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945A - 살냄새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냄새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945A
KR20230028945A KR1020210110850A KR20210110850A KR20230028945A KR 20230028945 A KR20230028945 A KR 20230028945A KR 1020210110850 A KR1020210110850 A KR 1020210110850A KR 20210110850 A KR20210110850 A KR 20210110850A KR 20230028945 A KR20230028945 A KR 20230028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erfume composition
perfume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9049B1 (ko
Inventor
김나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11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904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1085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90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1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냄새 향취를 구현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살냄새의 주요 향기 성분인 알데하이드 C-9 및 이소랄데인70에, 벤질아세테이트, 디하이드로미르세놀 및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 1 향료 성분과, i) 시클라멘알데하이드 및/또는 알데하이드 C-10, ii) 네롤 및/또는 헤디온, 및 iii) 제라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리나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2향료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살냄새의 향취를 매우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향취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살냄새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 {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skin}
본 발명은 살냄새의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체취란 일반적으로 몸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를 의미하며, 생리학적 흐름에 의한 인체취와 식생활 습관과 연관된 생활취가 결합된 형태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체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포크린 땀샘이며, 여기서 발생한 땀이 피부 상재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단백질과 결합해 불쾌한 냄새를 만들어낸다.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인은 체취에 대한 고민이 서양인에 비해 덜하다. 그 이유는 아포크린 땀샘이 적게 분포하는 유전자 형질(ABC11 AA)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 중 특히 한국인은 극단적 다수에 이르는 비율로 ABC11 AA 유전자 형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해 체취에 대한 고민이 덜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깨끗한 체취를 보유하고 있어 체취를 없애주는 데오도란트 시장 규모도 서양에 비해 작다고 볼 수 있다.
불쾌한 냄새를 의미하는 체취와는 반대로, '좋은, 깨끗한, 또는 기분 좋은 냄새'를 의미하는 것을 흔히 "살냄새"로 표현해왔다. 이는 주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적 표현이며 소비자 언어로 볼 수 있다. 시중의 '살냄새 향기'로 회자되는 향수 또는 바디케어 제품의 경우, 깨끗한 느낌의 화이트 머스크(white musk) 또는 베이비 파우더(baby powder) 느낌의 향(파우더리 향, powdery)을 주로 사용하며, '자연스러운, 은은한, 따스한, 또는 체취와 잘 어우러지는' 등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은은하고 부드러운 향기 계열 특성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는 단순히 감성적인 향기 표현으로서의 '살냄새'를 소구하고 있으며, 향기 성분의 조성을 근거로 '살냄새'를 표현한 퍼스널 케어 제품은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살냄새'라는 추상적인 향기를 소비자 조사 및 향기 SD 분석(semantic differential method, 의미 척도법)을 통해 적절한 향기 속성과 매칭시키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살냄새'를 깨끗한 피부에서 나는 비누와 같은 세정 제품의 잔류 향기로 규정짓고, 살냄새에 대한 향 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상기 분석된 성분을 인공적으로 혼합함에도 선호도가 우수한 향취를 얻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고, 추가 성분을 선택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선호도를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살냄새 유사도를 가질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데하이드 C-9, 이소랄데인70, 제 1 향료 성분 및 제 2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알데하이드 C-9;
이소랄데인70;
벤질아세테이트, 디하이드로미르세놀 및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 1 향료 성분; 및
i) 시클라멘알데하이드 및/또는 알데하이드 C-10,
