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987A -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987A
KR20160043987A KR1020167006464A KR20167006464A KR20160043987A KR 20160043987 A KR20160043987 A KR 20160043987A KR 1020167006464 A KR1020167006464 A KR 1020167006464A KR 20167006464 A KR20167006464 A KR 20167006464A KR 20160043987 A KR20160043987 A KR 20160043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pindle
longitudinal grooves
switching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632B1 (ko
Inventor
지몬 메어스만
킬리안 마싱
마쿠스 홀츠베르거
하르트무트 크레머
요헨 로젠펠트
플로린 도브레
아드리안 후수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04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21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the mechanical spring being a coi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05Suspension lo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6Means for locking the suspension
    • B60G2204/4604Means for locking the suspension mechanically, e.g. using a hook as anticreep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87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using planetary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와 휠 캐리어(wheel carrier)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조정 위치와 하부 조정 위치 사이에서 서로를 향해 변위 가능한 2개의 부품(2, 3)을 이동시키는 이동 나사부(4)(movement thread)를 포함하는,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이동 나사부(4)에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스핀들(7) 및 스핀들 너트(8)로 형성되어 상호 작용 결합되는 2개의 나사부 부분이 제공되며, 이때 일측 나사부 부분은 일측 부품에 축방향으로고정되어 회전 구동부(6)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수용되고, 타측 나사부 부분은 타측 부품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수용된다. 이동 나사부(4), 특히 작용 결합을 높은 기계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동 나사부(4)의 나사부 부분(A, B)의 작용 결합을 직결(lockup) 하는 전환 가능한 로킹 수단(18)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차체와 휠 캐리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조정 위치와 하부 조정 위치 사이에서 서로를 향해 변위 간으한 2개의 부품을 이동시키는 이동 나사부(movement thread)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나사부에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스핀들(spindle) 및 스핀들 너트(spindle nut)로 형성된 2개의 나사부 부분이 제공되며, 상기 일측 나사부 부분은 일측 부품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수용되고, 타측 나사부 부분은 타측 부품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다.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들은 특히, 평평한 차도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의 스트럿(strut), 스트럿 베어링(strut bearing), 또는 휠 캐리어에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지상고를 높이거나 낮출 목적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EP 2 332 756 A2호에 따라 스트럿의 수용부와, 스트럿의 예압된 스프링의 상부 스프링 시트 사이에, 또는 EP 1 953 013 A2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휠 캐리어를 수용하는 부품, 예컨대 슬리브 부분(sleeve portion)과 하부 스프링 시트 사이에, 높이 조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의 작동이 예를 들어, 스핀들 구동부 또는 볼 스핀들 구동부와 같은 이동 나사부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를 이용하여 수행됨에 따라, 예를 들어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스핀들과 이로부터 회전 구동되며 축방향으로 고정된 스핀들 너트의 회전 운동으로부터, 고정 부품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스트럿 부품에 대한 상기 고정 부품의 축방향 변위가 수행되고, 이로써 상부 조정 위치와 하부 조정 위치 사이에서 지상고의 상응한 설정을 통해 스트럿 및 이와 더불어 차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높이 조정이 달성된다. 이 경우, 스트럿에 고정된 휠에 의해 흡수된 충격이 이동 나사부에, 특히 볼 나사 구동부의 볼 및 이들 볼의 궤도륜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바람직하게 개선하는 것이며, 상기 높이 조정 장치의 이동 나사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격에 대하여 하중을 덜 받는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1에 종속되는 청구항들은 청구항 1의 대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재현한다.
제안된 장치는, 차체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서, 또는 개별 축 혹은 차체, 예를 들어 상응하는 구조물 등을 갖춘 차체, 즉 차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예를 들어, 고속에서는 차체를 하강시키고 저속에서는 차체를 상승시킴으로써 속도에 따른 레벨 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공기 저항 또는 공기 유동의 감소/최적화를 통해 추진제 절약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재량이 높은 경우 차체, 예를 들어 차량 후미의 상승이 실시되거나, 차량의 적재 편의를 위해 하강이 실시됨으로써, 적재 보상 또는 적재 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한 승차/하차 보조도 달성될 수 있다. 비포장 도로 주행 능력은 더 큰 지상고에 도달하기 위해 차량을 상승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로드 홀딩(road holding)은 차체를 하강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응하는 제어 시스템, 예를 들어 차량의 롤링 제어 또는 피칭(pitching) 제어와 연계하여, 피칭 및 롤링이 저지되거나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휠에 배치된 장치들이 바람직하게 하나의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이로써 각각의 개별 휠이 특정 노면 여기 상태(excitation)에 (프로)액티브하게 매칭될 수 있음으로써, 스카이 훅(Sky-Hook) 원리에 따른 차체 안정이 달성될 수 있다.
기술적 및 경제적 측면에서, 20mm 내지 70mm 이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50mm 사이의 두 조정 위치 간의 행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2개 조정 위치 사이에서의 조정 속도는 5mm/sec 내지 100mm/sec이며, 바람직하게는 5mm/sec 내지 20mm/sec가 유리하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설치 장소는 차량의 하나의 축 또는 모든 축의 스트럿이다. 이동 나사부는 바람직하게 스트럿의 댐퍼에 대해 동축으로 제공된다. 이때, 이동 나사부는 조정 위치 및 이로써 스트럿의 고정 부품과 스프링 시트 간의 행정을 조정한다. 그 대안으로, 차체의 스트럿 베어링 영역에서, 예를 들어 댐퍼 튜브와 차체로의 연결부 사이에서 상부 스프링 시트 위로의 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 나사부는 하부 스프링 시트 아래에서 스프링 시트와 휠 캐리어 사이에, 예를 들어 휠 연결부와 스프링 댐퍼 유닛의 연결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 나사부는 각각 하나의 부품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할당된 2개의 나사부 부분을 구비하며, 이들은 서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나사부 부분들은 서로 작용 결합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이들은 부품의 상이하게 조정될 이동 위치들에서 축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을 상호 지지한다. 작용 결합의 형성은 나사부 부분들의 나사부 섹션들 사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이들 사이에서 롤링하는 회전체, 예를 들어 볼 또는 롤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 나사부 부분은 부품들 중 하나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타측 나사부 부분은 타측 부품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 가능한 나사부 부분은, 이동 나사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회전 구동부, 예를 들어 전동기에 의해 양쪽 회전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부 부분들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스핀들 및 이 스핀들 상에 회전할 수 있게 수용된 스핀들 너트로 형성된다. 이 경우, 스핀들 또는 스핀들 너트가 회전 구동되며, 이때 각각 타측 나사부 부분(스핀들이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는 스핀들 너트, 또는 스핀들 너트가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는 스핀들)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으면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고, 하부 조정 위치와 상부 조정 위치 사이에서 상기 두 부품 간의 간격과 같은 축방향 변위를 조정한다.
