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888A -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888A
KR20160106888A KR1020150029547A KR20150029547A KR20160106888A KR 20160106888 A KR20160106888 A KR 20160106888A KR 1020150029547 A KR1020150029547 A KR 1020150029547A KR 20150029547 A KR20150029547 A KR 20150029547A KR 20160106888 A KR20160106888 A KR 2016010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weight
perfume composition
dimethyl
linal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530B1 (ko
Inventor
임소연
고승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2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5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고상 마이크로 추출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법)에 의해 분석된 박달목서꽃의 향취성분과 달콤한 향취를 가지는 인공 합성물질인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박달목서꽃(Osmanthus insularis Koidz.)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Osmanthus insularis Koidz.}
본 발명은 박달목서꽃(Osmanthus insularis Koidz.)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박달목서는 제주도와 거문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남해안 지방은 박달목서의 북쪽 한계선에 해당된다. 야생동식물보호법에 따라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박달목서는 상록교목으로서 털이 없고 가지는 회색이며 잔가지가 다소 편평하다. 키는 15m까지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타원모양 또는 계란형의 넓은 타원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의 길이는 7~15㎝, 너비 2~3㎝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린 나무에는 끝이 뾰족한 톱니가 다소 있고 잎자루는 길이 1.5~2.5㎝이다. 꽃은 11~12월에 피며 백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속생하며, 소화경은 길이 7~10㎜이고 꽃받침잎은 3각형이며 톱니가 약간 있다. 열매는 타원모양이고 길이 15~20㎜로서 다음해 5월에 검게 익는다.
목서는 향기 좋은 꽃을 피운다 하여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식물인데 반해 박달목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향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뜻하고 풍부한 박달목서꽃의 향기가 한국의 자연을 대표하는 향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박달목서꽃의 향취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터넷 블로그 http://blog.naver.com/dudfhr7878/120176770505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살아있는 천연물의 향취물질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SPME법 (고상 마이크로 추출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을 이용하여,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향취의 주성분만으로는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할 수 없지만, 여기에 자스모네이트 (Methyl jasmonate)을 함께 사용하게 되면 한국적 박달목서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으며, 뛰어난 기호성을 나타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달목서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달목서꽃의 향취성분 및 메틸자스모네이트 (Methyl jasmonat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박달목서꽃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리날룰옥사이드, 리날룰, 아니스알데하이드,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2-페닐알코올의 박달목서꽃 향취의 주요성분에 메틸자스모네이트를 더 함유함으로써,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향취의 기호성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 및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여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에, 인공합성물질로서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박달목서꽃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은,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리날룰(Linalool), 아니스 알데하이드(Anisaldehyde),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3,7-dimethyl-1,5,7-octatrien-3-ol) 및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은,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리날룰(Linalool), 아니스 알데하이드(Anisaldehyde),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3,7-dimethyl-1,5,7-octatrien-3-ol) 및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리날룰(Linalool), 아니스 알데하이드(Anisaldehyde),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3,7-dimethyl-1,5,7-octatrien-3-ol) 및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의 함량의 합은 80~95중량%, 바람직하게는 90.1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노나날(Nonanal), 오시멘(Ocimene), 라일락 알코올(Lilac alcohol), 리모넨(Limonene), 제라니올(Geraniol), δ-데카락톤(δ-decalactone) 및 자스민 락톤(Jasmin lactone) 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박달목서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여 박달목서꽃과의 향취 유사성을 높이고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에 인공 합성물질로서 플로랄 허베이셔스 향(Floral herbaceous)을 가지는 메틸자스모네이트를 필수성분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메틸자스모네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를 48.4~54.4 중량%, 바람직하게는 49.4~51.4 중량%, 리날룰(Linalool)을 20.3~23.3 중량%, 바람직하게는 20.3~22.3 중량%,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를 10.5~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7~11.1 중량%,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3,7-dimethyl-1,5,7-octatrien-3-ol)을 4.1~4.6 중량%, 바람직하게는 4.2~4.4 중량%,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을 3.1~3.4 중량%, 바람직하게는 3.15~3.25 중량%의 범위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노나날(Nonanal)을 1.5~4.6 중량%, 바람직하게는 2.1~4.1 중량%, 오시멘(Ocimene)을 0.9~4.9 중량%, 바람직하게는 1.9~3.9 중량%, 라일락 알코올(Lilac alcohol)을 0.5~2.8 중량%,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 리모넨(Limonene)을 1.0~2.2 중량%, 바람직하게는 1.0~2.2 중량%, 제라니올(Geraniol)을 0.08~0.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0.25 중량%, δ-데카락톤(δ-decalactone)을 0.08~0.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0.25 중량%의 범위로 함유한다.
