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228B1 -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228B1
KR101810228B1 KR1020170006236A KR20170006236A KR101810228B1 KR 101810228 B1 KR101810228 B1 KR 101810228B1 KR 1020170006236 A KR1020170006236 A KR 1020170006236A KR 20170006236 A KR20170006236 A KR 20170006236A KR 101810228 B1 KR101810228 B1 KR 101810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rfume composition
extract
conten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이석연
김지웅
방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0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라벤더 에센셜 오일, 망고 추출물, 및 구아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 NATURAL AROMATIC COMPOSITION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부여하고 숙면에 도움을 주는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 사회는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과 가치관의 다원화로 현대인에게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있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심리적인 불안정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계가 과도하게 자극되어 긴장감 고조와 함께 수면 장애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효과가 입증된 스트레스 해소방법에는, 심리 혹은 정신치료 요법, 바이오피드백 요법, 점진적 이완 요법 또는 운동 요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외적인 스트레스 요인들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개인이 각자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찾아오는 각종 스트레스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덜 받으며 지낼 수 있게 하는 방법들이다. 이러한 스트레스 해소방법 중 방향 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직장이나 공공장소에서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향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향기요법에 적용되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향기 물질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율신경의 균형성을 유지시켜 질병이나 몸의 부조화를 다스리는 면역기능을 더욱 강화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향기요법에 대한 일부 연구에서는, 몇 가지 아로마 오일의 흡입 방법에 따른 전후 주관적 평가를 통해 작업 환경에서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클라리세이지는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엔세팔린이란 신경화학 전달물질을 방출하여 통증을 제거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하며 일랑일랑은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엔도르핀을 방출하여 성적 흥분 신경화학 전달물질을 자극한다. 라벤더, 케모마일, 네롤리 등은 세로토닌 분비를 자극하여 공포, 스트레스, 불면증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세로토닌 분비 촉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메커니즘과, 이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성분에 대해서는 추가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부여하고 숙면에 도움을 주는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라벤더 에센셜 오일, 망고 추출물, 및 구아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함량이 상기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0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망고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0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아바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항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0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이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식물성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의 함량이 상기 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1~50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10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종래의 에센셜 오일에 일정 종류의 천연 물질을 부가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보강, 극대화할 수 있고 숙면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미용, 화장품 뿐만 아니라 피부 외용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된 천연 원료는 EWG 1 등급에 해당하는 원료로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없고 민감한 피부에도 안심하고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상대적 알파파(Relative alpha band power, α/(α+β+θ+δ))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상대적 베타파(Relative beta band power, β/(α+β+θ+δ))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의 사용 후 평균 심박간격(RRI)을 측정하여 심박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의 사용 후 심장의 부교감신경에 대한 교감신경의 활성비 (LF/HF)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의 사용 1분 간의 평균 피부 전기저항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제한은 낮은 수치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제한은 더 높은 수치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제한은 더 좁은 수치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향료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라벤더 에센셜 오일, 망고 추출물, 및 구아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라벤더(Lavender)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 라반둘라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Lavandula Officinalis)으로 자주색 또는 보라색의 꽃이 피며 포기 전체에서 상쾌하고 가벼운 허브향이 난다. 라벤더의 전초를 추출 또는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지는 라벤더 오일은 피부의 세포를 활성화하고, 살충, 소독 작용을 하며, 피로회복 및 긴장완화, 불면증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면을 통해 휴식을 하는 메커니즘은 호르몬의 영향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낮에는 체내에서 세로토닌이 생성되고, 밤에는 멜로토닌이 생성되어 수면을 취하고 휴식을 하게 된다. 인체가 정상적인 상태라면 주위 환경이 어두워지면서 멜로토닌이 생성되어 수면을 유도한다.
세로토닌은 각성된 상태를 진정시키고 평정심을 유지시키는 호르몬이다. 스트레스나 집중이 필요한 상황에서 노르아드레날린이나 코티솔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를 제어하고 평정심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 세로토닌이다.
또한, 어두운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분비되어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의 전 단계 물질이 세로토닌이다. 즉, 세로토닌이 부족할 경우 멜라토닌의 생성이 어려워 숙면을 취하기 어렵다.
