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370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370A
KR20160047370A KR1020147035102A KR20147035102A KR20160047370A KR 20160047370 A KR20160047370 A KR 20160047370A KR 1020147035102 A KR1020147035102 A KR 1020147035102A KR 20147035102 A KR20147035102 A KR 20147035102A KR 20160047370 A KR20160047370 A KR 20160047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haft
grommet
leg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737B1 (ko
Inventor
소헤이 미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6004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플랜지부와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한 그로밋과, 머리부와 축부를 구비한 축체로 이루어지며, 축체가 그로밋에 대해서 압입되어 다리부를 확경시킨 로크위치, 더 압입되어 다리부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한 클립이다. 다리부는 내측에 형성된 다리부측 볼록부와, 다리부 선단측에서 다리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볼록부 벽면과, 다리부측 볼록부와 병설된 상태에서 다리부측 볼록부 형성부보다도 다리부 선단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연장 선단측이 다리부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다. 축부는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져서 다리부를 확경시키는 축부측 볼록부와,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다리부를 확경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오목부와, 볼록부 벽면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와, 가이드부에 대한 도피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그로밋(grommet)과 축체(軸體)의 2피스 타입의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체가 그로밋에 대해서 소정량 압입되면, 그로밋의 다리부가 직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진 확경상태{이하, 직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간단히 "확경(擴徑)"이라고도 한다}로 유지되는 로크위치와, 더 압입되면 상기 다리부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로크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한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9(a),(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클립을 나타내고 있다. 이 클립(10)은, 장착부재(30)에 형성된 제 1 장착구멍(34)의 주변에 맞닿는 기부(基部)(본 발명의 '플랜지부'에 상당)(20) 및 상기 기부(20)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되 직경방향 외측으로 확경(擴徑) 가능하며 제 1 장착구멍(34)과 피장착부재(32)에 형성된 제 2 장착구멍(36)에 삽입되는 복수의 몸통부 구성편(52)으로 구성되는 몸통부(본 발명의 '다리부'에 상당)(22)를 구비한 그로밋(12)과; 머리부(24) 및 상기 머리부(24)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기부(20)의 관통구멍에서 몸통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의해서 몸통부 구성편(52)을 확경시켜서 제 2 장착구멍(36)의 구멍 벽측에 몸통부 구성편(52)을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한 축부(26)를 구비한 핀(본 발명의 '축체'에 상당)(14);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클립(10)은, 핀(14)이 그로밋(12)에 대해서 소정량 압입되면,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 구성편(52)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본 발명의 '다리부측 볼록부'에 상당)(54)가 축부(26)에 형성된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본 발명의 '축부측 볼록부'에 상당)(40)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몸통부 구성편(52)을 확경시키는 로크위치와, 최대까지 더 압입되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볼록부(54)가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축부(26)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 끼워져 걸어맞춰짐으로써 몸통부 구성편(52)을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에서는, 도 9(b)의 상태에서 핀(14)을 그로밋(12)에 대해서 재사용 가능한 상측 위치로 되돌릴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걸어맞춤 볼록부(54)가 몸통부 선단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볼록부 벽면(54A) 및 기부측에서 몸통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볼록부 벽면(54B)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가 선단측에서 축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 및 머리부측에서 축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44C)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9(b)의 상태에서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밀어 되돌리면, 핀(1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그로밋(12)의 볼록부 벽면(54A)의 양호한 슬라이드 이동을 수반하면서 각 몸통부 구성편(52)이 외측 방향으로 부드럽게 탄성변형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12-137130호 공보
상기한 클립 구조에서는, 재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9(b)의 상태에서 클립을 각 부재의 장착구멍에서 빼낸 후, 핀을 그로밋에 대해서 머리부가 기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초기상태로 되돌린다. 재사용할 때에는, 상기 초기상태로 된 클립을 각 부재의 장착구멍에 삽입한 후, 핀을 도 9(a)에 나타낸 위치까지 압입 조작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클립은, 그로밋이 도 9(a)에 나타낸 확경상태로 오랫동안 놓여지게 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형이 진행되어 도 9(b)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리더라도 크리프(creep) 현상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완전하게는 복귀되지 않게 된다.
