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842A -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842A
KR20230128842A KR1020220026244A KR20220026244A KR20230128842A KR 20230128842 A KR20230128842 A KR 20230128842A KR 1020220026244 A KR1020220026244 A KR 1020220026244A KR 20220026244 A KR20220026244 A KR 20220026244A KR 20230128842 A KR20230128842 A KR 20230128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perfume composition
skin
car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주
Original Assignee
(주) 레비레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레비레스코 filed Critical (주) 레비레스코
Priority to KR102022002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8842A/ko
Publication of KR2023012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84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뛰어난 항산화 효능을 갖는 Frankincense, Geranium, Myrrh를 배합하고 Muscenone, Sandalwood, Iso E Super, Bitter Orange, Habanolide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Natural aroma composition with anti-aging effect through activating stem cells and protecting from UV}
본 발명은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퍼스널 케어 제품 또는 홈 케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최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질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200-290nm의 파장은 자외선 C(이하 UV-C라 한다), 290-320nm의 파장은 자외선 B(이하 UV-B라 한다), 320-400nm의 파장은 자외선 A(이하 UV-A라 한다)로 분류된다. 그 중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양광 노출에 의한 위험이 알려지면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차단 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및 자외선 A 차단 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을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광독성, 피부자극,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안정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외선이 피부에 발생시키는 또 다른 문제는 피부 노화인데, 주로 피부가 자외선에 조사되었을 때나 피부 세포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이라는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큰 화학물질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자유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 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일중항산소(single oxygen) 등이 있다.
자유라디칼은 피부 노화와 관련이 깊기 때문에 종래에는 화장료에 수퍼옥사이드 디스뮤네이즈(SOD), 비타민 E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사용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위에서 언급된 물질들은 합성 원료로서 최근 안전성 면에 있어서 고객에게 안심감을 주기 어렵기 때문에 천연 향료로만 이루어진 항산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스트레스란 여러 가지 형태의 불쾌감이나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의미한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심리적인 불안정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계가 과도하게 자극되어 긴장감 고조와 함께 수면 장애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심장병, 위궤양, 고혈압 따위의 신체적 질환을 일으키기도 하고 불면증, 노이로제, 우울증 따위의 심리적 부적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현재 효과가 입증된 스트레스 해소 방법에는, 심리 혹은 정신 치료 요법, 바이오 피드백 요법, 점진적 이완 요법 또는 운동 요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외적인 스트레스 요인들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개인이 각자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찾아오는 각종 스트레스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덜 받으며 지낼 수 있게 하는 방법들이다. 이러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 중 방향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직장이나 공공장소에서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향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향기 요법에 적용되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향기 물질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율신경의 균형성을 유지시켜 질병이나 몸의 부조화를 다스리는 면역기능을 더욱 강화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아로마 요법에 대한 일부 연구에서는, 몇 가지 아로마 오일의 흡입 방법에 따른 전후 주관적 평가를 통해 작업 환경에서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천연 향료로만 이루어진 향료 조성물로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면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신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2151758호 2. 한국 등록특허 제10-2151758호 3. 한국 등록특허 제10-1349592호 4.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902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항산화 효과뿐 아니라,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보다 뛰어난 항노화 효과를 보이면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신을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천연 물질로만 구성된 천연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고 한다.