ii) 네롤 및/또는 헤디온, 및
iii) 제라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리나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2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퍼스널케어 제품 및 홈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알데하이드 C-9, 이소랄데인70, 제 1 향료 성분 및 제 2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살냄새 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향기를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용매를 사용한 용매추출법(extraction), 수증기를 이용한 수증기증류법(steam distillation)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가열, 감압 등에 의해 향기 성분이 소실되거나 변화되어 원 물질이 가지는 향취와는 차이가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SPME(Solid-Phase Micro Extraction) 법과 헤드스페이스(Headspace) 법 등이 개발되었다. 이 두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시료의 전처리도 필요 없으므로, 다량의 시료가 필요하지 않고 시료 자체를 가지고 향취 성분을 분석할 수 있어 시료가 가지는 본래의 향취를 구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SPME 법은 분석하고자 하는 발산된 향취를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시킨 상태로, 향취를 흡착하는 화이버를 위치시켜, 향취 성분들을 흡착한 후, 흡착된 향취 물질들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photometry, GC-MS)을 통해 정량 분석하는 방법이다.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GC-MS) 법은 휘발성 물질의 함량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GC-MS는 상기 SPME를 통해 주입된 시료 내의 여러 가지 화합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로 분리한 후, 유입되는 물질의 원자량을 측정함으로써(MS), 상기 화합물들의 함량을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방법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향취의 구성 성분과 그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향기 성분 분석 기술로 얻어진 살냄새의 향기 성분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는, 알데하이드 C-9 및 이소랄데인70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데하이드 C-9 및 이소랄데인70은 살냄새 어코드로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살냄새 어코드는 헤드스페이스 법을 이용하여 분석 및/또는 채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냄새 어코드"는 깨끗이 씻고 난 후의 은은한 비누향과 파우더리향을 가지면서도 깨끗하고, 부드러우며, 밝고, 자연스러운 속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을 가진 향기가 피부에 남았을 때 소비자가 인식하는 향기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살냄새 어코드는 살냄새 향취 성분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체 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데하이드 C-9는 0.001 내지 5 중량부, 예컨대 0.005 내지 3 중량부, 0.01 내지 1 중량부, 0.05 내지 0.5 중량부, 0.08 내지 0.3 중량부, 0.1 내지 0.2 중량부, 0.001 내지 1 중량부, 0.005 내지 0.1 중량부, 0.01 내지 0.0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소랄데인70은 0.1 내지 20 중량부, 예컨대 0.3 내지 15 중량부, 0.5 내지 10 중량부, 0.8 내지 5 중량부, 0.9 내지 2.9 중량부, 0.3 내지 18 중량부, 0.5 내지 16 중량부, 0.8 내지 14 중량부, 1 내지 1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냄새 어코드는 전체 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25 중량부, 예컨대 0.005 내지 20 중량부, 0.01 내지 15 중량부, 0.05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3.5 중량부, 0.8 내지 3.3 중량부, 0.005 내지 23 중량부, 0.01 내지 20 중량부, 0.05 내지 17 중량부, 1 내지 1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살냄새의 주요 향기 성분들만으로는 살냄새의 향기를 제대로 재현할 수 없으며, 향취의 기호도가 떨어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벤질아세테이트, 디하이드로미르세놀 및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 1 향료 성분을 추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향료 성분은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벤질아세테이트를 0.01 내지 20 중량부, 예컨대 0.03 내지 15 중량부, 0.05 내지 10 중량부, 0.08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0.5 내지 2.5 중량부, 1 내지 2 중량부, 1.5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시킬 수 있고, 디하이드로미르세놀을 0.0001 내지 5 중량부, 예컨대 0.0003 내지 3 중량부, 0.0005 내지 1 중량부, 0.0008 내지 0.5 중량부, 0.001 내지 0.3 중량부, 0.003 내지 0.1 중량부, 0.005 내지 0.05 중량부, 0.008 내지 0.03 중량부, 0.01 내지 0.02 중량부, 0.0005 