도 9(b)의 1점쇄선은 몸통부 구성편이 상기한 바와 같은 크리프 변형에 의해서 소정량 만큼 확경된 경우를 상정하고, 이 확경된 이후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재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몸통부 구성편이 벌어진 상태로 크리프 변형되면, 상기한 초기상태로 되돌린 후 각 부재의 장착구멍에 삽입할 때, 몸통부 구성편끼리의 최대 거리가 장착구멍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장착구멍에 삽입하기 어렵게 되며, 나아가서는 작업성이 나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사태는 장착구멍에 버(burr) 가 튀어나와 있으면 걸리기 쉬워지게 되므로 더욱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로밋의 다리부가 확경방향으로 크리프 변형되더라도 장착구멍에 대한 양호한 삽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재사용시의 작업성 저하요인을 없게 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분명하게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직경방향 외측으로 확경(擴徑) 가능한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한 그로밋과;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상기 다리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축부를 구비한 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체가 상기 그로밋에 소정량 압입되어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킨 로크위치와, 더 압입되어 상기 다리부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한 클립으로서,
상기 각 다리부는, 내측에 형성된 다리부측 볼록부와;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다리부 선단측에서 다리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볼록부 벽면과;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병설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 형성부보다도 다리부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리부 삽입용 장착구멍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 연장 선단측이 다리부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축부는,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키는 축부측 볼록부와; 상기 축부측 볼록부와 상기 머리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벽면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도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클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그로밋과 축체는 각각, 장착부재에 형성된 제 1 장착구멍의 주변에 맞닿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되 직경방향 외측으로 확경 가능하며 상기 제 1 장착구멍과 상기 장착부재를 장착하거나 연결하는 피장착부재에 형성된 제 2 장착구멍에 삽입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한 그로밋과;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상기 다리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켜서 상기 제 2 장착구멍의 구멍 벽측에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한 축부를 구비한 축체;이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은, 장착부재에 형성된 제 1 장착구멍의 주변에 맞닿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되 직경방향 외측으로 확경 가능하며 상기 제 1 장착구멍과 상기 장착부재를 장착하거나 연결하는 피장착부재에 형성된 제 2 장착구멍에 삽입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한 그로밋과;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상기 다리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켜서 상기 제 2 장착구멍의 구멍 벽측에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한 축부를 구비한 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체가 상기 그로밋에 소정량 압입되어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킨 로크위치와, 더 압입되어 상기 다리부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한 클립으로서,
상기 각 다리부는, 내측에 형성된 다리부측 볼록부와;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다리부 선단측에서 다리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볼록부 벽면과;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병설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 형성부보다도 다리부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각 장착구멍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 연장 선단측이 다리부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축부는,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키는 축부측 볼록부와; 상기 축부측 볼록부와 상기 머리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벽면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도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클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피장착부재로서는 일측 부재를 타측 부재에 겹쳐서 장착하는 구성, 양 부재를 겹친 상태에서 연결하는 구성, 장착부재나 피장착부재가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가)∼(마)에 기재되는 형태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 상기 장착구멍이 둥근 구멍이고, 상기 다리부가 대향하고 있는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다리부가 2개라고 하는 특정은, 예를 들면 클립이 작더라도 후술하는 실시형태와 같이 다리부의 폭 내에서 다리부측 볼록부와 가이드부를 형성하기 쉽게 되며, 또 장착구멍이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둥근 구멍형상의 구성이므로 매우 적합하게 된다.
(나) 상기 각 다리부는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각각 좌우 엇갈리게 형성하고 있고, 상기 축부는 상기 각 가이드부에 대응한 상기 도피부를 다른 측에 엇갈리게 형성하고, 또한 상기 각 도피부의 깊이가 축부의 두께의 중간위치에 이르고 있는 구성이다. 이 형태와 같이, 각 다리부에 있어서의 다리부측 볼록부와 가이드부를 좌우 엇갈리게 형성하고 있으면, 예를 들면 장착구멍에 대한 각 가이드부의 안내작용을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축부에 있어서의 각 가이드부에 대응한 도피부 및 다리부측 볼록부에 대응한 축부측 볼록부를 다른 측, 즉 후술하는 실시형태와 같이 서로 등을 지고서 반대향향으로 향하는 양측에서 엇갈리게 형성하기 쉽게 된다. 게다가, 각 도피부의 깊이가 축부의 두께의 대략 중간위치에 이르고 있으면, 가이드부나 축부측 볼록부를 도피부의 깊이에 대응하여 좀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 상기 오목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서는, 축부의 오목부가 관통구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부측 볼록부의 돌출 치수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다리부의 최대 확경 치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라) 상기 축체는, 상기 축부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그로밋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서는, 축체측의 돌출부에 의해서 그로밋의 각 다리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오로지 직선방향으로 작동하게 되어 장착구멍에 대한 안정한 삽입성이나 전환 조작성을 유지하기 쉬워지게 된다.
