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576B1 -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576B1
KR101596576B1 KR1020140054882A KR20140054882A KR101596576B1 KR 101596576 B1 KR101596576 B1 KR 101596576B1 KR 1020140054882 A KR1020140054882 A KR 1020140054882A KR 20140054882 A KR20140054882 A KR 20140054882A KR 101596576 B1 KR101596576 B1 KR 10159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broccoli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086A (ko
Inventor
김형길
김윤희
안혜정
정보훈
Original Assignee
김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길 filed Critical 김형길
Priority to KR1020140054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57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녹색식물 복합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효과, 세포독성완화 및 콜라겐 합성 촉진에 효과적이고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가지고 있는 상기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는 항산화 및 항노화 등의 피부개선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산화, 항노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식물 중 녹색을 함유하는 식물군 복합제조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온도 및 습도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주며, 체온 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 세포들이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영양결핍, 자외선, 환경오염물질, 급격한 기온의 변화등과 같은 세포를 손상시키는 세포 손상 자극 들 뿐 만 아니라 환경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산소의 농도가 증가하며 증가된 활성산소는 체내의 유해산소농도를 증가시켜 세포와 유전자의 손상을 주어 노화를 촉진하거나 여러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산화 물질로서 세포를 공격하여 유전자 변이나 주변 세포를 상하게 하여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다량 생성된 활성산소는 건강한 세포를 공격하여 면역체계를 교란시키며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게다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는 멜라닌 색소를 분비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는 자연적인 방어 기능이 있으나 장시간 혹은 강한 자외선에 의한 노출로 인해 작게는 주근깨나 피부 톤이 어두워지는 현상에 더 나아가 활성산소의 공격으로 피부의 진피층의 콜라겐을 산화시켜 피부의 결합조직이 느슨해지고 피부 탄성이 줄어들어 주름이 생기며 피부의 탄력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피부의 활성산소의 산화력을 줄여주는 노력이 여러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KR2012-0082139 10 KR2006-0111026 10 KR2014-0015668 10
본 발명은 항산화, 항노화 등의 피부개선 효과가 있는 생약재 중 녹색을 띄는 식물들을 선별하고 이에 대한 복합 추출물의 제조와 활성을 연구하여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추출물을 포함해 항산화, 항노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항노화의 화장료로 사용 될 수 있다. 이때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전체 100중량부 중에서 브로콜리 1~15 중량부, 선인장 1~15중량부, 수세미 열매 1~15중량부, 소나무 전초 1~15중량부, 쑥 1~15중량부, 키위 열매 1~15중량부, 매실 열매 1~15중량부, 올리브 1~15중량부, 녹차 전초 1~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텔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총 100중량부 중에서 브로콜리 1~15 중량부, 선인장 1~15중량부, 수세미 열매 1~15중량부, 소나무 전초 1~15중량부, 쑥 1~15중량부, 키위 열매 1~15중량부, 매실 열매 1~15중량부, 올리브 1~15중량부, 녹차 전초 1~15중량부를 혼합하여 식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식물 혼합물의 중량의 5~10배의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을 농축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 유래인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항노화 효과가 우수하여 상기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 진정 및 피부노화 방지 등의 피부개선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추출물의 중량%는 브로콜리 1~15 중량%, 선인장 1~15중량%, 수세미 열매 1~15중량%, 소나무 전초 1~15중량%, 쑥 1~15중량%, 키위 열매 1~15중량%, 매실 열매 1~15중량%, 올리브 1~15중량%, 녹차 전초 1~15중량%를 세절한 후 혼합한 것이다.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italica)는 양귀비목 배추과의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으로 그리스 시대부터 재배하기 시작했다. 원래 이탈리아말로 브로콜리(broccoli)는 팔 또는 가지를 의미하는데 작은 가지가 모여서 하나의 큰 송이를 이루고 있는 브로콜리의 모양에서 비롯된 말이다 브로콜리의 비타민C 함유량은 레몬의 2배, 감자의 7배로 야채 중에서도 두드러지게 많다. 비타민C는 기미나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을 막아주어 피부를 뽀얗고 투명하게 가꿔주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브로콜리에는 고춧잎, 쑥갓 다음으로 비타민E가 풍부하다. 비타민E는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브로콜리에는 빈혈을 예방하는 철분이 100g 중 1.9mg으로 야채 중에서도 으뜸이다. 철분은 가려움증방지, 항염, 비듬방지, 항산화 등의 효과가 있다. 브로콜리에 들어 있는 비타민A 성분 및 셀레니움을 비롯한 각종 미네랄은 피부나 점막의 저항력을 강화시켜 세균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하는 등 면역력을 강화시킨다.
