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033B1 -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033B1
KR101139033B1 KR1020090040297A KR20090040297A KR101139033B1 KR 101139033 B1 KR101139033 B1 KR 101139033B1 KR 1020090040297 A KR1020090040297 A KR 1020090040297A KR 20090040297 A KR20090040297 A KR 20090040297A KR 101139033 B1 KR101139033 B1 KR 10113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odor
masking
odor
fragranc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237A (ko
Inventor
이은주
서형제
전병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4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0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장년층 특유의 체취를 효과적으로 마스킹함으로써 체취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기호성이 우수한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취 * 마스킹 * 기호성 * 향료

Description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masking body odor}
본 발명은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장년층 특유의 체취를 효과적으로 마스킹함으로써 체취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기호성이 우수한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취는 인체에서 분비된 땀샘에서 분비되는 땀이 미생물이나 세균 등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몸 전체에 분포하는 에크린 땀샘(eccrine sweat gland)과 겨드랑이 등 체모가 많은 부분에 분포하는 아포크린 땀샘(apocrine sweat gland) 등에서 분비되는 땀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과 단백질 그리고 피지, 오염물 등이 미생물이나 세균 등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액취, 족취, 두취 등 불쾌감을 일으키는 체취를 발생시킨다.
격렬한 운동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과도한 땀과 피지 분비, 느끼하고 기름진 음식 섭취에 따른 단백질과 지방이 땀과 함께 분비 등이 심한 체취의 원인이 되며 향취가 강한 양파, 마늘, 카레와 같은 식품이나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커피, 초콜렛, 콜라, 몸 속에 단백질과 지방을 늘려주는 음주와 그 자체가 쾌쾌한 냄새를 몸에 배게 하는 흡연 등도 체취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체취는 남성, 여성, 아기, 노 인 등 성별 및 나이에 따라 각기 다른 특이취를 가지며 남성이나 중장년층의 체취는 특히 불쾌한 특이취를 가진다.
체취를 제어하기 위해 제한, 항균, 소취 또는 마스킹 등의 방법이 쓰이고 있다. 제한이라 함은 땀구멍을 수렴시켜 땀의 발생을 일시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냄새발생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데오도란트 제품에 알루미늄 클로라이드(Aluminium chloride),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aluminium chlorohydrate), 알루미늄-지르코늄 화합물(aluminium-zirconium compounds) 등의 제한제가 사용된다. 항균은 냄새발생에 작용하는 세균이나 미생물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트리클로산(Triclosan), 트리클로로카반(Triclorocarban),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염화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염화수소산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Hydrochloride),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Gluconate), 에틸락테이트, 옥틸크로토네이트, 트리메틸시트레이트, BHA 또는 BHT 등의 항균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소취는 