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267A - 닥나무를 포함하는 천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닥나무를 포함하는 천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3267A KR20120003267A KR1020100064031A KR20100064031A KR20120003267A KR 20120003267 A KR20120003267 A KR 20120003267A KR 1020100064031 A KR1020100064031 A KR 1020100064031A KR 20100064031 A KR20100064031 A KR 20100064031A KR 20120003267 A KR20120003267 A KR 201200032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een
- tree
- extract
- skin whitening
- sk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3—Thymelaeaceae (Mezereum family), e.g. leatherwood or false ohelo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39—Bryophyta [mo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또는 참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에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하는 효과가 뛰어난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또는 참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에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하는 효과가 뛰어난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와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며 그 중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등의 여러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가 가장 중요하다.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멜라닌이 과잉생산 됨으로써 색소침착 및 피부노화를 촉진하고 피부암 유발에도 주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색소 이상침착 증상과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발생된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이전부터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코지산, 알부틴(arbutin), 하이드로퀴논(hudroquinone), 글루타치온(glutathione) 또는 이들의 유도체,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해 왔는데, 이들은 불충분한 미백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화장료에 배합 시 제형 및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 미백물질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면서 미백 효과가 우수한 원료물질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공보 특1993-0010548호에는 닥나무 또는 꾸지나무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121496호에는 애기닥나무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이전에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의 미백 효과에 대해서는 기술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백 효과를 갖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의 추출물이 미백 효과를 가지며 닥나무, 꾸지나무 및 애기닥나무 등에 비해 월등한 미백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부작용 없이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피부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본 발명은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또는 참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하는 효과가 뛰어난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청시닥나무(Acer barbinerve Max.)는 잎이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5∼10 cm, 너비 4∼7 cm로서 가장자리가 5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어릴 때는 뒷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져 엽맥에만 털이 남고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으며 열편 끝에 톱니가 없고 엽병은 길이 4∼13 cm로서 잔털이 있다.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며 4-7개의 꽃이 가지 끝에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경에 털이 산생한다. 암꽃은 새가지 정단에서 나오고 꽃자루는 길이 1∼2 cm이며, 수꽃은 전년도 가지 끝에 나오고 꽃잎은 4장으로 도란상 타원형이며 황록색이다. 열매는 시과로 둔각 또는 직각으로 벌어지며 길이 3∼3.5 cm, 나비 8∼12 mm로서 주름살이 많고 10월에 익으며 날개가 피침형이고 소과경은 길이 1.5∼2 cm이다. 열매는 5-7개가 모여 달리고, 소견과는 구형이다. 수피는 회갈색이며 평활하고 소지는 누른빛이 돌지만 간혹 홍색인 것도 있으며 털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개시닥나무(Acer barbinervis var . glabrescens )는 높이 3∼10 m로, 산지에서 자란다. 나무껍질은 매끄럽고 잿빛을 띤 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누런빛이거나 붉은빛이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길이 5∼10 cm이다. 손바닥처럼 5갈래로 갈라지며, 겉면에는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는 약간 나거나 없다. 갈래조각은 뾰족하고 겹톱니가 있으며, 끝부분에는 톱니가 없다. 잎자루는 길고 잔털이 난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4∼7송이씩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턱의 가장자리가 고리 모양이 된다. 