선인장(Opuntia humifusa)을 풀이하면 신선의 손바닥 이라는 뜻이다. 신선의 손으로 환자를 치료하듯 선인장을 짓찧어 화상이나 각종 피부병 등 환부에 붙이면 크게 효과를 보았다. 추운 겨울 혹한을 이겨내고 한여름 불볕더위를 견디는 강인한 생명력 을 갖고 있으며 뿌리에는 사포닌 성분이 많고 인삼냄새가 나서 태삼 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는 소담제나 해열제로 쓰여 왔고, 특히 열매는 항암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한방재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임상으로 입증된 효능이 알려지면서 변비, 이뇨효과, 장운동의 활성화 및 식욕증진, 피부질환, 류마티스, 화상 등에도 이용되어 왔다.
수세미(Luffa cylindrica R.)는 1년생 덩굴 식물로서 수세미오이라고도 불리며 원래 열대아시아 원산의 외과식물이다. 일반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것은 식용, 가공용, 원예용의 세 종류이다. 이들 세 종류의 외관은 각각 다르지만 수세미외의 액체가 지닌 효능은 모두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열매는 길이가 60cm에 달하며 겉에 세로 주름이 줄기의 절단면에서 나오는 수액은 화장수로 사용한다. 수세미추출물을 사용하면 피부가 달아오르는 것을 진정시켜주고 여드름 등의 염증, 땀띠 등에 효과가 있으며 피지의 과잉분비를 막아주고 모공이 막히는 것도 방지해준다. 또한 피부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 주며 가려움방지 효과가 뛰어나다. 그 결과로 피부의 상태가 안정되기 때문에 기미나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되고 피부가 매끄러워지며 색깔이 좋아지고 윤기가 돌게 된다.
소나무(Pinus Sylvestris)는 여러부위가 약재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러한 부위 가운데 4 ~ 6월 사이에 소나무가지의 선단부에서 새로 돋아나는 신선한 싹을 소나무싹이라 하여 예부터 약용하였다. 소나무싹을 채취하여 추출, 여과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효능을 나타낸다. 소나무싹은 비타민 C를 다량 함유하고 솔잎이나 소나무싹의 약리효과는 민간요법 등을 통하여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중국의 한방고서인 본초강목에는 피를 맑게 하고, 혈행을 도우며, 염증, 부기 등을 치료하고, 소염, 진통, 진정의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중약대사전에는 감기 및 기관지천식의 예방효과와 함께 외용시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통증제거와 치료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독일 의학협회의 자료에 의하면 기도(氣道)의 점막 염증에 효과적이며, 혈류촉진, 항균, 분비촉진작용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쑥(Artemisia Princeps)은 오랫동안 약효 및 식용식물로 알려져 왔으며 초롱꽃목 국화과 쑥속의 총칭으로 약 250종이 있으며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사막에도 생육한다. 쑥은 무엇보다도 약이다. 그건 쑥의 놀라운 생명력에서 나온다고 한다. 일본 히로시마의 2차 세계대전 원자폭탄의 잿더미 속에서 가장 먼저 피어오른 식물이 쑥이라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쑥은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오래 전부터 세계적으로 식용 및 약용으로 쓰여 졌으며 특히 동양의학에서는 약물로서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질병치료를 위해 자연요법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쑥은 비타민 A와 C의 보고이기 때문에 해혈, 진통, 해독, 피부건조 및 각종 알러지 증상을 완화하며 생즙은 혈압강화와 소염작용도 인정되고 있다. 현대적 약리실험에 따르면 쑥은 항균, 혈액응고, 자궁수축, 기관지확장, 해열작용 등이 있다고 한다. 위장병, 소화불량, 고혈압, 간장질환, 부인병이나 신경통에는 쑥 생즙이 효과적이다. 항염 효과가 있어 피부 진균을 억제하며 항암 효과가 있는 복합 다당체의 효과도 있다.
