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704A -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704A
KR20160079704A KR1020150185572A KR20150185572A KR20160079704A KR 20160079704 A KR20160079704 A KR 20160079704A KR 1020150185572 A KR1020150185572 A KR 1020150185572A KR 20150185572 A KR20150185572 A KR 20150185572A KR 20160079704 A KR20160079704 A KR 20160079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ing
sheet
operation panel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643B1 (ko
Inventor
카네토 토쿠야마
야스히토 츠바키모토
히카루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edium handling apparatus, e.g. a sheet sor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23Retainers of the pad-type, e.g. friction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3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04N1/0024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using an image reading device as a local input to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04N1/0025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with an electro-developing recording medium, e.g. generating image signals by reading such a medium in a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2Reducing apparatus footprint, e.g. wall-mounted or vertically arrang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2Features of transport path for transport path involving at least two planes of transport form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B65H2301/3122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1Housings movable for facilitating access to area inside the housing, e.g. pivoting 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65H2405/3321Feed tray superposed to discharge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20Display means; Information output means
    • B65H2551/26For input or output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조작 패널은 반송 유닛에 일체화되고, 조작 패널과 반송롤러는, 시트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시트 폭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조작 패널과 반송롤러는, 반송 유닛에서 시트 반송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위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 및 반송롤러는, 반송 유닛에 의한 시트의 반송 에어리어의 폭의 범위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독취장치{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독취부와 프린트부를 가진 장치에 있어서의 시트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팩시밀리, 다기능 프린터, 도큐먼트 스캐너 등에 사용된 일부의 화상독취장치에는, 자동 급지장치(이하, ADF라고도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ADF장치는, 적재된 시트형의 원고를 1매씩 반송하는 시트 반송 기구를 갖는다. 시트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원고의 화상정보는, 화상독취장치의 독취부에서 독취된다.
화상독취장치에는, 전원의 온/오프나 화상의 독취를 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되는 조작 패널이, 그 외장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일본국 특개평 5-63932호(1993) 공보는, 조작 패널이 외장의 상면에 배치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특개평 5-63932호(1993) 공보의 구성에서는, 조작 패널은, 독취부의 위쪽에 설치된 시트 반송 기구의 위쪽의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 장치의 사이즈는, 그 장치에 설치된 조작 패널의 사이즈만큼 높이 방향으로 커진다. 한편, 독취부의 위쪽을 피한 에어리어에 조작 패널을 배치한 경우에, 수평면에서 보았을 때 장치전체의 사이즈가 증대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독취장치와 비교하여 소형화된 시트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시트 반송 장치는, 시트를 반송하되 롤러 및 구동원을 포함하는 반송 유닛; 및 조작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패널은 반송 유닛에 일체화되고, 상기 조작 패널과 상기 롤러는 시트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시트 폭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트 반송 장치에 구비된 종래의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독취장치와 비교하여 소형화된 시트 반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독취 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2는, 프린트부를 내장하는 독취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3은, 독취 장치의 외장 커버를 뗀 상태의 사시도다.
도 4a 및 4b는, 독취 장치의 시트 반송 기구의 구동계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5는, 시트 반송 유닛 및 개폐 유닛을 개방한 독취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6은, 프린트부를 내장하는 독취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7은, 독취 장치의 조작 패널, 시트 반송 기구, 및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8은, 독취 장치의 조작 패널, 시트 반송 기구, 및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9a 및 9b는, 조작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다.
도 10a 및 10b는, 조작 패널의 버튼을 나타내는 도다.
도 11은, 독취 장치의 케이블 배치를 나타내는 도다.
도 12는, 대판원고를 판독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 반송 장치를 갖는 화상독취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독취장치는, 독립형의(stand-alone) 스캐너 장치뿐만 아니라, 그 스캐너 장치가 삽입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복합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의 장치를, 총칭해서 화상독취장치라고 부른다.
(화상독취장치의 구성)
도 1a 및 도 1b(이하, 총칭적으로 도 1이라고 한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내부구조의 수직단면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잘라낸 단면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부를 내장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외장 커버를 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예의 화상독취장치(이하, 독취 장치라고도 한다)는, 원고독취 반송부(1)와, 원고적재 압판부(40)와, 북 원고독취부(2)와, 조작 패널부(800)를 구비한다.
(반송 유닛)
원고독취 반송부(이하, 반송 유닛이라고도 한다)(1)는, 시트형의 원고S를 반송해서 화상정보를 독취하는 유닛이다. 반송 유닛(1)은, U자형으로 연장되는 원고반송로(이하, 유턴 패스라고도 한다)(12)를 내부에 가진다. 반송 유닛(1)은, 유턴 패스(12)의 폭의 범위내의 사이즈의 원고S를 반송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유턴 패스(12)에는, 원고 스토퍼(15), 원고유무 센서(16), 및 원고 엣지 센서(17) 등이 설치되어 있다. 원고 스토퍼(15)는, 반송되기 전의 원고S의 선단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규제한다. 원고유무 센서(16)는, 반송된 원고S의 유무를 검출한다. 원고 엣지 센서(17)는, 반송된 원고S의 선단부 및 후단부를 검출한다.