박달목서꽃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인 리날룰옥사이드, 리날룰, 아니스 알데하이드,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2-페닐에틸알코올, 메틸자스모네이트는 상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할 경우, 박달목서꽃과의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그 외의 부차적인 성분으로서 노나날, 오시멘, 라일락 알코올, 리모넨, 제라니올, δ-데카락톤, 자스민 락톤 성분들은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박달목서꽃의 향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박달목서꽃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도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전술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향수용, 화장용 또는 약용 (藥用)일 수 있으며, 상기 항료 조성물의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의 제형은 예를 들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일 수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적용, 변형 등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참고예 1] SPME법을 이용한 박달목서꽃의 향취 분석
SPME법 (SUPELCO international, Vol.13, No.4, p.9-10)은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법의 일종이다.
추출과정에서 높은 열을 가해야 하고 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래의 향취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을 화정유(Absolute) 형태로 만드는 용매추출법과 향취 성분을 정유(Essential oil)로 만드는 수증기증류법과 달리 SPME법은 기존의 추출법과는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 또한 필요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향취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향기가 강한 박달목서 한 그루를 골라 2시간동안 85㎛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화이버(Polyacrylate Fiber)에 향기성분을 흡착시켜 향기성분을 포집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절부암에서 3시간 동안 포집이 이루어졌다.
향취성분을 포집한 후, 화이버(Fiber)를 밀봉하고, 이를 GC-MS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분간 탈착을 시키고, GC-MS 분석을 행하였다. GC-MS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SPME법은 특별한 전처리 없이 화이버(Fiber)에 흡착된 향취 성분들이 GS-MS 컬럼안으로 빠르게 탈착, 주입될 수 있어, 분석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므로,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을 분석하는데 유리하다.
분석 조건
. 분석기기: HP 5890 II GC
. 검출기: HP 5972 MSD
. 컬럼(Column): DB-1(60m X 0.25mm X 0.25um)
. 이동 기체(Carrier Gas): He
. 주입부 온도(Injection Temperature): 250 ℃
. 검출부 온도(Detector Temperature): 280 ℃
. 오븐 온도(Oven Temperature): 70℃~220℃(3℃/min)
. 이온화 전압(Ionization Voltage): 70eV
. 탈착 시간: 2분
그 결과, SPME법에 의해 분석된 박달목서꽃의 향취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향료명 함량(%)
리날룰옥사이드 39.42
리날룰 16.64
아니스알데하이드 8.57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3.34
2-페닐에틸알코올 2.48
노나날 1.13
오시멘 1.07
라일락 알코올 0.72
리모넨 0.57
제라니올 0.08
δ-데카락톤 0.06
기타 25.92
총함량 100
상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박달목서꽃은 2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리날룰(Linalool),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3,7-dimethyl-1,5,7-octatrien-3-ol),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을 주요 향취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주요 성분이 전체의 70.45 중량%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분석결과로 조성된 향료와 천연 박달목서꽃의 향취와의 비교관능평가
상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새로이 조성한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조합향료(샘플 B)를 만들고, 이 항료와 천연 박달목서꽃의 향취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향료명 함량(%)
리날룰옥사이드 39.42
리날룰 16.64
아니스알데하이드 8.57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3.34
2-페닐에틸알코올 2.48
노나날 1.13
오시멘 1.07
라일락 알코올 0.72
리모넨 0.57
제라니올 0.08
δ-데카락톤 0.06
DPG (DIPROPYLENE GLYCOL) 25.92
총함량 100
관능평가는 20~45세의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박달목서꽃 화분의 샘플 A와, SPME법으로 재현한 조합향료의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3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질문 1: 샘플A와 샘플B의 향취가 얼마나 유사(비슷)한가?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매우 유사하다.
(2) 질문 2: 샘플 B의 향취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1) 전혀 좋지 않다.
2) 별로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약간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요원 질문 1 (유사성) 질문 2 (기호성)
1 2 1
2 2 3
3 3 3
4 3 2
5 3 2
6 1 3
7 3 2
8 2 3
9 2 1
10 3 3
11 3 1
12 4 3
13 3 1
14 3 3
15 2 3
16 2 2
17 3 1
18 3 1
19 4 3
20 3 3
평균 2.7 2.2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합향료인 샘플 B는 박달목서꽃 화분의 꽃 향취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성도 낮게 나타났다.