수꽃은 수술 4개, 암술머리 2개이다. 열매는 시과로, 바소꼴의 날개가 있고, 10월에 익으며 직각이나 둔각으로 벌어진다. 한국특산식물로서 강원도와 평안북도, 지리산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산닥나무(Wikstroemia trichotoma)는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산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1 m이다. 작은가지는 털이 없고 붉은 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이고 길이 3∼4 cm, 나비 1∼3 cm이다. 끝은 둔하고 밑은 둔하거나 뾰족하며,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뒷면은 흰색이고 잎자루는 길이 2 mm 정도이다. 꽃은 양성화로서 7∼8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총상꽃차례로 7∼15개가 달린다. 꽃받침통은 길이 7∼8 mm이고 끝이 4개로 갈라져서 옆으로 퍼진다. 수술은 8개이며 2줄로 늘어서고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대가 있다. 열매는 건과로서 달걀 모양 긴 타원형이며 길이 약 5 mm이다. 양 끝이 좁고 털이 없으며 9∼10월에 성숙한다. 나무껍질로 한지나 밧줄을 만든다. 한국(전라남도·경상남도·인천광역시)·일본에 분포한다. 잎이 어긋나고 꽃이 가지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리는 것을 안피(W. sikokiana)라고 하는데, 나무껍질로 종이를 만들며 일본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시닥나무(Acer tschonoskii var . rubripes)는 "단풍자래"라고도 하며 깊은 산에서 자라고 높이는 약 10 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지만 어린 가지는 자주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5∼9 cm이다. 끝이 뾰족하며 밑은 심장 모양이고 뒷면 맥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가장자리가 3∼5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의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2∼5 cm로서 붉은빛이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6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5∼10개의 꽃이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6∼8 cm이다.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각각 5장이다. 열매는 시과(翅果)로서 10월에 익고 날개는 바소꼴이며 나비 5 mm 정도이다. 정원수로 심으며 목재는 공업용으로 쓴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삼지닥나무(Edgeworthia chrysantha)는 낙엽이 지는 활엽관목으로서, 높이는 2 m 가량이다. 삼지닥나무라는 이름은 가지가 3갈래로 나누어진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이다. 잎은 10㎝ 정도 되는 긴 피침형으로 어긋나며 질이 얇다. 꽃은 황색으로 잎이 나기 전인 이른봄에 잎겨드랑이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공 모양의 두상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한편, 각각의 꽃은 길이가 1 cm 정도의 긴 통 모양으로 끝은 4갈래지고, 안쪽은 등황색이며 바깥쪽에는 흰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수술은 8개인데, 그 중 4개는 꽃받침통 위쪽에 붙어 꽃밥이 통 밖으로 뻗어나오게 된다. 중국이 원산지로 주로 따뜻한 곳에서 자라며, 한국에서는 제주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나무껍질은 예전부터 종이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마주잎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for . oppositifolia)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대생꾸지나무라고도 한다. 해발 100∼700 m의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 12 m 안팎이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이며 작은가지에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다. 길이 7∼20 cm에 끝이 꼬리처럼 길고 깊게 패어 들어간 모양이다. 양면에 털이 나고 거칠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3∼10 cm로 털이 있다. 턱잎은 자주색으로 달걀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꽃은 단성화(單性花)로 5∼6월에 녹색을 띤 갈색으로 피는데, 수꽃이삭은 원기둥모양이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아래로 처진다. 암꽃이삭은 둥근 모양이다. 수꽃의 화피(花被)는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4개이다. 암꽃의 화피는 통모양이며 3∼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둥근 핵과로 9월에 익는다. 외과피(外果皮)는 붉은색이며 내과피는 단단하고 갈색이다. 어린 잎과 열매는 먹고 나무껍질은 제지용으로 쓴다. 한방에서는 나무껍질과 열매를 강장·이뇨·중풍·진해 등에 약재로 쓴다. 씨뿌리기나 꺾꽂이·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꾸지나무의 한 품종으로 잎이 마주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전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민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for . lucida)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해발 100∼700 m의 산기슭 양지 쪽에서 자란다. 높이 12 m 안팎이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이며 작은가지에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어긋난다. 길이 7∼20 cm에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광택이 돈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끝은 꼬리처럼 길고 깊게 패어 들어간 모양이다. 잎자루는 3∼10 cm로 털이 있다. 턱잎은 자주색으로 달걀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꽃은 단성화(單性花)로 5∼6월에 잎과 함께 녹갈색으로 피는데, 수꽃이삭은 원기둥모양이고 새로 난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아래로 처진다. 