(개폐 유닛)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원고적재 압판부(이하, 개폐 유닛이라고도 한다)(40)는, 반송 유닛(1)에 반송하기 위한 원고S를 얹어 놓는 유닛이며, 또한, 북 원고독취부(2)의 상면에 얹어 놓은 원고B를 상측으로부터 누르는 유닛이다. 개폐 유닛(40)은, 반송 유닛(1)에 인접해서 위치되어 있고, 북 원고독취부(2)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개폐 유닛(40)은, 원고적재 트레이(이하, 공급 트레이라고도 한다)(14)와, 원고배출 트레이(이하, 배출 트레이라고도 한다)(18)를 상면에 가진다.
공급 트레이(14)는, (도시되지 않은) 힌지에 의해 원고설치 부재(21)에 부착되고,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에 의해, 공급 트레이(14)가 도 2에 나타낸 닫힌 상태와 도 1에 나타낸 열린 상태와의 사이에 전환될 수 있다. 공급 트레이(14)가 열렸을 때에 상면에 나타는 공급 트레이(14)의 표면 및 원고설치 부재(21)의 상면이, 원고S를 적재하는 원고적재부(20)를 형성한다. 공급 트레이(14)는, 사용되지 않을 때 닫혀, 반송 유닛(1)과 동일 수평면을 형성하고, 반송 유닛(1)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송 유닛(1)과 개폐 유닛(40)이 함께 닫힐 때, 양자의 경계부근에서는 반송 유닛(1)의 상면(조작 패널부 800의 조작면)과 개폐 유닛(40)의 상면(닫힌 공급 트레이(14))과는 거의 같은 높이를 갖고, 단차가 없다.
원고적재부(20)는, 반송 유닛(1) 및 개폐 유닛(40)이 함께 닫힌 경우에, 반송 유닛(1)의 유턴 패스(12)의 상류끝에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배출 트레이(18)는, 반송 유닛(1) 및 개폐 유닛(40)이 함께 닫힌 경우에, 반송 유닛(1)의 유턴 패스(12)의 하류끝에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개폐 유닛(40)의 후방부에는 힌지42a 및 42b가 구비되어 있다. 개폐 유닛(40)은 힌지42a 및 42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5에 도시된 열린 상태와 도 2에 도시된 닫힌 상태와의 사이에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반송 유닛(1)도 원고대에 대하여 열릴 수 있다. 반송 유닛(1)은, 통상 사용시에는 도 2와 같이 닫힌다. 원고 시트의 반송 잼이 일어나면,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반송 유닛(1)을 열어서 걸린 원고를 제거한다. 개폐 유닛(40)과 반송 유닛(1)의 회전축은 서로 직교하고, 다른 방향으로 연다.
(북 원고독취부2)
개폐 유닛(40) 아래에 위치된 북 원고독취부(2)는, 상면에 원고대의 유리판(22)을 갖고, 원고대의 유리판(22) 위에 정지해서 두어진 원고B의 화상정보를 유리판(22)을 통해서 판독하는 유닛이다. 원고B는, 소책자 등의 두께가 있는 형태이여도 좋거나, 시트의 형태이여도 좋다.
(시트 반송 기구)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유닛(1)의 시트 반송 기구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유턴 패스(12)의 상류끝에는, 픽업 롤러(3)가 구비되어 있다. 픽업 롤러(3)는, 원고적재부(20)에 적재된 원고S의 최상위의 시트에 접촉해서 이것을 픽업한다. 픽업 롤러(3)의 하류측에는, 서로 압접한 분리 롤러(5) 및 분리 패드(4)가 설치된다. 분리 롤러(5) 및 분리 패드(4)는, 픽업 롤러(3)에 의해 픽업된 원고S를 1매로 분리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유턴 패스(12)의 중간에는, 제1의 반송롤러(7)가 설치되어 있고, 유턴 패스(12)의 하류끝에는, 원고S를 배출 트레이(18)에 배출하기 위한 제2의 반송롤러(9)이 설치된다. 제1의 반송롤러(7)의 회전에 의해 반송 유닛(1)의 유턴 패스내에서 반송된 원고S는, 제2의 반송롤러(9)의 회전에 의해, 배출 가이드(19)를 따라, 배출 트레이(18)에 배출된다.
(독취를 위한 구성)
반송 유닛(1) 및 북 원고독취부(2)에 있어서의 화상정보의 판독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이하, CIS라고도 한다)(30)에 의해 행해진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CIS(30)는, 반송 유닛(1) 및 개폐 유닛(40)의 아래쪽에 각각 반송 유닛(1) 및 개폐 유닛(40)으로부터 유리(23) 및 유리판(22)을 가로질러 위치된다. 본 예에서는, 유리(23) 및 유리판(22)은 별도의 부품이지만, 유리(23) 및 유리판(22)은 하나의 유닛으로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재료도, 유리에 한정되지 않고, 그것을 통해 센서가 원고의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플라스틱 등의 어떠한 재료가 사용되어도 좋다.