즉, 본 발명은 천연 향료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기호성이 우수하면서도,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는 물론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를 가진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Frankincense 오일, Geranium 오일, Myrrh 오일, Muscenone 오일, Sandalwood 오일, Iso E Super 오일, Bitter Orange 오일, Habanolide 오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수, 화장품, 팩,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및 물 파스와 같은 제형을 갖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며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제품, 구강 제품, 피부 세정제 또는 향수와 같은 퍼스널 케어 제품 또는 방향제 또는 세제와 같은 홈 케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뿐 아니라,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보다 뛰어난 항노화 효과를 보이면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신을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향료 조성물은 천연 향료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기호성이 우수하면서도,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는 물론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도 1은 배양한 피부 모델에서 p63 양성 세포의 염색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구성된다' 등의 표현은 '~만'이 사용되지 않는 한,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의 구성요소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 또는 수치 범위는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의 표현은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Frankincense 오일, Geranium 오일, Myrrh 오일, Muscenone 오일, Sandalwood 오일, Iso E Super 오일, Bitter Orange 오일, Habanolide 오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Frankincense 오일, Geranium 오일, Myrrh 오일, Muscenone 오일, Sandalwood 오일, Iso E Super 오일, Bitter Orange 오일, Habanolide 오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은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Frankincense 오일 40-60 중량%, 상기 Geranium 오일 20-30 중량%, 상기 Myrrh 오일 3-7 중량%, 상기 Muscenone 오일 3-7 중량%, 상기 Sandalwood 오일 6-11 중량%, 상기 Iso E Super 오일 1.5-2.5 중량%, 상기 Bitter Orange 오일 1.5-2.5 중량%, 상기 Habanolide 오일 3-7 중량%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에 포함된 각 성분이 특히 위와 같은 함량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각 함량이 위 함량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심박 빈도가 감소하고 심장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비(LF/HF)가 낮아지며 평균 피부 전기저항의 진폭 값이 낮아지는 반면, 위 함량 범위 중 어느 하나에라도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심박 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심장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비(LF/HF)가 크게 높아지며 평균 피부 전기저항의 진폭 값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위와 같은 성분과 함량 범위를 갖추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흔들림 없는 보관 중인 상태에서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지 않고 미세하게 층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Lab 색차 값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아래 2개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는 경우, 이와 같은 층이 분리되는 불안정성과 Lab 색차 값이 변화되는 변색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Frankincense 오일 40-60 중량%, Geranium 오일 20-30 중량%, Myrrh 오일 3-7 중량%, Muscenone 오일 3-7 중량%, Sandalwood 오일 6-11 중량%, Iso E Super 오일 1.5-2.5 중량%, Bitter Orange 오일 1.5-2.5 중량%, Habanolide 오일 3-7 중량%을 혼합한 후에 15-20℃ 조건에서 10-20일간 숙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Frankincense 오일, Geranium 오일, Myrrh 오일, Muscenone 오일, Sandalwood 오일, Iso E Super 오일, Bitter Orange 오일, Habanolide 오일의 혼합물을 0-10℃의 저온에서 0.5-2℃/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이를 냉각시켜 포집하는 증기분별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가 가질 수 있는 제형의 예에는 향수, 화장품, 팩,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물 파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 또는 홈 케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퍼스널 케어 제품의 예에는 헤어 제품, 구강 제품, 피부 세정제, 향수 등이 포함되고, 홈 케어 제품의 예에는 방향제과 세제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헤어 제품의 예에는 샴푸, 린스, 컨디셔너, 왁스, 젤, 무스 등을 들 수 있고, 구강 제품의 예에는 치약 또는 가글액 등을 들 수 있으며, 피부 세정제의 예에는 비누,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오일 등을 들 수 있고, 세제의 예에는 액체 세정제, 주방 세제, 세탁 세제, 욕실 세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물질 등의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향료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해 살펴본다.
Frankincense은 asolibanum로도 알려져 있는 물질로서, 향료 및 향수로 사용되는 아로마 수지이며, 에 속하는 genus Boswellia 나무에서 얻어진 것이다.
Geranium은 주요 원산지기 남아프리카 일대로 홑겹의 아름다운 꽃들이 화려한 색을 자랑하며 피는데,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사랑받는 화훼식물 중 하나이다. 잎을 만지면 특유의 냄새를 맡을 수 있다.
Myrrh은 Commiphora 종의 껍질에서 추출한 오일 성분으로, 오래 전부터 종교행사에서 사용하던 향이며, 고대 중국이나 인도에서는 만성질환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었다.
Muscenone은 Firmenich 사가 공급하는 향료로서, 우아한 느낌과 함께 사향의 냄새를 가진다.
Sandalwood (단향 또는 단향목)은 단향과에 속하는 나무들로부터 얻어지는데, 추출물은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항염, 항균, 항증식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피부질환 가운에 여드름, 건선, 습진, 사마귀 등에 사용된다고 한다.
Iso E Super는 우디앰버같은 향이 나는 무색 혹은 담황색의 액체로, 향수에서 하우스홀드까지 다양한 타입의 제품향료에 사용된다.
Bitter Orange (Citrus aurantium, 쓴 귤)은 운향과의 과일 나무(상록 소교목)이다. 당귤나무와 유전적으로 아주 유사하지만, 쓴맛이 나서 식용하기 어렵다. 비터오렌지는 소화불량, 설사와 같은 위장관 증상과 anxiety 및 경련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아로마 치료와 의학적 치료를 위한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Habanolide 역시 Firmenich 사가 공급하는 향료로, 우아하고 풍성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미묘한 강도의 ambery한 느낌을 주는 향료이다.
