl cinnamic aldehyde), 헬리오날(helional)로 구성된 조합향료는 시트러스(citrus), 코니퍼러스(coniferous), 그린(green), 허벌(herbal), 민티(minty), 오일리(oily), 파우더리(powdery), 스파이시(spicy)한 향취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합향료는 EEG를 이용한 뇌파분석시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인간의 대뇌반구(cerebral hemisphere) 표층으로부터 약 3mm 정도의 두께는 주로 신경세포체(nerve cell body)로 구성된 회색질(gray matter)에 의해 덮혀 있고, 여기에는 다수의 신경세포가 6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회색질 부분을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이라고 한다. 대뇌피질은 인간에게 있어서 감각의 인지, 종합, 판단, 기억, 사고 등 여러가지 이해, 인식이나 행위에 관여하는 고등한 정신활동을 하는 부위이다(진복희. 임상생리학 뇌파. 고려의학. p. 2-10). 브로드만(Brodmann)은 대뇌피질에 운동영역, 감각영역, 시각영역, 청각영역, 미각영역, 후각영역, 연합영역이 특정한 위치에 기능화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고, 신경세포의 형태, 크기, 배열 등의 특성에 따라 52 영역으로 구분한 바 있다.
대뇌반구는 고랑을 경계로하여 전두엽(frontal lobe), 두정엽(parietal lobe), 후두엽(occipital lobe), 측두엽(temporal lobe)의 4 영역으로 나뉘어지는데, 전두엽과 두정엽은 중심고랑(롤란드 고랑), 전두엽과 측두엽은 가쪽고랑(실비우스 고랑)에 의해 각각 구분된다.
전두엽에는 사고, 의지결정, 추리, 창작 등의 정신활동을 하는 전두연합영역이 있으며 인간이 다른 동물과의 차이점이 바로 전두연합영역의 발달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연합영역에는 인간 특유의 운동성 언어영역(브로카 영역)이 있는데 브로드만의 44와 45에 해당하는 이 부위의 손상은 말을 들어도 이해할 수 없고, 의미있는 말을 응답할 수 없는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이 된다. 또한 브로드만의 22 영역의 일부와 39, 40 영역의 일부에 해당하는 감각성 언어영역(베르니케 영역)이 있는데 이 부위가 손상되면 다른 사람의 말을 들어도 의미를 이해할 수 없고 응답할 수 없게 되는 감각성 실어증(sensory aphasia)이 된다.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은 궁형다발로 불리우는 섬유밴드로 연결되어 있다.
두정엽은 촉각, 청각, 후각, 미각에서 들어오는 방대한 양의 감각정보를 운동출력하는 부위로 이 부위가 손상되면 중대한 일련의 운동수행능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실되게 되며, 측두엽은 소리처리영역으로 청각피질에서 보낸 정보를 처리하는 담당부위이며, 기억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또 신앙의 원천이며 종교적 믿음의 근원으로도 알려져 있다(V. S. 라마찬드란 저. 박방주 역. 명령하는 뇌, 착각하는 뇌. 알키. p. 442-444). 후두엽은 피질의 맨 뒤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각정보처리 부위로 알려져 있는데, 시각피질은 칼카린열 속에 숨어 있다.
인간의 대뇌반구에서 일어나는 정보나 명령은 신경섬유 내의 전기신호로서 신경과 신경, 신경과 근육사이에서 화학물질에 의해 전달되는 것으로, 몇십 억개의 신경세포간의 결합상태나 활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데 전기현상이 대뇌피질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 두개골, 두피 등을 매개로 두피 위에 넓게 전해진다.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는 이러한 대뇌피질 신경세포군으로부터 발생하는 율동적인 미세한 전기활동을 두피 위에 부착한 전극을 통해 유도하고 뇌파계에 입력, 증폭하여 가로축에 시간을 세로축에 전위를 기록하는 것으로 일명 뇌전도라고도 한다(진복희. 2011. 임상생리학 뇌파. 고려의학. p. 1-2).
뇌파 측정을 위한 뇌 전극 부착은 국제뇌파학회에서 1958년도에 제정된 10-20 전극배치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머리부분을 계측하여 도출부분을 계산해가는 전극부착방법으로 전극간의 간격을 10% 및 20%로 거의 균등하게 나누어 좌우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제식 전극기호는 좌반구를 홀수, 우반구를 짝수로 나타내며, 전두부위는 F(frontal pole), 두정부위는 P(parietal region), 측두부위는 T(temporal region), 후두부위는 O(occipital region)으로 표시한다. 뇌파측정을 위해서는 접지전극이 요구되는데 이는 교류장애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킬 목적으로 하는데 부착부위는 이마, 턱 등 생체 어느 곳이라도 무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대원. 알기쉬운 뇌파. 군자출판사. p. 22-27).
