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355A -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355A
KR20230173355A KR1020220074020A KR20220074020A KR20230173355A KR 20230173355 A KR20230173355 A KR 20230173355A KR 1020220074020 A KR1020220074020 A KR 1020220074020A KR 20220074020 A KR20220074020 A KR 20220074020A KR 20230173355 A KR20230173355 A KR 20230173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fragrance composition
extract
weight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표현
이유석
이선경
지수현
이진우
권오도
김명석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220074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355A/ko
Publication of KR2023017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3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2Recovery or refining of essential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9/025Recovery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7Perfumes having both deodor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 comprising Agastache rugosa o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장품과 같이 유효성분을 인체 외부에서 공급해야 한다. 이에, 천연에서 추출 분리된 유효성분들을 화장품에 첨가하는 방식으로 천연소재들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화장품 및 향장품의 제조 특성상 정유나, 허브 추출물이 주로 사용되므로 향료작물 관련 시장은 결코 간과하기 어려운 큰 분야이다. 세계 향료작물 관련 시장 규모는 600억 달러로 추정되며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중화 사업으로 정착되고 지속적으로 확대 성장하고 있다(2004년, 세계향신산업 동향).
최근에는 유럽, 특히 프랑스를 중심으로 고품질의 풍부한 방향식물의 원료확보와 정유 생산 설비의 발달로 향장품 향으로 사용되는 정유를 대량생산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합성향료의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면서 천연향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천연자원에서 추출한 향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및 방향성 제품개발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국내 향료산업은 3,500억으로 추정되며 매년 6%의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향료 상품별로는 합성향료 14.8%, 천연향료 17.5%, 식품향료 28.5%, 화장품 향료 29.2%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향료 원료는95%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2006년에는 천연향료 수입량이 865톤 이었고, 매년 8%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006년, 통계청).
이에 따라, 국내 자생품종을 중심으로 한 우수 천연향료 개발과 함께 수입대체를 위한 천연향료의 상품화가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1818호(2015.07.04.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기호성이 증진된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배초향 정유 추출물은 잎, 줄기, 경엽(잎줄기)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티트리, 레몬, 라벤더, 벤조인 및 메이창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정유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배초향 정유 5~10중량%, 티트리 정유 15~25중량%, 레몬 정유 35~45중량%, 라벤더 정유 10~20중량%, 벤조인 정유 5~15중량% 및 메이창 정유 5~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저급알콜 또는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고초균(Bacillus subtili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기호성이 낮은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티트리, 레몬, 라벤더, 벤조인 및 메이창과 특정 혼합비로 혼합하여 항균 및 항산화 효과는 향상시킴과 동시에 기호성을 개선함으로서 배초향 정유의 활용 분야를 확대하고, 산업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6월에 수확한 배초향을 이용하여 추출한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8월에 수확한 배초향을 이용하여 추출한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 평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대한 향질 및 향강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도포된 마스크 패치(제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치와 관련하여 용어 "약(about)", "대략(approximately)" 또는, 적어도(at least)와 같은 유사한 표현이 사용되는 경우, 해당 수치를 기준으로 ±10%, ±7%, ±5%, ±3%, ±2%, 또는 ±1%의 이론적, 실험적, 통계적, 또는 경험칙상의 오차가 허용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초향'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을 말한다. 배초향은 동아시아 지역인 대만, 만주, 러시아 아무르 및 우수리, 일본, 중국, 베트남과 북아메리카에 여러 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역에는 1종이 분포되어 있고, 순수 토종 자생 식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향료"는 청량감을 느끼도록 사람에게 유익한 향을 제공하거나 심신 진정 효과 등 인간에게 유익한 기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호감이나 제품의 효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재료를 말한다.
