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49B1 -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49B1
KR102063449B1 KR1020130138848A KR20130138848A KR102063449B1 KR 102063449 B1 KR102063449 B1 KR 102063449B1 KR 1020130138848 A KR1020130138848 A KR 1020130138848A KR 20130138848 A KR20130138848 A KR 20130138848A KR 102063449 B1 KR102063449 B1 KR 102063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mposition
weight
amount
flav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185A (ko
Inventor
이은주
고승호
우창식
함대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3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4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Abstract

헤드스페이스법에 의해 분석된 풍란의 향취 성분과 추가 성분으로서 투명하고 깨끗한 꽃향을 가지는 릴리알과 그린하고 약간 과일향 느낌을 가진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풍란(Neofinetia falcata)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Neofinetia falcata}
본 발명은 풍란(Neofinetia falcate)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풍란은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나무줄기와 바위 겉에 붙어서 자라는 착생란으로 현재는 자생지인 남부 해안가에서도 보기 힘들어진 귀한 식물이다. 남해안 일대, 제주도와 다도해 도서, 서해안 홍도에서 자생하는 한국 고유의 난으로 생명력이 강해 수분함량이 많은 해안가 숲속, 나무, 바위에 붙어산다. 풍란의 뿌리는 굵은 끈 모양인데 바위나 나무의 양분, 수분을 빨아들이는 착생란 특유의 강한 생명력을 보여주며, 난 중 유일하게 뿌리를 감상할 수 있다. 잎의 길이는 10cm도 안되고 두터우며, 7월에는 겹친 입 사이에서 초여름 꽃대가 뻗어 순백의 작은 꽃을 여러 송이 피우는데 그 꽃은 달콤하고 그윽한 향기를 낸다.
이러한 풍란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방법으로 풍란의 향취 성분을 용매를 사용하여 화정유(Absolute) 형태로 만드는 용매추출법과 향기성분을 정유(Essential oil)로 만드는 수증기증류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그 개체수가 많지 않은 한국의 자생 풍란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고, 또한 추출과정에서 높은 열을 가해야 하고, 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풍란이 가진 본래의 향취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헤드스페이스법(Head space method)을 이용하였다. 헤드 스페이스법은 시료를 밀폐된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휘발성 물질을 용기의 위쪽 공간에 모이게 하여 뽑아내는 방법으로, 실온에서 사람이 코로 맡을 수 있는 정도의 휘발성을 갖는 성분을 뽑아내고자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스페이스법은 기존의 추출법과는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 또한 필요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향취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분석된 향취의 주성분만으로 향료를 제조할 경우 유사성이 낮고 기호도 역시 충분하지 않아 대상물의 향취를 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104912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살아있는 천연물의 향취물질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헤드스페이스법을 이용하여, 풍란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관능검사를 수행한 결과, 분석한 향취의 주요 성분만으로는 풍란의 향취를 재현할 수 없지만, 여기에 릴리알(Lilial) 및 스티랄릴 아세테이트(Styralyl Acetate)를 함께 사용하게 되면 한국 자생 풍란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으며, 뛰어난 기호성을 나타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 풍란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풍란의 향취 성분 및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헤드스페이스법에 의해서 분석된 풍란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메틸 벤조에이트(Methylbenzoate),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cis-3-Hexenyl tiglate), 바닐린(Vanillin), 리모넨(Limonene), 제라닐 아세톤(Geranyl Acetone) 등의 풍란 향취의 주요 성분에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함유함으로써, 풍란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향취의 기호성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풍란의 향취 성분 및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풍란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풍란의 향취 성분으로는 주요 성분과 부차적인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주요 성분은 메틸 벤조에이트,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바닐린, 리모넨 및 제라닐 아세톤 등이 사용된다. 상기 부차적인 성분으로는 메틸 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 데카날(Decana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리날룰(Linalool),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인돌(Indole) 및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등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풍란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여 풍란과의 향취 유사성을 높이고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풍란의 향취 성분에 인공 합성물질로서 투명하고 깨끗한 꽃향을 가지는 릴리알과 그린하고 약간 과일향 느낌을 가진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필수성분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상기 주요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 벤조에이트 27.5~47.5 중량%,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12.5~19.5중량%, 바닐린 2.0~3.0중량%, 리모넨4.0~7.0중량%, 제라닐 아세톤 4.0~7.