이동 나사부, 특히 축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나사부 부분들 간의 작용 결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 조정 위치와 하부 조정 위치 간의 작용 결합은 적어도 한 번 기계적으로 직결(lockup) 된다. 이를 위해 전환 가능한(shiftable) 로킹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로킹 수단은 상부 및/또는 하부 조정 위치에서 그리고/또는 그 사이에 있는 임의의 위치에서 작용 결합의 전환 가능한 직결을 제공해준다. 더 넓은 의미에서, 이동 나사부의 직결이란 이동 나사부의 작용 결합의 직결로 이해될 수 있다. 부품의 상부 조정 위치와 하부 조정 위치 사이에서 작용하는 로킹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 나사부의 작용 결합을 기계적으로 직결하고 전환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 결합부가 제공된다. 가장 간단하게는, 각각 부품들의 간격이 최소일 때 상부 조정 위치에 하나의 형상 결합이 서로에 대해 전환 가능하게 제공되고, 부품들의 간격이 최대일 때 하부 조정 위치에 하나의 형상 결합부가 서로에 대해 전환 가능하게 제공된다.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적재 상태 등이 상이한 경우 각각 2개 부품의 상응하는 간격을 조정하는 이동 나사부를 직결하는 동시에, 높이가 충분히 매칭된 상태에서 2개 부품의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들 축방향 극단 위치들 사이에 전환 가능한 하나 이상의 프리휠이 제공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환 가능한 형상 결합부가 볼 포인트 펜(ballpoint pen) 원리에 따라, 부품들 상호 간의 축방향 변위에 의존해서 전환되는 로킹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로킹 수단은 예를 들어, 주연부에 걸쳐 분포 배치된 로킹 캠(locking cam)을 가지며 스핀들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고정 수용된 로킹 링을 포함한다. 이들과 상호 작용하여 스핀들 너트에는, 예를 들어 하나의 램프 링으로 형성되고 주연부에 걸쳐 분포 배치되는 상승형 전환 램프(shifting ramp)와, 주연부에 걸쳐 분포된 종방향 그루브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이들 종방향 그루브 내에서 로킹 링의 로킹 캠이 안내된다. '축방향 지지'라는 표현은, 종방향 그루브 및 전환 램프가 부품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예를 들어 차체와 휠 캐리어 사이에서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스핀들 너트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스핀들 너트가 고정되어 있고 스핀들이 회전 구동되면, 전환 램프 및 종방향 그루브가 스핀들 너트와 고정 연결될 수 있는 한편, 스핀들 너트가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는 종방향 그루브 및 전환 램프가 스핀들 너트에 대해 회전 결합이 해제되도록, 다시 말해 스핀들 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에 대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스핀들 너트가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회전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축방향 지지'라는 표현은, 종방향 그루브 및 전환 램프가 하우징 내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핀들 너트가 회전 구동될 때에는 전체 하우징이 스핀들에 대해 상승 및 하강한다. 이 경우, 스핀들은 제1 부품에 고정되어 있거나 제1 부품을 형성하고, 하우징은 제2 부품을 형성하거나 제2 부품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스핀들 너트와 스핀들 사이에서는, 로킹 링의 로킹 캠이 이동 나사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종방향 그루브 내에 수용되고, 로킹 포켓에 충돌할 때 형상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로킹 포켓과 종방향 그루브에 의해 축방향 형상 결합부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핀들 너트에 종방향 그루브를 갖는 가이드 슬리브(guide sleeve)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수용된다. 스핀들이 회전 구동되는 경우, 가이드 슬리브는 스핀들 너트와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접, 코킹(caulking) 및/또는 로킹될 수 있는 한편, 스핀들 너트가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는, 가이드 슬리브가 바람직하게 회전 결합 해제되어 스핀들 너트에 예를 들어 축방향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가이드 슬리브는 주연부에 걸쳐 분포된 종방향 그루브 및 로킹 포켓을 구비하며, 이들 로킹 포켓은 예를 들어 판금으로 제조된 가이드 슬리브 내부에 바람직하게 다이컷(die-cut)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거나, 슬리브로부터 종방향 슬롯으로서 절삭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방향 그루브는 종방향 슬롯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종방향 그루브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각각 주연부에 걸쳐 분포된, 바람직하게는 세 가지의 상이한 길이를 갖는 그룹을 형성하며, 이들 길이는 로킹 포켓에 의해 축방향으로 제한된다.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나사부 부분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로킹 캠이 바람직하게 가장 긴 종방향 그루브 내에서 안내된다. 이 경우, 로킹 캠의 배치는, 제1 축방향 형상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종방향 그루브의 로킹 포켓에서 상부 조정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로킹 캠이 종방향 그루브로부터 밖으로 빠지면, 로킹 캠이 전환 램프에 접근할 때 로킹 링이 회전함에 따라, 로킹 캠은 더 짧은 종방향 그루브의 그룹을 향해 정렬된다. 회전 구동부의 회전 방향이 반전되면, 로킹 캠이 더 짧은 종방향 그루브 내부로 삽입되고, 이동 경로가 단축되면 상응하게 관련 로킹 포켓에 충돌하며, 상부 조정 위치에 대한 간격이 단축되면 상기 로킹 포켓과 축방향 형상 결합부를 형성한다. 전환에 따라, 다시 말해 전환 램프 위치에서의 로킹 링의 회전에 따라, 로킹 캠은 예를 들어 하부 조정 위치, 상부 조정 위치 또는 적어도 이들 사이에 놓인 축방향 조정 위치에서 축방향 형상 결합을 조정한다. 상이한 길이의 종방향 그루브 그룹의 개수에 따라, 상응하는 개수의, 예를 들어 2개 내지 6개의, 바람직하게 3개의 상이한 축방향 조정 위치에 이동 나사부를 직결하는 형상 결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조정 위치에서는 종방향 그루브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게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이들 종방향 그루부는 거의 생략된다.
원하는 로킹 위치의 종방향 그루브에서의 로킹 캠의 위치 설정은, 로킹 캠과 전환 램프 사이에서의 상응하는 개수의 전환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전체 전환 과정은, 회전할 수 있는 나사부 부분의 제1 회전 방향에서는 현재 종방향 그루브로부터의 로킹 캠의 이탈, 전환 램프로의 로킹 캠의 접근, 전환 램프의 램프 기울기를 따르는 로킹 캠의 슬라이딩에 의한 로킹 링의 회전, 전환 램프의 주변 스토퍼에서의 충돌에 의한 원주 방향으로 다음 조정 위치로의 조정, 회전 구동부의 회전 방향 반전 및 원주 방향으로 다음 그룹의 종방향 그루브 내부로의 로킹 캠의 삽입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종방향 그루브에 대한 로킹 캠의 지속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주연 스토퍼와 같은 스토퍼가 종방향 그루브의 종방향 축과 같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변위되고, 종방향 그루브의 입구와 로킹 캠이 서로 상보적인 삽입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삽입 경사면에 의해 로킹 캠이 종방향 그루브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로킹 링이 약간, 다시 말해 전환 램프의 램프 길이보다 짧은 둘레만큼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럼으로써, 로킹 캠은 다음 전환 과정에서 종방향 그루브로부터 새로 이탈할 때 재차 전환 램프의 기울기에 충돌하게 되고, 회전이 없는 경우와 같이 전환 램프의 스토퍼에 직접 충돌하지 않게 된다.
