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777A -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777A
KR20160075777A KR1020167014528A KR20167014528A KR20160075777A KR 20160075777 A KR20160075777 A KR 20160075777A KR 1020167014528 A KR1020167014528 A KR 1020167014528A KR 20167014528 A KR20167014528 A KR 20167014528A KR 20160075777 A KR20160075777 A KR 20160075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upply
fuel gas
gas
solenoid valv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360B1 (ko
Inventor
기요시 데라카도
유타 후루카와
히로시 요시즈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042The valves being provided with fuel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ecombustion chambers
    • F02B19/10Engines characterised by precombustion chambers with fuel introduced partly into pre-combustion chamber, and partly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ecombustion chambers
    • F02B19/10Engines characterised by precombustion chambers with fuel introduced partly into pre-combustion chamber, and partly into cylinder
    • F02B19/1019Engines characterised by precombustion chambers with fuel introduced partly into pre-combustion chamber, and partly into cylinder with only one pre-combustion chamber
    • F02B19/108Engines characterised by precombustion chambers with fuel introduced partly into pre-combustion chamber, and partly into cylinder with only one pre-combustion chamber with fuel injection at least into pre-combustion chamber, i.e. injector mounted directly in the pre-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ecombustion chambers
    • F02B19/12Engines characterised by precombustion chambers with positive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43/00Engines characterised by operating on gaseous fuels; Plants including such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1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23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mass or volume flow
    • F02D19/024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mass or volume flow by controlling fuel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9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8Injectors
    • F02M21/0257Details of the valve closing elements, e.g. valve seats, stems or arrangement of flow passages
    • F02M21/026Lift valves, i.e. stem operated valves
    • F02M21/0269Outwardly opening valves, e.g. poppe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8Injectors
    • F02M21/0275Injectors for in-cylinder direct injection, e.g. injector combined with spark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22S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34Lateral camshaft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3/0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 F02B23/08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positive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02F2001/244Arrangement of valve stems in cylinder heads
    • F02F2001/245Arrangement of valve stems in cylinder heads the valve stems being orientated at an angle with the cylinder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부실(4)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부실 가스 공급로(5, 14, 28, 29)를 구비하며,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는 전자 밸브(23)를 거쳐서 연료 가스 공급원(24)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자 밸브가 개방되면,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에 따른 양의 연료 가스가 상기 연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부실 가스 공급로를 통해서 부실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가스 엔진 부실 가스 공급 장치로서, 전자 밸브(23)는 부실(4)에 소정량의 연료 가스가 공급되도록 그 개방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부실 가스 공급로(5, 14, 28, 29)에는, 전자 밸브(23)의 개방 시간을 연장하게 하는 스로틀부(3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AUXILIARY CHAMBER GAS SUPPLY APPARATUS FOR GAS ENGINE}
본 발명은, 부실을 갖는 가스 엔진에 적용되고, 전자 밸브를 개방하여 연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부실로 연료 가스를 공급할 때에,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에 의해 부실로의 연료 가스 공급량이 조정되도록 구성된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 엔진은, 일반적으로 연소실로서 주실(主室) 이외에 부실(副室)을 갖고 있다. 그리고, 부실에 있어서 혼합기(混合氣)를 착화하여 토치 화염을 생성하고, 이 토치 화염을 주실을 향해서 분출함으로써, 주실에 있는 혼합기를 연소하도록 되어 있다. 부실에는 주실보다 진한 혼합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주실과는 다른 공급로를 거쳐서 연료 가스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 엔진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가스 엔진에 있어서의 급·배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과 통내 압력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주실 전자 밸브 개방이란, 연료 공급원과 주실을 연결하는 주실 가스 공급로를 개폐하는 주실 전자 밸브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하게, 부실 전자 밸브 개방이란, 연료 공급원과 부실을 연결하는 부실 가스 공급로를 개폐하는 부실 전자 밸브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실 및 부실에 연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기간은, 통내 압력이 낮아지는 흡입 행정 등의 짧은 기간에 한정된다. 그리고, 부실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량은 이 부실 전자 밸브가 개방되는 짧은 시간에 의해 조정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10-150983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10-265835 호 공보
그런데, 전자 밸브는, 그 특성상 밸브의 개폐 속도에 개체차가 있어, 개폐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에 편차가 생겨버린다. 밸브의 개폐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에 편차가 생기면, 연료 가스의 공급량에도 편차가 생겨버린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개방 속도(표준)의 전자 밸브[도 6의 (a)]에 대하여, 밸브 개방 속도(대)의 전자 밸브[도 6의 (b)]에서는, 밸브 개방 속도가 빠른 정도만큼, 공급되는 연소 가스가 과잉이 되어버린다. 한편, 밸브 개방 속도(소)의 전자 밸브[도 6의 (c)]에서는, 밸브 개방 속도가 느린 정도만큼, 공급되는 연소 가스가 부족하게 되어버린다.