(마) 상기 축체는, 상기 축부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상기 축부측 볼록부의 걸어맞춤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측 관통구멍의 끼워맞춤 가장자리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상태로 되고, 상기 그로밋에 더 압입되면, 탄성변형에 의해서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끼워맞춤상태가 해제되는 탄성편(27)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서는, 탄성편이 축체의 로크위치에서 관통구멍의 끼워맞춤 가장자리부에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축체가 과도한 압입력에 의해서 로크해제위치까지 잘못 전환될 우려를 방지하기 쉬운 점, 축체가 더 압입되어 로크위치에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탄성편이 탄성변형에 의해서 관통구멍의 끼워맞춤 가장자리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로크 해제력이 반복 조작에 의해서도 저하되기 어렵고, 게다가 탄성변형을 수반하면서 통과하였을 때에 클릭음 등에 의해서 로크해제위치로의 전환완료를 인식하기 쉬워지는 점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축체가 그로밋에 대해서 소정량 압입되어 다리부를 확경시키는 로크위치와, 더 압입되어 다리부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하다는 이점에 더하여, 재사용하는 조작에 있어서, 다리부가 확경방향으로 크리프 변형되었더라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양호한 작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각 발명의 클립은, 다리부가 확경방향으로 크리프 변형되더라도, 연장 선단측을 다리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한 가이드부에 의해서 청구항 1의 다리부 삽입용 장착구멍 혹은 청구항 2의 각 부재의 장착구멍에 대한 양호한 삽입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장착구멍에 형성되는 버 등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함으로써 재사용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클립을, 그로밋에 축체를 삽입한 과정을 90도 회전한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그로밋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반단면으로 한 정면도, (c)는 하면도, (d)는 반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그로밋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도 2(c)의 A-A선 단면도, (b)와 (c)는 도 2(d)의 B-B선 단면도와 c-c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축체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축체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도 4(a)의 D-D선 단면도, (b)와 (c)는 도 4(a)의 E-E선 단면도와 F-F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축체를 그로밋에 삽입한 삽입상태를 나타내며, (a)와 (b)는 그로밋을 도 2(a),(b)와 같이 반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c)는 도 6(a)에 나타낸 축체의 일부를 반단면으로 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7은 상기 축체를 그로밋에 압입한 그로밋의 확경상태를 나타내며, (a)와 (b)는 그로밋을 도 2(a), (b)와 같이 반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c)는 도 7(a)에 나타낸 그로밋 및 축체의 일부를 반단면으로 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8은 상기 축체를 그로밋에 더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며, (a)와 (b)는 그로밋을 도 2(a), (b)와 같이 반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c)는 도 8(a)에 나타낸 그로밋 및 축체의 일부를 반단면으로 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의 구조를 나타내며, (a)는 특허문헌 1의 도 3을 나타내고, (b)는 특허문헌 1의 도 4와 함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문을 기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클립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 후, 주된 작동을 명확하게 한다.
[구조]
일 실시형태의 클립(3)은, 플랜지부(10) 및 이 플랜지부(10)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직경방향 외측으로 확경 가능한 복수의 다리부(15)를 구비한 그로밋(1)과; 머리부(20) 및 이 머리부(20)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플랜지부(10)에 형성된 관통구멍(13)에서 다리부(15) 내측으로 삽입됨에 의해서 다리부(15)를 확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축부(25)를 구비한 축체(2);로 이루어지며, 축체(2)가 그로밋(1)에 대해서 소정량 압입되어 다리부(15)를 확경시킨 로크위치와, 더 압입되어 다리부(15)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한 타입이다.
우선, 그로밋(1)은 도 1(a),(b)와 도 2(a)∼(d)와 도 3(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성형체이며, 플랜지부(10)로서는 대략 원반형상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부(11)와 이 오목부의 바닥면(12)을 관통한 관통구멍(13)을 가지고 있고, 각 다리부(15)로서는 내측에 형성된 다리부측 볼록부(4)와, 이 다리부측 볼록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다리부 선단측에서 다리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볼록부 벽면(4a)과,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병설된 상태에서 이 다리부측 볼록부(4)를 형성하고 있는 다리부측 볼록부 형성부보다도 다리부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부(5)와, 선단측 외주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브(18)를 가지고 있다.