CIS(30)는, 탑재한 LED로부터 원고S의 화상정보를 독취하는 독취면(이하, 화상정보면이라고도 한다)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고, 화상정보면에서 반사한 광을 자기집속형 로드 렌즈 어레이로 센서 소자에 결상하여서, 화상정보를 독취한다. CIS(30)는, 도 1에서 좌우 방향(X방향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ADF스캐너부에 있어서, 반송 유닛(1)에서 독취된 경우에(ADF스캔), CIS(30)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시트 원고 독취 위치(독취 위치)에서 멈춰 있고, 독취 위치에 반송되는 원고S의 표면을, 유리(23)를 통해서 독취한다. 유리(23)에 대해 독취 위치와 반대의 위치에는, 독취 흰 지판(8)이 설치된다. 독취 흰 지판(8)은, 원고를 독취할 때의 받침과 CIS(30)의 캘리브레이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평판형 스캐너부에 있어서, 북 원고독취부(2)에서 독취(FBS스캔)되는 경우에, CIS(30)는, 도 1중, 좌측에서 우측(-X방향)으로 주사하면서, 유리판(22) 위에 얹혀 있는 원고B의 표면을, 유리판(22)을 통해서 독취한다.
(독취 장치의 구동계)
도 4a 및 도 4b(이하, 총칭적으로 도 4라고도 한다)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독취 장치의 구동계를 설명한다. 구동 모터M은 브러시식DC모터이다. 코드 휠 필름M1, 인코더 센서M2, 및 로터리 인코더M3이 그 구동 모터M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드 휠 필름M1은, 구동 모터M의 모터 축 위에 설치되어 있고, 그 모터 축의 회전을 따라서 회전한다. 인코더 센서M2는, 코드 휠 필름M1에 프린트된 슬릿 패턴을 검출해서 독취한다. 로터리 인코더M3은, 인코더 센서M2에 의한 독취에 근거하여 회전량을 검출한다. 인코더M3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펄스폭 변조(PWM)제어에 의해, 구동 모터M의 회전이 제어된다.
구동 모터M의 구동력은, 기어 열M4에 의해, 분리 롤러(5), 픽업 롤러(3), 제1의 반송롤러(7), 및 제2의 반송롤러(9)에 전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어 열M4은 독취 장치의 전방면측에는 설치되지 않고, 배면측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반송 유닛(1)에서 독취를 행할 경우, 자동 급지장치(ADF)에 사용된 모든 반송롤러는, 기어 열M4에 의해 회전된다.
(ADF스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반송 유닛(1)에 의해 독취 동작을 행할 때(즉, ADF스캔시)의 일련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자가 조작 패널부(800)로부터 독취 시작을 지시하면, 구동 모터M이 회전한다. 그 회전과 연동해서, 분리 롤러(5) 및 픽업 롤러(3)가 회전하여서, 원고 리프터(6)를 올리고, 픽업 롤러(3)가 원고S에 의해 눌린다. 픽업 롤러(3)의 회전에 의해 원고 스토퍼(15)가 해제되고, 원고S가 유턴 패스(12)의 내부에 보내진다. 원고적재부(20)에 적재되어 있었던 원고S는, 반송 유닛(1)의 분리 롤러(5) 및 분리 패드(4)에 의해 1매씩 분리되고, 원고S의 최상위 시트가 반송된다.
본 예에서, 분리 롤러(5)는 제1의 반송롤러(7) 및 제2의 반송롤러(9)보다 느린 주속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구동 모터M을 연속 회전시키면, 원고S의 제1 시트와 원고S의 제2 시트의 사이의 소정 간격이 있다.
분리된 원고S의 최상위 시트는, 유턴 패스(12)를 따라 반송되고, 제1의 반송롤러(7)에 의해 시트가 CIS(30)에 의해 독취되는 위치에 한층 더 반송된다.
반송 유닛(1)에서는, 원고 엣지 센서(이하, DES라고도 한다)(17)에 의한 원고S의 단부의 검지를 트리거로서, 화상정보의 독취 시작 및 독취 종료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DES(17)에 의해 원고S의 선단부가 검지되면, 그 검지 위치로부터 소정량만큼 원고S가 반송된 타이밍에서, CIS(30)는, 독취 위치에서의 원고S의 표면의 화상정보의 독취가 시작된다. 그리고, DES(17)에 의해 원고S의 후단부가 검지되면, 그 검지 위치로부터 소정량만큼 원고S가 반송된 타이밍에서, CIS(30)는 화상정보의 독취를 종료한다. 화상정보의 독취의 시작으로부터 종료까지, 원고S를 반송하면서 상기 독취 동작을 계속한다.
후속의 원고S의 시트가 있을 경우, 구동 모터M을 계속적으로 회전시켜서, 원고S의 다음 시트를 독취한다. 원고의 다음 시트의 유무는, 원고 유무 센서(16)에 의해 검지된다. 같은 방식으로, 원고 유무 센서(16)가 원고S의 다음 시트가 없는 것을 검지할 때까지, 원고반송을 계속해서 원고S의 다음 시트의 화상정보를 독취한다.
CIS(30)에 의해 독취된 후, 원고S는, 개폐 유닛(40)에 설치된 배출 가이드(19)에 의해 안내되면서, 제2의 반송롤러(9)의 회전에 의해, 배출 트레이(18)에 배출된다.
