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185B1 -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185B1
KR101692185B1 KR1020160017091A KR20160017091A KR101692185B1 KR 101692185 B1 KR101692185 B1 KR 101692185B1 KR 1020160017091 A KR1020160017091 A KR 1020160017091A KR 20160017091 A KR20160017091 A KR 20160017091A KR 101692185 B1 KR101692185 B1 KR 10169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mposition
perfume composition
perfume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나래
안창하
윤광준
나윤지
문성호
서덕준
서형제
최은영
윤정화
최정윤
류승연
Original Assignee
(주)셀트리온
서울향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트리온, 서울향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셀트리온
Priority to KR102016001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185B1/ko
Priority to PCT/KR2017/001570 priority patent/WO2017142279A1/ko
Priority to TW106104942A priority patent/TWI656886B/zh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8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more than six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11B9/0019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carboc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4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six carbon atoms

Abstract

본 발명은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고유 향취 성분을 바탕으로 적정 용매를 선택하고 최적의 함량을 도출하여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VACCINIUM ULIGINOSUM HABITAT IN BAEKDU-MOUNTAIN}
본 발명은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고유 향취 성분을 바탕으로 적정 용매를 선택하고 최적의 함량을 도출하여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일상 공간을 떠나 자연 속에서 힐링의 시간을 보내고자 하는 욕구는 점점 커지고 있으나, 직접 일상에서 벗어나 숲으로 떠나기 위한 시간적 여유조차 부족한 현대인들이 많다. 본 발명자들은 실제 숲 속에 들어와 있는 듯한 공간향 재현 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간편하게 힐링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구상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한국적인 아름다움과 치유의 정서를 갖는 지역으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를 선정하고, 이곳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발명함으로써 공간의 이미지와 특색 있는 느낌을 부여한 향료 조성물을 완성하고자 한다.
들쭉나무(Vaccinium uliginosum)는 진달래과 산앵두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소관목으로, 주로 높은 산에서 자라며 한국(전남, 강원, 평북, 함남, 함북), 북반구 한대지방에 분포한다. 높이는 1m 정도의 가지는 갈색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녹백색이며 털과 톱니는 없다. 5~6월에 녹백색의 항아리 모양 꽃이 지난해 가지 끝에 1~4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다. 화관은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구형이거나 타원형이고 8-9월에 검은 자줏빛으로 익는다. 가을에 열매를 채취하여 생식하고 과즙이나 잼을 만든다.
백두산은 들쭉나무의 주요 분포지 중 하나인데, 이 일대는 고산지대로 기온이 낮고 습도가 높으며 부식토가 많아 들쭉나무가 번식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공간향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해당 공간의 식물을 채취하여 향취 성분을 회정유(Absolute) 형태로 만드는 용매추출법과, 향취 성분을 정유(Essential oil)로 만드는 수증기 증류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추출과정에서 높은 열을 가해야 하거나, 처리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본래의 향취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공간 자체의 향을 재현하기보다는 식물의 향을 재현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목적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공간향 향취 성분 분석에 사용한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dynamic headspace)법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 과정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공간향의 향취 성분을 그대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은 에어펌프(Air pump)에 향기를 흡착할 수 있는 수지를 부착한 포집 장비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수지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고 이 수지에 흡착된 성분들을 분석하여 공기 중에 미량으로 함유된 향취 성분들을 측정할 수 있다.
분석된 공간향 성분에는 테르펜, 페놀, 케톤, 에스테르 등 다양한 향취 성분과 향취 성분 이외에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 화학 성분 및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알러젠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리모넨, 헥실 신남알, 리나놀, 벤질 알코올, 제라니올 등과 같은 성분은 향취 성분이면서도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인데, 이러한 성분을 향료 조성물에 그대로 포함할 시 알러지 반응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을 통해 포집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을 분석한 후, 이 중에서 일반 대기성분 및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향취 성분을 바탕으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 재현 향료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향취 성분의 함량을 조정하고 여기에 적합한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기호도가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으로 포집된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하여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적합한 용매를 선택하고 향취 성분의 함량을 조정함으로써,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하고 기호도가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향취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향취 성분은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미르센(myrcene), 헵타날(heptanal), 테르피놀렌(terpinolene) 및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용매로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이용하여 향의 재현성을 높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개선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60~9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대하여 알파-피넨 5.0~21.0중량%, 베타-피넨 1.0~10.0중량%, 미르센 1.0~8.0중량%, 헵타날 O.03~1.2중량%, 테르피놀렌 O.2~1.0중량% 및 프로피온산 O.01~O.4중량%를 함유하여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로 혼합된 향료 조성물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적인 생활용품, 화장료 조성물, 방향제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등에 적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에센스, 화장수, 젤,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핸드 크림, 풋 크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헤어크림,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스타일링젤, 입욕제, 액체 세안제, 비누 또는 샴푸 등의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수, 방향제, 소취제, 디퓨저 또는 아로마캔들 등의 방향제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들은 물성 개선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색소, 살균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보습제, 점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공간향"은 특정 지역에서 채취한 향취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순히 특정 식물의 향이 아닌 해당 공간의 향취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특정 지역은 백두산의 들쭉나무 군락지를 의미한다.
