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859A -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859A
KR20230126859A KR1020220024197A KR20220024197A KR20230126859A KR 20230126859 A KR20230126859 A KR 20230126859A KR 1020220024197 A KR1020220024197 A KR 1020220024197A KR 20220024197 A KR20220024197 A KR 20220024197A KR 20230126859 A KR20230126859 A KR 2023012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tioxidant
ethanol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김지영
송관필
정기수
문성필
이민정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Priority to KR102022002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859A/ko
Publication of KR2023012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우콩 잎(Rhynchosia volubilis Lour)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USING RHYNCHOSIA VOLUBILIS LOUR EXTRACT}
본 발명은 여우콩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 내 정상적인 세포대사과정에서 생성되거나 여러 환경오염 및 화학물질의 노출 등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 라디칼(superoxide radical, O2ㆍ), 수산화 라디칼(hydroxyl radical, OHㆍ),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단일체 산소(singlet oxygen, 1O2) 등의 산소화합물을 총칭하여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라 한다(Free Radic Biol Med 26: 202-226, 1999).
이들 활성 산소는 반응성 매우 커서 생체 분자들과 빠르게 반응하여 세포 체내에서 세포막 손상, DNA 변성, 지질 산화, 단백질 분해 등을 초래하여, 뇌혈관 질환, 암, 심장질환, 자가면역질환, 소화기질환, 동맥경화와 같은 만성 질환들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em. Res. 14: 393 (1981); Arch. Biophys. 247: 1-11(1986); Science 221: 1256-1264 (1983)).
이러한 질병을 초래하는 위험 요소인 체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는 항산화제의 섭취이다(Food Chem Toxicol 39: 1205-1210, 2001).
항산화제는 활성 산소와 반응함으로써 활성 산소에 의한 생체 손상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으로,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Butylated hydroxytoluene), 프로필 갈레이트(PG, Propyl galate),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퀴논(TBHQ, Teritiarybutyl hydroquinone) 등의 합성 항산화제와 엽록소, 녹차 추출물, 프로폴리스,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코베이트(ascorbate), 카로테노이드 (caroteno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등의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 발암 및 심혈관 계열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천연물로부터 유래하는 보다 안전하고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Korean J. Food Sci. Technol. 34:889-892 (2002)).
한편 인간의 피부는 주위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기관으로서 각종 피부질환에 관여하는 세균, 곰팡이 등의 감염이 쉽게 일어난다. 예컨대 피부에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을 비롯하여 피부 상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Staphyococcus epidermidis),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등이 피부에 존재하며, 이 균들은 피부상에 분비된 피지나 땀을 분해시켜 냄새를 발생시키며, 이와 더불어 그 분해 산물들은 피부에 자극을 주고 염증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염증의 일예로 피부 여드름은 피부의 기름샘에 영향을 주는 질병이며 모공은 피부 아래의 기름샘과 연결되어 있고 이들은 피지라고 부르는 기름기 있는 물질을 만들어낸다. 모공 내 피부 샘의 주머니가 막히면, 여드름이 발생한다. 모공 내 피부 샘의 주머니가 막히면 염증이 발생하고 이는 여드름을 촉진하는 P. acnes 박테리아의 발생 및 서식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피부과에서 이루어지는 여드름 치료는 비타민 A인 retinoid, benzoyl peroxide, 그리고 여러 항생제 처방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아토피에 수반되는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바탕으로 사용되는 지성 피부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살리실산과 트리클로산 등을 화장품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살리실산은 피부 따가움, 작열감 등의 피부 자극을 주는 성분으로 피부 건조와 박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트리클로산은 역시 피부에 접촉되면 자극을 주고, 항생제와 유사한 방법으로 여드름 균을 죽이기 때문에 이에 내성이 생긴 균이 다른 항생제에도 내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지성 피부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적용 가능한 신규 천연 기능성 재료 발굴 및 새로운 화장품 소재 발굴, 유용성 검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우콩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여우콩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항산화 및 항균활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우콩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우콩(Rhynchosia volubilis Lour)은 콩과(Fabaceae)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제주도, 전라도, 경상도 등의 들이나 산에 분포하고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 끝에 3개의 작은 잎으로 되어있다. 작은 잎은 도란상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많으며 뒷면에는 황갈색 선점이 있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끝이 짧게 뾰족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길이 8~10mm로 황색이며 접형화이다. 열매는 9~10월에 맺어 익으면 붉은빛이 돈다. 흑색의 종자가 2개 달려있는데 종자의 모양이 여우의 눈과 같다하여 여우콩이라 부른다.