뇌파는 주파수 범위에 따라 델파파(0.5-4Hz), 세타파(4-8Hz), 알파파(8-14Hz), 베타파(14-30Hz), 감마파(30Hz 이상)로 구분되며, 주파수와 그 파의 형태에 따라 극파, 예파 등으로 분류된다. 뇌파별 주파수는 학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세타파의 경우 4-7Hz 범위로 보는 경우도 있고, 또 4-8Hz 범위로 보는 경우도 있지만 그 차이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 알파파를 기준으로 알파파보다 주파수가 낮은 델타파와 세타파를 서파(slow wave)라고 하고, 알파파보다 주파수가 높은 베타파를 속파(fast wave)라고 하는데 각각의 파별 행동특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이사은.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
뇌파와 행동특성
뇌신경 리듬 파장대 행동 특성





서파
(slow wave)
델타파
(0.5-4Hz)
- 깊은 잠에 빠져 있을 때
- 각성상태에서도 두뇌 전체에서 검출됨
- 전두부에서 많이 검출됨



세타파
(4-8Hz)
- 정신을 집중하여 두뇌 내부의 정보를 활용할 때
- 눈감고 심상 공상을 할 때
- 깊은 명상에 몰입하였을 때
- 논리적 사고 문제 풀이에 집중할 때
- 창의적 정신 활동에 집중할 때
- 쉬운 산술 암산을 할 때
- 집중하여 설명을 들으면서 사고 활동이 이루어질 때
- 질문의 답변에 대하여 집중하여 사고할 때
- 기쁨을 느끼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 초학습 능력의 상태
- 꾸벅꾸벅 졸을 때
기본파
(fundamental wave)
알파파
(8-14Hz)
- 긴장을 풀고 깨어있는 상태에서 눈을 감고 있을 때
- 정신적 안정상태에 있을 때
- 기분이 편안하고 느긋할 때



속파
(fast wave)


베타파
(14-30Hz)
- 각성상태에서 두뇌 외부의 정보를 활발하게 받아들이는 학습 활동을 할 때
- 소리내어 책을 읽을 때
- 책이나 화면의 그림을 보거나 그림을 그릴 때
- 수학문제를 쓰거나 풀이를 할 때
- 언어적 설명을 듣거나 말할 때
- 시청각 학습이나 공작활동을 할 때
- 긴장할 때와 동작이 일어날 때
감마파
(30-50Hz)
- 고도의 인지작용을 할 때
- 불안, 긴장상태에 있을 때
뇌파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는데 뇌파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개인차, 연령, 의식상태의 변화, 정신활동, 지각자극, 신체의 생리적 변화, 뇌내 병적과정 혹은 질환상태 등을 들 수 있다 (윤중수. 임상뇌파학. 고려의학. p. 13-14).
또한 뇌파는 향의 흡입에 의해서도 크게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2012)는 라임 정유 흡입으로 우측 측두엽 부위에서 low 베타파가 증가되고, 우측 전두엽과 좌측 측두엽 부위에서 mid 베타파가 증가된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라임 천연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향료물질들이 고도의 주의집중, 인지작용과 함께 각성을 일으켰다는 것을 의미한다(이사은. 2012.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또한 이(2012)는 클로브 천연정유의 흡입으로 좌우 전전두엽, 좌우 전두엽, 우측 측두엽 부위에서 fast 알파파, 그리고 좌측 두정엽 부위에서 mid 베타파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보고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클로브에 함유되어 있는 향기성분들이 뇌를 안정된 상태에서 창의력, 과학적, 논리적 사고에 몰입시켜 집중력을 강화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의 흡입으로 뇌파가 변화되었다는 많은 연구결과들은 라벤더 정유(정기영, 김재문, 이일근, 김지현, 주은연, 홍승봉, 변홍식, 이주영. 2004. 방향성 후각 자극에 의한 대뇌 피질의 활성: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LORETA)를 이용한 비모수 통계 지도. 대한신경과학회지 22(4):334-339), 버가못, 제라늄, 라벤더, 클라리세이지의 혼합 정유(김경숙. 2003. 향기흡입이 중년기 여성의 심리와 생리 반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110), 레몬과 라벤더 정유(민병찬, 정순철, 김상균, 민병운, 오지영, 김수진, 김혜주, 선정상, 김유나, 김철중, 박세진, 김준수. 1999. 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지 1:423-426), 라벤더, 유제놀, 카모마일 혼합정유(Ryoko, M.,M. Tamiko, K.Yoshiaki, M.Yoshifumi, I. Koichi, H. Hajime and K. Tetsuo. 2000. Effects of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on EEG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J. Physiol. Anthro. 19(1):35-42), 바닐라 향료(J. P. Kline, G. C. Blackhart, K. M. Woodward, S. R. Williams and G. E. R. Schwartz. 2000. Anterior electroencephalographic asymmetry changes in elderly women in response to a pleasant and an unpleasant odor. Biological Psychology 52:241-250), 천궁 향료(연보람. 천궁 정유 함유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7p), 독활 향료(유정미. 국내산 독활 정유의 향취성분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2p)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기억력 증진 조성물)에서 발명자들은 원지, 석창포, 인삼, 당귀, 은행잎, 오미자 및 천궁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조성물을 피험자들에게 2개월간 하루 10g씩 투여하고 뇌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인지강도, 집중력 및 학습능력 수준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하였다(조정혁, 안덕균, 김영옥, 이승채. 기억력 증진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06-0038179). 