발생한 냄새를 화학반응, 분해, 흡착 등 발생원인이 되는 단백질이나 지방산 등을 물리 화학적인 냄새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그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마스킹 방법으로서, 향을 이용하여 체취를 마스킹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체취를 가리기 위해 잘못된 향을 사용할 경우에는 오히려 악취를 풍기게 되어 역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그 향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성인의 체취를 분석 및 재현하고 이를 토대로 수많은 천연 향료 및 합성 향료 중 체취 마스킹 효과가 뛰어난 향료 물질들을 실험을 통해 선별하고 향료 물질들을 조합하여 그 마스킹 효과를 측정한 결과, 성인 특히 중장년층의 체취를 마스킹할 수 있고 기호성이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인의 체취를 효과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알데히드 C-12 MNA, 알데히드 C-14, 암브록산, 아우란티올, 캐쉬머란, 시클라멘 알데히드, 에틸 신나메이트, 에틸 말톨, 감마-데카락톤, 감마-도데카락톤, 이소 부틸 퀴놀린, 이소 프로필 퀴놀린,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페닐 아세트산, 로살바, 로즈페논, 산탈리놀 및 구아이악 우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향료 물질을 함유하는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취 마스킹 향료 조성물은 성인의 좋지 않은 체취를 마스킹함으로써 체취에 대한 불쾌감을 해소하고 향취 기호성이 높으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성인의 체취 억제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데히드 C-12 MNA(aldehyde C-12 MNA), 알데히드 C-14(aldehyde C-14), 암브록산(ambroxan), 아우란티올(aurantiol), 캐쉬머란(cashmeran), 시클라멘 알데히드(cyclamen aldehyde), 에틸 신나메이트(ethyl cinnamate), 에틸 말톨(ethyl maltol), 감마-데카락톤(γ-decalactone), 감마-도데카락톤(γ-dodecalactone), 이소 부틸 퀴놀린(isobutyl quinoline), 이소 프로필 퀴놀린(isopropyl quinoline), 메틸 안트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 페닐 아세트산(phenyl acetic acid), 로살바(rosalva), 로즈페논(rosephenone), 산탈리놀(santalinol) 및 구아이악 우드 오일(guaiac wood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향료 물질을 함유하는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데히드 C-12 MNA는 약간 금속성의 취로 과일, 꽃 또는 앰버 향취를 낼 때 사용되고, 알데히드 C-14는 자연에서는 과일주스나 유제품에서 발견되며 복숭아나 살구 등 과일 향기를 가진다. 암브록산은 앰버 같은 파우더리하고 드라이한 향취를 가지며, 아우란티올은 오렌지 블러썸이나 린덴 플라워 같은 꽃향기를 가진다. 그리고 캐쉬머란은 부드러운 꽃향기를 가지는 머스크 우디 향취를 가지며, 시클라멘 알데히드는 신선한 풀냄새가 있는 꽃향기로 시클라멘과 같은 후레쉬한 꽃향기를 낼 때 사용된다. 에틸 신나메이트는 복숭아, 딸기 와인 등에서 발견되는 향료물질로 달콤한 과일 향을 가지며, 에틸 말톨은 달콤한 사탕이나 캐러멜 같은 향취를 가진다. 감마-데카락톤은 자연에서는 버터, 코코넛, 살구 등의 과일에서 발견되 며 오일리하고 버터 같은 과일향을 가지며, 감마-도데카락톤은 감마-데카락톤보다 더 금속성의 복숭아 향을 가지며 자연에서는 버터, 코코넛 등에서 발견된다. 이소 부틸 퀴놀린은 가죽이나 이끼 같은 드라이한 향을 가지며, 이소 프로필 퀴놀린은 풀 이나 나뭇잎 같이 그린한 향취를 가진다. 또한 메틸 안트라닐레이트는 오렌지 블러썸과 같은 꽃향을 가지며, 페닐 아세트산은 달콤한 꽃향기를 내며 자연에서는 망고, 네롤리, 로즈 등에서 발견된다. 