일양태에서 본 발명은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초향 정유 추출물은 잎, 줄기, 경엽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정유 추출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잎 또는 경엽의 정유 추출물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파종 후 8월(개화기)에 수확한 배초향 잎의 정유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경엽"은 배초향의 "잎줄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유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배초향으로부터 향기 성분을 농축시켜 얻어진 오일상의 추출물을 말한다. 정유 추출물의 제조에는 수증기 증류법, 휘발성 용제(벤젠, 헥산 등)를 이용한 용제 추출법, 침출법(추출 대상에 상처를 내어 침출 수액을 수집하는 방법), 압착법, 초임계추출법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수증기 증류법으로 배초향의 잎 또는 경엽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였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저급알콜 또는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기호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티트리, 레몬, 라벤더, 벤조인 및 메이창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정유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티트리, 레몬, 라벤더, 벤조인 및 메이창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배초향 정유 5~10중량%, 티트리 정유 15~25중량%, 레몬 정유 35~45중량%, 라벤더 정유 10~20중량%, 벤조인 정유 5~15중량% 및 메이창 정유 5~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이외로 사용할 경우 향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향질 값(경질계와 중질계의 향기 성분 비율)이 낮게 측정되어 향의 확산 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티트리(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는 공기를 상쾌하게 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허브의 한 종류이다. 또한, 티트리는 강력한 살균 소독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여드름 완화 화장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레몬'은 브라질, 캘리포니아, 지중해 연안 등에서 얻어지는 것으로서, 시원한 향을 가지고 있어 상큼한 기분을 유지시키고 두통 해소에 도움을 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라벤더'는 꿀풀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며, 허브차, 아로마테라피, 관상용으로 이용되며, 진통, 정신 안정, 방충 및 살균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라벤더의 다양한 부위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라벤더 꽃을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벤조인(Styrax benzoin)'은 자바, 수마트라, 타이 등에서 생산되고, 바닐라처럼 달콤한 향을 가지고 있어 신경계에 진정 작용을 발휘,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숙면에도 도움을 주는 향으로 알려져 있어 ‘안식향(安息香)’이라고도 불린다. 벤조인은 수지 상태이기 때문에 향료로 사용하기 위해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등의 용매에 희석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이창'은 녹나무과(Lauraceae)로 동아시아에서 자라는 작고 향기나는 열대성 수목을 의미하며, 메이창이란 이름 대신에 리세아쿠베바(Litsea cubeba)는 학명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고초균(Bacillus subtili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과 같이 생활 용품, 피부 등에 상재하며, 일상 생활에서 수시로 접촉하게 되는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향료 조성물이 포함된 배초향 정유 추출물은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활성산소의 생산을 억제하여, 피부 노화를 예방하고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은 인간 및 동물의 피부, 모발을 포함하는 신체에 적용 되는 화장품, 헤어 케어 제품, 세면용품,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 개인 위생 및 클렌징 제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향료가 투입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퍼스널 케어 제품은 데오도런트, 발한억제제, 스프레이, 스틱 및 롤-온 제품, 쉐이빙제, 스킨로션, 모이스쳐라이져, 토너, 목욕제, 클렌징제, 샴푸, 컨디셔너, 조합된 샴푸/컨디셔너, 무스, 스타일링 겔, 헤어스프레이 및 로션, 썬스크린, 립스틱,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블러쉬, 메이크업, 모이스쳐라이징 조제, 바디 및 핸드 조제, 스킨케어 조제, 페이스 및 넥 조제, 토닉, 드레싱, 헤어 그루밍 에이드, 에어로졸 픽사티브, 향 조제, 애프터쉐이브, 메이크-업 조제, 마스크 패치, 베이비로션, 베이비 배스 및 샴푸, 베이비 컨디셔너, 스킨 패드, 메이크업 리무버, 페이셜 클렌징제, 페이스트 마스크 및 머드, 페이스 마스크, 콜로뉴 및 화장수, 샤워겔, 샤워 코롱, 페이스 및 바디 워시, 퍼스널 케어 린스-오프제, 겔, 스크러빙 클렌저 또는 아이용 파우더, 립밤, 립글로스, 헤어케어 펌프 스프레이 및 기타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무수크림 및 로션, 유/수형, 수/유형, 멀티플 매크로 및 마이크로 에멀젼, 내수성 크림 및 로션, 여드름피부용 조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예로 마스크 패치는 마스크 패치에 향료 조성물을 붓 또는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50~150 uL 도포되게 제조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및 로션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퍼스널 케어 제품 중 화장품의 하나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향수 및 미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 이외에 각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한 부형제 또는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형제 또는 첨가제는 정제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안료, 색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실리콘,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제, 산성화제, 착색제, 농화제, 피부컨디셔닝제, 미백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보습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은 부엌 및 욕실에서와 같이 표면 세정 또는 위생 상태 유지를 위해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제품, 섬유 케어 및 세정 등과 같은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 방향 화합물을 발산해 악취를 제거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향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방향제품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향료가 투입되는 홈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 케어 제품은 세탁 세제, 세탁 세제 첨가제, 섬유 유연제, 주방세제, 탈취제 및 방향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재료의 준비
2020. 6월과 8월에 수확한 배초향은 전남 광양의 삼무루지새싹삼을 통해 입수하였다.