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 성분의 총 함유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80중량%,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상기 부차적인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 자스모네이트 6.5~15.0중량%, 데카날 2.5~3.5중량%, 벤질알코올 1.5~7.0중량%, 리날룰 6.0~15.5중량%, 벤즈알데하이드 1.5~3.0중량%, 메틸 살리실레이트 1.0~3.5중량%, 인돌 0.5~1.0중량%, 벤질 아세테이트 0.5~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릴리알을 5.0~10.0중량%, 그리고 상기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1.0~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풍란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인 메틸 벤조에이트,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바닐린, 리모넨, 제라닐 아세톤 및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는 상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할 경우, 풍란과의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그 외의 부차적인 성분인 메틸 자스모네이트, 데카날, 벤질알코올, 리날룰, 벤즈알데하이드, 메틸 살리실레이트, 인돌, 벤질 아세테이트 등은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풍란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도 함유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로 혼합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향수,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 기제에 배합될 수 있고,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외용 기제로는, 예를 들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이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한국 풍란의 향취 성분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헤드스페이스법을 사용한다. 헤드스페이스법은 전처리한 폴리머 화이버(Fiber)에 흡착된 향취 성분들이 GS-MS 컬럼안으로 빠르게 탈착, 주입될 수 있어, 분석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므로, 풍란의 향취 성분을 분석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헤드스페이스법에 의해서 분석된 풍란의 향취 성분을 토대로, 조합향료를 조성하고, 이에 대해 풍란 향취와의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후각관능검사를 통해 수행하였다. 관능검사는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에 의해 실시되었고, 풍란 향취와의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은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적용, 변형 등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참고예 1] 헤드스페이스법을 이용한 풍란의 향취 분석
향기가 강한 한국 자생 풍란을 골라 3시간 동안 85㎛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화이버(Polyacrylate Fiber)에 향기성분을 흡착시켜 향기성분을 포집하였다. 포집장소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난농원에서 포집이 이루어졌다.
향취 성분을 포집한 후(샘플 A), 화이버(Fiber)를 밀봉하고 이를 GC-MS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분간 탈착을 시키고, GC-MS 분석을 행하였다. GC-MS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 조건
. 분석기기: HP 5890 II GC
. 검출기: HP 5972 MSD
. 컬럼(Column): DB-1(60m X 0.25mm X 0.25㎛) (Agilent사)
. 이동 기체(Carrier Gas): He
. 주입부 온도(Injection Temperature): 250℃
. 검출부 온도(Detector Temperature): 280℃
. 오븐 온도(Oven Temperature): 70℃~220℃(3℃/분)
. 이온화 전압(Ionization Voltage): 70eV
. 탈착 시간: 2분
그 결과, 헤드스페이스법에 의해 분석된 풍란의 향취 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향료명 함량 중량%
메틸 벤조에이트 41.8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17.0
리모넨 6.4
제라닐 아세톤 5.7
리날룰 5.2
메틸 자스모네이트 4.8
벤질알코올 2.7
데카날 2.5
벤즈알데하이드 2.0
메틸 살리실레이트 1.7
바닐린 1.0
인돌 1.0
벤질 아세테이트 0.5
기타 7.7
총함량 100.0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풍란은 메틸 벤조에이트,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리모넨, 제라닐 아세톤, 리날룰 등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분석결과로 조성된 향료와 풍란 향취와의 비교관능평가
상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새로이 조성한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조합향료(샘플 B)를 만들고, 이 항료와 천연 풍란의 향취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향료명 함량 중량%
메틸 벤조에이트 41.8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17.0
리모넨 6.4
제라닐 아세톤 5.7
리날룰 5.2
메틸 자스모네이트 4.8
벤질알코올 2.7
데카날 2.5
벤즈알데하이드 2.0
메틸 살리실레이트 1.7
바닐린 1.0
인돌 1.0
벤질 아세테이트 0.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7.7
총함량 100.0
관능평가는 20~40세의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상기 참고예 1에서 풍란으로부터 직접 포집된 향취 성분의 샘플 A와 헤드스페이스법으로 분석된 각 향취 성분을 인공적으로 배합하여 재현한 조합향료의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3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질문1 : 샘플A와 샘플B의 향취가 얼마나 유사한가?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매우 유사하다.

(2) 질문2 : 샘플 B의 향취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1) 전혀 좋지 않다.
2) 별로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약간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1 3 3
2 2 2
3 3 3
4 3 3
5 2 2
6 2 2
7 4 4
8 3 3
9 2 2
10 2 2
11 3 3
12 3 3
13 2 2
14 3 3
15 3 3
16 2 2
17 1 1
18 2 2
19 3 3
20 3 3
평균 2.6 2.6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합향료의 샘플 B는 풍란 향취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성도 낮게 나타났다.