그 중, 오목부(11)는 축체의 머리부(20)에 대응한 대략 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닥면(12)에는 축체의 축부(25)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13)이 형성됨과 아울러, 각 다리부(15)의 기단부가 대향하는 개소에 연결되어 있다. 관통구멍(13)은 대략 직사각형상이며, 각 다리부(15)의 기단부 양측 부분에 후술하는 축부측의 돌출부(28)가 관통하는 4개의 삽입구멍(13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관통구멍(13)의 주연부 중 다리부(15)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있어서, 삽입구멍(13a)과 삽입구멍(13a)의 사이를 형성하고 있는 개소에는 후술하는 축부의 탄성편(27)의 돌조(27a)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와, 각 삽입구멍(13a)과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의 사이에 4개의 탄성 규제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의 하면측은, 도 2(b) 및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의 돌조(27a)를 수용할 수 있는 도려낸 작은 공간(12b)으로 되어 있다. 각 탄성 규제부(12c)는 탄성변형에 의해서 후술하는 축부의 가로 리브(29a)의 통과를 허락함으로써, 그로밋(1)에 대해서 축체(2)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부호 14는 플랜지부(10)의 이면의 일부를 잘라낸 오목부이다. 도 1 및 도 2(c)에 나타내는 부호 15a는 바닥면(12)에 연결되어 있는 다리부(15)의 기단부이다.
다리부(15)는 서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 2개의 다리부로 이루어진다. 각 다리부(15)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측 볼록부(4)와 가이드부(5)가 엇갈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 다리부(15)는 일측 다리부의 다리부측 볼록부(4)와 타측 다리부의 가이드부(5)가 대략 대향하고, 일측 다리부(15)의 가이드부(5)와 타측 다리부의 다리부측 볼록부(4)가 대략 대향하는 관계이다. 또, 다리부측 볼록부(4)와 가이드부(5)는 각 다리부(15)의 선단측에 있어서,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판부의 좌우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부측 볼록부(4)는 각 다리부(15)의 선단 내면(의 편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선단이 다리부끼리의 중간 근처까지 돌출되어 있다. 또, 다리부측 볼록부(4)의 하단측 내지는 다리부 선단측은,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 선단측에서 다리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볼록부 벽면(4a)으로 되어 있다. 즉, 볼록부 벽면(4a)은 다리부측 볼록부(4)로부터 멀어질수록 내측보다 외면(16) 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이다. 한편, 다리부측 볼록부(4)의 상단측 내지는 플랜지부(10) 측은,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 내면(17)에서 다리부측 볼록부(4) 방향으로 경사진 볼록부 벽면(4b)으로 되어 있다. 즉, 볼록부 벽면(4b)은 다리부측 볼록부(4)로부터 멀어질수록 내측보다 외면(16) 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이다.
가이드부(5)는 다리부측 볼록부(4)와 대략 병설된 상태에서 이 다리부측 볼록부 형성부{볼록부 벽면(4a)}보다도 다리부 선단측으로 연장되고, 또 후술하는 장착구멍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 연장 선단측을 다리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한 경사부(5a)로 형성하고 있다{도 2(a),(b) 참조}. 리브(18)는 다리부 외면(16)의 폭의 대략 중간에 형성되되 다리부 선단에서부터 다리부 상하 중간보다 약간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부호 19는 다리부 외면(16)의 양측에 형성되되 선단측에서부터 플랜지부(10) 직전까지 연장되어 있는 리브이다. 도 3(c)에 나타내는 부호 17b는 다리부 내면(17)의 중간부(17a)를 제외한 양측 부분에 형성된 작은 리브이다.
계속해서, 축체(2)는 도 1(a),(b)와 도 4(a)∼(b)와 도 5(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성형체이며, 머리부(20) 및 이 머리부(20)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된 축부(25)를 가지고 있다.
머리부(20)는 그 상하면(21,22)이 평탄하며{도 4(b) 참조}, 상기 오목부(11)에 헐겁게 수용되는 크기의 대략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25)는 그로밋측 관통구멍(13)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측 볼록부(4)와 걸어맞춰져서 다리부(15)를 확경시키는 축부측 볼록부(6)와, 가이드부(5)에 대한 홈형상의 도피부(7)와, 축부측 볼록부(6)와 머리부(20)의 사이에 형성되며 다리부측 볼록부(4)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다리부(15)를 확경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오목부(23)와, 볼록부 벽면(4a)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23a)와, 그로밋(1)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돌출부(28,28)와, 다리부측 볼록부(4)와 축부측 볼록부(6)의 걸어맞춤상태에서 플랜지부측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에 끼워맞춰지는 탄성편(27)을 가지고 있다.
