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455B1 -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455B1
KR102419455B1 KR1020200107892A KR20200107892A KR102419455B1 KR 102419455 B1 KR102419455 B1 KR 102419455B1 KR 1020200107892 A KR1020200107892 A KR 1020200107892A KR 20200107892 A KR20200107892 A KR 20200107892A KR 102419455 B1 KR102419455 B1 KR 10241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allus
cosmetic composition
plant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848A (ko
Inventor
김지영
송관필
이선희
정기수
문성필
양수경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Priority to KR102020010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4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걱비름(Sedum tosaense Makino)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edum tosaense makino callus extract}
본 발명은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 내 정상적인 세포대사과정에서 생성되거나 여러 환경오염 및 화학물질의 노출 등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 라디칼(superoxide radical, O2ㆍ), 수산화 라디칼(hydroxyl radical, OHㆍ),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단일체 산소(singlet oxygen, 1O2) 등의 산소화합물을 총칭하여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라 한다(Free Radic Biol Med 26: 202-226, 1999).
이들 활성 산소는 반응성 매우 커서 생체 분자들과 빠르게 반응하여 세포 체내에서 세포막 손상, DNA 변성, 지질 산화, 단백질 분해 등을 초래하여, 뇌혈관 질환, 암, 심장질환, 자가면역질환, 소화기질환, 동맥경화와 같은 만성 질환들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em. Res. 14: 393 (1981); Arch. Biophys. 247: 1-11(1986); Science 221: 1256-1264 (1983)).
이러한 질병을 초래하는 위험 요소인 체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는 항산화제의 섭취이다(Food Chem Toxicol 39: 1205-1210, 2001). 항산화제는 활성 산소와 반응함으로써 활성 산소에 의한 생체 손상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으로,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Butylated hydroxytoluene), 프로필 갈레이트(PG, Propyl galate),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퀴논(TBHQ, Teritiarybutyl hydroquinone) 등의 합성 항산화제와 엽록소, 녹차 추출물, 프로롤리스,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코베이트(ascorbate), 카로테노이드 (caroteno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등의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 발암 및 심혈관 계열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천연물로부터 유래하는 보다 안전하고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Korean J. Food Sci. Technol. 34:889-892 (2002)).
Chem. Res. 14: 393 (1981); Arch. Biophys. 247: 1-11(1986); Science 221: 1256-1264 (1983)
본 발명의 목적은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이 항산화활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주걱비름(Sedum tosaense Makino)은 돌나물속에 속하는 제주도 희귀식물로 가장자리의 건조한 바위틈에 자라는 다육질의 여러해살이풀이다(송관필, 송국만, 현화자, 김찬수, 김문홍. 2004. 한국산 미기록 식물 : 주걱비름(돌나물과). 식물분류학회지 34: 359-364). 줄기는 옆으로 벋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위를 향해 비스듬히 서며, 높이 10-20 cm이다. 뿌리잎은 도란형, 길이 2-3 mm, 폭 5-8 mm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아래쪽 잎은 뿌리잎과 같은 모양이고, 위쪽 잎은 주걱 모양 또는 좁은 주걱 모양이다. 꽃은 3-5월에 피며, 노란색, 5수성이다. 꽃잎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꽃이 필 때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5개의 심피로 된다. 우리나라 제주도의 산굼부리와 서거문오름에서만 자생한다.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김찬수(외). 2008. 제주지역의 희귀식물. 국립산림과학원)
한편 최근에는 식물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천연소재를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 활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할 경우 특정 Cell line의 유지 및 보존, 주기적인 계대배양으로 인한 오염방지, 인건비 등 경비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Lee NN, Choi YE, Moon HK(2015). Somatic embryo inductionand plant regeneration from cold-stored embryogenic callusof K. septemlobus. J Plant Biotechnol 42:388-395).
식물조직배양은 식물의 세포 및 기관을 연중 균일하게 대량 생산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식물체로부터 기관, 조직 및 세포를 적출 분리하여 기내에서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는 배지를 이용해 무균 배양함으로써 캘러스(callus)를 단세포의 집단으로 유기하거나 완전한 기능을 가진 식물체로 재생시키는 기술을 말한다(Oh ST, Jung HS, Cho MJ, Song MY, Moh SH, Seo HH, (2014) Effect of Artemisia annua Linne callus induced by plant cellculture technology on wound healing. Journal of the Korea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628-5636). 현재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식물줄기세포'라 불리는 식물의 캘러스 소재가 새로운 소재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여기서 식물 캘러스(Callus)는 식물의 줄기세포라고도 불리우며, 식물체에 상처가 났을 때 상처 주변에서 분열이 왕성한 조직이다. 캘러스는 분열이 왕성하기 때문에 일반 식물체보다 항염, 항산화, 항주름, 미백 등에 효과적인 생리활성물질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다.