키위(Actinidia Chinensis)의 역사는 중국의 양쯔강 계곡에서 시작되었는데 이곳에서 키위는 양따오(Yangtao)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키위 1개에는 약 80의 비타민C가 들어있다. 사과의 17배, 오렌지나 귤의 2배, 자몽의 3배라고 하니 가히 비타민C의 결정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단 비타민C 만이 아니다. 키위에는 토코페롤이라 알려진 비타민 E가 사과의 6배, 비타민A의 전구체인 카로틴 또한 풍부하다. 나트륨을 배출시켜 혈압을 낮추는 칼륨도 다량 포함되었으며, 최근 들어 항산화 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탄닌도 풍부하다. 작은 키위 1개에 농축된 이런 성분들이 우리 몸에 들어가면 각종 생활습관병과 암을 강력하게 저지한다.
매화(Prunus mume) 또는 매실나무는 쌍떡잎식물의 장미목 장미과로 분류된다. 중국에서는 매실은 가장 오래된 과수의 일종으로서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매실은 Mineral(광물성 영양소)이 풍부한 과실이다. 매실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은 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알칼리성의 미네랄이다. 또한 여러 종류의 유기산이 풍부한 과실로 해독작용으로 인한 간 보호 및 기능 향상시키며 소화불량, 변비 등 위장 장애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항염작용 및 살균 작용으로 피부트러블을 줄여주는 등 여러 가지의 뛰어난 약리 효과가 있다.
올리브(Olea europaea) 나무는 높이가 5-10m이며 수많은 가지가 달린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부분에 흰 털이 나 있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타원형이며 자흑색으로 익는다. 터키가 원산지라고 하며 BC 3000년부터 재배해 왔고 지중해 연안에 일찍 전파되었다. 주요 생산국은 이탈리아, 에스파냐, 그리스. 프랑스 및 미국 등이다. 올리브 잎, 가지 열매에서 추출한 올리브 추출물은 단백질, 미네랄 및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건성피부에 좋고, 비타민 A, D 및 E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 침투성이 좋고 살결을 유연하게 만든다. 또한, 염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고 모발 관리 및 피부 진정 효과에 뛰어나며 겨울에 살이 트는 것을 방지한다. 상처 소독 효과가 있어 염증이 있는 피부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며, 관절염 및 류마티스의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
녹차(Cammellia Sinensis)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마실 거리를 만든 재료를 말하여 일반적으로 음용하면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행을 촉진시키고 이뇨를 촉진하고 수렴성질을 가지며 소화를 돕기도 한다. 피부에서 바르는 경우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그을음을 방지하고 피부트러블을 감소시킨다. 또한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피부의 잔주름 예방에도 탁월하다. 레몬에 비해 58배나 많은 비타민 C가 함유하여 몸속의 노폐물도 씻어주고, 노화를 예방하는 카테킨 성분과 피부를 진정시켜주는 타닌, 미백에 효과적인 비타민 등이 들어 있어 피부를 윤기 있고 건강하게 지켜준다. 녹차에 들어있는 카테킨과 비타민 A, C, E 등이 피부 노화의 원인인 유해 산소를 제고하고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막아 기미나 주근깨를 예방하므로 피부를 젊고 아름답게 가꿀 수 있다. 또한 토코페롤과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세포막이 산화를 막고 보습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이거나,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텔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용매로 추출되는 용매추출물이다.