특허문헌 01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문헌 01에서는 조성물을 섭식시킨 반면,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을 흡입시켰기 때문에 처방에 있어서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천연약초를 이용한 아로마 에센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 발명자는 로즈, 로즈제라늄, 로만카모마일, 블루카모마일, 레몬, 레몬그라스, 버가못, 라벤더, 팔마로사, 클라리 세이지, 제다, 티트리, 네롤리, 파인, 사이프러스, 로즈마리, 로즈우드, 유칼립투스, 오렌지, 쟈스민, 샌달우드, 파츌리, 제라륨, 페퍼민트, 니아울리, 몰약, 프랑켄신스, 스레이프후르츠, 시트로넬라, 쥬니퍼, 진저, 벤조인, 마치현, 박하, 민들레, 생강, 오이, 마늘, 감귤, 모과, 유백피, 상백피, 참마, 감초, 백지, 방풍, 길경, 인동초, 유자, 백문동, 시호, 당귀, 솔잎, 노간주, 석창포, 복분자, 오미자, 인진쑥, 엉겅퀴, 목단, 작약, 삼백초, 이의인, 택사, 조릿대, 산국화, 인삼, 황기, 미나리, 칡부리 또는 겨우살이 두가지 이상의 아로마 에센스에 마카다미아, 스위트아몬드, 조조바 또는 헤즐넛 중 선택된 두가지 이상의 아로마에센스를 혼합한 베이직 오일을 혼합하여 제조하였고, 제조된 아로마 에센스는 여성 호르몬 밸런스 조절에 의한 생리활성 효과, 살균 및 항균효과, 디톡스 또는 해독효과가 탁월하여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양미란. 천연약초를 이용한 아로마 에센스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특허 10-2011-0124841). 특허문헌 02에서 사용된 천연약초 혼합조성물은 본 발명의 혼합향료 조성물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의 효과를 검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방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에서 발명자는 용뇌, 백지, 목향, 정향, 천궁 및 팔각회향으로 만든 조합향료에 당귀, 박하상, 백지, 곽향, 석창포, 향부자, 백단, 자단향, 육계, 안식향, 유향을 이용하여 한방 방향제를 제조하였는데, 이렇게 제조된 한방 방향제는 기존의 아로마 허브를 이용한 방향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알레르기의 유발 가능성을 제거하였고, 치료효과를 높였으며, 또한 방향의 지속력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허문헌 03은 한방 방향제의 향을 맡았을 때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기 소통에 도움을 주고 정신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신동원.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특허 10-2010-0069199). 특허문헌 03에서 사용된 발명의 방법은 피험자들의 주관에 의존하여 결과를 얻는 것이었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객관적이고도 과학적인 방법(뇌파측정 및 분석)을 사용하여 결과를 얻었기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서 발명자들은 감초, 백작약, 당귀, 목단피, 산조인, 상백피, 석창포, 승마, 오약 및 치자 추출물이 치매 예방 및 치료, 그리고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특허문헌 04의 생약 추출물은 치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의 저해 또는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활성이 있다는 사실을 보고하였다 (이계호, 이강훈, 윤유선, 이화정, 강정호, 차은정.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03-0081568). 특허문헌 04에서 발명자들이 치매 예방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해 사용한 방법은 치매동물모델이었으며, 본 발명에서의 인간 뇌파측정은 아니었기에 두 발명간에는 방법론에 있어서 상이함이 발견되었다. (뇌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서 발명자들은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 및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는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발명하였으며, 특허문헌 05의 건강기능식품은 실험동물인 마우스에서 수동회피반응 실험을 실시한 결과 기억력 개선 효능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위재준, 경종수, 김나미, 박종대, 곽이성, 송용범, 양재원. 뇌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대한민국특허 10-2004-0088982). 특허문헌 05와 본 발명은 발명을 위해 사용된 조성물 및 방법론(섭식 vs 흡입)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뇌파에 미치는 과일향의 영향)에서 저자는 과일 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trawberry, lemon, mango, mellon, banana, peach, apple, watermelon, orange, cherry 향료와 butyric acid를 이용하여 뇌파를 측정한 결과, 측두엽과 전두엽에서 향에 의한 뇌의 반응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Cherry, banana, mango, mellon 향은 상대 알파파와 상대 세타파를 증가시키고, 상대 베타파와 상대 감마파를 감소시키므로 이완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였으며, orange, lemon, peach 향은 상대 알파파를 감소시키고, 상대 세타, 베타, 그리고 감마파를 증가시켜 각성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Strawberry와 watermelon은 상대 세타파를 감소시키고, 상대 베타파와 감마파, SEF50와 SEF95를 증가시키고, apple 향은 상대 알파파와 상대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상대 세타와 감마파, SEF50과 SEF95를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황지애. 2011. 뇌파에 미치는 과일향의 영향.