Frankencense와 Myrrh는 과거부터 종교행사에서 많이 사용되던 향료이지만, 전통의학에서도 만성병 치료를 위해 많이 사용되어 오던 향료이다. 문헌에 따르면 Frankencense와 Myrrh는 항염효과, 항암효과, 항균효과 등을 가지고 있으며 복합사용 시 효과가 증진된다고 한다. 물론 다양한 종류의 플라보노이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항산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런 향들은 기호도 개선을 위해 화장품 개발을 위해 사용되어 왔지만 이들의 약리학적 효과를 화장품에 적극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Frankencense와 Myrrh를 포함하고 그 외 Geranium과 함께 Muscenone, Sandalwood, Iso E Super, Bitter Orange, Habanolide을 포함하는 향료 컴플렉스를 제조하고, 이의 우수한 세포 활성화 효과와 더불어 피부 보호 효과도 함께 관측하여 우수한 항노화 기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조합 향료 조성물 제조
Frankincense 오일 46.8g, Geranium 오일 25.2g, Myrrh 오일 5.0g을 혼합하여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오일 컴플렉스, 컴플렉스 A).
Muscenone 오일 5g, Sandalwood 오일 5.0g, Iso E Super 오일 2.1 g, Bitter Orange 오일 2.1g, Habanolide 오일 5.0g을 혼합하여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오일 혼합물, 컴플렉스 B).
이렇게 제조한 컴플렉스 A와 컴플렉스 B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컴플렉스 F).
시험예 1: 천연 향료의 항산화력 측정
항산화 효과를 갖는 향료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문헌을 통하여 항산화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천연 향료와 일부 합성 향료를 준비하였다. 테스트를 위한 농도의 2배로 준비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비타민 C를 물에 녹여 1% 농도로 준비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100μM 농도가 되도록 하였다. 준비된 천연 향료와 증류수를 동량 혼합하여, 각각의 용액 10μL와 DPPH 용액 190μL를 혼합하여 37℃에서 3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540nm에서 OD 값을 측정하고, 선별된 향료의 항산화 효능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를 참조하면, 비타민 C와 비교하여 10배 높은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Muscenone와 Iso E Super 및 Habanolide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고, 특히 Frankincense, Geranium, Myrrh, Bitter Orange의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을 보여주었다.
시험예 2: 천연 향료의 자외선 보호 효과 측정
섬유모세포를 배양하고 향료 단독 혹은 조합을 처리한 후, 자외선 조사가 세포 활성도에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를 평가하였다. 우선 사람의 섬유모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 용기에 70% 정도로 채워진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UVB: BLE-1T158, Spectronics Corp., Westbury, NY). 코다실 필터(Kodacel filter, TA401/407. Kodak, Rochester, NY)를 사용하여 자외선 C(UV-C)를 차단하였고, 조사된 에너지의 양은 Waldmann UV meter (model No. 585100; Waldmann Co., VS-Schwenningen, German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향료의 처리 농도는 원액 기준으로 1μL/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오일 컴플렉스의 경우 향료의 조성비에 따라 혼합하였다.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세포 독성도를 MTT assay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자외선 조사 24시간 후의 세포 활성도를 제시한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비타민 C는 세포에 대한 보호 효과가 미미한 반면, Frankencense, Myrrh, Bitter Orange는 자외선 보호 효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천연 향료의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 측정
마지막으로 세포활성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각질형성세포를 배양하고 섬유모세포를 배양하여 삼차원 피부모델을 배양하였다. 실험예 2와 같은 농도와 조건으로 향료를 처치하였다.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는 포경수술을 통하여 얻어진 포피에서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분리한 각질형성세포는 각질형성세포 성장 배지(Clonetics KGM BulletKit, 20-9Lonza, Walkersville, MD, USA)에서 배양하였고, 섬유모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가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elgene, Daegu,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진피대용물 제조를 위해 쥐꼬리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였다. 콜라겐과 섬유모세포를 혼합하여 진피 대용물을 제조하고 그 위에 각질형성세포를 뿌리고, 이후 12일간 공기에 노출시켜 삼차원 피부모델을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한 인공피부모델에 배양 6일 이후 6일간 향료를 처리하였다. 향료는 배양액 교환시 추가하였다. 배양 종료 후 고정한 후 표피세포의 줄기세포마커로 알려진 p63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배양한 피부 모델에서 p63 양성 세포의 염색 결과를 제시한 도 1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컴플렉스 F는 다른 향료나 조합에 비교하여 가장 높은 p63의 발현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2: 조합 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컴플렉스 F에 대해 약 15-20℃의 조화실에서 2주간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조합 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컴플렉스 F에 대해서 5℃에서부터 1℃/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오일 원료의 잔류 없이 모두 증기로 발생시킨 후, 이를 냉각시켜 모두 포집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조합 향료 조성물 제조
Frankincense 오일 46.8g과 Muscenone 오일 5g을 사용하는 대신에, Frankincense 오일 43.8g과 Muscenone 오일 8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합 향료 조성물 컴플렉스 F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조합 향료 조성물 제조
Geranium 오일 25.2g과 Iso E Super 오일 2.1 g을 사용하는 대신에, Geranium 오일 24.2g과 Iso E Super 오일 3.1 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합 향료 조성물 컴플렉스 F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3: 향료 조성물의 생리적, 심리적 효과 평가
향료 조성물의 생리적, 심리적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과 2에서 제조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전후에 자율신경계의 평균 심박 간격(평균 R-R 간격)과 피부 전기저항 등의 생리신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피험자
피험자는 건강하고 현재 약물을 복용하지 않으며, 취맹(臭盲)이 아닌 20대~30대 남성 2명과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전일에 무리한 운동이나 과다한 음주를 자제하도록 하였고, 실험 당일에는 중추신경계와 후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흡연, 음료 및 약물, 껌 섭취를 삼가도록 하였다.