즉,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성분 각각을 상기 용매로 추출한 후 혼합한 혼합추출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먼저 건조중량으로서 브로콜리 1~15 중량%, 선인장 1~15중량%, 수세미 열매 1~15중량%, 소나무 전초 1~15중량%, 쑥 1~15중량%, 키위 열매 1~15중량%, 매실 열매 1~15중량%, 올리브 1~15중량%, 녹차 전초 1~15중량%를 세절한 후 혼합하여 천연식물혼합물을 제조한다. (제1단계)
이에 상기 생약혼합물 중량의 5~10배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제2단계) 만약, 5배 미만의 용매를 가하면 제대로 용매를 혼입한 효과가 없으며, 용매의 10배를 넘게 혼입하면 과다한 혼입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혼합물의 비중이 줄어들게 되어 효과가 덜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 추출된 추출액을 농축한 후 건조하여 천연식물 복합추출물(그린 콤플렉스)을 제조할 수 있다. (제3단계)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그 상승작용에 의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고(시험예 1), 세포 독성, 증식 촉진 효과 측정에서 세포 독성이 없으며 인체 피부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증식 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시험예 2),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측정을 통해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시험예 3)에 있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천연식물 복합추출물은 피부자극완화 효과(시험예 4)에 있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 10 중량% 함유된다. 상기와 같은 중량부일 경우에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이 많은 실험과 누적된 데이터에 의하여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 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콘디셔너, 헤어 젤,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시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천연식물 복합추출물의 제조
건조하여 세절된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열매, 소나무 전초, 쑥, 키위 열매, 매실 열매, 올리브 및 녹차 전초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식물혼합물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70% 함수 에탄올 5배 중량(3kg)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으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추출한 뒤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3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시켰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한 후 스프레이드라이어(BUCHI사 제품)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천연식물 복합추출물 30.5g을 얻었다.
비교예 1~3 : 천연식물 복합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에 따라 천연식물 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로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을, 비교예 2로는 항노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을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14043356448-pat00001
실시예 2, 실시예 3 : 생약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의 제조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실시예 1)을 함유한 제형을 하기 [표 2]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112014043356448-pat00002
시험예 1: NBT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다른 항산화제 즉, BHT를 비교샘플로 하여, NBT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평가하였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를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시켜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소거율을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인 활성산소 소거율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바이알(5ml vial)에 0.05M Na2CO3 2.4ml, 3mM 크산틴 용액 0.1ml, 3mM EDTA 용액 0.1ml, BSA 용액 0.1ml 및 0.72mM NBT 용액 0.1ml를 가하고, 여기에 DMSO(dimethyl sulfoxide)에 0.1(wt/v)% 농도로 제조한 시료용액 0.1ml을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그 후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0.1ml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그 후 6Mm CuCl2 용액 0.1ml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효과의 결과는 하기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억제율(%) = [1-(St-So)/(Bt-Bo)] ×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표 3]
Figure 112014043356448-pat00003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0.1(wt/v)% 농도에서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을 모아 추출한 비교예 1에 비해서도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BHT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세포 독성, 증식 촉진 효과 측정
상기에 인체 진피 섬유아세포(Human skin dermal fibroblast)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CCD-986sk 인간피부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은 소량의 세포의 생세포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 알려진 염색법의 일종인 MTT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MTT 분석법이란 살아있는 세포들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L-tetrazolium bromide, Sigma)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탈수소효소의 환원작용으로 blue formazan product로 전환시키고, 이 형성된 청색의 생성물을 용매로 용출하여 이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살아있는 세포의 상대적 성장(growth)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즉, CCD-986sk(Human dermal skin fibroblast)을 10% FBS-IMDM(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Gibco)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5×104cells/m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96well-plate에 200㎕씩 분주하고, 이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후, 10% FBS-IMDM로 조제한 시료별 200㎕과 FBS-free IMDM 180㎕를 다시 첨가하여 동일 조건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이 때, FBSfree IMDM만을 사용한 실험구를 시료의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반응 완료 3시간 전, 5mg/ml MTT 용액(in 1×PBS(-))을 20㎕씩 첨가한 뒤, 다시 48시간까지 반응을 진행, 완료하였다. MTT 반응액을 제거한 후, DMSO(Dimethyl sulfoxide) 150㎕씩 첨가한 뒤 5분간 교반(상온)하고 이를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4]
Figure 112014043356448-pat00004
상기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세포 독성증식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세포 독성 없이 높은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 비처리구인 대조구보다 약 20%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며 인체 피부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측정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독성이 없으며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세포 내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CCD-986sk(Human skin dermal fibroblast) 내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SIRCOL collagen assay(Biocolor Ltd)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즉, CCD-986sk(Human dermal skin fibroblast)을 10% FBS-IMDM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1.5 × 105cel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35×10mm plate에 2ml씩 분주하고, 이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10% FBS-IMDM 1ml을 넣은 뒤 시료별로 다시 1ml씩 넣고 동일조건에서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각 plate로부터 배양액 0.5ml씩 취하여 마이크로튜브(Microtube)로 옮기고 DYE Reagent(SIRCOL collagen assay, Biocolor Ltd) 1ml를 첨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뒤, 원심분리(15,000rpm, 5분)하여 상등액인 DYE Reagent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에 다시 ALKALI Reagent(SIRCOL collagen assay, Biocolor Ltd) 0.1ml을 첨가하여 5분간 교반한 뒤, 이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microplate)로 옮겨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비교구로는 엘-아스코르빈산(100㎍/ml)을 사용하였으며,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는 시료용액의 첨가구의 무첨가구 대비 흡광도 증가율로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4043356448-pat00005

상기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은 가장 높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보였으며, 비교구인 엘-아스코르빈산(100㎍/ml)의 경우, 200%의 촉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대조구는 무첨가구를 말한다.