티트리, 레몬, 라벤더, 벤조인 및 메이창 정유는 비엔바이오(전남 나주)를 통해 입수하였다.
고초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및 대장균은 (사)한국종균협회 부설 한국미생물보존센터를 통해 입수하였다.
2. 정유 추출물 제조
배초향 정유 추출물 제조
준비한 배초향 경엽 30kg과 물 300L를 정유추출장치(방향성 정유 물수증기 증류장치, Thinktop R&D)에 넣고 정유추출관과 냉각관을 증류농축기에 연결한 상태에서 약 80~100℃에서 약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증기를 증류농축기 내부의 냉각관을 통해 냉각시켜 추출된 배초향 정유가 혼합되어 있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추출 용액을 분별깔때기에 넣고 정유층(상부)과 물층(하부)의 용액이 분리될 때까지 정치 시킨 후, 분별깔때기 코크를 열어 물과 배초향 정유를 분리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3. 향료 제조
각각의 원료를 표 1에 나타낸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테스트에 사용하였다.
구분
원료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실시예 비교예7
배초향 10 10 10 10 5 5 5 5
티트리 10 - 20 - 12.5 2.5 20 10
레몬 40 40 - 30 40 40 40 30
페퍼민트 20 10 70 - 20 10 - 20
라벤더 20 - - - 20 - 20 -
그레이프
프루츠
- 10 - 20 - 10 - -
벤조인 - 10 - 10 - 10 10 -
버가못 - 10 - 10 - - - -
오렌지 - - - 20 - - - -
메이창 - - - - 2.5 2.5 5 -
스피아민트 - 10 - - - 20 - 35
<시험예>
1. 배초향의 특성 분석
원재료인 배초향의 수분함량 및 향취 특성을 분석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분석방법: 수분함량은 시료 2g을 적외선수분측정기(MS-70, AND, Japan)의 수기에 넣고 측정하였으며, 향강도 및 향질은 시료 1g을 향기봉투에 넣은 후 30분간 향이 확산될 수 있도록 방치한 다음 향강도측정기(Integral-Ⅱ, Enose instruments,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원료명 수확시기
(월. 일.)
시험 부위 수분 함량(%) 향 강도
(A.U./g)
향 질
배초향 6. 30. 경엽 83.81±1.94ab 385d 37d
줄기 85.19±3.06a 261e 25e
81.88±2.99b 496c 44c
8. 20. 경엽 75.09±1.40c 878b 49b
줄기 71.76±1.22d 536c 38d
77.10±2.24c 1,178a 54a
표2를 참조하면, 대체적으로 6월에 수확한 배초향 보다는 8월에 수확한 배초향 정유의 향강도 및 향질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엽 및 줄기에 비하여 잎의 향강도 및 향질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특성 분석
1) 배초향 정유 수율 분석
배초향 수확시기, 추출부위별 정유 추출 수율을 분석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배초향 5kg과 증류수 30L를 증류추출기(방향성물수증기증류장치, 주문제작품)에 넣고 90~100℃에서 24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된 정유의 양을 측정하여 수율을 나타냈다.
수확시기
(월. 일.)