로살바와 로즈페논은 신선한 그린 향취의 로즈 향취를 내며, 산탈리놀은 샌달우드의 향취를 내고, 구아이악 우드 오일은 은은한 로즈향이 나는 우디한 향취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물질들은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중량%를 초과하면 향취의 다양성이 줄어들고 향에 대한 기호성도 좋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피부 외용제는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이 있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상기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5중량%를 초과하면 향취에 대한 기호성이 좋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체취를 마스킹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을 만들기 위해서 먼저 성인들의 체취를 채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인공 체취 혼합물을 재현하였다. 그 재현된 체취에 대하여 향료 물질들의 마스킹력과 기호성을 평가하여 체취에 대한 마스킹력 및 기호성을 가지는 향료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향기 성분 분석에 사용하는 헤드스페이스(Head space)법은 대상물질의 공기 중에 휘발하는 고유의 향기 성분을 공기 중에서 포집하여 이를 다시 기기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열 변성 등의 우려 없이 대상물질이 지닌 고유의 향취를 있는 그대로 충실히 재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 시험예 1] 성인 체취 포집 및 분석
20~40대 성인 남성 10명과 50대 이상 남녀 각각 5명을 대상으로 하여 땀을 내게 한 후 체취가 나는 부위를 사용하지 않은 깨끗한 탈지면을 이용하여 땀을 채취하고 도 1과 같은 포집 장치를 이용하여 땀이 묻은 탈지면을 샘플병(S)에 넣고 질소 가스를 흘러 보내 2시간 동안 85㎛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화이버(Polyacrylate Fiber, T)에 냄새 성분을 흡착시켜 냄새 성분을 포집하였다. 냄새 성분을 포집한 후 이를 GC-MS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분간 탈착시키고, 하기의 분석조건으로 GC-MS 분석을 행하였다. 또한, 각각의 대상자들이 거주하는 공간의 냄새 성분을 헤드스페이스법에 의해 2시간 동안 85㎛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 팅된 화이버에 냄새성분을 흡착시켜 포집한 후, 화이버를 밀봉하였다. 이를 GC-MS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분간 탈착시키고, GC-MS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GC-MS 분석조건 >
. 분석기기: HP 5890 II GC
. 검출기: HP 5972 MSD
. 컬럼: DB-1(60m X 0.25mm X 0.25㎛)
. 이동상 기체: He
. 주입부 온도: 250℃
. 검출부 온도: 280℃
. 오븐온도: 70℃~220℃(3℃/분)
. 이온화 전압: 70eV
. 탈착시간: 2분
성분명 함 량(%)
땀의 냄새 성분 거주공간의 냄새 성분
헥산(Hexane) 0 26.7
헵탄(Heptane) 0 13.9
옥탄(Octane) 0.5 0.0
시클로헥산(Cyclohexane) 0 18.0
데칸(Decane) 4.3 3.3
운데칸(Undecane) 5.8 2.3
도데칸(Dodecane) 27.8 11.5
메틸 헵타논(Methyl heptanone) 2.4 0.0
트리데칸(Tridecane) 5.6 4.6
노나날(Nonanal) 11.1 1.5
테트라데칸(Tetradecane) 22.8 8.8
2-에틸 헥사놀(2-Ethyl Hexanol) 17.4 1.8
데카날(Decanal) 1.2 0.0
펜타데칸(Pentadecane) 0 3.5
헥사데칸(Hexadecane) 0.3 0.7
헵타데칸(Heptadecane) 0.2 0.0
아세토페논(Acetopheone) 0.6 3.4
총함량 100.0 100.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땀의 주요 냄새 성분은 데칸, 운데칸, 도데칸, 메틸 헵타논, 트리데칸, 노나날, 테트라데칸 및 2-에틸 헥사놀 등이고, 거주 공간의 주요 냄새 성분은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도데칸, 테트라데칸 및 펜타데칸 등이었다. 그러므로, 분석된 체취의 주요 냄새 성분은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데칸, 운데칸, 도데칸, 메틸 헵테논, 트리데칸, 노나날, 테트라데칸 및 펜타데칸 등이다.
[참고 시험예 2] 인공 체취 혼합물의 제조
상기 참고 시험예 1에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의 땀 냄새 분석을 통해 얻어진 체취 혼합물(참고예 1)을 만들고, 거주 공간에서 포집하여 분석된 냄새 성분을 바탕으로 한 체취 혼합물(참고예 2), 분석된 냄새 성분과 관능적으로 체취에 기인된다고 판단되는 성분을 혼합한 체취 혼합물(참고예 3)을 제조하였다(표 2). 상기 3가지 인공 체취 혼합물을 1%로 희석하여 성인 체취와의 유사성을 전문 관능 패널 10명이 5점 척도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점수가 높을수록 체취와의 유사성이 높다).
