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83B1 -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8883B1 KR101608883B1 KR1020140100519A KR20140100519A KR101608883B1 KR 101608883 B1 KR101608883 B1 KR 101608883B1 KR 1020140100519 A KR1020140100519 A KR 1020140100519A KR 20140100519 A KR20140100519 A KR 20140100519A KR 101608883 B1 KR101608883 B1 KR 1016088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grance
- weight
- flower
- composition
- combin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춘란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SPME)법에 의해 분석된 춘란꽃의 향취성분을 제1 향료성분으로 하고, 이에 제2 향료 성분을 추가하여, 천연에 가까운 춘란꽃의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춘란(Cymbidium goeringii Reichb) 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춘란(Cymbidium goeringii Reichb)은 희고 옆으로 주름진 뿌리가 길게 사방으로 퍼지고 중앙에서 잎이 모여 나온다. 잎은 선형이며, 길이 20~50 cm, 너비 6~10 mm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까칠까칠한 톱니가 있으며, 3맥이 뚜렷하다.
이른 봄에 뿌리목으로부터 잎보다 훨씬 짧은 한 개의 화경이 나와서 끝에 한 개 때로는 두 개의 꽃이 달린다. 화경은 길이 10~25 cm이며, 육질이고 막질의 엽초 같은 잎으로 둘러싸여 있다. 포(苞:꽃대의 밑을 받치고 있는 비늘 모양의 잎)는 엽초(葉:잎깍지)같이 생겼으나 엽초가 없고 피침형이며, 길이 3~4 c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은 지름이 4~5 cm이고 연한 황녹색이며, 다소 향기가 있다.
많은 품종이 개발되어 있다. 우선 잎에 대한 변이로써 명명된 대표적인 종류로는 선반(先斑), 산반(散斑), 축입 등을 들고 있다. 선반은 잎 끝에 짧은 선들이 모인 것이다. 따라서, 잎 끝이 하얗게 보이며 녹색이 그 속으로 들어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산반은 기부에서 잎 끝으로 무늬가 드는 것과는 반대로 잎 끝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명주실같이 곱고 섬세한 짧은 선들이 들어가 있는 무늬를 말한다. 선반과는 달리 무늬가 길고 깊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축입은 굵고 짧은 선이 불규칙하게 잎 끝에서 밑을 향하여 넓게 퍼져 있는 무늬를 말한다. 꽃색의 변이에 의한 품종개발도 많이 이루어졌다. 일본에서는 붉은 색과 황색, 중국에서는 담취색, 담황녹색, 담취녹색, 녹황색, 황녹색 등이 개발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주금색이 개발되었는데 이것은 일본에서도 개발된 것이다. 붉은 빛이 도는 계통은 주색, 적색, 주금색 및 주황색 등으로 구분한다. 노랑꽃 계통으로 고정된 것은 레몬색, 카나리아색에 포함된 색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황화의 산채는 극히 드물었다고 한다. 이것은 황색과 섞인 녹색이 너무 강하기 때문인지 황색소가 너무 강한 탓인지 알 수 없으나, 양자의 분리에는 학문적인 규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향기성분은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용매추출법, SPME(solid phase micro extraction)등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은 가장 기본적이고 과거로부터 널리 사용되어 오는 에센셜 오일의 추출법으로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를 이용하여 식물의 세포벽을 깨고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식물의 세포벽이 깨어져 향기 물질이 증발되는데, 이 증발된 향기물질을 다시 냉각시키면 액체 상태의 오일을 얻을 수 있다. 수증기 증류법은 고온에서 일부 열에 불안정한 성분이 파괴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대량으로 오일을 얻어 낼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압착법(expression)은 식물의 과실 특히 레몬, 오렌지, 베르가못, 라임, 그레이프 후르츠와 같은 감귤류의 껍질 등을 압착하여 오일을 얻어내는 방법이다.