그 중, 축부(25)는 그 기단부가 머리부(20)의 하면 중앙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의 선단이 점차 가늘어지는 테이퍼(25a)로 되어 있다. 1쌍의 탄성편(27)은, 축부(25)의 상측 축부분(26)의 머리부(20) 측에 있어서, 축부의 좌우에 각각 'ㄱ'자형의 슬릿(24)을 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각 탄성편(27)은 상단에 돌조(27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측 축부분(26)에는 각 슬릿(24)을 따라서 돌출된 작은 리브(26a)와, 각 슬릿(24)의 하측에 형성된 세로 홈(26b)과, 각 돌조(27a)와 대향하는 양 측면의 상측에서 머리부 하면(22)과 일체화되어 있는 작은 돌기(22a)가 형성되어 있다. 작은 리브(26a)는,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15)가 축부(25)에 의해서 확경된 로크위치에서 다리부(15)의 기단부측에 압접됨으로써 간극을 흡수한다. 세로 홈(26b)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측의 작은 리브(17b)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가이드부이다. 작은 돌기(22a)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27a)가 작은 공간(12b)에 수용된 상태에서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에 끼워맞춰진다.
돌출부(28,28)는 축부(25)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1쌍씩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도 6(a)∼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다리부(15)의 4개의 삽입구멍(13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부호 29는 축부의 양측을 따라서 형성된 세로 리브, 부호 29a는 세로 리브(29)의 일부에 연이어 형성된 가로 리브이다. 이것들은 도 6(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체(2)가 그로밋(1)에 초기 삽입될 때에 세로 리브(29)가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 리브(29a)가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의 탄성변형을 수반하면서 통과한다. 이 구조에서는, 가로 리브(29a)가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를 일단 통과하면, 축체(2)가 그로밋(1)에 대해서 거꾸로 놓이더라도 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부측 볼록부(6) 및 도피부(7)는 축부 선단측의 좌우에 병설됨과 아울러, 다리부측 볼록부(4) 및 가이드부(5)에 대응하여 정면측과 배면측에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관계는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 우측의 축부측 볼록부(6)와 배면 우측의 도피부(7)가 서로 등을 지고서 반대향향으로 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정면 좌측의 도피부(7)와 배면 우측의 축부측 볼록부(6)가 서로 등을 지고서 반대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각 축부측 볼록부(6)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축부 선단에서부터 오목부(23)의 맞닿음부(23a)보다 약간 아래까지 완만하게 돌출된 융기부(6a)와, 맞닿음부(23a)의 직하에 형성된 작은 오목부(6b)를 가지고 있다{도 4(a), 5(a) 참조}. 즉, 이 구조에서는, 축체(2)가 그로밋(1)에 소정량 압입되는 과정에서, 다리부측 볼록부(4)가 융기부(6a)의 선단에서 작은 오목부(6b) 측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다리부(15)를 확경시킨 로크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다리부측 볼록부(4)가 작은 오목부(6b)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다리부(15)를 확경시킨 로크위치를 유지한다.
각 도피부(7)는 축부 선단에서부터 도중까지를 비교적 얕게 형성한 유도홈(7a)과, 유도홈(7a)과 오목부(23)의 직전까지를 깊게 형성한 유동홈(7b)으로 이루어지며, 그로밋(1)에 대한 축체(2)의 압입에 의해서 가이드부(5)가 유도홈(7a)에서 유동홈(7b)으로 이동하여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즉, 이 구조에서는, 다리부측 볼록부(4)가 작은 오목부(6b)에서 오목부(23)로 이동하여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가이드부(5)가 유동홈(7b)에 끼워져 도피한다. 또, 이 구조에서는,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피부(7)의 깊이가 축부(25)의 두께의 대략 중간위치에 이르고 있어, 가이드부(5)나 다리부측 볼록부(4)를 도피부(7)의 깊이에 대응하여 좀더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목부(23)는 상측 축부분(26){또는 세로 홈(26b)}과 유동홈(7b)의 사이 및 양측의 돌출부(28)와 돌출부(28)의 사이에 직사각형의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23a)는 작은 오목부(6b)의 상측에서 오목부(23)의 관통구멍 내로 향해서 경사져 있다. 맞닿음부(23a)의 상측은 각 도피부(7)의 깊이와 마찬가지로 축부(25)의 두께의 대략 중간위치에 이르고 있다. 한편, 오목부(23)인 관통구멍의 상단측은 오목부(23) 내에서 상측 축부분(26)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3b)으로 되어 있다.