[시험예 2]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분석과 박달목서꽃과의 향취비교
상기 시험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SPME법에 의해 분석된 성분을 인공적으로 배합 조성한 향료 조성물이 박달목서꽃으로부터 직접 포집한 향취와 유사성이 없었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은 박달목서꽃의 각각의 향취 성분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들 중, 스윗 우디(Sweet woody)한 향취를 만들어내는 리날룰옥사이드, 플로랄 우디(Floral woody)한 향취를 만들어내는 리날룰, 스윗 플로랄(Sweet floral)한 향취를 만들어내는 아니스알데하이드, 캠퍼러스(Camphoreous)한 향취를 만들어내는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로지 플로랄(Rosey floral)한 향취를 만들어내는 2-페닐에틸알코올의 다섯 성분이 박달목서꽃의 고유향취를 만들어내는 주요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주성분의 함량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합향료의 제조
상기 참고 실시예 3으로부터, 박달목서꽃의 독창적 향취의 주성분이 리날룰옥사이드, 리날룰, 아니스알데하이드,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2-페닐에틸알코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다섯 성분을 함유하여 박달목서꽃향취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기호성이 좋은 향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하기 #1 내지 #4의 새로운 조합 향료들을 만들었다.
조합향료 #1부터 #4는 리날룰옥사이드, 리날룰, 아니스알데하이드,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및 2-페닐에틸알코올의 함량의 합을 80~95중량%로 변화시켜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향료명 #1 #2 #3 #4
(80중량%) (85중량%) (90.1중량%) (95중량%)
리날룰옥사이드 44.8 47.6 50.4 53.2
리날룰 18.9 20.1 21.3 22.4
아니스알데하이드 9.7 10.3 10.9 11.6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3.8 4 4.3 4.5
2-페닐에틸알코올 2.8 3 3.2 3.3
노나날 6.2 4.7 3.1 1.6
오시멘 5.9 4.4 2.9 1.5
라일락 알코올 4 3 2 1
리모넨 3.2 2.4 1.6 0.7
제라니올 0.4 0.3 0.2 0.1
δ-데카락톤 0.3 0.2 0.1 0.1
총 함량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들의 관능평가
새로이 조합된 4가지의 향료에 대해, 박달목서꽃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참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의 관능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박달목서꽃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
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1 #2 #3 #4 #1 #2 #3 #4
1 2.0 3.0 4.0 3.0 1.0 2.0 3.0 2.0
2 1.0 2.0 3.0 2.0 3.0 3.0 4.0 2.0
3 3.0 2.0 4.0 2.0 2.0 2.0 3.0 3.0
4 2.0 3.0 3.0 3.0 2.0 2.0 3.0 2.0
5 3.0 4.0 4.0 3.0 3.0 2.0 4.0 3.0
6 1.0 3.0 3.0 4.0 2.0 3.0 4.0 3.0
7 2.0 3.0 3.0 3.0 1.0 1.0 4.0 3.0
8 2.0 3.0 4.0 3.0 2.0 3.0 3.0 2.0
9 3.0 2.0 3.0 4.0 2.0 2.0 4.0 3.0
10 2.0 4.0 4.0 3.0 3.0 2.0 3.0 3.0
11 3.0 2.0 4.0 2.0 3.0 3.0 4.0 3.0
12 1.0 2.0 3.0 3.0 2.0 3.0 3.0 3.0
13 2.0 3.0 4.0 2.0 1.0 3.0 3.0 4.0
14 2.0 3.0 3.0 2.0 2.0 3.0 4.0 4.0
15 3.0 2.0 4.0 2.0 3.0 3.0 4.0 3.0
16 3.0 3.0 3.0 3.0 3.0 3.0 3.0 2.0
17 2.0 2.0 4.0 3.0 3.0 2.0 3.0 3.0
18 2.0 2.0 3.0 3.0 2.0 3.0 2.0 4.0
19 1.0 2.0 3.0 2.0 3.0 1.0 3.0 3.0
20 2.0 2.0 4.0 2.0 1.0 1.0 2.0 3.0
평균 2.1 2.6 3.5 2.7 2.2 2.35 3.3 2.9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요 다섯 성분의 총함량이 90중량%를 차지하는 샘플 #3이 4개의 조합향료 중 가장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졌으나, 유사성과 기호성이 모두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상기 표 6에서 박달목서꽃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3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샘플 #3에서와 주성분이 리날룰옥사이드, 리날룰, 아니스알데하이드,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2-페닐알코올을 9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박달목서꽃 향기의 재현에 특유의 향을 갖게 만드는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를 사용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메틸자스모네이트의 함량기준은 0.5중량%, 1중량%, 1.5중량%, 2중량% 및 2.5중량%, 3중량%, 3.5중량%의 함량으로 변화시켜가면서 첨가하고, 그 외 성분들은 메틸자스모네이트의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 100을 맞추기 위해 조절하였다. 이들 재조합 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조합향료 번호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향료명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리날룰옥사이드 50.4 50.4 50.4 50.4 50.4 50.4 50.4
리날룰 21.3 21.3 21.3 21.3 21.3 21.3 21.3
아니스알데하이드 10.9 10.9 10.9 10.9 10.9 10.9 10.9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4.3 4.3 4.3 4.3 4.3 4.3 4.3
