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450A -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0450A KR20210130450A KR1020200048662A KR20200048662A KR20210130450A KR 20210130450 A KR20210130450 A KR 20210130450A KR 1020200048662 A KR1020200048662 A KR 1020200048662A KR 20200048662 A KR20200048662 A KR 20200048662A KR 20210130450 A KR20210130450 A KR 202101304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fraction
- bakdalmokseo
- skin
- concent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달목서(Rubus hongnoensis Nakai)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박달목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 내 정상적인 세포대사과정에서 생성되거나 여러 환경오염 및 화학물질의 노출 등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 라디칼(superoxide radical, O2ㆍ), 수산화 라디칼(hydroxyl radical, OHㆍ),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단일체 산소(singlet oxygen, 1O2) 등의 산소화합물을 총칭하여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라 한다(Free Radic Biol Med 26: 202-226, 1999).
이들 활성 산소는 반응성 매우 커서 생체 분자들과 빠르게 반응하여 세포 체내에서 세포막 손상, DNA 변성, 지질 산화, 단백질 분해 등을 초래하여, 뇌혈관 질환, 암, 심장질환, 자가면역질환, 소화기질환, 동맥경화와 같은 만성 질환들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em. Res. 14: 393 (1981); Arch. Biophys. 247: 1-11(1986); Science 221: 1256-1264 (1983)).
이러한 질병을 초래하는 위험 요소인 체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는 항산화제의 섭취이다(Food Chem Toxicol 39: 1205-1210, 2001). 항산화제는 활성 산소와 반응함으로써 활성 산소에 의한 생체 손상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으로,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Butylated hydroxytoluene), 프로필 갈레이트(PG, Propyl galate),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퀴논(TBHQ, Teritiarybutyl hydroquinone) 등의 합성 항산화제와 엽록소, 녹차 추출물, 프로롤리스,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코베이트(ascorbate), 카로테노이드 (caroteno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등의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 발암 및 심혈관 계열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천연물로부터 유래하는 보다 안전하고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Korean J. Food Sci. Technol. 34:889-892 (2002)).
한편 인간의 피부는 주위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기관으로서 각종 피부질환에 관여하는 세균, 곰팡이 등의 감염이 쉽게 일어난다. 예컨대 피부에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을 비롯하여 피부 상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Staphyococcus epidermidis),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등이 피부에 존재하며, 이 균들은 피부상에 분비된 피지나 땀을 분해시켜 냄새를 발생시키며, 이와 더불어 그 분해 산물들은 피부에 자극을 주고 염증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염증의 일예로 피부 여드름은 피부의 기름샘에 영향을 주는 질병이며 모공은 피부 아래의 기름샘과 연결되어 있고 이들은 피지라고 부르는 기름기 있는 물질을 만들어낸다. 모공 내 피부 샘의 주머니가 막히면, 여드름이 발생한다. 모공 내 피부 샘의 주머니가 막히면 염증이 발생하고 이는 여드름을 촉진하는 P. acnes 박테리아의 발생 및 서식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피부과에서 이루어지는 여드름 치료는 비타민 A인 retinoid, benzoyl peroxide, 그리고 여러 항생제 처방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아토피에 수반되는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바탕으로 사용되는 지성 피부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살리실산과 트리클로산 등을 화장품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살리실산은 피부 따가움, 작열감 등의 피부 자극을 주는 성분으로 피부 건조와 박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트리클로산은 역시 피부에 접촉되면 자극을 주고, 항생제와 유사한 방법으로 여드름 균을 죽이기 때문에 이에 내성이 생긴 균이 다른 항생제에도 내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지성 피부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적용 가능한 신규 천연 기능성 재료 발굴 및 새로운 화장품 소재 발굴, 유용성 검증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달목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박달목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박달목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 목서속(Osmanthus)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환경부지정 위기종 및 희귀식물로 원산지는 한국, 일본, 대만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제주도, 전라남도 거문도등에 분포하고 있다(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상록 교목으로서 높이 15m, 수피는 회색이며 소지가 다소 편평하다. 잎은 대생하고 긴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잎 선단은 예첨두 또는 점첨두, 기부는 예저이고 길이 7 - 12㎝이다. 가장자리는 거치가 없으나 어린나무에서는 가끔 톱니가 있다. 표면은 엽맥이 들어가지 않고 엽병은 길이 1.5 - 2.5㎝이다. 꽃은 10 - 12월에 흰색으로 피고 엽액에서 속생하며 소화경은 길이 7 - 10㎜이고 꽃받침 열편은 삼각형이며 톱니가 있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가 1.5 - 2㎝로서 다음해 5월경에 흑색으로 익는다.