용매 추출법(solvent extraction)은 헥산(hexane)과 같은 휘발성 유기용매에 식물의 꽃을 일정시간 냉암소에서 침적시킨 후 향기 성분을 녹여내는 방법으로, 자스민, 장미 오일 같은 오일의 함량이 매우 적은 식물에서 향을 효율적으로 추출가능하나,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법(SPME법,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UPELCO international, Vol.13, No.4, p.9-10)은 GC용 실린지에 내재된 흡착제에 향기 성분을 직접 흡착, 농축, 추출하는 방법이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양의 시료로 간단하게 전처리할 수 있으며, 휘발성이 약한 향기성분의 분석이 가능하여 점차 활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향기 성분의 분석방법으로는 모세관 컬럼(capillary column)을 이용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를 많이 이용하며, 분리된 성분을 동정할 때는 질량분석법(Mass spectrometry, MS)를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GC와 MS를 연결한 GC/MS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22757호에서는 제주한란(Cymbidium Kanran Makino)의 향취를 재현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춘란꽃의 향을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법으로 분석한 결과, 헤디온(HEDIONE),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리랄(LYRAL), 리날룰(LINALO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리모넨(LIMONENE) 등이 춘란꽃의 주성분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춘란꽃의 주성분들과 유사한 합성향료를 이용하여 춘란꽃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향료로 조향된 춘란꽃 향으로 관능검사를 해 본 결과 이들 성분만으로는 춘란꽃 향취를 재현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춘란꽃의 향 성분을 이용하여 춘란꽃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춘란꽃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는, 헤디온(HEDIONE),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리랄(LYRAL), 리날룰(LINALO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리모넨(LIMONENE), 제라니올(GERANIOL), 네롤(NEROL) 및 알릴헵틸레이트(ALLYL HEPTYLATE)으로 이루어진 제1 향료성분과,
리스메랄(LYSMERAL),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HYDROXYCITRONELLAL), 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TETRA-HYDRO LINALOOL), 카시스(CASSIS),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DIMETHYL ANTHRANILATE) 및 페녹산올(PHENOXANOL)로 이루어진 제2 향료성분을 포함하는,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헤디온 20~25중량%, 갈락소라이드 10~20중량%, 페닐에틸알코올 5~15중량%,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5~10중량%, 리랄 5~10중량%, 리날룰 5~10중량%, 시트로넬롤 5~8중량%, 리모넨 4~6중량%, 제라니올 0.1~5중량%, 네롤 0.1~1중량%, 알릴헵틸레이트 0.1.~1중량%, 리스메랄 5~10중량%,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0.1~5중량%, 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 0.1~5중량%, 카시스 0.1~5중량%,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0.1~5중량%, 및 페녹산올 0.1~5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SPME법에 의해서 분석된 향취 성분을 기초로 하여 춘란꽃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향취의 기호성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춘란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방향제품, 스킨케어 제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법으로 분석하여 얻은 춘란꽃의 향 성분인 헤디온(HEDIONE),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리랄(LYRAL), 리날룰(LINALO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및 리모넨(LIMONENE)을 제1 항료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리스메랄(LYSMERAL),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HYDROXYCITRONELLAL), 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TETRA-HYDRO LINALOOL), 카시스(CASSIS),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DIMETHYL ANTHRANILATE), 페녹산올(PHENOXANOL)를 제2 향료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헤디온 20~25중량%, 갈락소라이드 10~20중량%, 페닐에틸알코올 5~15중량%,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5~10중량%, 리랄 5~10중량%, 리날룰 5~10중량%, 시트로넬롤 5~8중량%, 리모넨 4~6중량%, 제라니올 0.1~5중량%, 네롤 0.1~1중량%, 알릴헵틸레이트 0.1.~1중량%, 리스메랄 5~10중량%,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0.1~5중량%, 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 0.1~5중량%, 카시스 0.1~5중량%,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0.1~5중량%, 및 페녹산올 0.1~5중량%의 범위로 함유한다.
춘란꽃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들로서 헤디온, 갈락소라이드, 페닐에틸알코올,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리랄, 리스메랄, 리날룰, 시트로넬올, 리모넨,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 카시스,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페녹산을 상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할 경우 춘란꽃의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외의 성분들은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향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춘란꽃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도 함유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로 혼합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에멀션 등과 같은 화장품뿐만 아니라 향수, 연고, 가용화상, 현탁액,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의 피부 외용기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배합량은 당 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SPME
법을 이용한 춘란꽃의 향취 분석
향이 강하고 좋은 춘란꽃의 향취성분을 포집하기 위하여 생화에 지퍼백을 씌운 다음, PDNS/DVB 화이버(PDNS/DVB fiber)를 고정하고 1시간 정도 향을 포집하였다.
