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171A -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171A
KR20210004171A KR1020190080143A KR20190080143A KR20210004171A KR 20210004171 A KR20210004171 A KR 20210004171A KR 1020190080143 A KR1020190080143 A KR 1020190080143A KR 20190080143 A KR20190080143 A KR 20190080143A KR 20210004171 A KR20210004171 A KR 20210004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fragrance
perfume composition
paulow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836B1 (ko
Inventor
박소라
고은성
장윤미
우창식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8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4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six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Fragrance of Paulownia coreana}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및 화장품 등의 소비재에는 다양한 향의 향료 조성물이 첨가되고 있고, 천연 성분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천연 유래의 향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천연 향료 조성물로 천연 물질로부터 채취된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채취량에 한계가 있으며, 향기의 강도 및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화합물의 적절한 배합을 통해 천연 물질의 향취를 재현하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1579호에서는 트랜스-오시멘(Trans-Ocimene), 리날로울(Linalool) 및 메틸안트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를 포함하는 술패랭이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155621호에서는 2,6,6-트리메틸-2-사이클로헥센-1,4-디온(2,6,6-Trimethyl-2-cyclohexene-1,4-dione),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2-Aminobenzaldehyde),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등을 포함하는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식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조성물은 보고된 바 없다.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는 한국 원산의 꿀풀목 오동나무과의 식물로 붉동나무 또는 오동이라고도 한다. 5월 내지 6월 경 종 모양의 연보라색 꽃이 피며, 꽃 향기가 진하다.
본 발명은 천연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메틸벤조에이트(Methylbenzoat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리날로울(Linalool), 시스-리날로울 옥사이드(cis-Linalool oxide),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및 인돌(Indol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메틸벤조에이트(Methylbenzoat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리날로울(Linalool), 시스-리날로울 옥사이드(cis-Linalool oxide),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및 인돌(Indole)을 포함함으로써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메틸벤조에이트(Methylbenzoat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리날로울(Linalool), 시스-리날로울 옥사이드(cis-Linalool oxide),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및 인돌(Indole)을 주요 향취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주요 향취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메틸벤조에이트 12 내지 30 중량%, 예를 들어 17 내지 21 중량%, 벤즈알데히드 8 내지 22 중량%, 예를 들어 11 내지 16 중량%, 다른 예로는 12 내지 15 중량%, 리날로울 8 내지 22 중량%, 예를 들어 11 내지 15 중량%, 다른 예로는 12 내지 14 중량%, 시스-리날로울 옥사이드 5 내지 18 중량%, 예를 들어 8 내지 15 중량%, 다른 예로는 9 내지 13 중량%, 2-메틸부타날 5 내지 15 중량%, 예를 들어 7 내지 13 중량%, 다른 예로는 9 내지 11 중량% 및 인돌 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8 중량%, 다른 예로는 3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주요 향취 성분이 전술한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오동나무 꽃 고유의 향취를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으며,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동나무 꽃 향취와의 유사성이 낮아지면서 향취의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페닐에틸알코올(Phenylethyl alcohol), 메틸헥실케톤(Methyl hexyl ketone) 및 페닐이소헥산올(Phenylisohexanol)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성분을 더 포함할 경우, 오동나무 꽃 향취와의 유사도가 높아지고 향료 조성물의 기호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페닐에틸알코올, 메틸헥실케톤 및 페닐이소헥산올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페닐에틸알코올 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8 중량%, 다른 예로는 3 내지 5 중량%, 메틸헥실케톤 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8 중량%, 다른 예로는 3 내지 6 중량% 및 페닐이소헥산올 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8 중량%, 다른 예로는 2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페닐에틸알코올, 메틸헥실케톤 및 페닐이소헥산올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향료 조성물의 오동나무 꽃 고유 향취에 대한 유사성 및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취 성분들의 분산성 및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용매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향료 조성물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용매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100 중량%)을 만족시키는 잔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5 내지 40 중량%, 다른 예로는 10 내지 30 중량%, 또 다른 예로는 15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용매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향취 성분이 조성물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퍼스널 케어 조성물, 홈 케어 조성물 등에 배합될 수 있고,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폼, 유액, 오일, 유탁액, 스프레이 제형의 화장품 또는 향수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샴푸, 바디 워시(body wash), 비누, 세안제, 헤어 컨디셔너, 샴푸, 제모용 제품, 입욕제 등의 퍼스널 케어 제품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홈 케어 조성물은 주방 세제, 세탁 세제, 청소 세제 등의 홈 케어 제품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동나무 꽃 향취 분석]
발향이 잘되는 오동나무 꽃을 밀폐된 지퍼백으로 씌워 포집 주변의 냄새는 흡착되지 않고 오직 향취 성분만 포집될 수 있도록 한 후, 60분 동안 85 μm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섬유(fiber)를 지퍼백안에 고정시켜 향취 성분을 흡착시켰다. GC-MS 분석을 수행하여 향취 성분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GC-MS 분석 조건
- 분석기기: HP 5890 Ⅱ GC
- 컬럼: DB-1 (60 m × 0.25 mm, 0.25 ㎛)
- 이동상 기체: He
- 주입온도: 250 ℃
- 검출온도: 270 ℃
- 오븐온도: 60 내지 220 ℃(10 ℃/min)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구성하는 전체 성분 중, 메틸벤조에이트, 벤즈알데히드, 리날로울, 시스-리날로울 옥사이드, 2-메틸부타날 및 인돌의 6가지 성분이 주 성분에 해당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8]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향취 성분 및 용매를 혼합하여 실시예 1-8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서 각 성분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pat00002
[비교예 1-4]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향취 성분 및 용매를 혼합하여 비교예 1-4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서 각 성분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pat00003
[관능 평가]
20 내지 39세의 일반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천연의 오동나무 꽃향과 상기 실시예 1-8 그리고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된 향료 조성물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여 기호성 및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후감각 마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5분 동안의 시간을 두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향료 조성물의 향취를 맡아보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6에 나타내었다. 표 4는 각 실시예 조성물의 기호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5는 각 실시예 조성물의 유사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6은 각 비교예 조성물의 기호성 및 유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호성은 매우 좋은 경우 7점, 전혀 좋지 않은 경우 1점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유사성은 매우 유사한 경우 7점, 전혀 유사하지 않은 경우 1점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상기 표 4-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이 비교예 1-4의 향료 조성물에 비해 오동나무 꽃 고유 향취와 유사한 향취를 가지고 있으며 기호성 또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 향수 제조]
하기 표 7의 조성에 따라 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7

