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375B1 -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375B1
KR101993375B1 KR1020170094058A KR20170094058A KR101993375B1 KR 101993375 B1 KR101993375 B1 KR 101993375B1 KR 1020170094058 A KR1020170094058 A KR 1020170094058A KR 20170094058 A KR20170094058 A KR 20170094058A KR 101993375 B1 KR101993375 B1 KR 10199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erfume
fragrance
weight
rose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476A (ko
Inventor
이유선
김재영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09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3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로서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로즈마리 오일 20 내지 30 중량%, 베르가못 오일 10 내지 20 중량%, 라반딘 오일 1 내지 10 중량%, 유칼립투스 오일 1 내지 5 중량%, d-리모넨 30 내지 40 중량%, 헤디온 4 내지 10 중량%, 벤질아세테이트 1 내지 8 중량%, 캄파 0.5 내지 2 중량%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HAVING THE FRAGRNACE OF FLOWER OF ROSMARINUS OFFICINALIS}
본 발명은 로즈마리 허브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에센셜오일인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 오일, 베르가못(Citrus bergamia) 오일, 라반딘(Lavandula angustifolia) 오일 및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오일과 합성향료인 d-리모넨(d-Limonene), 헤디온(Hedione),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및 캄파(Camphor)를 적절히 조합하여 뛰어난 기호성을 가지며 향의 강도 및 지속력이 우수한 로즈마리 향취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는 지중해가 원산지지만 지금은 캘리포니아, 러시아, 중동, 영국,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유고슬라비아, 모로코 등지에서도 재배된다. 로즈마리는 나뭇잎이 무성한 관목으로 2미터까지 자라며 잎은 회녹색으로 바늘 모양이며, 꽃은 옅은 푸른색을 가지고 있는 강한 아로마향을 내는 식물이다.
로즈마리는 음식, 치료제, 주술 등으로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식물 중 하나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성전에 모여 악령을 쫓고 역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로즈마리 싹을 태우기도 했다. 아로마 테라피에서는 호흡기, 순환기 장애, 간울혈, 소화기, 신경계장애, 근육통, 류머티스성 통증, 피부와 모발의 장애에 이용되어 왔으며, 영국 허브약전에 따르면 전반적인 쇠약감을 동반한 우울증과 심혈관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천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및 식품 등에서 기호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재배시기 및 환경 등에 따라 향취 및 가격이 많이 달라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천연오일의 향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일정의 천연 에센셜 오일에 합성향료를 조합하여 일정한 품질의 천연의 향취를 유지하여, 제품의 기호성을 높이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8883호에서는 춘란(Cymbidium goeringii Reichb) 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를 사용하여 로즈마리 오일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 오일, 베르가못(Citrus bergamia) 오일, 라반딘(Lavandula angustifolia) 오일 및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오일과 합성향료인 d-리모넨(d-Limonene), 헤디온(Hedione),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및 캄파(Camphor)를 일정한 비율로 조합하였을 때 뛰어난 기호성을 가지며 향의 강도 및 지속력 우수한 로즈마리 오일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로즈마리 오일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로즈마리 오일 20 내지 30 중량%, 베르가못 오일 10 내지 20 중량%, 라반딘 오일 1 내지 10 중량%, 유칼립투스 오일 1 내지 5 중량%, d-리모넨 30 내지 40 중량%, 헤디온 4 내지 10 중량%, 벤질아세테이트 1 내지 8 중량%, 캄파 0.5 내지 2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로즈마리 오일, 베르가못 오일, 라반딘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d-리모넨, 헤디온, 벤질아세테이트, 캄파를 함유한 향료 조성물로써, 이 향료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로즈마리 오일의 향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네추럴한 로즈마리와 같은 향취를 가지며 기호성이 뛰어날 뿐 만 아니라, 향의 강도 및 지속력이 우수하여 보디화장품 및 입욕제품 뿐만 아니라 방향제품, 스킨케어 제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로즈마리 오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로즈마리 오일, 베르가못 오일, 라반딘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d-리모넨, 헤디온, 벤질아세테이트, 캄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로즈마리 오일 20 내지 30 중량%, 베르가못 오일 10 내지 20 중량%, 라반딘 오일 1 내지 10 중량%, 유칼립투스 오일 1 내지 5 중량%, d-리모넨 30 내지 40 중량%, 헤디온 4 내지 10 중량%, 벤질아세테이트 1 내지 8 중량%, 캄파 0.5 내지 2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향취의 기호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제품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 오일은 지중해 연안, 이탈리아 등에서 자라는 로즈마리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 강력한 방부작용이 있으며 아로마 테라피에서는 심신의 균형을 잡아주고 진통을 해소하는 역할로 이용된다. 주성분으로 보르네올(borneol), 피넨(pinene), 1,8-시네올(1,8-cineol), 캄펜(camphene), 캄파(camphor) 등을 포함한다.
베르가못(Citrus bergamia) 오일은 적도 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베르가못에서 추출하는 오일로, 밝은 녹색을 띤 노란색 액상이며 시원한 과일향, 약간 매운 발삼의 얇은 향을 가지고 있다. 이탈리아의 최근 연구에 의하면 피부, 호흡계, 비뇨기계 감염에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요 구성성분은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리날룰(linalool), 그리고 기타 알코올, 세스퀴테르펜이다.