내지 3 중량부, 0.001 내지 2 중량부, 0.005 내지 1 중량부, 0.01 내지 0.8 중량부, 0.05 내지 0.5 중량부, 0.1 내지 0.2 중량부로 포함시킬 수 있으며,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를 0.01 내지 20 중량부, 예컨대 0.1 내지 18 중량부, 0.5 내지 16 중량부, 0.8 내지 14 중량부, 1 내지 12 중량부, 1.3 내지 10 중량부, 1.5 내지 8 중량부, 1.8 내지 6 중량부, 0.02 내지 15 중량부, 0.03 내지 10 중량부, 0.04 내지 8 중량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향료 성분은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45 중량부, 예컨대 0.05 내지 35 중량부, 0.1 내지 30 중량부, 0.5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3 중량부, 1.5 내지 10 중량부, 1.6 내지 9.7 중량부, 2.0 내지 8.5 중량부, 2.5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향료 성분의 함량 범위를 향료 조성물 내 포함시킴으로써, 전술한 살냄새 어코드에 따른 살냄새의 향기를 구현함에 있어서 향취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냄새 향취의 구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제 2 향료 성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상기 살냄새의 주요 향기 성분에 i) 시클라멘알데하이드 및/또는 알데하이드 C-10, ii) 네롤 및/또는 헤디온, 및 iii) 제라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리나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2 향료 성분을 추가하여 살냄새 향취의 구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i) 내지 ii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2 향료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i)의 시클라멘알데하이드는 0.01 내지 20 중량부, 예컨대 0.1 내지 18 중량부, 1 내지 16 중량부, 5 내지 14 중량부, 8 내지 12 중량부, 0.03 내지 10 중량부, 0.06 내지 5 중량부, 0.09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2 내지 0.5 중량부, 0.3 내지 0.4 중량부로 포함되고, 알데하이드 C-10은 0.01 내지 15 중량부, 예컨대 0.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8 중량부, 3 내지 8 중량부, 4 내지 6 중량부, 0.015 내지 10 중량부, 0.02 내지 5 중량부, 0.025 내지 1 중량부, 0.03 내지 0.5 중량부, 0.035 내지 0.1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ii)의 네롤은 0.001 내지 20 중량부, 예컨대 0.005 내지 19 중량부, 0.01 내지 18 중량부, 1 내지 17 중량부, 3 내지 16 중량부, 5 내지 14 중량부, 8 내지 12 중량부, 0.005 내지 10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 0.015 내지 1 중량부, 0.02 내지 0.5 중량부, 0.025 내지 0.1 중량부, 0.03 내지 0.09 중량부로 포함되고, 헤디온은 0.01 내지 30 중량부, 예컨대 1 내지 25 중량부, 3 내지 20 중량부, 5 내지 15 중량부, 7 내지 13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iii)의 제라닐 아세테이트는 0.01 내지 20 중량부, 예컨대 0.1 내지 15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3 내지 8 중량부, 4 내지 6 중량부, 0.02 내지 10 중량부, 0.04 내지 5 중량부, 0.06 내지 1 중량부, 0.08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되고, 리나릴 아세테이트는 0.01 내지 20 중량부, 예컨대 0.05 내지 18 중량부, 0.1 내지 15 중량부, 0.5 내지 13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3 내지 8 중량부, 4 내지 6 중량부, 0.05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3 중량부, 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 2 향료 성분은 ii) 네롤 및/또는 헤디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향료 성분은 전체 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부, 예컨대 0.1 내지 40 중량부, 1 내지 30 중량부, 5 내지 25 중량부, 10 내지 2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살냄새 향취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 향료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향료 성분은 아니스알데하이드, 디메톨, 제라니올, 자마사이클렌 및 리나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시판품을 사용하거나, 식물로부터 분리, 반합성 또는 합성을 통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가 향료 성분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니스알데하이드는 0.01 내지 10 중량부, 예컨대 0.03 내지 5 중량부, 0.05 내지 1 중량부, 0.08 내지 0.5 중량부, 0.1 내지 0.4 중량부, 0.015 내지 5 중량부, 0.02 내지 1 중량부, 0.025 내지 0.5 중량부, 0.03 내지 0.1 중량부, 0.035 내지 0.05 중량부로 포함되며; 디메톨은 0.01 내지 10 중량부, 예컨대 0.03 내지 5 중량부, 0.05 내지 1 중량부, 0.08 내지 0.5 중량부, 0.1 내지 0.4 중량부, 0.015 내지 5 중량부, 0.02 내지 1 중량부, 0.025 내지 0.5 중량부, 0.03 내지 0.1 중량부, 0.035 내지 0.05 중량부로 포함되고; 제라니올은 0.01 내지 10 중량부, 예컨대 0.05 내지 5 중량부, 0.01 내지 1 중량부, 0.2 내지 0.6 중량부, 0.02 내지 8 중량부, 0.03 내지 6 중량부, 0.04 내지 4 중량부, 0.05 내지 2.4 중량부, 0.06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며; 자마사이클렌은 0.01 내지 10 중량부, 예컨대 0.05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2 내지 0.5 중량부, 0.02 내지 5 중량부, 0.03 내지 1 중량부, 0.04 내지 0.5 중량부, 0.05 내지 0.1 중량부로 포함되고; 리나룰은 0.01 내지 10 중량부, 예컨대 0.05 내지 9.9 중량부, 0.1 내지 9.8 중량부, 0.5 내지 9.6 중량부, 1 내지 9.4 중량부, 1.5 내지 9.2 중량부, 2 내지 9 중량부, 2.5 내지 8.7 중량부, 2.8 내지 8.