(독취 장치의 제어 구성)
도 6은, 독취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제어 구성(300)은, 주 제어 기판(720), 독취부(310), 조작 패널부(800), 프린트부(315), 및 전원공급부(340)를 구비한다.
주 제어 기판(720)은, 주 제어IC(302), EEPROM(304), RAM(305), 외부 인터페이스부(331), 불휘발성 기억부(333), 무선LAN모듈(334), 음성출력부(325), 통신 접속부(327), 및 이들 부품을 연결하는 시스템 버스(303)를 구비한다.
주 제어IC(30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하, MPU라고도 한다)(306), 독취 화상처리부(307), 프린트 화상처리부(308), 및 화상부호화부(309)를 구비하고, 시스템 버스(303)를 통해 장치전체를 제어한다. EEPROM(304)은, MPU(306)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 초기값 데이터, 및 테이블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RAM(305)은, 계산 버퍼 및 화상 메모리 등에 사용된다.
독취부(310)는, CIS(311), 독취 화상 보정부(312), 독취계 구동부(313)등을 구비한다.
독취부(310)는, 독취계 구동부(313)를 구동해서 CIS(311)를 이동시키고, 원고를 CIS(311)에 의해 광학적으로 순차로 독취하여,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이 신호에 대하여 독취 화상 보정부(312)로 셰이딩 보정 등을 행한다. 보정된 신호는, 주 제어 기판(720)에 송신되고, 독취 화상처리부(307)에서 화상처리가 행해지고,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프린트부(315)는, 본 예에서는 잉크젯 방식이다. 프린트부(315)는, 프린트계 구동부(318)를 구동해서 프린트 헤드(316)를 소정의 위치에 이동시키고, 프린트 화상처리부(308)에서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프린트 신호 출력부(317)를 통해 프린트 헤드(316)에 출력함으로써, 화상을 프린트한다.
조작 패널부(800)는, 조작 패널 인터페이스부(323)를 통해 표시 화상을 표시부(321)에 출력하고, 조작 패널(322)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음성출력부(325)는, 음성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326)로부터 메시지 음성을 출력한다. 통신 접속부(327)는, 통신망(328) 및 전화기(329)와 접속되어, 이것을 통해 음성이나 부호화 데이터의 입출력이 행해진다.
부호화 데이터는 화상부호화부(309)에서 화상으로 이와 반대로 변환된다. 예를 들면, USB규격 등의 외부 인터페이스부(331)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332)와 접속된다.
불휘발성 기억부(333)는 플래시 메모리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워크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가 정전시 등에 소거되지 않도록 이것들을 기억한다. 무선LAN모듈(334)은, 장치외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화상을 입출력한다.
전원공급부(340)는, 주 제어 기판(720), 독취부(310), 프린트부(315), 조작 패널부(800)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독취 장치의 동작)
본 실시예의 프린트부를 내장하는 독취 장치로 행할 수 있는 동작, 이를테면 화상정보의 독취 동작, 카피 동작, 팩시밀리 송신 동작, 팩시밀리 수신 동작, 및 프린터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독취 동작)
독취부(310)의 CIS(311)로 독취된 원고의 화상정보는, 우선 독취 화상 보정부(312)에 의해 셰이딩 보정 등이 이루어진다. 처리된 화상정보는, 독취 화상처리부(307)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만들어지고, RAM(305)에 로딩되고 나서, 화상부호화부(309)에 의해, 예를 들면 JPEG형식에 압축 및 부호화된다. 부호화된 데이터는, 외부 인터페이스부(331)를 통해 외부기기(332)에 출력된다.
(카피 동작)
독취부(310)의 CIS(311)로 독취된 원고의 화상정보는, 독취 화상 보정부(312)에 의해 셰이딩 보정 등이 이루어진다. 처리된 화상정보는, 독취 화상처리부(307)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만들어지고, RAM(305)에 로딩된다. 로딩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부호화부(309)에 의해, 예를 들면 JPEG형식으로 압축 및 부호화되어, 일단 기억된다.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프린트 화상처리부(308)에 순차로 송출되어, 프린트용 화상으로 변환된다. 프린트용 화상은 프린트 신호 출력부(317)를 통해 프린트 헤드(316)에 출력됨으로써 프린트 용지에 프린트된다.
(팩시밀리 송신 동작)
독취부(310)의 CIS(311)로 독취된 원고의 화상정보는, 독취 화상 보정부(312)에 의해 셰이딩 보정 등이 이루어진다. 처리된 화상정보는, 독취 화상처리부(307)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만들어지고, RAM(305)에 로딩된다. 로딩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부호화부(309)에 의해, 예를 들면 MR(모디파이드 READ)형식으로 압축 및 부호화되어, 일단 기억된다.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통신 접속부(327)로 팩시밀리 통신의 순서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고, 그 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시작한다. 송신 시작 후도 독취를 계속하고,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면서 송신을 계속한다.
