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887B1 -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887B1
KR101470887B1 KR1020080119493A KR20080119493A KR101470887B1 KR 101470887 B1 KR101470887 B1 KR 101470887B1 KR 1020080119493 A KR1020080119493 A KR 1020080119493A KR 20080119493 A KR20080119493 A KR 20080119493A KR 101470887 B1 KR101470887 B1 KR 10147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agrance
composition
lilac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760A (ko
Inventor
김후덕
박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11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8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선 나무 꽃의 천연적 성분의 일부와, 다마스콘(Damascone), 시나믹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및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4-Isopropyl cyclohex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미선나무꽃 향취를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미선나무 고유 향취와의 유사도 및 만족도가 개선되어, 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미선나무, 향취, 향료 조성물

Description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GRAGRANCE OF ABELIOPHYLLUM DISTICHUM}
본 발명은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미선나무 고유 향취와의 유사도 및 만족도가 개선되어, 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는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천연기념물 제364호로 지정된 한국의 자생식물이며 충북 괴산, 전북 부안 등에서 자생한다. 미선나무의 종류는 흰색 꽃이 피는 것이 기본종이다. 분홍색 꽃이 피는 것을 분홍미선(for.lilacinum), 상아색 꽃이 피는 것을 상아미선(for. eburneum), 꽃받침이 연한 녹색인 것을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열매 끝이 패지 않고 둥글게 피는 것을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이라고 하며 미선나무는 대개 군집을 형성하여 자생한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우리 나라의 특산이며 희귀종으로 미선(尾扇)이란 이름은 열매의 모양이 옛날 조상들이 사용하였던 둥근 부채의 일종(왕의 시중이 들고 있는 부채)으로 열매 모양이 마치 미선(尾扇)과 흡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미선나무는 볕이 잘 드는 산기슭에서 자라며 수고는 1m에 달하고,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어린 가지는 네모로 각이 진 것이 특징이다. 잎은 마주 나고 2줄로 배열하며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의 달걀형이고 길이가 3~8cm, 폭이 5~30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가 2~5mm이다.
꽃은 잎보다 먼저 개나리 꽃 모양의 흰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수북하게 달린다. 연분홍색의 꽃이 달리는 경우도 있지만 흔치 않다. 미선나무의 꽃은 향기가 뛰어나고 꽃받침은 종 모양의 사각형이고 길이가 3~3.5mm이며 4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원형이다.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고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2개이다.
열매는 시과이고 둥근 타원 모양이며 길이가 25mm이고 끝이 오목하며 둘레에 날개가 있고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와 꺾꽂이로 번식한다. 미선나무가 자생하는 지형은 거의 돌밭으로 척박한 곳에서 자라는 독특한 생태를 가지고 있다.
미선나무 꽃은 고유의 차별화된 향취를 갖고 있지만, 천연기념물인 미선나무의 채집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천연상태로는 그 고유 향취를 산업적 규모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자연 상태 그대로의 미선나무 향기를 인공적으로 재현하여 차별화되고 새로운 한국 고유의 특징을 갖는 향기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미선나무의 대량 사용이 어려운 점을 확인한 바, 인공 향취 재현 조성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선 나무 꽃의 천연적 성분인 라일락 알데하이드(Lilac Aldehyd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안트라닐 알데하이드(Anthranilaldehyde), 라일락알코올(Lilac Alcohol), 페닐아세트 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벤즈알데하이드 (Benzaldehyde), 라일락락톤(Liliac lactone), 아니스알데하이드(Anisealdehyde) 및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를 함유하고, 인공 향료 성분인 다마스콘(Damascone), 시나믹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및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4-Isopropyl cyclohex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선나무꽃 향취를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선나무꽃의 향취 성분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 세정제, 방향제 및 세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천연기념물인 미선나무의 훼손 없이 그 고유의 차별화된 향취를 재현하기 위하여, 미선나무 꽃의 향취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상기 분석된 성분을 상기 분석된 함량으로 인공적으로 혼합하 여도 고유의 향취와 유사한 향취를 