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비특허문헌 01에서 사용된 과일향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조합향료 03과는 그 조성물에 있어서 전혀 다르며 또한 향 흡입으로 인하여 발생된 뇌파와도 상이하였다. (항 스트레스 기능 강화를 위한 버가못 향유 흡입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에서 저자는 버가못 정유 흡입이 항 스트레스 기능강화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EEG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판매직 여성종사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험자들이 버가못 정유를 흡입한 결과 절대 알파파, 상대 알파파 그리고 RAHB지표가 증가하였으며, SEF90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버가못 정유 흡입은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전광식. 2010. 항 스트레스 기능 강화를 위한 버가못 향유 흡입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비특허문헌 02에서 사용된 향료는 버가못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조합향료 03과는 그 조성물에 있어서 상이하며 그리고 향 흡입으로 인하여 발생된 뇌파 역시 상이하였다. (후각자극에 의한 뇌파의 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에서 저자들은 라벤더 향을 이용하여 뇌파의 반응정도를 파악하여 향과 체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라벤더 향은 폐, 대장과 신방광이 약한 화형인 사람의 담을 편안하게 하고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또한 간담과 심소장이 약한 금형인 사람의 간담을 편안하게 하고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이동형, 이재훈. 2003. 후각자극에 의한 뇌파의 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지 6(2):29-35). 비특허문헌 03에서 사용된 향료는 라벤더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향료는 조합향료로 조성물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뇌파로 본 건강증진 효과)에서 저자는 향기 요법이 건강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라벤더, 제라늄, 버가못을 흡입하게 하고 자스민, 일랑일랑, 네롤리, 카모마일, 로즈를 혼합하여 마사지를 실행한 후 뇌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알파파는 활성화되어 뇌의 상태가 이완되고 안정화되었으며, 베타파는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각성과 긴장의 상태가 이완되어 편안한 상태로 변한다는 사실을 밝혔다(하안례. 2006. 뇌파로 본 건강증진 효과. 고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비특허문헌 04에서 사용된 모든 향료(라벤더, 제라늄, 버가못와 자스민, 일랑일랑, 네롤리, 카모마일, 로즈의 조합향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조합향료와는 조성물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조합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은 (a) 다양한 천연 및 합성 향료를 이용한 향료 조성물 제작 단계, (b) 향료 조성물의 선호도 조사 단계, (c) 향료 조성물의 향취평가 단계, (d) 향료 조성물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SPME/GC-MS를 이용한 화학분석 단계, (e) 향료 조성물의 뇌파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벤더(lavender)오일, 레몬(lemon)오일, 바질(basil)오일, 버가모트(bergamot)오일, 베티버(vetiver)오일, 아코러스(acorus)오일, 패츌리(patchouli)오일, 페티그레인(petitgrain)오일, 메틸 이오논 감마(methyl ionone gamma),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시트랄(citral), 에버닐(evernyl), 유게놀(eugenol), 쿠마린(coumarin), 헤디온(hedion),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hexyl cinnamic aldehyde), 헬리오날(helional)로 구성된 조합향료는 시트러스(citrus), 코니퍼러스(coniferous), 그린(green), 허벌(herbal), 민티(minty), 오일리(oily), 파우더리(powdery), 스파이시(spicy)한 향취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합향료는 EEG를 이용한 뇌파분석시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합향료 조성물은 흡입시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주의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들을 위한 향 관련 산업제품의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다.
도 1는 국제 10-20 뇌파검사 시스템의 전극 부착 부위를 나타낸다.
도 2는 뇌파검사를 위하여 검사용 캡을 쓴 피험자의 사진이다.
도 3은 조합향료 3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ALB 변화를 도식한 brain map.
도 4은 조합향료 3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AHB 변화를 도식한 brain map.
도 5는 조합향료 3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MT 변화를 도식한 brain map.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향료를 이용한 시프레 타입 향수의 조향
