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217B1 -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217B1
KR101641217B1 KR1020090059145A KR20090059145A KR101641217B1 KR 101641217 B1 KR101641217 B1 KR 101641217B1 KR 1020090059145 A KR1020090059145 A KR 1020090059145A KR 20090059145 A KR20090059145 A KR 20090059145A KR 101641217 B1 KR101641217 B1 KR 101641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white
composition
perfume composition
pala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569A (ko
Inventor
우창식
홍연주
고승호
서형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5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2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3Thymelaeaceae (Mezereum family), e.g. leatherwood or false ohel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서향(Daphne kiusiana)의 향취 성분 및 헤디온(Hedi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백서향 고유의 향취를 재현하면서도, 뛰어난 기호성을 가질 수 있다.
백서향, 향료 조성물

Description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Daphne kiusiana}
본 발명은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하여 뛰어난 기호성을 가지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백서향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지역에 자생하는 팥꽃나무목과의 나무로 잎은 호생하는데, 혁질(가죽질감)이고, 털이 없으며, 광택이 있다. 꽃은 이가화로서 흰색으로 피며, 지난 해의 끝에 모여 달린다. 포는 넓은 피침형이고, 화경의 길이는 약 2cm이며, 흰색의 잔털이 나 있다. 꽃 받침통은 길이 7~8cm이고 잔털이 있다. 열편은 4개이고, 3cm정도이며, 겉에는 털이 있다. 주로 남부지방 해변의 산기슭에 나는 상록관목으로 제주도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었으나, 특히 꽃의 향기가 좋아 남채되어 현재는 드물게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으며, 신경통, 종기, 섬유, 해독 등의 약용으로도 쓰이고 있다.
이러한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방법으로 꽃의 향취성분을 용매를 사용하여 화정유(Absolute) 형태로 만드는 용매추출법과 향기성분을 정유(Essential oil)로 만드 는 수증기증류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추출과정에서 높은 열을 가해야 하고, 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꽃이 가진 본래의 향취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처리 과정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향취를 채취할 수 있으면서도, 포함되는 용매가 향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꽃의 향취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분석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백서향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백서향(Daphne kiusiana)의 향취 성분 및 헤디온(Hedi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하여, 은은하고 품위있는 꽃향을 지니며, 향취의 기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향료 조성물에 포함된 백서향의 향취 성분은 리나룰(Linalool),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제라니올(Geraniol), 및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백서향의 향취 성분은 리나룰, 시트로네롤, 벤질아세테이트, 제라니올, 및 벤질알코올을 모두 포함하는 성분일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 성분들을 조합한 향료 조성물의 경우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백서향의 향취 성분에 포함된 리나룰, 시트로네롤, 벤질아세테이트, 제라니올, 및 벤질알코올 성분의 비율은 리나룰: 시트로네롤: 벤질아세테이트: 제라니올: 벤질알코올을 30 ~ 35: 15 ~ 20: 10 ~ 15: 10 ~ 15: 5 ~ 10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된 성분이 조합된 향료 조성물은 소망하는 정도로 은은하고 품위있는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백서향의 향취 성분은 앞서 언급한 성분들 이외에, 네롤(Nerol), 유제놀(Eugenol), 시트로네릴아세테이트(Citronellyl acetate) 및 인돌(Indol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백서향의 향취 성분은 네롤, 유제놀, 시트로네릴아세테이트 및 인돌을 모두 포함하는 성분일 수 있으며, 소망하는 정도로 은은하고 품위있는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하여, 네롤, 유제놀, 시트로네릴아세테이트 및 인돌을 2.0 ~ 5.0: 2.0 ~ 5.0: 1.0 ~ 3.0: 1.0 ~ 3.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할 경우, 백서향의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백서향의 향취 성분과의 유사성이 높고 기호성 또한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백서향의 향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도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백서향의 향취 성분 및 헤디온(Hedione)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백서향의 향취 성분은 소망하는 정도의 향취를 낼 수 있으 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5중량% 초과 내지 85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위 범위 내에 속할 때 백서향의 본연의 향취와 가장 유사하고 기호성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헤디온은 향료 조성물에 적합하도록 소망하는 정도의 기호성을 가지는 향취를 낼 수 있으면, 함량 범위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내지 9.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위 범위 내에 속할 때 백서향의 본연의 향취와 가장 유사하고 기호성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백서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향수,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 기제로 제형화될 수 있고,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다른 성분들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외용 기제로는 예를 들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이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고상 마이크로 추출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법)에 의해 포집된 백서향의 향취 성분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GC-MS) 컬럼 안으로 탈착, 주입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SPME법은 특별한 전처리 없이 화이버(Fiber)에 흡착된 향취 성분들이 GC-MS 컬럼 안으로 빠르게 탈착, 주입될 수 있어 분석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므로 휘발성이 강한 백서향의 향취성분을 분석하는데 유리하며, 용매추출법 및 수 증기증류법과 같은 기존의 추출법과는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 또한 필요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백서향의 향취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 실시예 1] SPME법을 이용한 백서향의 향취 분석