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가 향료 성분은, 전체 향료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부, 예컨대 0.05 내지 45 중량부, 0.1 내지 40 중량부, 0.5 내지 35 중량부, 1 내지 30 중량부, 1.5 내지 25 중량부, 2 내지 20 중량부, 2.5 내지 15 중량부, 3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바디 화장품 등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기초 화장품의 예로는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고;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일 수 있다. 피부 외용제는,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제형 및 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은 비교적 높은 농도일 수 있는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를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특히 워시-오프 타입에서 향의 지속력을 높일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은 상쾌함을 유지하면서도 지속력을 높여주어야 하므로, 땀이나 인체 분비물 등에 향료가 덜 씻겨져 나가야 하고, 향료 착향 이후에 서서히 휘발되는 향료이어야 하며, 기타 첨가제로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할 경우, 상기 기타 첨가제와 혼합시 경기 안정도가 뛰어나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범위의 logP 값을 갖는 향 성분들을 조합하여, 향의 지속력을 높일 수 있다. logP 값의 P는 분별계수로 단일 향료 성분을 옥탄올에 녹였을 때의 농도와 물에 녹였을 때의 용해도 비로서, 대부분의 향료 물질이 친유성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P 값이 10 내지 10,000,000 이상이 되고, 지나치게 큰 수치를 떨어뜨리기 위해 log 값을 취한 것이 logP 값이다. 향료의 지속력은 각 향료의 logP 값과 끓는 점(휘발도, b.p)으로 결정되며, 모든 향료에는 logP 값이 존재하는데 그 값의 범위는 대부분 1 내지 7의 값을 가진다.
logP 값은, 보다 구체적으로, 향료 물질인 A의 분배에 관한 값(Partitiation)으로서, [A](옥탄올)/[A](물) 일 수 있으며, 이는 향료 물질 내의 물에 대한 향료 물질 내의 옥탄올의 농도 값일 수 있다 logP 값이 1에 가까워질수록 친수성(hydrophilic)이며, 7에 가까워질수록 친유성(hydrophobic)의 성질을 갖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향료 조성물 내 각 향료 성분들은 logP 값이 2 내지 5일 수 있으며, logP 값이 상기 범위인 경우 우수한 향 지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
향료의 끓는 점(휘발도, b.p)은 향료를 착향한 이후, 신체에 잔존하는 향료들이 얼마만큼 오래 휘발되는지를 알 수 있는 인자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향료 조성물 내 각 향료 성분의 끓는 점은 200 ℃ 이상일 수 있다. 향료 성분의 끓는 점이 200 ℃ 미만일 경우, 낮은 온도에서도 지나치게 잘 휘발되어 지속력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방향용 물품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방향제, 탈취제, 디퓨저, 양초, 유류, 젤, 구슬, 플러그인 등에 포함되어 방향용 물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퍼스널케어 제품 또는 홈케어 제품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퍼스널케어 제품은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 에센스 등의 헤어 제품; 치약, 가글 등의 구강 제품; 바디워시, 바디젤, 비누 등의 피부 세정제 등일 수 있고, 상기 홈케어 제품은 향수 등의 방향제; 섬유 유연제, 주방 세제 등의 세탁 세제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험예 및 제조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살냄새의 주요 향기 성분인 알데하이드 C-9 및 이소랄데인70에, 벤질아세테이트, 디하이드로미르세놀 및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 1 향료 성분과, i) 시클라멘알데하이드 및/또는 알데하이드 C-10, ii) 네롤 및/또는 헤디온, 및 iii) 제라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리나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2 향료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살냄새의 향취를 매우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향취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2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9의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을 이용한 살냄새의 향취 성분 분석
헤드스페이스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물로 씻어낸 후 잔류한 비누 향기(살냄새) 성분을 분석하였다.
