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919B1 -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919B1
KR102397919B1 KR1020210101354A KR20210101354A KR102397919B1 KR 102397919 B1 KR102397919 B1 KR 102397919B1 KR 1020210101354 A KR1020210101354 A KR 1020210101354A KR 20210101354 A KR20210101354 A KR 20210101354A KR 102397919 B1 KR102397919 B1 KR 10239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alcohol
composition
lacton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893A (ko
Inventor
김후덕
하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1009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류 향료, 락톤류 향료,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또는 인체와 접하는 의류,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이취, 불쾌취를 억제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일코올류 향료, 락톤류 향료를 단독으로 또는 둘을 혼합 적용함으로써 종래 향료 보다 이취 대한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단조로운 향조를 벗어나 고급스러우며 방향성이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Description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 FOR MASKING OR DEODORIZING MAL-ODOR}
본 발명은 알코올류 향료, 락톤류 향료,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의류 등 직물에서 유래되는 이취 등 불쾌취를 마스킹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용품, 화장품은 청결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 기능과 효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원료와 소재를 배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워시-오프(Wash-off) 제품의 경우 다양한 세정력을 나타내는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오염에 의한 이취원을 제거한다. 또한 제품의 기능과 특징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부가원료를 첨가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취는 아주 작은 정도라도 제품의 중요한 하자로 인식되기 때문에 개선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또한, 제품에 의한 이취, 불쾌취의 제거 정도는 직접적으로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고 사용 후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낮추는 역효과가 있어 많은 기업에서 제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이취, 불쾌취를 낮추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부향율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부향율은 제품의 안정성과 경시에 따른 변취 유발 가능성이 높고 제품의 원가를 높이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향의 발향 특성을 활용하여 이취를 제어하는 것이다. 잔향을 증대시켜 이취를 마스킹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잔향성을 높이는 다른 방법으로는 끓는점이 250 ℃이상인 원료와 용해도를 나타내는 ClogP가 3 이상인 원료의 비율이 높은 향료를 사용하는 것이다(미국 특허 제6,086,903호). 향료가 휘발되어 느껴지는 것이 증기압에 의한 특징인데, 이러한 증기압(vapor pressure)은 물질의 끓는점(boiling point)과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향료의 끓는점이 높을수록 잔향이 증가되는 특성이 있다. 반면 끓는점이 낮아 휘발도가 높은 향료물질은 강하고 쉽게 휘발되는 특징이 있어 순간적인 이취 마스킹은 가능하나 제품 사용 후 또는 보관 중에 느껴지는 이취의 마스킹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한 한계가 있다. 또한 향의 특징이 단순하여 향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우수한 감성품질 구현 및 차별화에 한계가 있다.
이처럼 향이 소비자의 감성품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로, 여러 경로로 발생하는 이취 또는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원하는 향취와 강도를 모두 얻기는 매우 어려워 현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서 발생하고 의류 등에 축적되는 이취, 불쾌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향료 성분들 가운데 이취를 효과적으로 마스킹하는 향료의 최적 조합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알코올류 또는 락톤류 향료를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경우 이취가 마스킹되며 단조로운 향에서 벗어나 고급스러운 향의 감성품질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알코올류 향료는 종래 향에 의한 마스킹의 목적으로 적용된 향료가 가지는 단조로운 향취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향기 계열로 구성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알코올 계열의 향이 가장 우수한 마스킹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알코올 계열의 향에 락톤 계열의 향이 더해질 때 더욱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여, 이를 활용한 향료 조성물,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류 향료, 락톤류 향료,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알코올류 향료, 락톤류 향료,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알코올류 향료, 락톤류 향료,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취"는 식품성분의 화학적 변화, 외부로부터 혼입에 의해 제2차적으로 생긴 이취, 변질취, 불쾌취, 악변취를 말한다. 다른 물질의 혼입에 의한 오염취, 선도 저하취, 산패취, 산화취, 일광취, 가열취는 모두 이취에 포함될 수 있다. 오염에 의한 이취로서 습한 지하실의 곰팡이취, 오래 방치한 젖은 빨래의 불쾌취 등에서 나타난다. 메틸옥시드가 주역으로 황화수소와 반응하여 4-메틸-4-메르캅토펜탄­2-온이 생성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육류, 유제품, 과일, 생선식료품 등에 나타나고 있다. 생선가루와 어유를 함유하는 사료로 사육한 새의 고기를 조리하면 생선 냄새가 나고, 도살 후 뼈를 빼지 않고 방치한 고기를 조리하면 장기 냄새의 이취를 발생한다. 유지 이취의 하나로서 변향이 있다. 대두유, 옥수수유 등을 저장하면 산패보다도 초기 단계에 풋내, 비린내가 생긴다. 이것이 변향의 본체로서 시스 3-헥세날, 기타 2-펜틸 퓨란이 알려졌다. 닭 튀김, 감자 튀김 의 산패 이취로서 헥사날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산화적 향미 악변의 지표가 되어 있다. 우유에는 지방산화에 의한 산화취와 유단백질에 연유되는 일광취라는 2개의 이취가 있다. 우유를 일광에 쪼이면 삶은 양배추, 모발이 눌었을 때의 불쾌취를 발생한다. 이것이 일광취로 메티오닌과 리보플라빈의 반응에 의해서 생긴다. 맥주를 양지에 놓아두면 여우 뇨 냄새 같은 이취를 발생한다. 이것은 호프의 주성분인 휴물론이 가열에 의해 이소휴물론이 되고 그 일부가 일광에 의해 프레닐머캅톤으로 변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취를 일으키는 이취원으로 아이소뷰틱산(isobutyric acid), 아이소발레르산(isovaler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2-노넨알(2-nonenal), 6-헵텐산(6-heptenoic acid) 및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을 이용하였다(실험예 4 및 표 8).