향기가 강한 백서향을 골라 2시간 동안 85㎛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화이버(Polyacrylate Fiber)에 향기성분을 흡착시켜 향기성분을 포집하였다. 포집장소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에서 3시간 동안 포집이 이루어졌다.
향취성분을 포집한 후, 화이버(Fiber)를 밀봉하고 이를 GC-MS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분간 탈착을 시키고, GC-MS 분석을 행하였다. GC-MS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 분석기기: HP 5890 II GC . 검출기: HP 5972 MSD
. 컬럼: DB-1(60m X 0.25mm X 0.25um) . 이동상 기체: He
. 주입부 온도: 250℃ . 검출부 온도: 280 ℃
. 오븐온도: 70℃~220℃(3℃/분) . 이온화 전압 : 70eV
. 탈착시간 : 2분
SPME법에 의해 분석된 백서향의 향취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09039946194-pat00001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백서향은 리나룰(Linalool),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제라니올(Gerani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등을 주요 향취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주요성분은 전체의 84.57중량%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참고 실시예 1에서 백서향으로부터 직접 포집된 향취성분의 샘플을 샘플 A로 명명하였다.
[참고 실시예 2] 분석결과로 조성된 향료와 백서향의 향취와의 비교관능평가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새로이 조성한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조합향료(샘플 B로 명명)를 만들고, 이 항료와 샘플A로 명명한 백서향의 향취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표 2]
Figure 112009039946194-pat00002
관능평가는 20~40세의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백서향의 샘플 A와 SPME법으로 분석된 각 향취성분을 인공적으로 배합하여 재현한 조합향료의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3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09039946194-pat00003
[표 4]
Figure 112009039946194-pat00004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합 향료의 샘플 B는 백서향의 꽃 향취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성도 낮게 나타났다.
[참고 실시예 3]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분석과 백서향과의 향취비교
참고 실시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SPME법에 의해 분석된 성분을 인공적으로 배합 조성한 향료 조성물이 백서향으로부터 직접 포집한 향취와의 유사성이 없 었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은 백서향의 각각의 향취 성분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백서향의 향기성분들 중, 리나룰(Linalool),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제라니올(Gerani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이 백서향의 고유향취를 만들어내는 주요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주성분의 함량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합향료의 제조
참고 실시예 3로부터 백서향의 독창적 향취의 주성분이 리나룰(Linalool),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제라니올(Gerani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다섯 성분을 함유하여, 백서향의 향취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기호성이 좋은 향료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1 내지 #7의 새로운 조합 향료들을 만들었다.
조합 향료 #1부터 #7은 이들 다섯 성분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다섯가지 향료의 총함량을 60~90중량%로 변화시켜 제조하였다(표 5 참조).
[표 5]
Figure 112009039946194-pat00005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들의 관능평가
새로이 조합된 상기 실시예 1의 7가지 향료에 대해, 백서향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참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의 관능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백서향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09039946194-pat00006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요 다섯 가지 성분의 총함량이 85중량%를 차지하는 샘플 #6가 7개의 조합향료 중 가장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졌으나, 평균 4점 이상은 되어야하므로 유사성과 기호성이 모두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표 6에서 백서향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6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샘플 #6에서와 같이 리나룰(Linalool),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제라니올(Gerani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의 총함량을 85중량% 함유하고, 여기에 인공 합성 물질인 헤디온(Hedione)를 사용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인공 합성물질의 농도는 헤디온(Hedione) 1~11중량% 로 변화시켜 가면서 첨가하고, 그 외 성분들은 이 물질의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 100을 맞추기 위해 조정하였다. 이들 재조합 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표 7]
Figure 112009039946194-pat00007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실시예 3의 6가지(#가, #나, #다, #라, #마, #바)의 조합 향료들에 대해, 백서향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을 상기 참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의 관능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백서향과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09039946194-pat00008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나룰(Linalool),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제라니올(Gerani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등의 백서향의 주요 향취성분에 헤디온(Hedione)을 7중량%, 함유할 때,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평균 4.0이상).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백서향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실시예 3의 # 라)을 배합하여 하기 표 9의 향수를 제조하였다.
[표 9]
Figure 112009039946194-pat00009