[작동]
이하, 이상의 클립 구조의 주된 작동특징을 도 6(a)∼도 8(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 클립(3)은, 도 1(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체(2)의 축부(25)를 그로밋(1)의 관통구멍(13)에 삽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축부의 가로 리브(29a)가 그로밋의 탄성 규제부(12c)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함으로써 축체(2)가 그로밋(1)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며, 도 6(a),(b)의 임시조립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축체(2)가 그로밋의 다리부(15)의 내측으로 삽입, 즉 축부(25)의 선단이 다리부측 볼록부(4)에 거의 맞닿아서 규제될 때까지 삽입된다. 각 다리부(15)는 축부의 대응하는 돌출부(28)와 돌출부(28)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그로밋(1)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여 그로밋(1)에 대한 축체(2)의 이동을 직선방향으로 규제한다.
(나) 도 6(a),(b)의 사용례는, 장착부재(8)가 피장착부재(9)에 대해서 서로의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을 일치시킨 상태로 겹쳐져 있으며, 상기한 클립(3)이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 삽입 조작된다. 이 경우, 클립(3)은, 다리부(15)끼리의 최대 거리가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의 직경(X)에 삽입 가능한 치수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10)가 장착부재의 제 1 장착구멍(8a)의 주변에 맞닿을 때까지 각 다리부(15)가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 삽입된다. 또, 이 구조에서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다리부(15)가 그 선단측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브(18,19)를 가지고 있고, 이 리브(18,19)를 통해서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리브(18,19)를 통해서 접촉면적을 줄이고, 이것에 의해서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 형성되기 쉬운 버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 도 7(a)∼(c)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다리부(15)를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 삽입한 후, 축체(2)가 그로밋(1)에 대해서 소정량 압입되어 다리부(15)를 확경시킨 로크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축체(2)가 그로밋(1)에 소정량 압입되는 과정에서, 축부측 볼록부(6)가 다리부측 볼록부(4)에 맞닿아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각 다리부(15)를 축부측 볼록부(6)의 돌출형상을 따라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변위시킨다. 축체(2)는, 다리부측 볼록부(4)가 축부측 볼록부의 융기부(6a)를 통해서 작은 오목부(6b)에 걸어맞춰짐으로써, 각 다리부(15)를 직경방향 외측으로 벌린 확경상태로, 즉 로크위치에 유지한다. 이 확경상태에서는, 각 다리부(15)가 제 2 장착구멍(9a)의 구멍 벽측에 밀어붙여짐으로써 이 밀어붙여진 부분과 플랜지부(10)의 사이에 장착부재(8)와 피장착부재(9)를 협지한 상태로 되며, 이것에 의해서 장착부재(8)가 피장착부재(9)에 장착되거나 부재(8,9)끼리가 연결 가능하게 된다.
(라) 도 8(a)∼(c)는 축체(2)가 로크위치에서 더 압입되어 다리부(15)를 확경상태에서 본래의 축경(縮徑)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축체(2)가 도 7(a)∼(c)의 로크위치에서 압입 조작되면, 다리부측 볼록부(4)가 작은 오목부(6b)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후, 경사면인 맞닿음부(23a)에 맞닿아 확경상태에서 축경상태로 변위되면서 오목부(23)로 들어간다. 이때, 가이드부(5)는 유도홈(7a)에서 유동홈(7b)으로 이동하여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즉 가이드부(5)가 유동홈(7b)으로 도피하기 때문에, 각 다리부(15)의 축경상태로의 작동을 해치지 않는다. 또, 이 구조에서는, 오목부(23)가 관통구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부측 볼록부(4)의 돌출치수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마) 또, 이 구조에서는, 축체(2)가 로크위치에서 압입 조작되면, 축체의 탄성편(27)이 탄성변형에 의해서 그 돌조(27a)가 오목부 바닥면측의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를 통과하여 그 하측의 작은 공간(12b)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축체(2)가 압입되어 로크위치에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탄성편(27)이 탄성변형에 의해서 관통구멍(13)의 가장자리인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를 통과하기 때문에, 로크 해제력이 반복 조작에 의해서도 저하되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탄성변형을 수반하면서 통과하였을 때의 클릭음 등에 의해서 로크해제위치로의 전환완료를 인식하기 쉬워지게 된다.
(바) 이상의 클립(3)은 도 8(a)∼(c)의 상태에서 플랜지부(10) 등을 이용하여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서 빼낸다. 그리고, 재사용할 때에는, 예를 들면 축체(2)를 그로밋(1)에 대해서 축부 선단측을 빼내는 방향으로 빼내거나 플랜지부(10)에서 돌출된 머리부(20)를 이용하여 잡아당김으로써 도 6(a)∼(c)의 임시조립상태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는, 탄성편(27)은 탄성변형에 의해서 그 돌조(27a)가 작은 공간(12b)과의 끼워맞춤이 해제된 후 다시 끼워맞춤 가장자리부(12a)에 끼워맞춰진다. 이때에도 이 구조에서는 탄성편(27)의 클릭음 등에 의해서 전환완료를 인식하기 쉬워지게 된다.