얻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고, 천연 상태의 미선나무 꽃에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미선나무의 고유 향취를 거의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음을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선나무 꽃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향취 성분의 일분인 라일락 알데하이드(Lilac Aldehyd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안트라닐 알데하이드(Anthranilaldehyde), 라일락알코올(Lilac Alcohol), 페닐아세트 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벤즈알데하이드 (Benzaldehyde), 라일락락톤(Liliac lactone), 아니스알데하이드(Anisealdehyde), 및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를 포함하고, 추가적 인공 향료 성분으로서 다마스콘(Damascone), 시나믹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및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4-Isopropyl cyclohex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선나무 꽃 향취를 재현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향기를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용매를 사용한 추출법(extraction), 수증기를 이용한 증류법(distillation) 등이 사용되어지나, 상기의 방법들은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 가열, 감압 등에 의한 향기성분의 소실, 변화 등을 초래하여 원물질이 가지는 향기 특징과 많은 차이를 있다. 또한 미선나무와 같이 천연기념물의 경우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과 SPME (Solid-Phase Micro Extraction)법 등이 개발되었다. 이 두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시료의 전처리도 필요 없으므로 다량의 시료가 필요 없고 시료자체를 가지고 향기 성분을 분석할 수 있어 시료가 가지는 본래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향기 성분 분석 기술로서 얻어진 미선나무 꽃 향취 성분 및 함량을 기초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례는 전체 조성물에 대해, 라일락 알데하이드(Lilac Aldehyde) 28.0 내지 40.0 중량%, 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 11.0 내지 17.0 중량%, 안트라닐알데하이드(Anthranilaldehyde) 8.0 내지 13.0 중량%, 라일락알코올(Lilac Alcohol) 7.0 내지 11.5 중량%,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5.0 내지 10.5 중량%,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0.5 내지 3 중량%, 라일락락톤(Liliac lactone) 0.5 내지 3 중량%, 아니스알데하이드(Anisealdehyde) 0.3 내지 2.0 중량% 및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0.3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고, 다마스콘(Damascone), 시나믹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및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4-Isopropyl cyclohexan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5.8 내지 17 중량%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라일락 알데하이드(Lilac Aldehyde) 28.0 내지 40.0 중량%, 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 11.0 내지 17.0 중량%, 안트라닐알데하이드(Anthranilaldehyde) 8.0 내지 13.0 중량%, 라일락알코올(Lilac Alcohol) 7.0 내지 11.5 중량%, 페닐아세트 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5.0 내지 10.5 중량%,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0.5 내지 3 중량%, 라일락락톤(Liliac lactone) 0.5 내지 3 중량%, 아니스알데하이 드(Anisealdehyde) 0.3 내지 2.0 중량% 및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0.3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고, 다마스콘(Damascone) 5.0 내지 12.0 중량%, 시나믹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0.3 내지 2.0 중량%, 및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4-Isopropyl cyclohexanol) 0.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부 외용연고,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바디 화장품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이 있고;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샴푸, 비누 등의 세정제, 향수 등 방향제품, 주방 세제 및 세탁 세제류 등의 세제에 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선나무꽃 향취를 재현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조성물을 제공하여, 관능 평가를 통해 향취의 유사도 및 만족도의 개선을 확인하여, 향료 조성 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을 이용한 미선나무의 향취 성분 분석
헤드스페이스 분석방법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시료 향기 성분을 채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헤드스페이스 분석법을 사용하였고,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선나무의 꽃 부분에 밀폐가 가능한 랩을 씌우고, 동략 장치로 외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면서 순환된 공기가 teenax 컬럼을 통과하게 하여 향기 성분을 포집하였다.