본 발명에 있어서, "이취 억제"는 이취가 제거 또는 마스킹되어 관능 평가 결과 이취가 없거나 약한 이취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취 억제의 방법에는 탈취, 소취, 마스킹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코올류 향료"는 -OH(알코올기)를 작용기(functional group)로 갖는 화합물로서, 통상적으로 생활용품 또는 화장품 제품 등의 이취를 마스킹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조합향료에 1종 이상의 알코올류 향료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합향료는 아비엔올(abienol), 암브린올(ambrinol), 아밀 바이닐 카비놀(amyl vinyl carbinol), 아니실 알코올(anisyl alcohol), 박단올(bacdanol)(산달롬(sandalrom)),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보나픽스(bornafix), 브라만올(brahmanol), 카비놀 뮤게(carbinol muguet), 세드롤(cedrol), 신나밀 알코올(cinnamyl alcoh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들장미 군(corps eglantine), 다탄올(dartanol), 데칸올(decanol), 델폴(delphol), 디히드로 미센올(dihydro myrcenol), 디히드로 테르피네올(dihydro terpineol), 디메틸 옥탄올(dimethyl octanol), 디메톨(dimetol), 디미세톨(dimyrcetol), 디메틸 벤질 카비놀(dimethyl benzyl carbinol), 에반올(ebanol), 에틸 리날로올(ethyl linalool), 유게놀(eugenol), 파네솔(farnesol), 피산톨(firsantol), 플로랄(florol), 플로사(florosa), 제라니올(geraniol), 그리살바(grisalva), 헥산올(hexanol), 시스-3-헥센올(cis-3-hexenol), 히드록시암브란(hydroxyambran), 히드록시올(hydroxyol), 아이소아밀 알코올(isoamyl alcohol), 아이소퓰레골(isopulegol), 자반올(javanol), 리날로올(linalool), 린덴올(lindenol), 마드란올(madranol), 마잔톨(majantol), 마욜(mayol)(시스-뮤게 시세올(cis-muguet shiseol)), 메프로솔(mefrosol), 메이지프(meijiff), l-멘톨(l-menthol), 4-메틸-구아야콜(4-methyl guaiacol), 뮤게탄올(mugetanol), 뮤게시아(muguesia), 뮤게트알콜(muguetalcohol), 미산톨(mysantol), 네롤(nerol), 네롤리돌(nerolidol), 놀림반올(norlimbanol), 노난올(nonanol), 팜플플뢰르(pamplefleur), 파출리 알코올(patchouli alcohol), 페오모사(peomosa), 페녹산올(phenoxanol), 페녹시에틸 알코올(phenoxyethyl alcohol), 페닐 에틸 알코올 (phenyl ethyl alcohol), 페닐 헥산올(phenyl hexanol)(페녹산올(phenoxanol)), 페닐프로필 알코올(phenylpropyl alcohol), 폴리산톨(polysantol), 프레놀(prenol), 로살바(rosalva), 로사펜(rosaphen), 산달로어(sandalore), 산델라(sandela), 산드란올(sandranol), 산진올(sanjinol), 산탈리프(santaliff), 실비알(silvial), 스티랄릴 알코올(styralyl alcohol), α-테르피네올(α-terpineol), β-테르피네올(β-terpineol), 4-테르피네올(4-terpinenol), 테란올(terranol), 테트라 히드로 리날로올(tetra hydro linalool), 테트라 히드로 뮤규올(tetra hydro muguol), 테트라 히드로 미센올(tetra hydro myrcenol), 티몰(thymol), 팀베롤(timberol), 울트라바닐(ultravanil), 운데카버톨(undecavertol), 산톨 펜텐올(santol pentenol)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데칸올(decanol), 암브린올(ambrinol), 디히드로 미센올(dihydro myrcenol), 네롤(nerol), 팜플플뢰르(pamplefleur), 제라니올(geraniol), 리날로올(linalool),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로살바(rosalva), 테트라 히드로 리날로올(tetra hydro linalool), α-테르피네올(α-terpineol), 스티랄릴 알코올(styralyl alcohol), 시스-3-헥센올(cis-3-hexenol), 아니실 알코올(anisyl alcohol), 디메톨(dimetol), 신나밀 알코올(cinnamyl alcohol), 세드롤(cedrol), 파출리 알코올(patchouli alcohol) 및 팀베롤(timber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톤류 향료"는 분자 내에 -COO-결합을 갖는 헤테로고리모양 카복실산에스터의 총칭으로 에테르의 성질과 비슷하며, 고리의 크기에 따라 β-락톤, γ-락톤, δ-락톤이라 불리우고, 통상적으로 생활용품 또는 화장품 제품 등의 이취를 마스킹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조합향료에 1종 이상의 락톤류 향료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합향료는 α-안젤리카 락톤(α-angelica lactone), γ-뷰티롤락톤(γ-butyrolactone), 쿠마린(coumarine), 사이클레텐(cycletene), γ-데칼락톤(γ-decalactone), δ-데칼락톤(δ-decalactone), γ-도데칼락톤(γ-dodecalactone), 에틸 페뉴그릭 락톤(ethyl fenugreek lactone), 페뉴그릭 락톤(fenugreek lactone), γ-헥살락톤(γ-hexalactone), 시스-자스몬 락톤(cis-jasmone lactone), 주니퍼 락톤(juniper lactone), 마쏘이아 락톤(massoia lactone), γ-옥탈락톤(γ-octalactone), γ-노날락톤(γ-nonalactone), γ-운데칼락톤(γ-undecalactone), 위스키 락톤(whiskey lactone) 등이 있고, 마이크로사이클릭 락톤류에는, 암브레톨리드(ambrettolide), 에틸렌 브라씰레이트(ethylene brassylate), 엑살톨리드(exaltolide), 아이소암브레톨리드(isoambrettolide), 머스트 락톤(musk lactone)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γ-운데칼락톤(γ-undecalactone), 시스-자스몬 락톤(cis-jasmone lactone) 및 머스크 락톤(musk lact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알코올류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락톤류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표 1 및 표 2에 상기 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향료 성분들을 표기하였으나,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향료 성분은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성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주요 알코올류 향료
