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074B1 -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074B1
KR102567074B1 KR1020220172638A KR20220172638A KR102567074B1 KR 102567074 B1 KR102567074 B1 KR 102567074B1 KR 1020220172638 A KR1020220172638 A KR 1020220172638A KR 20220172638 A KR20220172638 A KR 20220172638A KR 102567074 B1 KR102567074 B1 KR 102567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agrance
perfume composition
composition
hibis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은성
장윤미
박소라
이은혜
최원진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7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 C11B9/007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the hetero rings containing less than six atom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 및 헬리오날(Helional), 오시멘(Ocimene),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및 캄펜(Cam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HIBISCUS SYRIACUS FLOWER}
본 발명은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무궁화(Hibiscus syriacus)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아욱과의 식물로서, 7월에서 9월 사이에 피는 무궁화꽃은 새벽에 개화하여 하루 만에 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궁화꽃은 희박하기는 하나 은은하고 단맛의 향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향기에 한국적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다.
꽃의 향기를 재현하기 위하여, 주로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화정유(Absolute) 형태로 제조하거나, 수증기증류법을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정유(Essential oil)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식물체의 대사 산물 또는 식물 조직의 성분들이 향기 성분과 함께 추출되거나, 일부 향기 성분이 파괴되어 다른 성분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또한, 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꽃이 가진 본래의 향기와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꽃의 훼손이 불가피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용매나 열에 의해 변질될 염려가 있는 원재료를 이용한 추출법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무궁화꽃과 유사한 향취를 재현해낼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 및 헬리오날(Helional), 오시멘(Ocimene),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및 캄펜(Cam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은,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cis-3-Hexenyl Acetate),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유제놀(Eugenol), D-리모넨(D-Limonene),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사비넨(Sabinene), 인돌(Indole) 및 시트랄(Citr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 1 내지 10 중량%, 시스-3-헥센-1-올 0.01 내지 5 중량%, 유제놀 0.001 내지 1 중량%, D-리모넨 30 내지 55 중량%, 벤즈알데하이드 10 내지 20 중량%, 사비넨 8 내지 18 중량%, 인돌 0.1 내지 5 중량% 및 시트랄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헬리오날(Helional), 오시멘(Ocimene),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및 캄펜(Cam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10 내지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헬리오날 3 내지 15 중량%, 오시멘 0.1 내지 6 중량%,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 1 내지 10 중량% 및 캄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재료(즉, 자연의 무궁화꽃)의 사용 없이도 무궁화꽃 고유의 향기를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용매나 열에 의해 변질될 염려가 없으며, 원재료를 손상시키거나, 훼손시키지 않으므로, 원재료를 보존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향취 성분의 종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무궁화꽃 고유의 향취와의 유사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뛰어난 향기의 기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무궁화꽃 향취의 재현성이 우수하면서도 기호도가 우수함에 따라, 퍼스널 케어 제품,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홈 케어 제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무궁화꽃의 향취를 분석한 GC-MS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추출 시 용매나 물에 의해 변질될 염려가 있는 원재료의 사용 없이도 무궁화꽃 고유의 향기를 재현하고 향기의 기호성을 향상시킨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 및 헬리오날(Helional), 오시멘(Ocimene),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및 캄펜(Cam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은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cis-3-Hexenyl Acetate),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유제놀(Eugenol), D-리모넨(D-Limonene),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사비넨(Sabinene), 인돌(Indole) 및 시트랄(Citr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은,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cis-3-Hexenyl Acetate),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유제놀(Eugenol), D-리모넨(D-Limonene),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사비넨(Sabinene), 인돌(Indole) 및 시트랄(Citral)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 1 내지 10 중량%, 시스-3-헥센-1-올 0.01 내지 5 중량%, 유제놀 0.001 내지 1 중량%, D-리모넨 30 내지 55 중량%, 벤즈알데하이드 10 내지 20 중량%, 사비넨 8 내지 18 중량%, 인돌 0.1 내지 5 중량% 및 시트랄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궁화꽃의 향취 재현성 및 기호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 1 내지 8 중량%, 시스-3-헥센-1-올 0.01 내지 4 중량%, 유제놀 0.005 내지 1 중량%, D-리모넨 30 내지 50 중량%, 벤즈알데하이드 12 내지 20 중량%, 사비넨 8 내지 16 중량%, 인돌 0.1 내지 4 중량% 및 시트랄 5 내지 12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궁화꽃의 향취 재현성 및 기호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 3 내지 7 중량%, 시스-3-헥센-1-올 0.01 내지 3 중량%, 유제놀 0.005 내지 0.5 중량%, D-리모넨 35 내지 45 중량%, 벤즈알데하이드 12 내지 18중량%, 사비넨 9 내지 15 중량%, 인돌 0.5 내지 4 중량% 및 시트랄 6 내지 12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궁화꽃의 향취 재현성 및 기호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무궁화꽃 본래의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도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과 함께 헬리오날(Helional), 오시멘(Ocimene),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및 캄펜(Cam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즉, 플로럴(Floral)한 뉘앙스(nuance)를 갖는 헬리오날(Helional), 달콤한 허브 향의 느낌(Sweet herbal nuance)을 갖는 오시멘(Ocimene), 과일 향의 느낌(Fruity nuance)을 갖는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및/또는 민트(Mint) 뉘앙스를 갖는 캄펜(Camphene)을 더 추가하여, 무궁화꽃의 특유의 향취를 보완하면서 향기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향기에 한국적 이미지를 담아낼 수 있다.