본 명세서에서, "여우콩 잎 추출물"이란 추출대상(여우콩 잎)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 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여우콩 잎 분획물”이라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우콩 잎을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여우콩 잎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피부 관련 활성을 보강, 추가하기 위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미백 성분, 피부 주름 개선 성분, 자외선 보호 성분, 피부 보습 성분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성분으로서는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보롤,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 등을 들 수 있다
또 피부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는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 보호 성분으로서는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소나무 껍질 추출물 등의 복합물, 포스파티딜세린, 핑거루트 추출 분말, 홍삼과 산수유 등의 복합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습 성분으로서는 AP 콜라겐 효소 분해 펩타이드, Collactive 콜라겐 펩타이드, N-아세틸글루코사민, 곤약 감자 추출물, 민들레 등의 복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옥수수 배아 추출물,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지초 추출 분말, 포스파티딜세린,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여타의 피부 미백 성분, 주름 개선 성분, 자외선 보호 성분, 피부 보습 성분들에 대해서는 화장품법에 따른 기능성화장품공전(식약처고시 "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의 건강기능식품공전(식약처고시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은 용도, 제형 등에 따라 그것의 인체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비하여 0.001 중량 % 내지 9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용도상, 법률상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등의 용도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비기능성 일반 화장품 등일 수 있다. 제품 형태에 있어서도 임의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 여우콩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제형의 조성물이 하기 표 1에 제시되고 있다. 이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보습 증진, 피부탄력 증진, 피부주름 개선 등의 항산화 및 항균 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성분 함량(wt%)
Niacinamide 2
Adenosine 0.03
Allantoin 0.1
1,3-BG 2
Glycerin 3
Olivem 2020 2
정제수 75.57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2
Olivem 1000 1
1,2-Hexanediol 2
여우콩잎 추출물 5
제주진귤추출물 2
제주동백나무꽃추출물 1
제주병풀 추출물 1
메틸프로판다이올 1
카보머 0.1
베타인 1
알지닌 1
총합 100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우콩 잎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균활성에 대한 기능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여우콩 잎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여우콩 잎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여우콩 잎의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미생물에 대한 생육저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제조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여우콩 잎을 채집하여 음건하여 마쇄기로 분쇄하였다. 미세말 시료를 70% 에탄올에 상온에서 48시간 침출하고 3회 추출하였으며, 그 후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에탄올 추출물을 10 g을 증류수 1ℓ에 현탁시킨 후, 헥산(1ℓ× 3), 디클로로메탄(1ℓ× 3), 에틸아세테이트(1ℓ× 3), 부탄올(1ℓ× 3)로 각각 추출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진공 건조하여 헥산(Hexane), 디클로로메탄(CH2Cl2), 에틸아세테이트(EtOAc) 및 부탄올(BuOH) 그리고 잔사물(Water)를 얻었다.
각 분획물은 해당 용매로 용해시켜 0.2 μm membrane filter(Advantec MFS Inc. USA)로 제균하여 4℃에 보관하면서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사용균주 및 시약>
본 실험에 사용한 피부상재균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Staphylococcus epidermidis (CCARM 3709, 9710, 3711) 와 여드름균 Cutibacterium acnes (CCARM 0081, 9009)을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orea)와 항생제내성균주은행(Culture Collec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t Microbes,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표 2).