수꽃의 화피(花被)는 4개로 갈라지며 4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이삭은 둥근 모양이다. 암꽃의 화피는 3∼4개로 갈라지고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열매는 둥근 핵과로 외과피(外果皮)는 붉은색이며 내과피는 단단하고 갈색이고 9월에 익는다. 어린 잎과 열매는 먹고, 나무껍질은 제지용으로 한지를 만드는 데 쓴다. 한방에서는 나무껍질과 열매를 강장·이뇨·중풍·진해 등에 약재로 쓴다. 씨뿌리기나 꺾꽂이·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꾸지나무의 한 품종으로 잎이 짙은 녹색이며 털이 나지 않고 광택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전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두메닥나무(Daphne kamtschtica)는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깊은 산의 나무밑에서 자란다. 높이는 30∼40 cm이고 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긴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거꾸로 선 바소 모양으로 끝은 뾰족하거나 뭉뚝하며 길이 4.0∼8.5 cm이다. 잎 앞면은 청록색이고 뒷면은 약간 분백색(粉白色)이 돌며 톱니가 없고 잎자루는 길이 5∼7mm이다. 총상꽃차례[總狀花序]는 지난해 가지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발달하며 위쪽은 황색, 아래쪽은 녹색 꽃이 2∼5개 달린다. 꽃은 2가화(二家花)로서 암꽃이 작고 꽃받침은 황색이며 달걀모양 또는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8개이고 열매는 장과로 구형(球形)이며 가을에 붉게 익는다. 나무껍질은 종이 원료, 밧줄의 대용으로 쓰인다. 한국(전남·강원·평북·함북)·사할린·캄차카·아무르·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참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old)는 높이 2∼5 m의 뽕나무과 낙엽관목으로 수피는 황갈색을 띠며, 분포지역은 동남아시아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된다. 한지의 원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의 추출물은 각 나무의 줄기, 뿌리, 잎, 꽃 또는 열매를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뿐 아니라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의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엑기스 및 상기 나무 중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은 물론 식물 그 자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 추출물은 공지의 방법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의 줄기, 뿌리, 잎, 꽃 또는 열매를 자연 건조 또는 강제 건조 등 임의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잘게 자른 후, 물, 에탄올, 부탄올,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 상기 비극성 용매와 극성 용매의 혼합 용매; 알카리 수 등의 용매, 또는 콩기름, 참기름 등의 식물유 등을 사용하여 냉침,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온침 등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서 침출 처리하여 유효 성분을 함유한 침출물을 얻는다. 침출 처리는 냉침과 페르콜레이션의 경우 12∼96 시간 정도, 온침의 경우는 사용하는 용매 등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상이하나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환류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0.5∼24 시간 정도 수행하는 것이 좋다. 특히, 함수 알코올에 침출한 틴크나 유동 엑기스 또는 엑기스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상기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또는 참닥나무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5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는 0.0001 중량% 미만에서는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90 중량% 초과에서는 피부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미백용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에 응용할 수 있으며, 경구용(내용) 또는 비경구용(외용)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 추출물 이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미백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백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미백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미백 성분으로는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및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및/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폼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9]
건조된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 전초 1 kg을 정제수 10 L에 가한 후 끓을 때까지 가열하고 10분간 더 가열한 다음 물을 제거하여 세척한 후 따로 정제수 10 L를 가하여 다시 한번 세척하였다. 잔류물을 풍건한 후 70% 에탄올 20 L에 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연결한 후 가온하여 24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80 메쉬의 체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남은 여액을 다시 여과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여액중의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각 추출물의 고형분을 얻었다.
[비교예 1∼3]
닥나무, 꾸지나무 및 애기닥나무를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의 고형분을 얻었다.