(팩시밀리 수신 동작)
통신망(328)으로부터 팩시밀리의 착신이 있으면, 통신 접속부(327)로 팩시밀리 통신의 순서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고, 그 후, 화상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한다. 수신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부호화부(309)에서 변조되어, RAM(305)에 로딩된다. 로딩된 화상 데이터는 프린트 화상처리부(308)에 순차 송출되어, 프린트용 화상으로 변환된다. 프린트용 화상은 프린트 신호 출력부(317)를 통해 프린트 헤드(316)에 출력됨으로써 프린트 용지에 프린트된다.
(프린터 동작)
외부기기(332)로부터 송신되어 외부 인터페이스부(331)에서 수신된 커맨드 및 수신 파라미터는, MPU(306)로 해석되어, 화상부호화부(309)에 화상 데이터로서 RAM(305)에 로딩된다. 로딩된 화상 데이터는 프린트 화상처리부(308)에 순차 송출되어, 프린트용 화상으로 변환된다. 프린트용 화상은 프린트 신호 출력부(317)를 통해 프린트 헤드(316)에 출력함으로써 프린트 용지에 프린트된다.
(시트 반송 기구, 조작 패널부, 및 프레임의 구성)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픽업 롤러(3), 분리 롤러(5), 조작 패널부(800) 및 프레임(5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50)은, 픽업 롤러(3), 분리 롤러(5) 및 조작 패널부(800)를 지지한다.
픽업 롤러(3) 및 분리 롤러(5)는, 개별적으로, 프레임(50)으로부터 연장되는(도시되지 않은) 축으로 지지되고,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조작 패널부(800)내에 배치되어, 조작 패널부(800)의 제어를 주관하는 부 제어 기판(803)은, 프레임(50)에 접촉되어 프레임(50)에 지지되어 있다. 도 7에서, 부 제어 기판(803)은, 나사(803b)에 의해 프레임(50)에 고정되어 있다. 그렇지만, 압접, 용착 및 스냅 피트 등의 본 구성과 다른 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다. 부 제어 기판(803)은, 복수의 기판 버튼(803a)을 갖고, 기판 버튼(803a) 위에 위치된 (후술하는) 가압부(802a)가 가압될 때에 전기신호를 주 제어 기판(72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픽업 롤러(3) 및 분리 롤러(5)와 부 제어 기판(803)과의 사이에, 문자나 기호를 표시해서 유저의 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804)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80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이하, FPC이라고도 한다)(804a)을 통하여, 부 제어 기판(803)에 접속되어 있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픽업 롤러(3)의 축 중심을 지나는 선을 따라 잘라진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다. 프레임(50), 픽업 롤러(3), 표시부(804) 및 부 제어 기판(803)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반송 에어리어(12a)는, 프레임(50)에 의해 형성된 유턴 패스(12)의 일부다. 원고S는, 유턴 패스(12)에서 반송될 때, 폭방향으로 반송 에어리어(12a)의 범위내에서 반송된다. 점선A 및 점선B는, 픽업 롤러(3)의 외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확대한 가상 선이며, A와 B간의 거리는, 픽업 롤러(3)의 롤 지름에 해당한다.
부 제어 기판(803) 및 표시부(804)는, 반송 에어리어(12a)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부 제어 기판(803) 및 표시부(804)는, 픽업 롤러(3)의 축방향에 있어서, 픽업 롤러(3)와는 겹치지 않고 픽업 롤러(3)로부터 변위되고, 오프셋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 제어 기판(803) 및 표시부(804)는, 점선A와 점선B와의 사이의 에어리어내에 서로 일부가 겹치도록 위치되어 있다.
각 구성 요소의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관계에 따라, 본 발명의 시트 반송 장치에 있어서, 조작 패널부(800)가 차지하는 공간은, 시트 반송을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의 양방향에 있어서 크게 일탈하지 않는다.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송계인 픽업 롤러(3) 및 분리 롤러(5)는, 독취 장치의 배면측에 보다 가깝게 위치되어 있고, 조작계인 조작 패널(800)은, 독취 장치의 전방면측에 보다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이 전방 부근에 위치하는 것으로, 유저가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반송계를 시트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시트 폭방향(원고 시트의 폭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시키면, 시트 반송의 사행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급송시 및 배출시의 자세를, 유턴 패스(12)의 원고 스토퍼(15) 및 개폐 유닛의 배출 가이드(19)에 의해 조절한다.
(조작 패널부의 구성)
도 9a 및 도 9b(이하, 총칭적으로 도 9라고도 한다) 및 도 10a 및 도 10b(이하, 총칭적으로 도 10이라고도 한다)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조작 패널부(8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a는, 본 실시예의 조작 패널부(800) 및 프레임(50)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조작 패널부(800)로부터 표면 시트(801)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커버(802)는, 표면 시트(801)와 부 제어 기판(803)과의 사이에 위치된 가압부(802a)를 가지고, 또한, 픽업 롤러(3) 및 분리 롤러(5)의 상부를 덮도록 프레임(50)에 맞출 수 있는 커버 부재다.