S. aureus KCTC 1621, S. epidermidis CCARM 3709, 3710, 3711은 tryptic soy agar (TSA; Difco, USA)로 37 ℃에서 24 h 배양하였고, C. acnes CCARM 0081, 9009의 경우 GAM agar (Nissu, Japan)에 접종하여 혐기성 jar에 gas pack (Oxoid, USA)을 넣고 37 ℃에서 48 h 배양하였다.
Strains Drug-resistant patterns of skin pathogens(MIC;μg/mL) Temp.(℃) Media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Susceptible 37 T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CCARM 3709 Susceptible 37 T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CCARM 3710 Erythromycin(>32),Clindamycin(>16),Chloramphenicol(64) 37 T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CCARM 3711 Tetracycline(>32) 37 TSA
Cutibacterium acnes CCARM 0081 Susceptible 37
(anaerobic)
GAM
Cutibacterium acnes CCARM 9009 Clindamycin(64) 37
(anaerobic)
GAM
<실험예 1> 항산화능 측정
<1>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여우콩 잎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능은 2,2-Diphenyl-1-picylhydeazyl (DPPH) (Sig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용액에 0.2 mM DPPH을 혼합하여 암실에서 15 min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시료 첨가군과 비첨가군을 비교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ascorbic acid (Sigma, USA)를 사용하였다.
<2> ABST 라디칼 공여능
2,2-azino-bis(3-ethylbenzothazoline-6-sulfonic acid)) (ABTS) (Sigma, USA)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은 Re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xo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9-10), 1231.).
7.0 mM 2,2-azino-bis(3-ethylbenzothazoline-6-sulfonic acid) 과 2.45 mM potassium persulfate (Sigma, USA)를 혼합하여 암실에서 24 h 반응시켜 ABTS radical을 형성시킨 후 증류수로 희석하여 흡광도 값이 0.70이 되도록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용액과 ABTS solution을 혼합하여 30 min 반응시킨 후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시료 첨가군과 비첨가군을 비교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ascorbic acid (Sigma, USA)를 사용하였다.
<3>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여우콩 잎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 방법에 따라 gallic acid (Sigma, USA)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T. Gutfinge.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 시료의 농도별 용액에 1N Foiln-Ciocalteu’s phenol reagent (Sigma, USA)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 min 반응시켰다.
반응 후 10% Na2CO3를 가하여 1 h 반응시키고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인 gallic acid를 이용하여 표준검정곡선을 작성한 후 총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avis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F. B. Davis, E. Middleton, P. J. Davis, and S. D.Blas. 1983. Inhibition by quercetin of thyroid hormone stimulation in vitro of human red blood cell Ca2+-ATPase activity, Cell Calcium, 4(2), 71.).
시료의 농도별 용액 20 ㎕에 10% Al(NO3)2와 1M CH3O2K를 가하여 실온에서 30 min 암반응 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은 quercetin을 이용하였고 농도에 따른 표준검정곡선을 작성한 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실험예 2> 항균력 측정
<1> 한천확산법(Paper Disc Diffusion Method)
여우콩 잎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의 항균활성 측정은 한천확산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50 mg/ml 농도로 제조하고 20 ㎕씩 8 mm paper disc(Advantec, Japan)에 접종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균주는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였고 0.5 McFarland standard로 탁도를 조절하여 106-108 CFU/ml로 맞춰준 후 pour-plate 방법으로 균 접종 평판배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시험용 평판배지 표면에 추출물이 함유된 disc를 올려놓고 S. aureus KCTC 1621 와 S. epidermidis CCARM 3709, 3710, 3711 은 37 ℃에서 24 h, C. acnes CCARM 0081, 9009는 혐기조건으로 37 ℃에서 48 h 배양하였다.