인공 체취 혼합물
향료명 함 량(중량%)
참고예1 참고예2 참고예3
헥산(Hexane) 0 26.7 21.4
헵탄(Heptane) 0 13.9 11.1
옥탄(Octane) 0.5 0 0
시클로헥산(Cyclohexane) 0 18.0 14.4
데칸(Decane) 4.3 3.3 2.6
운데칸(Undecane) 5.8 2.3 1.8
도데칸(Dodecane) 27.8 11.5 9.2
메틸 헵타논(Methyl heptanone) 2.4 0 7.8
트리데칸(Tridecane) 5.6 4.6 3.7
노나날(Nonanal) 11.1 1.5 2.6
테트라데칸(Tetradecane) 22.8 8.8 7.0
2-에틸 헥사놀(2-Ethyl Hexanol) 17.4 1.8 1.4
데카날(Decanal) 1.2 0 0.2
펜타데칸(Pentadecane) 0 3.5 2.8
헥사데칸(Hexadecane) 0.3 0.7 0.5
헵타데칸(Heptadecane) 0.2 0.0 0.0
아세토페논(Acetopheone) 0.6 3.4 2.7
헵타날(Heptanal) 0 0 0.3
옥타날(Octanal) 0 0 2.1
이소아밀 알코올(Isoamyl Alcohol) 0 0 8.4
총함량 100.0 100.0 100.0
평가요원 성인 체취와의 유사성
참고예1 참고예2 참고예3
1 2 3 4
2 3 3 5
3 2 4 5
4 2 3 4
5 1 3 5
6 3 4 4
7 4 3 3
8 3 4 4
9 2 3 4
10 2 3 5
평균 2.4 3.3 4.3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분석된 냄새 성분과 관능적으로 체취에 기인된다고 판단되는 성분을 혼합한 체취 혼합물(참고예 3)이 성인 체취와의 유사성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이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체취 마스킹 실험을 진행하였다.
[참고 시험예 3] 체취 마스킹 평가의 조건 설정
직경 150mm의 여과지를 이등분하여 양끝을 클립으로 고정시킨 다음, 상기 참고 시험예 2에서 선정한 인공 체취 혼합물(참고예 3)을 여러 농도로 희석하여 0.8g씩 떨어뜨리고, 그 여과지를 무취실에 15분간 방치하였다. 15분 후 10명의 전문 관능패널이 관능적으로 냄새의 강도를 5점의 척도로 확인하고(1: 냄새가 없다, 2: 약하다, 3: 적당하다, 4: 강하다, 5: 매우 강하다), 평가한 점수를 평균 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인공 체취 혼합물의 농도별 냄새 강도
인공 체취 혼합물
(참고예 3)의 농도(%)
냄새 강도
100 5
50 5
10 5
5 4
3 3
1 2
상기 표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인공 체취 혼합물을 3%의 농도로 희석한 용액에서 적당한 강도의 냄새가 느껴진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3% 농도의 인공 체취 혼합물을 사용하여 향료별 체취 마스킹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1] 향료별 체취 마스킹 정도 및 잔향성 평가
상기 인공 체취 혼합물(참고예 3)의 3% 희석액에 대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 38종을 도 2와 같이 설계된 관능 평가실에서 전문 관능 패널 10명이 관능 평가하였다.
이 때, 실험에 사용된 향료의 농도는 인공 체취 혼합물(참고예 3)의 농도 결정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대표 향료 6종을 각각 0.5%, 1%, 2%, 3% 및 5% 농도로 희석하여 3% 인공 체취 혼합물에 대한 마스킹력의 차이를 전문 관능패널이 평가하고, 그 차이가 느껴질 수 있는 적정 농도를 2%로 결정하였다.