2-페닐에틸알코올 3.2 3.2 3.2 3.2 3.2 3.2 3.2
노나날 2.9 2.8 2.6 2.5 2.3 2.2 2.0
오시멘 2.8 2.7 2.5 2.3 2.2 2.0 1.9
라일락 알코올 1.9 1.8 1.7 1.6 1.5 1.4 1.3
리모넨 1.4 1.3 1.3 1.2 1.1 1.1 1.0
제라니올 0.2 0.2 0.2 0.2 0.2 0.1 0.1
δ-데카락톤 0.2 0.1 0.1 0.1 0.1 0.1 0.1
메틸자스모네이트 0.5 1 1.5 2 2.5 3 3.5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4]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조합된 #가, #나, #다, #라, #마, #바의 조합 향료들에 대해, 박달목서꽃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상기 참고 시험예 1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박달목서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평가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 #라 #마 #바 #사
1 3.0 2.0 4.0 4.0 4.0 3.0 3.0 1.0 2.0 4.0 5.0 4.0 4.0 2.0
2 2.0 3.0 3.0 5.0 4.0 4.0 2.0 2.0 2.0 2.0 5.0 4.0 3.0 3.0
3 2.0 3.0 4.0 5.0 3.0 4.0 2.0 4.0 1.0 3.0 5.0 3.0 4.0 2.0
4 2.0 2.0 4.0 5.0 4.0 4.0 3.0 2.0 3.0 3.0 4.0 4.0 4.0 3.0
5 2.0 2.0 3.0 4.0 5.0 3.0 3.0 3.0 3.0 4.0 3.0 5.0 4.0 4.0
6 3.0 2.0 4.0 4.0 5.0 2.0 4.0 2.0 4.0 3.0 4.0 5.0 3.0 3.0
7 3.0 3.0 3.0 5.0 3.0 3.0 2.0 2.0 2.0 4.0 3.0 4.0 4.0 2.0
8 2.0 3.0 3.0 3.0 3.0 3.0 2.0 2.0 3.0 3.0 4.0 4.0 5.0 2.0
9 2.0 2.0 4.0 4.0 3.0 4.0 4.0 2.0 3.0 3.0 5.0 5.0 3.0 2.0
10 3.0 2.0 4.0 5.0 4.0 4.0 3.0 3.0 2.0 4.0 4.0 4.0 4.0 3.0
11 2.0 3.0 3.0 4.0 3.0 5.0 4.0 3.0 3.0 4.0 4.0 3.0 3.0 3.0
12 2.0 4.0 4.0 5.0 5.0 3.0 2.0 2.0 4.0 4.0 3.0 3.0 5.0 3.0
13 3.0 2.0 4.0 4.0 4.0 3.0 3.0 3.0 2.0 3.0 4.0 4.0 4.0 2.0
14 2.0 3.0 4.0 3.0 4.0 5.0 3.0 3.0 3.0 4.0 5.0 4.0 3.0 2.0
15 2.0 4.0 4.0 4.0 5.0 3.0 2.0 2.0 3.0 2.0 4.0 4.0 4.0 3.0
16 2.0 2.0 3.0 4.0 4.0 3.0 3.0 3.0 2.0 3.0 4.0 3.0 3.0 2.0
17 3.0 3.0 4.0 4.0 5.0 5.0 3.0 4.0 3.0 3.0 5.0 3.0 3.0 3.0
18 2.0 3.0 4.0 5.0 4.0 3.0 3.0 3.0 3.0 3.0 4.0 4.0 3.0 4.0
19 2.0 4.0 3.0 5.0 4.0 4.0 4.0 3.0 2.0 4.0 5.0 3.0 4.0 3.0
20 4.0 3.0 3.0 4.0 4.0 5.0 3.0 2.0 2.0 3.0 3.0 5.0 4.0 4.0
평균 2.4 2.75 3.6 4.3 4.0 3.65 2.9 2.55 2.6 3.3 4.15 3.9 3.7 2.75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날룰옥사이드, 리날룰, 아니스알데하이드,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 2-페닐알코올의 박달목서꽃의 주요 향취성분에 메틸자스모네이트를 1.5 내지 3.0 중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다, #라, #마, #바 의 경우에는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높으며(평균 3.0 초과), 특히 메틸자스모네이트를 2.0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경우에는 박달목서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이 매우 우수하여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잘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메틸자스모네이트를 1.5중량% 미만 또는 3중량% 초과로 함유하면 오히려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제형예]
상기에서와 같이 박달목서꽃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상기 표 7의 # 라)을 배합하여, 하기 표 9의 향수를 제조하였다.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수
박달목서꽃 향취 재현 조합향료
알코올

색소
자외선차단제
15 중량%
83 중량%
2 중량%
적량
적량

Claims (9)

  1.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 및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달목서꽃의 향취 성분은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리날룰(Linalool),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3,7-dimethyl-1,5,7-octatrien-3-ol) 및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노나날(Nonanal), 오시멘(Ocimene), 라일락 알코올(Lilac alcohol), 리모넨(Limonene), 제라니올(Geraniol), δ-데카락톤(δ-decalactone) 및 자스민 락톤(Jasmin lactone)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노나날(Nonanal), 오시멘(Ocimene), 라일락 알코올(Lilac alcohol), 리모넨(Limonene), 제라니올(Geraniol), δ-데카락톤(δ-decalactone) 및 자스민 락톤(Jasmin lactone)을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를 48.4~54.4 중량%, 리날룰(Linalool)을 20.3~23.3 중량%,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를 10.5~12.0 중량%,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3,7-dimethyl-1,5,7-octatrien-3-ol)을 4.1~4.6 중량%,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을 3.1~3.4 중량%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리날룰(Linalool), 