헤드스페이스 분석 방법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시료 향취 성분을 채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스페이스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세정 제품으로는 세계적으로 대표되는 비누 3종을 선정하였고, 동량의 비누를 정제수에 희석한 상태와, 면으로 이루어진 여과지를 희석물에 흡수시키고 깨끗한 정제수로 10회 이상 씻어낸 후 물기를 닦아낸 상태의 비누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성분 중 3종 비누에서 공통적으로 분석된 성분과 그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 조건>
분석기기: Hewlett Packard 6890
검출기: FID
컬럼: HP-20M 0.2mm ID x 25m
주입부 온도: 250℃
검출부 온도: 250℃
오븐온도: 55℃(0분)~215℃(40분), 4.0℃/분
분할비율(Split Ratio): 30:1
이동상 기체: 헬륨 18cm/sec
주입량: 0.3 ml
공통적으로 분석된 향료 성분명 중량 (%)
비누 A 비누 B 비누 C
알데하이드 C-9(Aldehyde C-9) 0.6 11 0.5
이소랄데인70(Isoraldein70) 1.5 0.2 1.4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5.7 3.0 5.5
디하이드로미르세놀(Dihydro Myrcenol) 7.0 2.4 2.0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Hexyl Cinnamic Aldehyde) 5.3 0.3 4.3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2.5 4.5 2.5
디메톨(Dimetol) 0.5 0.5 0.7
제라니올(Geraniol) 0.3 1.1 0.2
자마사이클렌(Jasmacyclene) 5.2 0.6 5.4
리나룰(Linalool) 9.3 3.1 10.0
기타 62.1 73.4 67.5
총 합계 100.0 100.0 100.0
향료업계 조향사 5인이 상기 분석된 성분을 관능평가하여, 비누향과 파우더향을 내는 주요 향취 성분을 각각 5개씩 선정하고, 선정된 성분을 O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향료 성분명 조향사 A 조향사 B 조향사 C 조향사 D 조향사 E
알데하이드 C-9(Aldehyde C-9) O O O O
이소랄데인70(Isoraldein70) O O O O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O O O
디하이드로미르세놀(Dihydro Myrcenol) O O O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Hexyl Cinnamic Aldehyde) O O O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O O
디메톨(Dimetol) O
제라니올(Geraniol) O O
자마사이클렌(Jasmacyclene) O O
리나룰(Linalool) O
분석 결과 과반수 이상인 3표 이상을 받은 향취 성분인 알데하이드 C-9, 이소랄데인70, 벤질아세테이트, 디하이드로미르세놀 및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를 잔류한 비누향에서 느껴지는 향취의 주요 성분으로 선정하였고, 특히 알데하이드 C-9와 이소랄데인70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부수적인 향취 성분으로는 아니스알데하이드, 디메톨, 제라니올, 자마사이클렌 및 리나룰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살냄새 어코드의 제조
향료업계 조향사 5인이 상기 향기 성분을 토대로 분석된 함량 기준이 아닌 적정 향 강도를 기준으로 하기 표 3의 함량을 갖는 살냄새 어코드 조합을 제조하였다. 이후, 관능평가를 통해 제조된 어코드의 향취를 선호도, 강도 및 살냄새 유사도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관능평가 대상자로는 향료업계의 조향사 10명을 선정하였다.