이때,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헬리오날(Helional), 오시멘(Ocimene),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및 캄펜(Cam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10 내지 25 중량%, 구체적으로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12 내지 1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리오날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3 내지 1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5 내지 1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시멘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3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캄펜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과 함께 헬리오날(Helional), 오시멘(Ocimene),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및 캄펜(Camphe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헬리오날 3 내지 15 중량%, 오시멘 0.1 내지 6 중량%,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 1 내지 10 중량% 및 캄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헬리오날 3 내지 13 중량%, 오시멘 0.1 내지 5 중량%,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 1 내지 8 중량% 및 캄펜 0.01 내지 4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헬리오날 5 내지 11 중량%, 오시멘 0.5 내지 5 중량%,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 3 내지 8 중량% 및 캄펜 0.01 내지 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에서는 헬리오날, 오시멘,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 및/또는 캄펜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더 포함함으로써, 향기의 기호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에 대해 무궁화꽃과의 향취 유사성과 기호성에 대해서 관능 평가를 시행한 결과, 상기 구성 및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에 유사성과 기호성이 모두 가장 높은 결과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관능 평가에 대해서는 실험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취 성분들의 분산성 및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용매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향료 조성물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용매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퍼스널 케어 제품, 홈 케어 제품 및 방향제 제품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무궁화꽃만의 고유의 차별화된 향취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외용제 중에서도 피부 외용에 작용하는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의약품, 의약외품 등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은, 미용, 피부 관리 등을 위하여 피부, 모발, 두피 등의 신체에 적용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기초 제품, 메이크업 제품 등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세럼, 에센스, 스킨, 로션, 향수, 바디오일, 바디로션, 파운데이션, 립밤, 립글로스, 블러셔, 쉐이딩, 하이라이터, 선스틱,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팩트, 페이스 파우더,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마스카라, 컨실러 및 스킨커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퍼스널 케어 제품은, 피부 진정, 개인 위생 등을 위하여 인간 또는 동물의 피부, 모발, 두피 및 손톱을 포함하는 신체에 적용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헤어 케어 제품, 세면용품,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 뷰티 보조용품, 방충제, 개인 위생, 클렌징 등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퍼스널 케어 제품은, 데오도런트, 발한 억제제, 스프레이, 쉐이빙제, 로션, 모이스쳐라이져, 토너, 목욕제, 클렌징제, 샴푸, 린스, 컨디셔너, 무스, 스타일링 겔, 헤어스프레이, 모발염색제, 모발색제, 모발표백제, 리무버, 네일 크림, 각질 연화제, 썬스크린, 방충제, 노화방지제, 비누, 핸드 리퀴드, 퍼스널 케어용 부직포 용품, 메이크업 리무버, 페이셜 클렌징제, 콜드크림, 페이스 마스크, 콜로뉴, 화장수, 헤어 큐티클 코트, 샤워겔, 바디 워시, 스크러빙 클렌저, 네일 컨디셔너, 여드름피부용 조제, 구강세척제, 마사지 오일, 치약, 연고 베이스, 국부 상처 치유제, 미스트, 제모제, 퍼스널 케어 윤활제 및 네일 착색 조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홈 케어 제품은, 위생 상태, 악취 제거, 세정 등을 위하여 가정, 사무소, 음식점 등의 실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부엌 및 욕실에서와 같이 표면 세정 또는 위생 상태 유지를 위해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제품, 섬유 케어 및 세정 등과 같은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홈 케어 제품은, 경질 표면 클리너, 수동 및 자동 접시 케어, 변기 클리너 및 소독제, 욕조 및 타일 클리너, 배수구 클리너, 카페트 클리너, 주방세제, 세제, 세탁 세제 첨가제, 섬유유연제, 전처리 얼룩 제거제, 광택제, 애벌 빨래 스파터(prewash spotter), 녹 얼룩 클리너, 스케일 제거제, 김서림 방지제 또는 탈취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방향제 제품은, 방향 화합물을 발산해 악취를 제거하는 제품, 경우에 따라서는 향수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제 제품은, 스틱형 방향제(디퓨저), 비치형 방향제, 스프레이형 방향제, 자동분사형 방향제, 고체형 방향제 및 가열형 방향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방향제 또는 향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품에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무궁화꽃 고유의 차별화된 향취 및 사용자의 기호성이 높은 향취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실험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 평가
(1) 헤드 스페이스법을 통한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 분석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헤드 스페이스법을 이용하여 무궁화꽃의 향취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밀폐 용기에 무궁화꽃을 넣고, 1시간 동안 무궁화꽃의 향 물질을 포집한 뒤, GC 기기에 주입하여 GC-MS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2) 제조예 1 내지 3: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헤드 스페이스법을 이용한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예 1 내지 3의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의 향료 조성물은 표 1에서 헤드 스페이스법을 이용하여 분석된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을 조합한 조성물이다. 또한, 제조예 2는 제조예 1에서, 헬리오날 및 오시멘을 더 추가한 조성물이다. 또한, 제조예 3은 제조예 2에서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 및 캄펜을 더 추가한 조성물이다.
