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287A - 버링 가공 방법 및 버링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버링 가공 방법 및 버링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287A
KR20160102287A KR1020167020087A KR20167020087A KR20160102287A KR 20160102287 A KR20160102287 A KR 20160102287A KR 1020167020087 A KR1020167020087 A KR 1020167020087A KR 20167020087 A KR20167020087 A KR 20167020087A KR 20160102287 A KR20160102287 A KR 2016010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ing
wall portion
punch
hol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904B1 (ko
Inventor
사토시 시라카미
마사아키 미즈무라
도루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6Shoulder or burr prevention, e.g. fine-bla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5Enlarging by means of impact-type swaging 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축 부재이며 또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어스 펀치 및 버링 펀치 중, 먼저, 상기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상기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버링 가공 방법 및 버링 가공 장치 {BURRING METHOD AND BURRING DEVICE}
본 발명은 버링 가공 방법 및 버링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1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1481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대상물을 연결하는 링크 구조 부재로서, 링크 구조 부재의 단부나 중간 위치에 결합부가 형성된 링크 구조 부재가 실용화되어 있다. 이들 링크 구조 부재는, 예를 들어 건축 구조용의 링크 구조 부재나 자동차의 서스펜션용의 링크 구조 부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는 다양한 형식의 것이 실용화되어 있고, 예를 들어 5링크식의 서스펜션에서는, 로어 링크, 어퍼 링크, 래터럴 링크 등의 서스펜션 링크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링크 구조 부재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스펜션 링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111)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향 배치된 벽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12)가, 로드부(113)에 의해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결합부(111)는 구멍에 부시 등을 끼움 삽입하고, 끼움 삽입된 부시에 축 부재 등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차축과 연결되고, 결합부(112)는 체결 구멍에 삽입 관통한 볼트에 의해 차체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서스펜션 링크에서는, 예를 들어 래터럴 링크와 같이, 차체로부터 받는 부하가 반드시 크지 않고 강도적으로는 박육화가 가능한 것도 있지만, 결합부를 로드부에 용접에 의해 연결하려고 하면, 용접 부분에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로서, 링크 구조 부재의 중량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링크 구조 부재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금속관의 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벽부를 갖는 결합부를 일체 형성하는 경우에는, 결합부의 두께는 형성하는 금속관의 두께에 따라 설정되게 된다.
그 결과, 결합부를 구성하고 있는 대향 벽부가 두꺼운 범위 내에서 부시 등을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부시 등을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는, 금속관의 단부를 확대하여 두께를 얇게 하고, 큰 부시가 끼움 삽입 가능한 부시 보유 지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부시 보유 지지부를 비롯한 결합부에서는 대향 벽부에 형성된 부시 보유 지지 구멍 등의 주연부에 상승 벽부를 형성하고, 부시 보유 지지 구멍 내주의 보유 지지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부시 보유 지지 구멍 등에 버링 형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버링 가공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2 및 3 참조). 이하에서는, 상기의 부시 보유 지지 구멍 등과 같이, 버링 가공에 의해, 주연부에 상승 벽부가 형성된 구멍을 버링 가공 구멍이라고 호칭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07-07654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5-2464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2-24768호 공보
그러나,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버링 가공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의 각각에 대해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쌍의 벽부의 한쪽에 대해 버링 가공을 행함으로써,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그 후, 한 쌍의 벽부의 다른 쪽에 대해 버링 가공을 행함으로써,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고, 버링 가공을 2회로 나누어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한 쌍의 버링 가공 구멍을 2회로 나누어 형성하는 경우, 한쪽의 벽부에 형성된 버링 가공 구멍의 중심 축선과, 다른 쪽의 벽부에 형성된 버링 가공 구멍의 중심 축선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한 쌍의 벽부의 각각에 대해, 동일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3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의 각각에 대해, 동일 축선을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동시에 형성 가능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한 쌍의 벽부에 대해 버링 가공을 실시하기 전에, 펀칭 머신 등의 일반적인 천공 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벽부의 각각에 대해 버링 가공용의 하부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특허문헌 3의 단락 [0033] 참조).
즉,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먼저, 일반적인 천공 장치에 의해 한 쌍의 벽부의 각각에 대해 하부 구멍이 형성된 후에, 버링 가공 장치에 의해 하부 구멍에 대해 버링 가공이 행해지므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버링 가공 구멍의 중심 축선과 하부 구멍의 중심 축선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버링 가공 구멍의 중심 축선과 하부 구멍의 중심 축선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면, 설계 데이터와는 다른 형상이나 치수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이 형성되어 버린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버링 가공 구멍이 래터럴 링크의 부시 보유 지지 구멍인 경우에는, 부시의 설치 정밀도 및 부시 보유 지지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버링 가공 구멍의 중심 축선과 하부 구멍의 중심 축선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면, 버링 가공 구멍의 상승 벽부에 깨짐이 발생하기 쉬워져,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동일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고정밀도로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버링 가공 방법 및 버링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방법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버링 가공 방법이며,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버링 가공 장치의 내부 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에 상기 버링 가공 장치의 제1 외부 유닛을 배치하고, 또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에 상기 버링 가공 장치의 제2 외부 유닛을 배치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내부 유닛, 상기 제1 외부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축 부재이며 또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어스 펀치 및 버링 펀치 중, 먼저 상기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상기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로부터, 상기 내부 유닛, 상기 제1 외부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유닛을 제거하는 제3 공정을 갖는다.
(2) 상기 (1)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1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2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해도 된다.
(3) 상기 (2)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홀더와, 상기 제1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1 버링 홀더 및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관통 구멍,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및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홀더와, 상기 제2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2 버링 홀더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관통 구멍, 상기 제2 피어스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제1 성형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 피어스 구멍을 갖는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및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제2 성형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2 피어스 구멍을 갖는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및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해도 된다.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2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양쪽의 형성 후에,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켜도 된다.
(4) 상기 (3)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내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다이 사이에, 제1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킴과 함께,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다이 사이에, 제2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켜도 된다.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2 스토퍼를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다이 사이로부터 제거한 후에,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켜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켜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양쪽의 형성 후에, 상기 제1 스토퍼를 상기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다이 사이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켜도 된다.
(5) 상기 (1)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1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 후,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2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 후,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해도 된다.
(6) 상기 (5)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1 성형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1 피어스 홀더와,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1 피어스 홀더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상기 제1 관통 구멍 및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2 성형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피어스 홀더와,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2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피어스 홀더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상기 제2 관통 구멍 및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내포하고 또한 양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하우징을, 상기 제1 버링 펀치, 상기 제2 버링 펀치 및 상기 하우징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배치한 후,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함과 함께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해도 된다.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버링 펀치에 형성된 제1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버링 펀치에 형성된 제2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양쪽의 형성 후에,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켜도 된다.
(7) 상기 (6)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내부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 사이에,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켜도 된다.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 사이에, 상기 스토퍼를 보다 깊이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양쪽의 형성 후에,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 사이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켜도 된다.
(8) 상기 (6)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내부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 사이에,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켜도 된다.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및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각각에 상기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상기 스토퍼에 설치된 분리 가능한 분리 블록과,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동시에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스토퍼에 설치된 상기 분리 블록과,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동시에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분리 블록을 상기 스토퍼 내로 복귀시켜도 된다.
(9) 상기 (1)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1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제2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 후,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해도 된다.
(10) 상기 (9)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홀더와, 상기 제1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1 버링 홀더를, 상기 제1 관통 구멍,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제1 성형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 피어스 구멍을 갖는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및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홀더와, 상기 제2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2 버링 홀더를, 상기 제2 관통 구멍, 상기 제2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2 성형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2 피어스 구멍을 갖는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및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해도 된다.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함께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2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함께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더욱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켜도 된다.
(11) 상기 (10)에 기재된 버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내부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홀더 사이에,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그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홀더 및 그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켜도 된다.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의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스토퍼에 설치된 분리 가능한 분리 블록과,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설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동시에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버링 가공 구멍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을 동시에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피어스 다이, 상기 분리 블록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분리 블록을 상기 스토퍼 내로 복귀시킨 후,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홀더 사이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1 버링 다이에 대해 상기 제2 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켜도 된다.
(12)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버링 가공 장치이며,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유닛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유닛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외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유닛, 상기 제1 외부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축 부재이며 또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어스 펀치 및 버링 펀치를 구비한다.
(13) 상기 (12)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이, 상기 제1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1 버링 펀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외부 유닛이, 상기 제2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2 버링 펀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4) 상기 (13)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이,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홀더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버링 펀치가, 상기 제1 버링 홀더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피어스 펀치가,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외부 유닛이,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홀더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상기 제2 버링 홀더의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제1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제1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버링 다이의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제2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버링 다이의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피어스 다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5) 상기 (14)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심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의한 경우,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가,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피어스 다이 및 상기 제2 피어스 다이가,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기준점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축선에 직교하는 제2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16) 상기 (15)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에 대해, 각각 개별로 상기 기준점을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다이 복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7) 상기 (12)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이, 상기 제1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1 피어스 펀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외부 유닛이, 상기 제2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2 피어스 펀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2 버링 펀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8) 상기 (17)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이, 상기 제1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상기 제1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버링 다이의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피어스 홀더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피어스 펀치가, 상기 제1 피어스 홀더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외부 유닛이,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상기 제2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버링 다이의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피어스 홀더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상기 제2 피어스 홀더의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내포하고 또한 양 단부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한쪽의 단부면이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면 접촉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의 단부면이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면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버링 펀치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9) 상기 (18)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심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의한 경우,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제2 버링 펀치가,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기준점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축선에 직교하는 제2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20) 상기 (19)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에 대해, 각각 개별로 상기 기준점을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버링 펀치 복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21) 상기 (18)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상기 제1 피어스 구멍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이, 각각 저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축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심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의한 경우에,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제2 버링 펀치가,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기준점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축선에 직교하는 제2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스토퍼가, 제1 버링 펀치가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되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된 상태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스토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함께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를 이동 가능한 분리 블록을 갖고 있어도 된다.
(22) 상기 (12)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이, 상기 제1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1 버링 펀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제2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2 버링 펀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23) 상기 (22)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이,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홀더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버링 펀치가, 상기 제1 버링 홀더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피어스 펀치가,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제1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제1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버링 다이의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홀더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상기 제2 버링 홀더의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면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외부 유닛이,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제2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버링 다이의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피어스 다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24) 상기 (23)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의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이 저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축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심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제2 버링 홀더가,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피어스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기준점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축선에 직교하는 제2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홀더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1 피어스 다이가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되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홀더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된 상태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스토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피어스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함께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한 분리 블록을 갖고 있어도 된다.
(25) 상기 (24)에 기재된 버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이, 상기 제1 버링 다이에 대해 상기 기준점을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다이 복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동일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고정밀도로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에 버링 가공 구멍이 형성된 제품의 일례로서, 래터럴 링크(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래터럴 링크(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있어서의 A-A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있어서의 B-B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2에 있어서의 C-C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2에 있어서의 D-D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래터럴 링크(1)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래터럴 링크(1)의 제조 공정의 상세에 관한 제1 설명도이다.
도 5b는 래터럴 링크(1)의 제조 공정의 상세에 관한 제2 설명도이다.
도 5c는 래터럴 링크(1)의 제조 공정의 상세에 관한 제3 설명도이다.
도 5d는 래터럴 링크(1)의 제조 공정의 상세에 관한 제4 설명도이다.
도 5e는 래터럴 링크(1)의 제조 공정의 상세에 관한 제5 설명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장치(300)의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장치(300)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방법의 제1 공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1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2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3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4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방법의 제3 공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400)의 측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400)의 정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1 공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1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2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3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3 공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500)의 측단면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500)의 정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1 공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1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2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3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4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3 공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600)의 측단면도이다.
도 26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600)의 정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1 공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1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2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3 설명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4 설명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관한 제5 설명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의 제3 공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버링 가공 구멍이 형성된 제품의 일례(예를 들어, 차량의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링크 구조 부재인 래터럴 링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강관(금속관)의 단부에 부시 보유 지지부(20)가 형성된 래터럴 링크(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래터럴 링크(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있어서의 A-A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있어서의 B-B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2에 있어서의 C-C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2에 있어서의 D-D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래터럴 링크(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부(10)와, 로드부(10)의 일단부에 접속된 부시 보유 지지부(20)와, 로드부(10)의 타단부에 접속된 체결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부시 보유 지지부(20)는, 예를 들어 부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끼움 삽입된 축 부재 등에 의해 차축과 연결 가능하다. 체결부(30)는 볼트 등에 의해 차체(도시하지 않음)와 연결 가능하다.
로드부(10)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폐단면인 중공의 강관(금속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드부(10)의 양단부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부시 보유 지지부(20) 및 체결부(30)가 로드부(10)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로드부(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원형의 주위 벽부를 갖고 있다.
부시 보유 지지부(20)는 관 확대 테이퍼부(11)와, 스트레이트부(12)와,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와, 폭 확대 접속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는, 예를 들어 폭 확대 접속부(22)를 통해 로드부(10)와 접속되어 있다. 폭 확대 접속부(22)는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와 로드부(10)를 접속하는 접속 형상부이다.
관 확대 테이퍼부(11)는 로드부(10)의 일단부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확대된 원추 형상의 테이퍼를 갖는다. 관 확대 테이퍼부(11)의 선단 개구부의 내경은 로드부(10)의 내경보다 크다. 관 확대 테이퍼부(11)의 주위 벽부의 두께는 로드부(10)의 주위 벽부의 두께보다도 얇다.
스트레이트부(12)는 관 확대 테이퍼부(11)의 선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12)의 내경은 관 확대 테이퍼부(11)의 선단 개구부의 내경과 동일하다. 스트레이트부(12)의 주위 벽부의 두께는 관 확대 테이퍼부(11)의 주위 벽부의 두께와 동일하다.
