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110B1 -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110B1
KR100870110B1 KR1020070056666A KR20070056666A KR100870110B1 KR 100870110 B1 KR100870110 B1 KR 100870110B1 KR 1020070056666 A KR1020070056666 A KR 1020070056666A KR 20070056666 A KR20070056666 A KR 20070056666A KR 100870110 B1 KR100870110 B1 KR 100870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seed
cosmetic composition
vitis coigneti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선이
Original Assignee
방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선이 filed Critical 방선이
Priority to KR102007005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균, 항여드름 및 항비듬 활성을 갖는 머루 중 특히 머루씨의 에틸 알콜 추출물 및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머루는 일반적으로 높은 황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머루 씨는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며, 이런 항산화 활성은 머루주 제조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된다. 또한 머루씨는 항균, 항여드름 및 항비듬 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런 기능을 이용한 천연 기능성 화장품으로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wild grape seed}
도 1은 본 발명의 머루의 95 % 에틸 알콜 추출물 가운데 머루를 부위별로 추출한 추출물 및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의 항산화 활성(발효 후 머루씨 추출물(A), 발효전 머루씨 에탄올 추출물(B), 발효전 머루씨 물 추출물(C), 머루 줄기 에탄올 추출물(D), 머루 열매줄기 에탄올 추출물 (E))이다.
도 2는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E. coli , S. aureus , P. aeruginosa를 사용하였다.
도 3은 머루씨 추출물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여드름의 대표 균주인 P. acnes , S. epidermidis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갖는 머루씨 추출물의 에틸 알콜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활성, 항균, 항여드름, 항비듬, 노화 방지 및 지연을 제공하는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는 자유라디칼(free-radical)에 의한 세포내 물질의 산화적 손상이 원인이 된다. 즉, 하이드록시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등의 활성 산소와 같은 높은 반응성의 자유라디칼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방 성분을 산화시켜 세포막을 파괴하고, 이 결과로 단백질을 산화시키며 핵산의 기능을 정지시켜 결국 생체내 성분을 파괴하고 세포사멸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피부노화의 원인으로는 과다한 자외선 노출, 피부세포의 영양 결핍 및 화장품의 부작용 등을 들 수 있다.
피부세포 영양결핍의 주된 원인으로는 무리한 다이어트, 불규칙한 식사등 불균형적인 영양으로 인한 피부세포의 영양결핍이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진피층에 존재하는 콜라겐(collagen)의 생성이 억제되어 피부의 수분이 증발하는 증상이 나타나며, 또한 피하지방층에 이상이 생겨 피부의 탄력이 손실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과도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파괴되면서 자외선에 존재하는 입자가 음(-)이온을 형성하여 피부세포를 구성하는 단백질 분자와 결합하면서 자유라디칼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불안정한 물질로 피부세포의 단백질과 반응하여 피부세포의 단백질을 다른 단백질로 변화시켜 결국 피부세포를 크게 손상시키고, 이렇게 손상된 피부세포는 자기 고유의 세포 기능이 불가능해져 피부세포가 노화되게 된다.
이외에도 화장품의 부작용으로 피부의 지방과 수분의 조화를 파괴하는 것도 피부노화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생체내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노 화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 한편 항산화 화장료는 지방 성분의 산화를 포함한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여 피부의 노화를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지금까지 항산화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은 퀘세틴(Quercetin)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베타카로틴(β-carotene),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한 물질로, 이들 화학 물질은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어 사용이 제한되거나 일부 국한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독성분이 지속적으로 체내에 축적될 경우 만성 독성, 발암성, 돌연 변이 유발등 그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다양한 목적으로 천연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머루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가공식품의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머루종자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물질인 카테킨((+)-catechin)의 동정, 머루 과피의 용매추출물중 항산화활성과 아질산염 소거 활성 등의 연구 결과를 갖고 있으나, 아직 특허나 본 연구진이 이루고자 하는 항균, 항여드름 및 항비듬 활성에 관한 것은 없다.