식물 캘러스는 식물 호르몬을 배지에 첨가함으로써 전체 식물로 분화될 수 있으며, 일정한 배양 조건에서 안정적이고 빠른 식물 세포 생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생물 반응기에서 대량생산하는 과정에서 식물 유래 2차 대사산물이나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적인 이용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생산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지역, 환경, 재배조건 등의 생육환경과 관계없이 친환경적으로 생산 가능한 소재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이란 추출대상(주걱비름 캘러스)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피부 관련 활성을 보강·추가하기 위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미백 성분, 피부 주름 개선 성분, 자외선 보호 성분, 피부 보습 성분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성분으로서는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보롤,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피부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는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 보호 성분으로서는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소나무 껍질 추출물 등의 복합물, 포스파티딜세린, 핑거루트 추출 분말, 홍삼과 산수유 등의 복합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습 성분으로서는 AP 콜라겐 효소 분해 펩타이드, Collactive 콜라겐 펩타이드, N-아세틸글루코사민, 곤약 감자 추출물, 민들레 등의 복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옥수수 배아 추출물,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지초 추출 분말, 포스파티딜세린,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여타의 피부 미백 성분, 주름 개선 성분, 자외선 보호 성분, 피부 보습 성분들에 대해서는 화장품법에 따른 기능성화장품공전(식약처고시 "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의 건강기능식품공전(식약처고시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은 용도, 제형 등에 따라 그것의 인체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비하여 0.001 중량 % 내지 9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용도상, 법률상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등의 용도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비기능성 일반 화장품 등일 수 있다.
제품 형태에 있어서도 임의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제형의 조성물이 하기 표 1에 제시되고 있다. 이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보습 증진, 피부탄력 증진, 피부주름 개선 등의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성분 함량(wt%)
Niacinamide 2
Adenosine 0.03
Allantoin 0.1
1,3-BG 2
Glycerin 3
Olivem 2020 2
Water 74.57
소듐하이알루네이트 0.2
Olivem 1000 1
1,2-Hexanediol 2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 5
제주진귤추출물 2
제주동백나무꽃추출물 1
제주병풀 추출물 1
마치현 추출물 1
메딜프로판다이올 1
카보머 0.1
베타인 1
알지닌 1
총합 100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에 대한 기능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주걱비름 캘러스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주걱비름 캘러스 유도 및 성체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주걱비름 캘러스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추출물의 ABTS 라디칼 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추출물 제조
- 식물재료 및 배양조건
주걱비름(Sedum tosaense Makino)은 기내배양 후 순화시킨 성체를 받아 사용하였다(Ko MS, Bae KH, So IS, Song GP (2013) Plant regeneration and soil acclimatization through photoautotrophic culture from leaf explant of a rare species in Sedum tosaense Makino.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40(2): 79-87) 식물조직은 멸균된 중류수로 5회 수세한 후 멸균된 filer-paper 위에 올려놓고 물기를 제거하여 기내 배양하였다.
모든 배양은 온도 24 ± 1℃, 광주기 16/8시간, 광도 46μmol m-2s-1의 배양실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모든 배지와 기구는 121℃, 1.5기압으로 20분간 고온, 고압 멸균하였다.
- 주걱비름 잎절편으로부터 캘러스 유도
캘러스 배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배지는 MS(Murashige-Skoog)배지, B5배지 등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 MS 기초 고체 배지(Murashige & Skoog Medium(w/Vitamins) MBcell 사, Cat. No. Mb-m4531)의 조성(1L기준시)은 NH₄NO₃ 1650mg, CaCl₂332.2mg, MgSO₄180.7mg, KNO₃1900mg, KH₂PO₄170mg, H₃BO₃ 6.2mg, CoCl₂·6H₂O 0.025mg, CuSO₄·5H₂O 0.025mg. C1₁0H₁₂FeN₂NaO8·3H₂O 42.11mg, MnSO₄·H₂O 16.9mg, Na₂MoO₄·2H₂O 0.25mg, Kl 0.83mg, ZnSO₄·7H₂O 8.6mg, C₂H5NO₂2mg, C6H₁₂O6 100mg, C6H5NO₂0.5mg, C8H₁₁NO₃·HCl 0.5mg, C₁₂H₁7ClN₄OS·HCl 0.1mg이다.