한 쌍의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는 서로 대향하도록 또한 평행이 되도록 스트레이트부(12)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평탄한 부위이다.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의 기단부측[로드부(10)측]으로부터 선단측을 본 경우,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의 선단측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의 폭 전체에 걸쳐서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의 한쪽을 제1 벽부(211)라고 호칭하고, 다른 쪽을 제2 벽부(212)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의 폭 방향의 중앙에는 부시 보유 지지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부시 보유 지지 구멍(24)의 주연부에는 버링 형상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버링 형상부(25)는 부시 보유 지지 벽부[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21)로부터 서로 내측(상대측의 벽부)을 향해 연장됨과 함께,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로부터의 상승 길이 및 내주 직경이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버링 가공에 의해, 주연부에 버링 형상부(25)(상승 벽부)가 형성된 부시 보유 지지 구멍(24)을, 버링 가공 구멍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의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버링 가공 구멍[부시 보유 지지 구멍(24)]은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에 직교하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한 쌍의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의 중심 축선과 다른 쪽의 중심 축선이, 각각 제1 축선(X)과 일치하고 있다.
이 버링 형상부(25) 및 부시 보유 지지 구멍(24)의 내주에 형성된 부시 보유 지지면(25A)(도 3a 참조)에 부시(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고, 이 부시에, 축 부재 등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부시 보유 지지부(20)는 부시를 통해 차축과 연결된다. 또한, 상승 벽부인 버링 형상부(25)가 주연부에 형성된 부시 보유 지지 구멍(24)의 내주면의 면적[즉, 부시 보유 지지면(25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부시 등을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폭 확대 접속부(22)는, 도 2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에 로드부(10)와 직교하는 단면이 서로 근접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대략 채널 형상의 한 쌍의 벽부를 갖고 있다. 폭 확대 접속부(22)의 선단측이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와 접속됨과 함께, 폭 확대 접속부(22)의 기단부측이 스트레이트부(12)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폭 확대 접속부(22)는 정면에서 볼 때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V자 형상의 간극이 형성됨과 함께, 양단부의 굴곡부가 단축되고, 평탄부가 점차 폭이 확대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있다.
그 결과, 폭 확대 접속부(22)는 단면 대략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폭을 넓히면서, 단면 채널 형상으로부터 평탄부로 점차 형상 변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c는 스트레이트부(12)로부터 부시 보유 지지부(20)를 로드부(10)의 길이 방향으로 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d는 로드부(10)로부터 부시 보유 지지부(20)를 로드부(10)의 길이 방향으로 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 및 폭 확대 접속부(22)를 구성하는 한 쌍의 벽부는 로드부(10)와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길이가, 강관이 확대된 스트레이트부(12)(제조 과정에서 형성된 슬릿의 폭분을 제외함)의 주위 벽부의 주위 길이와 동일한 치수가 되어 있다.
체결부(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벽부(31)와, 제1 이격 접속부(32)와, 제2 이격 접속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체결 벽부(31)는 제1 이격 접속부(32) 및 제2 이격 접속부(33)를 통해 로드부(10)와 접속되어 있다. 제1 이격 접속부(32) 및 제2 이격 접속부(33)는 체결 벽부(31)와 로드부(10)를 접속하는 접속 형상부이다.
체결 벽부(31)는 선단측에 서로 대향하는 평탄부를 갖는 한 쌍의 대향 벽부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벽부(31)의 기단부측[로드부(10)측]으로부터 선단측을 본 경우에, 체결 벽부(31)의 폭 전체에 걸쳐서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 벽부(31)의 폭 방향의 중앙에는 설치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이격 접속부(32)는, 예를 들어 로드부(10)와 직교하는 단면이, 양단부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는 굴곡부를 갖는 채널 형상의 한 쌍의 벽부를 갖는다. 제1 이격 접속부(32)의 선단측에 체결 벽부(31)가 접속됨과 함께, 제1 이격 접속부(32)의 기단부측에 제2 이격 접속부(3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이격 접속부(32)는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정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의 간극이 형성되고, 양단부의 굴곡부가 축소되면서 점차 평탄부가 폭이 넓어지도록 소성 변형되어 있다. 또한, 제1 이격 접속부(32)의 폭 방향 중앙측에는 내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팽창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이격 접속부(33)는 로드부(10)와 직교하는 단면이, 양단부에 서로 근접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대략 채널 형상의 한 쌍의 벽부를 갖는다. 제2 이격 접속부(33)의 선단측에 제1 이격 접속부(32)가 접속됨과 함께, 제2 이격 접속부(33)의 기단부측에 로드부(1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이격 접속부(33)는 단면이 양단부에 형성된 굴곡부가 서로 근접하는 대략 채널 형상이 되어 있고,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한 쌍의 벽부가 점차 서로 이격하여 정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이격 접속부(33)의 폭 방향 중앙에는 내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팽창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 이격 접속부(33)는 단면이 대략 채널 형상이 되고,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서로 이격하면서 제1 이격 접속부(32)에 접속된다. 제1 이격 접속부(32)는 단면이 대략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단면이 채널 형상으로부터 평탄부로 점차 형상 변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 벽부(31), 제1 이격 접속부(32) 및 제2 이격 접속부(33)를 구성하는 한 쌍의 벽부는 로드부(10)와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길이가, 강관(제조 과정에서 형성된 슬릿의 폭분을 제외함)의 주위 벽부의 주위 길이와 동일 길이가 되어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부시 보유 지지부(20)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강관의 단부에 부시 보유 지지부(20)를 일체 형성하는 것에 의한 래터럴 링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e는 부시 보유 지지부(20)를 일체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먼저, 로드부(10)를 구성하는 강관(10M)에, 예를 들어 관 확대 펀치(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고, 부시 보유 지지부(20)를 형성하기 위한 형성 예정부(20A)를 형성한다(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
형성 예정부(20A)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확대 펀치 등으로 강관(10M)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원추 형상으로 직경 확대된 관 확대 테이퍼부(11)와, 스트레이트부(12)와, 부시 보유 지지부(20)를 형성하는 형성 예정 벽부(210)를 갖고 있고, 형성 예정부(20A)는 강관(10M)보다도 주위 길이가 길고, 강관(10M)보다도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다.
(2) 이어서, 강관(10M)에,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2개의 슬릿(210S)을 형성하고, 주위 방향 길이가 동등한 2개의 프레스 형성 전방 벽부(210A)를 설치하고, 부시 보유 지지부(20)와 대응하는 분할 벽부(20B)를 형성한다(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2).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 예정 벽부(210)의 중심축에 대칭인 주위 방향 위치에, 2개의 슬릿(210S)을 형성함으로써, 동일 형상의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스 형성 전방 벽부(210A)가 형성된다.
(3) 이어서, 프레스 형성 전방 벽부(210A)를 프레스 형성하고, 프레스 형성 전방 벽부(210A)를 프레스 형성 후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0C)에 소성 변형한다(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3).
프레스 형성은, 예를 들어 도 5c 내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순으로 행해진다.
1) 먼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금형 K1에 세트하고, 펀치 K2를 강관(10M)의 축선 방향으로 전진시켜, 프레스 형성 전방 벽부(210A) 사이에 삽입한다.
2) 이어서, 펀치 K2를 전진시킴으로써,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210S)을 대략 V자 형상의 슬릿(210T)에 형성함과 함께, 프레스 형성 전방 벽부(210A)를, 폭 방향 양단부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굴곡부가 짧아져 평탄부로 형상 변화되는 중간 형상 벽부(210B)로 소성 변형시켜, 부시 보유 지지부(20)의 중간벽부(20C)로 한다.
3) 계속해서,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 K2를 전진 단부까지 전진시키고, 슬릿(210T)을 슬릿(210U)에 형성함과 함께 중간 형상 벽부(210B)를 프레스 형성 후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0C)에 형성하고, 선단측이 관 확대된 강관(10M)의 외경과 대략 동등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부시 보유 지지부(20)와 대응하는 트리밍 전 부시 보유 지지부(20D)를 형성한다.
상기의 프로세스에 의해, 서로 대향하도록 또한 평행이 되도록 스트레이트부(12)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가 형성된다.
(4) 이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 형태의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을 사용하여,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의 각각에 대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하부 구멍을 형성한다(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4).
(5) 마지막으로, 본 실시 형태의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을 사용하여,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의 각각에 형성된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1 축선(X)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상승 벽부인 버링 형상부(25)를 갖는 부시 보유 지지 구멍(24)을 형성한다(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5).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한 쌍의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의 각각에 대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부시 보유 지지 구멍(24)]이 형성된 래터럴 링크(1)가 완성된다.
이하, 상기의 스텝 S4 및 S5에서 사용되는 본 실시 형태의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1)의 내측을 향해 굴곡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을 제1 벽부(211)에 형성함과 함께, 제2 벽부(212)의 내측을 향해 굴곡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을 제2 벽부(212)에 형성하기 위한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축선(X) 상에 있어서의 제1 벽부(211)의 양측 중, 제2 벽부(212)가 존재하는 측을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측을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1 축선(X) 상에 있어서의 제2 벽부(212)의 양측 중, 제1 벽부(211)가 존재하는 측을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측을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정의한다.
도 6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장치(300)의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버링 가공 장치(300)의 정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축선(X) 상에 있어서의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심 위치를 기준점 P로 정의하고, 이 기준점 P를 지나, 제1 축선(X)에 직교하고 또한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의 연장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선을 제2 축선(Y)으로 정의한다. 이 제2 축선(Y)는 래터럴 링크(1)의 중심 축선과 일치한다. 즉, 도 6a는 제1 축선(X) 및 제2 축선(Y)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버링 가공 장치(300)를 본 도면이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점 P를 지나, 제1 축선(X) 및 제2 축선(Y)에 직교하는 축선을 제3 축선(Z)으로 정의한다. 이 제3 축선(Z)은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의 폭 방향과 평행하다. 즉, 도 6b는 제1 축선(X) 및 제3 축선(Z)을 포함하는 단면[제2 축선(Y)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버링 가공 장치(300)를 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링 가공 장치(300)는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유닛(310)과,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외부 유닛(320)과,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유닛(33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피어스 펀치란, 버링 가공용의 하부 구멍을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에 형성하기 위한 축 부재이다. 또한, 버링 펀치란,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1 축선(X)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축 부재이다.
제1 외부 유닛(310)은 제1 피어스 펀치(311)와, 제1 버링 펀치(312)와, 제1 버링 홀더(3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피어스 펀치(311)는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버링 펀치(312)는 제1 피어스 펀치(311)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제1 벽부(211)에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버링 펀치(312)의 양 단부면은 제1 피어스 펀치(311)를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다.
제1 버링 홀더(313)는 제1 버링 펀치(312)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313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관통 구멍(313a)은 제1 버링 홀더(313)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제1 버링 홀더(313)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버링 홀더(313)는 제1 관통 구멍(313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버링 홀더(313)는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대해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313b)을 갖는다.
제1 버링 펀치(312)는 제1 버링 홀더(313)의 제1 관통 구멍(313a)의 내부에 있어서, 제1 버링 펀치(312)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피어스 펀치(311)는 제1 버링 펀치(312)의 내부에 있어서, 제1 피어스 펀치(311)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원통 형상을 갖는 제1 버링 펀치(312)의 내부 공간은 제1 피어스 펀치(311)의 통로로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외부 유닛(310)에 있어서, 제1 피어스 펀치(311), 제1 버링 펀치(312) 및 제1 버링 홀더(313)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제1 외부 유닛(310)에 있어서, 제1 버링 홀더(313)의 내주면[제1 관통 구멍(313a)의 표면]과, 제1 버링 펀치(31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버링 펀치(312)의 내주면과, 제1 피어스 펀치(311)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피어스 펀치(311) 및 제1 버링 펀치(312)가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제1 피어스 펀치(311) 및 제1 버링 펀치(312)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외부 유닛(320)은 제2 피어스 펀치(321)와, 제2 버링 펀치(322)와, 제2 버링 홀더(32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피어스 펀치(321)는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2 버링 펀치(322)는 제2 피어스 펀치(321)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제2 벽부(212)에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2 버링 펀치(322)의 양 단부면은 제2 피어스 펀치(321)를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다.
제2 버링 홀더(323)는 제2 버링 펀치(322)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323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관통 구멍(323a)은 제2 버링 홀더(323)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제2 버링 홀더(323)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버링 홀더(323)는 제2 관통 구멍(323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버링 홀더(323)는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대해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323b)을 갖는다.
제2 버링 펀치(322)는 제2 버링 홀더(323)의 제2 관통 구멍(323a)의 내부에 있어서, 제2 버링 펀치(322)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피어스 펀치(321)는 제2 버링 펀치(322)의 내부에 있어서, 제2 피어스 펀치(321)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원통 형상을 갖는 제2 버링 펀치(322)의 내부 공간은 제2 피어스 펀치(321)의 통로로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외부 유닛(320)에 있어서, 제2 피어스 펀치(321), 제2 버링 펀치(322) 및 제2 버링 홀더(323)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제2 외부 유닛(320)에 있어서, 제2 버링 홀더(323)의 내주면[제2 관통 구멍(323a)의 표면]과, 제2 버링 펀치(32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버링 펀치(322)의 내주면과, 제2 피어스 펀치(321)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2 피어스 펀치(321) 및 제2 버링 펀치(322)가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제2 피어스 펀치(321) 및 제2 버링 펀치(322)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내부 유닛(330)은 하우징(331)과, 제1 버링 다이(332)와, 제1 피어스 다이(333)와, 제2 버링 다이(334)와, 제2 피어스 다이(335)와, 제1 스토퍼(336)와, 제2 스토퍼(337)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31)은 제1 버링 다이(332), 제1 피어스 다이(333), 제2 버링 다이(334) 및 제2 피어스 다이(335)를 내포하고, 또한 양 단부면이 개방된 원통 부재이다. 하우징(331)은 그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331)은 제1 스토퍼(336) 및 제2 스토퍼(337)가 제2 축선(Y)을 따라 통과 가능한 크기로 개방되는 제1 개구부(331a) 및 제2 개구부(331b)를 갖는다.