향취성분을 포집한 후 화이버(Fiber)를 밀봉하고 아이스박스에 보관하여 실험실로 옮긴 후 분석하였다.
향이 흡착된 화이버(Fiber)를 GC-MSD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1분간 탈착 시키고 GC-MS분석을 행하였다. GC-MSD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조건 |
분석기기: AGILENT 6890/5973 GC/MSD Column: Innowax(60m*0.32mm*0.5) Carrier gas: He Injection Temperature: 260 Oven Tempertature: 85~230(2/min) 탈착시간: 1 min |
SPME법에 의해 분석된 춘란꽃 향의 향취 성분은 하기 표2와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헤디온(HEDIONE) | 25.15 |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 17.16 |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 11.61 |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 9.57 |
리랄(LYRAL) | 8.29 |
리날룰(LINALOOL) | 8.25 |
시트로넬올(CITRONELLOL) | 6.45 |
리모넨(LIMONENE) | 5.52 |
제라니올(GERANIOL) | 1.51 |
네롤(NEROL) | 0.37 |
알릴헵틸레이트(ALLYL HEPTYLATE) | 0.25 |
기타 | 5.87 |
총 함 량 | 100.00 |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춘란꽃은 헤디온, 갈락소라이드, 페닐에틸알코올,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리랄, 리날룰, 시트로넬올, 리모넨 등의 주요 향취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주요성분은 전체의 92중량%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예 1에서 춘란꽃으로부터 포집된 향취 성분의 샘플을 샘플 A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 조합 향료와 춘란꽃의 향취와의 비교 관능평가
상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합성성분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을 갖는 조합 향료(샘플B)를 만들고, 이 향료와 상기 샘플A로 명명한 춘란꽃의 향취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헤디온(HEDIONE) | 25.15 |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 17.16 |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 11.61 |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 9.57 |
리랄(LYRAL) | 8.29 |
리날룰(LINALOOL) | 8.25 |
시트로넬올(CITRONELLOL) | 6.45 |
리모넨(LIMONENE) | 5.52 |
제라니올(GERANIOL) | 1.51 |
네롤(NEROL) | 0.37 |
알릴헵틸레이트(ALLYL HEPTYLATE) | 0.25 |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 5.87 |
총 함 량 | 100.00 |
관능평가는 20~50세의 일반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춘란꽃의 샘플 A와 SPME법으로 분석된 각 향취 성분을 인공적으로 배합하여 재현한 조합향료의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4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A와 샘플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 및 3)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
1. 샘플A와 샘플B의 향취 유사성을 비교하시오.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보통이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많이 유사하다. |
2. 샘플 A의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는? (1) 매우 불만족한다. (2) 불만족한다. (3) 보통이다. (4) 만족한다. (5) 매우 만족한다. |
3. 샘플 B의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는? (1) 매우 불만족한다. (2) 불만족한다. (3) 보통이다. (4) 만족한다. (5) 매우 만족한다. |
평가자 | 질문 1 | 질문 2 | 질문 3 |
1 | 3 | 4 | 3 |
2 | 2 | 4 | 4 |
3 | 2 | 2 | 4 |
4 | 1 | 4 | 3 |
5 | 2 | 4 | 2 |
6 | 3 | 3 | 2 |
7 | 2 | 4 | 2 |
8 | 2 | 3 | 4 |
9 | 2 | 4 | 3 |
10 | 1 | 5 | 3 |
11 | 3 | 4 | 4 |
12 | 3 | 4 | 3 |
13 | 3 | 3 | 2 |
14 | 2 | 5 | 3 |
15 | 2 | 4 | 3 |
평균 | 2.20 | 3.80 | 3.00 |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춘란꽃의 향취 샘플 A와 조합향료 샘플 B는 유사성에서 2.20으로 별로 유사하지 않다는 결과를 보였으며, 춘란꽃 향취인 샘플 A의 기호성은 3.80점, 조합향료 샘플 B는 3.00점으로 기호성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실시예 3
전문 조향사의 관능평가에 의해 춘란꽃의 향취 샘플 A와 조합향료 샘플 B를 비교한 결과, 조합향료 샘플 B가 춘란꽃의 향취 샘플 A에 비하여 거칠고 자극적이었으며 네추럴한 그린취와 은은한 플로랄 느낌이 떨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은 춘란꽃의 각각의 향취 성분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춘란꽃의 향기성분들 중, 헤디온, 갈락소라이드, 페닐에틸알코올,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리랄, 리날룰, 시트로넬올, 리모넨이 춘란꽃의 고유 향취를 만들어내는 주요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으로부터 춘란꽃의 주요 향취의 성분이 헤디온, 갈락소라이드, 페닐에틸알코올,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리랄, 리날룰, 시트로넬올, 리모넨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여덟 성분을 함유하여, 춘란꽃의 향취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기호성이 좋은 향료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1 내지 #5의 새로운 조합 향료들을 만들었다.
