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600A -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600A
KR20240062600A KR1020220144309A KR20220144309A KR20240062600A KR 20240062600 A KR20240062600 A KR 20240062600A KR 1020220144309 A KR1020220144309 A KR 1020220144309A KR 20220144309 A KR20220144309 A KR 20220144309A KR 20240062600 A KR20240062600 A KR 2024006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leungdo
weight
fragrance
junip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라
고은성
장윤미
이은혜
최원진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600A/ko
Publication of KR2024006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4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six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은, 알파-세드렌(alpha-Cedrene), 알파-세드롤(alpha-Cedrol), 감마-무로렌(gamma-Muurolene), 위드렌(Widdrene) 및 위드롤(Widdr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JUNIPERUS CHINENSIS IN ULLEUNGDO}
본 발명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울릉도에서 자라는 향나무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울릉도 향나무만의 고유의 향기를 재현하고 향기의 기호성을 향상시킨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향나무(Juniperus Chinensis)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서, 한국, 몽골, 중국, 일본 등 북동아시아와 러시아의 남동부에서 자랄 수 있다. 향나무 중에서도 울릉도에서 자라는 향나무는, 자연 환경이 척박한 바닷가 바위 틈에서 살아남은 나무이기 때문에, 육지에서 자라는 향나무보다 향이 진하고 울릉도 향나무만의 고유하고 신비로운 특유의 향취를 발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울릉도 향나무의 향기를 재현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울릉도의 향나무의 경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어 임의로 채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울릉도 향나무의 향기를 재현하기 위하여 자연사한 울릉도 향나무를 활용하는 방법이 대두되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화정유(Absolute) 형태로 제조하거나, 수증기증류법을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정유(Essential oil)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식물체의 대사 산물 또는 식물 조직의 성분들이 향기 성분과 함께 추출되거나, 일부 향기 성분이 파괴되어 다른 성분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또한, 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식물이 가진 본래의 향기와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헤드 스페이스(headspace)법과 SPME(solid phase micro extraction)법을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분석하여 식물의 향기를 재현하는 방법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분석된 향취 성분을 그대로 조합할 경우, 향취의 유사성이 높지 않고, 조성물의 향의 강도가 너무 높거나, 피부 자극, 알러지 등을 일으키는 성분이 과도하게 함유될 수도 있으며, 향기의 기호성이 낮아 사용자로부터 선호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자연의 울릉도 향나무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울릉도 향나무만의 고유하고 신비로운 향취를 재현하고 향기의 기호성을 향상시킨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은, 알파-세드렌(alpha-Cedrene), 알파-세드롤(alpha-Cedrol), 감마-무로렌(gamma-Muurolene), 위드렌(Widdrene) 및 위드롤(Widdr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5 중량%의 알파-세드렌, 10 내지 30 중량%의 알파-세드롤, 5 내지 25 중량%의 감마-무로렌, 0.1 내지 15 중량%의 위드렌 및 0.1 내지 15 중량%의 위드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은, 에스트라골(Estragole), 리날룰(Linalool), 헥실알코올(Hexyl Alcoh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D-리모넨(D-Limonene), 수퍼산톨(Supersantol), L-보르네올(L-Borneol), 베타-비사볼렌(beta-Bisabolene) 및 감마-카디넨(gamma-Cadin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의 에스트라골, 0.1 내지 10 중량%의 리날룰, 0.1 내지 5 중량%의 헥실알코올, 0.1 내지 5 중량%의 벤질알코올, 0.1 내지 5 중량%의 D-리모넨, 0.1 내지 5 중량%의 수퍼산톨, 0.01 내지 5 중량%의 L-보르네올, 0.01 내지 5 중량%의 베타-비사볼렌 및 0.01 내지 5 중량%의 감마-카디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샌델라(Sandela), 샌다롤(Sandalore) 및 에바놀(Eban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2 중량%의 샌델라, 0.01 내지 5 중량%의 샌다롤 및 0.01 내지 1.5 중량%의 