본 명세서에서, "박달목서 추출물"이란 추출대상(박달목서)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박달목서 분획물"이라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박달목서를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박달목서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피부 관련 활성을 보강·추가하기 위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미백 성분, 피부 주름 개선 성분, 자외선 보호 성분, 피부 보습 성분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성분으로서는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보롤,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피부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는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 보호 성분으로서는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소나무 껍질 추출물 등의 복합물, 포스파티딜세린, 핑거루트 추출 분말, 홍삼과 산수유 등의 복합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습 성분으로서는 AP 콜라겐 효소 분해 펩타이드, Collactive 콜라겐 펩타이드, N-아세틸글루코사민, 곤약 감자 추출물, 민들레 등의 복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옥수수 배아 추출물,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지초 추출 분말, 포스파티딜세린,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여타의 피부 미백 성분, 주름 개선 성분, 자외선 보호 성분, 피부 보습 성분들에 대해서는 화장품법에 따른 기능성화장품공전(식약처고시 "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의 건강기능식품공전(식약처고시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은 용도, 제형 등에 따라 그것의 인체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비하여 0.001 중량 % 내지 9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용도상, 법률상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등의 용도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비기능성 일반 화장품 등일 수 있다. 제품 형태에 있어서도 임의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박달목서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에 대한 기능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박달목서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박달목서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ABTS 라디칼 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박달목서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ABTS 라디칼 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제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난아열대산림과학연구소에 식재되어있는 박달목서를 채집하여 음건하여 마쇄기로 분쇄하였다. 미세말 시료를 70% 에탄올에 상온에서 48시간 침출하고 3회 추출하였으며, 그 후 상층액을 회수하고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에탄올 추출물을 10g을 증류수 1ℓ에 현탁시킨 후, 헥산(1ℓ×3), 디클로로메탄(1ℓ×3), 에틸아세테이트(1ℓ×3), 부탄올(1ℓ×3)로 각각 추출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진공 건조하여 헥산(Hexane), 디클로로메탄(CH2Cl2), 에틸아세테이트(EtOAc) 및 부탄올(BuOH) 그리고 잔사물(Water)를 얻었다. 각 분획물은 해당 용매로 용해시켜 0.2 μm membrane filter(Advantec MFS Inc. USA)로 제균하여 4℃에 보관하면서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사용균주 및 시약>
본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피부에서 흔히 검출되는 균주 3종과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Propionibacterium acne의 각각 항생제 내성균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Table 1). Propionibacterium acne은 혐기성균으로 anaerobic Jar(Oxoid, USA)에서 배양하였다. 이 균주들의 배지는 Tryptic soy agar(TSA)는 Difco(USA)사, GAM Broth는 Nissui(Japan)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능 측정
<1> 실험 방법
<1-1> 전자공여능
박달목서 추출물과 분획물의 전자공여작용(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은 추출물에 대한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의 전자공여 효과로 각 추출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DPPH용액 100 ㎕와 농도별 추출물과 분획물을 100 ㎕씩 넣어 혼합 후 냉암실에서 30분간 반응 유도한 다음, 남아있는 라디칼의 농도를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융로 나타내었다.
<1-2> ABST 라디칼 공여능
2,2'-Azion-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7.4 mM ABTS와 2.6mM potassium persulfate를 제조한 후 희석된 ABTS·+용액 100 ㎕에 농도별로 제조된 추출물 100 ㎕를 첨가한 다음 30분 후 700nm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시료를 녹인 용매인 ethanol를 대조군으로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2> 실험 결과
<2-1>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DPPH의 감소는 free radical의 소거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지질과산화의 초기반응 억제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유해산소인 활성산소는 세포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지질과산화 반응을 일으켜 체내 과산화지질을 축적함으로 인해 생체기능이 저하되고 동시에 색소침착, 노화 및 성인병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tano T. 1995.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 Med. 49: 357-363.).
전자공여능 측정 실험에서 이용한 DPPH assay는 페놀성 화합물, 방향족 아민류 및 아스코빅산 등에 의해 수소나 전자를 받아 환원되어 보라색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항산화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비교적 간단하며 짧은 시간 내에 측정할 수 있어 널리 이용되어졌다(Riley PA. 1997. Molecules in focus melanin. Int. J. Biochem. Cell Biol. 29: 1235-1239.).
