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592B1 -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592B1
KR102530592B1 KR1020200137434A KR20200137434A KR102530592B1 KR 102530592 B1 KR102530592 B1 KR 102530592B1 KR 1020200137434 A KR1020200137434 A KR 1020200137434A KR 20200137434 A KR20200137434 A KR 20200137434A KR 102530592 B1 KR102530592 B1 KR 102530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manuka honey
composition
weight
perfu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228A (ko
Inventor
박소라
고은성
장윤미
이은혜
우창식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5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11B9/0019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carboc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7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 C11B9/007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the hetero rings containing less than six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 및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포함함에 따라, 실제 원재료의 사용 없이도 마누카 꿀의 향취와 유사하면서도 기호도가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여, 마누카 꿀 향취와 유사하면서도 기호도가 우수한 향을 갖는, 퍼스널 케어 제품,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MANUKA HONEY}
본 발명은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누카 꿀(Manuka Honey)은 남태평양 주변에서 흔히 자라는 차나무의 일종인 마누카 나무에서 양봉하여 꿀을 채취한 것을 말한다. 마누카 나무는 뉴질랜드 차나무(Leptospermum scoparium)로도 불리며, 작은 잎이 달리는 무성한 관목으로, 하얀색 또는 분홍색의 꽃을 피운다. 특히, 마누카 나무는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갖는 특유의 향과 유칼립투스 향이 더해져, 그 향취가 우수하다.
마누카 꿀은 메틸글리옥살(MGO) 성분이 풍부하여 항균 효과가 우수하며,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헬리코박터 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소화기관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폴라보노이드, 비타민C, 미네랄 성분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신체 피로 회복 등의 다양한 효능을 구현한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2379호에서는 크림 베이스, 에칠헥산디올, 카보머 등의 화장료 조성물 성분들과 함께 마누카 꿀을 함유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크림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마누카 나무는 우수한 향취를 가지며, 이로부터 수득된 마누카 꿀 또한 우수한 향취를 가지고 있으나, 상기 공개특허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종래기술에서는, 마누카 꿀을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 미용 효과를 구현하거나, 직접 섭취함으로써 신체 기능을 회복하는 용도로만 활용되고 있을 뿐, 마누카 꿀의 향취를 이용한 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향기 성분은 수중기 증류법, 압착법,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으로 추출된다. 가장 기본적인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은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를 이용하여 식물의 세포벽을 깨고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대량으로 오일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고온에서 일부 열에 불안정한 성분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압착법(Experssion)은 식물의 과실을 직접 압착하여 오일을 얻는 방법으로, 양이 적고 정유 성분이 적은 꽃으로부터 오일을 얻는 방법으로는, 유용하지가 않다.
상기 용매 추출법(Solvent Extraction)은 헥산과 석유 에테르 같은 휘발성 유기용매에 식물의 꽃을 일정 기간 냉암소에서 침적시킨 뒤, 향기 성분을 녹여내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쟈스민, 장미오일 등과 같은 오일의 함량이 매우 적은 식물 또는 사지 등의 화정유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공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용매나 열에 의해 변질될 염려가 있는 원재료를 이용한 추출법 등을 사용하지 않고, 특정 향료 성분들을 조합하여 마누카 꿀과 유사한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2379호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실제 원재료의 사용 없이 복수의 향료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마누카 꿀의 실제 향취와 유사하면서도 기호도가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여, 마누카 꿀의 향취와 유사하면서도 기호도가 우수한 향을 갖는, 퍼스널 케어 제품,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 및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포함하는,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은 옥탄산(Octanoic acid),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및 아니살데하이드(Anisaldehy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옥탄산(Octanoic acid) 15 ~ 30 중량%,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 10 ~ 25 중량%,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5 ~ 30 중량%,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5 ~ 25 중량% 및 아니살데하이드(Anisaldehyde) 1 ~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1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을 10 ~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푸라네올(Furaneol)을 1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용매나 열에 의해 변질될 염려가 있는 원재료를 이용한 방법을 대신하여, 복수의 향료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실제 원재료의 사용 없이도 마누카 꿀의 향취를 그대로 재현해낼 수 있고, 기호도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마누카 꿀 향취의 재현성 및 기호도가 우수함에 따라, 퍼스널 케어 제품,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홈 케어 제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마누카 꿀의 GC-MS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 및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포함하는,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용매나 열에 의해 변질될 염려가 있는 원재료를 이용한 방법을 대신하여, 복수의 향료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실제 원재료의 사용 없이도 마누카 꿀의 향취를 그대로 재현해낼 수 있고, 기호도가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Gas Chromatograph - mass spectrophotometry, GC-MS)을 통해 정략 분석하여 얻어졌으며(실험예 1 참고), 옥탄산(Octanoic acid),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및 