조합향료 #1 내지 #5은 이들 여덟 성분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여덟 가지 향료의 총 함량을 65~90중량%로 변화시켜 제조하였다. 이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향료명 (함량:중량%) |
#1 | #2 | #3 | #4 |
헤디온 | 20.5 | 21.5 | 22.5 | 23.5 |
갈락소라이드 | 14.5 | 15.5 | 16.5 | 17.5 |
페닐에틸알코올 | 8.1 | 9.1 | 10.1 | 11.1 |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 6.5 | 7.5 | 8.5 | 9.5 |
리랄 | 5.2 | 6.2 | 7.2 | 8.2 |
리날룰 | 5.2 | 6.2 | 7.2 | 8.2 |
시트로넬올 | 3.4 | 4.4 | 5.4 | 6.4 |
리모넨 | 2.5 | 3.5 | 4.5 | 5.5 |
제라니올 | 20.5 | 18.5 | 15.5 | 1.5 |
네롤 | 8.5 | 5.5 | 1.5 | 0.3 |
알릴헵틸레이트 | 5.1 | 2.1 | 1.1 | 0.2 |
총 함 량 | 100.0 | 100.0 | 100.0 | 100.0 |
실시예
5 -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4의 4가지 향료에 대해, 춘란꽃 향취인 샘플 A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에 대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일반인의 관능평가를 통해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이 표 7의 설문지에 대하여 응답하게 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
1. 춘란꽃의 향취 샘플A와 조합향료 샘플(#1~#4)의 향취 유사성을 비교하시오.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보통이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많이 유사하다. |
2. 조합향료 샘플 (#1~#4)의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는? (1) 매우 불만족한다. (2) 불만족한다. (3) 보통이다. (4) 만족한다. (5) 매우 만족한다. |
평가자 | 질문1(유사성) | 질문2(기호성) | ||||||
조합향료 #1 |
조합향료 #2 |
조합향료 #3 |
조합향료 #4 |
조합향료 #1 |
조합향료 #2 |
조합향료 #3 |
조합향료 #4 |
|
1 | 2 | 3 | 5 | 3 | 2 | 4 | 4 | 4 |
2 | 3 | 3 | 3 | 4 | 3 | 3 | 4 | 3 |
3 | 2 | 3 | 4 | 3 | 2 | 4 | 4 | 3 |
4 | 2 | 3 | 3 | 3 | 2 | 3 | 5 | 4 |
5 | 2 | 2 | 3 | 3 | 2 | 3 | 3 | 4 |
6 | 4 | 2 | 4 | 5 | 2 | 3 | 4 | 5 |
7 | 2 | 4 | 3 | 3 | 3 | 3 | 4 | 3 |
8 | 2 | 3 | 4 | 4 | 2 | 3 | 4 | 4 |
9 | 3 | 3 | 4 | 5 | 3 | 3 | 4 | 5 |
10 | 3 | 3 | 3 | 4 | 3 | 3 | 3 | 4 |
11 | 2 | 2 | 2 | 3 | 2 | 4 | 3 | 3 |
12 | 3 | 3 | 4 | 3 | 3 | 3 | 4 | 3 |
13 | 2 | 2 | 3 | 4 | 2 | 3 | 3 | 3 |
14 | 3 | 2 | 3 | 4 | 2 | 3 | 4 | 4 |
15 | 3 | 3 | 5 | 4 | 2 | 3 | 5 | 3 |
평균 | 2.5 | 2.7 | 3.5 | 3.7 | 2.3 | 3.2 | 3.9 | 3.7 |
상기 표 8에서, 향취의 유사성에서는 조합향료 #4이 3.7점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향취의 기호성에서는 조합향료 #3이 3.9점으로 가장 높게 나왔다. 하지만 아직 춘란꽃 향의 유사성과 기호성을 만족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6 -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
상기 표 8에서 춘란꽃 향취의 유사성에서는 조합향료 #4이 우수하게 나왔고 향취의 기호성에서는 조합향료 #3이 우수하게 나왔다. 이에 전문 조향사의 관능평가를 통해 향취의 유사성과 기호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조합향료 #3과 조합향료 #4의 함량을 조정하고, 향취가 거칠고 플로랄한 느낌이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향취의 전체적인 볼륨감을 주기 위해 리스메랄(LYSMERAL),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HYDROXYCITRONELLAL), 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TETRA-HYDRO LINALOOL), 카시스(CASSIS),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DIMETHYL ANTHRANILATE), 페녹산올(PHENOXANOL)을 추가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춘란꽃 향취의 주요 성분인 헤디온, 갈락소라이드, 페닐에틸알코올,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리랄, 리날룰, 시트로넬올, 리모넨의 함량%는 조합향료 #3과 조합향료 #4의 중간값인 84~85중량%를 함유하고 새롭게 리스메랄를 6~9중량%로 변화시키면서 첨가하고 그 외의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은 1.5중량%, 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은 1.5중량%, 카시스 1.0중량%,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는 1.0중량%, 페녹산올은 1.0중량%을 첨가하고 그 외 성분들은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 100중량%를 맞추기 위해 조정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의 조성은 표 9와 같다.