시험 부위 단위 정유 생산량(㎖/㎏)
6. 30. 경엽 2.02±0.54b
줄기 0c
2.77±0.07b
8. 20. 경엽 2.79±0.73b
줄기 0.11±0.06c
4.53±0.97a
표 3을 참조하면, 6월 및 8월에 수확한 배초향 잎 및 경엽이 정유 생산량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8월에 수확된 배초향 잎의 정유 생산량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배초향 정유 추출물 향강도 및 향질 분석
배초향 수확시기 및 추출부위에 따른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향강도 및 향질을 분석하여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향강도 및 향질은 시료 1uL를 냄새봉투에 넣고 30분간 향을 확산시킨 후 향강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6.30 8.20
경엽 줄기 경엽 줄기
배초향 정유 추출물 1,546a - 1,649a 1,568a 1,599a 1,639a
구분 6.30 8.20
경엽 줄기 경엽 줄기
배초향 정유 추출물 61b - 60c 60c 60bc 62a
표 4 및 5를 참조하면, 배초향의 경엽 또는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향질 및 향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8월에 수확한 배초향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향강도 및 향질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배초향 수확시기 및 추출부위에 따른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은 Folin-Denies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료 0.5g에 메탄올 25㎖를 넣고, 12시간 이상 교반 및 혼합 후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여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시험액 0.2㎖에 diethylene glycol 2㎖, 2N-NaOH 0.2㎖를 가한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곡선에 대입하였다.
구분 수확시기
(월. 일.)
시험 부위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정유 6. 30. 경엽 78.9±14.6b 249±6.5c
107±16.3a 243±9.4c
8. 20. 경엽 96.7±10.4ab 293±14.5b
110±19.4a 319±24.4a
표 6을 참조하면, 배초향의 경엽 및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가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8월에 수확한 배초향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가 가자 높은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향기 성분 분석
추출부위에 따른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향기성분 분석은 GC-MS(7890B,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Column은 DB-WAX(300m × 0.25mm × 0.25㎛)를 사용하였고, SPME fiber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을 흡착하여 분석했다. split ratio는 100:1, 오븐 온도는 40℃(10min)→10℃/min→90℃(5min)→10℃/min→220℃(5min)로 변화시켰으며, 검출기는 FI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경엽(%) 잎(%)
6. 30. 8. 20. 6. 30. 8. 20.
Ethanol 10.33 7.43 7.27 16.88
β-thujene 0.43
D-Limonene 13.93 12.98 13.67 10.66
γ-terpiniene 0.30 0.27
Cymene 0.28
1-octen-3-yl acetate 0.59 0.95 0.53 0.80
β-caryophyllene 4.50 4.34 4.83 2.92
Estragole 68.05 72.14 71.77 68.05
(-)-α-Amorphene 0.044 0.07
viridiflorene 0.036 0.05
(E)-germacrene D 0.74 1.16 0.72 0.35
(±)-Lepidozene 0.60 0.73 0.56 0.22
δ-cadinene 0.18 0.28 0.26 0.13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thanol은 경엽 추출물보다 잎추출물에서 더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D-Limonene은 입줄기에서 더 많이 함유되어 있고, Estragole은 잎 및 경엽 모두에서 함유량 차이가 크지 않았다. 또한, ethanol 및 D-Limonene은 수확시기별 및 추출부위별로 함유량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항균 효과 분석
수확시기 및 추출부위별 배초향 정유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분석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항균효과는 4종의 균을 배양한 다음 배초향 정유 추출물 20uL를 접종하였을 때 각 균주가 억제되는 부분의 직경을 측정하여 나타냈다.
구분 6. 30. 8. 20.
경엽(mm) 잎(mm) 경엽(mm) 잎(mm)
Bacillus subtilis 13.07 14.20 10.68 14.05
Staphylococcus aureus 23.56 23.10 측정불가 측정불가
Pseudomonas aeruginosa 8.11 11.38 N.D. N.D.
Escherichia coli 14.24 16.33 9.62 14.24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초향 정유 추출물은 모두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8월에 수확한 배초향으로부터 추출된 정유가 6월에 수확한 배초향 보다 더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경엽 정유 추출물 보다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 추출물이 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향료의 관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향료 조성물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고 표 9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관능평가는 훈련된 실험실 패널 8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처리구별로 달콤함, 상큼함, 상쾌함 및 기호도를 7점 척도법으로 조사하였다.