"공간향 성분"은 해당 공간에서 포집된 성분을 분석한 결과 확인된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을 통해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포집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확인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의 공간향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분석된 공간향 성분을 향취 성분과 기타 성분으로 구분하고, 향취 성분만을 이용하여 공간향을 재현하였다.
기타 성분은 일반 대기 성분 및 알러젠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일반 대기 성분"은 공간향을 분석한 특정 지역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 화학 성분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일반 대기 성분"으로는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벤조산(Benzoic acid), 페놀(Phenol) 등이 있다. "알러젠 성분"은 체내 유입 시 알러지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성분으로, 리모넨(limonene), 리나놀(linalo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등이 있다.
"향취 성분"은 분석된 특정 지역의 공간향 성분 중 "일반 대기 성분" 및 "알러젠 성분" 등을 제외한 성분으로, 본 발명에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향취 성분은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미르센(myrcene), 헵타날(heptanal), 테르피놀렌(terpinolene) 및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의 재현성을 높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개선하는 용매를 선정하여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의 재현성을 높인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으로 포집된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거하고 사용함으로써, 알러지 반응의 유발을 방지하면서도 공간향의 재현성이 유지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취 성분의 함량을 조정하여 기호도가 더 향상된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공간향 향취 성분 분석
본 발명에서는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dynamic headspace)법을 사용하였다.
공간향 성분 포집을 위하여 미니펌프와 TENAX 충진관을 사용하였다. 포집 도구는 특정지역의 향기적 특징이 가장 잘 나는 공간에 설치하였으며, 1L/min의 유량으로 3시간 이상 진행하여 공간향 성분을 TENAX 충진관에 포집하였다. 포집된 공기 내 공간향 성분의 동정을 위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GC Model Agilent 6890N
Inlet Temp. 250℃
Split mode Splitless
Cryo-focus Initial -90℃
Ramp1 90℃/min to 180℃
Final 180℃
Column TC-WAX: 60m-0.25㎜-0.25㎛
Oven temp. program Initial 40℃ (0min)
Ramp1 3℃/min to 230℃
Final 30min
Carrier gas flow Helium-1.0㎖/min
MSD Model Agilent 5973N
Transfer line 280℃
Quad 150℃
Ion source 230℃
분석 결과,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이 하기 표 2와 같이 분석되었다.
성분명 함량(중량%)
알파-피넨(α-Pinene) 10.126
베타-피넨(β-Pinene) 4.733
미르센(Myrcene) 3.924
헵타날(Heptanal) 0.571
테르피놀렌(Terpinolene) 0.290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0.231
기타 80.125
총합계 100.000
상기 표 2에서 기타는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떠다니는 휘발성 유기 화학 성분(즉 일반 대기 성분) 및 알러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성분(즉 알러젠 성분)을 포함한 것으로, 이후 공간향 재현 향료 조성물 제조 시에는 이들 기타 성분을 제외한 향취 성분만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기타 성분을 제외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의 주요 향취 성분은 알파-피넨, 베타-피넨, 미르센, 헵타날, 테르피놀렌 및 프로피온산임을 알 수 있다.
주요 일반 대기 성분 및 알러젠 성분의 성분명과 각 함량(전체 공간향 성분에 대한 중량%)은 하기 표 3과 같다.