[시험예 2]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분석과 풍란과의 향취비교
상기 시험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스페이스법에 의해 분석된 성분을 인공적으로 배합 조성한 향료 조성물이 풍란으로부터 직접 포집한 향취와 유사성이 적었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은 풍란의 각각의 향취 성분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풍란의 향기성분들 중, 메틸 벤조에이트,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바닐린, 리모넨, 제라닐 아세톤이 풍란의 고유향취를 만들어내는 주요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주성분의 함량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합향료의 제조
상기 시험예 2로부터 풍란의 독창적 향취의 주성분이 메틸 벤조에이트,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바닐린, 리모넨, 제라닐 아세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다섯 성분을 함유하여, 풍란의 향취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기호성이 좋은 향료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1 내지 #4의 새로운 조합향료들을 만들었다.
조합향료 #1부터 #4는 이들 다섯 성분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다섯 가지 향료의 총 함량을 50~80중량%로 변화시켜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조합항료 번호 #1 #2 #3 #4
향료명(함량: 중량%) 50% 60% 70% 80%
메틸 벤조에이트 27.5 31.5 35.5 47.5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12.5 16.0 19.5 16.5
바닐린 2.0 2.5 2.5 3.0
리모넨 4.0 5.0 6.0 6.5
제라닐 아세톤 4.0 5.0 6.5 6.5
메틸 자스모네이트 15.0 11.5 8.5 6.5
데카날 3.5 3.0 3.0 2.5
벤질알코올 7.0 5.5 4.0 1.5
리날룰 15.5 12.5 9.0 6.0
벤즈알데하이드 3.0 2.5 2.0 1.5
메틸 살리실레이트 3.5 3.0 2.5 1.0
인돌 1.0 1.0 0.5 0.5
벤질 아세테이트 1.5 1.0 0.5 0.5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들의 관능평가
새로이 조합된 상기 실시예 1의 4가지 향료에 대해, 풍란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풍란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1 #2 #3 #4 #1 #2 #3 #4
1 3 3 3 2 3 3 3 2
2 3 4 3 3 3 3 2 2
3 4 3 2 2 3 4 3 3
4 4 3 3 3 3 4 3 3
5 3 3 2 2 4 3 2 2
6 3 4 3 3 3 3 2 2
7 3 3 4 3 3 3 4 3
8 4 3 3 2 3 4 3 3
9 3 3 3 2 4 3 2 2
10 2 3 2 2 3 3 2 2
11 4 4 3 3 2 2 3 2
12 3 4 4 3 2 3 3 3
13 2 3 3 3 2 3 2 2
14 2 2 3 2 3 4 3 3
15 3 3 3 2 3 3 3 3
16 2 3 2 2 3 2 2 2
17 3 3 2 2 2 2 1 1
18 3 4 3 2 3 3 2 2
19 2 3 3 2 2 3 3 4
20 3 4 3 2 3 3 3 3
평균 3.0 3.3 2.9 2.4 2.9 3.1 2.6 2.5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요 다섯 성분의 총함량이 60중량%를 차지하는 샘플 #2이 4개의 조합향료 중 가장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졌으나, 유사성과 기호성이 모두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상기 표 6에서 풍란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2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샘플 #3에서와 같이 메틸 벤조에이트,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바닐린, 리모넨 및 제라닐 아세톤을 6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인공 합성물질인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의 함량기준은 조향사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의해서 기준을 잡았으며, 두 물질의 총합이 10중량%가 되게 비율을 변화시켜가면서 첨가하고, 그 외 성분들은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의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 100중량%를 맞추기 위해 조절하였다. 이들 재조합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조합항료 번호