주걱비름 캘러스를 유도하기 위한 배지로써, 상기 MS 기초 고체 배지에 sucrose 30 g·L-1, agar 10 g·L-1, NAA(Naphtalene acetic acid) 1.0 mg·L-1, BA(Benzyl adenine) 2.0 mg·L- 1를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배지의 pH는 5.7이며, 121℃, 1.5기압으로 20분간 고온·멸균 후 각각 배양병에 30mL씩 분주하였다. 이 고체 배지에 무균상태의 주걱비름 잎을 1.0 × 0.5 cm의 크기로 절단하여 치상하였으며, 4주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하였다.
-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 제작
주걱비름 잎에서 유도된 callus는 배양실에서 3주 동안 배양된 주걱비름 callus건조 후 약 0.5 cm의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도 1 참조). 주걱비름 callus는 열수 추출과 50% 에탄올 추출을 각각 시행하여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열수 추출은 실온에서 시료 중량의 10배수의 증류수를 용매로 넣고서 12시간 동안 추출을 2회 반복하였다. 50% 에탄올 추출은 시료 중량의 10배수의 50% 에탄올 2시간 동안 추출을 2회 반복하였다.
상기와 같은 열수 추출과 50% 에탄올 추출공정으로부터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은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이용하여 여과, 농축한 뒤 동결건조를 통해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한 Powder 상태로 제조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항산화능 측정
<1> 실험 방법
<1-1> 전자공여능
주걱비름 캘러스의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음이온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양이온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를 이용하여 시료의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K. Nara, T. Miyoshi, T. Honma, and H. Koga,. (2006)Antioxidative activity of bound-form phenolics in potato peel, Biosci. Biotechnol. Biochem., 70(6), 1489).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용해시킨 시료액을 0.2 mM DPPH을 혼합하여 15분간 암실에서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Microplate reader(Epoch, BioTek)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시료 첨가군와 비첨가군을 비교하여 free radical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Sigma)를 사용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 {1-(각 시료액의 반응흡광도/무첨가 시료액의 반응흡광도)}X100(%)
<1-2> ABST 라디칼 공여능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Sigma)라디칼 칼 소거활성은 RE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Antixo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9-10), 1231). ABTS 용액은 7.0 mM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과 2.45 mM potassium persulfate을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ABTS radical 형성을 시킨 후 증류수로 희석하여 흡광도 값이 0.70이 되도록 희석한다.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용해시킨 시료액을 ABTS solution을 혼합하여 37℃, 30분간 반응시킨 후, 700 nm에서 Microplate reader(Epoch, BioTek)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시료 첨가군와 비첨가군을 비교하여 free radical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Sigma)를 사용하였다.
<2> 실험 결과
<2-1> 주걱비름의 캘러스 유도 및 계대배양
주걱비름 잎절편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를 위해 생장조절물질 2.0 mg·L- 1 BA(Benzyl adenine)와 1.0 mg·L-1 NAA(Naphtalene acetic acid)를 혼용 처리한 MS(Murashige and Skoog, 1962)배지(30g·L-1 sucrose, 10g·L-1 agar, pH 5.7)를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양 2주 후부터 잎절편이 비대해지면서 휘어지기 시작하였으며, 3주 후부터 잎절편에서 캘러스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배양 10주 후부터는 잎절편에서 뿌리, 배가 발생하였으며 21주 이후부터는 성체로 자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유도된 주걱비름 캘러스를 보여주며 이렇게 유도된 주걱비름 캘러스는 3주 간격으로 대량 배양하여 유지 및 증식시켰다. 본 연구에서 배양한 주걱비름 캘러스를 열수 추출 및 50% 에탄올 추출 방법을 통해 추출한 후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사용하여 생리활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2-2> 주걱비름 캘러스의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추출수율
주걱비름 캘러스 건조분말 5g을 각각 열수 추출과 50% 에탄올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액를 감압 농축하여 열수 추출물 2.411g, 50% 에탄올 추출물 2.27g을 얻었으며, 추출수율은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 각각 48.2%와 45.4%이다. 식물 추출물이 보통 10 내지 20%의 추출수율을 나타내는데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은 45% 이상의 추출수율을 보이므로 화장품 원료 사용 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2-3>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DPPH의 감소는 free radical의 소거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지질과산화의 초기반응 억제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유해산소인 활성산소는 세포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지질과산화 반응을 일으켜 체내 과산화지질을 축적함으로 인해 생체기능이 저하되고 동시에 색소침착, 노화 및 성인병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tano T. 1995.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 Med. 49: 357-363.).