향료명(중량%) | #6 | #7 | #8 | #9 |
헤디온 | 23.3 | 23.3 | 23.3 | 23.3 |
갈락소라이드 | 15.0 | 15.0 | 15.0 | 15.0 |
페닐에틸알코올 | 10.0 | 10.0 | 10.0 | 10.0 |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 8.5 | 8.5 | 8.5 | 8.5 |
리랄 | 8.3 | 8.3 | 8.3 | 8.3 |
리날룰 | 8.0 | 8.0 | 8.0 | 8.0 |
시트로넬롤 | 6.4 | 6.4 | 6.4 | 6.4 |
리모넨 | 5.5 | 5.5 | 5.5 | 5.5 |
제라니올 | 2.5 | 1.5 | 0.5 | - |
네롤 | 0.3 | 0.3 | 0.3 | - |
알릴헵틸레이트 | 0.2 | 0.2 | 0.2 | - |
리스메랄 | 6.0 | 7.0 | 8.0 | 9.0 |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 1.5 | 1.5 | 1.5 | 1.5 |
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 | 1.5 | 1.5 | 1.5 | 1.5 |
카시스 | 1.0 | 1.0 | 1.0 | 1.0 |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 1.0 | 1.0 | 1.0 | 1.0 |
페녹산올 | 1.0 | 1.0 | 1.0 | 1.0 |
총 함 량 | 100.0 | 100.0 | 100.0 | 100.0 |
실시예
7 -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6의 4가지의 조합 향료들에 대해,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평과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평가자 | 질문1(유사성) | 질문2(기호성) | ||||||
조합향료 #6 |
조합향료 #7 |
조합향료 #8 |
조합향료 #9 |
조합향료 #6 |
조합향료 #7 |
조합향료 #8 |
조합향료 #9 |
|
1 | 5 | 5 | 4 | 3 | 3 | 3 | 4 | 3 |
2 | 4 | 3 | 4 | 4 | 4 | 3 | 4 | 4 |
3 | 3 | 4 | 4 | 4 | 3 | 4 | 5 | 3 |
4 | 4 | 3 | 4 | 3 | 3 | 4 | 3 | 3 |
5 | 3 | 3 | 5 | 4 | 4 | 4 | 4 | 4 |
6 | 3 | 4 | 5 | 5 | 3 | 3 | 4 | 3 |
7 | 4 | 3 | 3 | 3 | 3 | 3 | 5 | 4 |
8 | 3 | 3 | 4 | 4 | 4 | 5 | 4 | 4 |
9 | 4 | 3 | 4 | 5 | 4 | 4 | 5 | 4 |
10 | 4 | 4 | 4 | 4 | 3 | 4 | 4 | 5 |
11 | 3 | 3 | 4 | 3 | 3 | 5 | 5 | 4 |
12 | 3 | 4 | 5 | 3 | 3 | 3 | 4 | 3 |
13 | 3 | 4 | 3 | 3 | 2 | 3 | 4 | 3 |
14 | 3 | 4 | 5 | 4 | 3 | 4 | 5 | 3 |
15 | 3 | 5 | 5 | 3 | 3 | 4 | 5 | 3 |
평균 | 3.5 | 3.7 | 4.2 | 3.7 | 3.2 | 3.7 | 4.3 | 3.5 |
상기 표 10에서 알 수 있듯이 헤디온, 갈락소라이드, 페닐에틸알코올,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리랄, 리날룰, 시트로넬올, 리모넨 등의 춘란꽃의 주요 향취 성분에 리스메랄를 8중량%을 함유할 때, 춘란꽃 향취에 대한 유사성과 향취의 기호성이 높게 나온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상기에서와 같이 춘란꽃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조성물(조합향료 #8)을 배합하여 하기 표 11의 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 | 함량(중량 %) |
춘란꽃 향취 재현 조합향료 #8 | 15.0 |
알코올 | To 80 |
물 | 5 |
색소 | 적량 |
자외선차단제 | 적량 |
총 함 량 | 100.0 |
Claims (4)
-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로서,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헤디온(HEDIONE) 20~25중량%,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10~20중량%,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5~15중량%,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5~10중량%, 리랄(LYRAL) 5~10중량%, 리날룰(LINALOOL) 5~10중량%, 시트로넬롤(CITRONELLOL) 5~8중량%, 리모넨(LIMONENE) 4~6중량%, 제라니올(GERANIOL) 0.1~5중량%, 네롤(NEROL) 0.1~1중량%, 및 알릴헵틸레이트(ALLYL HEPTYLATE) 0.1.~1중량%로 이루어진 제1 향료성분과,