[시험예 1]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티로시나제 효소는 버섯류(Mushroom)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티로신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0.3 mg/ml의 용액으로 만들고 그 용액을 1.0 ml씩 시험관에 넣은 다음, 여기에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0.1 mol 농도, pH 6.8) 1.0 ml 및 증류수 0.7 ml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1∼3의 추출물을 에탄올 용액에 적당농도로 혼합하여 준비한 각 추출물 시료액 0.2 ml(각각 10 ㎍/ml)를 반응액에 넣은 다음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 용매만을 0.2 ml 넣은 것으로 준비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코지산 40 ㎍/ml을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 유닛/ml의 티로시나제 용액 0.1 ml씩을 넣고 다시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속에 넣어서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47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는 하기 수학식 1로 산출하였다.
시험물질 | 티로시나제 저해율(%) |
대조군(무첨가) | 0 |
코지산 | 51 |
실시예 1 | 71 |
실시예 2 | 83 |
실시예 3 | 76 |
실시예 4 | 69 |
실시예 5 | 57 |
실시예 6 | 69 |
실시예 7 | 71 |
실시예 8 | 68 |
실시예 9 | 52 |
비교예 1 | 65 |
비교예 2 | 34 |
비교예 3 | 31 |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억제율이 높아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 평가
실시예 1∼9, 비교예 1∼3 각각 0.001 중량%로 함유한 시료와 알부틴 50 ㎍/ml을 를 시험물질로 하여 일정 농도로 B16/F10 멜라노마 세포(한국세포주은행)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하고 1N NaOH로 세포를 녹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서의 멜라닌 함량과 비교하여 각 시험물질의 멜라닌 생성 저해정도를 측정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 멜라닌생성 저해율(%) |
대조군(무첨가) | 0 |
알부틴 | 48 |
실시예 1 | 38 |
실시예 2 | 42 |
실시예 3 | 46 |
실시예 4 | 53 |
실시예 5 | 47 |
실시예 6 | 41 |
실시예 7 | 39 |
실시예 8 | 36 |
실시예 9 | 42 |
비교예 1 | 42 |
비교예 2 | 15 |
비교예 3 | 5 |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높아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제형예 1∼9]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의 표 3 및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예 1∼9의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 제형예 1 | 제형예 2 | 제형예 3 | 제형예 4 | 제형예 5 |
실시예 1의 추출물 | 0.1 | - | - | - | - |
실시예 2의 추출물 | - | 0.1 | - | - | - |
실시예 3의 추출물 | - | - | 0.1 | - | - |
실시예 4의 추출물 | - | - | - | 0.1 | - |
실시예 5의 추출물 | - | - | - | - | 0.1 |
스쿠알란 | 5.0 | 5.0 | 5.0 | 5.0 | 5.0 |
밀납 | 4.0 | 4.0 | 4.0 | 4.0 | 4.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1.5 | 1.5 | 1.5 | 1.5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1.5 | 1.5 | 1.5 | 1.5 | 1.5 |
유동파라핀 | 0.5 | 0.5 | 0.5 | 0.5 | 0.5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5.0 | 5.0 | 5.0 | 5.0 |
글리세린 | 3.0 | 3.0 | 3.0 | 3.0 | 3.0 |
부틸렌글리콜 | 3.0 | 3.0 | 3.0 | 3.0 | 3.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3.0 | 3.0 | 3.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0.1 | 0.1 | 0.1 | 0.1 |
트리에탄올아민 | 0.2 | 0.2 | 0.2 | 0.2 | 0.2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성분 | 제형예 6 | 제형예 7 | 제형예 8 | 제형예 9 | 비교제형예1 |
실시예 6의 추출물 | 0.1 | - | - | - | - |
실시예 7의 추출물 | - | 0.1 | - | - | - |
실시예 8의 추출물 | - | - | 0.1 | - | - |
실시예 9의 추출물 | - | - | - | 0.1 | - |
스쿠알란 | 5.0 | 5.0 | 5.0 | 5.0 | 5.0 |
밀납 | 4.0 | 4.0 | 4.0 | 4.0 | 4.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1.5 | 1.5 | 1.5 | 1.5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1.5 | 1.5 | 1.5 | 1.5 | 1.5 |
유동파라핀 | 0.5 | 0.5 | 0.5 | 0.5 | 0.5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5.0 | 5.0 | 5.0 | 5.0 |
글리세린 | 3.0 | 3.0 | 3.0 | 3.0 | 3.0 |
부틸렌글리콜 | 3.0 | 3.0 | 3.0 | 3.0 | 3.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3.0 | 3.0 | 3.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0.1 | 0.1 | 0.1 | 0.1 |