2% 농도로 희석한 향료 희석액과 3% 인공 체취 혼합액을 클립으로 고정시킨 직경 150mm의 여과지에 0.8g씩 떨어뜨리고, 그 여과지를 무취실에 15분간 방치한 후 전문 관능패널이 인공 체취 혼합물에 대한 향의 마스킹 정도와 향 자체의 잔향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점수가 높을수록 마스킹 정도가 높고 잔향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마스킹 정도는 좋지 않은 인공 체취 혼합물의 취를 얼마나 가리울 수 있느냐 하는 정도를 말하며, 잔향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향이 얼마나 남아 있느냐 하는 정도를 말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인공 체취 혼합물에 대한 향료별 마스킹 정도 및 잔향성의 관능 평가 결과
향료명 잔향성 마스킹 정도
아세틸 세드렌 (acetyl cedrene) 2.1 1.8
알데히드 C-12 MNA (aldehyde C-12 MNA) 2.2 4.1
알데히드 C-14 (aldehyde C-14 peach) 4.1 4.0
앰브레톨리드 (ambrettolide) 2.1 2.0
암브록산 (ambroxan) 4.1 4.1
아밀 살리실레이트 (amyl salicylate) 1.0 1.9
아우란티올 (aurantiol) 1.9 4.2
박다놀 (bacdanol) 4.9 2.1
벤질 살리실레이트 (benzyl salicylate) 2.9 1.1
캐쉬머란 (cashmeran) 1.1 3.1
세드람버 (cedramber) 2.4 1.9
세드록시드 (cedroxyde) 1.3 1.1
세레스톨리드 (celestolide) 1.2 2.0
세톤 V (ceton V) 2.1 2.2
시스-3-헥실 살리실레이트 (cis-3-hexyl salicylate) 3.8 2.1
시클라멘 알데히드 (cyclamen aldehyde) 2.0 4.1
에틸 신나메이트 (ethyl cinnamate) 4.9 3.2
에틸 말톨 (ethyl maltol) 5.0 4.9
유게닐 페닐아세테이트 (eugenyl phenylacetate) 1.8 2.1
감마-데카락톤 (γ-decalactone) 5.0 3.1
감마-도데카락톤 (γ-dodecalactone) 4.9 3.0
헬리오날 (helional) 1.2 2.2
헬리오트로핀 (heliotropin) 3.0 2.1
인돌라롬 (indolarome) 1.2 1.9
이소부틸 퀴놀린 (isobutyl quinoline) 4.7 5.0
이소프로필 퀴놀린 (isopropyl quinoline) 4.8 4.9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methyl anthranilate) 2.8 4.0
페닐 아세트산 (phenyl acetic acid) 5.0 4.9
페닐에틸 페닐 아세테이트 (phenylethyl phenylacetate) 2.0 2.1
로살바 (rosalva) 1.1 3.0
로즈페논 (rosephenone) 4.1 4.1
산델라 (sandela) 4.0 2.0
산탈리놀 (santalinol) 4.9 3.0
레몬 오일 (Lemon oil) 1.1 2.7
오렌지 오일 (Orange oil) 0.8 2.1
라벤더 오일 (Lavender oil) 2.1 2.8
로즈마리 오일 (Rosemary oil) 1.3 2.5
구아이악 우드 오일 (guaiac wood oil) 1.9 3.1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알데히드 C-12 MNA, 알데히드 C-14, 암브록산, 아우란티올, 캐쉬머란, 시클라멘 알데히드, 에틸 신나메이트, 에틸 말톨, 감마-데카락톤, 감마-도데카락톤, 이소 부틸 퀴놀린, 이소 프로필 퀴놀린,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페닐 아세트산, 로살바, 로즈페논, 산탈리놀 및 구아이악 우드 오일은 모두 마스킹 정도가 3.0 이상으로 나타나 체취를 가리는 정도가 뛰어나고 대체로 잔향성도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알데히드 C-12 MNA, 알데히드 C-14, 암브록산, 아우란티올, 캐쉬머란, 시클라멘 알데히드, 에틸 신나메이트, 에틸 말톨, 감마-데카락톤, 감마-도데카락톤, 이소 부틸 퀴놀린, 이소 프로필 퀴놀린,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페닐 아세트산, 로살바, 로즈페논, 산탈리놀 및 구아이악 우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향료 물질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중장년층 특유의 체취를 효과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으며, 이로써 체취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시험예 2] 일반인의 체취 마스킹 만족도 평가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 어느 정도 마스킹되어야 좋지 않은 체취를 느끼지 않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인 20명을 대상으로 전문패널을 통해 얻어진 상기 표 5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마스킹 정도별로 1~2종을 선택, 총 7종의 향료를 가지고 체취 마스킹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일반인 대상의 만족도 평가에 사용된 향료는 과일이나 꽃 향기를 지닌 유사한 계열의 향료로 마스킹 정도가 1~2인 벤질 살리실레이트, 2~3인 헬리오날, 페닐에틸 페닐 아세테이트, 3~4인 감마-데카락톤, 에틸 신나메이트 및 4~5인 아우란티올, 로즈페논이다.
