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547B1 -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547B1
KR102344547B1 KR1020170003551A KR20170003551A KR102344547B1 KR 102344547 B1 KR102344547 B1 KR 102344547B1 KR 1020170003551 A KR1020170003551 A KR 1020170003551A KR 20170003551 A KR20170003551 A KR 20170003551A KR 102344547 B1 KR102344547 B1 KR 10234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crew nut
roller
pulley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2701A (ko
Inventor
최원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5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mechanical damper or dynamic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30Propulsion unit conditions
    • B60G2400/31Clutch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Abstract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는: 스크류부가 형성되는 출력축; 출력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스크류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너트부; 클러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크류 너트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풀리부; 풀리부를 회전시키도록 풀리부에 연결되는 구동부; 및 스크류 너트부와 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풀리부의 회전력을 스크류 너트부에 전달하여 출력축의 높이를 조절하고, 출력축의 백드라이브시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차고조절장치{ELECTRIC DRIVING TYPE HEIGHT CONTRO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고 조절 후 백드라이브의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륜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서스펜션장치가 설치된다. 서스펜션장치는 서스펜션 스트럿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고, 서스펜션 스트럿의 상측에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인슐레이터가 설치된다.
차고가 낮은 차량은 도로를 주행할 때에 걸림턱에 차체나 범퍼의 하측이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차고가 낮은 차량에는 차고를 조절하기 위한 차고조절장치가 설치된다. 차고조절장치는 모터를 구동하여 차고를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고조절장치의 차고 조절후 백드라이브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에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므로, 차량의 에너지 소모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19502호(2014. 02. 17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고 조절 후 백드라이브의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는: 스크류부가 형성되는 출력축; 상기 출력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스크류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너트부; 클러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풀리부; 상기 풀리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풀리부에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류 너트부와 상기 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부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전달하여 상기 출력축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출력축의 백드라이브시 상기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클러치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클러치링; 상기 클러치링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풀리부에 결합되는 클러치 프레임; 상기 클러치 프레임에 설치되는 클러치 롤러; 및 상기 클러치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풀리부의 회전시 상기 클러치 롤러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클러치 프레임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출력축의 백드라이브시 상기 클러치 롤러와 상기 클러치링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클러치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록킹부의 외측면에는 평면 형태의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롤러는 상기 구속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의 백드라이브시 상기 구속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클러치링에 압착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클러치 록킹부의 법선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클러치 록킹부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롤러는 상기 구속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롤러는 상기 클러치 프레임에 배치되는 롤러 바디; 및 상기 롤러 바디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롤러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프레임에는 상기 롤러 축부가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유동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홈부는 상기 클러치링을 향하여 원호 형태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홈부의 양측은 상기 클러치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부의 외측은 상기 유동홈부의 중심부에서 양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홈부의 양측은 상기 클러치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부의 외측은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부가 출력축의 백드라이브시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차량의 중량이나 하중에 의해 스크류 너트부가 출력축에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양측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차량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조향중립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 록킹부가 출력축의 백드라이브시 클러치 롤러와 클러치링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때, 클러치 롤러는 스크류 너트부의 가압력에 의해 클러치링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클러치링에 압착되므로, 스크류 너트부가 클러치 롤러를 매개로 클러치링에 구속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유동홈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유동홈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유동홈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종동 풀리부가 회전될 때에 클러치 프레임이 클러치 롤러를 클러치 록킹부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출력축에 백드라이브가 가해질 때에 클러치 록킹부가 클러치 롤러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유동홈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는 출력축(120), 스크류 너트부(130), 풀리부(141,143), 구동부(150) 및 클러치부(160)를 포함한다.
출력축(120)에는 스크류부(121)가 형성된다. 출력축(120)은 쇽업쇼버의 서스펜션 스트러트(strut)이다. 출력축(120)의 상측에는 차체에 연결되는 인슐레이터 모듈(125)이 설치된다. 인슐레이터 모듈(125)에는 볼트부(126)에 의해 차체에 연결된다.
클러치 하우징(110)은 원통부(111)와 연장부(113)를 포함한다. 원통부(111)는 클러치 하우징(110)에서 출력축(120)의 스크류부(121)가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원통부(111)의 상측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연장부(113)는 원통부(111)의 일측으로 연장된다.
출력축(120)의 둘레부에는 서스펜션 스프링(123)이 설치되고, 출력축(120)에는 서스펜션 스프링(123)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로어 시트(127)가 설치된다. 서스펜션 스프링(123)의 상측은 인슐레이터 모듈(125)을 지지한다. 출력축(120)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고, 차량에 가해지는 하중과 충격은 출력축(120)과 서스펜션 스프링(123)에 의해 완충된다.