(사) 도 6(b) 및 도 8(b)의 1점쇄선은, 실선으로 나타낸 다리부(15)에 대해서 확경방향으로 크리프 변형된 다리부(15)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에는, 클립을 재사용할 때에 그로밋의 다리부(15)가 확경방향으로 크리프 변형되어 있으면, 다리부 삽입용 장착구멍에 대한 삽입 조작에 고충이 있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클립(3)은, 다리부(15)가 확경방향으로 크리프 변형되어 있더라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 대한 양호한 삽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이상의 클립(3)은, 그로밋의 다리부의 구성으로서, 각 다리부(15)에 있어서의 다리부측 볼록부(4)와 가이드부(5)를 좌우로 병설하고 있고, 또 가이드부(5)가 다리부측 볼록부(4)를 형성하고 있는 볼록부 벽면(4a)보다도 다리부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연장 선단측이 다리부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5a)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각 다리부(15)가 1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크리프 변형에 의해서 확경되어 있더라도, 다리부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5a)끼리의 사이의 거리(L)가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의 직경(X)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다리부의 경사부(5a)를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 부드럽게 끼워넣으면서 압입 조작하면, 각 다리부(15)를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 원터치로 삽입할 수 있다. 이 작용은 각 부재(8,9)의 제 1, 제 2 장착구멍(8a,9a)에 대한 양호한 삽입성을 유지하고, 또한 예를 들면 제 1 장착구멍(8a)에 버 등이 있더라도 그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재사용시의 작업성 저하요인을 없앰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되며, 세부는 실시형태를 참고로 하여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예로서는, 탄성편 등을 생략하여 간소화하거나, 반대로 도 8(a)∼(c)의 상태에서 그로밋 내지는 클립을 장착구멍에서 빼낼 때에 이용하는 홈이나 돌기부 등을 플랜지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013년 9월 1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3-194431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7)

  1.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직경방향 외측으로 확경(擴徑) 가능한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한 그로밋과;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상기 다리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축부를 구비한 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체가 상기 그로밋에 소정량 압입되어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킨 로크위치와, 더 압입되어 상기 다리부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한 클립으로서,
    상기 각 다리부는, 내측에 형성된 다리부측 볼록부와;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다리부 선단측에서 다리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볼록부 벽면과;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병설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 형성부보다도 다리부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리부 삽입용 장착구멍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 연장 선단측이 다리부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축부는,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키는 축부측 볼록부와; 상기 축부측 볼록부와 상기 머리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벽면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도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장착부재에 형성된 제 1 장착구멍의 주변에 맞닿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되 직경방향 외측으로 확경 가능하며, 상기 제 1 장착구멍과 상기 장착부재를 장착하거나 연결하는 피장착부재에 형성된 제 2 장착구멍에 삽입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한 그로밋이고,
    상기 축체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상기 다리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확경시켜서 상기 제 2 장착구멍의 구멍 벽측에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한 축부;를 구비한 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멍이 둥근 구멍이고, 상기 다리부가 대향하고 있는 2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부는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각각 좌우 엇갈리게 형성하고 있고,
    상기 축부는 상기 각 가이드부에 대응한 상기 도피부를 다른 측에 엇갈리게 형성하고, 또한 상기 각 도피부의 깊이가 축부의 두께의 중간위치에 이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는, 상기 축부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그로밋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는, 상기 축부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측 볼록부와 상기 축부측 볼록부의 걸어맞춤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측 관통구멍의 끼워맞춤 가장자리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상태로 되고, 상기 그로밋에 더 압입되면, 탄성변형에 의해서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끼워맞춤상태가 해제되는 탄성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147035102A 2013-09-19 2014-09-09 클립 KR101673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4431 2013-09-19