에바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연의 울릉도 향나무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울릉도 향나무만의 고유하고 신비로운 특유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스페이스법에 의해 분석된 울릉도 향나무의 성분을 기초로 향취 성분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울릉도 향나무의 고유의 향취와의 유사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뛰어난 향기의 기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자연의 울릉도 향나무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울릉도 향나무만의 고유하고 신비로운 특유의 향취를 재현하고 향기의 기호성을 향상시킨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울릉도에서 자라는 향나무가 육지에서 자라는 향나무에 비하여 향이 진하고 울릉도 향나무만의 고유하고 신비로운 특유의 향취를 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헤드 스페이스법을 통해 울릉도 향나무와 육지에서 자라는 향나무의 분석된 향 물질을 각각 비교해 본 결과, 서로 다른 향 물질이 분석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울릉도에서 자란 향나무만의 고유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은 헤드 스페이스(headspace)법을 통해서 분석된 향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스페이스법'은, 헤드 스페이스 바이얼에 준비된 시료를 별도의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as Chromatograph-Mass spectrophotometry, GC-MS)를 통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정량 분석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헤드 스페이스의 시료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로 분리한 후, 유입되는 물질의 원자량을 측정함으로써(MS), 시료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헤드 스페이스법에 의해 분석된 향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유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은, 알파-세드렌(alpha-Cedrene), 알파-세드롤(alpha-Cedrol), 감마-무로렌(gamma-Muurolene), 위드렌(Widdrene) 및 위드롤(Widdr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알파-세드렌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알파-세드롤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감마-무로렌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위드렌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위드롤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알파-세드렌, 알파-세드롤, 감마-무로렌, 위드렌 및 위드롤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향의 재현성이 우수하고, 향의 강도가 적절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은, 에스트라골(Estragole), 리날룰(Linalool), 헥실알코올(Hexyl Alcoh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D-리모넨(D-Limonene), 수퍼산톨(Supersantol), L-보르네올(L-Borneol), 베타-비사볼렌(beta-Bisabolene) 및 감마-카디넨(gamma-Cadin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에스트라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리날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헥실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벤질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D-리모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수퍼산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L-보르네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베타-비사볼렌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감마-카디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에스트라골, 리날룰, 헥실알코올, 벤질알코올, D-리모넨, 수퍼산톨, L-보르네올, 베타-비사볼렌 및 감마-카디넨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유사성을 향상시키고, 향기의 기호성을 극대화시켰다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샌델라(Sandela), 샌다롤(Sandalore) 및 에바놀(Eban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스페이스법을 통해서 분석된 향 물질만을 단순하게 조합할 경우, 향의 유사성이 높지 않고, 향의 강도가 너무 높거나, 피부 자극, 알러지 등을 일으키는 성분이 과도하게 함유될 수도 있으며, 향기의 기호성이 낮아 사용자로부터 선호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울릉도 향나무의 특유의 향취를 보완하기 위하여 발사믹(Balsamic)한 뉘앙스(nuance)를 갖는 샌델라를 추가하고, 향취, 향취의 강도 및 잔향 보강을 위하여 우디(Woody)한 뉘앙스를 갖는 샌다롤 및 에바놀을 추가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자는, 인공적인 느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샌델라, 샌도롤 및 에바놀의 성분의 함량을 적절하게 조정하였다.