전자공여능 측정 실험에서 이용한 DPPH assay는 페놀성 화합물, 방향족 아민류 및 아스코빅산 등에 의해 수소나 전자를 받아 환원되어 보라색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항산화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비교적 간단하며 짧은 시간 내에 측정할 수 있어 널리 이용되어졌다(Riley PA. 1997. Molecules in focus melanin. Int. J. Biochem. Cell Biol. 29: 1235-1239.).
주걱비름 캘러스의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5 mg/mL 농도에서 20% 이내의 소거능이 확인되는 바, 주걱비름 캘러스의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이 DPPH 음이온 소거능에서는 활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4> ABST 라디칼 공여능 측정 결과
DPPH radical 소거활성 실험과 동일한 원리로, ABTS assay는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으로 생성된 peroxide radical 성격의 ABTS·+가 항산화성 물질에 의해 제거되면서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양이온 라디칼이 소거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D. 2007.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0-254).
ABTS 시약은 합성된 radical이나 유기용매와 물에 모두 용해되므로 극성 시료뿐만 아니라 비극성 시료의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 가능하여 항산화 활성 연구에 많이 이용되었다(Awika JM, Rooney LW, Wu X, Prior RL, Cisneros-Zevallos L. 2003. Screening methods to measure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orghum bicolor) and sorghum products. Agric. Food Chem. 51:6657-6719.).
주걱비름 캘러스의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의 ABTS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가 도 3과 같이 도시되고 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였고,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IC50값은 각각 1.14mg/mL, 1.03mg/mL을 나타내고 있는 바, 50%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추출물이 조금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활성은 주걱비름이 속하는 돌나무속의 식물에서는 phenolic compounds과 flavonoids 등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myricetin, quercitrin, kaemferol 등의 유효물질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3)

  1. 주걱비름(Sedum tosaense Makino) 캘러스 열수추출물 또는 50%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걱비름 캘러스가 주걱비름의 잎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07892A 2020-08-26 2020-08-26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9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892A KR102419455B1 (ko) 2020-08-26 2020-08-26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892A KR102419455B1 (ko) 2020-08-26 2020-08-26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848A KR20220026848A (ko) 2022-03-07
KR102419455B1 true KR102419455B1 (ko) 2022-07-11

Family

ID=8081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892A KR102419455B1 (ko) 2020-08-26 2020-08-26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4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87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뱀딸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80119234A (ko) * 2017-04-25 2018-11-02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큰기름새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명석 외 3명. 희귀수종인 주걱비름의 잎절편으로부터 기내 식물체 재분화 및 광독립배양을 통한 토양순화. J Plant Biotechnol, 2013 40, pp. 79-87
김춘영 외 2명. 돌나물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11(1), 2006.3, pp. 6-9
김효진 외 3명. 돌나물 수집종간 생육특성, 비타민 C 함량 및 항산화 활성. Journal of Bio Environment Control, 17(2), 2008, pp. 110-1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848A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9963A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2354412B1 (ko) 혼합 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7503B1 (ko) 아이스플랜트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517197B1 (ko) 방울 양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580B1 (ko) 콩나물 및 콩나물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5199713A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ナスタチウム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120057370A (ko) 은행나무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419455B1 (ko) 주걱비름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595192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フェヌグリーク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700872B1 (ko) 개똥쑥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8190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세포 보호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3737B1 (ko) 골담초 동충하초 고체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5026A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블루베리 발효 식초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62450A (ko) 민들레 발효물과 신선초 발효물의 항산화 용도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04971B1 (ko) 괄루근 동충하초 고체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7253765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アシタバ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130050173A (ko)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63841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KR20150132753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상엽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366932B1 (ko) 무궁화 연화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상처 재생용 조성물
KR102343944B1 (ko) 박달목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