트리에탄올아민 | 0.2 | 0.2 | 0.2 | 0.2 | 0.2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시험예 3]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실험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상박 부위에 가로, 세로 각각 1.5㎝ 인 정사각형의 구멍이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 내지 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조사 후 시험물질로 상기 제형예 1∼9 및 비교제형예 1을 바르고, 한 곳은 아무 것도 바르지 않는 대조군 부위를 마련하여 6주 후 상태변화를 관찰하였다. 피부의 색깔을 색차계 CR2002(일본, 미놀타 사)로 측정하였다. 도포 시작시점과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였다.
시험물질 | 피부색 밝기 정도(△L*) |
제형예 1 | 1.5 |
제형예 2 | 1.4 |
제형예 3 | 1.2 |
제형예 4 | 1.0 |
제형예 5 | 1.1 |
제형예 6 | 1.3 |
제형예 7 | 0.9 |
제형예 8 | 1.5 |
제형예 9 | 1.3 |
비교제형예 1 | 0.6 |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는 높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제형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종래의 화장료 제형인 영양크림,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에센스, 유연화장수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제형의 화장료에 있어서, 상기한 닥나무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제형예 10]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의 표 6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예 10의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 함량 |
실시예 1∼9의 추출물 | 10.0 |
글리세린 | 3.0 |
부틸렌글리콜 | 2.0 |
프로필렌글리콜 | 2.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PEG12 노닐페닐에테르 | 0.2 |
폴리솔베이트 80 | 0.4 |
에탄올 | 10.0 |
트리에탄올아민 | 0.1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11] 영양크림
하기의 표 7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예 11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 함량 |
실시예 1∼9의 추출물 | 10.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
유동파라핀 | 2.0 |
스쿠알란 | 10.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글리세린 | 5.0 |
부틸렌글리콜 | 5.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3.0 |
트리에탄올아민 | 0.2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12] 마사지크림
하기의 표 8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예 12의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 함량 |
실시예 1∼9의 추출물 | 10.0 |
밀납 | 10.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PEG 60 경화피마자유 | 2.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8 |
유동파라핀 | 40.0 |
스쿠알란 | 5.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4.0 |
글리세린 | 5.0 |
부틸렌글리콜 | 3.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트리에탄올아민 | 0.2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13] 팩
하기의 표 9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예 13의 팩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 함량 |
실시예 1∼9의 추출물 | 10.0 |
폴리비닐알콜 | 13.0 |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0.2 |
글리세린 | 5.0 |
알란토인 | 0.1 |
에탄올 | 6.0 |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 0.3 |
폴리솔베이트 60 | 0.3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14] 젤
하기의 표 10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예 14의 젤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 함량 |
실시예 1∼9의 추출물 | 10.0 |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 0.05 |
글리세린 | 5.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3 |
에탄올 | 5.0 |
PEG 60 경화피마자유 | 0.5 |
트리에탄올아민 | 0.3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Claims (3)
-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및 참닥나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산닥나무, 시닥나무, 삼지닥나무, 마주잎꾸지나무, 민뚜지나무, 두메닥나무 또는 참닥나무의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9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용 화장품, 의약품 또는 식품으로 제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4031A KR101800213B1 (ko) | 2010-07-02 | 2010-07-02 |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PCT/KR2011/004889 WO2012002783A2 (ko) | 2010-07-02 | 2011-07-04 | 닥나무를 포함하는 천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SG2013000062A SG186887A1 (en) | 2010-07-02 | 2011-07-04 |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