박달목서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도 1과 같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였고, 50 ㎍/ml에서 8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비교군인 ascorbic acid와 비교해 보았을 때 우수한 전자공여능 활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12.5 ㎍/ml에서 80% 이상의 효과를 나타냄으로 에탄올추출물과 다른 분획물에 비해 낮은 농도에서 우수한 전자공여능 활성을 나타내었다.
<2-1> ABST 라디칼 공여능 측정 결과
DPPH radical 소거활성 실험과 동일한 원리로, ABTS assay는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으로 생성된 peroxide radical 성격의 ABTS·+가 항산화성 물질에 의해 제거되면서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양이온 라디칼이 소거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D. 2007.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0-254).
ABTS 시약은 합성된 radical이나 유기용매와 물에 모두 용해되므로 극성 시료뿐만 아니라 비극성 시료의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 가능하여 항산화 활성 연구에 많이 이용되었다(Awika JM, Rooney LW, Wu X, Prior RL, Cisneros-Zevallos L. 2003. Screening methods to measure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orghum bicolor) and sorghum products. Agric. Food Chem. 51:6657-6719.). 박달목서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ABTS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가 도 2와 같이 도시되고 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였고, 12.5 μg/ml에서 80%, 100 μg/ml에서 9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대조물질인 ascorbic acid의 결과와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균력 측정
<1> 실험 방법
항균력 측정은 Disc diffusion assay 방법을 사용하였다(Hayes, A.J., Markovic, B., 2002. Toxicity of Australian essential oil Backhousia citriodora (Lemon myrtle). Part 11.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Food. Chem. Toxicol. 40(4): 535-543). 각 균주는 10 mL의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18시간씩 3회 계대 배양하여 항균활성 시험균주로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시험균 농도를 0.5 McFarland으로 106 - 108 CFU/mL 되게 한 후 pour-plate 방법에 균접종 평판배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50 mg/ml 농도로 조제하여 농도별로 paper disc(Whatman No.5, 8 mm)에 천천히 흡수 시킨 후,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킨다. 시험용 평판배지 표면에 disc를 밀착시키고 최적온도 37℃에서 배양한 후 disc 주변에 생성된 생육저해환(clear zone, mm)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사용 균주, 배지 등을 정리하였다.
<2> 실험 결과
박달목서의 에탄올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해 Disc diffusion assay 방법으로 처리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탄올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 중에서 S. aureus는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활성을 띠었고, 디클로로메탄분획물에서 다른 분획물에 비해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 epidermidis SK4와 항생제내성균인 S. epidermidis SK9와 S. epidermidis SK1 9는 에탄올추출물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활성을 띠었고, P. acnes와 P. acnes SK7은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활성을 띠었다.
1) -, No inhibition
<실험예 3> 추출물과 분획물의 최소저해농도(MIC) 측정
<1> 실험 방법
최소저해농도(MIC)는 Micro-well dilution assay 방법(Amster D. 1996. Susceptibility testing of antimicrobial in liquid media,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4th ed. Williams and Wikins, MD, USA. p 52-111)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 농도를 0.5 McFarland으로 106 - 108 CFU/mL가 되게 한 후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각 시료를 농도별로 10 μL씩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세균 배양액의 증식 정도를 Microplate reader(Powerwave XS, BioTek)로 650 nm에서 측정하였다. 세균만 접종한 well에서의 흡광도 값도 비교하여 최소억제농도를 정하였다.
<2> 실험 결과
박달목서의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S. aureus는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0.25 mg/ml의 낮은 농도로 억제되었다. S. epidermidis SK4, S. epidermidis SK9, S. epidermidis SK19는 디클로로메탄분획물에서 0.312 mg/ml의 낮은 농도로 억제되었고, 그 외에 에탄올추출물,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0.125 - 0.250mg/ml 농도로 억제되었다. P. acnes는 Disc diffusion assay 방법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에탄올추출물에서는 항균력이 미미하였으나, 순차적 분획물인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억제 농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P. acnes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0.312 mg/ml의 낮은 농도에서 억제되었다.
1) -, No growth
<실험예 4> 최소세균치사농도(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측정
<1> 실험 방법
MIC로 선정된 농도보다 그 이상의 농도에 해당하는 well의 배양액 100 ul 씩을 고체배지에 직접 도말하였다. 각각의 균을 배양 후 plate 상에서 육안으로 관찰되는 colony 수를 직접 계수 하였다. 이때 확인되어지는 colony 수가 액체배양액으로부터 접종한 초기 접종균수의 99.9%를 사멸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되어진 경우 이때의 처리농도를 최소세균치사농도(MBC)로 정하였다(Cohen MA, Huband MD, Yoder SL, Gage JW, Roland GE., 1998, Bacterial eradication by clinafloxacin, CI-990, and ciprofloxacin employing MBC test, in-vitro time-kill and in-vivo time-kill studies. J Antimicrob Chemother. 41(6): 605-14).