제1 버링 다이(332)는 제1 버링 펀치(312)가 삽입되는 제1 성형 구멍(332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성형 구멍(332a)은 제1 버링 다이(332)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1 버링 다이(332)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성형 구멍(332a)의 직경은 제1 버링 펀치(312)의 외경과 제1 벽부(211)의 두께의 가산값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버링 다이(332)는 하우징(331)의 내부에 있어서, 제1 성형 구멍(332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내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버링 다이(332)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332b)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32c)을 갖는다.
제1 피어스 다이(333)는 제1 피어스 펀치(311)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333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피어스 구멍(333a)은 제1 피어스 다이(333)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1 피어스 다이(333)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피어스 구멍(333a)의 직경은 제1 피어스 펀치(311)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피어스 다이(333)는 제1 버링 다이(332)의 제1 성형 구멍(332a)의 내부에 있어서, 제1 피어스 구멍(333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내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피어스 다이(333)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333b)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33c)을 갖는다. 제1 피어스 다이(33)의 경사면(333c)의 경사각은 제1 버링 다이(332)의 경사면(332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제2 버링 다이(334)는 제2 버링 펀치(322)가 삽입되는 제2 성형 구멍(334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성형 구멍(334a)은 제2 버링 다이(334)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2 버링 다이(334)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성형 구멍(334a)의 직경은 제2 버링 펀치(322)의 외경과 제2 벽부(212)의 두께의 가산값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버링 다이(334)는 하우징(331)의 내부에 있어서, 제2 성형 구멍(334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내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버링 다이(334)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334b)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34c)을 갖는다.
제2 피어스 다이(335)는 제2 피어스 펀치(321)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335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피어스 구멍(335a)은 제2 피어스 다이(335)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2 피어스 다이(335)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피어스 구멍(335a)의 직경은 제2 피어스 펀치(321)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피어스 다이(335)는 제2 버링 다이(334)의 제2 성형 구멍(334a)의 내부에 있어서, 제2 피어스 구멍(335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내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피어스 다이(335)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335b)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35c)을 갖는다. 제2 피어스 다이(335)의 경사면(335c)의 경사각은 제2 버링 다이(334)의 경사면(334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제1 버링 다이(332) 및 제2 버링 다이(334)는 기준점 P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버링 다이(332)는 제1 벽부(211)와 기준점 P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2 버링 다이(334)는 제2 벽부(212)와 기준점 P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1 피어스 다이(333) 및 제2 피어스 다이(335)는 기준점 P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피어스 다이(333)는 제1 벽부(211)와 기준점 P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2 피어스 다이(335)는 제2 벽부(212)와 기준점 P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1 버링 다이(332)의 내부[제1 성형 구멍(332a)의 내부]에, 제1 피어스 다이(333)의 전체가 내포되었을 때, 제1 버링 다이(332)의 평탄면(332b)과 제1 피어스 다이(333)의 평탄면(333b)이 동일 평면이 되고, 제1 버링 다이(332)의 경사면(332c)과 제1 피어스 다이(333)의 경사면(333c)이 동일 평면이 된다.
제2 버링 다이(334)의 내부[제2 성형 구멍(334a)의 내부]에, 제2 피어스 다이(335)의 전체가 내포되었을 때, 제2 버링 다이(334)의 평탄면(334b)과 제2 피어스 다이(335)의 평탄면(335b)이 동일 평면이 되고, 제2 버링 다이(334)의 경사면(334c)과 제2 피어스 다이(335)의 경사면(335c)이 동일 평면이 된다.
제1 버링 다이(332)의 경사면(332c)[제1 피어스 다이(333)의 경사면(333c)]의 경사각은 제2 버링 다이(334)의 경사면(334c)[제2 피어스 다이(335)의 경사면(335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제1 스토퍼(336)는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판 부재이다. 이 제1 스토퍼(336)는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해 경사지는 제1 경사면(336a)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해 경사지는 제2 경사면(336b)을 갖는다.
제1 경사면(336a)의 경사각은 제1 버링 다이(332)의 경사면(332c)[제1 피어스 다이(333)의 경사면(333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제2 경사면(336b)의 경사각은 제2 버링 다이(334)의 경사면(334c)[제2 피어스 다이(335)의 경사면(335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즉, 제1 경사면(336a)의 경사각은 제2 경사면(336b)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제1 스토퍼(336)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스토퍼(336)의 제1 경사면(336a)이 제1 버링 다이(332)의 경사면(332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제1 스토퍼(336)의 제2 경사면(336b)이 제2 버링 다이(334)의 경사면(334c)과 면 접촉한다.
제1 스토퍼(336)가, 제1 버링 다이(332) 및 제2 버링 다이(334)와 면 접촉한 상태에서, 기준점 P보다 깊게 진행되면, 제1 버링 다이(332)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버링 다이(334)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버링 다이(332)의 평탄면(332b)은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제2 버링 다이(334)의 평탄면(334b)은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1 스토퍼(336)는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332)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제2 버링 다이(334)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스토퍼(337)는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판 부재이다. 이 제2 스토퍼(337)는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해 경사지는 제3 경사면(337a)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해 경사지는 제4 경사면(337b)을 갖는다.
제3 경사면(337a)의 경사각은 제1 버링 다이(332)의 경사면(332c)[제1 피어스 다이(333)의 경사면(333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제4 경사면(337b)의 경사각은 제2 버링 다이(334)의 경사면(334c)[제2 피어스 다이(335)의 경사면(335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즉, 제3 경사면(337a)의 경사각과 제4 경사면(337b)의 경사각은 동일하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제2 스토퍼(337)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2 스토퍼(337)의 제3 경사면(337a)이 제1 피어스 다이(333)의 경사면(333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제2 스토퍼(337)의 제4 경사면(337b)이 제2 피어스 다이(335)의 경사면(335c)과 면 접촉한다.
제2 스토퍼(337)가, 제1 피어스 다이(333) 및 제2 피어스 다이(335)와 면 접촉한 상태에서, 기준점 P보다 깊게 진행되면, 제1 피어스 다이(333)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피어스 다이(335)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피어스 다이(333)의 평탄면(333b)은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제2 피어스 다이(335)의 평탄면(335b)은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2 스토퍼(337)는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피어스 다이(333)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제2 피어스 다이(335)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31)의 내주면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332)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제3 축선(Z)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고 또한 제1 축선(X)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제1 홈(33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버링 다이(332)의 외주면에는 제1 홈(331c)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기부(332d)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홈(331c)의 제1 벽부(211)측의 측벽면과 제1 돌기부(332d) 사이에는 신축 방향이 제1 축선(X)과 평행이 되도록, 제1 스프링(33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31)의 내주면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334)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제3 축선(Z)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고 또한 제1 축선(X)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제2 홈(331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버링 다이(334)의 외주면에는 제2 홈(331d)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돌기부(334d)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홈(331d)의 제2 벽부(212)측의 측벽면과 제2 돌기부(334d) 사이에는 신축 방향이 제1 축선(X)과 평행이 되도록, 제2 스프링(339)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돌기부(332d)를 갖는 제1 버링 다이(332)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면, 제1 스프링(338)이 압축되고, 그 결과, 제1 버링 다이(332)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다. 또한, 제2 돌기부(334d)를 갖는 제2 버링 다이(334)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하면, 제2 스프링(339)이 압축되고, 그 결과, 제2 버링 다이(334)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내부 유닛(330)은 제1 버링 다이(332) 및 제2 버링 다이(334)에 대해, 각각 개별로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다이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부 유닛(330)에 있어서, 하우징(331), 제1 버링 다이(332), 제1 피어스 다이(333), 제2 버링 다이(334) 및 제2 피어스 다이(335)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내부 유닛(330)에 있어서, 하우징(331)의 내주면과 제1 버링 다이(33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331)의 내주면과 제2 버링 다이(334)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버링 다이(332)의 내주면[제1 성형 구멍(332a)의 표면]과 제1 피어스 다이(333)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버링 다이(334)의 내주면[제2 성형 구멍(334a)의 표면]과 제2 피어스 다이(335)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버링 다이(332), 제1 피어스 다이(333), 제2 버링 다이(334) 및 제2 피어스 다이(335)가, 각각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이들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링 가공 장치(300)를 사용하여 실현되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공정>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버링 가공 장치(300)의 제1 외부 유닛(310)을 배치하고,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버링 가공 장치(300)의 제2 외부 유닛(320)을 배치하고,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버링 가공 장치(300)의 내부 유닛(330)을 배치한다.
즉, 제1 피어스 펀치(311), 제1 버링 펀치(312) 및 제1 버링 홀더(313)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제1 외부 유닛(310)을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배치한다.
또한, 제2 피어스 펀치(321), 제2 버링 펀치(322) 및 제2 버링 홀더(323)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제2 외부 유닛(320)을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배치한다.
또한, 하우징(331), 제1 버링 다이(332), 제1 피어스 다이(333), 제2 버링 다이(334) 및 제2 피어스 다이(335)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내부 유닛(330)의 하우징(331)을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제1 스토퍼(336) 및 제2 스토퍼(337)는 하우징(31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유닛(310)에 있어서, 제1 버링 펀치(312) 및 제1 버링 홀더(313)가,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맞닿을 때까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버링 펀치(312) 및 제1 버링 홀더(31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1 버링 펀치(312) 및 제1 버링 홀더(313)가,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맞닿은 후, 상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버링 펀치(312) 및 제1 버링 홀더(313)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제1 버링 펀치(312) 및 제1 버링 홀더(313)를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압접한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유닛(320)에 있어서, 제2 버링 펀치(322) 및 제2 버링 홀더(323)가,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맞닿을 때까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버링 펀치(322) 및 제2 버링 홀더(323)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2 버링 펀치(322) 및 제2 버링 홀더(323)가,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맞닿은 후, 상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버링 펀치(322) 및 제2 버링 홀더(323)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버링 펀치(322) 및 제2 버링 홀더(323)를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압접한다.
또한, 내부 유닛(330)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스토퍼(336)를 기준점 P를 향해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제1 스토퍼(336)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스토퍼(336)의 제1 경사면(336a)이 제1 버링 다이(332)의 경사면(332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제1 스토퍼(336)의 제2 경사면(336b)이 제2 버링 다이(334)의 경사면(334c)과 면 접촉하면서, 제1 버링 다이(332)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버링 다이(334)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제1 버링 다이(332)의 평탄면(332b)이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또한 제2 버링 다이(334)의 평탄면(334b)이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하는 위치까지, 제1 스토퍼(336)를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제1 스토퍼(336)를 더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버링 다이(332)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과 함께, 제2 버링 다이(334)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한다.
그 결과, 제1 버링 다이(332)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되고, 제2 버링 다이(334)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된다.
이와 같이, 제1 버링 다이(332)와 제2 버링 다이(334) 사이에, 제1 스토퍼(336)를 삽입함으로써, 제1 버링 다이(332)를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시키고, 또한 제2 버링 다이(334)를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시킨다.
이 시점에서, 제1 버링 다이(332)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우징(331) 내의 제1 스프링(338)이 압축되므로, 제1 버링 다이(332)에 대해 항상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버링 다이(334)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우징(331) 내의 제2 스프링(339)이 압축되므로, 제2 버링 다이(334)에 대해 항상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되게 된다.
또한, 내부 유닛(330)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스토퍼(337)를 기준점 P를 향해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제2 스토퍼(337)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2 스토퍼(337)의 제3 경사면(337a)이 제1 피어스 다이(333)의 경사면(333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제2 스토퍼(337)의 제4 경사면(337b)이 제2 피어스 다이(335)의 경사면(335c)과 면 접촉하면서, 제1 피어스 다이(333)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피어스 다이(335)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제1 피어스 다이(333)의 평탄면(333b)이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또한 제2 피어스 다이(335)의 평탄면(335b)이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하는 위치까지, 제2 스토퍼(337)를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제2 스토퍼(337)를 더 이동시킴으로써, 제1 피어스 다이(333)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과 함께, 제2 피어스 다이(335)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한다.
그 결과, 제1 피어스 다이(333)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되고, 제2 피어스 다이(335)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된다.
이와 같이, 제1 피어스 다이(333)와 제2 피어스 다이(335) 사이에, 제2 스토퍼(337)를 삽입함으로써, 제1 피어스 다이(333)를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시키고, 또한 제2 피어스 다이(335)를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시킨다.
또한, 제1 스토퍼(336)의 삽입과 제2 스토퍼(337)의 삽입을 각각의 타이밍에서 행해도 되고, 또는 동시에 행해도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제1 공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제1 버링 펀치(312)와 제1 피어스 다이(333)가, 제1 벽부(211)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제1 버링 홀더(313)와 제1 버링 다이(332)가, 제1 벽부(211)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제2 버링 펀치(322)와 제2 피어스 다이(335)가, 제2 벽부(212)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제2 버링 홀더(323)와 제2 버링 다이(334)가, 제2 벽부(212)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2 공정>
계속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피어스 펀치(311)를 제1 피어스 홀더(333)의 제1 피어스 구멍(333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1 피어스 펀치(311)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1 피어스 펀치(311)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하부 구멍(H1)이 제1 벽부(211)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피어스 펀치(321)를 제2 피어스 홀더(335)의 제2 피어스 구멍(335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2 피어스 펀치(321)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2 피어스 펀치(321)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하부 구멍(H2)이 제2 벽부(212)에 형성된다.