향료 성분명 중량(%)
알데하이드 C-9(Aldehyde C-9) 0.8
이소랄데인70(Isoraldein70) 12.1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8.1
디하이드로미르세놀(Dihydro Myrcenol) 0.8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Hexyl Cinnamic Aldehyde) 24.3
DPG(Dipropylene glycol) 53.9
총 합계 100
향료업계 조향사 10명을 대상으로 상기 표 3의 조성물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강도가 매우 강하거나, 단조로운 향취의 경우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강한 향취로 인해 은은하고 자연스러운 이미지가 연상되는 '살냄새'와의 유사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로써, 물로 씻어낸 후 잔류된 향기 성분만으로 '살냄새'가 연상되는 향취를 내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하여 우수한 선호도와 우수한 살냄새 유사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3의 조성물을 어코드화하여 함량을 조절하여 적용함으로써 적절한 향취 강도를 내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내지 4. 살냄새 어코드의 함량별 향료 제조
앞서 상기 실험예 2의 조성물이 매우 강한 향취 강도로 인해 선호도 및 살냄새에 대한 유사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용매인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로 희석 및 기타 향취에 영향을 적게 주는 부수적인 향취 성분의 함량을 늘림으로써 강도를 낮춘 비교예 1 내지 4의 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의 향료는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대조예로는 실험예 2에서 제조된 살냄새 어코드 성분을 100 중량부로 제조한 조합 향료를 사용하였다.
향료 성분명 함량 중량%
대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알데하이드 C-9(Aldehyde C-9) 0.8 0.6 0.2 0.1 0.1
이소랄데인70(Isoraldein70) 12.1 8.5 2.9 1.5 0.9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8.1 5.7 1.9 1 0.6
디하이드로미르세놀(Dihydro Myrcenol) 0.8 0.6 0.2 0.1 0.1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Hexyl Cinnamic Aldehyde) 24.3 17 5.8 2.9 1.9
DPG(Dipropylene glycol) 53.9 67.6 89 94.4 96.4
총 합계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3. 살냄새 어코드의 함량별 향료의 관능평가
상기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살냄새 어코드 함량별 향료를 대상으로 살냄새와의 유사성, 선호도 및 강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 대상자는 향료업계 조향사 10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대조예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향료 각각에 대한 유사성 평가는 하기 표 5에 따른 5점 척도에 따라 평가하였고, 만족도는 하기 표 6에 따른 5점 척도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강도는 하기 표 7에 따른 5점 척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점수 유사도
1 매우 약하다
2 조금 약하다
3 보통이다
4 조금 강하다
5 매우 강하다
점수 선호도
1 매우 좋지 않다
2 조금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좋다
5 매우 좋다
점수 강도
1 매우 약하다
2 조금 약하다
3 보통이다
4 조금 강하다
5 매우 강하다
평가자 유사도 선호도 강도
번호 나이 성별 대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대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대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30 1 2 3 3 4 1 1 2 3 3 5 5 3 3 4
2 37 1 2 4 3 3 2 2 2 1 2 4 4 3 3 4
3 28 2 1 4 2 3 1 2 3 4 3 5 5 4 3 3
4 29 1 1 5 5 5 1 2 2 2 4 5 4 3 4 3
5 35 2 2 4 5 4 1 2 2 2 5 5 4 2 4 3
6 33 1 2 4 5 5 2 2 2 2 3 5 4 3 5 4
7 32 1 2 4 4 3 1 1 2 3 2 5 5 4 3 4