도 10a는, 가압부(802a)의 확대도다. 도 10b는, 조작 패널부(800)의 부분 단면도다. 도 10에 있어서, 가압부(802a)는, 커버(802)의 프레임형으로 잘라 낸 에어리어내에서 러너(runner)부(802b)에 의해 빔 지지되고, 커버(802) 본체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부 제어 기판(803) 위에는, 기판 시트(805)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 시트(805)는, 기판 버튼(803a) 위에 금속박판으로 형성된 소위 돔(dome) 스위치(805a)를 갖는다. 돔 스위치(805a)는, 돔 스위치(805a)의 중앙부를 가압하면, 상기 기판상의 도통을 취한다.
유저 조작시에, 유저는 표면 시트(801)를 가압한다. 이것은, 표면 시트(801)를 변형하고, 러너부(802b)의 휨을 이용해서 가압부(802a)가 돔 스위치(805a)와 접촉한다. 가압에 의해, 기판 버튼(803a)이 온과 오프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 시트(801), 러너부(802b), 가압부(802a) 및 돔 스위치(805a)의 가압에 의해, 기판 버튼(803a)의 온과 오프가 전환된다. 또는, 그 가압부 근방의 구성 요소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사용해서 기판 버튼(803a)이 온과 오프 사이에서 전환될 수도 있다.
(케이블 배선의 구성)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케이블 배선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하, FFC라고도 한다)(32)은, 부 제어 기판(803)과 주 제어 기판(720)을 연결시키고 있다. 제1의 FFC(32)는, 부 제어 기판(803)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주 제어 기판(720)에 보내고, 장치전체의 신호를 주 제어 기판(720)으로부터 부 제어 기판(803)을 통해 표시부(804)에 보내며, 표시부(804)에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부 제어 기판(803)에 접속된 제1의 FFC(32)는, 유턴 패스(12)상에, 독취 장치 후방의 근방에 유턴 패스(12)의 외부에 인출되어, 주 제어 기판(720)에 접속되어 있다. 제1의 FFC(32)는, 장치 후방의 근방에 케이블 가이드(704)에 의해 안내되어서, 모터M, 코드 휠 필름M1, 인코더 센서M2, 인코더M3 및 기어 열M4과의 접촉을 피하도록 인출된다.
제2의 FFC(33)는, 인코더M3의 센서부로부터 인출되고, 케이블 가이드(704)에 의해 안내되고, 주 제어 기판(720)에 접속되어 있다. 제1의 FFC(32) 및 제2의 FFC(33)는, 케이블 가이드(704)의 내부에서, 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3의 FFC(722)는, 원고 유무 센서(16)와 원고 엣지 센서(17)를 접속한다. 원고 엣지 센서(17)에 접속된 제4의 FFC(721)는, 부 제어 기판(803)에 접속된다. 원고 유무 센서(16) 및 원고 엣지 센서(17)로부터의 정보는, 제4의 FFC(721), 부 제어 기판(803) 및 제1의 FFC(32)를 거쳐 주 제어 기판(720)에 보내진다.
구동 모터M과 그 구동 모터M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 케이블이 주 제어 기판(720)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제1의 FFC(32), 제3의 FFC(722) 및 제4의 FFC(721)는, 구동 모터M 및 그 배선 케이블과 접촉시키지 않는 다른 경로를 통해 그 구동 모터M 및 그 배선 케이블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계가, 구동계(특히, 구동원인 모터M 및 그 케이블 배선)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구동 모터M은, 큰 전력을 사용해 때때로 노이즈의 원인이 된다. 또한, 구동 모터M의 배선 케이블은 방사 노이즈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조작계를 구동계로부터 분리하여서, 구동 모터M과 그 배선 케이블로부터 발생된 노이즈가, 조작 패널부에서 행해진 조작 등에 주는 영향을 경감한다. 구동원인 모터M은 장치의 후방 근방에 위치되고, 조작 패널은 장치의 전방 근방에 위치되어 있다. 본 구성은, 구동원으로서 저렴하지만 브러시의 마찰에 의해 스파크 노이즈가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는 브러시식 DC모터를 채용할 때에, 특히 바람직하다.
(개폐 유닛 및 반송 유닛)
원고대의 유리판(22)보다도 큰 원고를 독취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북 원고독취부(2)에 원고B가 얹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원고B로서, 대판원고Sb을 사용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낸 원고독취 에어리어(200)는, 도 5에 있어서의 유리판(22)의 상면의 에어리어에 해당하고, CIS(311)는 이 에어리어내의 원고를 독취할 수 있다. 독취하는 원고는, 그 원고의 2개의 변이,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들이미는 기준선R1 및 기준선R2와 정렬하도록, 원고독취 에어리어(200) 위에 세트된다. 반송 유닛(1)의 변들과 개폐 유닛(40)의 힌지에 기준선(정렬 기준)을 설치함으로써, 원고독취 에어리어(200)의 사이즈보다도 큰 대판원고Sb를 독취하는 경우에도, 원고Sb가 접혀 구부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평판형 스캐너부에서 독취하기 위해서 원고대 위에 얹혀 있는 원고의 정렬 기준은, 반송 유닛의 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평판형 스캐너부는, 정렬 기준의 측으로부터 스캔을 시작한다.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개폐 유닛(40)은, 원고 가압부(43)를 가진다. 원고 가압부(43)는, 베이스판(41)과, 원고독취 흰 지판(41a)을 갖는다.