본 발명의 조합향료 조성물의 원료는 천연으로 추출하여 얻은 천연향료와 유기합성을 통하여 얻은 합성향료로 구성된다. 사용된 천연향료는 라벤더(lavender)오일, 레몬(lemon)오일, 바질(basil)오일, 버가모트(bergamot)오일, 베티버(vetiver)오일, 아코러스(acorus)오일, 패츌리(patchouli)오일, 페티그레인(petitgrain)오일이었으며 아코러스 오일을 제외한 7종의 천연향료는 모두 (주)아로마하우스(서울, 대한민국)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아코러스 오일은 (주)비엔허브(평창, 대한민국)로부터 건조 상태의 석창포 (학명 Acorus gramineus Sol.) 뿌리시료를 구입하여 초임계추출기(일신, 대전,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시 최적 조건은 70oC, 400 bar 이었고, 최대 회수율은 7.25%이었다. 추출된 아코러스 정유의 성상은 오일이었으며, 오일의 추출을 위한 온도조건, 압력조건, 회수율 및 성상에 대해서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국내산 석창포로부터 아코러스 오일의 추출을 위한 조건 및 회수율
온도조건 (℃) 압력조건 ( bar ) 회수율 (%) 성상
70 200 2.36 oil
300 1.43 oil
400 7.25 oil
조향에 사용된 합성향료는 메틸 이오논 감마(methyl ionone gamma),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시트랄(citral), 에버닐(evernyl), 유게놀(eugenol), 쿠마린(coumarin), 헤디온(hedion),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hexyl cinnamic aldehyde), 헬리오날(helional)이었으며, 이들 합성향료는 모두 (주)프라임텍(춘천, 대한민국)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조합향료를 개발하기 위한 천연향료와 합성향료의 조성물과 조성비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신규 향료 개발을 위한 조성물과 조성비
향료명 조성비 (%)
조합향료 1 조합향료 2 조합향료 3 조합향료 4 조합향료 5


천연
향료
라벤더 오일 0.5 0.8 0.3 0.1 0.1
레몬 오일 3.0 1.0 1.8 1.5 4.0
바질 오일 0.1 0.1 0.1 0.1 0.1
버가모트 오일 2.0 2.5 1.5 1.0 2.0
베티버 오일 0.5 0.3 0.1 0.3 0.2
아코러스 오일 0.2 0.3 0.1 0.1 0.2
패츌리 오일 0.1 0.1 0.1 0.1 0.0
페티그레인 오일 0.1 0.3 0.2 0.0 0.5


합성
향료
메틸 이오논 감마 0.5 0.3 0.2 0.4 0.2
벤질 아세테이트 0.1 0.5 0.3 0.2 0.2
시트랄 0.1 0.1 0.1 0.1 0.1
에버닐 1.0 0.5 0.1 1.0 0.8
유게놀 0.1 0.5 0.1 0.8 0.3
쿠마린 0.1 0.1 0.1 0.1 0.1
헤디온 0.5 1.0 0.1 0.8 2.0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 0.0 0.5 0.2 0.2 0.2
헬리오날 0.1 0.0 0.1 0.5 0.5
에탄올 91.0 91.1 94.5 92.7 88.5
총 합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2: 조합 향료의 선호도 조사
본 실시예 1에서 조향된 5종의 조합향료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최소 6개월 이상의 후각훈련이 되어 있는 전문가 패널 7명에게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 2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모두 20대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혹은 강원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이었다. 각각의 조합향료를 분무기를 이용하여 0.5cm x 13cm 크기의 시향지에 뿌려 적신 다음, 코로부터 5cm 되는 위치에서 향을 맡고 가장 선호하는 향료에 10점, 가장 비선호하는 향료에 0점을 주도록 하였다. 선호도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값을 구하였고, 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조합향료의 선호도 조사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으며 조합향료 1의 선호도는 3.0이었고, 조합향료 2의 선호도는 2.5, 조합향료 3의 선호도는 9.7, 조합향료 4의 선호도는 4.5, 그리고 조합향료 5의 선호도는 6.1이었다. 본 실시예 1을 통해 조향된 조합향료 5가지 중 조합향료 3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선호도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질의한 결과 대부분 조합향료 3의 향취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조합향료 3의 향취에 대해서는 실시예 3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합향료 5종의 선호도
선호도 조합향료 1 조합향료 2 조합향료 3 조합향료 4 조합향료 5
평균값 3.0 2.5 9.7 4.5 6.1
실시예 3: 조합향료 3의 향취 평가
실시예 2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3에 대한 향취를 강원대학교 향수개발동아리 로즈오브샤론(Rose of Sharon)의 전문 패널 5명에게 의뢰하여 평가하였다. 향취는 정유의 향기 특징을 구분하는 향료 평가용어에 따랐으며, 각 타입별 향취의 강도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또는 정유 100%의 향취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즉, 알데히드(aldehyde)향취는 aldehyde C8 화합물, 애니멀릭(animalic)향취는 castorium 정유, 발사믹(balsamic)향취는 benzoin 정유, 시트러스(citrus)향취는 bergamot 정유, 코니퍼러스(coniferous)향취는 pine 정유, 얼티(earthy)향취는 vetiver 정유, 플로랄(floral)향취는 rose 정유, 프루티(fruity)향취는 apple 정유, 그린(green)향취는 garbanum 정유, 허벌 (herbal)향취는 basil 정유, 메디시널(medicinal)향취는 anise 정유, 민티(minty)향취는 spearmint 정유, 마린(marine)향취는 calone 화합물, ?(wet)향취는 cyclamenaldehyde 화합물, 무스키(musky)향취는 musk 정유, 오일리(oily)향취는 olive 정유, 오리엔탈(oriental)향취는 opopanax 정유, 파우더리(powdery)향취는 amber 정유, 스파이시(spicy)향취는 ginger 정유, 스위트(sweet)향취는 ethyl maltol 화합물, 우디(woody)향취는 sandalwood 정유의 향취를 10으로 그리고 무향을 0으로 하여 결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3의 향취와 향취강도는 표 5에 나타내었으며, 조합향료 3의 향취(향취강도)는 시트러스(6), 코니퍼러스(3), 그린(6), 허벌(3), 민티(2), 오일리(1), 파우더리(3), 스파이시(2) 이었다.