세로토닌이 생성되는 재료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트립토판이다. 트립토판은 체내에서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으로 전환되는 전구체로 체내 대사 시 비타민 B군이 필요하다. 망고 추출물과 구아바 추출물에 함유된 비타민 B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구분 망고 추출물 구아바 추출물
비타민 B1 0.04 0.04
비타민 B2 0.06 0.05
비타민 B6 0.13 0.14
(단위: mg/100g)
망고 추출물과 구아바 추출물은 비타민 B를 풍부하게 포함하므로, 트립토판, 세로토닌, 및 멜라토닌으로 이어지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라벤더의 긴장, 불면증완화 효과를 보강할 수 있다.
망고 추출물과 구아바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상기 알코올은 60 내지 90% 농도(v/v)의 에탄올일 수 있다.
즉,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숙면 유도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여,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숙면 유도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90%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60% 미만이면 숙면 유도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알코올의 농도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망고 추출물과 구아바 추출물은 각각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각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하고 여과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공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공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망고 추출물과 구아바 추출물은 각각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2 내지 18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가 50℃ 미만이면 추출효율이 저하되고 유효성분이 적절히 용출되지 않을 수 있고, 60℃ 초과이면 천연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고온에서 변형 또는 소실되어 숙면 유도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추출 온도를 적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시간이 12시간 미만이면, 천연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완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18시간 초과이면 천연 원료에 함유된 잔여 유효성분의 함량이 과소하여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추출 시간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뇌파 중에 알파파를 증가시키고, 베타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뇌파에서 알파(α)파는 편안한 상태, 베타(β)파는 불안하거나 긴장 상태, 세타(θ)파는 즐겁거나 졸릴 때, 델타(δ)파는 깊은 수면 시 발생한다.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이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식물성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립토판은 필수 아미노산으로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숙면을 유도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세로토닌, 멜라토닌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트립토판이 체내로 유입되어야 한다. 코코넛 오일과 아보카도 오일은 트립토판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코코넛 오일과 아보카도 오일을 통해 체내에 유입된 트립토판은 망고 추출물과 구아바 추출물에 함유된 비타민 B에 의해 세로토닌, 멜라토닌으로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라벤더 에센셜 오일, 망고 추출물, 및 구아바 추출물의 함량은 각각 상기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0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의 함량이 상기 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1~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의 조성비는 정서안정의 효과를 구현함 동시에 각 성분이 내는 향의 조화를 통한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한 것으로, 각 성분의 조성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필요한 수준의 숙면 유도 효과를 구현할 수 없고 사용자의 기호에도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천연 원료는 EWG 1등급 성분만을 함유하므로 기능성과 안전성을 모두 충족하고 있으며, 유해성이 없어 민감한 피부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EWG 등급은 미국의 비영리 환경 시민단체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에서 발표하는 화장품 성분 유해 등급으로서 EWG는 화장품 성분의 유해성에 대해 면밀한 조사를 진행해 성분 유해도를 1등급에서 10등급까지 구분하고 있으며, 1등급 및 2등급을 안전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일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 초과이면 강도가 강해서 향취에 대한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외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료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비교예
(1) 망고 추출물의 제조
동결건조된 망고를 분쇄한 분말 100g을 70% 에탄올 1L에 10중량%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원료를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한 후, 250메쉬 및 0.5㎛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감압농축하여 망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구아바 추출물의 제조
동결건조된 구아바를 분쇄한 분말 100g을 70% 에탄올 1L에 10중량%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원료를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한 후, 250메쉬 및 0.5㎛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감압농축하여 구아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라벤더 에센셜 오일 10 10 10 10 20 20 30 30
망고 추출물 10 10 10 10 - 10 - -
구아바 추출물 10 10 10 10 10 - - -
코코넛 오일 - 5 - 5 - - 5 -
아보카도 오일 - - 5 5 - - - 5
디프로필렌글리콜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단위: 중량%)
실험예 : 향료 조성물의 생리적/심리적 효과
향료 조성물의 생리적/심리적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중추신경계의 뇌파(EEG), 자율신경계의 평균 심박간격(평균 R-R 간격), 피부 전기저항 등의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피험자
피험자는 건강하고 현재 약물을 복용하지 않으며, 취맹(臭盲)이 아닌 20대~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전일에 무리한 운동이나 과다한 음주를 자제하도록 하였고, 실험 당일에는 중추신경계와 후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흡연, 음료 및 약물, 껌 섭취를 삼가도록 하였다.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으로 여성의 성주기에 따른 향에 대한 감각의 변화, 여성의 생리주기와 기분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어 생리주기를 고려하여 실시하였다.