향료명(함량: 중량%)
#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메틸 벤조에이트 31.5 31.5 31.5 31.5 31.5 31.5 31.5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16.0 16.0 16.0 16.0 16.0 16.0 16.0
바닐린 2.5 2.5 2.5 2.5 2.5 2.5 2.5
리모넨 5.0 5.0 5.0 5.0 5.0 5.0 5.0
제라닐 아세톤 5.0 5.0 5.0 5.0 5.0 5.0 5.0
메틸 자스모네이트 10 10 10 10 10 10 10
데카날 2.5 2.5 2.5 2.5 2.5 2.5 2.5
벤질알코올 2.5 2.5 2.5 2.5 2.5 2.5 2.5
리날룰 9.5 9.5 9.5 9.5 9.5 9.5 9.5
벤즈알데하이드 2.0 2.0 2.0 2.0 2.0 2.0 2.0
메틸 살리실레이트 2.5 2.5 2.5 2.5 2.5 2.5 2.5
인돌 0.5 0.5 0.5 0.5 0.5 0.5 0.5
벤질 아세테이트 0.5 0.5 0.5 0.5 0.5 0.5 0.5
릴리알 10 0 9 7 5 3 1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0 10 1 3 5 7 9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4]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조합된 #가, #나, #다, #라, #마, #바, #사의 조합향료들에 대해, 풍란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풍란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평가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 #라 #마 #바 #사
1 3 3 4 4 4 3 3 4 3 4 5 5 4 3
2 4 4 4 5 3 3 4 3 4 4 4 4 3 3
3 4 3 4 4 3 3 3 4 2 3 4 5 4 3
4 3 2 3 4 5 4 3 4 3 4 5 4 3 2
5 3 3 4 3 3 2 3 3 3 4 4 3 3 3
6 3 3 3 4 4 3 3 5 4 4 5 4 4 3
7 4 3 4 5 4 4 3 3 3 3 4 4 3 3
8 3 2 3 3 4 4 2 4 3 4 3 3 4 3
9 2 3 5 5 3 3 3 3 2 3 4 3 3 3
10 3 3 3 4 4 5 4 4 3 4 5 4 4 3
11 3 2 4 5 3 2 3 3 4 3 4 4 3 4
12 4 4 4 3 4 4 3 3 3 4 3 3 3 3
13 4 3 3 3 3 3 3 4 3 4 5 5 4 3
14 3 2 4 4 5 4 3 4 4 4 3 4 4 5
15 3 3 3 4 3 3 3 3 3 3 4 4 3 3
16 4 3 3 4 4 3 3 2 3 2 3 3 2 3
17 3 2 2 5 4 3 2 3 2 3 4 3 3 3
18 4 3 3 4 4 3 2 3 3 2 4 3 3 4
19 3 3 4 4 3 3 3 4 4 3 5 4 4 4
20 4 4 4 4 4 3 3 3 4 4 5 3 3 4
평균 3.4 2.9 3.6 4.1 3.7 3.3 3.0 3.5 3.2 3.5 4.2 3.8 3.4 3.3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틸 벤조에이트,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바닐린, 리모넨, 제라닐 아세톤 등의 풍란의 주요 향취 성분에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9:1, 7:3, 5:5의 비율로 포함하는 #다, #라, #마의 경우에는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높으며(평균 3.5 초과), 특히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7:3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경우에는 풍란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이 매우 우수하여 풍란의 향취를 잘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릴리알만 첨가하거나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만 첨가한 경우 또는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함량이 릴리알보다 많은 경우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조합향료의 제조
하기 표 9의 조성에 따라 #아, #자, #차, #카의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아, #자, #차, #카 의 조합향료는 주요 성분인 메틸 벤조에이트,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바닐린, 리모넨, 제라닐 아세톤 그리고 릴리알 및 스티랄릴 아세데이트의 함량을 상기 실시예 2의 #라와 각각 동일하게 함유하지만, 부차적인 성분인 메틸 자스모네이트, 데카날, 벤질알코올, 리날룰, 벤즈알데하이드, 메틸 살리실레이트, 인돌 및 벤질 아세테이트의 함량을 상이하게 변경시킨 조성을 갖는 향료이다.