아니스 알데하이드(Anisaldehyde), 3,7-디메틸-1,5,7-옥타트리엔-3-올(3,7-dimethyl-1,5,7-octatrien-3-ol) 및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의 함량의 합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0~9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노나날(Nonanal), 오시멘(Ocimene), 라일락 알코올(Lilac alcohol), 리모넨(Limonene), 제라니올(Geraniol), δ-데카락톤(δ-decalactone) 및 자스민 락톤(Jasmin lactone)을 더 함유하고,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노나날(Nonanal)을 1.5~4.6 중량%, 오시멘(Ocimene)을 0.9~4.9 중량%, 라일락 알코올(Lilac alcohol)을 0.5~2.8 중량%, 리모넨(Limonene)을 1.0~2.2 중량%, 제라니올(Geraniol)을 0.08~0.25 중량%, δ-데카락톤(δ-decalactone)을 0.08~0.25 중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를 1.5 내지 3.0 중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50029547A 2015-03-03 2015-03-03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9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547A KR102394530B1 (ko) 2015-03-03 2015-03-03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547A KR102394530B1 (ko) 2015-03-03 2015-03-03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888A true KR20160106888A (ko) 2016-09-13
KR102394530B1 KR102394530B1 (ko) 2022-05-06

Family

ID=5694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547A KR102394530B1 (ko) 2015-03-03 2015-03-03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450A (ko) * 2020-04-22 2021-11-01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718A (ko) * 2005-06-30 2007-01-05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9628A (ko) * 2007-09-04 2010-05-12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쟈스민 삼박형 향료 조성물
WO2014156783A1 (ja) * 2013-03-29 2014-10-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香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718A (ko) * 2005-06-30 2007-01-05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9628A (ko) * 2007-09-04 2010-05-12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쟈스민 삼박형 향료 조성물
WO2014156783A1 (ja) * 2013-03-29 2014-10-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香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블로그 http://blog.naver.com/dudfhr7878/12017677050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450A (ko) * 2020-04-22 2021-11-01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530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027B1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4024B1 (ko)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6903A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0682B1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41217B1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9B1 (ko)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480694B1 (ko) 칡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106888A (ko)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37998B1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038709A (ko)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81579B1 (ko)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24929B1 (ko) 단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21324B1 (ko) 옥잠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35252B1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378321B1 (ko) 해당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50062967A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4777A (ko) 무화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42317B1 (ko) 왕벚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04752B1 (ko)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28986B1 (ko) 백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50056184A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98805B1 (ko)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6B1 (ko) 대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79B1 (ko)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