향료명 향기방향 logP
데카놀(decanol) 알데하이딕(aldehydic) 4.57
노나놀(nonanol) 알데하이딕(aldehydic) 3.77
아비에놀(abienol) 용연향(amber) 6.40
암브리놀(ambrinol) 용연향(amber) 3.84
보나픽스(bornafix) 용연향(amber) 3.49
그리살바(grisalva) 용연향(amber) 6.58
히드록시암브란(hydroxyambran) 용연향(amber) 6.30
4-테르피네올(4-terpinenol) 시트러스 계열(citrus) 3.26
디히드로 미세놀(dihydro myrcenol) 시트러스 계열(citrus) 2.99
디미세톨(dimyrcetol) 시트러스 계열(citrus) 4.20
네롤(nerol) 시트러스 계열(citrus) 2.70
팜플플뢰르(pamplefleur) 시트러스 계열(citrus) 3.01
테트라 히드로 미세놀(tetra hydro myrcenol) 시트러스 계열(citrus) 3.60
벤질 알콜(benzyl alcohol) 꽃향(floral) 1.10
카비놀 뮤게(carbinol muguet) 꽃향(floral) 2.93
시트로넬롤(citronellol) 꽃향(floral) 3.10
들장미 군(corps eglantine) 꽃향(floral) 2.37
델폴(delphol) 꽃향(floral) 3.68
디히드로 테르피네올(dihydro terpineol) 꽃향(floral) 3.22
디메틸 벤질 카비놀(dimethyl benzyl carbinol) 꽃향(floral) 2.27
디메틸 옥타놀(dimethyl octanol) 꽃향(floral) 3.85
에틸 리날로올(ethyl linalool) 꽃향(floral) 3.30
파네솔(farnesol) 꽃향(floral) 4.80
플로랄(florol) 꽃향(floral) 1.50
플로사(florosa) 꽃향(floral) 2.00
제라니올(geraniol) 꽃향(floral) 2.60
히드록시올(hydroxyol) 꽃향(floral) 2.54
리날로올(linalool) 꽃향(floral) 2.97
마잔톨(majantol) 꽃향(floral) 3.48
마욜(mayol)(시스-뮤게 시세올(cis-muguet shiseol)) 꽃향(floral) 3.45
메프로솔(mefrosol) 꽃향(floral) 3.20
메이지프(meijiff) 꽃향(floral) 3.45
뮤게타놀(mugetanol) 꽃향(floral) 3.54
뮤게시아(muguesia) 꽃향(floral) 2.89
뮤게트알콜(muguetalcohol) 꽃향(floral) 2.93
네롤리돌(nerolidol) 꽃향(floral) 4.68
페오모사(peomosa) 꽃향(floral) 2.11
페녹사놀(phenoxanol) 꽃향(floral) 2.7
페녹시에틸 알콜(phenoxyethyl alcohol) 꽃향(floral) 1.16
페닐 에틸 알콜(phenyl ethyl alcohol) 꽃향(floral) 1.36
페닐 헥사놀(phenyl hexanol)(페녹사놀(phenoxanol)) 꽃향(floral) 3.00
페닐프로필 알콜(phenylpropyl alcohol) 꽃향(floral) 1.88
로살바(rosalva) 꽃향(floral) 3.70
로사펜(rosaphen) 꽃향(floral) 3.46
실비알(silvial) 꽃향(floral) 4.00
테트라 히드로 리날로올(tetra hydro linalool) 꽃향(floral) 3.49
테트라 히드로 뮤규올(tetra hydro muguol) 꽃향(floral) 3.60
운데카버톨(undecavertol) 꽃향(floral) 3.90
α-테르피네올(α-terpineol) 꽃향(floral) 2.60
β-테르피네올(β-terpineol) 꽃향(floral) 2.837
린데놀(lindenol) 프레쉬(fresh) 2.60
아이소아밀 알콜(isoamyl alcohol) 과일향(fruity) 1.16
프레놀(prenol) 과일향(fruity) 1.055
스티랄릴 알콜(styralyl alcohol) 과일향(fruity) 1.41
울트라바닐(ultravanil) 구르망(gourmand) 2.20
시스-3-헥사놀(cis-3-hexenol) 그린 계열(green) 1.70
헥사놀(hexanol) 그린 계열(green) 2.03
아밀 바이닐 카비놀(Amyl vinyl carbinol) 허브(herbal) 2.40
아니실 알콜(anisyl alcohol) 허브(herbal) 1.00
디메톨(dimetol) 허브(herbal) 3.00
아이소퓰레골(isopulegol ) 허브(herbal) 2.72
l-멘톨(l-menthol) 허브(herbal) 3.40
티몰(thymol) 허브(herbal) 3.30
4-메틸-구아야콜(4-methyl guaiacol) 스파이시 계열(spicy) 1.93
신나밀 알콜(cinnamyl alcohol) 스파이시 계열(spicy) 1.95
유게놀(eugenol) 스파이시 계열(spicy) 2.27
박아놀(bacdanol)(산달롬(sandalrom)) 우디 계열(woody) 4.30
브라마놀(brahmanol) 우디 계열(woody) 4.73
세드롤(cedrol) 우디 계열(woody) 3.90
다타놀(dartanol) 우디 계열(woody) 4.44
에바놀(ebanol) 우디 계열(woody) 4.90
피산톨(firsantol) 우디 계열(woody) 4.43
자바놀(javanol) 우디 계열(woody) 4.80
마드라놀(madranol) 우디 계열(woody) 5.31
미산톨(mysantol) 우디 계열(woody) 4.7
놀림바놀(norlimbanol) 우디 계열(woody) 5.42
파출리 알콜(patchouli alcohol) 우디 계열(woody) 4.48
폴리산톨(polysantol) 우디 계열(woody) 4.70
산달로어(sandalore) 우디 계열(woody) 4.70
산델라(sandela) 우디 계열(woody) 5.60
산드라놀(sandranol) 우디 계열(woody) 5.14
산지놀(sanjinol) 우디 계열(woody) 4.30
산탈리프(santaliff) 우디 계열(woody) 4.65
산톨 펜테놀(santol pentenol) 우디 계열(woody) 4.778
테라놀(terranol) 우디 계열(woody) -
팀베롤(timberol) 우디 계열(woody) 5.80
주요 락톤류 향료
향료명 향기 방향 clogP
γ-데칼락톤(γ-decalactone) 과일향(fruity) 2.72
γ-도데칼락톤(γ-dodecalactone) 과일향(fruity) 3.47
γ-노날락톤(γ-nonalactone) 과일향(fruity) 1.942
γ-운데칼락톤(γ-undecalactone) 과일향(fruity) 2.961
γ-옥탈락톤(γ-octalactone) 과일향(fruity)
δ-데칼락톤(δ-decalactone) 과일향(fruity) 2.469
시스-자스몬 락톤(cis-jasmone lactone) 구르망(gourmand) 2.117
쿠마린(coumarine) 구르망(gourmand) 1.39
사이클레텐(cycletene) 구르망(gourmand) 0.26
α-안젤리카 락톤(α-angelica lactone) 구르망(gourmand) 0.236