먼저, 인공 체취 혼합물 3% 희석액에서의 마스킹 만족도를 1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마스킹 정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점수를 높여 5점까지 5점의 척도로 평가를 실시하고, 얻은 점수를 평균 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향료별 마스킹에 대한 만족도 평가
향료명 마스킹 정도
(전문가)
마스킹 만족도
(일반인)
인공 체취 혼합물의 3% 희석액 1.0 1.0
아우란티올 4.2 4.5
벤질 살리실레이트 1.1 1.5
감마-데카락톤 3.1 4.1
헬리오날 2.2 3.0
에틸 신나메이트 3.2 4.0
로즈페논 4.1 4.6
페닐에틸 페닐 아세테이트 2.1 2.5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전문가 패널이 실시한 마스킹 정도가 3.0 이상인 아우란티올, 감마-데카락톤, 에틸 신나메이트 및 로즈페논의 경우에 일반인의 만족도는 4.0 이상으로 평가되어 체취에 대한 마스킹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따라서, 마스킹 정도가 3.0 이상인 향료 물질을 사용하면 인공 체취 혼합물의 냄새가 일반인에게도 유의하게 마스킹되며, 이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이 좋지 않은 체취를 효과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의 제조
알데히드 C-12 MNA, 알데히드 C-14, 암브록산, 아우란티올, 캐쉬머란, 시클라멘 알데히드, 에틸 신나메이트, 에틸 말톨, 감마-데카락톤, 감마-도데카락톤, 이소 부틸 퀴놀린, 이소 프로필 퀴놀린,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페닐 아세트산, 로살바, 로즈페논, 산탈리놀 및 구아이악 우드 오일은 상기 표 5의 마스킹력 평가에서 마스킹 정도가 3.0 이상인 향료 물질로서, 일반인들도 체취가 마스킹된다고 인식할 수 있는 체취 마스킹용 향료 물질들이다.
상기 체취 마스킹력이 높은 향료 물질들과 기호성을 고려하여 메틸 디히드로 자스모네이트, 다마세논, 갈락솔리드 50 및 디히드로미르세놀을 함께 첨가함으로써 체취를 마스킹할 뿐만 아니라 향료의 잔향성, 향취의 조화 및 기호도를 고려하여 하기 표 7의 조성을 갖는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향료명 함량(중량%)
아우란티올(aurantiol) 2
감마 데카락톤(γ- decalactone) 3
캐시머란(Cashmeran) 11
암브록산(Ambroxane) 6
메틸 디히드로 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 jasmonate) 24
다마세논(damasenone) 4
갈락솔리드 50(galaxolide 50) 30
디히드로미르세놀(Dihydromyrcenol) 20
총함량 100
상기와 같이 제조된 향료 조성물을 시험예 1의 향료별 마스킹 정도 평가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향료 조성물의 2% 희석액과 인공 체취 혼합물의 3% 희석액을 클립으로 고정시킨 직경 150mm의 여과지에 0.8g씩 떨어뜨리고, 그 여과지를 무취실에 15분간 방치한 후 전문 관능패널이 인공 체취 혼합물에 대한 향료 조성물의 마스킹 정도와 기호성을 각각 5점의 척도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점수가 높을수록 마스킹 정도가 높고 기호성이 우수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결과
평가요원 마스킹 정도 기호성
1 4 4
2 4 4
3 5 3
4 4 4
5 4 5
6 4 4
7 4 4
8 5 3
9 5 4
10 3 5
11 4 4
12 4 4
13 3 4
14 4 5
15 5 5
16 5 4
17 4 5
18 4 4
19 3 4
20 4 3
평균 4.1 4.1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은 마스킹 정도가 4.1점으로 우수한 체취 마스킹력을 가지고 4.1점의 높은 기호성을 보여 마스킹 정도와 기호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은 좋지 않은 체취를 효과적으로 마스킹함으로써 체취에 대한 불쾌감을 해소하고 향취 기호성이 매우 높다.