스크류 너트부(130)는 출력축(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스크류부(121)에 나사결합된다. 스크류 너트부(130)의 내측면에는 스크류부(121)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133)가 형성된다. 스크류 너트부(130)가 스크류부(121)에서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출력축(120)이 상승되고, 스크류 너트부(130)가 스크류부(121)에서 타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출력축(120)이 하강된다. 스크류 너트부(130)는 출력축(120)의 스크류부(121)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스크류 너트부(130)의 내측면에는 스크류부(121)에 결합되도록 나사부(133)가 형성된다. 스크류 너트부(130)의 외측에는 제1 베어링부(115)가 설치되고, 제1 베어링부(115)는 클러치 하우징(110)의 원통부(111)에 설치된다.
풀리부(141,143)는 클러치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크류 너트부(13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풀리부(141,143)는 구동 풀리(141)와 종동 풀리(143)를 포함한다. 구동 풀리(141)는 구동부(150)의 구동축에 축결합되고, 종동 풀리(143)는 클러치 프레임(162)과 함께 회전되도록 클러치 프레임(162)에 결합된다.
구동부(150)는 풀리부(141,143)를 회전시키도록 풀리부(141,143)에 연결된다. 구동부(150)는 구동 풀리(141)에 축결합되는 모터부(151)와, 구동 풀리(141)와 종동 풀리(143)를 연결하는 구동 벨트부(153)를 포함한다. 모터부(151)는 클러치 하우징(110)의 연장부(113)에 설치되고, 종동 풀리(143)는 클러치 하우징(110)의 원통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러치 하우징(110)의 원통부(111)에는 제2 베어링부(116)가 설치되고, 제2 베어링부(116)의 외측에는 종동 풀리(143)가 결합된다. 제2 베어링부(116)는 종동 풀리(143)의 내측을 지지한다.
클러치부(160)는 스크류 너트부(130)와 풀리부(141,143) 사이에 배치되고, 풀리부(141,143)의 회전력을 스크류 너트부(130)에 전달하여 출력축(120)의 높이를 조절하고, 출력축(120)의 백드라이브시 스크류 너트부(130)의 회전을 방지한다. 클러치부(160)가 출력축(120)의 백드라이브시 스크류 너트부(130)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차량의 중량이나 하중에 의해 스크류 너트부(130)가 출력축(120)에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양측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차량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조향중립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백드라이브(back drive)는 출력축(120)이 스크류 너트부(130)를 회전시키도록 스크류 너트부(130)에 하중을 가할 때에 스크류 너트부(130)가 회전됨에 따라 출력축(120)의 높이가 변경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러치부(160)는 차량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서스펜션장치에 각각 설치되거나, 전방측 서스펜션장치에만 설치될 수 있다.
클러치부(160)는 클러치링(161), 클러치 프레임(162), 클러치 롤러(167) 및 클러치 록킹부(168)를 포함한다.
클러치링(161)은 클러치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클러치링(161)은 클러치 하우징(110)의 원통부(111)에 원통부(111)와 약간 이격되게 배치된다. 클러치링(161)은 원통부(111)의 내측면을 따라 원형 밴드 형태로 형성된다. 클러치링(161)에는 클러치 프레임(162)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원통부(111)에 구속되는 구속돌기(161a)가 형성된다. 구속돌기(161a)는 클러치링(161)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클러치 프레임(162)은 클러치링(161)의 내측에 배치되고, 풀리부(141,143)와 함께 회전되도록 풀리부(141,143)에 결합된다. 클러치 프레임(162)은 종동 풀리(143)와 함께 회전되도록 종동 풀리(143)에 결합된다. 클러치 프레임(162)의 외측과 종동 풀리(143)의 외측은 제3 베어링부(117)에 의해 지지된다.
클러치 프레임(162)은 종동 풀리(143)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부(163)와, 하부 프레임부(163)의 상측에 하부 프레임부(163)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부(164)와, 하부 프레임부(163)와 상부 프레임부(164)를 연결하는 연결부(165)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부(164)와 하부 프레임부(163)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클러치 롤러(167)가 클러치링(16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연결부(165)는 상부 프레임부(164)와 하부 프레임부(163)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클러치 롤러(167)는 클러치 프레임(162)에 설치된다. 클러치 롤러(167)는 클러치 프레임(162)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이때, 클러치 롤러(167)는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클러치 록킹부(168)는 클러치 프레임(162)의 내측에 설치되고, 스크류 너트부(130)와 함께 회전되도록 스크류 너트부(130)에 결합된다. 클러치 록킹부(168)의 내측에는 스크류 너트부(130)가 끼워진다.