8 27 1 1 5 4 3 2 1 3 1 3 5 4 3 3 3
9 29 1 2 4 5 4 1 2 2 1 2 5 4 4 3 3
10 30 2 1 4 5 4 1 3 2 1 2 5 4 4 4 3
평균 31 1.3 1.6 4.1 4.1 3.8 1.3 1.8 2.2 2 2.9 4.9 4.3 3.3 3.5 3.4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예는 살냄새에 대해 매우 낮은 유사도와 선호도를 나타냈고, 이는 매우 높은 강도로 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살냄새 어코드 성분의 함량이 약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된 비교예 2 내지 4에서 개선된 유사도 및 적절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나, 선호도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향료 조성물의 향취 만족도 평가
상기 실험예 3에서 우수한 살냄새 유사도를 나타낸 비교예 2 내지 4에 대하여, 상기 비교예의 선호도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한 살냄새 향료를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2 내지 4의 향료에 용매인 DPG를 향료 성분으로 일부 변경하여 새로운 조합의 개선된 살냄새 향료를 제조하였다. 각 비교예에 추가할 추가 성분 및 상기 추가 성분의 함량은 조향사 전문 집단의 판단으로 결정하였으며, 각각 2종씩의 성분을 추가하여 추가된 총 함량이 10 내지 20 중량부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추가 성분의 선정 기준은 살냄새 향료의 SD 분석을 통해 소비자가 인식하는 '좋은 살냄새'의 향기 속성으로 확인한, 깨끗하고, 부드럽고, 밝고, 자연스러운 향취를 갖는 성분들로 구성되었다. 그 외 성분들에 대해, 조향사 전문 집단의 판단으로 20 내지 30 중량부의 기타 성분도 첨가하였으나, 향취의 조화도(harmonizing)를 보강하기 위한 부수적인 향취 성분으로 이루어졌다. 새로운 조합 개선 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향료 성분명 비교예 2의 개선 비교예 3의 개선 비교예 4의 개선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실시예 7 실시예 8
알데하이드 C-9 0.2 0.2 0.2 0.2 0.1 0.1 0.1 0.1 0.1 0.1 0.1
이소랄데인70 2.9 2.9 2.9 2.9 1.5 1.5 1.5 1.5 0.9 0.9 0.9
벤질아세테이트 1.9 1.9 1.9 1.9 1.0 1.0 1.0 1.0 0.6 0.6 0.6
디하이드로미르세놀 0.2 0.2 0.2 0.2 0.1 0.1 0.1 0.1 0.1 0.1 0.1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5.8 5.8 5.8 5.8 2.9 2.9 2.9 2.9 1.9 1.9 1.9
아니스알데하이드 0.4 0.4 0.4 0.4 0.2 0.2 0.2 0.2 0.1 0.1 0.1
디메톨 0.4 0.4 0.4 0.4 0.2 0.2 0.2 0.2 0.1 0.1 0.1
제라니올 0.6 0.6 0.6 0.6 0.3 0.3 0.3 0.3 0.2 0.2 0.2
자마사이클렌 0.5 0.5 0.5 0.5 0.2 0.2 0.2 0.2 0.2 0.2 0.2
리나룰 8.5 8.5 8.5 8.5 4.6 4.6 4.6 4.6 2.8 2.8 2.8
시클라멘알데하이드   10.0 - 10.0 - - - - - - -
알데하이드 C-10   - 5.0 5.0 - - - - - - -
네롤 - - - - - 10.0 - 10.0 - - -
헤디온 - - - - - - 10.0 10.0 - - -
제라닐아세테이트 - - - - - - - - - 5.0 -
리나릴아세테이트 - - - - - - - - - - 5.0
DPG(Dipropylene glycol) 78.6 68.6 73.6 63.6 88.9 78.9 78.9 68.9 93 88 88
총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 9의 조성으로 제조된 살냄새 향료의 살냄새 유사도 및 선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20 내지 40세의 신체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비교예 2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9의 개선 향료 각각에 대한 유사도 평가는 상기 표 5에 따른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고, 선호도는 상기 표 6에 따른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살냄새 유사도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고, 선호도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표 10 및 표 11의 결과를 도 1에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평가와 시료 준비는 분리된 공간에서 수행하여 평가자가 시료의 사전 인지가 없도록 하였다.