조합향료 3의 향취 및 향취강도
향취타입 조합향료 3 향 강도
0 1 2 3 4 5 6 7 8 9 10
알데히드 (aldehyde) 0
애니멀릭 (animalic) 0
발사믹 (balsamic) 0
시트러스 (citrus) 6
코니퍼러스 (coniferous) 3
얼티 (earthy) 0
플로랄 (floral) 0
프루티 (fruity) 0
그린 (green) 6
허벌 (herbal) 3
메디시널 (medicinal) 0
민티 (minty) 2
마린 (marine) 0
? (wet) 0
무스키 (musky) 0
오일리 (oily) 1
오리엔탈 (oriental) 0
파우더리 (powdery) 3
스파이시 (spicy) 2
스위트 (sweet) 0
우디 (woody) 0
실시예 4: 조합향료 3의 뇌파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3이 인간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뇌파분석기(electroencephal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뇌파측정에 사용한 기기는 QEEG-8 system (LXE3208, 락사, 대한민국)이었으며,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데이터 수집장비 및 분석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본 실시예 4에서 뇌파측정은 일정한 온도(23oC)와 습도(50%)를 유지하는 32.5 m2 크기의 연구실에서 최대한 잡음이 혼입되지 않는 안정한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며, 평가대상 피험자는 20대의 남녀 18명이었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25.9±1.9 세이었다. 뇌파분석은 10-20 국제 표준 전극부착법(international standard electrode system)을 이용하여 8개의 접지전극에 뇌파전용 무해 접착풀을 묻혀 피험자의 전전두엽(Fp1, Fp2), 전두엽(F3, F4), 측두엽(T3, T4), 두정엽(P3, P4) 부분에 부착하고 오른쪽과 왼쪽 귓볼 뒷부분에도 각각 하나씩의 전극을 부착하였다. 뇌파검사를 위한 10-20 국제 표준 전극부착부위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뇌파검사를 위해 분석용 캡을 장착하고 있는 피험자의 사진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바이알에 담겨 있는 조합향료 3을 시향지에 찍어 피험자의 코로부터 5 cm 거리를 유지하고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향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상태(향자극)를 각각 1분씩 측정하였다. 뇌파 1분 측정 중 25초 측정된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데이터 처리하였고, SPSS 18.0 version의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하였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 지표는 표 6에 나타내었고, 각 뇌파 지표의 의미는 표 7에 나타내었다.
뇌파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 지표의 종류
번호 분석 지표 뇌파분석 지표의 전체 이름 파장대( Hz )
1 AT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4~8
2 AA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8~13
3 AB Absolute Beta Power Spectrum 13~30
4 AG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30~50
5 AFA 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
6 ASA 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
7 ALB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
8 AMB 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
9 AHB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
10 RT Relative Theta Power Spectrum (4~8) / (4~50)
11 RA 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8~13) / (4~50)
12 RB Relative Beta Power Spectrum (13~30) / (4~50)
13 RG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30~50) / (4~50)
14 RFA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 / (4~50)
15 RSA 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 / (4~50)
16 RLB 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 / (4~50)
17 RMB 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 / (4~50)
18 RHB 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 / (4~50)
19 RST Ratio of SMR to Theta (12~15) / (4~8)
20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15~20) / (4~8)
21 RSMT Ratio of (SMR~Mid Beta) to Theta (12~20) / (4~8)
22 RAHB Ratio of Alpha to High Beta (8~13) / (20~30)
23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4~50
24 SEF90 Spectral Edge Frequency 90% 4~50
25 ASEF 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 8~13
뇌파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 지표의 의미
번호 분석 지표 의미
1 AT Theta파의 절대파워 (명상, 졸릴때)
2 AA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안정)
3 AB Beta파의 절대파워 (긴장, 각성, 활성, 인지작용)
4 AG Gamma파의 절대파워 (고도의 인지작용 또는 불안, 흥분)
5 AFA Fast alpha파의 절대파워 (편안하면서 몰입, 창의력)
6 ASA Slow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7 ALB Low beta파의 절대파워, SMR파라고도 함 (주의나 경계)
8 AMB Mid beta파의 절대파워 (집중, 주의)
9 AHB High beta파의 절대파워 (스트레스, 정신부하, 긴장)
10 RT 전체 중 theta파의 비율
전체에서 나오는 비율,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편차가 적음
11 RA 전체 중 alpha파의 비율
12 RB 전체 중 beta파의 비율
13 RG 전체 중 gamma파의 비율
14 RFA 전체에서 fast alpha파의 비율
15 RSA 전체에서 slow alpha파의 비율
16 RLB 전체에서 low beta파의 비율
17 RMB 전체에서 mid beta파의 비율
18 RHB 전체에서 high beta파의 비율
19 RST 전체 중 SMR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0 RMT 전체 중 mid beta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1 RSMT SMR~mid beta파/theta파 (뇌파집중지표)
22 RAHB Alpha파/high beta파 (안정 및 이완도)
23 SEF5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 (뇌파각성)
24 SEF90 정신부하, 스트레스
25 ASEF Alpha파의 SEF50 (쾌적성: fast alpha파가 많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3이 인간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25개의 뇌파지표 중 ALB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urm) 지표, AHB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지표,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지표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22개 지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 4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던 ALB, AHB, RMT 지표만 설명하고자 한다.