상술한 전자 밸브의 개체차에 기인하는 연료 가스 공급량의 편차는 부실에 연료 가스를 공급할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된다. 즉, 부실은 주실과 비교하여 용적이 작고, 전자 밸브가 개방되는 시간 자체가 짧기 때문에, 밸브 개폐 속도의 편차가 연료 가스 공급량의 편차에 큰 영향을 미쳐버린다. 연료 가스 공급량에 편차가 생기면, 예를 들어 연료 가스 공급량이 표준보다 적을 경우에는, 연소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반대로, 연소 가스 공급량이 표준보다 많을 경우에는, 연비(燃費)가 악화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복수의 기통간에 있어서 연소 가스 공급량에 편차가 생기면, 엔진 전체의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발명으로서, 부실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전자 밸브의 개체차에 기인하는 부실로의 연료 가스 공급량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어, 가스 엔진의 안정 연소와, 엔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는,
피스톤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획정되는 주실과, 상기 주실과 분사 구멍을 거쳐서 연통되는 부실과, 상기 부실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부실 가스 공급로를 구비하며,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는 전자 밸브를 거쳐서 연료 가스 공급원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자 밸브가 개방되면,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에 따른 양의 연료 가스가 상기 연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부실 가스 공급로를 통해서 부실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부실에 소정량의 연료 가스가 공급되도록 그 개방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에는, 상기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을 연장하게 하는 스로틀부(throttle portion)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부실에 소정량의 연료 가스가 공급되도록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부실 가스 공급로에는,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을 연장하게 하는 스로틀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로틀부에 의해 연료 가스의 단위 시간당의 공급량이 감소하는 정도만큼,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스로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보다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전자 밸브의 개폐 속도의 편차에 기인하는 연료 가스 공급량의 편차를 작게 하여, 가스 엔진의 안정 연소와, 엔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부가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에 형성된 오리피스(orifice)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부실 가스 공급로에 스로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오리피스에 의한 스로틀부는, 기존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에 대하여, 나중에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의 구성을 크게 변경하는 일없이, 스로틀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부가 부실 가스 공급로에 배치된 역지(逆止)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역지 밸브의 유량 계수가 0.05 내지 0.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량 계수가 0.05 내지 0.3의 범위의 역지 밸브를 부실 가스 공급로에 설치함으로써, 부실 가스 공급로에 설치하는 역지 밸브를 스로틀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스로틀부란,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가스의 단위 시간당의 공급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을 연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량 계수가 큰 역지 밸브(유량 계수가 0.3 이상)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곳의 스로틀부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실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전자 밸브의 개체차에 기인하는 부실로의 연료 가스 공급량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어, 가스 엔진의 안정 연소와, 엔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를 구비한 가스 엔진의 부실 주변의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스로틀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부실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 2 실시형태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를 구비한 가스 엔진의 부실 주변의 단면도,
도 5는 가스 엔진에 있어서의 급·배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과 통내 압력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부실 전자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와, 공급되는 연료 가스의 양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고,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를 구비한 가스 엔진의 부실 주변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실린더 헤드(1) 사이에는, 메인 연소실인 주실(60)이 획정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1)의 상부에 수실(水室)(1a)에 둘러싸여서 부실 구금(口金)(2)이 고정되어 있고, 이 부실 구금(2)의 내부에는 부실(4)[부실(4)의 중심을 4a로 표시함]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실(4)은 주실(60)과 분사 구멍(3)을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또한, 부실 구금(2)은 그 상부의 부실 상면이 점화 플러그 가압부(13) 및 가압 금구(金具)(12)에 의해 가압되어, 실린더 헤드(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점화 플러그(10)는 점화 플러그 가압부(13) 내에 장착 시트면을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 플러그 가압부(13)의 부실(4)의 주위에는, 보어 쿨(bore cool) 냉각 구멍(11s) 및 역지 밸브 삽입 구멍(6s)이 형성되어 있다. 