에틸 페뉴그릭 락톤(Ethyl fenugreek lactone) 구르망(gourmand) 0.213
페뉴그릭 락톤(fenugreek lactone) 구르망(gourmand) -0.296
마쏘이아 락톤(massoia lactone) 구르망(gourmand) 2.419
위스키 락톤(whiskey lactone) 구르망(gourmand) 1.968
γ-뷰티롤락톤(γ-butyrolactone) 구르망(gourmand) -0.64
γ-헥살락톤(γ-hexalactone) 구르망(gourmand) 0.413
암브레톨리드(ambrettolide) 사향(musky) 5.429
에틸렌 브라씰레이트(ethylene brassylate) 사향(musky) 2.773
엑살톨리드(exaltolide) 사향(musky) 6.10
아이소암브레톨리드(isoambrettolide) 사향(musky) 6.51
주피터 락톤(juniper lactone) 사향(musky) 6.65
머스트 락톤(musk lactone) 사향(musky) 3.531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보다 효과적으로 인체, 의류, 환경 등에서 유래한 이취를 마스킹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표 1에 기재된 알코올류 향료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기 품질의 우수성을 더하고 이취 마스킹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표 2에 기재된 락톤류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알코올류 향료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6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 조성물은 30 내지 65 중량%의 알코올류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 조성물은 40 내지 65 중량%의 알코올류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 조성물은 55 내지 65 중량%의 알코올류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알코올 향료가 향료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이취 마스킹 효과가 미미하며, 6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향료의 기호성이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톤류 향료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 조성물은 10 내지 40 중량%의 락톤류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 조성물은 20 내지 40 중량%의 락톤류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 조성물은 30 내지 40 중량%의 락톤류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락톤류 향료가 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감성품질의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4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향료의 특징이 단조로워 기호성이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은 ClogP가 7 이하인 향료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ClogP는 단일 향료를 옥탄올에 녹였을 때와 물에 녹였을 때 용해도의 비를 나타내는 값 P에 log를 취한 값을 의미한다. 보다 우수한 알코올류 또는 락톤류의 이취 마스킹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ClogP가 7 이하인 향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소뷰틱산(isobutyric acid), 아이소발레르산(isovaler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2-노넨알(2-nonenal), 6-헵텐산(6-heptenoic acid) 및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취원으로 하는 이취를 억제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이소뷰틱산(isobutyric acid)은 불쾌감, 발냄새 등의 악취를 유발하고, 아이소발레르산(isovaleric acid)은 발냄새, 변냄새 등의 악취를 유발하며, 카프로산(caproic acid) 및 카프릴산(caprylic acid)은 두피취, 곰팡이, 기름취, 실래건조 등의 악취를 유발한다. 또한, 2-노넨알(2-nonenal)은 기름취, 남자 냄새, 비린내 등의 악취를 유발하고, 6-헵텐산(6-heptenoic acid)은 오래 방치한 세탁물 냄새를 유발하며,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은 기름 산패된 냄새, 남자 옷 냄새 등의 악취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알코올류 향료만 적용한 경우 알코올류 향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표준 이취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알코올류 향료의 함량이 40 중량% 에 달할 때까지는 이취 제거능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내지 3 및 5). 또한, 락톤류만 적용한 경우 일반향료에 비해 우수한 이취 제어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특히, 알코올류 향료와 락톤류 향료를 혼합 적용한 경우, 알코올류 함량이 전체 조성물의 30 중량% 이상일 때 이취 마스킹 효과가 증가하고, 이에 락톤류 향료가 더해질 때 이취 마스킹 효과가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6 내지 9).