로킹 캠이 다른 그룹의 종방향 그루브 내부로 삽입되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게 전환 과정이 자주 반복된다. '회전 구동부의 회전 방향 반전'이라는 표현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회전 구동부로서 제공된 전동기의 극성 반전(pole reversal)으로 이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구동부와 회전 구동된 나사부 부분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기어에서의 회전 방향의 전환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의 회전 방향이 반전되고, 로킹 캠이 상응하는 종방향 그루브 내에서 이동되거나 또 다른 전환 과정을 도입하기 위해 종방향 그루브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로킹 캠과 로킹 포켓 사이에 형성된 형상 결합은 재차 중단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로킹 수단은 조정 위치들 사이에서 다단으로 형성된, 그리고 각각 주연부에 걸쳐 계단 모양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된 로킹 링, 전환 램프 및 가이드 슬리브를 갖춘 전환 가능한 형상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이동 나사부는 상부 조정 위치와 하부 조정 위치 사이에 있는 조정 위치들에서도 형상 결합부의 전환에 의하여 하중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핀들이 회전 구동되는 경우 스핀들 너트가 가이드 슬리브에 의해서 제1 부품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수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사 방향 내부로 확장된 노우즈 형상부는 이동 나사부의 방사 방향 내부에 배치된 제1 부품의 슬리브의 종방향 슬롯 내부에, 예를 들어 스트럿의 댐퍼 튜브 또는 추가 슬리브에 결합된다. 스핀들 너트가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고정 수용된 회전 구동부, 가이드 슬리브 및 전환 램프를 갖춘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스핀들 너트는 예를 들어 축방향 베어링에 의해서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회전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 경우, 하우징은 제1 부품을 형성하고, 휠 캐리어와 고정 연결될 수 있는 한편, 스핀들은 제2 부품으로서의 스트럿의 스프링 시트에 할당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프링 시트에 고정될 수 있다. 스핀들 너트의 회전 구동부에서는, 이 스핀들 너트가 스핀들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회전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축방향 이동은 차량 차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휠 캐리어와 스프링 시트 사이에서 설정된다.
회전 구동된 나사부 부분의 회전 구동과 같은 구동은 예를 들어 접촉 정류된 또는 브러시 없는, 전자식으로 정류된 직류 전동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직류 전동기의 회전자는 부품에 대해 축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회전 구동된 나사부 부분은 벨트 구동부 또는 톱니 휠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이동 나사부는 사다리꼴 나사 구동부, 유성 롤러 기어 또는 바람직하게는 볼 나사 구동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볼 나사 구동부의 구름면은 롤링되거나, 압연되거나, 연삭 가공되거나, 선반 가공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안된 장치에 의한 로킹은 예를 들어 회전 특성 값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모니터링, 전동기의 전기적인 변수 등을 통해서 모니터링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조절될 수 있거나, 형상 결합부의 형성 시 스토퍼의 간단한 활주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 경우:
도 1은 이동 나사부 및 로킹 수단이 제공된 장치를 갖춘 장치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부분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다양한 부품 그룹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가이드 슬리브 및 로킹 링을 상부 조정 위치에서 도시하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장치의 가이드 슬리브 및 로킹 링을 하부 조정 위치에서 도시하며,
도 6은 장치를 하부 조정 위치 및 상부 조정 위치에서 비교하여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7은 세 가지 상이한 조정 위치에 배치된 형상 결합을 갖춘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하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로킹 수단의 축방향 위치들을 비교한 도면을 도시하고,
도 9는 선행 도면들에 도시된 장치들에 비해 회전 구동된 스핀들 너트를 구비하여 형성된 장치를 절단된 3D 도면으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장치를 벨트 구동부를 바라보고 완전한 3D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본 도면에 다만 암시적으로만 도시된 제1 부품(2), 예를 들어 스트럿의 댐퍼 튜브와 마찬가지로 다만 암시적으로만 도시된 제2 부품(3), 예를 들어 스트럿의 스프링 시트 사이에 배치된 이동 나사부(4) - 본 도면에서는 볼 나사 구동부 - 를 구비한 장치(1)를 사시도로 보여준다. 실시예에 따라, 각각 하나의 부품은 차체에 할당되어 있고, 타측 부품은 휠의 휠 캐리어에 할당되어 있다. 이동 나사부(4)는 2개의 부품(2, 3)을 서로 2중 화살표(5)의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각각 제공된 회전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전동기(6)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벨트 또는 톱니 휠 연결부를 이용해서 제1 부품(2)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스핀들(7)을 구동시킨다. 스핀들(7) 상에는, 스핀들 너트(8)가 이 스핀들 너트 상에 고정 수용된 가이드 슬리브(9)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슬리브(9)의 노우즈 형상부(10)가 스핀들(7)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리브(13)의 종방향 슬롯(11) 내부에 결합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를 절단된 3D 도면으로 보여준다. 슬리브(13)는 전동기(6)의 모터 캐리어(14)와 연결되어 있다. 슬리브(13)에는, 롤링 베어링(15)에 의해서 스핀들(7)이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스핀들(7)이 전동기(6)에 의해 구동될 때에는, 스핀들 및 스핀들 너트(8)가 전동기(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나사부(4)는 스핀들(7) 형상의 나사부 부분(A), 스핀들 너트(8) 형상의 나사부 부분(B) 및 이들 사이에서 롤링하는 볼(17)을 포함하는 볼 나사 구동부(16)로서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 부분(A, B) 사이에서 볼(17)이 작용 결합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이동 나사부(4)의 작용 결합을 적어도 최대 행정에서의 상부 조정 위치에서 그리고 - 본 도면에 도시된 - 행정 없는 하부 조정 위치에서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로킹 수단(18)이 제공되어 있다. 로킹 수단(18)은, 스핀들(7)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고정 수용되어 있고 주연부에 걸쳐 분포되어 방사 방향 외부로 확장되는 로킹 캠(20)을 갖춘 로킹 링(19), 가이드 슬리브(9) 및 스핀들 너트(8)의 정면에 배치된 램프 링(21)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로킹 수단(18)의 기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장치(1)를 상세도(D1)에 도시된 가이드 슬리브(9) 및 상세도(D2)에 도시된 볼 나사 구동부(16)를 구비한 단면도로 보여준다. 가이드 슬리브(9)는 본 실시예에서 몰딩 또는 밀링 가공된 그리고 주연부에 걸쳐 분포된 긴 종방향 그루브(22)를 구비하고, 이들 종방향 그루브는 자체 단부에 로킹 포켓(23)을 구비한다. 로킹 포켓(23a)을 갖춘 짧은 종방향 그루브(22a)가 긴 종방향 그루브(22)와 교대로 주연부에 걸쳐 제공되어 있다.