보어 쿨 냉각 구멍(11s)은, 하측의 보어 쿨 가로 구멍(11a)(입구 구멍)으로부터, 점화 플러그(10)의 축심선(10a)에 평행한 복수의 보어 쿨 세로 구멍(종방향 냉각 구멍)(11)을 통해, 상방의 보어 쿨 가로 구멍(출구 구멍)으로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점화 플러그(10)의 고온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역지 밸브 삽입 구멍(6s)은 그 중심(6a)이 점화 플러그(10)의 중심(10a)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고, 역지 밸브 삽입 구멍(6s)의 하부에는, 역지 밸브 홀더(9)에 지지된 제 1 역지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역지 밸브(6)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역지 밸브 삽입 구멍(6s)의 내부가 역지 밸브 상방실(28)과 역지 밸브 하방실(29)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역지 밸브 하방실(29)과 부실(4)은 연락 구멍(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점화 플러그 가압부(13)의 측부에는, 연료 입구 커넥터(14a) 내에 천공된 연료 입구 통로(14)와 역지 밸브 상방실(28)이 연통하도록, 연료 입구 커넥터(14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연료 입구 커넥터(14a)는 점화 플러그 가압부(13)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점화 플러그 가압부(13)에 나사식으로 끼워져 연료 가스 입구부(14s)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료 입구 커넥터(14a)의 타단부는 부실 전자 밸브(23)를 거쳐서 연료 가스 공급원(24)과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 가스 공급원(24)은 연료 입구 통로(14)에 대하여 연료 가스를 대략 일정한 압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해당 토출압은 게이지압으로 0.08 내지 0.09Mpa로 되어 있다. 또한, 연료 입구 커넥터(14a)에는, 부실 전자 밸브(23)와 연료 가스 입구부(14s) 사이에 제 2 역지 밸브(22)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제 2 역지 밸브(22) 및 상술한 제 1 역지 밸브(6)는 함께 연료 가스 공급원(24)으로부터 부실(4)을 향하는 흐름만 허용하도록 되어 있고, 부실(4)로부터 연소 가스가 역류하여, 연료 입구 통로(14)에 그을음 등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부실 전자 밸브(23)는, 상시는 스프링 등에 의해 밸브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밸브체가 통전(通電)에 의해 솔레노이드부가 여자됨으로써, 상기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밸브 개방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전이 정지되면, 스프링력에 의해 밸브체가 밸브 개방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실 전자 밸브(23)로의 개폐 신호의 입력, 즉 통전의 온(on)/오프(off)는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각 센서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실 전자 밸브(23)와 제 2 역지 밸브(22) 사이에 스로틀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로틀부(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30a)로 구성되어 있다. 오리피스(30a)의 오리피스 직경(d0)은, 연료 입구 통로(14)의 구멍 직경이나 길이, 연료 가스 공급원에 있어서의 연료 가스의 공급압 등에 의해 약간 다르지만, 연료 입구 통로(14)의 관 직경(d1)에 대하여 1/5 내지 1/9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입구 통로(14)의 관 직경(d1)(7㎜)에 대하여, 오리피스 직경(d0)은 1㎜이며, d0=1/7d1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연료 입구 통로(14)의 연장은 약 300㎜가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는, 연료 가스 공급원(24)과 접속되는 부실 전자 밸브(23)에 밸브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솔레노이드부가 여자되어서 밸브체가 개방 작동하여, 연료 가스 공급원(24)으로부터 연료 입구 통로(14)로 연료 가스가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유출된 연료 가스는 연료 가스 입구부(14s)를 거쳐서 역지 밸브 상방실(28)로 유입되고, 역지 밸브 하방실(29)로부터 연락 구멍(5)을 거쳐서 부실(4)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술한 연료 입구 통로(14), 역지 밸브 상방실(28), 역지 밸브 하방실(29), 연락 구멍(5)에 의해, 부실(4)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본 발명의 부실 가스 공급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실(4)에 공급해야 할 연료 가스의 표준량은 부실(4)의 용적 및 주실(60)의 혼합기 농도 등으로부터 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실 전자 밸브(23)가 개방되어 있는 시간에 따라서 부실(4)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량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는, 상술한 오리피스(30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실(4)에 유입되는 단위 시간당의 연료 가스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 부실 전자 밸브(23)의 개방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부실 전자 밸브(23)는 그 특성상 밸브의 개폐 속도에 개체차가 있어, 개폐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에 편차가 생겨버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밸브의 개폐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에 편차가 생기면, 연료 가스의 공급량에도 편차가 생겨버린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해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가스의 공급량의 편차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개방 속도가 표준보다 클 경우에 있어서,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긴 실시예에서는, 단위 시간당에 흐르는 연료 가스의 양이 적기 때문에,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짧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밸브 개방 속도의 편차에 의한 연료 가스의 과잉분이 적어진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개방 속도가 표준보다 작을 경우에 있어서,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긴 실시예에서는, 단위 시간당에 흐르는 연료 가스의 양이 적기 때문에,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짧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밸브 개방 속도의 편차에 의한 연료 가스의 부족분이 적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실(4)에 소정량의 연료 가스가 공급되도록 부실 전자 밸브(23)의 개방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부실 가스 공급로에는, 부실 전자 밸브(23)의 개방 시간을 연장하게 하는 스로틀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로틀부(30)에 