ALB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12~15 Hz의 low 베타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하며 일명 SMR파라고도 한다. 수동적인 두뇌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SMR파는 귀 아래에서 두뇌 위 중심까지의 대뇌(신피질)영역에 지배적으로 발생되는 파형이다. ALB 지표는 긴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집중이 이루어져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며 쉽고 정확하게 일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며, 맑은 상태로 적절히 각성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졌을 때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조합향료 3를 피험자들에게 흡입시켰을 때 피험자의 두뇌 왼쪽 전전두엽 부위(Fp1)에서 ALB지표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표 8). 이러한 결과는 조합향료 3의 향 흡입이 향 흡입 전과 비교하여 좌측 전전두엽에서 low beta파가 감소하여 안정상태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 4의 조합향료 3에 의한 ALB 지표 변화를 brain map으로 도식화 한 것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조합향료 3의 향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파란색 부위가 변화된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조합향료 3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절대 로우 베타파의 변화
ALB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t-test p
Fp1 Before 18 3.0545 2.426 0.027*
During 18 2.6151
Fp2 Before 18 2.8843 1.052 0.307
During 18 2.6650
F3 Before 18 3.9624 0.537 0.598
During 18 3.7811
F4 Before 18 3.4440 0.308 0.762
During 18 3.3428
T3 Before 18 4.2786 0.584 0.567
During 18 4.0897
T4 Before 18 2.1421 -1.002 0.330
During 18 2.5960
P3 Before 18 6.7736 0.041 0.967
During 18 6.7323
P4 Before 18 4.8100 -0.965 0.348
During 18 5.6297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AHB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 중 20~30 Hz에 해당하는 하이 베타(high beta)파이다. 비교적 복잡한 추론이나 정신 부하가 높은 복잡한 정보처리 활동을 할 때나 정서적 긴장, 불안, 흥분상태에서 우세한 하이 베타파는 긴장이나 흥분상태 혹은 스트레스 상태에서 나타난다. 본 실시예 4에서 조합향료 3을 18명의 피험자들에게 향 흡입전과 흡입 중의 뇌파를 측정한 결과, 8개의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05) (표 9). 이와 같은 결과는 조합향료 3이 집중력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 4의 조합향료 3에 의한 AHB 지표 변화를 brain map으로 도식화 한 것을 도 4에 나타내었는데, 조합향료 3의 향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우측 두정엽(P4) 부위가 녹색에서 황색으로 변화된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조합향료 3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절대 하이 베타파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urm) 의 변화
AHB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t-test p
Fp1 Before 18 4.8425 0.914 0.373
During 18 4.3916
Fp2 Before 18 6.6194 1.117 0.280
During 18 5.3551
F3 Before 18 4.8833 0.346 0.733
During 18 4.7506
F4 Before 18 3.9655 -0.074 0.942
During 18 3.9789
T3 Before 18 9.5774 -0.767 0.454
During 18 10.7055
T4 Before 18 4.6879 -1.295 0.213
During 18 6.6874
P3 Before 18 5.8722 -0.015 0.988
During 18 5.8797
P4 Before 18 4.6951 -2.457 0.025*
During 18 5.1909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RMT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중간 베타/세타 (mid beta/theta) 비로 중간 베타파 영역(15~20 Hz)을 세타파 영역(4~8 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하며, 정해진 특정 대상에만 초점을 맞추어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을 나타내는 뇌파분석 지표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18명의 피험자들에게 조합향료 3의 향을 흡입전과 흡입 중에 뇌파를 측정한 결과, 8개의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좌측 두정엽(P3)과 우측 두정엽(P4) 부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표 10).
본 실시예 4의 조합향료 3에 의한 RMT 지표 변화를 brain map으로 도식화 한 것을 도 5에 나타내었는데, 조합향료 3의 향을 흡입 전과 흡입 중에 좌측 두정엽 (P3) 부위와 우측 두정엽 부위의 색상이 크게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조합향료 3의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지표의 변화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Site Inhalation N Mean t-test p
Fp1 Before 18 0.3346 0.135 0.894
During 18 0.3308
Fp2 Before 18 0.3226 -0.196 0.847
During 18 0.3270
F3 Before 18 0.3191 -1.089 0.291
During 18 0.3591
F4 Before 18 0.3018 -1.164 0.260
During 18 0.3261
T3 Before 18 0.6313 -0.610 0.550
During 18 0.6686
T4 Before 18 0.5561 -1.206 0.244
During 18 0.6913
P3 Before 18 0.3974 -2.461 0.025*
During 18 0.4861
P4 Before 18 0.3671 -2.645 0.017*
During 18 0.4469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Claims (4)

  1. 라벤더 오일(0.3% 중량비), 레몬 오일(1.8%), 바질 오일(0.1%), 버가모트 오일(1.5%), 베티버 오일(0.1%), 아코러스 오일(0.1%), 패츌리 오일(0.1%), 페티그레인 오일(0.2%), 메틸 이오논 감마(0.2%), 벤질 아세테이트(0.3%), 시트랄(0.1%), 에버닐(0.1%), 유게놀(0.1%), 쿠마린(0.1%), 헤디온(0.1%),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0.2%), 헬리오날(0.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아코러스 오일은 국내산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 뿌리시료를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한 오일 성상의 것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시트러스, 코니퍼러스, 그린, 허벌, 민티, 오일리, 파우더리, 스파이시한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로, 각각의 향 강도가 6, 3, 6, 3, 2, 1, 3, 2인 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를 이용한 뇌파분석시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0.4394 ㎶ 만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p<0.05),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0.4958 ㎶ 만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p<0.05),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 (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각각 0.0887 ㎶, 0.0798 ㎶ 만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켜(p<0.05)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KR1020130058669A 2013-05-23 2013-05-23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372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69A KR101372754B1 (ko) 2013-05-23 2013-05-23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69A KR101372754B1 (ko) 2013-05-23 2013-05-23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754B1 true KR101372754B1 (ko) 2014-03-11

Family