향기가 포집된 teenax 컬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분석 장치에 연결하여 포집된 향기성분의 종류와 함량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 조건>
분석기기: Hewlett Packard 6890
검출기: FID
컬럼: HP-20M 0.2mm ID × 25m     
주입부 온도: 250℃
검출부 온도: 250℃
오븐온도: 55℃(0분) ~ 215℃(40분), 4.0℃/분     
Split Ratio: 30 : 1
이동상기체: 헬륨18cm/sec     
주압량: 0.3m l
미선나무 향취 성분 분석 결과
향료명 중량(%)
라일락알데하이드 38.63
페닐에틸알코올 16.03
안트라닐알데하이드 11.20
라일락알코올 8.18
페닐아세트 알데하이드 7.66
벤질알데하이드 1.90
라일락락톤 2.16
아니스알데하이드 1.02
메틸살리실레이트 0.46
기타 12.76
총합계 100.00
분석 결과,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미선나무의 주요 향기 성분은 라일락 알데하이드, 페닐에틸알코올, 안트라닐알데하이드, 라일락알코올, 페닐아세트 알데하이드 등이며 전체 향기성분의 약 81.7%를 차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미선나무 꽃 향취 성분 및 재현 향료에 대한 묘사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분석한 미선나무 꽃 향취성분(표 1 참조)과 하기 표 2의 조합으로 구성된 재현 향료(표 2 참조)에 대해 하기와 같은 공정으로 묘사분석을 수행하였다.
관능평가 대상자는 향료업계에 종사하는 전문 조향사 5명을 선정하였으며, 미선나무 꽃 향기와 재현 향료에 대해 각각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선나무 향기 재현 향료
향료명 중량(%)
라일락알데하이드 38.63
페닐에틸알코올 16.03
안트라닐알데하이드 11.20
라일락알코올 8.18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7.66
벤즈알데하이드 1.90
라일락락톤 2.16
아니스알데하이드 1.02
메틸살리실레이트 0.46
DPG(Dipropylene Glycol) 12.76
총합계 100.00
분석 결과, 상기 표 2에 의해 조합된 향료와 미선나무 꽃 향기 성분(표 1)의 유사성이 낮으며 향의 만족도는 조금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헤드스페이스 분석 결과 만으로 미선나무의 향기를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헤드스페이스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향기 성분을 추가하여 미선나무 향기를 재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관능평가
미선나무 꽃의 향기는 꿀과 같은 달콤한 향과 꽃 향기가 어우러진 향으로 기존의 꽃 향기와는 다른 새로운 특징의 향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다마스콘, 시나믹알데하이드 및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등을 추가로 적용하고 라일락 알데하이드, 페닐에틸알코올, 안트라닐알데하이드, 라일락알코올, 페닐아세탈데하이드 등 주성분을 조정하여 미선나무 꽃의 재현 향기를 새로이 조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3의 성분들의 조합으로 향료를 만들어 미선나무 꽃 향기의 유사성과 선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미선나무 꽃 재현 향기 조성표
향료명 STD 조합1 조합2 조합3 조합4 조합5 조합6 조합7
라일락알데하이드 38.63 40.0 42.0 38.0 43.2 32.0 35.0 38.0
페닐에틸알코올 16.03 17.0 18.0 17.5 12.0 14.0 17.0 16.2
안트라닐알데하이드 11.2 11.2 11.7 12.0 9.0 9.0 10.2 11.2
라일락알코올 8.18 8.2 8.8 8.5 10.0 7.5 10.3 9.2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7.66 8.0 9.0 8.0 5.5 5.0 8.5 7.8
벤즈알데하이드 1.9 1.5 1.5 1.7 1.0 1.0 1.5 1.8
라일락락톤 2.16 2.1 3.0 2.5 3.0 3.0 2.8 2.0
아니스알데하이드 1.02 1.0 1.0 1.2 0.5 0.5 0.5 1.0
메틸살리실레이트 0.46 0.4 0.4 1.1 0.7 0.4 0.1 0.7
다마스콘 - - - - 6.0 18.0 11.5 10.5
시나믹알데하이드 - - - 1.0 0.5 1.8 - 0.3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 - - 1.0 0.8 - 1.6 1.3
DPG(Dipropylene Glycol) 12.76 10.6 4.6 7.5 7.8 7.8 1.0 -
총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관능평가 대상자는 20~35세의 신체 건강한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사성에 대한 평가는 5점 평점법으로 평가(표 4 참조)하였고 선호도는 표 4의 질문지로 제조된 향기에 대해서 5점 평점법(표 5 참조)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실과 시료 준비실은 분리하여 평가자가 시료의 사전 인지가 없도록 하였다.