US13/807,869 US20130101537A1 (en) | 2010-07-02 | 2011-07-04 |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
CN201180033160.0A CN103002872B (zh) | 2010-07-02 | 2011-07-04 | 含有来自包括构树的树的提取物的皮肤增白组合物 |
JP2013518269A JP2013530218A (ja) | 2010-07-02 | 2011-07-04 | コウゾを含む天然木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美白用の組成物 |
US14/478,195 US20140377201A1 (en) | 2010-07-02 | 2014-09-05 |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
JP2016046300A JP2016145233A (ja) | 2010-07-02 | 2016-03-09 | コウゾを含む天然木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の組成物および化粧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4031A KR101800213B1 (ko) | 2010-07-02 | 2010-07-02 |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7951A Division KR20170109215A (ko) | 2017-09-14 | 2017-09-14 | 삼지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0170117952A Division KR101820881B1 (ko) | 2017-09-14 | 2017-09-14 | 두메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0170117950A Division KR20170107943A (ko) | 2017-09-14 | 2017-09-14 | 산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267A true KR20120003267A (ko) | 2012-01-10 |
KR101800213B1 KR101800213B1 (ko) | 2017-11-24 |
Family
ID=4540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4031A KR101800213B1 (ko) | 2010-07-02 | 2010-07-02 |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20130101537A1 (ko) |
JP (2) | JP2013530218A (ko) |
KR (1) | KR101800213B1 (ko) |
CN (1) | CN103002872B (ko) |
SG (1) | SG186887A1 (ko) |
WO (1) | WO2012002783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5387A (ko) | 2017-02-17 | 2018-08-27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색소가 제거된 닥나무 수피 추출물 및 천연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0213B1 (ko) * | 2010-07-02 | 2017-11-24 | (주)아모레퍼시픽 |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JP6765097B2 (ja) * | 2016-06-27 | 2020-10-07 | 学校法人加計学園 | メラニン生成抑制剤 |
EP3682865A1 (en) | 2019-01-15 | 2020-07-22 | Amorepacific Corporation | 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or preventing 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which has modified amounts of ingredients |
CN109700716A (zh) * | 2019-01-26 | 2019-05-03 | 云南农业大学 | 一种构树花、鲜果活性成分提取方法及提取物的应用 |
CN109758397A (zh) * | 2019-03-19 | 2019-05-17 | 云南农业大学 | 一种构树叶活性成分提取方法及提取物的应用 |
CN110840817A (zh) * | 2019-12-27 | 2020-02-28 | 广东佰欧斐丝细胞科研中心有限公司 | 一种具有改善皮肤肤质功效的抗菌面膜液 |
CN113207690B (zh) * | 2021-05-25 | 2022-03-11 | 华南农业大学 | 一种以构树根系为外植体的高效一步再生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93713A (ja) * | 1989-12-25 | 1991-08-23 | Maremitsu Izumitani | タンニン含有組成物 |
JPH05213716A (ja) * | 1992-02-03 | 1993-08-24 | Nippon Shinyaku Co Ltd | 美白化粧料組成物 |
JP3455406B2 (ja) * | 1997-12-22 | 2003-10-14 | カネボウ株式会社 | 皮膚化粧料 |
JP2001316241A (ja) * | 2000-03-02 | 2001-11-13 | Noevir Co Ltd | 皮膚外用剤 |
JP2002060317A (ja) * | 2000-10-03 | 2002-02-26 | Noevir Co Ltd | 皮膚外用剤 |
JP2002128682A (ja) * | 2000-10-17 | 2002-05-09 | Noevir Co Ltd | 皮膚外用剤 |
JP4880816B2 (ja) * | 2000-12-15 | 2012-02-22 |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 皮膚老化防止剤 |
JP4130309B2 (ja) * | 2001-02-19 | 2008-08-06 | 花王株式会社 | 外用剤 |
JP2004149500A (ja) * | 2002-11-01 | 2004-05-27 | Noevir Co Ltd | 水性スティック状美白用組成物 |
US6994874B2 (en) * | 2003-04-16 | 2006-02-07 |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 Skin white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sparagus extract |
JP4814509B2 (ja) * | 2004-11-10 | 2011-11-16 |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 ジアリールヘプタノイド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メラニン生成抑制剤と皮膚外用剤、飲食品への応用 |
KR100702519B1 (ko) * | 2005-05-24 | 2007-04-0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애기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
JP3747053B2 (ja) * | 2005-07-12 | 2006-02-22 | 株式会社ノエビア | 皮膚外用剤及びそれを用いた美白剤の浸透方法 |