램프 링(21) 내에 수용된 전환 램프(25)는 로킹 캠(20)과의 협력에 의해서, 로킹 캠(20)이 가이드 슬리브(9)에 대해 어떤 원주 위치를 취할지를 제어한다. 스핀들(7) 상에 수용된 스핀들 너트(8)는 정면에서 로킹 링(19) 쪽을 향하여, 둘레가 상승하도록 배치된 전환 램프(25)를 갖춘 램프 링(21)을 구비한다. 롤링 베어링(26)에 의해 단부 측에서 스핀들(7)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킹 링(19)은 방사 방향 외부로 확장되는 로킹 캠(20)을 구비하며, 이들 로킹 캠은 원주 방향으로의 자신의 간격을 기준으로 종방향 그루브(22) 또는 종방향 그루브(22a)와 동일선상에 놓여 있다. 이로부터, 상응하게 볼 포인트 펜 원리를 따르는 로킹 수단(18)의 기능이 나타난다.
처음에, 하부 조정 위치에서는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로킹 캠(20)이 가이드 슬리브(9)의 종방향 그루브(22) 내에서 로킹 포켓(23)에 있다. 그럼으로써, 도 3에 상응하게 제1 형상 결합이 축방향으로 나타나게 되고, 그 결과 하부 조정 위치에서 스핀들(7)은 기계적으로 볼(17)을 통해 스핀들 너트의 롤링 베어링을 우회해서 스핀들 너트(8)에 대해 지지 되어 있다. 스핀들(7)이 전동기(6)(도 1)에 의해서 회전되면, 로킹 캠(20)이 종방향 그루브(22)로부터 배출되어 램프 링의 전환 램프(25)에 충돌할 때까지, 스핀들 너트(8)가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로킹 링(19)은 전환 램프(25)의 피치(pitch)로 인해, 로킹 캠(20)이 스토퍼(24)(도 3)에서 전환 램프(25)의 각각 하나의 스토퍼(24)에 충돌하고 이로써 로킹 포켓(23)을 갖춘 마주 놓인 종방향 그루브(22a)에서 위치 설정되도록 회전된다. 종방향 그루브(22, 22a)에 대한 스토퍼(24)의 변위로 인해, 로킹 링(19)은 로킹 캠(20)이 삽입 경사면(27, 28)에 의해 종방향 그루브(22, 22a) 내부로 삽입될 때 종방향 그루브(22, 22a)에서 그리고 로킹 캠(20)에서 새로이 회전되며, 그 결과 로킹 캠(20)이 전환 램프(25)로 복귀할 때에는 전환 램프(25)를 따라 스토퍼(24)로의 새로운 회전 및 이로써 새로운 전환 과정이 비로소 가능해진다.
전동기(6)(도 1)의 회전자의 회전 방향 반전에 의해 스핀들 너트(8)가 이동한 후에는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설정된 상부 조정 위치에서 볼 나사 구동부(16)의 롤링 베어링을 우회하여, 가이드 슬리브의 로킹 포켓(23a) 사이에서 그리고 이로써 스핀들 너트(8)와 로킹 캠(20) 사이에서 그리고 이로써 로킹 링(19)을 통해 스핀들(7)과 기계적인 축방향 형상 결합이 나타난다. 스핀들 너트(8)가 뒤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로킹 캠(20)이 재차 종방향 그루브(22a)로부터 배출된다. 램프 링(21)의 전환 램프(25)에서의 새로운 정지 동작은, 로킹 캠(20)이 재차 종방향 그루브(22)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로킹 링(19)을 재차 회전시키게 되고, 그 결과 스핀들 너트(8)는 전동기의 회전 방향 반전 후에 재차 하부 조정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동기(6)(도 1)의 제어는 예를 들어 전동기의 회전자, 스핀들 등의 회전수, 회전각 등과 같은 회전 특성 값을 감지하는 상응하는 센서 장치를 이용해서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작동 전압, 작동 전류, 필요한 전력 등과 같은 전동기의 전기적인 작동 변수를 평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6은, 슬리브(13)와 스핀들(7) 사이에 배치된 슬리브(29), 가이드 슬리브(9), 축방향 베어링의 외부 링으로서 형성되었고 장치(1)의 행정(h)을 확정하는 하부 조정 위치[Ⅰ(좌측)] 및 상부 조정 위치[Ⅱ(우측)]에서 종방향 그루브(22)의 로킹 캠(20) 및 로킹 포켓(23)을 갖춘 로킹 링(19)를 구비한 장치(1)를 보여준다. 하부 조정 위치(Ⅰ)에서는, 형상 결합이 볼 나사 구동부(16)를 우회하기 위하여 로킹 포켓(23)과 로킹 캠(20) 사이에 그리고 이로써 스핀들(7)과 스핀들 너트(8)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상부 조정 위치(Ⅱ)에서는, 형상 결합이 볼 나사 구동부(16)를 우회하기 위하여 로킹 포켓(23a)과 로킹 링(19)의 로킹 캠(20) 사이에 그리고 이로써 마찬가지로 스핀들 너트(8)와 스핀들(7)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도 7은, 선행 도면들의 장치(1)에 비해 변경된 장치(1a)를 보여주며, 이 경우 변경된 장치는 선행 도면들의 장치와 달리, 축방향으로 전환 될 수 있는 형상 결합을 이용해서 이동 나사부(4)를 직결하는 세 가지 조정 위치를 갖는다. 장치(1)에 상응하게, 본 도면의 가이드 슬리브(9) 내에는 종방향 슬롯으로서 도시되어 있고 로킹 포켓(23, 23a)을 갖춘 종방향 그루브(22, 22a)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종방향 그루브는 원주 위치에 따라 로킹 링(19)의 로킹 캠(20)을 수용하고, 이들과 함께 상부 조정 위치 또는 하부 조정 위치에서 축방향 형상 결합을 형성한다. 장치(1a) 내에는, 장치(1)와 달리, 종방향 그루브(22, 22a)의 길이와 단부 측에 배치된 로킹 포켓(23b) 사이에서 길이를 갖는 또 다른 종방향 그루브(22b)가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는 주연부에 걸쳐 균일하게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전환 램프(25a)의 피치는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의 개수에 상응한다.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의 전환과 같은 선택 및 이로써 가이드 슬리브(9)를 갖춘 스핀들 너트(8)의 스핀들(7)에 대한 축방향 정지 위치의 선택은 상응하게 로킹 캠(20)이 전환 램프(25a)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먼저 로킹 링(19)의 회전에 의해서 로킹 캠(20)이 스토퍼(24)를 향해 회전되고, 이로써 다음 종방향 그루브를 향해 - 본 경우에는 종방향 그루브(22)로부터 종방향 그루브(22b)를 향해 - 정렬되어 있다. 종방향 그루브(22b)의 로킹 포켓(23b)과의 축방향 형상 결합이 거의 절반 행정에서는 로킹 포켓(23a)에서의 상부 조정 위치와 로킹 포켓(23)에서의 하부 조정 위치 사이에서 조정되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스핀들(7)의 회전 방향 반전에 의해서 로킹 캠(20)이 로킹 축(23b)을 향해 이동된다. 그와 달리, 원주 방향으로 하나 건너 다음의 종방향 그루브(22a)가 선택되어 상부 조정 위치에서 형상 결합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경우에는, 전환 과정이 다시 한 번 반복된다. 