아니살데하이드(Anisaldehy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은 옥탄산(Octanoic acid),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및 아니살데하이드(Anisaldehyde)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은 옥탄산(Octanoic acid) 15 ~ 30 중량%,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 10 ~ 25 중량%,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5 ~ 30 중량%,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5 ~ 25 중량% 및 아니살데하이드(Anisaldehyde) 1 ~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마누카 꿀의 향취 재현성과 기호도는 향상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은 옥탄산(Octanoic acid) 18 ~ 22 중량%,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 18 ~ 22 중량%,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20 ~ 30 중량%,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10 ~ 25 중량% 및 아니살데하이드(Anisaldehyde) 3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마누카 꿀의 향취 재현성과 기호도는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이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옥탄산(Octanoic acid) 및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의 혼합량이 40 중량%가 되도록 포함할 때, 마누카 꿀의 향취 재현성과 기호도는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GC-MS 분석을 통해 얻어진 마누카 꿀 향취 성분만으로는 마누카 꿀 본래의 향취를 충분히 재현할 수 없으며, 상대적으로 기호도가 낮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상기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과 함께,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포함함으로써, 마누카 꿀 향취의 재현성 및 기호도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었다(실험예 참조).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상기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과 함께,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더 포함함으로써, 마누카 꿀 향취의 재현성 및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1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누카 꿀 향취의 재현성 및 기호도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를 포함하는 향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할 때, 마누카 꿀 향취의 재현성 및 기호도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10 ~ 20 중량% 및 푸라네올(Furaneol)을 1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누카 꿀 향취의 재현성 및 기호도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은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를 포함하는 향료를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14 ~ 16 중량% 및 푸라네올(Furaneol)을 2 ~ 4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누카 꿀 향취의 재현성 및 기호도는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된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은 인간 및 동물의 피부, 모발을 포함하는 신체에 적용 되는 화장품, 헤어 케어 제품, 세면용품,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 개인 위생 및 클렌징 제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향료가 투입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퍼스널 케어 제품은 데오도런트, 발한억제제, 스프레이, 스틱 및 롤-온 제품, 쉐이빙제, 스킨 로션, 모이스쳐라이져, 토너, 목욕제, 클렌징제, 샴푸, 컨디셔너, 조합된 샴푸/컨디셔너, 무스, 스타일링 겔, 헤어스프레이 및 로션, 썬스크린, 립스틱,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블러쉬 (blushes), 메이크업, 모이스쳐라이징 조제, 바디 및 핸드 조제, 스킨케어 조제, 페이스 및 넥 조제, 토닉, 드레싱, 헤어 그루밍 에이드, 에어로졸 픽사티브, 향 조제, 애프터쉐이브, 메이크-업 조제, 베이비로션, 베이비 배스 및 샴푸, 베이비 컨디셔너, 스킨 패드, 메이크업 리무버, 페이셜 클렌징제, 페이스트 마스크 및 머드, 페이스 마스크, 콜로뉴 및 화장수, 샤워겔, 샤워 코롱, 페이스 및 바디 워시, 퍼스널 케어 린스-오프제, 겔, 스크러빙 클렌저 또는 아이용 파우더, 립밤, 립글로스, 헤어케어 펌프 스프레이 및 기타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무수크림 및 로션, 유/수형, 수/유형, 멀티플 매크로 및 마이크로 에멀젼, 내수성 크림 및 로션, 여드름피부용 조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된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및 로션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된 바와 같은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된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퍼스널 케어 제품 중 화장품의 하나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향수 및 미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이외에 각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한 부형제 또는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형제 또는 첨가제는 정제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안료, 색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실리콘,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제, 산성화제, 착색제, 농화제, 피부컨디셔닝제, 미백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보습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된 마누카 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은 부엌 및 욕실에서와 같이 표면 세정 또는 위생 상태 유지를 위해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제품, 섬유 케어 및 세정 등과 같은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 방향 화합물을 발산해 악취를 제거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향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방향제품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향료가 투입되는 홈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 케어 제품은 세탁 세제, 세탁 세제 첨가제, 섬유 유연제, 주방세제, 탈취제 및 방향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험예1 : GC-MS 분석을 통한 마누카 꿀 향취의 분석 ]
GC-MS 기기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마누카 꿀의 향취를 분석한 다음, 그 구성 성분과 함량 결과를 표 1[단위 : 중량%]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마누카 꿀의 향취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마누카 꿀을 전용 밀폐된 저퍼 백으로 씌운 후, SPME fiber 를 고정시켜, 2 시간 이상 향을 포집하였다. 이어서, fiber 를 분리하여 밀봉한 뒤, 저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GC-M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1과 같다.