실시예에 따라, 샌델라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05 내지 0.7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샌다롤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에바놀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05 내지 1.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헤드 스페이스법을 통해서 분석된 향 물질을 단순히 조합한 것이 아니라 성분들의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새로운 성분으로 샌델라, 샌도롤 및 에바놀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함으로써 울릉도 향나무만의 고유의 향취를 재현시킴과 동시에, 기호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대해 울릉도 향나무와의 향취 유사성과 기호성에 대해서 관능 평가를 시행한 결과, 상기 구성 및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에 유사성과 기호성이 모두 가장 높은 결과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관능 평가에 대해서는 실험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퍼스널 케어 제품, 홈 케어 제품 및 방향제 제품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울릉도 향나무만의 고유의 차별화된 향취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외용제 중에서도 피부 외용에 작용하는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의약품, 의약외품 등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05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은, 미용, 피부 관리 등을 위하여 피부, 모발, 두피 등의 신체에 적용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기초 제품, 메이크업 제품 등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세럼, 에센스, 스킨, 로션, 향수, 바디오일, 바디로션, 파운데이션, 립밤, 립글로스, 블러셔, 쉐이딩, 하이라이터, 선스틱,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팩트, 페이스 파우더,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마스카라, 컨실러 및 스킨커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퍼스널 케어 제품은, 피부 진정, 개인 위생 등을 위하여 인간 또는 동물의 피부, 모발, 두피 및 손톱을 포함하는 신체에 적용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헤어 케어 제품, 세면용품,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 뷰티 보조용품, 방충제, 개인 위생, 클렌징 등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퍼스널 케어 제품은, 데오도런트, 발한 억제제, 스프레이, 쉐이빙제, 로션, 모이스쳐라이져, 토너, 목욕제, 클렌징제, 샴푸, 린스, 컨디셔너, 무스, 스타일링 겔, 헤어스프레이, 모발염색제, 모발색제, 모발표백제, 리무버, 네일 크림, 각질 연화제, 썬스크린, 방충제, 노화방지제, 비누, 핸드 리퀴드, 퍼스널 케어용 부직포 용품, 메이크업 리무버, 페이셜 클렌징제, 콜드크림, 페이스 마스크, 콜로뉴, 화장수, 헤어 큐티클 코트, 샤워겔, 바디 워시, 스크러빙 클렌저, 네일 컨디셔너, 여드름피부용 조제, 구강세척제, 마사지 오일, 치약, 연고 베이스, 국부 상처 치유제, 미스트, 제모제, 퍼스널 케어 윤활제 및 네일 착색 조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퍼스널 케어 제품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품의 총 중량 대비 3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홈 케어 제품은, 위생 상태, 악취 제거, 세정 등을 위하여 가정, 사무소, 음식점 등의 실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부엌 및 욕실에서와 같이 표면 세정 또는 위생 상태 유지를 위해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제품, 섬유 케어 및 세정 등과 같은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홈 케어 제품은, 경질 표면 클리너, 수동 및 자동 접시 케어, 변기 클리너 및 소독제, 욕조 및 타일 클리너, 배수구 클리너, 카페트 클리너, 주방세제, 세제, 세탁 세제 첨가제, 섬유유연제, 전처리 얼룩 제거제, 광택제, 애벌 빨래 스파터(prewash spotter), 녹 얼룩 클리너, 스케일 제거제, 김서림 방지제 또는 탈취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홈 케어 제품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품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방향제 제품은, 방향 화합물을 발산해 악취를 제거하는 제품, 경우에 따라서는 향수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제 제품은, 스틱형 방향제(디퓨저), 비치형 방향제, 스프레이형 방향제, 자동분사형 방향제, 고체형 방향제 및 가열형 방향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방향제 또는 향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방향제 제품은,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품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품에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울릉도 향나무 고유의 차별화된 향취 및 사용자의 기호성이 높은 향취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실험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제조예 1의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 평가
(1) 헤드 스페이스법을 통한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 분석
자연의 울릉도 향나무를 훼손하지 않고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헤드 스페이스법을 이용하여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밀폐 용기에 울릉도 향나무를 넣고, 1시간 동안 울릉도 향나무의 향 물질을 포집한 뒤, GC 기기에 주입하여 GC-MS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울릉도 향나무의 향 물질이 도출되었다.
(2) 제조예 1: 분석 결과를 기초로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헤드 스페이스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을 토대로 제조하되, 기타 성분을 용매로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제조예 1의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 평가 및 분석 결과
상기 제조예 1의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과 천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25 내지 50세의 일반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살아있는 울릉도 향나무와 제조예 1의 향료 조성물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2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상기 설문지에 대한 결과를 기초로, 제조예 1의 향료 조성물에 대한 실제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울릉도 향나무만의 고유의 향취와 유사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선호되지 않는 향취가 과도하게 발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취의 기호성, 향취의 강도 및 잔향의 보강을 위하여 샌델라, 샌다롤 및 에바놀 중 1종 이상을 추가하기로 하였다.
실험예 2: 제조예 2 내지 4의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 평가
(1) 제조예 2 내지 4: 실험예 1을 기초로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1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기 표 4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예 2 내지 4의 본 발명에 따른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4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2의 향료 조성물은, 제조예 1의 향료 조성물에서 울릉도 향나무의 특유의 향취 재현을 위하여 발사믹한 느낌을 부여하는 샌델라를 추가한 조성물이고, 제조예 3의 향료 조성물은, 제조예 2의 향료 조성물에서 향취 및 잔향 보강을 위하여 우디한 느낌을 부여하는 샌다롤을 추가한 조성물이며, 제조예 4의 향료 조성물은, 제조예 3의 향료 조성물에서 향 전체의 강도 및 잔향을 보강하기 위하여 우디한 느낌을 부여하는 에바놀을 추가한 조성물이다.