(3) 제조예 1 내지 3의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 평가 및 분석 결과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과 실제 무궁화꽃의 향취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25 내지 50세의 일반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실제 무궁화꽃과 제조예 1 내지 3의 향료 조성물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3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상기 설문지에 대한 결과를 기초로, 제조예 1 내지 3의 향료 조성물에 대한 기호성 및 실제 무궁화꽃의 향취와의 유사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무궁화꽃 향취 성분과 함께, 헬리오날, 오시멘,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 및 캄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경우, 향기의 기호성 및 실제 무궁화꽃의 향취와의 유사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무궁화꽃 향취 성분만 포함하는 제조예 1과 달리, 헬리오날 및 오시멘을 더 포함하는 제조예 2의 향료 조성물의 기호성 및 실제 무궁화꽃 향취와의 유사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궁화꽃 향취 성분만 포함하는 제조예 1과 달리, 헬리오날, 오시멘,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 및 캄펜을 모두 포함하는 제조예 3의 향료 조성물의 기호성 및 실제 무궁화꽃 향취와의 유사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 및
    헬리오날(Helional), 오시멘(Ocimene),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캄펜(Camphene)을 포함하고,
    상기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은,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cis-3-Hexenyl Acetate),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유제놀(Eugenol), D-리모넨(D-Limonene),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사비넨(Sabinene), 인돌(Indole) 및 시트랄(Citral)을 포함하는,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궁화꽃의 향취 성분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 1 내지 10 중량%, 시스-3-헥센-1-올 0.01 내지 5 중량%, 유제놀 0.001 내지 1 중량%, D-리모넨 30 내지 55 중량%, 벤즈알데하이드 10 내지 20 중량%, 사비넨 8 내지 18 중량%, 인돌 0.1 내지 5 중량% 및 시트랄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헬리오날(Helional), 오시멘(Ocimene),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2,2,5-trimethyl-5-pentylcyclopentan-1-one) 및 캄펜(Cam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10 내지 25 중량%로 포함하는,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헬리오날 3 내지 15 중량%, 오시멘 0.1 내지 6 중량%, 2,2,5-트라이메틸-5-펜틸사이클로펜탄-1-원 1 내지 10 중량% 및 캄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6.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
KR1020220172638A 2022-12-12 2022-12-12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67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638A KR102567074B1 (ko) 2022-12-12 2022-12-12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638A KR102567074B1 (ko) 2022-12-12 2022-12-12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074B1 true KR102567074B1 (ko) 2023-08-16

Family

ID=8784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638A KR102567074B1 (ko) 2022-12-12 2022-12-12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0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300A (ko) * 2009-06-30 2011-01-06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KR20120140686A (ko) * 2011-06-14 2012-12-31 한국콜마주식회사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300A (ko) * 2009-06-30 2011-01-06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KR20120140686A (ko) * 2011-06-14 2012-12-31 한국콜마주식회사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8896A2 (de) Riechstoffhaltige Zusammensetzungen umfassend Neopentylglycoldiisononanoat
EP2174645A2 (de) Riechstoffhaltige Zusammensetzungen umfassend Cetylnonanoat und/oder Stearylnonanoat
CN103160375A (zh) 含有环戊-2-烯基乙酸乙酯的香料混合物
US20210000995A1 (en) Fragrance composition for masking or deodorizing mal-odor
JP5546192B2 (ja) 香料組成物
KR102567074B1 (ko)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97919B1 (ko)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KR102166256B1 (ko)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IL275230B2 (en) Aldehydic odorant
JPWO2006051597A1 (ja) 光学活性ムスコ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香粧品
KR101881668B1 (ko) 섬말나리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28986B1 (ko) 나도풍란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66517B1 (ko)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KR102006953B1 (ko) 향료 조성물
KR102481063B1 (ko)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40059183A (ko) 야래향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40062600A (ko)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79977B1 (ko) 등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99789B1 (ko) 라벤더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30592B1 (ko)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62427B1 (ko) 생분해성 향료 조성물
KR101877624B1 (ko) 셀로지네 니티다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17640B1 (ko) 때죽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1669B1 (ko) 길마가지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41417B1 (ko) 향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