또한, 하부 구멍(H1 및 H2)의 형성은 각각의 타이밍에서 행해도 되고, 또는 동시에 행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토퍼(337)를 제1 피어스 다이(333)와 제2 피어스 다이(335) 사이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의해, 제1 피어스 다이(333) 및 제2 피어스 다이(335)는 각각, 기준점 P를 향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버링 펀치(312)를 제1 버링 다이(332)의 제1 성형 구멍(332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1 버링 펀치(312)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1)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1 벽부(2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BH1)이 제1 벽부(211)에 형성된다. 버링 가공 구멍(BH1)의 내경은 제1 버링 펀치(312)의 외경과 동일하다. 버링 가공 구멍(BH1)의 주연부에 형성된 상승 벽부의 높이[제1 축선(X)을 따르는 길이]는 제1 피어스 펀치(311)의 외경과 제1 버링 펀치(312)의 외경의 차분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제1 버링 펀치(312)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피어스 다이(333)도 기준점 P를 향해 이동한다. 즉, 제1 벽부(211)에 버링 가공 구멍(BH1)이 형성된 시점에서, 제1 피어스 다이(333)는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버링 펀치(322)를 제2 버링 다이(334)의 제2 성형 구멍(334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2 버링 펀치(322)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2)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2 벽부(212)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BH2)이 제2 벽부(212)에 형성된다. 버링 가공 구멍(BH2)의 내경은 제2 버링 펀치(322)의 외경과 동일하다. 버링 가공 구멍(BH2)의 주연부에 형성된 상승 벽부의 높이는 제2 피어스 펀치(321)의 외경과 제2 버링 펀치(322)의 외경의 차분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제2 버링 펀치(322)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2 피어스 다이(335)도 기준점 P를 향해 이동한다. 즉, 제2 벽부(212)에 버링 가공 구멍(BH2)이 형성된 시점에서, 제2 피어스 다이(335)는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버링 가공 구멍(BH1 및 BH2)의 형성은 각각의 타이밍에서 행해도 되고, 또는 동시에 행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336)를 제1 버링 다이(332)와 제2 버링 다이(334) 사이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의해, 제1 버링 다이(332) 및 제2 버링 다이(334)는 각각, 기준점 P를 향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스프링(338) 및 제2 스프링(339)의 압축에 의해, 제1 버링 다이(332) 및 제2 버링 다이(334)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스토퍼(336)가 제1 버링 다이(332)와 제2 버링 다이(334) 사이로부터 제거되면, 제1 버링 다이(332) 및 제2 버링 다이(334)는 각각, 기준점 P를 향해 이동한다.
즉, 제1 스토퍼(336)가 제1 버링 다이(332)와 제2 버링 다이(334) 사이로부터 제거되면, 제1 버링 다이(332) 및 제2 버링 다이(335)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부여된 외력에 의해, 제1 버링 다이(332) 및 제2 버링 다이(334)는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제2 공정의 종료 시점에서,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1 및 BH2)이 형성되고, 또한 제1 버링 다이(332), 제1 피어스 다이(333), 제2 버링 다이(334) 및 제2 피어스 다이(335)가,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가 된다.
<제3 공정>
마지막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1)로부터 제1 외부 유닛(310)을 제거하고, 제2 벽부(212)로부터 제2 외부 유닛(320)을 제거하고,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로부터 내부 유닛(330)을 더 제거하고, 버링 가공은 종료된다.
버링 가공 구멍(BH1)은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고, 버링 가공 구멍(BH2)은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고 있지만, 제1 버링 다이(332), 제1 피어스 다이(333), 제2 버링 다이(334) 및 제2 피어스 다이(335)가,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로부터 내부 유닛(33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피어스 펀치(311)를 사용하여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H1)을 형성한 후, 제1 피어스 펀치(311)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312)를 사용하여,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1)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BH1)을 형성한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피어스 펀치(321)를 사용하여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H2)을 형성한 후, 제2 피어스 펀치(321)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322)를 사용하여,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2)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BH2)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하부 구멍(H1 및 H2)의 중심 축선과 버링 가공 구멍(BH1 및 BH2)의 중심 축선 사이에 발생하는 어긋남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1 및 BH2)을 매우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1)과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2)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벽부(211)의 버링 가공 구멍(BH1)과 제2 벽부(212)의 버링 가공 구멍(H2)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의 각각에 대해,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1 및 BH2)을 고정밀도로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벽부(211)의 외측을 향해 굴곡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을 제1 벽부(211)에 형성함과 함께, 제2 벽부(212)의 외측을 향해 굴곡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을 제2 벽부(212)에 형성하기 위한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400)의 측단면도이다. 도 13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400)의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13a는 제1 축선(X) 및 제2 축선(Y)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버링 가공 장치(400)를 본 도면이다. 도 13b는 제1 축선(X) 및 제3 축선(Z)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버링 가공 장치(400)를 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링 가공 장치(400)는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유닛(410)과,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외부 유닛(420)과,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유닛(43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외부 유닛(410)은 제1 버링 다이(411)와, 제1 피어스 홀더(412)와, 제1 피어스 펀치(4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버링 다이(411)는 후술하는 제1 버링 펀치(432)가 삽입되는 제1 성형 구멍(411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성형 구멍(411a)은 제1 버링 다이(411)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1 버링 다이(411)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성형 구멍(411a)의 직경은 제1 버링 펀치(432)의 외경과 제1 벽부(211)의 두께의 가산값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버링 다이(411)는 제1 성형 구멍(411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버링 다이(411)는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411b)을 갖는다.
제1 피어스 홀더(412)는 제1 피어스 펀치(413)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412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관통 구멍(412a)은 제1 피어스 홀더(412)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제1 피어스 홀더(412)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피어스 홀더(412)는 제1 버링 다이(411)의 제1 성형 구멍(411a)의 내부에 있어서, 제1 관통 구멍(412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피어스 홀더(412)는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대해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412b)을 갖는다.
제1 피어스 펀치(413)는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피어스 펀치(413)는 제1 피어스 홀더(412)의 제1 관통 구멍(412a)의 내부에 있어서, 제1 피어스 펀치(41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외부 유닛(410)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411), 제1 피어스 홀더(412) 및 제1 피어스 펀치(413)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제1 외부 유닛(410)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411)의 내주면[제1 성형 구멍(411a)의 표면]과, 제1 피어스 홀더(41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피어스 홀더(412)의 내주면[제1 관통 구멍(412a)의 표면]과, 제1 피어스 펀치(413)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피어스 펀치(413)가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제1 피어스 펀치(41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외부 유닛(420)은 제2 버링 다이(421)와, 제2 피어스 홀더(422)와, 제2 피어스 펀치(42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버링 다이(421)는 후술하는 제2 버링 펀치(433)가 삽입되는 제2 성형 구멍(421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성형 구멍(421a)은 제2 버링 다이(421)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2 버링 다이(421)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성형 구멍(421a)의 직경은 제2 버링 펀치(433)의 외경과 제2 벽부(212)의 두께의 가산값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버링 다이(421)는 제2 성형 구멍(421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버링 다이(421)는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421b)을 갖는다.
제2 피어스 홀더(422)는 제2 피어스 펀치(423)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422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관통 구멍(422a)은 제2 피어스 홀더(422)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제2 피어스 홀더(422)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피어스 홀더(422)는 제2 버링 다이(421)의 제2 성형 구멍(421a)의 내부에 있어서, 제2 관통 구멍(422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피어스 홀더(422)는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대해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422b)을 갖는다.
제2 피어스 펀치(423)는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2 피어스 펀치(423)는 제2 피어스 홀더(422)의 제2 관통 구멍(422a)의 내부에 있어서, 제2 피어스 펀치(42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외부 유닛(420)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421), 제2 피어스 홀더(422) 및 제2 피어스 펀치(423)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제2 외부 유닛(420)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421)의 내주면[제2 성형 구멍(421a)의 표면]과, 제2 피어스 홀더(42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피어스 홀더(422)의 내주면[제2 관통 구멍(422a)의 표면]과, 제2 피어스 펀치(423)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2 피어스 펀치(423)가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제2 피어스 펀치(42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내부 유닛(430)은 하우징(431)과, 제1 버링 펀치(432)와, 제2 버링 펀치(433)와, 스토퍼(434)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431)은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를 내포하고, 또한 양 단부면이 개방된 원통 부재이다. 하우징(431)은 그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431)은 스토퍼(434)가 제2 축선(Y)을 따라 통과 가능한 크기로 개방되는 제1 개구부(431a) 및 제2 개구부(431b)를 갖는다.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하우징(431)이 배치되었을 때, 하우징(431)의 한쪽의 단부면이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함과 함께, 하우징(431)의 다른 쪽의 단부면이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하도록, 하우징(431)은 구성되어 있다.
제1 버링 펀치(432)는 제1 피어스 펀치(413)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버링 펀치(432)는 제1 피어스 펀치(413)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432a)을 갖는다. 제1 피어스 구멍(432a)은 제1 버링 펀치(432)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1 버링 펀치(432)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피어스 구멍(432a)의 직경은 제1 피어스 펀치(413)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버링 펀치(432)는 하우징(431)의 내부에 있어서, 제1 피어스 구멍(432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버링 펀치(432)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432b)을 한쪽의 단부면으로서 가짐과 함께,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32c)을 다른 쪽의 단부면으로서 갖는다.
제2 버링 펀치(433)는 제2 피어스 펀치(423)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버링 다이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는 기준점 P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버링 펀치(433)는 제2 피어스 펀치(423)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433a)을 갖는다. 제2 피어스 구멍(433a)은 제2 버링 펀치(433)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2 버링 펀치(433)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피어스 구멍(433a)의 직경은 제2 피어스 펀치(423)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버링 펀치(433)는 하우징(431)의 내부에 있어서, 제2 피어스 구멍(433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버링 펀치(433)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433b)을 한쪽의 단부면으로서 가짐과 함께,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33c)을 다른 쪽의 단부면으로서 갖는다. 제2 버링 펀치(433)의 경사면(433c)의 경사각은 제1 버링 펀치(432)의 경사면(432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스토퍼(434)는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판 부재이다. 이 스토퍼(434)는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해 경사지는 제1 경사면(434a)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해 경사지는 제2 경사면(434b)을 갖는다.
제1 경사면(434a)의 경사각은 제1 버링 펀치(432)의 경사면(432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제2 경사면(434b)의 경사각은 제2 버링 펀치(433)의 경사면(433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즉, 제1 경사면(434a)의 경사각은 제2 경사면(434b)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스토퍼(434)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스토퍼(434)의 제1 경사면(434a)이 제1 버링 펀치(432)의 경사면(432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스토퍼(434)의 제2 경사면(434b)이 제2 버링 펀치(433)의 경사면(433c)과 면 접촉한다.
스토퍼(434)가,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와 면 접촉한 상태에서, 기준점 P보다 깊게 진행되면, 제1 버링 펀치(432)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버링 펀치(433)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버링 펀치(432)의 평탄면(432b)은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제2 버링 펀치(433)의 평탄면(433b)은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434)는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버링 펀치(432)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제2 버링 펀치(433)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31)의 내주면에 있어서, 제1 버링 펀치(432)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제3 축선(Z)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고 또한 제1 축선(X)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제1 홈(43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버링 펀치(432)의 외주면에는 제1 홈(431c)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기부(432d)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홈(431c)의 제1 벽부(211)측의 측벽면과 제1 돌기부(432d) 사이에는 신축 방향이 제1 축선(X)과 평행이 되도록, 제1 스프링(43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31)의 내주면에 있어서, 제2 버링 펀치(433)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제3 축선(Z)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고, 또한 제1 축선(X)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제2 홈(431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버링 펀치(433)의 외주면에는 제2 홈(431d)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돌기부(433d)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홈(431d)의 제2 벽부(212)측의 측벽면과 제2 돌기부(433d) 사이에는, 신축 방향이 제1 축선(X)과 평행이 되도록, 제2 스프링(436)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돌기부(432d)를 갖는 제1 버링 펀치(432)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면, 제1 스프링(435)이 압축되고, 그 결과, 제1 버링 펀치(432)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다. 또한, 제2 돌기부(433d)를 갖는 제2 버링 펀치(433)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하면, 제2 스프링(436)이 압축되고, 그 결과, 제2 버링 펀치(433)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내부 유닛(430)은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에 대해, 각각 개별로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버링 펀치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부 유닛(430)에 있어서, 하우징(431),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내부 유닛(430)에 있어서, 하우징(431)의 내주면과 제1 버링 펀치(43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331)의 내주면과 제2 버링 펀치(433)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가, 각각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이들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링 가공 장치(400)를 사용하여 실현되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공정>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버링 가공 장치(400)의 제1 외부 유닛(410)을 배치하고,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버링 가공 장치(400)의 제2 외부 유닛(420)을 배치하고,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버링 가공 장치(400)의 내부 유닛(430)을 배치한다.
즉, 제1 버링 다이(411), 제1 피어스 홀더(412) 및 제1 피어스 펀치(413)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제1 외부 유닛(410)을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배치한다.
또한, 제2 버링 다이(421), 제2 피어스 홀더(422) 및 제2 피어스 펀치(423)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제2 외부 유닛(420)을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배치한다.
또한, 하우징(431),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1 버링 펀치(433)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내부 유닛(430)의 하우징(431)을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스토퍼(434)는 하우징(43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31)의 한쪽의 단부면은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하우징(431)의 다른 쪽의 단부면은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유닛(410)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411) 및 제1 피어스 홀더(412)가,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맞닿을 때까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버링 다이(411) 및 제1 피어스 홀더(412)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1 버링 다이(411) 및 제1 피어스 홀더(412)가,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맞닿은 후, 상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버링 다이(411) 및 제1 피어스 홀더(412)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제1 버링 다이(411) 및 제1 피어스 홀더(412)를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압접한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유닛(420)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421) 및 제2 피어스 홀더(422)가,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맞닿을 때까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버링 다이(421) 및 제2 피어스 홀더(422)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2 버링 다이(421) 및 제2 피어스 홀더(422)가,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맞닿은 후, 상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버링 다이(421) 및 제2 피어스 홀더(422)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버링 다이(421) 및 제2 피어스 홀더(422)를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압접한다.