로킹 캠(20)이 각각 원주 방향으로 후속하는 전환 램프(25a)를 향해 정렬되는 과정은, 도 3 이하에 기술되어 있고 로킹 캠(20)의 삽입 경사면(28)과 상호 작용하는 삽입 경사면(27)에 상응하는 삽입 경사면(27a)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로킹 포켓(23a)을 이용하여 상부 조정 위치에서 형상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종방향 그루브(22a)가 매우 짧게 형성되거나 완전히 생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치(1a)를 세 가지 조정 위치(Ⅰ, Ⅱ, Ⅲ)에서 보여준다. 하부 조정 위치(Ⅰ)에서는, 가이드 슬리브(9)와 스핀들 사이에서의 조정이 최소이고, 로킹 링(19)의 로킹 캠(20)은 로킹 포켓(23)과 제1의 축방향 형상 결합을 형성한다. 조정 위치(Ⅲ)에서는, 로킹 링(19)의 로킹 캠(20)이 가이드 슬리브(9)에 대한 스핀들의 부분 행정(h1)에서 로킹 포켓(23b)과 제2의 축방향 형상 결합을 형성한다.
가이드 슬리브(9)가 스핀들에 대해 바람직하게 부분 행정(h1)에 상응하는 부분 행정(h2)만큼 더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부 조정 위치(Ⅰ)에 대해 행정(h)만큼 이동된 조정 위치(Ⅱ)에 도달하게 되며, 이 조정 위치에서는 로킹 포켓(23a)이 로킹 링(19)의 로킹 캠(20)과 제3의 축방향 형상 결합을 형성한다.
도 9는, 부품(2b, 3b) 사이에서 작용하도록 배치된 이동 나사부(4b)를 갖춘 장치(1b)를 보여준다. 이동 나사부(4b)는 나사부 부분(A, 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나사부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8의 이동 나사부(4)에 비해, 회전 구동되었고 축방향으로 고정 수용된 스핀들 너트(8b)의 형상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치된 스핀들(7b)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핀들 너트(8b)가 회전 구동부(6b), 예를 들어 전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될 때에는 스핀들(7b)이 2개의 부품(2b, 3b)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킨다.
부품(2b, 3b)이 최소로 이동한 경우에 상부 조정 위치에 도시된 장치(1b)는 부품(2b)에 할당된 그리고 슬리브(31b)를 갖춘 하우징(30b)을 구비한다. 하우징(30b) 및 이로써 부품(2b)은 예를 들어 휠 캐리어 등과 연결되어 있는 한편, 스핀들(7b)은 예를 들어 스트럿의 스프링 시트와 연결된 부품에 고정 수용되어 있다. 스핀들 너트(8b)는 하우징(30b) 내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그리고 도면에서 볼 수 없는 롤링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다. 스핀들 너트(8b)는 회전 구동부(6b)와 스핀들 너트(8b) 사이에 배치된 벨트(32b)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핀들(7b)의 축방향 전진 이동이 회전 구동부(6b)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변경됨으로써, 결과적으로 2개 조정 위치 사이에서의 스핀들(7b)의 이동은 무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30b)과 부품(3b) 사이에서는, 회전 구동부(6b)가 활성화된 경우에, 이 회전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 나사부(4b)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이 조정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휠 캐리어와 스트럿의 간격 및 이로써 노면에 대한 차체의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된다.
도 10은, 슬리브(31b)(도 9)가 수용된 상태에서, 스핀들 너트(8b)와 회전자(33b) 사이에 배치된 벨트(32b)를 바라보고, 도 9에 도시된 장치(1b)를 보여준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다단의 로킹 수단(18b)에 대한 도면이 개시되며, 이 로킹 수단은 하우징(30b)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고 스핀들 너트(8b)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축방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된 가이드 슬리브(9b), 및 가이드 슬리브(9b)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배치된 램프 링(21b), 및 스핀들(7b) 상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고정 수용되어 있고 주연부에 걸쳐 분포 배치된 로킹 캠(20b)을 갖춘 로킹 링(19b)(도 9)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 슬리브(9b)에 대한 가이드 슬리브(9b) 및 램프 링(19b)의 축방향 지지는 슬리브(31b)를 갖춘 하우징(30b)(도 9)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로킹 캠(20b), 예를 들어 주연부에 걸쳐 분포된 3개의 로킹 캠(20b)은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를 따라, 가이드 슬리브(9b)에 대한 로킹 링(19b)의 정렬에 따라서, 로킹 포켓(23, 23a, 23b)에 있는 스토퍼에까지 이동한다. 이 경우, 종방향 그루브(22a)는, 하부 조정 위치에서 부품(2b, 3b)이 최대 이격되어배치된 경우에 2개 부품(2b, 3b) 사이에서 축방향의 형상 결합에 도달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로써 이동 나사부(4b)(도 9)의 작용 결합을 직결 하기 위하여,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전환 위치에서는, 로킹 캠(20b)이 종방향 그루브(22) 내에서 로킹 포켓(23)과 충돌하는 장소에 있고, 이로써 상부 최종 위치에서 부품(2b, 3b)의 이동이 최소인 경우에 이동 나사부(4b)를 직결하는 형상 결합을 형성한다. 2개 부품(2b, 3b)이 이동하는 동안에는, 부품(2b, 3b) 사이의 이동 경로를 활용할 수 있기 위하여, 로킹 캠(20b)이 바람직하게 종방향 그루브(22) 내에 있다. 이와 같은 배치가 반드시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로킹 캠(20b)이 또한 종방향 그루브(22b) 내에서도 안내될 수 있다.