<2> 실험 결과
박달목서의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한 최소세균치사농도(MBC)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S. aureus는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0.125 mg/ml의 농도를 나타냈으며, S. epidermidis SK4, S. epidermidis SK9, S. epidermidis SK19는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0.612 mg/ml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P. acnes와 P. acnes SK7은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0.25 mg/ml의 농도를 나타냈고, P. acnes SK7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0.125 mg/ml의 농도를 나타냈다.
1)-, No growth
Claims (3)
-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박달목서 추출물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헥산 분획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8662A KR102343944B1 (ko) | 2020-04-22 | 2020-04-22 |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8662A KR102343944B1 (ko) | 2020-04-22 | 2020-04-22 |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0450A true KR20210130450A (ko) | 2021-11-01 |
KR102343944B1 KR102343944B1 (ko) | 2021-12-29 |
Family
ID=7851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8662A KR102343944B1 (ko) | 2020-04-22 | 2020-04-22 |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394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4233B1 (ko) | 2003-12-26 | 2006-04-26 | 주식회사 알로에마임 |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0941662B1 (ko) * | 2001-10-09 | 2010-02-11 |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 글루타티온 증강용 조성물 |
KR20160040498A (ko) * | 2016-03-30 | 2016-04-14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때죽나무(Styrax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히알루로니다아제(HAase, hyaluronidase) 저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조성물 |
KR20160106888A (ko) * | 2015-03-03 | 2016-09-13 | (주)아모레퍼시픽 |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
2020
- 2020-04-22 KR KR1020200048662A patent/KR1023439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1662B1 (ko) * | 2001-10-09 | 2010-02-11 |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 글루타티온 증강용 조성물 |
KR100574233B1 (ko) | 2003-12-26 | 2006-04-26 | 주식회사 알로에마임 |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60106888A (ko) * | 2015-03-03 | 2016-09-13 | (주)아모레퍼시픽 |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KR20160040498A (ko) * | 2016-03-30 | 2016-04-14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때죽나무(Styrax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히알루로니다아제(HAase, hyaluronidase) 저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오순자 외 1명. 아열대성 식물 4종의 항산화효소 활성과 이소엔자임의 계절적.일주기적 변화,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2.11.01.*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3944B1 (ko) | 2021-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atista et al. | The phot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red propolis extract in rats | |
Silva et al. | Hypericum genus cosmeceutical application–A decade comprehensive review on its multifunctional biological properties | |
KR20160110716A (ko) |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 |
Saad et al. | Evaluation of anti-melanogenesi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ive Artocarpus species for cosmeceutical applications | |
Susano et al. | Mitigating the negative impacts of marine invasive species–Sargassum muticum-a key seaweed for skincare products development | |
KR101244752B1 (ko) | 피부 미백, 노화 방지, 항산화 및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1519234B1 (ko) | 울금 및 동백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13737B1 (ko) | 골담초 동충하초 고체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20190058059A (ko) | 콩나물 및 콩나물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343944B1 (ko) |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
Kathiresh et al. | Bioactive compounds in Sesbania sesban flower and it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 |
KR101904971B1 (ko) | 괄루근 동충하초 고체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1665354B1 (ko) | 때죽나무 어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Ardalan et al. | Kinetic study of free radicals scavenging by saffron petal extracts | |
Kiran et al. | In vitro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ity of seeds of Psoralea corylifolia L | |
KR100870110B1 (ko) |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22536390A (ja) | 酸化ストレスを治療し、皮膚の健康を回復させるための天然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方法 | |
KR101207560B1 (ko) |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Upaganlawar et al. | Mangosteen (Garcinia mangostana linn.): Role in prevention of skin disorders | |
Lee et al. | Physiological Study of the Extract of Junglans nigra Shells for the Cosmeceutical Application | |
Oargă et al. | Unveiling the mechanisms for the development of rosehip-based dermatological products: an updated review | |
KR101761607B1 (ko) | 반주름말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및 항균용 조성물 | |
HUBERT et al. |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ruit and leaves extract of lannea microcarpa england K. Kraus (anacardiaceae) | |
KR102419455B1 (ko) |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230126859A (ko) |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