조합항료 번호
향료명(함량: 중량%)
# 아 # 자 # 차 # 카
메틸 벤조에이트 31.5 31.5 31.5 31.5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16.0 16.0 16.0 16.0
바닐린 2.5 2.5 2.5 2.5
리모넨 5.0 5.0 5.0 5.0
제라닐 아세톤 5.0 5.0 5.0 5.0
메틸 자스모네이트 20.0 10.0 5.0 10.0
데카날 2.0 2.0 1.0 1.0
벤질알코올 2.0 2.0 1.0 1.0
리날룰 2.0 10.0 11.0 2.0
벤즈알데하이드 2.0 2.0 1.0 1.0
메틸 살리실레이트 1.0 2.0 10.0 4.0
인돌 0.5 1.0 0.5 1.0
벤질 아세테이트 0.5 1.0 0.5 10.0
릴리알 7.0 7.0 7.0 7.0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3.0 3.0 3.0 3.0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5]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조합된 #아, #자, #차, #카의 조합향료들에 대해, 풍란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 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풍란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평가요원 질문1(유사성) 질문2(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 아 # 자 # 차 # 카 # 아 # 자 # 차 # 카
1 4 5 5 4 4 4 4 5
2 4 4 5 4 5 3 5 4
3 4 4 4 4 4 4 5 4
4 5 4 4 5 4 4 4 5
5 3 3 4 3 4 5 4 4
6 4 3 3 4 5 4 3 5
7 4 3 4 3 3 4 4 3
8 3 4 5 5 4 3 4 3
9 4 4 5 5 5 4 5 4
10 5 4 5 4 4 5 4 5
11 4 5 4 5 5 3 4 3
12 4 4 4 3 4 4 5 4
13 4 4 5 4 4 4 5 4
14 3 4 4 5 4 4 4 5
15 5 5 3 4 3 3 4 3
16 4 4 4 4 5 4 3 4
17 3 5 5 5 4 5 5 4
18 4 4 5 4 4 3 4 3
19 4 5 4 4 5 4 5 4
20 5 4 4 4 5 4 4 4
평균 4.0 4.1 4.3 4.2 4.3 3.9 4.3 4.0
상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차적인 성분인 메틸 자스모네이트, 데카날, 벤질알코올, 리날룰, 벤즈알데하이드, 메틸 살리실레이트, 인돌 및 벤질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변동되더라도, 주요 성분인 메틸 벤조에이트,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 바닐린, 리모넨, 제라닐 아세톤 및 릴리알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경우,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큰 영향이 없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1]
상기에서와 같이 풍란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상기 표 7의 # 라)을 배합하여, 하기 표 11의 향수를 제조하였다.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수(함량: 중량%)
풍란 꽃 향취 재현 조합향료
알코올

색소
변색방지제
15
To 100
적량
적량
적량

Claims (14)

  1. 풍란의 향취 성분 및 릴리알(Lilial)과 스티랄릴 아세테이트(Styralyl Acet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풍란의 향취 성분은 메틸 벤조에이트(Methylbenzoate),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cis-3-Hexenyl tiglate), 바닐린(Vanillin), 리모넨(Limonene) 및 제라닐 아세톤(Geranyl Acetone)으로 구성되고,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 벤조에이트를 27.5~47.5 중량%, 시스 3-헥세닐 티글레이트를 12.5~19.5중량%, 바닐린을 2.0~3.0중량%, 리모넨을 4.0~7.0중량%, 제라닐 아세톤을 4.0~7.0중량%, 릴리알을 5.0~10.0중량% 및 스티랄릴 아세테이트를 1.0~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틸 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 데카날(Decana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리날룰(Linalool),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인돌(Indole) 및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풍란의 향취 성분을 50~8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 자스모네이트를 6.5~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데카날을 2.5~3.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벤질알코올을 1.5~7.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리날룰을 6.0~15.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10.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벤즈알데하이드를 1.5~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11.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 살리실레이트를 1.0~3.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12.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인돌을 0.5~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13.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벤질 아세테이트를 0.5~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14.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38848A 2013-11-15 2013-11-15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48A KR102063449B1 (ko) 2013-11-15 2013-11-15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48A KR102063449B1 (ko) 2013-11-15 2013-11-15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185A KR20150056185A (ko) 2015-05-26
KR102063449B1 true KR102063449B1 (ko) 2020-01-09

Family

ID=5339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848A KR102063449B1 (ko) 2013-11-15 2013-11-15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04319A (es) * 2016-10-14 2019-06-12 Int Flavors & Fragrances Inc Acorde de floracion de alto rendimiento, alto impacto.
WO2018097524A1 (ko) * 2016-11-24 2018-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R109159A1 (es) * 2017-07-26 2018-10-31 Consejo Nacional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Y Tecn Conicet Formulado que promueve la polinización dirigida de abejas melíferas hacia cultivos de almendr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24B1 (ko) 2006-04-06 2007-02-27 (주)아모레퍼시픽 거문도 수선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24B1 (ko) 2006-04-06 2007-02-27 (주)아모레퍼시픽 거문도 수선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TURAL PRODUCT LETTERS (2006.10.04. 공개)*
THE CHEMISTRY OF FRAGRANCES (2006.11.06.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185A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879B1 (ko)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9027B1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51607A (ko)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064067B1 (ko) 자귀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6903A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9B1 (ko)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0682B1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01569A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8B1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038709A (ko)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37998B1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94530B1 (ko)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42317B1 (ko) 왕벚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3090B1 (ko) 미선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21324B1 (ko) 옥잠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4777A (ko) 무화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28986B1 (ko) 백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6B1 (ko) 대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04752B1 (ko)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98805B1 (ko)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13993B1 (ko)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79B1 (ko)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5B1 (ko) 거문도 동백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