로킹 포켓(23, 23a, 23b)을 갖춘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 간의 교체 및 이로써 조정될 축방향 형상 결합의 축방향 위치의 선택은, 램프 링(21b)에서의 로킹 링(19b)(도 9)의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스핀들 너트(8b)의 회전에 의해서 로킹 캠(20b)은 램프 링(21b)의 전환 램프(25b)를 향해 이동된다. 전환 램프(25b)와 로킹 캠(20b)의 서로 상보적인 프로파일은, 로킹 캠(20b)이 전환 램프(25b) 사이에 있는 스토퍼(24b)에 충돌할 때까지, 램프 링(19b)의 회전을 야기한다. 스토퍼(24b)가 주연부에 걸쳐 위치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회전 구동부(6b)의 회전 방향이 반전되는 경우에 로킹 캠(20b)은 원주 방향으로 볼 때 다음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를 향해 정렬된다. 이 경우, 로킹 캠(20b) 및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에 있는 삽입 경사면(27b, 28b)은 로킹 링(19b)의 부분 회전에 의해서 다음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 내부로 삽입될 때, 로킹 링(19b)이 뒤로 이동하는 경우에 로킹 캠(20b)이 다음 전환 램프(25b) 상에 충돌하도록 보장하고, 로킹 캠(20b)이 다음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 및 이로써 로킹 포켓(23, 23a, 23b)을 향해 정렬됨으로써 로킹 링(19b)의 새로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증해준다.
로킹 링(19b)의 각각의 이동에 의해서는, 원주 방향으로 볼 때 다음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가 각각 제어된다. 종방향 그루브(22, 22b, 22a)의 길이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길게, 중간 길이로, 짧게 배열된 경우에, 상기와 같은 제어는, 로킹 링(19b)의 단 한 번의 전환에 의해서, 짧은 그루브(22, 22a, 22b)로부터 긴 그루브(22, 22a, 22b)로, 긴 그루브(22, 22a, 22b)로부터 중간 길이의 그루브(22, 22a, 22b)로, 그리고 중간 길이의 그루브(22, 22a, 22b)로부터 짧은 그루브(22, 22a, 22b)로 전환될 수 있는 결과를 낳는다. 긴 그루브(22, 22a, 22b)로부터 짧은 그루브(22, 22a, 22b)로, 중간 길이의 그루브(22, 22a, 22b)로부터 긴 그루브(22, 22a, 22b)로 또는 짧은 그루브(22, 22a, 22b)로부터 중간 길이의 그루브(22, 22a, 22b)로 전환 되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각각 2개의 후속하는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
종방향 그루브들(22, 22a, 22b)의 구조는 주연부에 걸쳐 길 수도, 짧을 수도, 중간 정도로 짧을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간 정도로 길 수도 있다. 또한, 종방향 그루브들(22, 22a, 22b)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거나 상이한 간격으로 정렬된 3개의 축방향 형상 결합부가 나타나도록 제공될 수 있다.
1: 장치
1a: 장치
1b: 장치
2: 부품
2b: 부품
3: 부품
3b: 부품
4: 이동 나사부
4b: 이동 나사부
5: 이중 화살표
6: 회전 구동부
6b: 회전 구동부
7: 스핀들
7b: 스핀들
8: 스핀들 너트
8b: 스핀들 너트
9: 가이드 슬리브
9b: 가이드 슬리브
10: 노우즈 형상부
11: 종방향 슬롯
13: 슬리브
14: 모터 캐리어
15: 롤링 베어링
16: 볼 나사 구동부
17: 볼
18: 로킹 수단
18b: 로킹 수단
19: 로킹 링
19b: 로킹 링
20: 로킹 캠
20b: 로킹 캠
21: 램프 링
21b: 램프 링
22: 종방향 그루브
22a: 종방향 그루브
22b: 종방향 그루브
23: 로킹 포켓
23a: 로킹 포켓
23b: 로킹 포켓
24: 스토퍼
24b: 스토퍼
25: 전환 램프
25a: 전환 램프
25b: 전환 램프
26: 롤링 베어링
27: 삽입 경사면
27a: 삽입 경사면
27b: 삽입 경사면
28: 삽입 경사면
28b: 삽입 경사면
29: 슬리브
30b: 하우징
31b: 슬리브
32b: 벨트
33b: 회전자
Ⅰ: 하부 조정 위치
Ⅱ: 상부 조정 위치
Ⅲ: 중간 조정 위치
A: 나사부 부분
B: 나사부 부분
D1: 상세도
D2: 상세도
h: 행정
h1: 부분 행정
h2: 부분 행정

Claims (16)

  1.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1, 1a, 1b)로서, 상기 장치는,
    차체와 휠 캐리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조정 위치와 하부 조정 위치(Ⅰ, Ⅱ) 사이에서 서로를 향해 변위 가능한 2개의 부품(2, 2b, 3, 3b)을 이동시키는 이동 나사부(4, 4b)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나사부(4, 4b)에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스핀들(7, 7b) 및 스핀들 너트(8, 8b)로 형성되어 상호 작용 결합되어 있는 2개의 나사부 부분(A, B)이 제공되며, 상기 일측 나사부 부분(A)은 일측 부품(2, 2b)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 구동부(6, 6b)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수용되고, 타측 나사부 부분(B)은 타측 부품(3, 3b)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수용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에 있어서,
    상기 이동 나사부(4, 4b)의 나사부 부분들(A, B) 간의 작용 결합을 직결(lockup)하는, 전환 가능한 로킹 수단(18, 18b)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2. 제1항에 있어서, 로킹 수단(18, 18b)은,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부품들(2, 2b, 3, 3b) 사이에서 이동 나사부(4, 4b)를 기계적으로 직결하는 전환 가능한 2개 이상의 형상 결합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3. 제2항에 있어서, 로킹 수단(18, 18b)은, 스핀들 너트(8, 8b)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주연부에 걸쳐 교대되며, 상이한 축방향 높이에 배치된 로킹 포켓들(23, 23a, 23b)을 구비한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를 가지며, 상기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 내에는 스핀들(7, 7b)에 주연부에 걸쳐 회전 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수용된 로킹 링(19, 19b)의 로킹 캠(20, 20b)이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스핀들 너트(8, 8b)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주연부에 걸쳐 상기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의 개수로 분포 배치된 상승하는 형상의 전환 램프(25, 25a, 25b)가 제공되며,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로부터 로킹 캠(20, 20b)이 이탈될 때 로킹 링(19, 19b)은, 전환 램프(25, 25a, 25b)에서의 상기 로킹 캠(20, 20b)의 전환 과정에 의해, 상기 로킹 캠(20)이 전환 램프(25, 25a, 25b)에 축방향으로 접할 때, 상기 로킹 캠(20, 20b)이 전환 램프(25, 25a, 25b)의 스토퍼(24, 24b)에 충돌하여 회전 구동부(6, 6b)의 회전 방향이 반전될 때 로킹 캠(20, 20b)이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 내부에 삽입될 때까지, 그리고 상기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 내에서 미리 정해진 축방향 높이로 배치된 로킹 포켓(23, 23a, 23b)과 함께 축방향 형상 결합부들 중 하나를 형성할 때까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4. 제3항에 있어서, 주연부에 걸쳐 분포 배치된 2개 이상의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에 동일한 축방향 높이에 배치된 로킹 포켓(23, 23a, 23b)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스토퍼(24, 24b)는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의 중심축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와 로킹 캠(20, 20b)은 로킹 링(19, 19b)의 회전을 야기하는 서로 상보적인 삽입 경사면(27, 27a, 27b, 28, 28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수단(18, 18b)은, 축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전환 가능한 형상 결합부들을 구비하고 주연부에 걸쳐 분포된 복수의 로킹 포켓(23, 23a, 23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8, 8b)에 의해, 움푹 패인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를 갖는 가이드 슬리브(9, 9b)가, 상이한 축방향 높이에서 로킹 포켓(23, 23a, 23b)에 의해 제한된 종방향 그루브(22, 22a, 22b)와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포켓(23a)에서의 축방향 형상 결합부는 종방향 그루브 없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부(6, 6b)는 부품(2, 2b, 3, 3b)과 축 평행으로 하우징(30b)에 의해 일측 부품(2, 2b)에 고정 배치되고, 벨트 구동부 또는 톱니 휠 구동부에 의해 나사부 부분(A)을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8b)는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슬리브(9, 9b) 및 전환 램프(25, 25a, 25b)는 스핀들 너트(8b)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핀들(7)은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나사부(4, 4b)는 사다리꼴 나사 구동부, 볼 나사 구동부(16) 또는 유성 롤러 기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부품(2, 2b, 3, 3b)이 하나의 스트럿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레벨 조정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중앙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로킹 수단(18, 18b)이 로킹 링(19, 19b)을 가지며, 상기 로킹 링은 스핀들(7, 7b)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지지되고, 이때 조정 위치들(Ⅰ, Ⅱ) 중 하나 이상의 조정 위치에서 2개의 부품(2, 2b, 3, 3b)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스핀들(7, 7b) 및 로킹 링(19, 19b)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높이 조정 장치(1, 1a, 1b).