- 분 석 기 기 : Agilent 6890A
- 컬 럼 : HP-INNOWAX (60m X 0.32mm, 0.25μm)
- 이동상 기체 : He2
- 주 입 온 도 : 250℃
- 오 븐 온 도 : 50℃~200℃(10℃/min)
Figure 112020112043209-pat00001
[ 실시예1 : GC-MS 분석 결과를 통한 조합향료의 제조 ]
상기 실험예 1에 따라 분석된 표 1의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을 조합하여,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은 표 1의 기타 성분으로 DPG(용매)를 사용한 것이며, 표 2[단위 : 중량%]와 같다.
Figure 112020112043209-pat00002
[ 실험예2 : 실시예 1의 관능평가 ]
상기 실시예 1에 따르는 향료 조성물의 마누카 꿀 향취 재현성 및 기호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3[단위 : 점수]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평가는 20 ~ 39세 일반 남녀 20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천연 마누카 꿀과 조합된 실시예 1의 향취를 직접 맡아보도록 한 뒤, 이의 유사성 및 기호도를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표 3[단위 : 점수]에 나타내었다.
[유사성]
1 : 전혀 유사하지 않음
2 : 유사하지 않음
3 : 조금 유사하지 않음
4 : 보통
5 : 조금 유사
6 : 적당히 유사
7 : 매우 유사
[기호도]
1 : 전혀 좋지 않음
2 : 좋지 않음
3 : 조금 좋지 않음
4 : 보통
5 : 조금 좋음
6 : 적당히 좋음
7 : 매우 좋음
Figure 112020112043209-pat00003
표 3을 보면, 마누카 꿀의 실제 향취를 GC-MS 분석한 결과(표 1)를 토대로 조합한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표 2)은, 실제 마누카 꿀과의 향취 유사성과 기호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3 :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에 대한 전문 평가단의 평가 ]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에게,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인 옥탄산(Octanoic acid),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및 아니살데하이드(Anisaldehyde) 각각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때, 전문 평가단은 총 5 명(남성 1명 및 여성 4명)으로 구성되어, 평균 나이가 36.4세인 조향사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실험은, 상기 실시예 1과, 상기 실시예 1에서 하나의 성분을 제외한 경우의 비교군 1 내지 5를 설정하고, 마누카 꿀과, 비교군 1 내지 5의 향료 조성물의 유사도를 평가함으로써, 실시되었다. 이때, 유사도는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실시되었다. 이때, 비교군 1 내지 5의 조성은 표 4[단위 : 중량%]와 같으며, 실시예 1과의 유사도는 표 5[단위 : 점수]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112043209-pat00004
Figure 112020112043209-pat00005
그 결과, 상기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 중에서 옥탄산(Octanoic acid) 및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이, 마누카 꿀 특유의 향취를 만드는 데에 주요한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옥탄산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군 1과, 2-푸릴 메틸 케톤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군 2의 경우, 마누카 꿀과의 유사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바, 이들이 마누카 꿀 특유의 향취와 관련된, 주요한 성분임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2 내지 4 : 조합 향료의 제조 ]
상기 실험예 2 및 3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표 6 [단위 : 중량%]에 따르는 실시예 2 내지 4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특히, 실험예 3에서 주요한 성분임을 확인한, 옥탄산(Octanoic acid) 및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의 혼합량을 30 ~ 50 중량%로 조절하면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112043209-pat00006
[ 실험예4 : 실시예 2 내지 4의 관능평가 ]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 따르는 향료 조성물의 마누카 꿀 향취 재현성 및 기호도를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7[단위 : 점수]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112043209-pat00007
표 7을 보면,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옥탄산 및 2-푸릴 메틸 케톤의 혼합량이 40 중량%인 실시예 3의 유사성 및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실시예 2 내지 4 모두, 전반적으로 유사성 및 기호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5 내지 9 : 조합 향료의 제조 ]
상기 실험예 4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옥탄산 및 2-푸릴 메틸 케톤의 혼합량이 40 중량%이 되도록 조절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유사성 및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일부 성분의 함량을 조절하고,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을 더 포함하여, 표 6[단위 : 중량%]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 8 에서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은 CAS NO. 8014-09-04 이며, 푸라네올은 CAS NO. 3658-77-3 이다.