의해 연료 가스의 단위 시간당의 공급량이 감소하는 정도만큼, 부실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로틀부(3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보다 부실 전자 밸브(23)의 개방 시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부실 전자 밸브(23)의 개폐 속도의 편차에 기인하는 연료 가스 공급량의 편차를 작게 하여, 가스 엔진의 안정 연소와, 엔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로틀부(30)가 부실 가스 공급로에 형성된 오리피스(30a)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부실 가스 공급로에 스로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오리피스(30a)에 의한 스로틀부는, 기존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에 대하여, 나중에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의 구성을 크게 변경하는 일없이, 스로틀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를 구비한 가스 엔진의 부실 주변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러한 제 2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오리피스(30a)로 이루어지는 스로틀부가 형성되고 있지 않고, 대신에, 제 2 역지 밸브(22')가 스로틀부(30)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이 상술한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역지 밸브(22')는 그 밸브의 유량 계수(Cv)가 0.05 내지 0.3의 범위로 되어 있고, 일반적인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에서 사용되는 역지 밸브(유량 계수가 0.3 내지 0.9)보다 유량 계수가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료 가스의 압력을 감압하는 스로틀부(30)로서도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밸브의 유량 계수(Cv)는 일반적으로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
Cv = Q × √(G/ΔP/2)/A
(여기에서, Q는 유량, G는 유체의 비중, ΔP는 밸브 전후의 차압, A는 단면적임)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로틀부(30)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부실 전자 밸브(23)의 개방 시간이 길어지므로, 부실 전자 밸브(23)의 개폐 속도의 편차에 기인하는 연료 가스 공급량의 편차가 작아져서, 가스 엔진의 안정 연소와, 엔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역지 밸브(22')로서, 유량 계수가 0.05 내지 0.3의 범위의 역지 밸브를 부실 가스 공급로에 설치함으로써, 제 2 역지 밸브(22')를 스로틀부(30)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부실을 갖는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로서, 호적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피스톤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획정되는 주실과, 상기 주실과 분사 구멍을 거쳐서 연통되는 부실과, 상기 부실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부실 가스 공급로를 구비하며,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는 전자 밸브를 거쳐서 연료 가스 공급원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자 밸브가 개방되면,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에 따른 양의 연료 가스가 상기 연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부실 가스 공급로를 통해서 부실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밸브 개방도가 아니라, 상기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제어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실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량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에 스로틀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에 스로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부실에 소정량의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상기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상기 부실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의 단위 시간당의 공급량이 감소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부가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에 형성된 오리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부가 부실 가스 공급로에 설치된 역지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역지 밸브의 유량 계수가 0.05 내지 0.3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4. 피스톤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획정되는 주실과, 상기 주실과 분사 구멍을 거쳐서 연통되는 부실과, 상기 부실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부실 가스 공급로를 구비하며,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는 전자 밸브를 거쳐서 연료 가스 공급원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자 밸브가 개방되면,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에 따른 양의 연료 가스가 상기 연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부실 가스 공급로를 통해서 부실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를 복수 준비하고,
    상기 전자 밸브는, 밸브 개방도가 아니라, 상기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이 제어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실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량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각각의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에 스로틀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실 가스 공급로에 스로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부실에 소정량의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상기 전자 밸브의 개방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상기 부실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의 단위 시간당의 공급량을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사이에 있어서의 연료 가스 공급량의 편차를 억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사이에 있어서의 편차 억제 방법.