리스메랄(LYSMERAL) 5~10중량%,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HYDROXYCITRONELLAL) 0.1~5중량%, 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TETRA-HYDRO LINALOOL) 0.1~5중량%, 카시스(CASSIS) 0.1~5중량%,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DIMETHYL ANTHRANILATE) 0.1~5중량%, 및 페녹산올(PHENOXANOL) 0.1~5중량%로 이루어진 제2 항료성분을 포함하는,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0519A KR101608883B1 (ko) | 2014-08-05 | 2014-08-05 |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0519A KR101608883B1 (ko) | 2014-08-05 | 2014-08-05 |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6408A KR20160016408A (ko) | 2016-02-15 |
KR101608883B1 true KR101608883B1 (ko) | 2016-04-04 |
Family
ID=5535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0519A KR101608883B1 (ko) | 2014-08-05 | 2014-08-05 |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888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7624B1 (ko) * | 2016-09-21 | 2018-07-1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셀로지네 니티다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2757B1 (ko) | 2001-04-11 | 2004-03-12 | 주식회사 태평양 | 제주한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2014
- 2014-08-05 KR KR1020140100519A patent/KR1016088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2757B1 (ko) | 2001-04-11 | 2004-03-12 | 주식회사 태평양 | 제주한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6408A (ko) | 2016-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8368B1 (ko) |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2085097B1 (ko) | 향료 조성물 | |
KR101799027B1 (ko) |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234024B1 (ko) |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US20180030375A1 (en) | Fragrance composition reproducing the aroma of citrus flowers | |
KR101644487B1 (ko) | 철쭉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
KR101470887B1 (ko) |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1258645B1 (ko) |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20110001569A (ko) |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1978147B1 (ko) |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1608883B1 (ko) |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
KR20170038709A (ko) |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1773090B1 (ko) | 미선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737998B1 (ko) |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1692185B1 (ko) |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20150062967A (ko) |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2610346B1 (ko) | 다래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1378321B1 (ko) | 해당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2081579B1 (ko) |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2683035B1 (ko) | 포트마리골드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
KR102081580B1 (ko) |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20190056859A (ko) | 인삼열매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101904752B1 (ko) |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KR20120056481A (ko) |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758895B1 (ko) | 제주도 유채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