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893B1 -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893B1
KR102114893B1 KR1020150020007A KR20150020007A KR102114893B1 KR 102114893 B1 KR102114893 B1 KR 102114893B1 KR 1020150020007 A KR1020150020007 A KR 1020150020007A KR 20150020007 A KR20150020007 A KR 20150020007A KR 102114893 B1 KR102114893 B1 KR 10211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tent
fragrance
scented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767A (ko
Inventor
강성휘
윤보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02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8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less than six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 및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비단향꽃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본 명세서는 비단향꽃무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단향꽃무(Matthiola incana)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흔히 스톡(stock), 또는 스토크로도 부른다.
학명은 마티올라 인카나(Mathiola incana)이며, 지중해 연안 원산으로서 높이는 30∼60cm이다. 유럽 일대에서 자생한다. 줄기는 나무처럼 단단하고 흰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잿빛을 띤 녹색이며 바소꼴이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흰 털이 난다.
꽃은 십자(十字) 모양으로, 4∼5월 이른 봄부터 꽃이 핀다. 색깔은 다양하다. 향기가 좋은 것이 특징이다.
가지가 갈라지는 것과 갈라지지 않는 것이 있으며, 갈라지지 않는 것은 순을 쳐서 갈라지도록 한다. 겹꽃은 종자가 달리지 않으나 홑꽃에서 종자를 받아 심으면 홑꽃과 겹꽃이 달리는 개체를 함께 얻을 수 있다. 추위에 약하며 원예에서는 한해살이풀로 취급한다.
프랑스에서는 남성이 이상적인 여성을 만나면 '절대로 바람을 피우지 않겠다'는 다짐의 뜻으로 이 꽃을 모자 속에 넣어 다녔다고도 한다. 5월 6일과 7월 16일의 탄생화이며, '영원히 아름답다'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또 어떤 역경이라도 밝게 극복하는 강인한 사람을 뜻하기도 하며, 지금 그대로의 모습이 가장 훌륭하다는 뜻도 안고 있는 꽃이다.
비단향꽃무는 고유의 향취를 갖고 있지만 다른 꽃에 비해 아직 대중들의 인지도가 미흡한 관계로 비단향꽃무의 향기를 그대로 재현하여 차별화되고 새로운 특징을 갖는 향기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특허 공개 제2004-0031023호
본 명세서는 비단향꽃무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고,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 및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비단향꽃무 향취를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비단향꽃무 향취와의 높은 유사도 및/또는 높은 만족도를 갖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 및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은 비단향꽃무의 천연 성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은 유제놀(Eugenol), 메칠유제놀(Methyl Eugenol), D-리모넨(D-Limonene), 아네솔(Anethole), 페네칠알코올(Phenethyl alcohol),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및 이소유제놀(Isoeugenol)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은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메칠살리실레이트 (Methyl salicylate) 및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제놀(Eugenol), 메칠유제놀(Methyl Eugenol), D-리모넨(D-Limonene), 아네솔(Anethole), 페네칠알코올(Phenethyl alcohol),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이소유제놀(Isoeugen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메칠살리실레이트 (Methyl salicylate) 및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등은 비단향꽃무 향취의 주성분이다. 그러나,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만을 포함하는 경우, 비단향꽃무의 고유한 향취를 재현 할 수 없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 이외에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공 향료 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비단향꽃무 향취를 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호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은 천연물의 향취물질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고체상 미세 추출법(SPME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향취를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용매를 사용한 추출법(extraction), 수증기를 이용한 증류법(distillation) 등이 사용되어지나, 상기의 방법들은 향취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 가열, 감압 등에 의한 향취성분의 소실, 변화 등을 초래하여 원물질이 가지는 향취 특징과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과 고체상 미세 추출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법 등이 개발되었다. 이 두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시료의 전처리도 필요 없으므로 다량의 시료가 필요 없고 시료자체를 가지고 향취 성분을 분석할 수 있어 시료가 가지는 본래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은 고체상 미세 추출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법)을 이용하여 분석 및/또는 채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의 함량은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85 중량% 내지 98 중량%이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의 함량은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2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상기 인공 향료의 함량이 전체 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비단향꽃무가 가지고 있는 플로럴 계열 느낌이 부족할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애니멀릭한 향기가 발생하여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에서의 향료 조성물은 비단향꽃무 향취의 높은 재현성 및/또는 높은 선호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범위의 함량에 한정하지 않으며, 조성물의 목적, 제형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헤디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헤디온; 및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을 포함한다.