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홈 케어 제품"은 부엌 및 욕실에서와 같이 표면 세정 또는 위생 상태 유지를 위해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제품(예를 들어, 경질 표면 클리너, 수동 및 자동 접시 케어, 변기 클리너 및 소독제, 주방세제), 섬유 케어 및 세정 등과 같은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예를 들어, 세제, 섬유유연제, 전처리 얼룩 제거제), 방향 화합물을 발산해 악취를 제거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향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방향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향료가 투입되는 홈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케어 제품에는 세탁 세제, 세탁 세제 첨가제, 세탁바, 섬유 유연제, 주방세제, 목재 및 가구 광택제, 마루 광택제, 욕조 및 타일 클리너, 변기 클리너, 경질 표면 클리너, 윈도우 클리너, 김서림 방지제, 배수구 클리너, 자동-식기 세척제 및 쉬팅제(sheeting agent), 카페트 클리너, 애벌 빨래 스파터(prewash spotter), 녹 얼룩 클리너, 스케일 제거제, 탈취제 및 방향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홈 케어 제품, 예컨대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은 상기 향료 조성물과 양이온성 폴리머,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 제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섬유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양이온성 구아,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P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및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섬유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모노암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사코시네이트 및 알킬 암포디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홈 케어 제품, 예컨대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은 상기 향료 조성물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세탁세제 제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세탁세제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산알킬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지방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알킬페닐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제한되지는 않는다. 세탁세제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직쇄형 알킬벤젠술폰산염, 지방산염, 알킬술폰산염, 또는 알파올레핀술폰산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홈 케어 제품, 예컨대 상기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은 수개의 클리닝 부가물을 필요로 하지만, 특정한 단순 제형품, 예컨대 표백 첨가제는 산소 표백제 및 계면활성제만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부가물은 빌더, 효소,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촉매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닝 부가물은 거품 촉진제, 거품 억제제(소포제), 분산제 중합체, 컬러 스펙클, 실버케어제, 항변색제 및/또는 항부식제, 염료, 충전제, 살균제, 알칼리원, 향수성 물질, 항산화제, 효소 안정화제, 프로(pro)-항료, 항료, 가용화제, 담체, 가공 보조제, 안료와 같은 다양한 활성 성분 또는 특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액체 제형물의 경우에는 용매, 킬레이트제, 염료 전이 저해제, 분산제, 광택제, 거품 억제제, 염료, 구조 탄성화제, 섬유 연화제, 항마모제, 향수성 물질, 가공 보조제, 및 기타 섬유 케어제, 표면 및 피부 케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홈 케어 제품, 예컨대 방향제는 본 발명의 겔 형상 또는 고형화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휘발식 방향제일 수 있고, 액상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분무식 방향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제는 전체 제품의 중량 중 0.001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1 내지 3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의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이 전체 조성물 중 0.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발향성이 매우 낮아 향을 음미하기 힘들며, 30 중량% 초과로 첨가하면 방향제로 사용하기에는 향이 너무 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방향제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향미제 또는 방향제에 유용한 임의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하나 이상의 광범위한 천연, 합성, 합성화학물질, 천연 방향제, 향미제 물질, 향미제 또는 방향제 분야에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과 혼합될 수 있다. 추가로, 방향제는 향미제 및 방향제와 함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 또는 부형제, 예를 들어 담체 물질, 농후화제, 향미 증강제 및 기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사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퍼스널 케어 제품"은 인간 및 동물의 피부, 모발, 두피, 및 손톱을 포함하는 신체에 적용되는 화장품, 헤어 케어 제품, 세면용품,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 뷰티 보조용품, 방충제, 개인 위생 및 클렌징 제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향료가 투입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오도런트, 발한억제제, 스프레이, 스틱 및 롤-온 제품, 쉐이빙제, 스킨 로션, 모이스쳐라이져, 토너, 목욕제, 클렌징제, 샴푸, 컨디셔너, 조합된 샴푸/컨디셔너, 무스, 스타일링 겔, 헤어스프레이, 모발염색제, 모발색제, 모발표백제, 웨이빙제, 헤어스트레이트너, 네일폴리시, 네일폴리시 리무버, 네일 크림 및 로션, 각질 연화제, 썬스크린, 방충제, 노화방지제, 립스틱,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블러쉬(blushes), 메이크업, 마스카라, 모이스쳐라이징 조제, 바디 및 핸드 조제, 스킨케어 조제, 페이스 및 넥 조제, 토닉, 드레싱, 헤어 그루밍 