원고 가압부(43)는, 평판형 스캔시에 북 원고독취 흰 지판(41a)으로 원고B를 가압하는 기능을 가진다. 원고 가압부(43)는, 베이스판(41)의 힌지(42a 및 42b)를 통해 북 원고독취부(2)에 부착되어 있다. 힌지(42a 및 4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개폐 유닛(40)이 그 힌지(42a 및 42b)에 의해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에, 원고B는 세트될 수 있다.
개폐 유닛(40)은, 전, 후, 좌, 우의 방향(수평방향)으로 정렬을 위해 닫힐 때 맞물리는 맞물림부(40a 및 40b)를 갖고, 북 원고독취부(2)에는, 각각 상기 맞물림부 40a 및 40b와 짝이 되는 맞물림부 2a 및 2b가 구비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맞물림부 40a 및 40b는 오목부로서 도시되어 있고, 맞물림부 2a 및 2b는 볼록부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그 오목-볼록의 관계는 반대이여도 좋거나, 그 오목-볼록의 관계는 조합하여서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맞물림부의 위치 및 수는, 본 예에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맞물림부와 상기 힌지간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정렬 효과가 높은 경향이 있고, 그 증가된 거리는 상기 장치의 외관을 바람직하게 한다.
또한, 상기 맞물림부가 북 원고독취부(2)의 원고독취 에어리어(200) 밖과 기준선R1에 대하여 독취가 시작하는 측에 위치되는 경우, ADF스캔시에, 원고S의 공급시의 사행, 배지시의 적재된 원고의 변위를 억제하기 쉽다. 이 구성에 의해, 대판원고Sb와 같은 원고독취 에어리어(200)로부터 일탈한 사이즈의 원고를 놓았을 때에, 볼록부의 맞물림부와 원고가 겹치는 것을 방지하고, 대판원고Sb를 긁지 않고 독취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송 유닛(1)의 프레임(50)은, 상기 힌지를 거쳐서 원고독취부(2)에 부착되고, 원고독취부(2)에 대하여 상기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 프레임(50)이 열려 있으면, 유턴 패스의 전방면은 전부 열려진다. 이를테면, 원고S의 반송중에 유턴 패스(12)내에 잼이 생겼을 경우, 프레임(50)을 개방하는 것으로, 유저가 원고S를 유턴 패스(12)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힌지의 축방향을 힌지(42a 및 42b)의 축방향과 다른 방향(본 예에서는 직교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프레임(50)의 개방 방향은, 개폐 유닛(40)의 개방 방향과 다르다. 닫힌 상태에서 유턴 패스(12)의 상류 및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개폐 유닛(40)을 개방함으로써, 유턴 패스(12)의 상류부 및 하류부에서 원고S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유턴 패스(12)에의 유저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 조작 패널은 반송 유닛에 일체화되고, 조작 패널과 반송롤러는, 시트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시트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조작 패널과 반송롤러는, 반송 유닛의 시트 반송 방향 및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위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 및 반송롤러는, 반송 유닛에 의한 시트의 반송 에어리어의 폭의 범위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종래장치와 비교하여 소형화된 장치를 실현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4)

  1. 시트를 반송하되 롤러 및 구동원을 포함하는 반송 유닛; 및
    조작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반송 유닛에 일체화되고, 상기 조작 패널과 상기 롤러는 시트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시트 폭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되어 있는, 시트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과 상기 롤러는, 상기 반송 유닛에서 상기 시트 반송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위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 패널 및 상기 롤러는,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한 시트의 반송 에어리어의 폭의 범위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어 있는, 시트 반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에 있어서 반송된 시트는, 상기 조작 패널의 아래에서 유턴하면서 반송되는, 시트 반송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시트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배면측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장치의 전방면측에 위치되어 있는, 시트 반송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전체의 제어를 주관하는 주 제어 기판; 및
    상기 조작 패널의 제어를 주관하는 부 제어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 제어 기판으로부터 상기 주 제어 기판에 접속된 케이블은, 상기 구동원과 접촉하지 않고, 또한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주 제어 기판에 접속된 케이블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서, 배치되어 있는, 시트 반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의 케이블은, 상기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 접속된 케이블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부 제어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시트 반송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원고대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원고대에 대하여 열릴 수 있는, 시트 반송 장치.