상기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은 화사한 화이트 플로럴 향기와 은은하고 부드러운 머스크 계열의 향기가 어우러진 인공 향료 성분으로서, 천연 상태의 비단향꽃무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비단향꽃무의 주요 향취성분에 추가하여 사용할 경우, 비단향꽃무의 특징적인 고유 향취와 유사한 향기를 낸다. 본 명세서에서, 특히 헤디온(Hedione)의 사용 유무 및 함량은 비단향꽃무 고유의 향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성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은 유제놀(Eugenol), 메칠유제놀(Methyl Eugenol), D-리모넨(D-Limonene), 아네솔(Anethole), 페네칠알코올(Phenethyl alcohol),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및 이소유제놀(Isoeugenol)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을 포함하며,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유제놀(Eugenol)의 함량은 20 내지 35 중량%이고, 메칠유제놀(Methyl Eugenol)의 함량은 15 내지 25 중량%이며, D-리모넨(D-Limonene)의 함량은 10 내지 18 중량%이고, 아네솔(Anethole)의 함량은 5 내지 10 중량%이며, 페네칠알코올(Phenethyl alcohol)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이고,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의 함량은 0.5 내지 4 중량%이며, 이소유제놀(Isoeugenol)의 함량은 0.3 내지 3 중량%이고, 헤디온(Hedione)의 함량은 1 내지 7 중량%이며,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의 함량은 0.2 내지 4 중량%이고,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의 함량은 0.5 내지 5 중량%이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은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메칠살리실레이트 (Methyl salicylate) 및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의 함량은 0.3 내지 2 중량%이고, 메칠살리실레이트 (Methyl salicylate)의 함량은 0.1 내지 2.5 중량%이며,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의 함량은 0.005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 및 인공향료 성분은 시판품의 사용, 식물로부터 분리 또는 합성을 통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로는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또는 바디 화장품, 연고 등이 있으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겔, 로션, 앰플, 유액, 젤, 연고, 패취, 분무제 및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 또는 바디화장품의 제형으로 로션, 크림, 에센스, 젤, 화장수, 팩,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유액,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형으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퍼스널케어 제품으로는 샴푸, 린스, 컨디셔너, 왁스, 젤, 무스 등의 헤어 제품; 치약, 가글 등의 구강제품; 비누,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오일 등의 피부세정제; 향수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홈케어 제품으로는 방향제; 및 액체 세정제, 주방세제, 세탁세제, 욕실 세제 등의 세제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물질 등의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 및 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은 비교적 높은 농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를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피부 외용제, 퍼스널케어 제품 및 홈케어 제품은 본 명세서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각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되는 함량 및 제형을 한정하지 않으며, 전술한 첨가제를 선택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원하는 제형을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고체상 미세 추출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을 이용한 레드향의 향취 성분 분석
고체상 미세 추출법(SPME법)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시료 향취 성분을 채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실험예에서는 고체상 미세 추출법(SPME법)을 사용하였고,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단향꽃무 두 단 정도를 테들러 백(Tedlar Bag)으로 감싼 후 흡착제가 코팅된 미세한 유리 섬유(Glass fiber)가 연결된 SPME 전용 니들(Needle)을 꽂았다. SPME 전용 니들(Needle)를 꽂아놓고 3시간 동안 향 성분을 포집하였다. 향기가 포집된 SPME 전용 니들(Needle)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분석 장치에 연결하여 포집된 향기성분의 종류와 함량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 조건>
분석기기: Agilent 6890 NGC/5975 MSD
검출기: MSD
컬럼: DB-WAX 60m ×250μ×0.25㎛     
주입부 온도: 230℃
검출부 온도: 230℃
오븐온도: 50℃(5분) 내지 230℃(20분), 3.0℃/분     