라반딘(Lavandula angustifolia) 오일은 프랑스 서부 산악지대가 원산지인 라반딘에서 추출하는 오일로 신선한 캄포어 탑 노트의 향을 가진 연노란 액체이다. 리나릴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30~32%), 리날룰(linalool), 시네올(cineol), 캄펜(camphene), 피넨(pinene)이 주성분이며 라벤더 오일과 유사하게 아로마 테라피에서 이용된다.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는 호주에서 자라는 키가 큰 상록수로, 여기에서 추출된 유칼립투스 오일은 호주 가정에서의 전통치료요법으로 기관지염이나 어린이 후두염과 같은 호흡기 질병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며, 말라리아, 장티푸스, 콜레라 같은 열병과 화상, 궤양 상처와 같은 피부질환에도 사용된다. 아로마 테라피에서는 화상, 근육통 및 순환장애에 이용되며 주성분은 피넨(pinene), 리모넨(limonene), 1,8-시네올(1,8-cineol)이다.
d-리모넨(d-limonene)은 아이소프렌 단위가 두 개 반복된 테르펜 중 하나이고, 오렌지향의 성분이다. 소나무와 감귤류(특히 오렌지 및 레몬의 껍질)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식물성 정유로 명칭도 레몬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 특유의 향기로 인해 향료의 원료나 방향제로 사용된다. 광학적 이성질체로 d- 및 l-리모넨이 존재한다. d-리모넨은 오렌지 등의 감귤류에 많으며 l-리모넨은 소나무과 식물에 많이 함유되어있다. 리모넨은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항유충제, 곤충 유인제, 방취제, 착취제 등의 다양한 특성을 가지며 맛을 생성하는 효과도 있다.
헤디온(hedion)은 신선함과 투명한 꽃 향을 내는 물질로 네추럴한 부드러움과 빛나는 이미지를 부여하여 다양한 향 타입에 사용되고 있다.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는 벤질 알콜과 아세트산 무수물로부터 합성한다. 밀도 1.06, 비점 215℃인 무색의 액체로서, 자스민 같은 냄새를 낸다. 천연으로는 자스민(jasmin), 치자나무(gardenia), 일랑일랑(ylang-ylang) 오일에 포함되어 있다. 자스민, 치자나무 향조의 주요성분으로 가장 값싼 공업용 냄새에서 고가의 화장품 향까지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캄파(Camphor)는 강한 방향성 냄새가 나는 고체인 지방고리모양 케톤의 일종이다. 아시아에서 발견되는 큰 상록수인 녹나무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로즈마리 오일과 같은 우수한 향취를 가지고 있으며, 강도가 강하고 지속성이 우수하여 소량만으로도 제품에 향을 부여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에멀션 등과 같은 화장품뿐만 아니라, 연고, 가용화상, 현탁액,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의 피부 외용제로도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배합량은 당 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의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 로즈마리 오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예로서 하기 표 1의 조성과 같이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함량:중량%) 제조예 1 제조예 2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로즈마리 오일 26 21 13 19 29
베르가못 오일 17 17 22 17 17
라반딘 오일 4 6 4 11 4
유칼립투스 오일 3 3 3 3 6
d-리모넨 35 38 38 35 35
헤디온 8.5 8.5 9 8.5 3
벤질아세테이트 4 4 6.7 4 3.5
캄파 1.2 1.2 3 1.2 1.2
디프로필렌글라이콜(용매) 1.3 1.3 1.3 1.3 1.3
총 합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 향수의 제조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제조예 1 내지 2와 비교제조예 1 내지 3, 그리고 천연 로즈마리 오일(타겟 에센셜 오일)의 향취를 비교하기 위하여 아래 표 2와 같이 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명(함량:중량%) 실시예 1
(향수 A)
실시예 2
(향수 B)
비교예 1
(향수 C)
비교예 2
(향수 D)
비교예 3
(향수 E)
비교예 4
(향수 F)
에탄올 76.98 76.98 76.98 76.98 76.98 76.98
유비널(Uvinul) A+B 0.02 0.02 0.02 0.02 0.02 0.02
부틸렌 글리콜 3 3 3 3 3 3
정제수 10 10 10 10 10 10
타겟 에센셜 오일 - - - - - 10
제조예 1 10 - - - - -
제조예 2 - 10 - - - -
비교제조예 1 - - 10 - - -
비교제조예 2 - - - 10 - -
비교제조예 3 - - - - 10 -
실험예 -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20 내지 50세 일반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2, 비교예 1 내지 3, 및 100%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만 함유된 향수(비교예 4)를 각각 향수 A 내지 F로 표시하여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표 3과 같이 제시하여 조사하였다. 향취 유사성 비교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고, 향 선호도(만족도)에 대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향 강도 및 지속력에 대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향수 F와 향수 A 내지 E의 향취 유사성을 비교하시오.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보통이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많이 유사하다.
2. 샘플 A 내지 E의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는
(1) 매우 불만족한다.