(2) 실험조건
실험은 후각 실험실(4.8mㅧ3mㅧ2.4m)에서 수행되었고, 내부에는 후각의 순응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흡기 및 배기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피험자의 실험 참여도를 극대화하고 실험 시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방음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실험시 내부 온도(25℃), 습도(40-50%), 조도(150-200Lx)는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특정한 조건에 대한 실험이 끝난 후에는 피험자가 향에 대한 순응과 피로에 대한 영향이 없도록 충분히 쉬도록 하고, 실험실 내부를 환기시킨 후 다음 실험을 실시하였다.
(3) 측정방법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CM5 유도법)는 흉부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하였고, 피부 전기저항(Galvanic skin response)은 왼손 중지와 약지에 센서를 부착하여 측정하였다. 생리신호 측정은 MP 100 system과 Acknowledg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Sampling rate는 512Hz로 설정하였다.
(4) 실험방법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향 용기를 코 밑 1-2cm 거리에 두고 1분간 제공하였고, 향을 맡는 동안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향에 대한 순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피험자마다 향 제공 순서는 무작위로 실시하였다.
(5) 분석방법
심박 변화율(HRV)은 심전도에서 검출된 R 포인트로부터 평균 R-R 간격을 구하고, FFT법에 의한 전력 스펙트럼 분석에 따라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LF(Low frequency: 0.04-0.08Hz), HF(High frequency: 0.15-0.4Hz) 값을 구하였다.
피부 전기저항(GSR)은 두 센서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시간흐름에 따른 변화와 파형의 평균 진폭 값을 구하였다. 각 생리신호는 무향조건에 대한 각 향 조건의 생리신호 값을 정규화시켜(Normalized Sensitivity)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조건에 따른 생리신호 분석 값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통계적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향 별 ANOVA분석과 t-test를 하였고,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6) 실험결과
향료 조성물의 사용 후 상기의 심박 변화율, 피부 전기저항 측정결과를 표 5 내지 표 7에 나타내었다.
① 먼저, 심박 변화율은 심박의 빈도가 높은 정도를 말하며 본 실험에서는 평균 심박 간격(평균 R-R 간격: RRI)으로 측정하였다. 긴장 시 심박 빈도가 증가하여 심박 간격은 좁아지고, 이완 시 심박 빈도가 감소하여 심박 간격은 넓어진다. 즉, 평균 R-R 간격이 증가하는 것은 심장이 천천히 뛰고 있다는 것으로 편안함, 안정감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표 5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향료 조성물은 심박 간격이 거의 차이가 없는 반면, 비교예 1과 2의 향료 조성물에 비해서는 심박 간격이 뚜렷하게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② 또한, 향료 조성물의 사용 후 심장의 부교감신경에 대한 교감신경의 활성비(LF/HF)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심장의 부교감신경에 대한 교감신경의 활성비(LF/HF)는 교감신경 활성도에 비례하고 부교감신경 활성도에 반비례하므로, 심장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비(LF/HF)가 낮다는 것은 교감 신경의 활성도가 낮고 부교감신경 활성도가 높다는 것이며, 이는 안정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표 6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향료 조성물은 심장의 부교감신경에 대한 교감신경의 활성비(LF/HF)가 서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비교예 1과 2에 비해서는 뚜렷하게 낮은 LF/HF 값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③ 또한, 표 7은 향료 조성물의 사용 후 1분간의 평균 피부 전기저항을 비교한 결과이다. 피부 전기저항은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와 파형의 평균 진폭 값(전위차)을 말하며, 긴장되면 진폭 값이 커지고, 반대로 이완되면 진폭 값이 작아진다.