KR1020167014528A 2011-11-30 2012-11-19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KR101746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1846 2011-11-30
JP2011261846A JP5562927B2 (ja) 2011-11-30 2011-11-30 ガスエンジンの副室ガス供給装置
PCT/JP2012/079975 WO2013080829A1 (ja) 2011-11-30 2012-11-19 ガスエンジンの副室ガス供給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284A Division KR20140070669A (ko) 2011-11-30 2012-11-19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777A true KR20160075777A (ko) 2016-06-29
KR101746360B1 KR101746360B1 (ko) 2017-06-12

Family

ID=485352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284A KR20140070669A (ko) 2011-11-30 2012-11-19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KR1020167014528A KR101746360B1 (ko) 2011-11-30 2012-11-19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284A KR20140070669A (ko) 2011-11-30 2012-11-19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81119B2 (ko)
EP (1) EP2787192A4 (ko)
JP (1) JP5562927B2 (ko)
KR (2) KR20140070669A (ko)
CN (1) CN104136732B (ko)
WO (1) WO2013080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7582A (ja) * 2013-12-16 2015-06-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およびガスエンジンの組立方法
EP3012431B1 (en) * 2014-10-21 2017-11-22 Caterpillar Energy Solutions GmbH Pre-combustion chamber assembl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K3015679T3 (en) * 2014-10-31 2019-03-11 Winterthur Gas & Diesel Ag Cylinder for a piston combustion engine, piston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iston combustion engine
EP3034851B1 (de) * 2014-12-15 2019-06-05 Innio Jenbacher GmbH & Co OG Brennkraftmaschine
AT516257B1 (de) 2015-01-23 2016-04-15 Ge Jenbacher Gmbh & Co Og Verbrennungsmotor
KR102062999B1 (ko) * 2015-10-13 2020-01-06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프리챔버 배열체
JP6630576B2 (ja) 2016-01-21 2020-01-15 三菱重工エンジン&ターボチャージャ株式会社 副室式ガスエンジン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DE102016107669B4 (de) * 2016-04-26 2018-08-16 L'orange Gmbh Vorkammer-Zündkerzenanordnung
NO344301B1 (no) * 2018-09-20 2019-10-28 Bergen Engines As Et gasstilførselssystem for en gassmotor
CA3123305C (en) * 2018-12-21 2023-09-26 Innio Jenbacher Gmbh & Co Og Cylinder hea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16719U1 (de) * 2018-12-21 2020-07-15 Innio Jenbacher Gmbh & Co Og Zylinderkopf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GB2581398B (en) 2019-02-18 2021-03-31 Caterpillar Energy Solutions Gmbh Seal and method for a fuel gas supply to a pre-combustion chamber
CN115075987B (zh) * 2021-03-10 2024-02-2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燃室燃料气化混合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0983A (ja) 2008-12-24 2010-07-08 Mitsubishi Heavy Ind Ltd 点火プラグを備えたガスエンジン
JP2010265835A (ja) 2009-05-15 2010-11-25 Osaka Gas Co Ltd 副室式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489330A (en) * 1953-01-06 J. Kaniut Paul Fuel injector