또한, 내부 유닛(430)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스토퍼(434)를 기준점 P를 향해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스토퍼(434)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스토퍼(434)의 제1 경사면(434a)이 제1 버링 펀치(432)의 경사면(432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스토퍼(434)의 제2 경사면(434b)이 제2 버링 펀치(433)의 경사면(433c)과 면 접촉하면서, 제1 버링 펀치(432)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버링 펀치(433)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제1 버링 펀치(432)의 평탄면(432b)이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또한 제2 버링 펀치(433)의 평탄면(433b)이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하는 위치까지, 스토퍼(434)를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스토퍼(434)를 더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버링 펀치(432)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과 함께, 제2 버링 펀치(433)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한다.
그 결과, 제1 버링 펀치(432)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되고, 제2 버링 펀치(433)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된다.
이와 같이, 제1 버링 펀치(432)와 제2 버링 펀치(433) 사이에, 스토퍼(434)를 삽입함으로써, 제1 버링 펀치(432)를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시키고 또한 제2 버링 펀치(433)를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시킨다.
이 시점에서, 제1 버링 펀치(432)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우징(431) 내의 제1 스프링(435)이 압축되므로, 제1 버링 펀치(432)에 대해 항상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버링 펀치(433)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우징(431) 내의 제2 스프링(436)이 압축되므로, 제2 버링 펀치(433)에 대해 항상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되게 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제1 공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제1 버링 다이(411)와 하우징(431)이, 제1 벽부(211)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제1 피어스 홀더(412)와 제1 버링 펀치(432)가, 제1 벽부(211)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제2 버링 다이(421)와 하우징(431)이, 제2 벽부(212)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제2 피어스 홀더(422)와 제2 버링 펀치(433)가, 제2 벽부(212)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2 공정>
계속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피어스 펀치(413)를 제1 버링 펀치(432)의 제1 피어스 구멍(432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1 피어스 펀치(41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1 피어스 펀치(413)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하부 구멍(H3)이 제1 벽부(211)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피어스 펀치(423)를 제2 버링 펀치(433)의 제2 피어스 구멍(433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2 피어스 펀치(42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2 피어스 펀치(423)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하부 구멍(H4)이 제2 벽부(212)에 형성된다.
또한, 하부 구멍(H3 및 H4)의 형성은 각각의 타이밍에서 행해도 되고, 또는 동시에 행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버링 펀치(432)와 제2 버링 펀치(433) 사이에, 스토퍼(434)를 보다 깊게 삽입함으로써, 제1 버링 펀치(432)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킴과 함께, 제2 버링 펀치(43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 버링 펀치(432)를 제1 버링 다이(411)의 제1 성형 구멍(411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1 버링 펀치(432)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3)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1 벽부(21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BH3)이 제1 벽부(211)에 형성된다. 버링 가공 구멍(BH3)의 내경은 제1 버링 펀치(432)의 외경과 동일하다. 버링 가공 구멍(BH3)의 주연부에 형성된 상승 벽부의 높이는 제1 피어스 펀치(413)의 외경과 제1 버링 펀치(432)의 외경의 차분에 의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버링 펀치(433)를 제2 버링 다이(421)의 제2 성형 구멍(421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2 버링 펀치(43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4)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BH4)이 제2 벽부(212)에 형성된다. 버링 가공 구멍(BH4)의 내경은 제2 버링 펀치(433)의 외경과 동일하다. 버링 가공 구멍(BH4)의 주연부에 형성된 상승 벽부의 높이는 제2 피어스 펀치(423)의 외경과 제2 버링 펀치(433)의 외경의 차분에 의해 결정된다.
버링 가공 구멍(BH3 및 BH4)의 형성은 제1 버링 펀치(432)와 제2 버링 펀치(433) 사이에, 스토퍼(434)를 보다 깊게 삽입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행해진다.
계속해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434)를 제1 버링 펀치(432)와 제2 버링 펀치(433) 사이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의해,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는 각각, 기준점 P를 향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스프링(435) 및 제2 스프링(436)의 압축에 의해,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스토퍼(434)가 제1 버링 펀치(432)와 제2 버링 펀치(433) 사이로부터 제거되면,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는 각각, 기준점 P를 향해 이동한다.
즉, 스토퍼(434)가 제1 버링 펀치(432)와 제2 버링 펀치(433) 사이로부터 제거되면,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부여된 외력에 의해,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는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제2 공정의 종료 시점에서,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3 및 BH4)이 형성되고, 또한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가,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가 된다.
<제3 공정>
마지막으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1)로부터 제1 외부 유닛(410)을 제거하고, 제2 벽부(212)로부터 제2 외부 유닛(420)을 제거하고,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로부터 내부 유닛(430)을 더 제거하고, 버링 가공은 종료된다.
제1 버링 펀치(432) 및 제2 버링 펀치(433)가,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로부터 내부 유닛(330)[하우징(431)]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피어스 펀치(413)를 사용하여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H3)을 형성한 후, 제1 피어스 펀치(413)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432)를 사용하여,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3)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BH3)을 형성한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피어스 펀치(423)를 사용하여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H4)을 형성한 후, 제2 피어스 펀치(423)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433)를 사용하여,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4)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BH4)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하부 구멍(H3 및 H4)의 중심 축선과 버링 가공 구멍(BH3 및 BH4)의 중심 축선 사이에 발생하는 어긋남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3 및 BH4)을 매우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3)과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4)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벽부(211)의 버링 가공 구멍(BH3)과 제2 벽부(212)의 버링 가공 구멍(H4)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의 각각에 대해,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3 및 BH4)을 고정밀도로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벽부(211)의 외측을 향해 굴곡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을 제1 벽부(211)에 형성함과 함께, 제2 벽부(212)의 외측을 향해 굴곡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을 제2 벽부(212)에 형성하기 위한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도 19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500)의 측단면도이다. 도 19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500)의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19a는 제1 축선(X) 및 제2 축선(Y)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버링 가공 장치(500)를 본 도면이다. 도 19b는 제1 축선(X) 및 제3 축선(Z)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버링 가공 장치(500)를 본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링 가공 장치(500)는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유닛(510)과,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외부 유닛(520)과,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유닛(53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외부 유닛(510)은 제1 버링 다이(511)와, 제1 피어스 홀더(512)와, 제1 피어스 펀치(5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버링 다이(511)는 후술하는 제1 버링 펀치(532)가 삽입되는 제1 성형 구멍(511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성형 구멍(511a)은 제1 버링 다이(511)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1 버링 다이(511)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성형 구멍(511a)의 직경은 제1 버링 펀치(532)의 외경과 제1 벽부(211)의 두께의 가산값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버링 다이(511)는 제1 성형 구멍(511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버링 다이(511)는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511b)을 갖는다.
제1 피어스 홀더(512)는 제1 피어스 펀치(513)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512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관통 구멍(512a)은 제1 피어스 홀더(512)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제1 피어스 홀더(512)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피어스 홀더(512)는 제1 버링 다이(511)의 제1 성형 구멍(511a)의 내부에 있어서, 제1 관통 구멍(512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피어스 홀더(512)는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대해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512b)을 갖는다.
제1 피어스 펀치(513)는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피어스 펀치(513)는 제1 피어스 홀더(512)의 제1 관통 구멍(512a)의 내부에 있어서, 제1 피어스 펀치(51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외부 유닛(510)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511), 제1 피어스 홀더(512) 및 제1 피어스 펀치(513)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제1 외부 유닛(510)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511)의 내주면[제1 성형 구멍(511a)의 표면]과, 제1 피어스 홀더(51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피어스 홀더(512)의 내주면[제1 관통 구멍(512a)의 표면]과, 제1 피어스 펀치(513)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피어스 펀치(513)가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제1 피어스 펀치(51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외부 유닛(520)은 제2 버링 다이(521)와, 제2 피어스 홀더(522)와, 제2 피어스 펀치(52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버링 다이(521)는 후술하는 제2 버링 펀치(533)가 삽입되는 제2 성형 구멍(521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성형 구멍(521a)은 제2 버링 다이(521)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2 버링 다이(521)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성형 구멍(521a)의 직경은 제2 버링 펀치(533)의 외경과 제2 벽부(212)의 두께의 가산값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버링 다이(521)는 제2 성형 구멍(521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버링 다이(521)는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521b)을 갖는다.
제2 피어스 홀더(522)는 제2 피어스 펀치(523)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522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관통 구멍(522a)은 제2 피어스 홀더(522)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제2 피어스 홀더(522)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피어스 홀더(522)는 제2 버링 다이(521)의 제2 성형 구멍(521a)의 내부에 있어서, 제2 관통 구멍(522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피어스 홀더(522)는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대해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522b)을 갖는다.
제2 피어스 펀치(523)는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2 피어스 펀치(523)는 제2 피어스 홀더(522)의 제2 관통 구멍(522a)의 내부에 있어서, 제2 피어스 펀치(52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외부 유닛(520)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521), 제2 피어스 홀더(522) 및 제2 피어스 펀치(523)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제2 외부 유닛(520)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521)의 내주면[제2 성형 구멍(521a)의 표면]과, 제2 피어스 홀더(52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피어스 홀더(522)의 내주면[제2 관통 구멍(522a)의 표면]과, 제2 피어스 펀치(523)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2 피어스 펀치(423)가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제2 피어스 펀치(42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내부 유닛(530)은 하우징(531)과, 제1 버링 펀치(532)와, 제2 버링 펀치(533)와, 스토퍼(534)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531)은 제1 버링 펀치(532) 및 제2 버링 펀치(533)를 내포하고 또한 양 단부면이 개방된 원통 부재이다. 하우징(531)은 그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531)은 스토퍼(534)가 제2 축선(Y)을 따라 통과 가능한 크기로 개방되는 제1 개구부(531a) 및 제2 개구부(531b)를 갖는다.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하우징(531)이 배치되었을 때, 하우징(531)의 한쪽의 단부면이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함과 함께, 하우징(531)의 다른 쪽의 단부면이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하도록, 하우징(531)은 구성되어 있다.
제1 버링 펀치(532)는 제1 피어스 펀치(513)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버링 펀치(532)는 제1 피어스 펀치(513)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532a)을 갖는다. 제1 피어스 구멍(532a)은 저부를 갖고 또한 제1 버링 펀치(532)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피어스 구멍(532a)의 직경은 제1 피어스 펀치(513)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버링 펀치(532)는 하우징(531)의 내부에 있어서, 제1 피어스 구멍(532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버링 펀치(532)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532b)을 한쪽의 단부면으로서 가짐과 함께,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32c)을 다른 쪽의 단부면으로서 갖는다.
제2 버링 펀치(533)는 제2 피어스 펀치(523)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버링 다이 펀치(532) 및 제2 버링 펀치(533)는 기준점 P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버링 펀치(533)는 제2 피어스 펀치(523)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533a)을 갖는다. 제2 피어스 구멍(533a)은 저부를 갖고 또한 제2 버링 펀치(533)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피어스 구멍(533a)의 직경은 제2 피어스 펀치(523)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버링 펀치(533)는 하우징(531)의 내부에 있어서, 제2 피어스 구멍(533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버링 펀치(533)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533b)을 한쪽의 단부면으로서 가짐과 함께,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33c)을 다른 쪽의 단부면으로서 갖는다. 제2 버링 펀치(533)의 경사면(533c)의 경사각은 제1 버링 펀치(532)의 경사면(532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스토퍼(534)는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판 부재이다. 이 스토퍼(534)는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해 경사지는 제1 경사면(534a)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해 경사지는 제2 경사면(534b)을 갖는다.
제1 경사면(534a)의 경사각은 제1 버링 펀치(532)의 경사면(532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제2 경사면(534b)의 경사각은 제2 버링 펀치(533)의 경사면(533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즉, 제1 경사면(534a)의 경사각은 제2 경사면(534b)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스토퍼(534)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스토퍼(534)의 제1 경사면(534a)이 제1 버링 펀치(532)의 경사면(532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스토퍼(534)의 제2 경사면(534b)이 제2 버링 펀치(533)의 경사면(533c)과 면 접촉한다.
스토퍼(534)가 제1 버링 펀치(532) 및 제2 버링 펀치(533)와 면 접촉한 상태에서, 기준점 P보다 깊게 진행되면, 제1 버링 펀치(532)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버링 펀치(533)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버링 펀치(532)의 평탄면(532b)은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제2 버링 펀치(533)의 평탄면(533b)은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534)는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버링 펀치(532)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제2 버링 펀치(533)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스토퍼(534)는 제1 버링 펀치(532)가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되고, 또한 제2 버링 펀치(533)가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된 상태에서 정지했을 때, 스토퍼(534)로부터 분리하여 제1 버링 펀치(532) 및 제2 버링 펀치(533)와 함께 제1 축선(X)을 따라 하우징(531) 내를 이동 가능한 분리 블록(534c)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부 유닛(530)에 있어서, 하우징(531), 제1 버링 펀치(532) 및 제2 버링 펀치(533)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내부 유닛(530)에 있어서, 하우징(531)의 내주면과 제1 버링 펀치(53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531)의 내주면과 제2 버링 펀치(533)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버링 펀치(532) 및 제2 버링 펀치(533)가, 각각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이들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링 가공 장치(500)를 사용하여 실현되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공정>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버링 가공 장치(500)의 제1 외부 유닛(510)을 배치하고,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버링 가공 장치(500)의 제2 외부 유닛(520)을 배치하고,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버링 가공 장치(500)의 내부 유닛(530)을 배치한다.
즉, 제1 버링 다이(511), 제1 피어스 홀더(512) 및 제1 피어스 펀치(513)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제1 외부 유닛(510)을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배치한다.
또한, 제2 버링 다이(521), 제2 피어스 홀더(522) 및 제2 피어스 펀치(523)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제2 외부 유닛(520)을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배치한다.