(2) 실험조건
실험은 후각 실험실(4.8m×3m×2.4m)에서 수행되었고, 내부에는 후각의 순응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흡기 및 배기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피험자의 실험 참여도를 극대화하고 실험 시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방음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실험시 내부 온도(25℃), 습도(40-50%), 조도(150-200 Lx)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한 조건에 대한 실험이 끝난 후에는 피험자가 향에 대한 순응과 피로에 대한 영향이 없도록 충분히 쉬도록 하고, 실험실 내부를 환기시킨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3) 측정방법
뇌파는 국제 10-20 전극 배치법에 따라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부위에 뇌파 측정용 전극(GRASS, USA)을 붙이고 GRASS(USA) 장비, MP 100 system(USA), Acknowledge 프로그램(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측정 부위 간 저항치는 10 ㏀ 이하로 하였고, Sampling rate는 512 Hz로 설정하였다.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CM5 유도법)는 흉부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하였고, 피부 전기저항(Galvanic skin response)은 왼손 중지와 약지에 센서를 부착하여 측정하였다. 생리신호 측정은 MP 100 system과 Acknowledg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Sampling rate는 512 Hz로 설정하였다.
(4) 실험방법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향 용기를 코 밑 1-2 cm 거리에 두고 1분간 제공하였고, 향을 맡는 동안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향에 대한 순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피험자마다 향 제공 순서는 무작위로 실시하였다.
(5) 분석방법
실험은 총 20명의 여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측정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뇌파는 FFT법에 의한 전력 스펙트럼으로 분석한 후 주파수 대역에 따라 α/(α+β+θ+δ), β/(α+β+θ+δ)를 구하였고, 뇌파 Mapping 프로그램(BrainMap 3D, (주)Neuromedi, 한국)을 이용하여 향을 맡는 동안 시간에 따른 뇌파를 맵핑하였다. 심박변화율(HRV)은 심전도에서 검출된 R 포인트로부터 평균 R-R 간격을 구하고, FFT법에 의한 전력 스펙트럼 분석에 따라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LF(Low frequency: 0.04-0.08 Hz), HF(High frequency: 0.15-0.4 Hz) 값을 구하였다. 피부 전기저항(GSR)은 두 센서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시간흐름에 따른 변화와 파형의 평균 진폭 값을 구하였다. 각 생리신호는 무향조건에 대한 각 향 조건의 생리신호 값을 정규화시켜(Normalized Sensitivity)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조건에 따른 생리신호 분석 값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향 별 ANOVA분석과 t-test를 하였고,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6) 실험결과
향료 조성물에 따른 중추신경 반응을 뇌파로 측정하여 상대적 알파파와 상대적 베타파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사용 후 상대적 알파파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알파파는 사람이 편안한 상태일 때 나타나는 뇌파로서 그 비율이 높다는 것은 피험자가 제공된 향을 편안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하고, 알파파가 높게 활성화되는 향은 인체를 이완 및 진정시킴을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은 비교예 1~4에 비해 진정/이완 시 나타나는 알파파의 비율이 높았고, 특히, 실시예 2~4의 향료 조성물은 실시예 1에 비해 알파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트립토판을 함유한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이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세로토닌 분비 촉진 효과를 직, 간접적으로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상대적 베타파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베타파는 불안하거나 긴장하였을 때 나타나는 뇌파로 그 비율이 높다는 것은 피험자가 긴장이나 각성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은 비교예 1~4에 비해 베타파의 비율이 낮았고, 특히, 실시예 2~4의 향료 조성물은 실시예 1에 비해 베타파의 비율이 감소하여, 실시예 1, 및 그에 식물성 오일이 추가로 첨가된 실시예 2~4의 향료 조성물이 릴렉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향료 조성물의 사용 후 상기의 심박변화율, 피부 전기저항 측정결과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먼저, 심박변화율은 심박의 빈도가 높은 정도를 말하며 본 실험에서는 평균 심박간격(평균 R-R 간격: RRI)으로 측정하였다(도 3). 긴장 시 심박빈도가 증가하여 심박간격은 좁아지고, 이완 시 심박빈도가 감소하여 심박간격은 넓어진다. 즉, 평균 R-R 간격이 증가하는 것은 심장이 천천히 뛰고 있다는 것으로 편안함, 안정감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은 비교예 1~4에 비해 심박간격이 더 넓고, 실시예 2~4의 향료 조성물은 실시예 1에 비해 심박간격이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료 조성물의 사용 후 심장의 부교감신경에 대한 교감신경의 활성비(LF/HF)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심장의 부교감신경에 대한 교감신경의 활성비 (LF/HF)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비로 교감신경 활성도에 비례하고 부교감신경 활성도에 반비례한다. 심장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비(LF/HF)가 낮다는 것은 교감 신경의 활성도가 낮다는 것이고 이는 뇌가 안정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은 비교예 1~4에 비해 심장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비(LF/HF)가 감소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실시예 2~4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나, 실시예 1~4의 향료 조성물이 뇌 활동을 안정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5는 향료 조성물의 사용 후 1분간의 평균 피부 전기저항을 비교한 결과이다. 피부 전기저항은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와 파형의 평균 진폭값(전위차)을 말하며 긴장되면 진폭값이 커지고 이완되면 진폭값이 작아진다.