성분명 함량(중량%) 분류
톨루엔(toluene) 4.149 일반 대기 성분
자일렌(xylene) 5.716 일반 대기 성분
벤조산(Benzoic acid) 11.391 일반 대기 성분
페놀(Phenol) 2.779 일반 대기 성분
아세토페논(Acetophenone) 4.466 일반 대기 성분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4.776 일반 대기 성분
베타-펠란드렌(β-Phellandrene) 12.519 일반 대기 성분
2,2,4,6,6-펜타메틸 헵테인(2,2,4,6,6-pentamethyl heptane) 11.463 일반 대기 성분
2,6-디메틸 옥탄(2,6-Dimethyl octane) 1.04 일반 대기 성분
리모넨(limonene) 3.45 알러젠 성분
리나놀(linalool) 0.031 알러젠 성분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1.046 알러젠 성분
실시예 1. 조합 향료(#1)와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의 비교관능평가
실험예 1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알러젠 성분 등 기타 성분을 제외한 하기 표 4의 조성을 갖는 조합 향료(#1)를 만들고, 이 향료와 천연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과의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조합 향료 제조 시 용매로는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을 사용하였다. DPG는 착향제, 용제, 점도감소제의 용도를 가지며, 향료 조성물 제조 시 여러 구성 성분들을 용해시키는 용제(용매, solvent)로서 주로 사용된다.
성분명 함량(중량%)
알파-피넨 10.1
베타-피넨 4.7
미르센 3.9
헵타날 0.6
테르피놀렌 0.3
프로피온산 0.2
DPG 80.2
총합계 100.0
관능평가는 조향사로 구성된 향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평가 항목에 대한 향의 적합성을 -10(아주 약함-부적합), O(매우 적합), +10(아주 많음-부적합) 범위로 점수화하였다. 즉, 평가 점수가 0에 가까울수록 현지 공간향이 잘 재현된 것이다.
현지 공간향과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들쭉나무 군락지의 대표적인 향 타입인 달콤함(sweetness) 정도를 비교하였다. 달콤함(sweetness)은 바닐라, 베리 등을 연상시키는 부드럽고 달콤한 향으로, 들쭉나무는 진달래과 산앵두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관목으로 열매의 맛이 달고 향기로운 특징이 있기 때문에,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대표하는 향 타입으로 달콤한 향을 선정할 수 있다.
강도(intensity)는 향의 세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향료 조성물의 기본적인 관능평가 항목으로 사용된다.
상기 조합 향료(#1)의 관능평가 결과, 현지 공간향의 향 타입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하기 표 5와 같이 현지 공간향에 비해 달콤함 정도가 약하고(-5), 강도가 조금 높은(+5)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조합 향료의 구성 성분 중 알파-피넨, 베타-피넨, 미르센 등 테르펜계 성분은 그 종류와 함량에 따라 용매에 녹는 용해도가 상이해지는데, DPG를 사용한 상기 조합 향료(#1)의 경우 용해도 문제로 인해 성상이 불안정해지고, 향취 면에서 향의 확산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가 항목 현지 공간향 조합 향료(#1)
달콤함(Sweetness) 0 -5.0
강도(Intensity) 0 +5.0
따라서 상기 관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향의 달콤함을 높이고 강도를 낮추어 공간향의 재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향취 성분의 함량을 조정하고, 조합 향료의 구성 성분에 적합한 용매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2. 조합 향료(#2)와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의 비교관능평가
실시예 1의 결과를 통해, 향의 달콤함을 높이고 강도를 낮출 수 있는 새로운 용매로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를 선정하였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용매로 하여 하기 표 6의 조성을 갖는 조합 향료(#2)를 만들고, 이 향료와 천연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과의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성분명 함량(중량%)
알파-피넨 10.1
베타-피넨 4.7
미르센 3.9
헵타날 0.6
테르피놀렌 0.3
프로피온산 0.2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80.2
총합계 100.0
관능평가는 실시예 1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었으며,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현지 공간향 조합(#1) 조합(#2)
달콤함(Sweetness) 0 -5.0 -1.0
강도(Intensity) 0 +5.0 +3.0
상기 조합 향료 (#2)의 관능평가 결과를 조합 향료(#1)과 비교하여 볼 때, 조합 향료(#1)은 현지 공간향에 비해 향의 강도가 세고 달콤함 정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된 것에 비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용매로 하여 제조한 조합 향료(#2)는 현지 공간향과 비슷한 정도로 평가되어 재현성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함량 변화에 따른 조합 향료의 제조 및 관능평가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용매로 하여 제조한 향료 조성물의 재현성이 우수하였기 때문에, 이후 실시예에서는 이를 용매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에서 분석된 향취 성분의 함량을 변화시켜 조합 향료(#3) 내지 조합 향료(#6)의 새로운 조합 향료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8과 같다.