점수 유사도
1 매우 다르다
2 조금 다르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비슷하다
5 매우 비슷하다
점수 만족도
1 매우 좋지 않다
2 조금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결과 - 유사성
번호 나이 성별 STD 조합1 조합2 조합3 조합4 조합5 조합6 조합7
1 22 1 1 2 2 3 3 4 4
2 25 1 1 2 2 4 3 4 3
3 28 2 2 3 3 4 4 3 5
4 31 1 2 3 2 3 3 4 5
5 32 2 2 2 3 4 4 4 4
6 33 2 2 2 3 4 3 4 5
7 24 2 2 2 3 4 2 3 4
8 29 1 1 2 2 3 2 5 5
9 35 1 2 3 3 4 3 5 5
10 34 1 1 2 2 3 3 4 3
11 21 2 1 3 3 4 3 5 5
12 28 2 2 2 2 3 3 4 4
13 26 2 2 3 3 3 3 3 4
14 23 2 1 2 3 4 2 4 4
15 22 3 2 3 2 3 3 3 5
16 22 1 2 2 3 3 3 4 5
17 29 2 2 2 3 2 3 4 4
18 24 1 2 2 2 3 3 4 5
19 33 1 1 2 3 2 2 5 4
20 27 1 1 2 2 3 3 4 4
평균 27.4 1.55 1.60 2.30 2.55 3.30 2.90 4.00 4.35
평가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7.4세이고 남자 9명, 여자 11명이었다.
평가 결과, 상기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분석에 기초한 미선나무 꽃 향기(STD)는 매우 낮은 유사도를 나타냈고, 조합 1과 조합 2는 미선나무 꽃 향기의 주요성분만으로 조합된 향기의 유사도는 증가하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마스콘, 시나믹알데하이드,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등을 혼용하였을 때 유사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특히, 다마스콘의 사용 유무에 따라서 유사도가 달라지며 3종의 향료를 혼용한 것이 더 유사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결과 - 만족도
번호 나이 성별 STD 조합1 조합2 조합3 조합4 조합5 조합6 조합7
1 22 2 2 3 3 3 3 4 4
2 25 2 2 3 3 4 4 4 5
3 28 1 1 2 3 3 5 4 5
4 31 2 2 4 4 4 4 5 5
5 32 2 2 3 3 3 3 4 3
6 33 2 2 4 4 4 4 3 4
7 24 2 2 3 3 3 5 5 4
8 29 1 2 2 3 4 5 5 4
9 35 2 2 2 3 4 5 5 4
10 34 2 2 1 3 4 3 4 3
11 21 2 2 2 3 3 4 5 5
12 28 2 2 1 3 4 5 4 4
13 26 2 3 3 3 2 2 3 4
14 23 3 3 4 3 3 3 4 4
15 22 3 3 3 2 3 2 3 5
16 22 1 1 2 3 3 3 3 5
17 29 2 3 2 3 2 4 5 4
18 24 1 1 1 3 3 5 4 5
19 33 1 1 2 3 1 4 5 4
20 27 2 2 4 3 3 2 5 4
평균 27.4 1.85 2.00 2.55 3.05 3.15 3.75 4.20 4.25
평가결과, 상기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개발된 향료의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STD의 경우 향의 만족도가 낮으며 분석에 결과 확인된 성분 만으로 조합된 조합1, 조합2의 만족도도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다마스콘, 시나믹알데하이드,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등을 함유한 조합3, 조합4, 조합5, 조합 6의 향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3종의 향료를 혼용한 조합7이 가장 양호한 향료의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합된 향료의 유사도와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951로 나타나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라일락 알데하이드(Lilac Aldehyd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안트라닐 알데하이드(Anthranilaldehyde), 라일락알코올(Lilac Alcohol),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벤즈알데하이드 (Benzaldehyde), 라일락락톤(Liliac lactone), 아니스알데하이드(Anisealdehyde) 및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를 함유하고,
    다마스콘(Damascone), 시나믹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및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4-Isopropyl cyclohex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미선나무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다마스콘(Damascone), 시나믹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및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4-Isopropyl cyclohex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5.8 내지 17 중량%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다마스콘(Damascone) 5.0 내지 12.0 중량%,
    시나믹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0.3 내지 2.0 중량%, 및
    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사놀 (4-Isopropyl cyclohexanol) 0.5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라일락 알데하이드(Lilac Aldehyde) 28.0 내지 40.0 중량%,
    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 11.0 내지 17.0 중량%,
    안트라닐알데하이드(Anthranilaldehyde) 8.0 내지 13.0 중량%,
    라일락알코올(Lilac Alcohol) 7.0 내지 11.5 중량%,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5.0 내지 10.5 중량%,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0.5 내지 3 중량%,