또한, 하우징(531), 제1 버링 펀치(532) 및 제1 버링 펀치(533)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내부 유닛(530)의 하우징(531)을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스토퍼(534)는 하우징(53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31)의 한쪽의 단부면은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하우징(531)의 다른 쪽의 단부면은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유닛(510)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511) 및 제1 피어스 홀더(512)가,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맞닿을 때까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버링 다이(511) 및 제1 피어스 홀더(512)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1 버링 다이(511) 및 제1 피어스 홀더(512)가,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맞닿은 후, 상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버링 다이(511) 및 제1 피어스 홀더(512)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제1 버링 다이(511) 및 제1 피어스 홀더(512)를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압접한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유닛(520)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521) 및 제2 피어스 홀더(522)가,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맞닿을 때까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버링 다이(521) 및 제2 피어스 홀더(522)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2 버링 다이(521) 및 제2 피어스 홀더(522)가,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맞닿은 후, 상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버링 다이(521) 및 제2 피어스 홀더(522)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버링 다이(521) 및 제2 피어스 홀더(522)를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압접한다.
또한, 내부 유닛(530)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스토퍼(534)를 기준점 P를 향해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스토퍼(534)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스토퍼(534)의 제1 경사면(534a)이 제1 버링 펀치(532)의 경사면(532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스토퍼(534)의 제2 경사면(534b)이 제2 버링 펀치(533)의 경사면(533c)과 면 접촉하면서, 제1 버링 펀치(532)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버링 펀치(533)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제1 버링 펀치(532)의 평탄면(532b)이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또한 제2 버링 펀치(533)의 평탄면(533b)이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하는 위치까지, 스토퍼(534)를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스토퍼(534)를 더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버링 펀치(532)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과 함께, 제2 버링 펀치(533)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한다.
그 결과, 제1 버링 펀치(532)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되고, 제2 버링 펀치(533)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된다.
이와 같이, 제1 버링 펀치(532)와 제2 버링 펀치(533) 사이에, 스토퍼(534)를 삽입함으로써, 제1 버링 펀치(532)를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시키고 또한 제2 버링 펀치(533)를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시킨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제1 공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제1 버링 다이(511)와 하우징(531)이, 제1 벽부(211)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제1 피어스 홀더(512)와 제1 버링 펀치(532)가, 제1 벽부(211)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제2 버링 다이(521)와 하우징(531)이, 제2 벽부(212)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제2 피어스 홀더(522)와 제2 버링 펀치(533)가, 제2 벽부(212)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2 공정>
계속해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피어스 펀치(513)를 제1 버링 펀치(532)의 제1 피어스 구멍(532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1 피어스 펀치(51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1 피어스 펀치(513)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하부 구멍(H5)이 제1 벽부(211)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피어스 펀치(523)를 제2 버링 펀치(533)의 제2 피어스 구멍(533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2 피어스 펀치(52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2 피어스 펀치(523)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하부 구멍(H6)이 제2 벽부(212)에 형성된다.
또한, 하부 구멍(H5 및 H6)의 형성은 각각의 타이밍에서 행해도 되고, 또는 동시에 행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피어스 펀치(523)의 선단을 제2 버링 펀치(533)의 제2 피어스 구멍(533a)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제2 피어스 펀치(52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제2 버링 펀치(533)와, 스토퍼(534)에 설치된 분리 가능한 분리 블록(534c)과, 제1 버링 펀치(532)를 동시에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 버링 펀치(532)를 제1 버링 다이(511)의 제1 성형 구멍(511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1 버링 펀치(532)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5)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1 벽부(21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BH5)이 제1 벽부(211)에 형성된다. 버링 가공 구멍(BH5)의 내경은 제1 버링 펀치(532)의 외경과 동일하다. 버링 가공 구멍(BH5)의 주연부에 형성된 상승 벽부의 높이는 제1 피어스 펀치(513)의 외경과 제1 버링 펀치(532)의 외경의 차분에 의해 결정된다.
계속해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피어스 펀치(513)의 선단을 제1 버링 펀치(532)의 제1 피어스 구멍(532a)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제1 피어스 펀치(51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버링 펀치(532)와, 분리 블록(534c)과, 제2 버링 펀치(533)를 동시에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2 버링 펀치(533)를 제2 버링 다이(521)의 제2 성형 구멍(521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2 버링 펀치(53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6)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BH6)이 제2 벽부(212)에 형성된다. 버링 가공 구멍(BH6)의 내경은 제2 버링 펀치(533)의 외경과 동일하다. 버링 가공 구멍(BH6)의 주연부에 형성된 상승 벽부의 높이는 제2 피어스 펀치(523)의 외경과 제2 버링 펀치(533)의 외경의 차분에 의해 결정된다.
계속해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피어스 펀치(523)의 선단을 제2 버링 펀치(533)의 제2 피어스 구멍(533a)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제2 피어스 펀치(52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분리 블록(534c)을 스토퍼(534) 내로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2 공정의 종료 시점에서,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5 및 BH6)이 형성되고, 또한 제1 버링 펀치(532) 및 제2 버링 펀치(533)의 전체가, 하우징(531)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가 된다.
<제3 공정>
마지막으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1)로부터 제1 외부 유닛(510)을 제거하고, 제2 벽부(212)로부터 제2 외부 유닛(520)을 제거하고,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로부터 내부 유닛(530)을 더 제거하고, 버링 가공은 종료된다.
제1 버링 펀치(532) 및 제2 버링 펀치(533)의 전체가, 하우징(531)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로부터 내부 유닛(530)[하우징(531)]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피어스 펀치(513)를 사용하여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H5)을 형성한 후, 제1 피어스 펀치(513)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532)를 사용하여,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5)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BH5)을 형성한다.
또한,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피어스 펀치(523)를 사용하여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H6)을 형성한 후, 제2 피어스 펀치(523)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533)를 사용하여,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6)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BH6)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하부 구멍(H5 및 H6)의 중심 축선과 버링 가공 구멍(BH5 및 BH6)의 중심 축선 사이에 발생하는 어긋남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5 및 BH6)을 매우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5)과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6)을 동시에 형성할 수는 있지만, 제1 벽부(211)의 버링 가공 구멍(BH5)과 제2 벽부(212)의 버링 가공 구멍(H6)을 동시에 형성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5)과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6)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본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버링 펀치(532) 및 제2 버링 펀치(533)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버링 펀치 복귀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내부 유닛(530)을 소형화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제3 실시 형태는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스페이스가 작은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의 각각에 대해,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5 및 BH6)을 고정밀도로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 유닛(53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벽부(211)의 내측을 향해 굴곡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을 제1 벽부(211)에 형성함과 함께, 제2 벽부(212)의 외측을 향해 굴곡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을 제2 벽부(212)에 형성하기 위한 버링 가공 장치 및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a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600)의 측단면도이다. 도 26b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장치(600)의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26a는 제1 축선(X) 및 제2 축선(Y)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버링 가공 장치(600)를 본 도면이다. 도 26b는 제1 축선(X) 및 제3 축선(Z)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버링 가공 장치(600)를 본 도면이다.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링 가공 장치(600)는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유닛(610)과,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유닛(620)과,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외부 유닛(63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외부 유닛(610)은 제1 버링 홀더(611)와, 제1 피어스 펀치(612)와, 제1 버링 펀치(6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버링 홀더(611)는 제1 버링 펀치(613)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611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관통 구멍(611a)은 제1 버링 홀더(611)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제1 버링 홀더(611)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버링 홀더(611)는 제1 관통 구멍(611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버링 홀더(611)는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대해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611b)을 갖는다.
제1 피어스 펀치(612)는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버링 펀치(613)는 제1 피어스 펀치(612)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제1 벽부(211)에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1 피어스 펀치(612)는 제1 버링 펀치(613)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면서, 제1 버링 펀치(613)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버링 펀치(613)는 제1 버링 홀더(611)의 제1 관통 구멍(611a)의 내부에 있어서, 제1 버링 펀치(61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외부 유닛(610)에 있어서, 제1 버링 홀더(611), 제1 피어스 펀치(612) 및 제1 버링 펀치(613)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제1 외부 유닛(610)에 있어서, 제1 버링 홀더(611)의 내주면[제1 관통 구멍(611a)의 표면]과, 제1 버링 펀치(613)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피어스 펀치(612) 및 제1 버링 펀치(613)가 일체가 되어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제1 피어스 펀치(612) 및 제1 버링 펀치(613)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내부 유닛(620)은 하우징(621)과, 제1 버링 다이(622)와, 제1 피어스 다이(623)와, 제2 버링 홀더(624)와, 제2 피어스 펀치(625)와, 제2 버링 펀치(626)와, 스토퍼(627)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621)은 제1 버링 다이(622), 제1 피어스 다이(623), 제2 버링 홀더(624), 제2 피어스 펀치(625) 및 제2 버링 펀치(626)를 내포하고, 또한 양 단부면이 개방된 원통 부재이다. 하우징(621)은 그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621)은 스토퍼(627)가 제2 축선(Y)을 따라 통과 가능한 크기로 개방되는 제1 개구부(621a) 및 제2 개구부(621b)를 갖는다.
제1 버링 다이(622)는 제1 버링 펀치(613)가 삽입되는 제1 성형 구멍(622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성형 구멍(622a)은 제1 버링 다이(622)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1 버링 다이(622)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성형 구멍(622a)의 직경은 제1 버링 펀치(613)의 외경과 제1 벽부(211)의 두께의 가산값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버링 다이(622)는 하우징(621)의 내부에 있어서, 제1 성형 구멍(622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버링 다이(622)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622b)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622c)을 갖는다.
제1 피어스 다이(623)는 제1 피어스 펀치(612)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623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1 피어스 구멍(623a)은 저부를 갖고 또한 제1 피어스 다이(623)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1 피어스 구멍(623a)의 직경은 제1 피어스 펀치(612)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피어스 다이(623)는 제1 버링 다이(622)의 제1 성형 구멍(622a)의 내부에 있어서, 제1 피어스 구멍(623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피어스 다이(623)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623b)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623c)을 갖는다. 제1 피어스 다이(623)의 경사면(623c)의 경사각은 제1 버링 다이(622)의 경사면(622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제2 버링 홀더(624)는 제2 버링 펀치(626)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624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관통 구멍(624a)은 제2 버링 홀더(624)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2 버링 홀더(624)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버링 홀더(624)는 하우징(621)의 내부에 있어서, 제2 관통 구멍(624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버링 홀더(624)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624b)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624c)을 갖는다.
제2 피어스 펀치(625)는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2 버링 펀치(626)는 제2 피어스 펀치(625)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제2 벽부(212)에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이다.
제2 피어스 펀치(625)는 제2 버링 펀치(626)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면서, 제2 버링 펀치(626)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버링 펀치(626)는 제2 버링 홀더(624)의 제2 관통 구멍(624a)의 내부에 있어서, 제2 버링 펀치(626)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피어스 펀치(625)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625a)을 갖는다. 제2 버링 펀치(626)는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626a)을 갖는다.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2 버링 홀더(624)는 기준점 P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피어스 다이(623) 및 제2 버링 펀치(626)는 기준점 P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버링 다이(622)의 내부[제1 성형 구멍(622a)의 내부]에, 제1 피어스 다이(623)의 전체가 내포되었을 때, 제1 버링 다이(622)의 평탄면(622b)과 제1 피어스 다이(623)의 평탄면(623b)이 동일 평면이 되고, 제1 버링 다이(622)의 경사면(622c)과 제1 피어스 다이(623)의 경사면(623c)이 동일 평면이 된다.
제2 버링 홀더(624)의 내부[제2 관통 구멍(624a)의 내부]에, 제2 피어스 펀치(625) 및 제2 버링 펀치(626)의 전체가 내포되었을 때, 제2 버링 홀더(624)의 평탄면(624b)과 제2 피어스 펀치(625)의 평탄면(625a)이 동일 평면이 되고, 제2 버링 홀더(624)의 경사면(624c)과 제2 버링 펀치(626)의 경사면(626a)이 동일 평면이 된다.
제1 버링 다이(622)의 경사면(622c)[제1 피어스 다이(623)의 경사면(623c)]의 경사각은 제2 버링 홀더(624)의 경사면(624c)[제2 버링 펀치(626)의 경사면(626a)]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스토퍼(627)는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판 부재이다. 이 스토퍼(627)는 제2 축선(Y)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해 경사지는 제1 경사면(627a)과, 제2 축선(Y)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해 경사지는 제2 경사면(627b)을 갖는다.
제1 경사면(627a)의 경사각은 제1 버링 다이(622)의 경사면(622c)[제1 피어스 다이(623)의 경사면(623c)]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제2 경사면(627b)의 경사각은 제2 버링 홀더(624)의 경사면(624c)[제2 버링 펀치(626)의 경사면(626a)]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즉, 제1 경사면(627a)의 경사각은 제2 경사면(627b)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스토퍼(627)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스토퍼(627)의 제1 경사면(627a)이, 제1 버링 다이(622)의 경사면(622c) 및 제1 피어스 다이(623)의 경사면(623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스토퍼(627)의 제2 경사면(627b)이, 제2 버링 홀더(624)의 경사면(624c) 및 제2 버링 펀치(626)의 경사면(626a)과 면 접촉한다.