성분명 조합(#2) 조합(#3) 조합(#4) 조합(#5) 조합(#6)
알파-피넨 10.1 20.2 5.0 10.1 7.0
베타-피넨 4.7 9.4 2.4 1.0 2.0
미르센 3.9 7.8 2.0 1.0 2.0
헵타날 0.6 1.2 0.3 0.03 0.05
테르피놀렌 0.3 0.6 0.2 1.0 0.3
프로피온산 0.2 0.4 0.1 0.1 0.01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80.2 60.4 90.0 86.77 88.64
총합계(중량%) 100.0 100.0 100.0 100.0 100.0
상기 조합 향료(#2) 내지 조합 향료(#6)의 향 평가를 위해 하기 표 9와 같이 강도(Strength), 재현성(Closeness), 확산성(Diffusivity) 및 선호도(Hedonics)의 항목으로 5점 평점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조향사로 구성된 향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0과 같다. 각 항목별 2.5점 이상이면 해당 항목에 대해 우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평가 항목 점수
강도: 향의 강도는 적절한가 1 ---- 2 ---- 3 ---- 4 ---- 5
(불만) (적당) (만족)
재현성: 해당 공간향을 잘 표현했는가
확산성: 향의 확산성은 좋은가
선호도: 기분 좋은 향으로 느껴지는가
강도 재현성 선호도 확산성
조합(#2) 3.25 3.50 3.50 3.25
조합(#3) 2.50 3.25 2.50 3.75
조합(#4) 2.50 3.00 3.25 3.00
조합(#5) 3.75 4.00 3.75 4.00
조합(#6) 3.75 4.50 4.00 4.00
관능 평가 결과, 조합 향료(#2) 내지 조합 향료(#6)는 모두 해당 항목에 대한 우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조합 향료(#6)의 향료 조성물은 향의 강도, 재현성, 선호도 및 확산성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알파-피넨(α-pinene) 5.0~21.0중량%, 베타-피넨(β-pinene) 1.0~10.0중량%, 미르센(myrcene) 1.0~8.0중량%, 헵타날(heptanal) O.03~1.2중량%, 테르피놀렌(terpinolene) O.2~1.0중량% 및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O.01~O.4중량%를 함유하는 백두산 들쭉나무(Vaccinium uliginosum)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매로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9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
KR1020160017091A 2016-02-15 2016-02-15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9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91A KR101692185B1 (ko) 2016-02-15 2016-02-15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PCT/KR2017/001570 WO2017142279A1 (ko) 2016-02-15 2017-02-14 지역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TW106104942A TWI656886B (zh) 2016-02-15 2017-02-15 具有似某地空間氣味之香味的香水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91A KR101692185B1 (ko) 2016-02-15 2016-02-15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185B1 true KR101692185B1 (ko) 2017-01-18

Family

ID=5799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91A KR101692185B1 (ko) 2016-02-15 2016-02-15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279A1 (ko) * 2016-02-15 2017-08-24 (주)셀트리온 지역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467A (ja) * 2003-11-20 2005-06-09 Kiyomitsu Kawasaki 茶フレーバー組成物
JP2006025706A (ja) * 2004-07-16 2006-02-02 Kiyomitsu Kawasaki ナッツ様フレーバー組成物
US20080206175A1 (en) * 2005-01-11 2008-08-28 Se Young Chung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467A (ja) * 2003-11-20 2005-06-09 Kiyomitsu Kawasaki 茶フレーバー組成物
JP2006025706A (ja) * 2004-07-16 2006-02-02 Kiyomitsu Kawasaki ナッツ様フレーバー組成物
US20080206175A1 (en) * 2005-01-11 2008-08-28 Se Young Chung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 Lebensm Unters Forsch,176권,346-349면(198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279A1 (ko) * 2016-02-15 2017-08-24 (주)셀트리온 지역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368B1 (ko)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080038813A (ko)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470887B1 (ko)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58645B1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92185B1 (ko)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6B1 (ko)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9B1 (ko) 제주도 물영아리 오름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7853B1 (ko)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7B1 (ko)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3650B1 (ko) 오얏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93375B1 (ko)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2081579B1 (ko)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7852B1 (ko) 속리산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843168B1 (ko) 제주도 동백동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5B1 (ko)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80B1 (ko)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3B1 (ko)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72B1 (ko) 함안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4B1 (ko)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71B1 (ko) 지리산 중산휴양림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70B1 (ko) 지리산 음양수샘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44487B1 (ko) 철쭉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