JP2013194431A JP6126958B2 (ja) 2013-09-19 2013-09-19 クリップ
PCT/JP2014/073823 WO2015041103A1 (ja) 2013-09-19 2014-09-09 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70A true KR20160047370A (ko) 2016-05-02
KR101673737B1 KR101673737B1 (ko) 2016-11-07

Family

ID=5268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102A KR101673737B1 (ko) 2013-09-19 2014-09-09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50933B2 (ko)
EP (1) EP3048314B1 (ko)
JP (1) JP6126958B2 (ko)
KR (1) KR101673737B1 (ko)
CN (1) CN105556139B (ko)
WO (1) WO2015041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1514B2 (ja) 2015-03-26 2018-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取付クリップとそれを用いた被取付物取付構造
JP6229687B2 (ja) * 2015-03-26 2017-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取付クリップとそれを用いた被取付物取付構造
JP6850773B2 (ja) 2018-08-22 2021-03-31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7115935B2 (ja) * 2018-08-27 2022-08-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留め具
CN109681500A (zh) * 2019-02-15 2019-04-26 东莞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用自锁卡扣及制造使用方法
WO2020208802A1 (ja) * 2019-04-12 2020-10-15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継手構造体及びその組立方法
CN111059478B (zh) * 2019-12-16 2020-11-03 克莱门斯工业传感器南京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气体检测设备
CN115263889B (zh) * 2022-06-16 2023-06-27 广东卡诺亚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件、板材连接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106A (en) * 1988-09-29 1990-08-28 Nifco, Inc. Fastener having separate portions for engaging two panels to be secured together
JP2004239316A (ja) * 2003-02-04 2004-08-26 Daiwa Kasei Ind Co Ltd 取付け構造
JP2012026553A (ja) * 2010-07-27 2012-02-09 Nifco Inc クリップ
JP2012137130A (ja) 2010-12-24 2012-07-19 Nifco Inc 2ピースクリップ
JP5027919B2 (ja) * 2008-03-25 2012-09-1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011A (ja) 1986-12-26 1988-07-06 株式会社 ニフコ 板の結合具
JP2572819Y2 (ja) * 1992-02-13 1998-05-25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スクリューグロメット
US5286152A (en) * 1992-12-08 1994-02-15 Illinois Tool Works Inc. Rivet fastener with push-in releasable drive pin
US7736107B2 (en) 2004-03-30 2010-06-15 Piolax, Inc. Clipping device
JP4499614B2 (ja) * 2004-05-31 2010-07-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JP4520920B2 (ja) 2005-08-22 2010-08-11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N101688549B (zh) 2007-07-12 2011-11-30 百乐仕株式会社 扣件
JP5336284B2 (ja) * 2009-07-15 2013-11-06 株式会社ニフコ 2ピースクリップ
JP5680915B2 (ja) * 2010-09-14 2015-03-04 株式会社ニフコ プッシュリベ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106A (en) * 1988-09-29 1990-08-28 Nifco, Inc. Fastener having separate portions for engaging two panels to be secured together
JP2004239316A (ja) * 2003-02-04 2004-08-26 Daiwa Kasei Ind Co Ltd 取付け構造
JP5027919B2 (ja) * 2008-03-25 2012-09-1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JP2012026553A (ja) * 2010-07-27 2012-02-09 Nifco Inc クリップ
JP2012137130A (ja) 2010-12-24 2012-07-19 Nifco Inc 2ピース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1103A1 (ja) 2015-03-26
JP6126958B2 (ja) 2017-05-10
CN105556139A (zh) 2016-05-04
JP2015059628A (ja) 2015-03-30
EP3048314B1 (en) 2019-12-11
CN105556139B (zh) 2017-07-14
EP3048314A1 (en) 2016-07-27
KR101673737B1 (ko) 2016-11-07
EP3048314A4 (en) 2017-04-26
US20160223003A1 (en) 2016-08-04
US9850933B2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737B1 (ko) 클립
JP5420991B2 (ja) コネクタ
US9103363B2 (en) Two-piece clip assembly
US8636454B2 (en) Fastener
JP4485281B2 (ja) 留め具
JP4885638B2 (ja) プロテクタ
US11649912B2 (en) Pipe connector
JP2018071750A (ja) 車両用固定部品
JP5974091B2 (ja) バックル
JP2018089070A (ja) 針組立体
JP2012167692A (ja) クリップ及び結合構造
JP6396277B2 (ja) クリップ
JP2010112508A (ja) 押込みタイプの固定具
JP2006234035A (ja) 嵌合構造
JP3215771U (ja) バックル
JP6897458B2 (ja) クリップ取付け座
JP5138450B2 (ja) 二部材組み付け構造
JP4638389B2 (ja) クリップ
JP5787441B2 (ja) 配管用コネクタ
KR101575402B1 (ko) 클립
JP6284075B2 (ja) コネクタ
JP2014009783A (ja) 留め具及び留め具の取付方法
JP2019026225A (ja) マット固定具
JP2010151223A (ja) 高強度ワンプッシュクリップ
JP2017031516A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