평가자 유사도
비교예 2의 개선 비교예 3의 개선 비교예 4의 개선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평균 3.6 4.0 3.8 4.4 3.2 3.8 3.8 4.6 3.3 3.7 3.9 4.2
살냄새에 대한 유사도 평가 결과,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냄새 어코드의 주요 성분만으로 조합된 상기 비교예 2에 시클라멘알데하이드와 알데하이드 C-10을 모두 첨가한 상기 실시예 3의 살냄새 유사도가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비교예 3에 네롤과 헤디온을 모두 첨가한 상기 실시예 6의 경우 살냄새 유사도가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실시예 6은 실시예 1 내지 7 가운데 가장 우수한 살냄새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4에 제라닐 아세테이트와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모두 첨가한 상기 실시예 9의 살냄새 유사도도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가자 선호도
비교예 2의 개선 비교예 3의 개선 비교예 4의 개선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평균 3.4 3.8 3.9 4.4 3.0 3.5 3.7 4.7 3.2 3.5 4.1 4.5
선호도 평가 결과,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냄새 어코드 주요 성분만으로 조합된 상기 비교예 2에 시클라멘알데하이드와 알데하이드 C-10을 모두 첨가한 상기 실시예 3의 선호도가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비교예 3에 네롤과 헤디온을 모두 첨가한 상기 실시예 6의 선호도가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실시예 6은 실시예 1 내지 7 가운데 가장 우수한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4에 제라닐 아세테이트와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모두 첨가한 실시예 9의 선호도도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물로 씻어낸 후 깨끗한 피부에 잔류된 비누 향기 성분(살냄새)의 조합에 i) 시클라멘알데하이드 및/또는 알데하이드 C-10, ii) 네롤 및/또는 헤디온, 또는 iii) 제라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살냄새 유사도 및 향의 선호도가 개선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상기 살냄새 향료 조성물은 퍼스널케어 제품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알데하이드 C-9;
    이소랄데인70;
    벤질아세테이트, 디하이드로미르세놀 및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 1 향료 성분; 및
    i) 시클라멘알데하이드 및 알데하이드 C-10 중 하나 이상,
    ii) 네롤 및 헤디온 중 하나 이상, 및
    iii) 제라닐 아세테이트 및 리나릴 아세테이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2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알데하이드 C-9는 0.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소랄데인70은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i)에서, 시클라멘알데하이드는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고,
    알데하이드 C-10은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ii)에서, 네롤은 0.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고,
    헤디온은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iii)에서, 제라닐 아세테이트는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고,
    리나릴 아세테이트는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향료 성분은 ii) 네롤 및 헤디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알데하이드 C-9 및 이소랄데인70은 0.00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향료 성분에서,
    벤질아세테이트는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고;
    디하이드로미르세놀은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며;
    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는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향료 성분은 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아니스알데하이드, 디메톨, 제라니올, 자마사이클렌 및 리나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향료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추가 향료 성분에서
    아니스알데하이드는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디메톨은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며;
    제라니올은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자마사이클렌은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며;
    리나룰은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추가 향료 성분은 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살냄새 구현용 향료 조성물인 향료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제품.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케어 제품.
KR1020210110850A 2021-08-23 살냄새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7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50A KR102679049B1 (ko) 2021-08-23 살냄새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50A KR102679049B1 (ko) 2021-08-23 살냄새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945A true KR20230028945A (ko) 2023-03-03
KR102679049B1 KR102679049B1 (ko) 2024-07-0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80576B (zh) 一种花香果香调香精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JP2005350354A (ja) 腋臭の消臭用組成物、それを含む皮膚化粧料及び繊維用消臭剤
CN114026418A (zh) 有机化合物中或与之相关的改进
JP2012001551A (ja) 腋臭の消臭用組成物、それを含む皮膚化粧料及び繊維用消臭剤
KR20120140686A (ko)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427113B2 (ja) フレグランス組成物
KR102679049B1 (ko) 살냄새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
CN114384161B (zh) 香料的残香性评价方法、残香性赋予剂和残香性改良方法
KR20230028945A (ko) 살냄새 향취를 구현한 향료 조성물
EP4355436A1 (en) 1,3-butylene glyc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BR102014026002A2 (pt) propionatos de 3-(cicloex-1-en-1-ila) e seus usos em composições de perfume
KR101614066B1 (ko) 황금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23644B1 (ko)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599099B1 (ko)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843169B1 (ko) 제주도 물영아리 오름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60455B1 (ko) 류코코리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3650B1 (ko) 오얏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70B1 (ko) 지리산 음양수샘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7492638B1 (ja) 香料組成物、及び化粧品
KR101843163B1 (ko)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12854B1 (ko) 홍화꽃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4B1 (ko)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98026B1 (ko) 피나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7B1 (ko)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30067869A (ko) 란타나 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