JP2011504498A (ja) * | 2007-11-19 | 2011-02-10 | スティーフェル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局所美白化粧品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
WO2009099911A1 (en) * | 2008-02-01 | 2009-08-13 |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 Improved skin brightening compositions |
JP2010111613A (ja) * | 2008-11-05 | 2010-05-20 | Kao Corp | 水性美白化粧料 |
KR101600957B1 (ko) * | 2008-11-25 | 2016-03-09 | (주)아모레퍼시픽 | 백화사설초, 대황,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KR20100067802A (ko) * | 2008-12-12 | 2010-06-22 | (주)아모레퍼시픽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800213B1 (ko) * | 2010-07-02 | 2017-11-24 | (주)아모레퍼시픽 |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2010
- 2010-07-02 KR KR1020100064031A patent/KR1018002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7-04 WO PCT/KR2011/004889 patent/WO201200278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7-04 US US13/807,869 patent/US2013010153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7-04 CN CN201180033160.0A patent/CN10300287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7-04 JP JP2013518269A patent/JP2013530218A/ja active Pending
- 2011-07-04 SG SG2013000062A patent/SG186887A1/en unknown
-
2014
- 2014-09-05 US US14/478,195 patent/US2014037720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
- 2016-03-09 JP JP2016046300A patent/JP2016145233A/ja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5387A (ko) | 2017-02-17 | 2018-08-27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색소가 제거된 닥나무 수피 추출물 및 천연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377201A1 (en) | 2014-12-25 |
JP2013530218A (ja) | 2013-07-25 |
KR101800213B1 (ko) | 2017-11-24 |
JP2016145233A (ja) | 2016-08-12 |
SG186887A1 (en) | 2013-02-28 |
CN103002872B (zh) | 2018-02-06 |
CN103002872A (zh) | 2013-03-27 |
WO2012002783A3 (ko) | 2012-05-03 |
US20130101537A1 (en) | 2013-04-25 |
WO2012002783A2 (ko) | 2012-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03267A (ko) | 닥나무를 포함하는 천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1387308B1 (ko) |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1829892B1 (ko) |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00345B1 (ko) |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977673B1 (ko) |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07943A (ko) | 산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JP7566894B2 (ja) | プニカ・グラナツム抽出物及びその美容的使用 | |
KR102149223B1 (ko) | 천연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36969A (ko) |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 |
KR102119316B1 (ko) |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20881B1 (ko) | 두메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20076210A (ko) | 염생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20100092922A (ko) |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081585B1 (ko) |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43698A (ko) |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 |
KR102119823B1 (ko) | 가새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606838B1 (ko) | 식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 |
KR102088964B1 (ko) | 지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50052907A (ko) |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09215A (ko) | 삼지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23368B1 (ko) | 피부 화장료 조성물 | |
KR101936150B1 (ko)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
KR101966188B1 (ko) |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028701B1 (ko) | 동백수술 분말 또는 동백수술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103603A (ko) | 피부보호 및 개선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