스토퍼(627)가, 제1 버링 다이(622), 제1 피어스 다이(623), 제2 버링 홀더(624) 및 제2 버링 펀치(626)와 면 접촉한 상태에서, 기준점 P보다 깊게 진행되면,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1 피어스 다이(623)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버링 홀더(624) 및 제2 버링 펀치(626)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버링 다이(622)의 평탄면(622b) 및 제1 피어스 다이(623)의 평탄면(623b)은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제2 버링 홀더(624)의 평탄면(624b) 및 제2 피어스 펀치(625)의 평탄면(625a)은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627)는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1 피어스 다이(623)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제2 버링 홀더(624) 및 제2 버링 펀치(625)[및 제2 피어스 펀치(626)]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스토퍼(627)는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1 피어스 다이(623)가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되고, 또한 제2 버링 홀더(624) 및 제2 버링 펀치(626)의 선단에 설치된 제2 피어스 펀치(625)가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된 상태에서 정지했을 때, 스토퍼(627)로부터 분리하여 제1 피어스 다이(623) 및 제2 버링 펀치(626)와 함께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한 분리 블록(627c)을 갖는다.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621)의 내주면에 있어서, 제1 버링 다이(622)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제3 축선(Z)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고 또한 제1 축선(X)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홈(62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버링 다이(622)의 외주면에는 홈(621c)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622d)가 설치되어 있다. 홈(621c)의 제1 벽부(211)측의 측벽면과 돌기부(622d) 사이에는 신축 방향이 제1 축선(X)과 평행이 되도록, 스프링(628)이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622d)를 갖는 제1 버링 다이(622)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면, 스프링(628)이 압축되고, 그 결과, 제1 버링 다이(622)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내부 유닛(620)은 제1 버링 다이(622)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다이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부 유닛(620)에 있어서, 하우징(621), 제1 버링 다이(622), 제1 피어스 다이(623), 제2 버링 홀더(624), 제2 피어스 펀치(625) 및 제2 버링 펀치(626)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내부 유닛(620)에 있어서, 하우징(621)의 내주면과 제1 버링 다이(62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621)의 내주면과 제2 버링 홀더(624)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버링 다이(622)의 내주면[제1 성형 구멍(622a)의 표면]과 제1 피어스 다이(623)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버링 홀더(624)의 내주면[제2 관통 구멍(624a)의 표면]과 제2 버링 펀치(626)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버링 다이(622), 제1 피어스 다이(623), 제2 버링 홀더(624), 제2 피어스 펀치(625) 및 제2 버링 펀치(626)가, 각각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할 때에, 이들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외부 유닛(630)은 제2 버링 다이(631)와, 제2 피어스 다이(63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버링 다이(631)는 제2 버링 펀치(626)가 삽입되는 제2 성형 구멍(631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성형 구멍(631a)은 제2 버링 다이(631)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2 버링 다이(631)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성형 구멍(631a)의 직경은 제2 버링 펀치(626)의 외경과 제2 벽부(212)의 두께의 가산값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버링 다이(631)는 제2 성형 구멍(631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버링 다이(631)는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631b)을 갖는다.
제2 피어스 다이(632)는 제2 피어스 펀치(625)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632a)을 갖는 원형의 후판 부재이다. 제2 피어스 구멍(632a)은 제2 피어스 다이(632)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제2 피어스 다이(632)와 중심 축선을 동일하게 하는 원 구멍이다. 제2 피어스 구멍(632a)의 직경은 제2 피어스 펀치(625)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피어스 다이(632)는 제2 버링 다이(631)의 제2 성형 구멍(631a)의 내부에 있어서, 제2 피어스 구멍(632a)의 중심 축선이 제1 축선(X)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제1 축선(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피어스 다이(632)는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과 면 접촉 가능한 평탄면(632b)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2 외부 유닛(630)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631) 및 제2 피어스 다이(632)는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있다. 또한, 제2 외부 유닛(630)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631)의 내주면[제2 성형 구멍(631a)의 표면]과 제2 피어스 다이(632)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링 가공 장치(600)를 사용하여 실현되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버링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공정>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버링 가공 장치(600)의 제1 외부 유닛(610)을 배치하고,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버링 가공 장치(600)의 내부 유닛(620)을 배치하고,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버링 가공 장치(600)의 제2 외부 유닛(630)을 배치한다.
즉, 제1 버링 홀더(611), 제1 피어스 펀치(612) 및 제1 버링 펀치(613)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제1 외부 유닛(610)을 제1 벽부(211)의 외측에 배치한다.
또한, 하우징(621), 제1 버링 다이(622), 제1 피어스 다이(623), 제2 버링 홀더(624), 제2 피어스 펀치(625) 및 제2 버링 펀치(626)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내부 유닛(620)의 하우징(621)을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에 배치한다. 이 시점에서는, 스토퍼(627)는 하우징(62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버링 다이(631) 및 제2 피어스 다이(632)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상태에서, 제2 외부 유닛(630)을 제2 벽부(212)의 외측에 배치한다.
계속해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유닛(610)에 있어서, 제1 버링 홀더(611)가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맞닿을 때까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버링 홀더(611)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1 버링 홀더(611)가,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맞닿은 후, 상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버링 홀더(611)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제1 버링 홀더(611)를 제1 벽부(211)의 외벽면(211a)에 압접한다.
한편, 제2 외부 유닛(630)에 있어서, 제2 버링 다이(631) 및 제2 피어스 다이(632)가,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맞닿을 때까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버링 다이(631) 및 제2 피어스 다이(632)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2 버링 다이(631) 및 제2 피어스 다이(632)가,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맞닿은 후, 상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2 버링 다이(631) 및 제2 피어스 다이(632)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버링 다이(631) 및 제2 피어스 다이(632)를 제2 벽부(212)의 외벽면(212a)에 압접한다.
또한, 내부 유닛(620)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스토퍼(627)를 기준점 P를 향해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스토퍼(627)가 제2 축선(Y)을 따라 기준점 P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스토퍼(627)의 제1 경사면(627a)이 제1 버링 다이(622)의 경사면(622c) 및 제1 피어스 다이(623)의 경사면(623c)과 면 접촉함과 함께, 스토퍼(627)의 제2 경사면(627b)이 제2 버링 홀더(624)의 경사면(624c) 및 제2 버링 펀치(626)의 경사면(626a)과 면 접촉하면서,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1 피어스 다이(623)가 제1 벽부(211)를 향해 이동하고, 제2 버링 홀더(624) 및 제2 버링 펀치(626)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한다.
제1 버링 다이(622)의 평탄면(622b) 및 제1 피어스 다이(623)의 평탄면(623b)이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면 접촉하고, 또한 제2 버링 홀더(624)의 평탄면(624b) 및 제2 피어스 펀치(625)의 평탄면(625a)이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면 접촉하는 위치까지, 스토퍼(627)를 제2 축선(Y)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스토퍼(627)를 더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2 피어스 다이(623)에 대해 제1 벽부(211)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과 함께, 제2 버링 홀더(624) 및 제2 버링 펀치(626)[제2 피어스 펀치(625)]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한다.
그 결과,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2 피어스 다이(623)는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되고, 제2 버링 홀더(624) 및 제2 피어스 펀치(625)는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된다.
이와 같이, 제1 버링 다이(622)와 제2 버링 홀더(624) 사이[제1 피어스 다이(623)와 제2 버링 펀치(626) 사이]에, 스토퍼(627)를 삽입함으로써,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2 피어스 다이(623)를 제1 벽부(211)의 내벽면(211b)에 압접시키고, 또한 제2 버링 홀더(624) 및 제2 피어스 펀치(625)를 제2 벽부(212)의 내벽면(212b)에 압접시킨다.
이 시점에서, 제1 버링 다이(622)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우징(621) 내의 스프링(628)이 압축되므로, 제1 버링 다이(622)에 대해 항상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되게 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제1 공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제1 버링 홀더(611)와 제1 버링 다이(622)가, 제1 벽부(211)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제2 버링 홀더(624)와 제2 버링 다이(631)가, 제2 벽부(212)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2 공정>
계속해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피어스 펀치(612)를 제1 피어스 다이(623)의 제1 피어스 구멍(623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1 버링 펀치(613)와 함께 제1 피어스 펀치(612)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1 피어스 펀치(61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하부 구멍(H7)이 제1 벽부(211)에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버링 펀치(613)를 제1 버링 다이(622)의 제1 성형 구멍(622a) 내에 삽입시키도록, 제1 버링 펀치(61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7)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1 벽부(2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BH7)이 제1 벽부(211)에 형성된다. 버링 가공 구멍(BH7)의 내경은 제1 버링 펀치(613)의 외경과 동일하다. 버링 가공 구멍(BH7)의 주연부에 형성된 상승 벽부의 높이는 제1 피어스 펀치(612)의 외경과 제1 버링 펀치(613)의 외경의 차분에 의해 결정된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1)에 버링 가공 구멍(BH7)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이 형성된다.
즉, 버링 가공 구멍(BH7)이 형성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피어스 펀치(612)의 선단이 제1 피어스 구멍(623a)의 저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제1 버링 펀치(613)가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하므로, 제1 피어스 다이(623)와, 스토퍼(627)에 설치된 분리 가능한 분리 블록(627c)과, 제2 피어스 펀치(625)가 설치된 제2 버링 펀치(626)가, 동시에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피어스 펀치(625)가, 제2 피어스 다이(632)의 제2 피어스 구멍(632a) 내에 삽입되도록,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버링 가공 구멍(BH7)과 동시에,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2 피어스 펀치(625)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하부 구멍(H8)이 제2 벽부(212)에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피어스 펀치(612)의 선단이 제1 피어스 구멍(623a)의 저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제1 버링 펀치(613)를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를 향해 더욱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피어스 다이(623)와, 분리 블록(627c)과, 제2 버링 펀치(626)가, 동시에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를 향해 더욱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버링 펀치(626)가, 제2 버링 다이(631)의 제2 성형 구멍(631a) 내에 삽입되도록, 제1 축선(X)을 따라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8)의 주연부가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굴곡되어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또한 제2 벽부(212)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는 버링 가공 구멍(BH8)이 제2 벽부(212)에 형성된다. 버링 가공 구멍(BH8)의 내경은 제2 버링 펀치(626)의 외경과 동일하다. 버링 가공 구멍(BH8)의 주연부에 형성된 상승 벽부의 높이는 제2 피어스 펀치(625)의 외경과 제2 버링 펀치(626)의 외경의 차분에 의해 결정된다.
계속해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피어스 다이(623), 분리 블록(627c) 및 제2 버링 펀치(626)를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 블록(627c)을 스토퍼(627) 내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2 피어스 펀치(625)의 선단을, 도시하지 않은 막대 형상 부재를 사용하여 제1 벽부(211)를 향해 누름으로써, 제1 피어스 다이(623), 분리 블록(627c) 및 제2 버링 펀치(626)를 제2 벽부(212)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블록(627c)을 스토퍼(627) 내로 복귀시킨 후, 스토퍼(627)를 제1 버링 다이(622)와 제2 버링 홀더(624) 사이[제1 피어스 다이(623)와 제2 버링 펀치(626) 사이]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의해,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1 피어스 다이(623)는 각각, 기준점 P를 향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628)의 압축에 의해, 제1 버링 다이(622)에 대해 기준점 P를 향하는 외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스토퍼(627)가 제1 버링 다이(622)와 제2 버링 홀더(624) 사이로부터 제거되면, 제1 버링 다이(622)는 기준점 P를 향해 이동한다.
즉, 스토퍼(627)가 제1 버링 다이(622)와 제2 버링 홀더(624) 사이로부터 제거되면, 제1 버링 다이(622)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부여된 외력에 의해, 제1 버링 다이(622)는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제1 버링 펀치(613)를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제1 피어스 다이(623)에 대해 제2 벽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제1 피어스 다이(623)를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공정의 종료 시점에서,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7 및 BH8)이 형성되고, 또한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1 피어스 다이(623)가,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가 된다. 즉,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1 피어스 다이(623)의 전체가, 하우징(62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제3 공정>
마지막으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1)로부터 제1 외부 유닛(610)을 제거하고,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로부터 내부 유닛(620)을 제거하고, 제2 벽부(212)로부터 제2 외부 유닛(630)을 더 제거하고, 버링 가공은 종료된다.
버링 가공 구멍(BH7)은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승 벽부를 갖고 있지만, 제1 버링 다이(622) 및 제1 피어스 다이(623)의 전체가, 하우징(62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제1 벽부(211)와 제2 벽부(212) 사이로부터 내부 유닛(620)[하우징(621)]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피어스 펀치(612)를 사용하여 제1 벽부(211)에 하부 구멍(H7)을 형성한 후, 제1 피어스 펀치(612)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613)를 사용하여,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7)의 주연부를 제1 벽부(211)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BH7)을 형성한다.
또한,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피어스 펀치(625)를 사용하여 제2 벽부(212)에 하부 구멍(H8)을 형성한 후, 제2 피어스 펀치(625)와 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626)를 사용하여,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8)의 주연부를 제2 벽부(212)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버링 가공 구멍(BH8)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하부 구멍(H7 및 H8)의 중심 축선과 버링 가공 구멍(BH7 및 BH8)의 중심 축선 사이에 발생하는 어긋남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7 및 BH8)을 매우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버링 펀치(613)를 제1 벽부(211)의 외측으로부터 제2 벽부(212)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1 벽부(211)의 하부 구멍(H7), 제1 벽부(211)의 버링 가공 구멍(BH7), 제2 벽부(212)의 하부 구멍(H8) 및 제2 벽부(212)의 버링 가공 구멍(BH8)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의 각각에 대해,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BH7 및 BH8)을 고정밀도로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래터럴 링크(1)에 설치된 한 쌍의 부시 보유 지지 벽부(21)[제1 벽부(211) 및 제2 벽부(212)]에 대해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래터럴 링크(1)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벽부 및 제2 벽부를 갖는 것이면, 어떤 가공 대상물에든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동일 축선[제1 축선(X)]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고정밀도로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충분히 구비하고 있다.