Claims (8)

  1. 메틸벤조에이트(Methylbenzoat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리날로울(Linalool), 시스-리날로울 옥사이드(cis-Linalool oxide),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및 인돌(Indole)을 포함하는 오동나무 꽃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메틸벤조에이트 17 내지 21 중량%, 벤즈알데히드 11 내지 16 중량%, 리날로울 11 내지 15 중량%, 시스-리날로울 옥사이드 8 내지 12 중량%, 2-메틸부타날 8 내지 10 중량% 및 인돌 1 내지 4 중량%을 포함하는 오동나무 꽃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페닐에틸알코올(Phenylethyl alcohol), 메틸헥실케톤(Methyl hexyl ketone) 및 페닐이소헥산올(Phenylisohexanol)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오동나무 꽃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페닐에틸알코올 0.1 내지 10 중량%, 메틸헥실케톤 0.1 내지 10 중량% 및 페닐이소헥산올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오동나무 꽃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조성물.
KR1020190080143A 2019-07-03 2019-07-03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46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143A KR102346836B1 (ko) 2019-07-03 2019-07-03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143A KR102346836B1 (ko) 2019-07-03 2019-07-03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71A true KR20210004171A (ko) 2021-01-13
KR102346836B1 KR102346836B1 (ko) 2022-01-04

Family

ID=7414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143A KR102346836B1 (ko) 2019-07-03 2019-07-03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035A (ko) * 2021-02-03 2022-08-10 한국콜마주식회사 어진향차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24B1 (ko) * 2006-04-06 2007-02-27 (주)아모레퍼시픽 거문도 수선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053709A (ko) * 2010-11-18 2012-05-29 (주)아모레퍼시픽 미선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53148A (ko) * 2011-11-15 2013-05-23 (주)아모레퍼시픽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108685A (ko) * 2015-03-05 2016-09-20 (주)아모레퍼시픽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038708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다래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24B1 (ko) * 2006-04-06 2007-02-27 (주)아모레퍼시픽 거문도 수선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053709A (ko) * 2010-11-18 2012-05-29 (주)아모레퍼시픽 미선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53148A (ko) * 2011-11-15 2013-05-23 (주)아모레퍼시픽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108685A (ko) * 2015-03-05 2016-09-20 (주)아모레퍼시픽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038708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다래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LASS PETAL SMOKE: Royal Paulownia: The Perfume of Spring Along the Hudson. 구글 블로그, [online], 2009년 05월 28일, [2019년 11월 08일 검색], 인터넷: <URL: https://glasspetalsmoke.blogspot.com/2009/05/royal-paulownia-perfume-of-spring-along.html>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035A (ko) * 2021-02-03 2022-08-10 한국콜마주식회사 어진향차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836B1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3857A2 (en) Fragrance fixatives
US20090165360A1 (en) Fragrance fixatives
JP2017529434A (ja) 香料組成物
KR102346836B1 (ko)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6008178A (zh) 新型感官化合物
JP2004315502A (ja) 腋臭の消臭用組成物及びその皮膚化粧料
US9834739B2 (en) Fragrance composition
JP2011068836A (ja) 香料組成物
KR102579965B1 (ko) 어진향차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KR102006953B1 (ko) 향료 조성물
KR101928986B1 (ko) 나도풍란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67074B1 (ko)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9154892A1 (fr) Complexe parfumant et composition d&#39;eau parfumée
JP4711336B2 (ja) 香粧品用香料組成物
KR102579977B1 (ko) 등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80064146A (ko) 섬말나리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81063B1 (ko)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99789B1 (ko) 라벤더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6671593B2 (ja) タデスミレ花様香料組成物
KR102166517B1 (ko)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EP3446676B1 (en) Aroma composition
JP2018068730A (ja) 塩基性悪臭用消臭剤
KR20240059183A (ko) 야래향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03081802A (ja) マスキング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EP3749281A1 (fr) Complexe parfumant et composition d&#39;eau parfumé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