클러치 록킹부(168)는 풀리부(141,143)의 회전시 클러치 롤러(167)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클러치 프레임(162)과 함께 회전된다. 이때, 클러치 롤러(167)가 클러치 록킹부(168)를 가압하는 경우, 클러치 롤러(167)는 클러치링(161)에서 이격되므로, 풀리부(141,143), 클러치 프레임(162), 클러치 록킹부(168) 및 스크류 너트부(13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록킹부(168)는 출력축(120)의 백드라이브시 클러치 롤러(167)와 클러치링(161)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스크류 너트부(130)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때, 클러치 롤러(167)는 스크류 너트부(130)의 가압력에 의해 클러치링(161)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클러치링(161)에 압착되므로, 스크류 너트부(130)가 클러치 롤러(167)를 매개로 클러치링(161)에 구속된다. 동시에, 클러치링(161)은 클러치 롤러(167)의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되면서 클러치 하우징(110)의 원통부(111)에 압착된다. 따라서, 스크류 너트부(130)가 클러치링(161)과 클러치 하우징(110)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속므로, 출력축(120)의 백드라이브시 스크류 너트부(1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러치 록킹부(168)의 외측면에는 평면 형태의 구속부(169)가 형성되고, 클러치 롤러(167)는 구속부(169)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출력축(120)의 백드라이브시 구속부(169)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클러치링(161)에 압착되어 구속된다. 클러치 록킹부(168)의 구속부(169)와 클러치링(161)이 클러치 롤러(167)에 의해 서로 구속되므로, 출력축(120)에 충격이나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스크류 너트부(1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속부(169)는 클러치 록킹부(168)의 법선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다(도 5 참조). 구속부(169)의 중심부와 클러치 록킹부(168)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L1)는, 구속부(169)의 양측 단부와 클러치 록킹부(168)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L2)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풀리부(141,143)의 종동 풀리(143)가 회전될 때에는 종동 풀리(143)가 클러치 롤러(167)를 내측으로 가압하므로, 클러치 롤러(167)가 구속부(169)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약간 이동되면서 클러치 록킹부(168)를 가압한다. 이때, 스크류 너트부(130)와 클러치 록킹부(168)는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풀리부(141,143), 클러치 프레임(162), 클러치 록킹부(168) 및 스크류 너트부(13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출력축(120)의 높이를 조절한다.
클러치 록킹부(168)의 상측에는 클러치 프레임(162)의 상부 프레임부(164)에 접촉되도록 플랜지부(169a)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69a)는 구속부(169)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된다. 플랜지부(169a)는 클러치 록킹부(168)가 클러치 프레임(162)에 삽입되는 높이를 제한한다.
반면, 출력축(120)의 백드라이브시 스크류 너트부(130)가 클러치 롤러(167)를 외측으로 가압하므로, 클러치 롤러(167)가 구속부(169)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약간 이동되면서 외측으로 밀려 나가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 롤러(167)가 클러치링(161)을 외측으로 팽창시킴에 의해 클러치링(161)이 클러치 하우징(110)의 원통부(111)에 압착된다. 따라서, 클러치 록킹부(168)가 클러치 롤러(167)를 매개로 스크류 너트부(130)의 회전을 방지한다.
구속부(169)는 스크류 너트부(130)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클러치 롤러(167)는 구속부(169)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구속부(169)는 스크류 너트부(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되고, 클러치 롤러(167)는 클러치 프레임(162)에 등간격으로 3개 설치된다. 따라서, 스크류 너트부(130)의 복수의 개소가 클러치 롤러(167)에 의해 지지되므로, 클러치 롤러(167)가 스크류 너트부(13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보다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클러치 롤러(167)는 롤러 바디(167a)와 롤러 축부(167b)를 포함한다. 롤러 바디(167a)는 클러치 프레임(162)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 바디(167a)는 하부 프레임부(163)와 상부 프레임부(164)를 통과하여 클러치링(16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롤러 축부(167b)는 롤러 바디(167a)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클러치 프레임(162)에는 롤러 축부(167b)가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유동홈부(166)가 형성된다.
따라서, 롤러 축부(167b)가 클러치 프레임(162)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될 경우 롤러 바디(167a)가 클러치 록킹부(168)를 가압하여 클러치 프레임(162), 클러치 록킹부(168) 및 스크류 너트부(130)가 같이 회전되게 한다.