(2) 불만족한다.
(3) 보통이다.
(4) 만족한다.
(5) 매우 만족한다.
3. 샘플 A 내지 E의 향 강도 및 지속력이 가장 강한 샘플은?
(1) 향수 A
(2) 향수 B
(3) 향수 C
(4) 향수 D
(5) 향수 E
향취 유사성 비교 결과
향수 A 향수 B 향수 C 향수 D 향수 E
①전혀 유사하지 않다 0 1 2 2 6
②별로 유사하지 않다 2 1 2 1 4
③보통이다 1 2 3 4 3
④어느 정도 유사하다 8 6 4 6 1
⑤많이 유사하다 4 5 4 2 1
④+⑤ (%) 12(80%) 11(73%) 8(54%) 8(54%) 2(13%)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
향수 A 향수 B 향수 C 향수 D 향수 E
매우 불만족한다 0 1 2 0 2
불만족한다 1 1 3 1 3
보통이다 2 3 1 6 6
만족한다 10 8 8 6 3
매우 만족한다 2 2 1 2 1
④+⑤(%) 12(80%) 10(67%) 9(60%) 8(53%) 4(77%)
향수 A 향수 B 향수 C 향수 D 향수 E
향 강도 및 지속력 7 5 1 2 0
상기 표 4, 5 및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인을 상대로 한 관능평가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및 2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2(향수 A 및 B)가 100% 천연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향수 F)의 향취와 가장 유사하며 향 선호도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향의 강도 및 지속력은 실시예1(향수 A)이 가장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로즈마리 오일 20 내지 30 중량%, 베르가못 오일 10 내지 20 중량%, 라반딘 오일 1 내지 10 중량%, 유칼립투스 오일 1 내지 5 중량%, d-리모넨 30 내지 40 중량%, 헤디온 4 내지 10 중량%, 벤질아세테이트 1 내지 8 중량% 및 캄파 0.5 내지 2 중량%를 함유하는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70094058A 2017-07-25 2017-07-25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99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58A KR101993375B1 (ko) 2017-07-25 2017-07-25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58A KR101993375B1 (ko) 2017-07-25 2017-07-25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76A KR20190011476A (ko) 2019-02-07
KR101993375B1 true KR101993375B1 (ko) 2019-06-26

Family

ID=6536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058A KR101993375B1 (ko) 2017-07-25 2017-07-25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2754B2 (en) 2020-06-16 2023-06-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676A (ja) 2005-02-07 2006-08-17 Gyunyu Sekken Kyoshinsha Kk 入浴剤組成物
KR100843683B1 (ko) * 2007-02-06 2008-07-04 (주)휴스콘건설 공기청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676A (ko) * 1998-04-20 1999-11-15 서경배 근육피로 진정효과가 있는 천연향료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0910728B1 (ko) * 2001-08-08 2009-08-0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향료 조성물
US20050003975A1 (en) * 2003-06-18 2005-01-06 Browne Yvonne Bridget Blooming soap bars
KR101141797B1 (ko) * 2009-10-19 2012-05-04 (주)아모레퍼시픽 모던한 한방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DE102012201424A1 (de) * 2012-02-01 2013-08-01 Henkel Ag & Co. Kgaa Kombinationen aus 1-Aza-3,7-dioxabicyclo[3.3.0]octan-Verbindungen und Kieselsäureestern und ihre Verwendung als Duftstoffvorläufer
KR20160040768A (ko) * 2014-10-06 2016-04-15 송화섭 네츄럴 및 케미컬 향을 함침, 강제주입으로 향의 지속 시간을 연장한 향기 마케팅 기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676A (ja) 2005-02-07 2006-08-17 Gyunyu Sekken Kyoshinsha Kk 入浴剤組成物
KR100843683B1 (ko) * 2007-02-06 2008-07-04 (주)휴스콘건설 공기청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76A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ya et al. An introduction to patchouli (Pogostemon cablin Benth.)–A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It’s importance to mankind
Svoboda et al. Lemon scented plants
Zrira Some important aromatic and medicinal plants of Morocco
KR20160096903A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Szutt et al. Evaluation of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Derived from Different Species Leaves
KR101541818B1 (ko)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Ngan et al. Formulation of the Lemongrass (Cymbopogon citratus) essential oil-based eco-friendly diffuse solution
Contreras-Moreno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of genus Pimenta (Myrtaceae)
KR101834491B1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디퓨저 방향제 조성물
Lavania Other uses and utilization of vetiver: vetiver oil
KR102571344B1 (ko)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3375B1 (ko)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258645B1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esolowska et al. Influence of distillation time o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isolated from lavender (Lavandula angustifolia Mill.)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9981B1 (ko)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Sharma et al. Role of Essential Oil Used Pharmaceutical Cosmetic Product
KR101935252B1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KR20130053688A (ko) 한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Makeri et al. Jasmine essential oil: Production,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KR101692185B1 (ko)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Sommano et al. Aromatic profile of rhizomes from the ginger family used in food
KR20160128117A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디퓨저 방향제 조성물
KR100937340B1 (ko) 천녀목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