ID=5064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669A KR101372754B1 (ko) 2013-05-23 2013-05-23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75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1706A (zh) * 2014-08-21 2014-11-26 青岛蓝图文化传播有限公司市南分公司 一种具有提神作用的香水
CN104263514A (zh) * 2014-09-23 2015-01-07 青岛康和食品有限公司 一种梅花香香水
KR101855740B1 (ko) * 2017-08-28 2018-05-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각성 및 집중력 강화용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22466B1 (ko) * 2016-11-22 2018-11-27 (주)백천바이오텍 주의 및 집중력 강화 효과를 지니는 수국차의 제조방법
KR20190052960A (ko) * 2017-11-09 2019-05-17 영농조합법인 엔자임센터 주의 및 집중력 강화용 와송 및 솔잎 혼합 발효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61414A (ko) * 2017-11-28 2019-06-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두엽 Fc5 부위에서 RSA 지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전두엽 Af3 부위와 두정엽 Cz 부위에서 RHB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의 집중을 유도하는 플로럴 부케 내추럴 조합향료 조성물
KR20210080735A (ko) * 2019-12-23 2021-07-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WO2022158625A1 (ko) * 2021-01-25 2022-07-28 주식회사 라이프엔진미디어 석창포 추출액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970A (ko) * 2011-05-27 2012-12-05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311A (ko) * 2011-09-15 2013-03-26 (주)제이에스향료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970A (ko) * 2011-05-27 2012-12-05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311A (ko) * 2011-09-15 2013-03-26 (주)제이에스향료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1706A (zh) * 2014-08-21 2014-11-26 青岛蓝图文化传播有限公司市南分公司 一种具有提神作用的香水
CN104263514A (zh) * 2014-09-23 2015-01-07 青岛康和食品有限公司 一种梅花香香水
KR101922466B1 (ko) * 2016-11-22 2018-11-27 (주)백천바이오텍 주의 및 집중력 강화 효과를 지니는 수국차의 제조방법
KR101855740B1 (ko) * 2017-08-28 2018-05-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각성 및 집중력 강화용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52960A (ko) * 2017-11-09 2019-05-17 영농조합법인 엔자임센터 주의 및 집중력 강화용 와송 및 솔잎 혼합 발효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80599B1 (ko) * 2017-11-09 2019-05-21 영농조합법인 엔자임센터 주의 및 집중력 강화용 와송 및 솔잎 혼합 발효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61414A (ko) * 2017-11-28 2019-06-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두엽 Fc5 부위에서 RSA 지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전두엽 Af3 부위와 두정엽 Cz 부위에서 RHB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의 집중을 유도하는 플로럴 부케 내추럴 조합향료 조성물
KR102001127B1 (ko) 2017-11-28 2019-07-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두엽 Fc5 부위에서 RSA 지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전두엽 Af3 부위와 두정엽 Cz 부위에서 RHB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의 집중을 유도하는 플로럴 부케 내추럴 조합향료 조성물
KR20210080735A (ko) * 2019-12-23 2021-07-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KR102427909B1 (ko) 2019-12-23 2022-08-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WO2022158625A1 (ko) * 2021-01-25 2022-07-28 주식회사 라이프엔진미디어 석창포 추출액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20220107566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라이프엔진미디어 석창포 추출액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102601434B1 (ko) 2021-01-25 2023-11-13 주식회사 라이프엔진미디어 석창포 추출액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754B1 (ko)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Sowndhararajan et al. Influence of fragrances on human psychophysiological activ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response
KR101349592B1 (ko)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Sayorwan et al. The effects of lavender oil inhalation on emotional states,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brain electrical activity
Sayorwan et al. Effects of inhaled rosemary oil on subjective feelings and activities of the nervous system
Sayowan et al. The effects of jasmine Oil inhalation on brain wave activies and emotions
Seo et al. Influence of binasal and uninasal inhalations of essential oil of Abies koreana twigs o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of human
WO2012165831A2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ayowan et al. The harmonizing effects of citronella oil on mood states and brain activities
Gunasekara et al. fNIRS neuroimaging in olfactory researc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Xiong et al. Benefits of Jasminum polyanthum's natural aromas on human emotions and moods
KR102001127B1 (ko) 전두엽 Fc5 부위에서 RSA 지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전두엽 Af3 부위와 두정엽 Cz 부위에서 RHB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의 집중을 유도하는 플로럴 부케 내추럴 조합향료 조성물
KR101986127B1 (ko) 전전두엽 부위, 측두엽 부위, 두정엽 부위, 후두엽 부위에서 rfa 지표를 감소시켜 두뇌의 안정을 유도하는 후르츠 믹스 조합향료 조성물
KR102060960B1 (ko)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KR102060957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딥 포레스트 믹스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Gong et al. Assessing the Anxiolytic and Relaxation Effects of Cinnamomum camphora Essential Oil in University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of EEG, Physiological Measures, and Psychological Responses
KR101313255B1 (ko)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101791217B1 (ko) 측백엽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한약 조성물
WO2019202532A2 (en) Multifunctional benefits of fragrance
Komini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the Adult Alpha Brainwave Activity After Essential Oil Inhalation
Kim et al.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healing focused on plant fragrance therapy for maladjusted soldiers
KR102340205B1 (ko) 두뇌의 집중력을 높이고 각성을 증가시키는 우디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2363321B1 (ko)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Sivaphongthongchai et al. The effects of d-camphor inhalation on psychophysiological parameters among healthy participants
KR102369379B1 (ko) 스트레스 완화용 그루망 플로랄 향취의 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