또한, 각각의 향료 조성물에서는, 인위적인 느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샌델라의 함량이 1.2 중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샌다롤의 함량이 5 중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에바놀이 1.5 중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하였다.
(2) 제조예 2 내지 4의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 평가
상기 제조예 2 내지 4의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과 천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제조예 2 내지 4의 향료 조성물에 대한 실제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다.
실험 결과, 샌델라만을 포함하는 제조예 2의 경우, 제조예 1에 비하여 향기의 기호성 및 유사성이 향상되었고, 샌델라 및 샌다롤을 포함하는 제조예 3의 경우, 제조예 2에 비하여 향기의 기호성 및 유사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샌델라, 샌다롤 및 에바놀을 모두 포함하는 제조예 4의 경우, 제조예 3에 비하여 향기의 기호성 및 유사성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로서,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은, 알파-세드렌(alpha-Cedrene), 알파-세드롤(alpha-Cedrol), 감마-무로렌(gamma-Muurolene), 위드렌(Widdrene) 및 위드롤(Widdr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5 중량%의 알파-세드렌, 10 내지 30 중량%의 알파-세드롤, 5 내지 25 중량%의 감마-무로렌, 0.1 내지 15 중량%의 위드렌 및 0.1 내지 15 중량%의 위드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 성분은, 에스트라골(Estragole), 리날룰(Linalool), 헥실알코올(Hexyl Alcoh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D-리모넨(D-Limonene), 수퍼산톨(Supersantol), L-보르네올(L-Borneol), 베타-비사볼렌(beta-Bisabolene) 및 감마-카디넨(gamma-Cadin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의 에스트라골, 0.1 내지 10 중량%의 리날룰, 0.1 내지 5 중량%의 헥실알코올, 0.1 내지 5 중량%의 벤질알코올, 0.1 내지 5 중량%의 D-리모넨, 0.1 내지 5 중량%의 수퍼산톨, 0.01 내지 5 중량%의 L-보르네올, 0.01 내지 5 중량%의 베타-비사볼렌 및 0.01 내지 5 중량%의 감마-카디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샌델라(Sandela), 샌다롤(Sandalore) 및 에바놀(Eban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2 중량%의 샌델라, 0.01 내지 5 중량%의 샌다롤 및 0.01 내지 1.5 중량%의 에바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44309A 2022-11-02 2022-11-02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40062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309A KR20240062600A (ko) 2022-11-02 2022-11-02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309A KR20240062600A (ko) 2022-11-02 2022-11-02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600A true KR20240062600A (ko) 2024-05-09

Family

ID=9107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309A KR20240062600A (ko) 2022-11-02 2022-11-02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6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60375A (zh) 含有环戊-2-烯基乙酸乙酯的香料混合物
CN111263838A (zh) 异味抑制用香料组合物
IL275230B2 (en) Aldehydic odorant
KR102579977B1 (ko) 등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66256B1 (ko)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40062600A (ko) 울릉도 향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67074B1 (ko)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89696B1 (ko)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JP2022068828A (ja) 香料の残香性評価方法、残香性付与剤及び残香性改良方法
KR20240059183A (ko) 야래향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1668B1 (ko) 섬말나리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66517B1 (ko)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KR20240085930A (ko) 당근씨 오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28986B1 (ko) 나도풍란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81063B1 (ko)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6840168B2 (ja) 香料組成物
US20120107259A1 (en) Method to improve skin and hair fragrance retention from personal care compositions
KR102599789B1 (ko) 라벤더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62427B1 (ko) 생분해성 향료 조성물
JP7492638B1 (ja) 香料組成物、及び化粧品
KR102530592B1 (ko)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77624B1 (ko) 셀로지네 니티다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1669B1 (ko) 길마가지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30101206A (ko) 쥐똥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24078395A (ja) 香料組成物、化粧品、及び香料組成物用モジュール成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