[제형예 1]
기존의 샤워코롱 제조방법에 따라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실시예 1)을 함유하고 하기 표 9의 조성을 갖는 샤워 코롱을 제조하였다.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을 함유한 샤워 코롱
성분 함량(중량%)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실시예 1) 5
알코올 80
To 100
색소 적량
자외선 차단제 적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취 포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취 마스킹력 평가를 위한 관능 평가실의 설계도이다.

Claims (4)

  1. 로살바 및 구아이악 우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향료 물질을 함유하고, 상기 향료 물질을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취 마스킹용 외용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취 마스킹용 외용 향료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5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90040297A 2009-05-08 2009-05-08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KR10113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297A KR101139033B1 (ko) 2009-05-08 2009-05-08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297A KR101139033B1 (ko) 2009-05-08 2009-05-08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237A KR20100121237A (ko) 2010-11-17
KR101139033B1 true KR101139033B1 (ko) 2012-04-30

Family

ID=4340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297A KR101139033B1 (ko) 2009-05-08 2009-05-08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017A (ko) 2022-09-26 2024-04-02 (주)에버텍엔터프라이즈 광 반도체 칩 접착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9567A1 (en) * 2015-03-18 2016-09-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thropod repellent chemicals
KR102049558B1 (ko) * 2016-04-22 2019-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999A (en) * 1994-10-20 1998-11-1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Personal treatment compositions and /or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nduring perfume
JP2001151644A (ja) * 1999-11-29 2001-06-05 Kao Corp 頭皮臭用香料組成物
KR20080026130A (ko) * 2005-05-31 2008-03-24 크라씨에 푸즈 가부시키가이샤 체내 섭취용 체취 개선제, 그것을 이용한 음식품 및 체취개선 방법
JP2008169334A (ja) * 2007-01-12 2008-07-24 Kao Corp 活気向上香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999A (en) * 1994-10-20 1998-11-1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Personal treatment compositions and /or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nduring perfume
JP2001151644A (ja) * 1999-11-29 2001-06-05 Kao Corp 頭皮臭用香料組成物
KR20080026130A (ko) * 2005-05-31 2008-03-24 크라씨에 푸즈 가부시키가이샤 체내 섭취용 체취 개선제, 그것을 이용한 음식품 및 체취개선 방법
JP2008169334A (ja) * 2007-01-12 2008-07-24 Kao Corp 活気向上香料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017A (ko) 2022-09-26 2024-04-02 (주)에버텍엔터프라이즈 광 반도체 칩 접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237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8242B2 (en) Artificial sweat composition
KR101260371B1 (ko)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 조성물
KR20170129194A (ko) 개선된 유기 화합물
JP2002088391A (ja) 香料の香り立ち及び持続性の強化方法及び強化剤
CN103347492B (zh) 含有乌龙茶提取物及/或甜茶提取物的加龄臭抑制剂
KR20080038813A (ko)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139033B1 (ko)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ES2896500T3 (es) Utilización de una composición que comprende 1,8-para-mententiol y acetato de 3-mercaptohexilo como enmascarador de olores
KR100797974B1 (ko)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JP2007137781A (ja) 化粧料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981058B1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20130097070A (ko) 유기 화합물에 있어서 또는 유기 화합물에 관한 개선
KR101723644B1 (ko)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599099B1 (ko)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598026B1 (ko) 피나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4914538B2 (ja) 消臭剤とその用途
KR101843166B1 (ko)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04269B1 (ko) 심비디움 아로마핑크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11051970A (ja) 睡眠改善用香料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並びに睡眠を改善する方法
KR101843168B1 (ko) 제주도 동백동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60455B1 (ko) 류코코리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4B1 (ko)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7B1 (ko)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72B1 (ko) 함안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30028945A (ko) 살냄새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