CA1209196A (en) * 1983-04-11 1986-08-05 John D. Ridley Ignition sour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524922U (ja) * 1991-05-01 1993-04-02 神鋼造機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の副燃焼室空燃比制御装置
JPH08240152A (ja) 1995-03-03 1996-09-17 Mitsubishi Heavy Ind Ltd 副室式ガス機関用二重逆止弁
JPH0914057A (ja) 1995-04-26 1997-01-14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エンジンの始動時燃料供給装置
JP2000320369A (ja) * 1999-05-10 2000-11-21 Mitsubishi Heavy Ind Ltd 副室式ガスエンジンの副室燃料ガス供給量制御装置及び同制御装置を備えた副室式ガスエンジン
JP2004036424A (ja) * 2002-07-01 2004-02-05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ガス供給量制御装置、および同制御装置を備えた副室式ガスエンジン
US6994308B1 (en) * 2004-08-25 2006-02-07 Wei-Ching Wang In-tube solenoid gas valve
JP2007205236A (ja) 2006-02-01 2007-08-16 Nissan Motor Co Ltd 副室式内燃機関
CN2908805Y (zh) * 2006-04-18 2007-06-06 汤洪辉 燃气内燃机预燃室及其供气装置
JP4380691B2 (ja) * 2006-11-28 2009-1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副室式内燃機関
JP4796531B2 (ja) * 2007-03-30 2011-10-19 大阪瓦斯株式会社 エンジン
JP5074966B2 (ja) * 2008-03-14 2012-11-14 大阪瓦斯株式会社 エンジン
JP2011149308A (ja) 2010-01-20 2011-08-04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エンジンの副室ガス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0983A (ja) 2008-12-24 2010-07-08 Mitsubishi Heavy Ind Ltd 点火プラグを備えたガスエンジン
JP2010265835A (ja) 2009-05-15 2010-11-25 Osaka Gas Co Ltd 副室式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36732A (zh) 2014-11-05
CN104136732B (zh) 2016-10-12
KR20140070669A (ko) 2014-06-10
JP5562927B2 (ja) 2014-07-30
WO2013080829A1 (ja) 2013-06-06
US20150028239A1 (en) 2015-01-29
EP2787192A1 (en) 2014-10-08
US9581119B2 (en) 2017-02-28
KR101746360B1 (ko) 2017-06-12
JP2013113256A (ja) 2013-06-10
EP2787192A4 (en)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360B1 (ko) 가스 엔진의 부실 가스 공급 장치
KR101867140B1 (ko) 가스 내연 기관의 부실 연료 공급 장치
US9822692B2 (en) Fuel gas feed and ignition apparatus for a gas engine
WO2010074273A1 (ja) ガスエンジン
JP4698471B2 (ja) エンジン
US20100012092A1 (en)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fuel inject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E556216T1 (de) Kraftstoffeinspritzdüse
US20150369192A1 (en) Low Soot Dual Tip Variable Conicity Injector
JP5060353B2 (ja) 副室式エンジン
DE602006008377D1 (de) Einspritzdüse
JP5580939B2 (ja) 内燃機関用の燃料噴射弁
JP2007182792A (ja) 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システム。
JP5065168B2 (ja) エンジン
JP2011080389A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CN114961976A (zh) 外源点燃式内燃机
US71247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el injector
JP2006188976A (ja) 水素ガスエンジンと水素ガスエンジンに使用するインジェクター
CN208966463U (zh) 柴油机电控单体泵燃油循环装置
JP2005315101A (ja) ガス燃料用噴射弁
WO2015045600A1 (ja) 燃料噴射ポンプ
JP3752121B2 (ja) 燃料噴射装置および燃料噴射方法
JP2009530529A5 (ko)
JP4734351B2 (ja) 燃料噴射弁及び内燃機関
JP2010265898A (ja) 内方へ向かって開くインジェクタを備えたコンパクトな噴射装置
JP2010031684A (ja) 火花点火式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