시험예 4: 피부 자극도 측정
현재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20 내지 3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완의 안쪽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와 함유되지 않는 화장료를 도포하여 유발된 자극이 진정되는 정도를 상대평가 하였다. 먼저, 하완의 안쪽 부위 두 곳에 일반 스카치 테잎으로 30회 테이핑을 하여 피부 홍반을 유발 하였다. 홍반 유발된 후, 본 발명에 따른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도포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를 도포 하였다. 도포 후 3시간 후 피부진정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자극정도(홍반) 평가>
0 (무반응) 1 (매우 경미한 홍반흔적) 2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3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4 (뚜렷한 홍반) 5 (심한 홍반)
[표 6]
Figure 112014043356448-pat00006

상기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 내지 3의 로션 조성물은 상기 복합추출물을 함유 하지 않은 대조예나 일부 만을 포함하는 비교예에 비해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3의 제형에서 우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5)

  1. 브로콜리, 선인장, 수세미, 소나무싹, 쑥, 키위, 매실, 올리브 및 녹차의 그린 콤플렉스(Green complex)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전체 100중량부 중에서 브로콜리 1~15 중량부, 선인장 1~15중량부, 수세미 열매 1~15중량부, 소나무 전초 1~15중량부, 쑥 1~15중량부, 키위 열매 1~15중량부, 매실 열매 1~15중량부, 올리브 1~15중량부, 녹차 전초 1~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텔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총 100중량부 중에서 브로콜리 1~15 중량부, 선인장 1~15중량부, 수세미 열매 1~15중량부, 소나무 전초 1~15중량부, 쑥 1~15중량부, 키위 열매 1~15중량부, 매실 열매 1~15중량부, 올리브 1~15중량부, 녹차 전초 1~15중량부를 혼합하여 식물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식물 혼합물 중량의 5~10배의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을 농축한 후 건조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054882A 2014-05-08 2014-05-08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KR10159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82A KR101596576B1 (ko) 2014-05-08 2014-05-08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82A KR101596576B1 (ko) 2014-05-08 2014-05-08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86A KR20150128086A (ko) 2015-11-18
KR101596576B1 true KR101596576B1 (ko) 2016-02-22

Family

ID=5483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882A KR101596576B1 (ko) 2014-05-08 2014-05-08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5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221A (ja) 2001-11-16 2003-05-27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6143656A (ja) 2004-11-19 2006-06-08 Kanebo Cosmetics Inc 乳化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49B1 (ko) 2005-04-21 2007-04-3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9596A (ko) * 2007-05-10 2007-08-07 김선일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9226A (ko) * 2010-08-25 2012-03-06 이용선 과일과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및 조성물
KR101189938B1 (ko) 2011-01-13 2012-10-1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5668A (ko) 2012-06-29 2014-02-07 애경산업(주)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221A (ja) 2001-11-16 2003-05-27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6143656A (ja) 2004-11-19 2006-06-08 Kanebo Cosmetics Inc 乳化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86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0150A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20120003267A (ko) 닥나무를 포함하는 천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7673B1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109031A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119316B1 (ko)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6576B1 (ko)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