Split Ratio: 20: 1
이동상기체: He
주입량: 0.5㎕
향료명 중량%
유제놀 33.71
메칠유제놀 23.07
D-리모넨 11.34
아네솔 8.03
페네칠알코올 4.02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1.34
이소유제놀 0.89
벤질아세테이트 0.63
메칠살리실레이트 0.18
파라-아니스알데하이드 0.09
기타 16.7
총 함량 100
상기와 같이 분석한 결과, 천연 비단향꽃무의 향취 성분은 유제놀(Eugenol) 33.71 중량%, 메칠유제놀(Methyl Eugenol) 23.07 중량%, D-리모넨(D-Limonene) 11.34 중량%, 아네솔(Anethole) 8.03 중량%, 페네칠알코올(Phenethyl alcohol) 4.02 중량%,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1.34 중량% 및 이소유제놀(Isoeugenol) 0.89 중량%,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0.63 중량%, 메칠살리실레이트 (Methyl salicylate) 0.18 중량% 및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은 0.09 중량%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천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의 전체에 대해서 상기 성분의 총량은 약 83.3중량%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향료 조성물의 제조
비단향꽃무의 향기는 달콤하면서 스파이시한 플로럴향과 신선하고 화사한 화이트플로럴 계열의 향기가 어우러진 특징적인 고유의 향기를 갖고 있다.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 이외에 전술한 비단향꽃무 향취의 특징을 가지는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의 인공 향료 성분을 추가하여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향료명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유제놀 33.71 30.50 27.84 24.23 22.50 21.10
메칠유제놀 23.07 23.75 20.54 18.46 17.45 15.67
D-리모넨 11.34 13.84 14.21 16.76 16.87 17.82
아네솔 8.03 8.75 7.98 6.23 6.23 5.45
페네칠알코올 4.02 4.02 4.37 4.54 4.54 4.73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1.34 1.75 2.34 2.58 2.99 3.43
이소유제놀 0.89 0.53 0.40 0.40 0.35 0.35
벤질아세테이트 0.63 0.63 1.05 1.24 1.59 1.87
메칠살리실레이트 0.18 0.36 0.24 0.68 1.21 2.16
아니스알데하이드 0.09 0.09 0.10 0.09 0.08 0.05
헤디온 - - - 6.70 3.47 6.86
에칠렌브라실레이트 - - 2.40 2.11 2.17 2.12
벤질살리실레이트 - - 3.37 2.23 3.77 4.41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6.7 15.78 15.16 13.75 16.78 13.98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위: 중량%)
실험예 3: 향료 조성물의 향취 재현성 평가
27 내지 50세의 신체 건강한 일반남녀 25명을 대상으로 비단향꽃무 향취의 유사성과 선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2.8세 이고 남자 2명, 여자 23명이었다.
비단향꽃무 원물 향취 재현성에 대한 평가는 하기 표 3의 질문지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에 대하여 5점 평점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실과 시료 준비실은 분리하여 평가자가 시료의 사전 인지가 없도록 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비단향꽃무 원물 향취 재현성 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하였고,
점수 유사도
1 매우 다르다
2 조금 다르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비슷하다
5 매우 비슷하다
번호 나이 성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1 27 1 2 2 4 4 4
2 38 2 3 3 4 4 5
3 28 1 2 1 4 4 4
4 39 1 1 2 5 3 5
5 36 1 2 2 4 3 4
6 24 1 1 2 5 4 5
7 36 2 1 3 4 4 4
8 37 2 1 2 4 3 4
9 29 1 2 2 3 4 4
10 33 1 2 1 4 3 4
11 33 2 1 3 4 4 5
12 34 2 2 2 3 3 3
13 33 1 1 2 3 3 4
14 36 2 2 3 4 3 3
15 27 2 2 3 4 4 4
16 38 1 2 2 4 4 4
17 31 2 3 2 5 4 4
18 38 1 1 3 4 4 5
19 32 1 2 2 3 4 4
20 37 1 2 3 4 3 4
21 27 1 1 2 4 4 5
22 27 1 2 1 4 3 4
23 32 1 2 2 5 3 5
24 39 2 1 3 5 3 4
25 29 1 1 2 4 4 4
평균 32.8 1.36 1.68 2.2 4.04 3.56 4.2
상기 표 5의 결과로 상기 비교예 1은 상기 실험예 1에서 분석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비단향꽃무의 향취 주요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서, 매우 낮은 유사도를 나타냈고, 실시예 1은 비교예 1과 구성 성분은 동일하나, 함량을 조절한 것으로서, 향취의 유사도는 소폭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는 비단향꽃무 원물 향취와 유사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헤디온(Hedione)의 사용 유무와 함량에 따라서 유사도가 달라지며, 상기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의 인공 향료 성분을 혼용한 경우 유사도가 가장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향료 조성물의 향취 만족도 평가
27 내지 50세의 신체 건강한 일반남녀 25명을 대상으로 비단향꽃무 향취의 유사성과 선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2.8세 이고 남자 2명, 여자 23명이었다.