  8. 청구항 1 또는 2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와 함께 구성된 화상독취장치로서,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된 시트의 화상을 독취하는 ADF스캐너부;
    원고대 위에 정지해서 얹힌 시트의 화상을 독취하는 평판형 스캐너부; 및
    상기 원고대에 대하여 개폐하고, 상기 원고대 위에 얹힌 상기 시트를 가압하는 원고 가압부를 갖는 개폐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조작 패널 아래에 설치된 U자형의 반송로를 갖고,
    상기 개폐 유닛 위의 공급 트레이에 얹힌 시트는,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1매씩 상기 반송로를 통과시켜서 반송되고, 상기 ADF스캐너부에 의해 독취되고, 상기 개폐 유닛 위의 배출 트레이에 배출되는, 화상독취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원고대에 대하여 열릴 수 있고, 상기 반송 유닛의 개방 방향이 상기 개폐 유닛의 개방 방향과 다른, 화상독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장치의 전방면측이 열리고,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개폐 유닛에 가까운 측이 열리는, 화상독취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과 상기 개폐 유닛을 함께 닫은 경우에, 상기 반송 유닛과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반송 유닛과 상기 개폐 유닛과의 사이의 경계부근에서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 화상독취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스캐너부에서 독취하기 위해서 상기 원고대 위에 얹힌 원고의 정렬 기준은, 상기 반송 유닛의 측에 설치되고,
    상기 평판형 스캐너부는, 상기 정렬 기준의 측으로부터 스캔을 시작하는, 화상독취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기준보다도 상기 반송 유닛에 가깝고 상기 장치의 전방 근방에, 상기 개폐 유닛을 닫았을 때에 상기 개폐 유닛과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맞물림부가 오목 또는 볼록한, 화상독취장치.
KR1020150185572A 2014-12-26 2015-12-24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KR102006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4542A JP6579749B2 (ja) 2014-12-26 2014-12-26 画像読取装置
JPJP-P-2014-264542 2014-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704A true KR20160079704A (ko) 2016-07-06
KR102006643B1 KR102006643B1 (ko) 2019-08-02

Family

ID=5616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572A KR102006643B1 (ko) 2014-12-26 2015-12-24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81008B2 (ko)
JP (1) JP6579749B2 (ko)
KR (1) KR102006643B1 (ko)
CN (1) CN1057311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5869B2 (ja) * 2016-02-26 2020-07-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読取装置および記録装置
US10701223B2 (en) * 2018-01-24 2020-06-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00112118A (ko) 2019-03-21 2020-10-0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상부 유닛에 위치된 독취 유닛으로 플랫베드 스캔이 가능한 스캐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7141A (ja) * 1994-09-19 1996-04-02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3157928A (ja)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読取装置
JP2014022776A (ja) * 2012-07-12 2014-02-03 Sharp Corp 画像読取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4072717A (ja) * 2012-09-28 2014-04-21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932A (ja) 1991-08-30 1993-03-12 Canon Inc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9200400A (ja) * 1996-01-17 1997-07-31 Canon Inc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098592A (ja) * 1996-08-02 1998-04-14 Canon Inc 画像読取り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光学装置及び光学システム
JPH10129860A (ja) 1996-10-31 1998-05-19 Canon Inc 記録装置
JP3332893B2 (ja) 1998-10-07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22709B2 (ja) * 2004-03-08 2009-09-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4379611B2 (ja) * 2004-12-27 2009-1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2008040212A (ja) * 2006-08-08 2008-02-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両面画像形成方法
JP2009152737A (ja) * 2007-12-19 2009-07-09 Brother Ind Ltd 読取制御プログラム、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及び画像読取装置
JP2010130078A (ja) * 2008-11-25 2010-06-10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5533824B2 (ja) * 2011-09-09 2014-06-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複合機
JP6024105B2 (ja) * 2011-12-26 2016-1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供給装置
US20130193635A1 (en) * 2012-01-30 2013-08-01 Canon Kabushiki Kaisha Feeding apparatus
JP5995590B2 (ja) * 2012-07-31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リント用シート
JP2014160936A (ja) 2013-02-20 2014-09-04 Sharp Corp 原稿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56407B2 (ja) * 2013-10-29 2016-07-27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7141A (ja) * 1994-09-19 1996-04-02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3157928A (ja)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読取装置
JP2014022776A (ja) * 2012-07-12 2014-02-03 Sharp Corp 画像読取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4072717A (ja) * 2012-09-28 2014-04-21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31119B (zh) 2017-09-26
KR102006643B1 (ko) 2019-08-02
US9681008B2 (en) 2017-06-13
CN105731119A (zh) 2016-07-06
JP6579749B2 (ja) 2019-09-25
US20160191719A1 (en) 2016-06-30
JP2016127326A (ja)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612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JP5287943B2 (ja) 画像読取装置
JP5472219B2 (ja) 画像読取装置
US9049326B2 (en) Multifunction device with scanner unit offset from recording sheet tray
KR20160079704A (ko)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JP4581711B2 (ja) 画像記録装置
JP6545127B2 (ja) 画像読取装置
JP2012006672A (ja) 両面画像読取り方法
JP2003134284A (ja) 画像処理装置
JP200703662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多機能装置
JP3938027B2 (ja) 画像記録読み取り装置及びプリスキャン方法
JP2007336373A (ja) 電子機器
JP2018008765A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18008766A (ja) シート搬送装置
JP5686157B2 (ja) 画像読取装置
JP6562763B2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シート処理装置
JP2015023310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記録装置
JP6881903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6205541A (ja) 画像記録装置
JP2003143341A (ja) 画像読取記録装置
JP2023119871A (ja) 画像読取装置
JP2006240804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124625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シート処理装置
JP2000272765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KR20190125081A (ko) 화상독취를 위한 원고간 지간 제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