에이드, 에어로졸 픽사티브, 향 조제, 애프터쉐이브, 메이크-업 조제, 소프트 포커스 용품, 밤 및 낮 스킨케어 조제, 비-착색 모발 조제, 태닝 조제, 합성 및 비-합성 비누바, 핸드 리퀴드, 노우즈 스트립, 퍼스널 케어용 부직포 용품, 베이비로션, 베이비 배스 및 샴푸, 베이비 컨디셔너, 쉐이빙 조제, 큐컴버 슬라이스, 스킨 패드, 메이크업 리무버, 페이셜 클렌징제, 콜드크림, 썬스크린제, 무스, 스프리츠, 페이스트 마스크 및 머드, 페이스 마스크, 콜로뉴 및 화장수, 헤어 큐티클 코트, 샤워겔, 페이스 및 바디 워시, 퍼스널 케어 린스-오프제, 겔, 포움 배스, 스크러빙 클렌저, 아스트린젠트, 네일 컨디셔너, 아이쉐도우 스틱, 페이스 또는 아이용 파우더, 립밤, 립글로스, 헤어케어 펌프 스프레이 및 기타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프리즈-컨트롤 겔, 헤어 리브-인 컨디셔너, 헤어포마드, 헤어 디탱글링제, 모발 고정제, 헤어 블리치제, 스킨 로션, 프리쉐이브 및 프리일렉트릭 쉐이브, 무수크림 및 로션, 유/수형, 수/유형, 멀티플 매크로 및 마이크로 에멀젼, 내수성 크림 및 로션, 여드름피부용 조제, 구강세척제, 마사지 오일, 치약, 클리어 겔 및 스틱, 연고 베이스, 국부 상처치유제, 에어로졸 탈크, 배리어 스프레이, 비타민 및 노화방지 조제, 허브추출물 조제, 배스 솔트, 배스 및 바디 밀크, 헤어 스타일링 에이드(hair styling aids), 헤어-, 아이-, 네일- 및 스킨-소프트 용품, 방출 조절 퍼스널 케어제, 헤어 컨디셔닝 미스트, 스킨 케어 모이스쳐라이징 미스트, 스킨 와이프, 포어 스킨 와이프, 포어 클렌저, 블레미시 리듀서, 스킨 엑스폴리에이터, 박피개선제, 스킨 타월레트 및 클로스, 제모제, 퍼스널 케어 윤활제 및 네일 착색 조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제품, 예컨대 화장품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일반 피부 화장품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품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제형에 따라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로 들면,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은 비교적 높은 농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를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제품, 예컨대 헤어 케어 제품은 샴푸(투-인-원(two-in-one) 컨디셔닝 샴푸와 같은 복합 샴푸를 포함), 헤어 컨디셔너, 샴푸 후 헹굼액, 염모제, 셋팅, 스타일링 및 스타일 유지제(젤 및 스프레이와 같은 셋팅 보조제, 및 포마드, 컨디셔너, 퍼머액, 이완제와 같은 그루밍 보조제를 포함), 헤어 스무딩 제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헤어 케어 제품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어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디세틸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 및 에스테르 쿼트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어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및 코코암포카르복시프로피오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어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어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및 4급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즈로 이루어진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 군;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폴리머, 크릴아미드디메틸이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코폴리머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염모제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과 프리커서 및 커플러를 포함하는 염모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제품, 예컨대 바디 케어 제품은 배스 및 샤워 첨가제, 향기 및 향미 물질 함유 제제, 헤어 케어 제품, 탈취제 및 지한제, 장식용 제제, 활성 성분 함유 광보호 제형 및 제제용으로 단일 성분으로서 또는 다른 안정화제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케어 제품은 바디 오일, 바디 로션, 바디 겔, 트리트먼트 크림, 피부 보호 연고, 면도용 제제, 예컨대 쉐이빙 폼 또는 겔, 스킨 파우더, 예컨대 베이비 파우더, 모이스쳐라이징 겔, 모이스쳐라이징 스프레이, 리바이탈라이징 바디 스프레이, 셀룰라이트 겔 및 필링 제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배스 및 샤워 첨가제로는 샤워 겔, 배스-솔트, 버블 배스 및 비누가 있다. 향기 및 향미 물질 함유 제제는 향수, 화장수 및 쉐이빙 로션(애프터쉐이브 제제)가 있다. 상기 바디 케어 제품은 크림, 연고, 페이스트, 폼, 겔, 로션, 분말, 메이크업, 스프레이, 스틱 또는 에어로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 케어 제품은 또한, 안정화 혼합물, 및 임의로 추가의 UV 흡수제, 입체 장애 아민, 착화제, 및 페놀성 또는 비-페놀성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알코올류 향료 또는 락톤류 향료를 포함함으로써 인체, 의복,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취, 불쾌취를 억제할 수 있으며, 고급스러운 향기를 유발하고, 잔향성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실험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실험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실험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실험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액시드류, 알데히드류가 포함된 이취에 대해 상대적으로 평가가 즉시 이루어지는 탈취제를 실시예 및 실험예로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탈취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험예 1 : 향료 베이스의 제조
하기 표 3에 나타난 각각의 조성으로 알코올류 향료, 및/또는 락톤류 향료를 포함하는 향료 베이스 1 내지 9를 제조하였다.