따라서 좀더 다양한 방법으로의 머루 이용 및 농가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항균 효과 및 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항여드름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체에 안전하고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항산화 활성, 항균, 항여드름 및 항비듬 활성을 갖는 머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머루를 95% 에틸 알콜로 80℃로 2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감압농축하여 머루씨를 추출한 후, 추출된 머루씨를 분쇄하고, 95% 에틸 알콜로 80℃로 2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감압농축하여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을 배합하여 만든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P.acnes 또는 S. epidermidis의 생육을 억제하여 여드름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여러 가지 천연물 중에서 항산화 작용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 머루(Wild grape) 추출물 중 머루씨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균작용에 있어서 그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머루(Wild grape/Vitis cognetiea)는 갈매나무목(Rhamnales) 포도과(Vitaceae)에 속하는 낙엽성 덩굴식물로 포도와 형상이 비슷하나 산에서 야생으로 자생하며, 내한성과 병충해 저항성이 강한 성질을 지녔다.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동북아시아에 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머루는 대부분 개량머루(Vitis spp.) 품종으로 추정되고 있다. 개량머루는 야생머루인 새머루(V. flexuosa Thunb.)를 모본으로 하고 포도의 일종인 콩코드를 부본으로 하여 교배 육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머루 추출물은 머루를 부위별로 분류를 한 후, 95 % 에틸 알콜로 80℃로 2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감압농축 하였다.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은 머루주를 제조한 다음 머루씨를 회수하여 분쇄 후 상기의 추출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머루씨 추출물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성 조성물과 항균 조성물은 노화 방지 및 지연, 화농성 피부질환,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 등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에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갖는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머루씨 추출물의 함량은 0.001 내지 10 wt%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wt%이다. 상기 함유량이 0.001 wt% 미만일 경우에는 항산화 및 항균 효과가 미미하고, 10 wt%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에 따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하여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비누,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 등의 통상의 화장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담체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갖는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 료 조성물은 화장품, 세제 및 섬유 등의 피부에 접촉하는 피부접촉물질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농성 피부질환, 여드름이 있는 피부에 사용시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갖는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 포함되는 머루씨 추출물은 0.01 내지 10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머루씨 추출물은 물에 혼합하여 제조한 기능성 음료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100 mL에 대하여 머루씨 추출물 0.001 내지 10 wt%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에는 통상적으로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머루 추출물의 1차 추출물 제조
경기도 감악산 산머루 농장에서 구입한 머루를 부위별로 분류를 한 후, 95 % 에틸 알콜로 80℃로 2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감압농축 하였다.
이때, 상기 머루 및 감압농축된 머루씨에 에탄올을 시료 1 ㎏ 당 1 내지 10 L로 가하여 추출한다.
실시예 2.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 제조
경기도 감악산 산머루 농장에서 구입한 머루를 이용하여 추출물은 머루주를 제조한 다음 머루씨를 회수하여 분쇄 후 95 % 에틸 알콜로 80℃로 2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감압농축 하여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를 추출하였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된 머루씨에 에탄올을 시료 1 ㎏ 당 1 내지 10 L로 가하여 추출하고, 상기 머루 및 머루씨 추출물의 함량이 0.001 내지 50 wt%로 구성된다.
실시예 3. 항산화 작용 시험(DPPH 제거 시험)
1,1-디페닐-2-피크릴 하이드라질 라디칼(DPPH)은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free radical)으로 517 nm에서 강한 흡광(자홍색)봉이 있는데, 자유기 제거제가 있을 때 그 탈색정도는 일정한 비율관계를 가지고 있어, 항산화제 스크리닝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한 머루씨 추출물과 실시예 2에서 추출한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과 Ascorbic acid(Vitamin C)의 최종 농도가 각각 0, 5, 25, 50, 100, 150, 200 /mL가 되도록 DPPH 60 ㎛에서 30 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 1로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표 1]
분획물 EC50(mg) 시료 EC50(mg)
발효 후 머루씨 에탄올 추출물 0.04 머루 줄기 메탄올 추출물 0.14
머루씨 에탄올 추출물 0.04 머루 열매줄기 메탄올 추출물 0.07
머루씨 물 추출물 0.02 머루 에탄올 추출물 0.1
머루 에틸아세테이트 분액물 0.03 머루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활성없음
포도씨 추출물 0.19
비타민 C 0.01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의 머루씨 추출물과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은 종래의 항산화 물질인 Ascorbic acid (Vitmin C)와 비교하여 DPPH (1,1-diphenyl-2-picrylhy drazyl radical) 제거 효율이 대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머루의 95 % 에틸 알콜 추출물 가운데 머루를 부위별로 추출한 추출물 및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의 항산화 활성(발효 후 머루씨 추출물(A), 발효전 머루씨 에탄올 추출물(B), 발효전 머루씨 물 추출물(C), 머루 줄기 에탄올 추출물(D), 머루 열매줄기 에탄올 추출물 (E))의 결과를 알 수 있다.