또한, 롤러 축부(167b)가 클러치 록킹부(168)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될 경우 롤러 바디(167a)가 클러치 프레임(162)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클러치링(161)을 가압한다. 클러치링(161)이 롤러 바디(167a)에 의해 가압되면, 클러치 하우징(110)의 원통부(111)에 클러치링(161), 클러치 프레임(162), 클러치 록킹부(168) 및 스크류 너트부(130)가 구속된다. 따라서, 스크류 너트부(1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동홈부(166)는 클러치링(161)을 향하여 원호 형태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때, 유동홈부(166)는 클러치링(161)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다. 유동홈부(166)가 원호 형태로 형성되므로, 롤러 축부(167b)가 유동홈부(166)의 둘레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롤러 축부(167b)가 유동홈부(166)의 둘레를 따라 이동될 때에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유동홈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동홈부(166)의 양측은 클러치 프레임(162)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유동홈부(166)의 외측은 유동홈부(166)의 중심부에서 양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유동홈부(166)의 외측은 중심부에서 양측(원주방향 양측)으로 대칭되는 각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롤러 축부(167b)의 궤적은 유동홈부(166)의 외측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유동홈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동홈부(166)의 양측은 클러치 프레임(162)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유동홈부(166)의 외측은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롤러 축부(167b)의 궤적은 유동홈부(166)의 외측을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종동 풀리부가 회전될 때에 클러치 프레임이 클러치 롤러를 클러치 록킹부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의 차고를 조절하도록 조작버튼(미도시)을 누르면, 구동부(150)가 구동된다. 이때, 모터부(151)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 풀리(141)가 회전되고, 구동 풀리(141)의 회전력이 구동 벨트부(153)에 의해 종동 풀리(143)에 전달된다.
종동 풀리(143)가 클러치 프레임(162)과 함께 회전되도록 클러치 프레임(162)에 결합되므로, 클러치 프레임(162)이 종동 풀리(143)와 함께 회전된다(F1 방향). 클러치 프레임(162)이 회전되면, 클러치 프레임(162)에 의해 클러치 롤러(167)의 롤러 축부(167b)가 클러치 록킹부(168) 측으로 가압된다(F2 방향). 클러치 롤러(167)가 유동홈부(166)에서 클러치 록킹부(168)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롤러 바디(167a)가 클러치링(161)에서 이격된다(F3 및 F4 방향).
이때, 롤러 바디(167a)가 클러치 록킹부(168)의 구속부(169)에 압착되므로, 종동 풀리(143), 클러치 프레임(162), 클러치 록킹부(168) 및 스크류 너트부(130)가 회전된다. 스크류 너트부(130)가 출력축(120)의 스크류부(121)에 나사결합되므로, 스크류 너트부(130)가 회전됨에 따라 출력축(12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스크류 너트부(130)가 일측으로 회전되면, 출력축(120)의 높이가 높아지고, 스크류 너트부(130)가 타측으로 회전되면, 출력축(120)의 높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차체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에서 출력축에 백드라이브가 가해질 때에 클러치 록킹부가 클러치 롤러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의 하중이나 충격이 출력축(120)에 가해짐에 따라 스크류 너트부(130)에 백드라이브가 걸릴 수 있다.