향료베이스
구분 향료명 향료베이스1 향료베이스2 향료베이스3 향료베이스4 향료베이스5 향료베이스6 향료베이스7 향료베이스8 향료베이스9
알코올류

데카놀 10
암브린올 10
네롤 10 5
스티랄릴 알코올 10 5 5 5 5
시스-3-헥센올 10 5 5 5 5
아니실 알코올 10 5 5 5 5
디메톨 10
신나밀 알코올 10
파출리 알코올 10
팀베롤 10 5 5 5 5 5
디히드로 미센올 10 15 10 10 10 10
팜플플뢰르 10 15 10 10 10 10
제라니올 10 5 5 5 5 5
리날로올 10
페닐 에틸 알코올 10 5 5 5 5 5
로살바 10
α-테르피네올 10
세드롤 10
락톤류 γ-운데칼락톤 20 10 5
시스-자스몬 락톤 20 10 10
머스크 락톤 20 10 5
용제 DPG 40 40 40 40 40 40 40 40 4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또한 표준 향료로서 알코올류나 락톤류 향료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일반향료(라스베리 타입)를 하기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일반향료
번호 향료명 함량
1 넥타릴(Nectaryl) 3.2
2 라스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8.0
3 페오닐(Peonile) 8.8
4 아니실 아세테이트(Anisyl acetate) 12.0
5 아이소라데인 케톤 알파(Isoradeine cetone alpha) 20.0
6 알데히드 C-16(Aldehyde C-16) 28.0
7 DPG 20.0
합계 100.0
실험예 2 : 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표 3의 향료베이스 1 내지 9 각각을 상기 표 4의 일반향료와 혼합함으로써, 향료 1 내지 10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향료조성물
구분(중량%) 향료1 향료2 향료3 향료4 향료5 향료6 향료7 향료8 향료9 향료10
일반향료 1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향료
베이스1
40.0
향료
베이스2
40.0
향료
베이스3
40.0
향료
베이스4
40.0
향료
베이스5
40.0
향료
베이스6
40.0
향료
베이스7
40.0
향료
베이스8
40.0
향료
베이스9
40.0
합계 1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실험예 3 : 탈취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2에서 제조된 상기 표 5의 향료 조성물(향료 1 내지 10)을 하기 표 7의 일반적인 탈취제에 각각 0.2 중량%씩 부향하여 10종의 탈취제 조성물(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9)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로서, 일반 탈취제로만 이루어지도록 제조하였다.
탈취제 조성물
구분
(중량%)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향료1 0.2 - - - - - - - - -
향료2 - - 0.2 - - - - - - - -
향료3 - - - 0.2 - - - - - - -
향료4 - - - - 0.2 - - - - - -
향료5 - - - - - 0.2 - - - - -
향료6 - - - - - - 0.2 - - - -
향료7 - - - - - - - 0.2 - - -
향료8 - - - - - - - - 0.2 - -
향료9 - - - - - - - - - 0.2 -
향료10 - - - - - - - - 0.2
일반탈취제 100 99.8 99.8 99.8 99.8 99.8 99.8 99.8 99.8 99.8 99.8
일반 탈취제의 조성 및 함량
번호 특징 구성요소 함량(중량%)
1 소취제 사이클로덱트린(Cyclodextrin)(5.5 DOS HPBCD) 1.00
2 계면활성제 Silwet L-77 0.20
3 계면활성제 POE-40(HCO) 0.10
4 안정화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Sodium Polyacrylate) (2500 MW) 0.10
5 용제 에탄올(Ethanol) 3.00
6 방부제 방부제(Presevative), ppm 3.00
7 향료 향료(Perfume) 0.20
8 용제 D.W To 100.0
실험예 4 : 이취 관능 평가
상기 실험예 3에서 제조된 11종의 탈취제 조성물(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내지 9)의 이취 관능 평가를 위해, 하기 표 8과 같은 이취원을 표준화하여 사용하였다.
표준 이취원 조성
번호 악취 성분명 평가의견 함량
1 아이소뷰틱산 불쾌감, 발냄새 0.0200
2 아이소발레르산 발냄새, 변냄새 0.0005
3 카프로산 두피취, 곰팡이, 기름취, 실내건조 0.0600
4 카프릴산 두피취, 곰팡이, 기름취, 실내건조 0.0600
5 2-노넨알 기름취, 남자 냄새, 비린내 0.0005
6 6-헵텐산 오래 방치한 세탁물 냄새 0.4000
7 펠라르곤산 기름 산패된 냄새, 남자 옷 냄새 0.0800
DPG to 100.0
그런 다음, 상기 표 8의 7종의 원료를 이취 표준으로 하여, 일반 소비자에게 각 이취에 대한 평가를 하기와 같이 진행하였다.
10 X 10cm 의 시험면포를 2L 비이커에 넣고 상기 표 8의 표준 이취원(1% 에탄올 희석)을 4회 분사한 후 윗부분을 호일로 덮어 놓았다. 비이커를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 후, 비이커 내의 면포에 상기 실험예 3에서 제조된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내지 9를 2회 분사 후 비이커의 윗부분을 호일로 덮고 다시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10분 후 비이커의 호일에 직경 1cm의 구멍을 내어 냄새를 맡아 이취를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는 20 ~ 40대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능 평가의 기준은 하기와 같다.
- 관능 평가 기준 -
1점: 이취가 없음.
2점: 약한 이취가 있음.
3점: 조금 강한 이취가 있음.
4점: 강한 이취가 있음.
5점: 매우 강한 이취가 있음.