도 5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은 비교예 1~4에 비해 평균 피부 전기저항이 감소하였고, 특히, 실시예 2~4의 향료 조성물은 실시예 1에 비해 평균 피부 전기저항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실시예 1~4의 향료 조성물이 긴장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라벤더 에센셜 오일, 망고 추출물, 구아바 추출물, 코코넛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함량이 상기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0중량%인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고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0중량%인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아바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항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0중량%인 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코넛 오일 및 상기 아보카도 오일의 함량이 상기 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1~50중량부인 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10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06236A 2017-01-13 2017-01-13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0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236A KR101810228B1 (ko) 2017-01-13 2017-01-13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236A KR101810228B1 (ko) 2017-01-13 2017-01-13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228B1 true KR101810228B1 (ko) 2018-01-18

Family

ID=6102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236A KR101810228B1 (ko) 2017-01-13 2017-01-13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995A (ko) 2020-10-08 2022-04-15 한국콜마주식회사 라벤더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14470288A (zh) * 2022-03-14 2022-05-13 浙江宋朝臻选科技有限公司 具有舒缓作用的香氛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596A (ja) 2003-12-26 2005-08-04 Osaka Industrial Promotion Organization 芳香療法用組成物
JP2012031073A (ja) * 2010-07-29 2012-02-16 Ogawa & Co Ltd 抗ストレス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596A (ja) 2003-12-26 2005-08-04 Osaka Industrial Promotion Organization 芳香療法用組成物
JP2012031073A (ja) * 2010-07-29 2012-02-16 Ogawa & Co Ltd 抗ストレス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995A (ko) 2020-10-08 2022-04-15 한국콜마주식회사 라벤더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99789B1 (ko) 2020-10-08 2023-11-09 한국콜마주식회사 라벤더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14470288A (zh) * 2022-03-14 2022-05-13 浙江宋朝臻选科技有限公司 具有舒缓作用的香氛及其制备方法
CN114470288B (zh) * 2022-03-14 2023-08-22 浙江宋朝臻选科技有限公司 具有舒缓作用的香氛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1970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569616A (zh) 一种改善睡眠的复方油及其制备方法
CN104983927A (zh) 一种应用于焦虑症康复理疗中静心宁神的复方精油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Hedaoo et al. A review on aromatherapy
KR101810228B1 (ko)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4762B1 (ko)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0230B1 (ko) 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5783B1 (ko) 우수한 숙면 효과를 갖는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971574B1 (ko)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 또는 숙면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0659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5813A (ko)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KR102570019B1 (ko)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1575B1 (ko) 옥수수오일, 귀리, 보리 또는 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703899B (zh) 护肤按摩精油
CN107362289B (zh) 一种抗抑郁香及其制备方法
KR101791217B1 (ko) 측백엽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한약 조성물
KR20200045213A (ko) 천연 꽃잎을 함유하는 아로마테라피 마스크팩
KR102244814B1 (ko)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KR102597516B1 (ko) 신규한 유기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CN115414285B (zh) 一种胸部呵护精油及其制备方法
CN115350260B (zh) 一种用于皮肤具有助睡眠功能的日常护理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00127776A (ko) 숙면에 도움을 주는 천연오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