향료 조성물의 향취 만족도는 하기 표 5의 질문지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에 대하여 5점 평점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실과 시료 준비실은 분리하여 평가자가 시료의 사전 인지가 없도록 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향료 조성물의 향취 만족도 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점수 만족도
1 매우 좋지 않다
2 조금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좋다
5 매우 좋다
번호 나이 성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1 27 1 2 3 5 4 4
2 38 2 3 3 4 4 5
3 28 2 3 3 3 4 4
4 39 1 1 2 5 3 5
5 36 2 2 2 4 3 4
6 24 1 2 2 5 4 5
7 36 2 1 3 5 4 4
8 37 2 3 2 4 3 5
9 29 1 2 2 3 4 4
10 33 1 2 1 4 3 4
11 33 2 1 3 3 4 5
12 34 2 2 2 3 3 3
13 33 1 2 2 5 4 4
14 36 2 2 3 4 3 3
15 27 2 2 3 4 4 4
16 38 1 2 2 4 4 4
17 31 3 3 2 5 5 4
18 38 1 1 3 4 4 5
19 32 1 2 2 4 4 4
20 37 2 2 3 3 3 4
21 27 1 3 2 4 4 5
22 27 2 2 2 4 3 4
23 32 1 3 2 3 4 5
24 39 2 2 3 4 3 5
25 29 1 2 2 4 4 4
평균 32.8 1.56 2.08 2.36 4 3.68 4.28
상기 표 6의 결과로 상기 비교예 1은 상기 실험예 1에서 분석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비단향꽃무의 향취 주요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서,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실시예 1은 비교예 1과 구성 성분은 동일하나, 함량을 조절한 것으로서, 실시예 1 또한 만족도가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는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특히, 헤디온(Hedione)의 사용 유무와 함량에 따라서 만족도가 달라지며, 상기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의 인공 향료 성분을 혼용한 경우 만족도가 가장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4 및 6의 결과로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에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비단향꽃무 고유의 향취와 높은 유사도 및 만족도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 및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로,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은 유제놀(Eugenol), 메칠유제놀(Methyl Eugenol), D-리모넨(D-Limonene), 아네솔(Anethole), 페네칠알코올(Phenethyl alcohol),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이소유제놀(Isoeugen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메칠살리실레이트 (Methyl salicylate) 및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헤디온(Hedion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를 포함하며,
    상기 헤디온(Hedione)의 함량은 1 내지 7 중량%이며,
    상기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의 함량은 0.2 내지 4 중량%이고,
    상기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의 함량은 0.5 내지 5 중량%인 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유제놀(Eugenol)의 함량은 20 내지 35 중량%이고,
    메칠유제놀(Methyl Eugenol)의 함량은 15 내지 25 중량%이며,
    D-리모넨(D-Limonene)의 함량은 10 내지 18 중량%이고,
    아네솔(Anethole)의 함량은 5 내지 10 중량%이며,
    페네칠알코올(Phenethyl alcohol)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이고,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의 함량은 0.5 내지 4 중량%이며,
    이소유제놀(Isoeugenol)의 함량은 0.3 내지 3 중량%이고,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의 함량은 0.3 내지 2 중량%이며,
    메칠살리실레이트 (Methyl salicylate)의 함량은 0.1 내지 2.5 중량%이고,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의 함량은 0.005 내지 1.0 중량%인 것인 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단향꽃무 향취 성분의 함량은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85 중량% 내지 98 중량%이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의 함량은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2 중량% 내지 15 중량%인 것인 향료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제품.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케어 제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20007A 2015-02-10 2015-02-10 향료 조성물 KR10211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07A KR102114893B1 (ko) 2015-02-10 2015-02-10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07A KR102114893B1 (ko) 2015-02-10 2015-02-10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767A KR20160097767A (ko) 2016-08-18
KR102114893B1 true KR102114893B1 (ko) 2020-05-25

Family

ID=5687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007A KR102114893B1 (ko) 2015-02-10 2015-02-10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0168B2 (ja) * 2016-04-20 2021-03-10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香料組成物
KR101877624B1 (ko) * 2016-09-21 2018-07-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셀로지네 니티다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8097524A1 (ko) * 2016-11-24 2018-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3718A (zh) 2012-04-25 2012-08-22 云南烟草科学研究院 一种紫罗兰花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3017788A1 (ja) 2001-08-30 2004-12-09 新三井製糖株式会社 花又はハーブのフレーバーもしくは花又はハーブの抽出物を含有する飲料
KR101470887B1 (ko) * 2008-11-28 2014-1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0682B1 (ko) * 2011-03-24 2017-09-05 (주)아모레퍼시픽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6020B1 (ko) * 2011-06-14 2013-02-21 한국콜마주식회사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128191A (ko) * 2014-05-08 2015-11-18 김서희 꽃 방향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3718A (zh) 2012-04-25 2012-08-22 云南烟草科学研究院 一种紫罗兰花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767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4852B (zh) 香料组合物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101470887B1 (ko)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6154B1 (ko) 프리지아 샤이니 골드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14066B1 (ko) 황금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9069386B (zh) 香料组合物
KR20170110902A (ko) 향료 조성물
KR101883650B1 (ko) 오얏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01195B1 (ko) 향료 조성물
KR101843166B1 (ko)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92185B1 (ko)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JP7382615B2 (ja) 外用剤
KR102104269B1 (ko) 심비디움 아로마핑크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83035B1 (ko) 포트마리골드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2512854B1 (ko) 홍화꽃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60455B1 (ko) 류코코리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1669B1 (ko) 길마가지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7B1 (ko)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3B1 (ko)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5B1 (ko)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44487B1 (ko) 철쭉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20230173355A (ko)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20220043461A (ko) 때죽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20001623A (ko)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