    라일락락톤(Liliac lactone) 0.5 내지 3 중량%,
    아니스알데하이드(Anisealdehyde) 0.3 내지 2.0 중량%, 및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0.3 내지 2.0 중량%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 성물.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제.
KR1020080119493A 2008-11-28 2008-11-28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470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93A KR101470887B1 (ko) 2008-11-28 2008-11-28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93A KR101470887B1 (ko) 2008-11-28 2008-11-28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60A KR20100060760A (ko) 2010-06-07
KR101470887B1 true KR101470887B1 (ko) 2014-12-09

Family

ID=4236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493A KR101470887B1 (ko) 2008-11-28 2008-11-28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097B1 (ko) 2014-09-04 2020-03-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료 조성물
KR102114893B1 (ko) * 2015-02-10 2020-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료 조성물
KR102610348B1 (ko) * 2015-10-30 2023-12-06 (주)아모레퍼시픽 함박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7171108A1 (ko) * 2016-03-29 2017-10-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598797B1 (ko) 2018-10-18 2023-11-07 (주)아모레퍼시픽 금새우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01195B1 (ko) 2020-02-28 2021-01-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254B2 (ja) * 1990-09-28 1998-03-11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ライラックアルデヒド誘導体
KR20060086444A (ko) * 2006-05-29 2006-07-31 짐리즈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윈터그린의 향과 풍미를 가진 혼합물
KR20080038813A (ko) * 2006-10-31 2008-05-07 (주)아모레퍼시픽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080038814A (ko) * 2006-10-31 2008-05-07 (주)아모레퍼시픽 홍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254B2 (ja) * 1990-09-28 1998-03-11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ライラックアルデヒド誘導体
KR20060086444A (ko) * 2006-05-29 2006-07-31 짐리즈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윈터그린의 향과 풍미를 가진 혼합물
KR20080038813A (ko) * 2006-10-31 2008-05-07 (주)아모레퍼시픽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080038814A (ko) * 2006-10-31 2008-05-07 (주)아모레퍼시픽 홍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60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368B1 (ko)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6714852B (zh) 香料组合物
KR101470887B1 (ko)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6020B1 (ko)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96154B1 (ko) 프리지아 샤이니 골드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61572B1 (ko) 밤꽃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Héthelyi et al. SPME-GC/MS identification of aroma compounds in rose flowers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101480694B1 (ko) 칡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110902A (ko) 향료 조성물
KR101935252B1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92185B1 (ko)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3650B1 (ko) 오얏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81579B1 (ko)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4023B1 (ko) 홍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6B1 (ko)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2104269B1 (ko) 심비디움 아로마핑크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04752B1 (ko)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0937340B1 (ko) 천녀목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01195B1 (ko) 향료 조성물
KR101758895B1 (ko) 제주도 유채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7338110A (zh) 再现白莲花香味的香料组合物
CN109069386B (zh) 香料组合物
KR101644487B1 (ko) 철쭉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