실시예 4.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의 항균 활성
첨부된 도 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머루주 또는 머루씨 추출물의 향균활성을 E. coli , S. aureus , P.aeruginosa를 사용하는데, 이는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추출한 머루씨 추출물의 항균 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장균(E.coli), 황색포도상구균(S.aureus), 녹농균(P.aeruginosa)을 선택하여 MH(Mueller Hinton broth) 배지에 최 종균 농도가 105 CFU/mL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이를 microdilution 법으로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을 처리하여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들의 성장과 비성장을 육안으로 관찰 후, 성장이 억제된 농도의 머루씨 추출물을 다시 agar pate에 배양하는 방법으로 최소 억제농도(MIC: Mu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구분 최소 억제농도(MIC)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이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효과
0.01% 0.03% 0.05% 0.1% MIC
E.coli - - - - -
S.aureus - - - +++ 0.9%
P.aeruginosa - - + +++ 0.9%
- : 균의 성장을 억제하지 못함
+++ : 균의 성장을 100% 억제시킴
실시예 5.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효과
첨부된 도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머루씨 추출물의 향균활성을 E. coli , S.aureus, P. aeruginosa를 나타낸 것으로 여드름의 대표 균주인 P. acnes , S.epidermidis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추출한 머루씨 추출물의 항염증 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페니실린에 민감한 균주(S. epidermidis)와 여드름의 대표 균주(P. acnes)를 선택하여MH(Mueller Hinton broth) 배지에 최 종균 농도가 10 5 CFU/mL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이를 microdilution 법으로 머루씨 추출물 및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을 처리하여 32℃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들의 성장과 비성장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성장이 억제된 최소농도를 최소 억제농도(MIC: Mu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로 결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구분 최소 억제 농도(MIC)
머루주 제조 후 머루씨 추출물이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효과
0.1% 0.3% 0.5% 0.9% MIC
P,acnes - - - +++ 0.9%-
S,epidermidis - - - +++ 0.9%
- : 균의 성장을 억제하지 못함
+++ : 균의 성장을 100% 억제시킴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노화 방지 및 지연, 화농성 피부질환,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 상처치료 등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하여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비누,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 등의 통상의 화장료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고, 이들을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담체와 첨가제를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향균 작용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 세제 및 섬유 등의 피부에 접촉하는 피부접촉물질로 제조할 수 있으며, 화농성 피부질환, 여드름이 있는 피부에 사용시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Claims (4)

  1. 머루를 95% 에틸 알콜로 80℃로 2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감압농축하여 머루씨를 추출한 후, 추출된 머루씨를 분쇄하고, 95% 에틸 알콜로 80℃로 2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감압농축하여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를 배합하여 만든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P.acnes 또는 S. epidermidis의 생육을 억제하여 여드름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머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56666A 2007-06-11 2007-06-11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666A KR100870110B1 (ko) 2007-06-11 2007-06-11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666A KR100870110B1 (ko) 2007-06-11 2007-06-11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110B1 true KR100870110B1 (ko) 2008-11-25

Family

ID=4028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666A KR100870110B1 (ko) 2007-06-11 2007-06-11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59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25B1 (ko) * 2020-05-26 2020-10-14 박성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3290A (ja) * 2001-08-31 2003-03-12 Kao Corp 外用剤組成物
KR20040084387A (ko) * 2003-03-28 2004-10-06 주식회사 유니젠 포도나무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잉의엘라스타제로 인해 야기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3290A (ja) * 2001-08-31 2003-03-12 Kao Corp 外用剤組成物
KR20040084387A (ko) * 2003-03-28 2004-10-06 주식회사 유니젠 포도나무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잉의엘라스타제로 인해 야기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4권 6호, pp.755-758(200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20권 2호, pp.1777-184(200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59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25B1 (ko) * 2020-05-26 2020-10-14 박성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2B2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043A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8095A (ko)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2754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초임계 함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870110B1 (ko)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4063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407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7462A (ko) 님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2753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상엽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514212B1 (ko) 화장료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26678A (ko) 참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방법
WO2003063803A1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ingredient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KR20180039390A (ko) 엘리오카르푸스 하이나넨시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60021677A (ko)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4098A (ko) 참외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작약뿌리 추출물 및 청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51851A (ko) 감태, 바다제비집, 다시마 및 포도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염증 완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64908A (ko) 참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동백나무 겨우살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형의 항산화용 화장품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참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동백나무 겨우살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형의 항산화용 화장품
KR101596576B1 (ko)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