1 : 래터럴 링크
211 : 제1 벽부
212 : 제2 벽부
300 : 버링 가공 장치
310 : 제1 외부 유닛
311 : 제1 피어스 펀치
312 : 제1 버링 펀치
313 : 제1 버링 홀더
320 : 제2 외부 유닛
321 : 제1 피어스 펀치
322 : 제1 버링 펀치
323 : 제1 버링 홀더
330 : 내부 유닛
331 : 하우징
332 : 제1 버링 다이
333 : 제1 피어스 다이
334 : 제2 버링 다이
335 : 제2 피어스 다이
336 : 제1 스토퍼
337 : 제2 스토퍼
400 : 버링 가공 장치
410 : 제1 외부 유닛
411 : 제1 버링 다이
412 : 제1 피어스 홀더
413 : 제1 피어스 펀치
420 : 제2 외부 유닛
421 : 제2 버링 다이
422 : 제2 피어스 홀더
423 : 제2 피어스 펀치
430 : 내부 유닛
431 : 하우징
432 : 제1 버링 펀치
433 : 제2 버링 펀치
434 : 스토퍼
500 : 버링 가공 장치
510 : 제1 외부 유닛
511 : 제1 버링 다이
512 : 제1 피어스 홀더
513 : 제1 피어스 펀치
520 : 제2 외부 유닛
521 : 제2 버링 다이
522 : 제2 피어스 홀더
523 : 제2 피어스 펀치
530 : 내부 유닛
531 : 하우징
532 : 제1 버링 펀치
533 : 제2 버링 펀치
534 : 스토퍼
534c : 분리 블록
600 : 버링 가공 장치
610 : 제1 외부 유닛
611 : 제1 버링 홀더
612 : 제1 피어스 펀치
613 : 제1 버링 펀치
620 : 내부 유닛
621 : 하우징
622 : 제1 버링 다이
623 : 제1 피어스 다이
624 : 제2 버링 홀더
625 : 제2 피어스 펀치
626 : 제2 버링 펀치
627 : 스토퍼
627c : 분리 블록
X : 제1 축선
Y : 제2 축선
Z : 제3 축선
H1 내지 H8 : 하부 구멍
BH1 내지 BH8 : 버링 가공 구멍

Claims (25)

  1.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버링 가공 방법이며,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버링 가공 장치의 내부 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에 상기 버링 가공 장치의 제1 외부 유닛을 배치하고, 또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에 상기 버링 가공 장치의 제2 외부 유닛을 배치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내부 유닛, 상기 제1 외부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축 부재이며 또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어스 펀치 및 버링 펀치 중, 먼저 상기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상기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로부터, 상기 내부 유닛, 상기 제1 외부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유닛을 제거하는 제3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1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2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홀더와, 상기 제1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1 버링 홀더 및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관통 구멍,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및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홀더와, 상기 제2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2 버링 홀더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관통 구멍, 상기 제2 피어스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제1 성형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 피어스 구멍을 갖는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및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제2 성형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2 피어스 구멍을 갖는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및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2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양쪽의 형성 후에,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내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다이 사이에, 제1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 시킴과 함께,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다이 사이에, 제2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2 스토퍼를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다이 사이로부터 제거한 후에,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켜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켜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양쪽의 형성 후에, 상기 제1 스토퍼를 상기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다이 사이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1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 후,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2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 후,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1 성형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1 피어스 홀더와,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1 피어스 홀더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상기 제1 관통 구멍 및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2 성형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피어스 홀더와,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2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피어스 홀더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상기 제2 관통 구멍 및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내포하고 또한 양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하우징을, 상기 제1 버링 펀치, 상기 제2 버링 펀치 및 상기 하우징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배치한 후,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함과 함께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버링 펀치에 형성된 제1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버링 펀치에 설치된 제2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양쪽의 형성 후에,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내부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 사이에,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 사이에, 상기 스토퍼를 보다 깊게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양쪽의 형성 후에,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 사이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내부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 사이에,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및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각각에 상기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상기 스토퍼에 설치된 분리 가능한 분리 블록과,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동시에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스토퍼에 설치된 상기 분리 블록과,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동시에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분리 블록을 상기 스토퍼 내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1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1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제2 피어스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한 후,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제2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홀더와, 상기 제1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1 버링 홀더를, 상기 제1 관통 구멍,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제1 성형 구멍을 갖는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 피어스 구멍을 갖는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및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내부 유닛에 설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홀더와, 상기 제2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 중, 상기 제2 버링 홀더를, 상기 제2 관통 구멍, 상기 제2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에 설치된, 제2 성형 구멍을 갖는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2 피어스 구멍을 갖는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및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함께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2 피어스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함께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더욱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성형 구멍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의 다른 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벽부에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내부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홀더 사이에,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그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홀더 및 그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내벽면에 압접시키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벽부에 상기 하부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선단을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의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스토퍼에 설치된 분리 가능한 분리 블록과,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설치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동시에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버링 가공 구멍과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을 동시에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피어스 다이, 상기 분리 블록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분리 블록을 상기 스토퍼 내로 복귀시킨 후,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홀더 사이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1 버링 다이에 대해 상기 제2 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앙 근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방법.
  12. 서로 대향하는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각각에 대해,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버링 가공 장치이며,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유닛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유닛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외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유닛, 상기 제1 외부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는 축 부재이며 또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어스 펀치 및 버링 펀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은,
    상기 제1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1 버링 펀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은,
    상기 제2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2 버링 펀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은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버링 펀치는 상기 제1 버링 홀더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는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은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버링 펀치는 상기 제2 버링 홀더의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는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제1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제1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버링 다이의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제2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버링 다이의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내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피어스 다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심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는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피어스 다이 및 상기 제2 피어스 다이는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기준점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축선에 직교하는 제2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다이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다이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다이에 대해, 각각 개별로 상기 기준점을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다이 복귀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은 상기 제1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1 피어스 펀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은 상기 제2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2 피어스 펀치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2 버링 펀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은,
    상기 제1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상기 제1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버링 다이의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피어스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는 상기 제1 피어스 홀더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은,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상기 제2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버링 다이의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피어스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는 상기 제2 피어스 홀더의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내포하고 또한 양 단부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한쪽의 단부면이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면 접촉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의 단부면이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면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버링 펀치는 상기 제1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버링 펀치는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심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제2 버링 펀치는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기준점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축선에 직교하는 제2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에 대해, 각각 개별로 상기 기준점을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버링 펀치 복귀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상기 제1 피어스 구멍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은 각각 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축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심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제2 버링 펀치는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기준점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축선에 직교하는 제2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스토퍼는 제1 버링 펀치가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되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된 상태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스토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버링 펀치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함께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를 이동 가능한 분리 블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은,
    상기 제1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1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1 버링 펀치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제2 벽부에 하부 구멍을 형성하는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하부 구멍의 주연부를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으로 굴곡시켜 상기 버링 가공 구멍을 형성하는 제2 버링 펀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유닛은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1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버링 펀치는 상기 제1 버링 홀더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피어스 펀치는 상기 제1 버링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면서, 상기 제1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제1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제1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버링 다이와;
    상기 제1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1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버링 다이의 상기 제1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피어스 다이와;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통로가 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버링 펀치는 상기 제2 버링 홀더의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피어스 펀치는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상기 제1 축선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공유하면서,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외부 유닛은,
    상기 제2 버링 펀치가 삽입되는 제2 성형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버링 다이와;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삽입되는 제2 피어스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버링 다이의 상기 제2 성형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어스 구멍의 중심 축선이 상기 제1 축선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벽부의 외측을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피어스 다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어스 다이의 상기 제1 피어스 구멍은 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축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의 중심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제2 버링 홀더는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피어스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는 상기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기준점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축선에 직교하는 제2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1 피어스 다이를 상기 제1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홀더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를 상기 제2 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버링 다이 및 상기 제1 피어스 다이가 상기 제1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되고 또한 상기 제2 버링 홀더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제2 피어스 펀치가 상기 제2 벽부의 내벽면에 압접된 상태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스토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피어스 다이 및 상기 제2 버링 펀치와 함께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한 분리 블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은 상기 제1 버링 다이에 대해 상기 기준점을 향하는 외력을 부여하는 다이 복귀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 가공 장치.
KR1020167020087A 2014-01-29 2015-01-29 버링 가공 방법 및 버링 가공 장치 KR101891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4817 2014-01-29
JPJP-P-2014-014817 2014-01-29
PCT/JP2015/052437 WO2015115514A1 (ja) 2014-01-29 2015-01-29 バーリング加工方法及びバーリング加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287A true KR20160102287A (ko) 2016-08-29
KR101891904B1 KR101891904B1 (ko) 2018-08-24

Family

ID=5375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087A KR101891904B1 (ko) 2014-01-29 2015-01-29 버링 가공 방법 및 버링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62091B2 (ko)
JP (1) JP6202110B2 (ko)
KR (1) KR101891904B1 (ko)
CN (1) CN105934291B (ko)
MX (1) MX2016009685A (ko)
WO (1) WO20151155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161A (ko) 2016-10-06 2018-04-16 재단법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플레이트 버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8788B2 (ja) * 2020-03-13 2024-03-13 日本製鉄株式会社 バーリング加工材の製造方法、バーリング加工用中子及びバーリング加工装置
JP7448787B2 (ja) * 2020-03-13 2024-03-13 日本製鉄株式会社 バーリング加工材の製造方法、バーリング加工用中子及びバーリング加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6474A (ja) 2004-03-08 2005-09-15 Matsumoto Kinzoku Kogyosho:Kk バーリング加工用プレス金型
JP2007076547A (ja) 2005-09-15 2007-03-29 Aisin Keikinzoku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
JP2012024768A (ja) 2010-06-21 2012-02-09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877A (en) * 1964-03-17 figures
US2325437A (en) * 1942-07-22 1943-07-27 Victor Metal Products Corp Hole punching die
US3776016A (en) * 1972-06-20 1973-12-04 Roura Iron Works Inc Punching and extrusion die
US3823630A (en) * 1973-05-24 1974-07-16 Suominen H S Amerplast Punch for simultaneously punching unequal sized holes
JPS5431754B2 (ko) * 1974-09-11 1979-10-09
JPS6050528B2 (ja) 1979-12-11 1985-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リング成形装置
JPS56117836A (en) 1980-02-20 1981-09-16 Isao Terada Burring device
JPS5825816A (ja) 1981-08-08 1983-02-16 Nippon Light Metal Co Ltd 金属板のすべり止め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US4621553A (en) * 1984-05-30 1986-11-11 Henry Gruchalski Vertical pierce die
JPS6122218U (ja) 1984-07-16 1986-02-08 有限会社 丸中製作所 バ−リング用ブツシユ
JPS6272435A (ja) 1985-09-25 1987-04-03 Honda Motor Co Ltd バ−リング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S62109816U (ko) 1985-12-27 1987-07-13
US4679289A (en) * 1986-08-15 1987-07-14 Brazewa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ntruded branch attachment structures in tubing
JPH0231207Y2 (ko) 1987-05-29 1990-08-23
JPS63317221A (ja) 1987-06-18 1988-12-26 Yutaka Giken:Kk 両面バ−リング金型
JPH0724871B2 (ja) 1988-03-31 1995-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フィンのカラー成形法及び金型
US5237849A (en) * 1992-02-19 1993-08-24 Hidaka Seiki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fins for heat exchangers
US6061909A (en) * 1993-07-06 2000-05-16 Ready Metal Manufacturing Co. Metal panel with flanged holes and process of fabrication
JPH09308919A (ja) 1996-05-20 1997-12-02 Hitachi Ltd 管材のバーリング加工装置
JP3844542B2 (ja) 1996-07-09 2006-11-15 株式会社ユタカ技研 バーリング加工装置
US8087333B2 (en) * 2002-12-17 2012-01-03 Ones Co., Ltd. Method for press punching a hole in sheet metal and press die
CN2759633Y (zh) * 2004-11-26 2006-02-22 方大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管材冲孔、翻边的模具
JP2008080387A (ja) * 2006-09-28 2008-04-10 Toyota Motor Corp R付き穴加工方法及びr付き穴加工装置
US20080163662A1 (en) * 2007-01-08 2008-07-10 Dagan Moshe Tube punching and collaring system, device and method
CN201012375Y (zh) 2007-01-25 2008-01-30 青岛双星数控锻压机械有限公司 一种冲孔翻边复合模具
JP5141093B2 (ja) * 2007-05-22 2013-02-13 株式会社ワンズ 薄板金属孔明け用のダイス及びこのダイスを具備した薄板金属用孔明け装置
CN201079810Y (zh) * 2007-09-13 2008-07-02 济南铸锻所捷迈机械有限公司 数控转塔冲床冲孔翻边复合成形模具
JP2013126673A (ja) 2011-12-19 2013-06-27 Ricoh Co Ltd 薄板バーリング加工方法及び薄板雌ねじ形成方法
JP6201509B2 (ja) 2013-08-13 2017-09-2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バーリング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6474A (ja) 2004-03-08 2005-09-15 Matsumoto Kinzoku Kogyosho:Kk バーリング加工用プレス金型
JP2007076547A (ja) 2005-09-15 2007-03-29 Aisin Keikinzoku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
JP2012024768A (ja) 2010-06-21 2012-02-09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161A (ko) 2016-10-06 2018-04-16 재단법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플레이트 버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4291A (zh) 2016-09-07
US10562091B2 (en) 2020-02-18
US20160339501A1 (en) 2016-11-24
MX2016009685A (es) 2016-09-22
JPWO2015115514A1 (ja) 2017-03-23
CN105934291B (zh) 2018-11-30
KR101891904B1 (ko) 2018-08-24
JP6202110B2 (ja) 2017-09-27
WO2015115514A1 (ja)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2017B2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forms a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US10828683B2 (en) Apparatus that manufactures closed-structure part
KR101891904B1 (ko) 버링 가공 방법 및 버링 가공 장치
JPWO2006080356A1 (ja) プレス加工装置、プレス加工方法、及び打抜き加工品
US9630238B2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forms a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KR101815404B1 (ko) 프레스 성형품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장치
EP255103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hinge for automobile
US59411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trimming and hydroshearing
KR20190056438A (ko)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EP304013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component having polygonal closed-cross-sectional structure and curved component having polygonal closed-cross-sectional structure and manufactured using said method
US8141466B2 (en) Punch device for piercing hydro-formed member
EP28374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flangeless closed-cross-section-structure component having curved shape
US11229936B2 (en) Press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liptical-cylindrical member
JP7173847B2 (ja) プレス成形方法
KR101480440B1 (ko) 팬너트의 제조방법
TWI480110B (zh) 閉斷面構造部品的製造方法及裝置
JP2021115610A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品の製造装置
CN102030249A (zh) 乘客传送带用台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