Claims (10)

  1. 삭제
  2. 향료 조성물로서,
    백서향(Daphne kiusiana)의 향취 성분 및 헤디온(Hedione)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백서향의 향취 성분은 리나룰(Linalool),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제라니올(Gerani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네롤(Nerol), 유제놀(Eugenol), 시트로네릴아세테이트(Citronellyl acetate) 및 인돌(Indole)을 포함하고,
    상기 향취 성분은,
    리나룰: 시트로네롤: 벤질아세테이트: 제라니올: 벤질알코올: 네롤: 유제놀: 시트로네릴아세테이트: 인돌을 30 ~ 35: 15 ~ 20: 10 ~ 15: 10 ~ 15: 5 ~ 10: 2.0 ~ 5.0: 2.0 ~ 5.0: 1.0 ~ 3.0: 1.0 ~ 3.0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헤디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내지 9.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서향의 향취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5중량% 초과 내지 85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 2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59145A 2009-06-30 2009-06-30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41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45A KR101641217B1 (ko) 2009-06-30 2009-06-30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45A KR101641217B1 (ko) 2009-06-30 2009-06-30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69A KR20110001569A (ko) 2011-01-06
KR101641217B1 true KR101641217B1 (ko) 2016-07-21

Family

ID=4361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145A KR101641217B1 (ko) 2009-06-30 2009-06-30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92A (ko) 2020-01-23 2021-08-02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원료를 이용한 어린이용 디퓨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20B1 (ko) * 2011-06-14 2013-02-21 한국콜마주식회사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85097B1 (ko) * 2014-09-04 2020-03-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료 조성물
KR101669664B1 (ko) * 2015-01-06 2016-10-28 한국콜마주식회사 톱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201195B1 (ko) * 2020-02-28 2021-01-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337A (ja) * 2000-10-03 2002-02-26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69B1 (ko) * 2007-10-31 2009-11-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연 백합향을 이용하여 백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337A (ja) * 2000-10-03 2002-02-26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92A (ko) 2020-01-23 2021-08-02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원료를 이용한 어린이용 디퓨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69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368B1 (ko)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4B1 (ko)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9027B1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41217B1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0687624B1 (ko) 거문도 수선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0682B1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37998B1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378321B1 (ko) 해당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35252B1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3090B1 (ko) 미선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38709A (ko)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21324B1 (ko) 옥잠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94530B1 (ko)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4777A (ko) 무화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98805B1 (ko)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3B1 (ko) 홍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50062967A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42317B1 (ko) 왕벚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04752B1 (ko)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10346B1 (ko) 다래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80B1 (ko)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50056184A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58895B1 (ko) 제주도 유채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433630B1 (ko) 더덕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