이취 평가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평균 4.70 3.60 2.70 2.60 2.70 2.20 2.55 1.85 1.90 1.65 1.35
표준
편차
0.46 0.58 0.79 0.72 0.80 0.68 0.73 0.81 0.78 0.73 0.50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향 처리한 비교예 1과 일반향료만을 처리한 비교예 2의 표준 이취에 대한 이취 평가 결과는 유의차가 있으며, 일반적인 향료에 의해 일정 수준의 이취는 마스킹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그 수준이 이취가 효과적으로 제거 되었다고 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5의 경우는 알코올류 향료만을 일반향료에 적용한 것으로, 알코올류 향료가 일반향료 대비 효과적으로 이취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는 락톤류 향료만을 일반향료에 적용한 것으로, 알코올류 향료보다는 이취 평가 결과가 낮으나, 일반향료만을 처리한 비교예 2와 대비하였을 때 우수한 이취 제어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내지 9의 경우는 알코올류 향료와 락톤류 향료를 혼합 적용한 것으로, 알코올류 향료나 락톤류 향료만 일반향료에 단독으로 적용한 것보다도 효과적이며, 특히, 실시예 9의 이취 평가 결과를 보면, 복합적인 알코올류 향료와 락톤류 향료가 혼합될 경우 이취 마스킹 효과가 증가하고 여기에 락톤류 향료가 더해질 때 더욱 우수한 이취 마스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알코올류 향료, 락톤류 향료,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은 이취 억제 효과가 뛰어나므로 이취 억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취 억제용 홈케어 제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알코올류 향료 및 락톤류 향료를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로,
    상기 알코올 향료는 암브린올(ambrinol), 테트라 히드로 리날로올(tetra hydro linalool), 디메톨(dimetol), 신나밀 알코올(cinnamyl alcohol), 세드롤(cedrol) 및 파출리 알코올(patchouli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락톤류 향료는 γ-운데칼락톤(γ-undecalactone), 시스-자스몬 락톤(cis-jasmone lactone) 및 머스크 락톤(musk lac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류 향료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65 중량% 로 포함하는 것인,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락톤류 향료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40 중량% 로 포함하는 것인,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이소뷰틱산(isobutyric acid), 아이소발레르산(isovaler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2-노넨알(2-nonenal), 6-헵텐산(6-heptenoic acid) 및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취원으로 하는 이취를 억제하는 것인, 이취 억제용 항료 조성물.
  6. 상기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홈 케어 제품.
  7. 상기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취 억제용 퍼스널 케어 제품.
KR1020210101354A 2016-04-22 2021-08-02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KR102397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539 2016-04-22
KR20160049539 2016-04-22
KR1020190150613A KR102289696B1 (ko) 2016-04-22 2019-11-21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613A Division KR102289696B1 (ko) 2016-04-22 2019-11-21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893A KR20210098893A (ko) 2021-08-11
KR102397919B1 true KR102397919B1 (ko) 2022-05-16

Family

ID=6038333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34A KR102049558B1 (ko) 2016-04-22 2017-03-16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KR1020190150613A KR102289696B1 (ko) 2016-04-22 2019-11-21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KR1020210101354A KR102397919B1 (ko) 2016-04-22 2021-08-02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34A KR102049558B1 (ko) 2016-04-22 2017-03-16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KR1020190150613A KR102289696B1 (ko) 2016-04-22 2019-11-21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049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558B1 (ko) * 2016-04-22 2019-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1927A1 (fr) 2000-11-27 2002-05-30 Zeon Corporation Deodorant, agent de masquage de l'odeur de l'ammoniac, deodorant de masquage des odeurs excretoires, et substance desodorisante apte a l'absorption d'eau
KR102049558B1 (ko) * 2016-04-22 2019-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3886A (ja) 2000-04-19 2002-01-09 Dainippon Jochugiku Co Ltd 洗浄剤組成物
JP2002113080A (ja) * 2000-08-11 2002-04-16 Takasago Internatl Corp 消臭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139033B1 (ko) * 2009-05-08 2012-04-30 (주)아모레퍼시픽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CN104334701B (zh) 2012-06-01 2016-08-31 花王株式会社 香料组合物
GB201218904D0 (en) * 2012-10-22 2012-12-05 Givaudan Sa Organic compounds
KR102006953B1 (ko) * 2013-12-09 2019-08-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1927A1 (fr) 2000-11-27 2002-05-30 Zeon Corporation Deodorant, agent de masquage de l'odeur de l'ammoniac, deodorant de masquage des odeurs excretoires, et substance desodorisante apte a l'absorption d'eau
KR102049558B1 (ko) * 2016-04-22 2019-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893A (ko) 2021-08-11
KR20190132961A (ko) 2019-11-29
KR20170121684A (ko) 2017-11-02
KR102289696B1 (ko) 2021-08-17
KR102049558B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0995A1 (en) Fragrance composition for masking or deodorizing mal-odor
US9701605B2 (en) Organoleptic compounds
KR102397919B1 (ko)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US9738854B2 (en) 3-(cyclohex-1-en-1-yl)propionates and their use in perfume compositions
EP2862918B1 (en) 3-methyl-benzofuran-5-ol and its use in perfume compositions
KR102166256B1 (ko)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US9816048B2 (en) Organoleptic compounds
KR101881668B1 (ko) 섬말나리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67074B1 (ko)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US11091418B2 (en) Organoleptic compounds
KR102562427B1 (ko) 생분해성 향료 조성물
US11352586B2 (en) Dienoates and their use in perfume compositions
US11111458B2 (en) Cyclopropylmethoxy derivatives
EP3124464B1 (en) Novel organoleptic compounds
CN111479549B (zh) 含8,8-二甲基-6,10-二氧杂螺[4.5]癸烷的芳香物质混合物
KR20180023767A (ko) 나도풍란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US20190016990A1 (en) Novel organoleptic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