구분 관능평가(7점 척도법)
달콤함 상큼함 상쾌함 전체적 기호도
비교예 1 3.75 3.88 3.88 5.00
비교예 2 3.75 4.75 5.00 5.25
비교예 3 3.25 4.50 5.75 4.38
비교예 4 5.63 3.50 3.75 5.25
비교예 5 3.25 3.38 5.50 4.25
비교예 6 4.13 3.38 5.75 5.38
실시예 4.25 4.25 4.88 6.25
비교예 7 4.00 3.38 5.75 5.50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초향, 티트리, 레몬, 라벤더, 벤조인 및 라벤더를 특정혼합비로 포함하는 실시예의 뛰어난 기호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5의 경우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티트리의 함량이 낮아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3의 경우 페퍼민트의 함량이 너무 높아 향료의 향 벨런스가 좋지 못하여 기호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즉, 본 발명은 기호성이 낮은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티트리, 레몬, 라벤더, 벤조인 및 메이창과 특정 혼합비로 혼합하여 항균 및 항산화 효과는 향상시키고, 기호성이 개선된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4. 향료의 향강도 및 향질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향료 조성물의 향질 및 향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향질, 향강도는 각 향료 1uL를 향기봉투에 주입 후 30분동안 방치하여 향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한 후 향강도측정기(Integral-Ⅱ, e-nose instruments,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실시예 비교예 7
향질 54.2±2.2f1) 55.7±1.2de 56.6±1.0cd 57.1±0.8bc 56.3±0.7cd 55.0±0.9ef 58.4±0.5a 58.0±0.7ab
향강도
(A.U./uL)
1188f 1501c 1165f 729g 1371d 1260e 1796a 1629b
표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7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의 향질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향강도는 비교예 4 보다 2배 이상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향지속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배초향(Agastache rugosa)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배초향 정유 추출물은 잎, 줄기, 경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향료 조성물은 티트리, 레몬, 라벤더, 벤조인 및 메이창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정유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배초향 정유 5~10중량%, 티트리 정유 15~25중량%, 레몬 정유 35~45중량%, 라벤더 정유 10~20중량%, 벤조인 정유 5~15중량% 및 메이창 정유 5~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저급알콜 또는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향료 조성물은 고초균(Bacillus subtili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8. 제1항의 향료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
  9. 제1항의 향료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제1항의 향료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케어 제품.
KR1020220074020A 2022-06-17 2022-06-17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20230173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20A KR20230173355A (ko) 2022-06-17 2022-06-17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20A KR20230173355A (ko) 2022-06-17 2022-06-17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355A true KR20230173355A (ko) 2023-12-27

Family

ID=8937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020A KR20230173355A (ko) 2022-06-17 2022-06-17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3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818B1 (ko) 2013-11-20 2015-08-04 전라남도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818B1 (ko) 2013-11-20 2015-08-04 전라남도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58272A2 (en) Cosmetics extracts obtainable from apiceae vegetables and especially from carrot taproots
JP5716385B2 (ja) 3,5−ジヒドロキシ−2−メンテニルスチルベン、それを含む植物抽出物、及びその採取方法とその応用
KR101796154B1 (ko) 프리지아 샤이니 골드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519234B1 (ko) 울금 및 동백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101729920B1 (ko) 천연 정유 및 천연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 세럼 조성물
KR20230173355A (ko)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101159265B1 (ko) 제주 천연 감귤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14066B1 (ko) 황금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73806B1 (ko)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스크럽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7909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KR20170110902A (ko) 향료 조성물
KR102517640B1 (ko) 때죽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81063B1 (ko)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4660088B2 (ja) 防臭剤、および該防臭剤を含む防臭用組成物、化粧料組成物、洗浄用組成物
KR102530592B1 (ko)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99789B1 (ko) 라벤더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20067218A (ko) 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의집중력 증진용 조성물
KR102201195B1 (ko) 향료 조성물
KR101428370B1 (ko) 네롤리 향취를 재현한 천연향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화장료조성물
KR102309551B1 (ko)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바디스크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446676B1 (en) Aroma composition
KR102512854B1 (ko) 홍화꽃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30092511A (ko) 백차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17043568A (ja) イソ吉草酸アルデヒドの生成抑制剤および生成抑制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