KR1020167006464A 2013-08-14 2014-08-05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KR102132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13467 2013-08-14
DE102013013467.6 2013-08-14
DE102013216969 2013-08-27
DE102013216969.8 2013-08-27
DE102013222729.9 2013-11-08
DE102013222729 2013-11-08
DE102014206142.3 2014-04-01
DE102014206142.3A DE102014206142A1 (de) 2013-08-14 2014-04-01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PCT/DE2014/200379 WO2015021980A1 (de) 2013-08-14 2014-08-05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987A true KR20160043987A (ko) 2016-04-22
KR102132632B1 KR102132632B1 (ko) 2020-07-13

Family

ID=5243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464A KR102132632B1 (ko) 2013-08-14 2014-08-05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94643B2 (ko)
EP (1) EP3033238B1 (ko)
JP (1) JP6483120B2 (ko)
KR (1) KR102132632B1 (ko)
CN (1) CN105612068B (ko)
DE (1) DE102014206142A1 (ko)
WO (1) WO20150219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55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KR20180069556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KR20190141662A (ko) * 2017-04-28 2019-12-24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차체의 높이 조정을 위한 액추에이터 장치용 기어 배열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3684A1 (de) 2014-02-28 2015-09-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DE102015206149B4 (de) 2014-04-10 2017-01-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US10166831B2 (en) 2014-04-10 2019-01-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body
DE102014213341B4 (de) * 2014-07-09 2022-06-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US9844993B2 (en) * 2014-10-31 2017-12-19 TAP Worldwide, LLC Two-piece adjustable strut spacer
DE102015212640B4 (de) * 2015-03-23 2017-03-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ederbeinstützla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14161B4 (de) * 2015-07-27 2019-04-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inrichtung zur Niveauverstellung für ein Kraftfahrzeug
WO2017025090A1 (de) 2015-08-11 2017-02-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aktor und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mit einem derartigen linearaktor
DE102015215969B4 (de) 2015-08-21 2018-12-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DE102015217326A1 (de) * 2015-09-10 2017-03-16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Federbeinstützlager
DE102015224862A1 (de) 2015-12-10 2017-06-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aktor und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mit einem derartigen Linearaktor
DE102016202314A1 (de) * 2016-02-16 2017-08-17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r Federträger
US10052928B2 (en) * 2016-04-07 2018-08-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ide height control actuator
DE102016210307A1 (de) 2016-06-10 2017-12-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ederbeinstützla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13424A1 (de) * 2016-07-22 2018-01-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ktives Radaufhängungselement
DE102016213462B4 (de) 2016-07-22 2021-04-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aktor und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mit einem derartigen Linearaktor
DE102016213461B4 (de) 2016-07-22 2020-12-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aktor und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mit einem derartigen Linearaktor
DE102016213465B4 (de) 2016-07-22 2021-04-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aktor und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mit einem derartigen Linearaktor
DE102016213623B4 (de) 2016-07-26 2019-02-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CN107757286B (zh) * 2016-08-22 2019-11-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的悬架系统及具有其的汽车、控制方法
CN107757288B (zh) * 2016-08-22 2020-03-3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的悬架系统及具有其的汽车、控制方法
CN107757285B (zh) * 2016-08-22 2020-03-3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的悬架系统及具有其的汽车、控制方法
DE102016216524B4 (de) 2016-09-01 2020-07-02 Audi Ag Vorrichtung zur Verstellung der Trimmlage bei einem Kraftfahrzeug
DE102016216597B3 (de) * 2016-09-02 2017-12-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aktuator
DE102016221307A1 (de) 2016-10-28 2018-05-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ktuator
DE102016221306A1 (de) 2016-10-28 2018-05-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stellbare Radaufhängung
KR102344547B1 (ko) * 2017-01-10 2021-12-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DE102017109147A1 (de) 2017-02-20 2018-08-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ktor einer Vorrichtung zur Niveauv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109146B4 (de) 2017-02-20 2022-03-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etriebeanordnung für eine Aktuator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DE102017105735A1 (de) 2017-03-17 2018-09-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aktor und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mit einem derartigen Linearaktor
DE102017120589A1 (de) 2017-03-30 2018-10-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DE102017106879B4 (de) * 2017-03-30 2020-12-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Niveau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DE102017109046B3 (de) 2017-04-27 2018-05-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inrichtung zur Niveauverstell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7111221B3 (de) 2017-05-23 2018-05-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riegelungsmechanismus
DE102017114320A1 (de) 2017-06-28 2019-01-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DE102017118787B4 (de) 2017-07-21 2022-05-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etriebeanordnung für eine Aktuator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CN111433060B (zh) * 2017-11-17 2023-06-27 马瑞利悬挂系统意大利公司 用于车辆悬架的设有用于调节弹簧的垂直位置的机电调节装置的阻尼器和弹簧单元