Figure 112020112043209-pat00008
[ 실험예5 : 실시예 5 내지 9의 관능평가 ]
상기 실시예 5 내지 9에 따르는 향료 조성물의 마누카 꿀 향취 재현성 및 기호도를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9[단위 : 점수]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112043209-pat00009
표 9를 보면,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과 함께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 및 푸라네올을 더 포함할 때, 전반적으로 유사성 및 기호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5 내지 9 중에서,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옥탄산 및 2-푸릴 메틸 케톤의 혼합량이 40 중량%이면서도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 14 ~ 16 중량% 및 푸라네올 2 ~ 4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6 내지 8의 유사성 및 기호도가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옥탄산 및 2-푸릴 메틸 케톤의 혼합량이 40 중량%이면서도,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 및 푸라네올의 혼합량이 18 중량%인 실시예 7의 경우에, 유사성 및 기호도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제조예 : 향수의 제조 ]
실시예 7의 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10 [단위 : 중량%]에 따라, 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112043209-pat00010
상기에 따라 제조된 향수는 마누카 꿀 향취와 유사하면서도 기호성이 우수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 및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포함하고, 상기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은 옥탄산(Octanoic acid),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및 아니살데하이드(Anisaldehyde)를 포함하는 것인,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누카 꿀의 향취 성분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옥탄산(Octanoic acid) 15 ~ 30 중량%, 2-푸릴 메틸 케톤(2-Furyl methyl ketone) 10 ~ 25 중량%,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5 ~ 30 중량%,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5 ~ 25 중량% 및 아니살데하이드(Anisaldehyde) 1 ~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 및 푸라네올(Furan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1 ~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oil)을 10 ~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푸라네올(Furaneol)을 1 ~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7. 제 1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
  8. 제 1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 1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케어 제품.
KR1020200137434A 2020-10-22 2020-10-22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30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34A KR102530592B1 (ko) 2020-10-22 2020-10-22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34A KR102530592B1 (ko) 2020-10-22 2020-10-22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228A KR20220053228A (ko) 2022-04-29
KR102530592B1 true KR102530592B1 (ko) 2023-05-10

Family

ID=8142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434A KR102530592B1 (ko) 2020-10-22 2020-10-22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5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1099A (ja) 2011-03-31 2012-11-01 Takasago Internatl Corp 香粧品用香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379A (ko) 2014-03-28 2015-10-07 조명원 마누카꿀을 함유한 주름개선 화장크림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1099A (ja) 2011-03-31 2012-11-01 Takasago Internatl Corp 香粧品用香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228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592B1 (ko)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102166256B1 (ko)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07137781A (ja) 化粧料及びその使用方法
JP2021533138A (ja) 活性植物成分を含む組成物
KR102481063B1 (ko)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79977B1 (ko) 등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99789B1 (ko) 라벤더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17640B1 (ko) 때죽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27909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KR102352050B1 (ko)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01206A (ko) 쥐똥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110902A (ko) 향료 조성물
KR20230092511A (ko) 백차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28986B1 (ko) 나도풍란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H10158119A (ja) 化粧品および医薬部外品
KR102567074B1 (ko)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38354B1 (ko) 조팝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66517B1 (ko)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KR102241417B1 (ko) 향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4146A (ko) 섬말나리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EP3446676B1 (en) Aroma composition
KR101881669B1 (ko) 길마가지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77624B1 (ko) 셀로지네 니티다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40062600A (ko)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