이때, 스크류 너트부(130)가 약간 회전됨에 따라 클러치 록킹부(168)가 약간 회전된다. 클러치 록킹부(168)가 약간 회전됨에 따라 클러치 록킹부(168)의 구속부(169)가 클러치 롤러(167)의 롤러 축부(167b)를 외측으로 가압한다(F12 방향). 클러치 롤러(167)의 롤러 축부(167b)가 외측으로 이동되면, 클러치 롤러(167)의 롤러 바디(167a)가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클러치링(161)을 외측으로 밀어낸다(F12 방향). 클러치링(161)이 외측으로 팽창됨에 따라 클러치링(161)이 클러치 하우징(110)의 원통부(111)에 압착되므로, 클러치 록킹부(168)와 스크류 너트부(1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너트부(130)의 백드라이브를 방지하므로, 차량의 높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식 차고조절장치의 차고 조절후 백드라이브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부(151)에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클러치 하우징 111: 원통부
113: 연장부 115: 제1 베어링부
116: 제2 베어링부 117: 제3 베어링부
120: 출력축 121: 스크류부
123: 서스펜션 스프링 125: 인슐레이터 모듈
126: 볼트부 127: 로어 시트
130: 스크류 너트부 133: 나사부
141: 구동 풀리 143: 종동 풀리
150: 구동부 151: 모터부
153: 구동 벨트부 160: 클러치부
161: 클러치링 161a: 구속돌기
162: 클러치 프레임 163: 하부 프레임부
164: 상부 프레임부 165: 연결부
166: 유동홈부 166a: 양측
166b: 외측 167: 클러치 롤러
167a: 롤러 바디 167b: 롤러 축부
168: 클러치 록킹부 169: 구속부
169a: 플랜지부

Claims (9)

  1. 스크류부가 형성되는 출력축;
    상기 출력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스크류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너트부;
    클러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풀리부;
    상기 풀리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풀리부에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류 너트부와 상기 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부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전달하여 상기 출력축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출력축의 백드라이브시 상기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클러치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클러치링;
    상기 클러치링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풀리부에 결합되는 클러치 프레임;
    상기 클러치 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 롤러; 및
    상기 클러치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풀리부의 회전시 상기 클러치 롤러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클러치 프레임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출력축의 백드라이브시 상기 클러치 롤러와 상기 클러치링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클러치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록킹부의 외측면에는 평면 형태의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롤러는 상기 구속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의 백드라이브시 상기 구속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클러치링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클러치 록킹부의 법선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클러치 록킹부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롤러는 상기 구속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롤러는,
    상기 클러치 프레임에 배치되는 롤러 바디; 및
    상기 롤러 바디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롤러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프레임에는 상기 롤러 축부가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유동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홈부는 상기 클러치링을 향하여 원호 형태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홈부의 양측은 상기 클러치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부의 외측은 상기 유동홈부의 중심부에서 양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홈부의 양측은 상기 클러치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부의 외측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KR1020170003551A 2017-01-10 2017-01-10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KR10234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551A KR102344547B1 (ko) 2017-01-10 2017-01-10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551A KR102344547B1 (ko) 2017-01-10 2017-01-10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01A KR20180082701A (ko) 2018-07-19
KR102344547B1 true KR102344547B1 (ko) 2021-12-30

Family

ID=6305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551A KR102344547B1 (ko) 2017-01-10 2017-01-10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5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1099A (ja) 2005-09-29 2007-04-12 Hitachi Ltd スタビライザ装置
KR101491359B1 (ko) 2013-12-03 2015-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차량 자세제어장치
JP2016530154A (ja) * 2013-08-14 2016-09-29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車両上部構造物の高さ調節の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007B1 (ko) * 2014-10-02 2021-04-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의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1099A (ja) 2005-09-29 2007-04-12 Hitachi Ltd スタビライザ装置
JP2016530154A (ja) * 2013-08-14 2016-09-29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車両上部構造物の高さ調節のための装置
KR101491359B1 (ko) 2013-12-03 2015-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차량 자세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01A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9666B1 (en) Angular position adjusting means
US10273737B2 (en) Drive arrangement and hatch control
KR102017465B1 (ko) 스테빌라이저용 클러치장치
CN101305209B (zh) 有过载安全离合器的滚珠丝杠传动装置
JP5379468B2 (ja) 車高調整装置
KR102101664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베어링 홀더 구조체
CN102628499A (zh) 滚珠丝杠及装有该滚珠丝杠的转向装置
US20190381915A1 (en) Power seat slide device
US20080210450A1 (en) Power tool with a slip clutch
KR20180069556A (ko) 차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CN104148702A (zh) 手持式工具装置
KR101666015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중간축 시뮬레이션 장치
KR102344547B1 (ko) 전동식 차고조절장치
KR100800041B1 (ko) 전동 공구
KR100635256B1 (ko) 편심량을 조절하는 하우징이 형성된 터렛공구대
KR102264358B1 (ko) 주차 수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한쌍의 휠을 포함하는 드라이브 휠 장치 및 주차 수행 로봇
KR20160054334A (ko) 차량용 사이드미러의 전동식 폴딩장치
CA2125164A1 (en) Clutch drive mechanism
KR101565574B1 (ko) 시트용 높이 조절장치
KR20180069555A (ko) 차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KR100559844B1 (ko) 스티어링휠의 틸팅 및 텔레스코픽 장치
KR101688181B1 (ko) 오퍼레이션 패널을 구비한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시스템
KR101986448B1 (ko) 볼타이어 구동 시스템
US20110081441A1 (en) Electric hollow molding machine
KR20050096858A (ko) 제동력 조정이 가능한 에어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