항균 활성 판독은 disc 주위에 형성된 생육저해환(clear zone)의 직경(mm)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2>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및 생육저해율 측정
최소저해농도(MIC)는 micro-well dilu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균주는 0.5 McFarland standard로 탁도를 106-108 CFU/ml로 맞춰준 후 96 well plate에 분주하였고, 각 시료를 농도별로 10 ㎕씩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균의 증식이 나타나지 않는 최소농도를 측정하였다.
생육저해율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시료를 1 mg/ml 농도로 처리하였고 S. aureus KCTC 1621 와 S. epidermidis CCARM 3709, 3710, 3711은 37 ℃에서 24 h, C. acnes CCARM 0081, 9009는 혐기조건으로 37 ℃에서 48 h 배양하였다. 배양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식으로 생육저해율을 구하였다.
<실험결과>
<1> 항산화능
<1-1>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산화제에 의해 수소나 전자를 받아 환원되면 보라색의 시약이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항산화 분석에 있어 널리 이용되며 주로 phenolic 구조와 aromatic amine 화합물에서 많이 사용된다(H. J. Lee, Y. A. Kim, J. W. Ahn, B. J. Lee, S. G. Moon, and Y. W. Seo, 2004. Screening of peroxynitrit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salt marsh plan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Vol. 19, Bo. 1, 57-61).
여우콩 잎의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1과 같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 증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IC50 (Inhibitory Concentration 50%) 값으로 확인한 결과, 70% 에탄올(90.63 ㎕/ml), 헥산 (154.35 ㎕/ml), 디클로로메탄(101.52 ㎕/ml), 에틸아세테이트(33.80 ㎕/ml), 부탄올 (58.95 ㎕/ml), 물(137.66 ㎕/ml)로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더불어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많이 이용된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양이온 라디칼이 소거되는 것을 이용하며 청록색의 ABTS+ radical이 수소나 전자를 제공해주는 물질과 반응을 하여 본래의 ABTS로 환원되어 무색으로 변하게 된다.
여우콩 잎의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IC50 값이 70% 에탄올(17.17 ㎕/ml), 헥산 (55.85 ㎕/ml), 디클로로메탄(14.54 ㎕/ml), 에틸아세테이트(8.42 ㎕/ml), 부탄올(16.21 ㎕/ml), 물 (31.59 ㎕/ml)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1-2>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폴리페놀이란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할 때 생성된 당분의 일부가 변화한 2차 산물로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는 식물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항암 등의 활성을 가지고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활성산소를 소거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노화 방지, 각종 질병을 예방하거나 지연하는 효과가 있어 의약품, 화장품 등의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J. E. Kim, S. M. Jo, and N. H. Lee. 2019.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Rhododendron weyrichii Leaves, J. Soc. Cosmet, Sci. Korea, 45(4), 341-351.).
여우콩 잎의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도시되고 있다.
하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243.3 mg GAE/g)와 에탄올(172.1 mg GAE/g)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125.3 mg QE/g)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다음으로 높은 폴레페놀 함량을 나타낸 에탄올과 부탄올 분획물이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Fractions Total polyphenol
(mg GAE/G) a
Total flavonoid
(mg QE/G) b
70% EtOH 172.1 ± 0.04 28.9 ± 0.03
n-hexane 75.4 ± 0.07 56.9 ± 0.04
CH 2 Cl 2 135.2 ± 0.05 66.6 ± 0.7
EtOAC 243.3 ± 0.08 125.3 ± 0.14
BuOH 162.1 ± 0.12 54.9 ± 0.03
Water 75.1 ± 0.17 2.1 ± 0.04
a) mg GAE/g mg gallic acid equivalent per sample 1g
b) mg QE/g mg quercetin equivalent per sample 1g
<2> 항균력
<2-1> 한천확산법 측정
여우콩잎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 assay 방법으로 처리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 중에서 S. aureus KCTC 1621와 S. epidermidis CCARM 3709, 3710, 3711은 에탄올,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활성을 띠었고, 에탄올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C. acnes CCARM 0081, 9009는 물층을 제외한 에탄올, 헥산, 디클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활성을 나타내었다.