표 7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향료 조성물은 평균 피부 전기저항이 서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비교예 1과 2에 비해서는 뚜렷하게 낮은 평균 피부 전기저항 값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상분리 및 변색 관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향료 조성물에 대해 물리화학적인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장기 저장(3개월) 후에 상 분리 및 변색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흔들림 없는 보관 중인 상태에서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지 않고 미세하게 층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반면, 실시예 2와 3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이와 같은 층 분리 현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장기 저장 후 Lab 색차 값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반면, 실시예 2와 3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Lab 색차 값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Frankincense 오일, Geranium 오일, Myrrh 오일, Muscenone 오일, Sandalwood 오일, Iso E Super 오일, Bitter Orange 오일, Habanolide 오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rankincense 오일 40-60 중량%, 상기 Geranium 오일 20-30 중량%, 상기 Myrrh 오일 3-7 중량%, 상기 Muscenone 오일 3-7 중량%, 상기 Sandalwood 오일 6-11 중량%, 상기 Iso E Super 오일 1.5-2.5 중량%, 상기 Bitter Orange 오일 1.5-2.5 중량%, 상기 Habanolide 오일 3-7 중량%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Frankincense 오일 40-60 중량%, Geranium 오일 20-30 중량%, Myrrh 오일 3-7 중량%, Muscenone 오일 3-7 중량%, Sandalwood 오일 6-11 중량%, Iso E Super 오일 1.5-2.5 중량%, Bitter Orange 오일 1.5-2.5 중량%, Habanolide 오일 3-7 중량%을 혼합한 후에 15-20℃ 조건에서 10-20일간 숙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증기분별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증기분별법은 Frankincense 오일, Geranium 오일, Myrrh 오일, Muscenone 오일, Sandalwood 오일, Iso E Super 오일, Bitter Orange 오일, Habanolide 오일의 혼합물을 0-10℃의 저온에서 0.5-2℃/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이를 냉각시켜 포집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로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향수, 화장품, 팩,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및 물 파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케어 제품으로서,
    상기 케어 제품은 퍼스널 케어 또는 홈 케어 제품이고,
    상기 퍼스널 케어 제품은 헤어 제품, 구강 제품, 피부 세정제, 향수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홈 케어 제품은 방향제 또는 세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제품.
KR1020220026244A 2022-02-28 2022-02-28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230128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44A KR20230128842A (ko) 2022-02-28 2022-02-28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44A KR20230128842A (ko) 2022-02-28 2022-02-28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842A true KR20230128842A (ko) 2023-09-05

Family

ID=8797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244A KR20230128842A (ko) 2022-02-28 2022-02-28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884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223A (ko) 2002-05-21 2003-11-28 주식회사 아로마휴먼텍 지속성이 향상된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KR101349592B1 (ko) 2013-05-22 2014-02-13 김성문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KR102151758B1 (ko) 2019-02-20 2020-09-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로마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223A (ko) 2002-05-21 2003-11-28 주식회사 아로마휴먼텍 지속성이 향상된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KR101349592B1 (ko) 2013-05-22 2014-02-13 김성문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KR102151758B1 (ko) 2019-02-20 2020-09-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로마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6332B1 (ko) 항노화, 항산화, 피부 재생 및 피부 면역을 위한 식물 컴플렉스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1970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102245A (ja) モミの木の抽出物
CN108888536A (zh) 一种具有祛斑美白、补水、抗皱以及紧致肌肤作用的香薰精油及其制备方法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260706B (zh) 包含泡桐素和/或泡桐属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4762B1 (ko)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4449B1 (ko)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성 천연 항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WO2022222215A1 (zh) 一种护肤复合精华油
KR10215275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Valnet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Patil et al. A review on: standerdization of herb in new era of cosmaceuticals: herbal cosmetics
KR20230128842A (ko)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102427909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KR20190065623A (ko)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한 염색약 조성물
KR20200045213A (ko) 천연 꽃잎을 함유하는 아로마테라피 마스크팩
KR101810227B1 (ko) 석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4814B1 (ko)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Gosavi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lotus oil
KR102570858B1 (ko) 아로마테라피용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