DE102017130073B3 (de) 2017-12-15 2018-11-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iveauverstell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10145666B (zh) * 2018-02-11 2021-11-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显示终端的旋转机构以及车辆
DE102018111739B3 (de) * 2018-05-16 2019-04-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Niveau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CN110126578B (zh) * 2018-05-21 2020-11-13 北京京西重工有限公司 用于升高和降低车辆的旋转闩锁组件
CN108759216B (zh) * 2018-05-21 2020-11-20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碎冰装置及冰箱
US11142034B2 (en) 2018-05-21 2021-10-12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Rotating latch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height of a vehicle
CN108759218B (zh) * 2018-05-21 2020-11-20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碎冰装置及冰箱
US11135889B2 (en) * 2018-05-22 2021-10-0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Latch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height of a vehicle
DE102018127660B4 (de) 2018-11-06 2023-07-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Niveau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DE102018131850A1 (de) 2018-12-12 2020-06-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ad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nd entsprechendes Kraftfahrzeug
JP7275466B2 (ja) * 2019-04-24 2023-05-18 株式会社アイシン 車高調整装置
DE102019212624B3 (de) * 2019-08-22 2020-08-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Zusätzlich absenkbare Fahrwerksfederung
KR102591719B1 (ko) * 2019-08-29 2023-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고 조절장치
JP6789444B1 (ja) * 2020-03-17 2020-11-25 株式会社ショーワ モータ軸の状態検知方法、モータの制御方法、モータ軸の状態検知装置、モータの制御装置、車高調整装置、鞍乗型車両
AT523901B1 (de) * 2020-06-12 2022-07-15 Ktm Ag Selbstsichernder Vorspannring für Federbeine
CN215093362U (zh) * 2021-01-27 2021-12-10 宜宾翌坤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消音射钉器及其调速组件
CN114559249B (zh) * 2022-03-09 2022-11-2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滑板螺母拆装模块及其受电弓拆装流水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8100A (ja) * 1997-10-07 1999-04-20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車高調整装置
EP1953013A2 (de) * 2007-01-31 2008-08-06 Audi Ag Höhenverstellvorrichtung für Radaufhängungen von Kraftfahrzeugen
JP2008222218A (ja) * 2007-03-14 2008-09-25 Audi Ag 車両の車高調整装置
JP4846727B2 (ja) * 2005-10-26 2011-1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9476A1 (en) * 2000-12-29 2002-07-03 Mando Corporation Motor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body and a damping force
JP4455974B2 (ja) * 2004-10-22 2010-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464798B2 (ja) * 2004-11-24 2010-05-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525918B2 (ja) * 2005-04-15 2010-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減衰力発生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含んで構成された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US7922181B2 (en) * 2006-03-09 2011-04-12 Honda Motor Co., Ltd. Vehicle height adjusting system
JP4525660B2 (ja) * 2006-10-13 2010-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4337061B2 (ja) * 2006-12-21 2009-09-30 Smc株式会社 負荷感応型推力伝達装置
DE102007051971B4 (de) * 2007-10-31 2010-09-16 Audi Ag Stellvorrichtung für Federungseinrichtungen
DE102007060422A1 (de) * 2007-12-14 2009-06-18 Audi Ag Federbeinanordnung für Radaufhängungen von Kraftfahrzeugen
DE102008021861A1 (de) * 2008-05-02 2009-11-05 Schaeffler Kg Fahrwerksaktuator
JP4920006B2 (ja) * 2008-05-15 2012-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DE102008053617A1 (de) * 2008-10-29 2010-05-06 Audi Ag Radaufhängung für Kraftfahrzeuge
JP2011012785A (ja) * 2009-07-03 2011-01-20 Kyb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102009058026B4 (de) 2009-12-11 2019-06-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JP2011196507A (ja) * 2010-03-23 2011-10-06 Toyota Motor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DE102010036238A1 (de) * 2010-09-03 2012-03-08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Feder-Dämpfer-Einheit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es
DE102010052920A1 (de) * 2010-11-30 2012-05-3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Fahrwerkaktuator
JP2013050173A (ja) * 2011-08-31 2013-03-14 Ntn Corp 車両用懸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8100A (ja) * 1997-10-07 1999-04-20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車高調整装置
JP4846727B2 (ja) * 2005-10-26 2011-1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EP1953013A2 (de) * 2007-01-31 2008-08-06 Audi Ag Höhenverstellvorrichtung für Radaufhängungen von Kraftfahrzeugen
JP2008222218A (ja) * 2007-03-14 2008-09-25 Audi Ag 車両の車高調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55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KR20180069556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KR20190141662A (ko) * 2017-04-28 2019-12-24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차체의 높이 조정을 위한 액추에이터 장치용 기어 배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3238B1 (de) 2017-07-19
JP6483120B2 (ja) 2019-03-13
JP2016530154A (ja) 2016-09-29
CN105612068A (zh) 2016-05-25
KR102132632B1 (ko) 2020-07-13
WO2015021980A1 (de) 2015-02-19
US9694643B2 (en) 2017-07-04
US20160221410A1 (en) 2016-08-04
CN105612068B (zh) 2018-09-18
EP3033238A1 (de) 2016-06-22
DE102014206142A1 (de)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3987A (ko) 차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US9707819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body
KR20170030568A (ko) 차체의 높이 조정 장치
KR20160143766A (ko) 차체 높이 조절 장치
US7926822B2 (en) Adjustment device for suspension means
CN103402906A (zh) 用于作业车辆的支撑装置
DE102014215420A1 (de)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aufbaus
CN108351004A (zh) 执行器
CN107355103B (zh) 停车机器人
JP2003074665A (ja) ボールねじ装置
JP4148121B2 (ja) 車輌用操舵装置
US11623682B2 (en) Steer-by-wire steering system having a spindle drive
CN107826619A (zh) 积放式输送机的翻转机构
CN101832044B (zh) 立体车库
CN104989816B (zh) 一种双输入单输出恒定转速控制系统
EP3594028B1 (en) Rotating latch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height of a vehicle
US7435158B2 (en) Initial position setting method of grinding wheel in vertical double disc surface grinding machine
US20030145668A1 (en) Drive shaft moving device
CN110254562A (zh) 一种具有独立转向机构的自动导引运输车
CN103488181A (zh) 调整装置
CN110481257A (zh) 一种基于开关磁阻直线旋转电机的转向馈能悬架
CN111137094A (zh) 用于对车辆车身进行水平调节的设备
US7921894B2 (en) Tire mo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