Strains Clearzone(mm)
70% EtOH n-hexane CH 2 Cl 2 EtOAc BuOH water
S. aureus KCTC 1621 11 10 10 10 -1) -
S. epidermidis CCARM 3709 14 13 10 12 - -
S. epidermidis CCARM 3710 13 12 10 12 - -
S. epidermidis CCARM 3711 14 11 11 14 - -
C. acnes CCARM 0081 12 12 12 10 9 -
C. acnes CCARM 9009 13 13 11 11 10 -
1) -, No inhibition
<2-2> 최소저해농도(MIC) 및 생육저해율 측정
여우콩 잎의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5에서 제시되고 있는데, S. aureus KCTC 1621 균주는 에탄올,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31.25 ㎍/ml 농도로 억제되었다.
S. epidermidis CCARM 3709 균주는 헥산 분획물에서 31.25 ㎍/ml 농도로 억제되었으며 S. epidermidis CCARM 3710 균주는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62.5㎍/ml, S. epidermidis CCARM 3711은 에탄올과 헥산 62.5 ㎍/ml 농도에서 억제되었다. C. acnes CCARM 0081, 9009는 헥산 분획물에서 31.25 ㎍/ml 농도로 억제되었다.
microorganism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MIC, ㎍/ml)
EtOH n-hexane CH 2 Cl 2 EtOAc BuOH water
S. aureus KCTC 1621 31.25≤ 31.25≤ 31.25≤ 31.25≤ -1) -
S. epidermidis CCARM 3709 62.5≤ 31.25≤ 62.5≤ 125≤ - -
S. epidermidis CCARM 3710 125≤ 62.5≤ 62.5≤ 250≤ - -
S. epidermidis CCARM 3711 62.5≤ 62.5≤ 125≤ 125≤ - -
P. acnes CCARM 0081 62.5≤ 31.25≤ 62.5≤ 125≤ - -
P. acnes CCARM 9009 62.5≤ 31.25≤ 62.5≤ 125≤ - -
1) -, No inhibition
또한 여우콩 잎의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농도 1 mg/ml로 미생물에 대한 생육저해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가 도 3에 도시되고 있다. 그 결과 에탄올, 헥산, 디클로로멘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에서 50%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그 중 에탄올과 헥산 분획물은 실험에 사용한 모든 균주에 대해 60% 이상의 저해율을 보였는데 특히 헥산 분획물은 S. aureus KCTC 1621 균주에 80% 이상, 에탄올 분획물은 S. epidermidis CCARM 3711 균주에 90% 이상의 높은 생육저해율을 나타내었다.

Claims (3)

  1. 여우콩(Rhynchosia volubilis Lour)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여우콩 잎 추출물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헥산 분획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24197A 2022-02-24 2022-02-24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26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97A KR20230126859A (ko) 2022-02-24 2022-02-24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97A KR20230126859A (ko) 2022-02-24 2022-02-24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859A true KR20230126859A (ko) 2023-08-31

Family

ID=8784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197A KR20230126859A (ko) 2022-02-24 2022-02-24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8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520B1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1842700B1 (ko)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2388A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44752B1 (ko) 피부 미백, 노화 방지, 항산화 및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00872B1 (ko) 개똥쑥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3737B1 (ko) 골담초 동충하초 고체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iran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ity of seeds of Psoralea corylifolia L
KR101293418B1 (ko) 한방 약재 복합 추출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그 한방 약재 복합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26859A (ko) 여우콩 잎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8059A (ko) 콩나물 및 콩나물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4971B1 (ko) 괄루근 동충하초 고체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3841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51816B1 (ko) 월귤 열매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월귤 열매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0480B1 (ko) 홍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조성물
KR20190121120A (ko)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43944B1 (ko)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