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051A -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051A
KR20160036051A KR1020167004973A KR20167004973A KR20160036051A KR 20160036051 A KR20160036051 A KR 20160036051A KR 1020167004973 A KR1020167004973 A KR 1020167004973A KR 20167004973 A KR20167004973 A KR 20167004973A KR 20160036051 A KR20160036051 A KR 20160036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solenoid valve
switch
oil pressur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607B1 (ko
Inventor
다카미츠 시마즈
유우지 이토우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1Pump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7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torque transmitting capability of the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7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hange-speed gearing in group arrangement, i.e. with separate change-speed gear trains arranged in series, e.g. range or overdrive-type gearing arrangements
    • F16H61/7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hange-speed gearing in group arrangement, i.e. with separate change-speed gear trains arranged in series, e.g. range or overdrive-type gear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or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the controller
    • F16H2061/1264Hydraulic parts of the controller, e.g. a sticking valve or clogged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차량에 탑재되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35)에 개재 장착되어, 공급 전류의 변화에 수반하여 자동 변속기의 마찰 체결 요소(33)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을 변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36)와,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36)와 마찰 체결 요소(33)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작동 유압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에서 온 신호를 출력하고, 작동 유압이 임계값 미만에서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유압 스위치(48)와,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2a)과, 해당 검출 수단(12a)에 의해 검출된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작동 상태와 유압 스위치(48)의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스위치(48)의 고장을 판정하는 고장 판정 수단(12b)을 구비하고, 고장 판정 수단(12b)은 소정의 주행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공급 전류를 소정 전류값 이하로 제어해서 유압 스위치(48)의 고장을 판정한다.

Description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HYDRAULIC SWITCH MALFUNCTION ASSESSMENT DEVIC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에 개재 장착된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에는, 각 마찰 체결 요소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을 검출하기 위해서, 각 마찰 체결 요소에의 유압 회로 상에 유압 스위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유압 스위치는, 작동 유압이 어떤 임계값보다도 높으면 온 신호를 출력하고, 어떤 임계값보다도 낮으면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채용된다. 자동 변속기에서는, 유압 스위치의 신호를 사용하여 유압 제어가 행해지므로,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이 정기적으로 행하여진다.
그런데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에서는 유압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 유압 진동이 유압 스위치의 온/오프가 전환되는 임계값에 겹치면, 유압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온과 오프를 반복하는, 소위 채터링이 발생한다. 유압 스위치의 채터링이 발생하면, 작동 유압의 상태를 잘못 검출하여, 유압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작동 유압이 유압 진동하고 있는 불안정한 상태일 때에 유압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배제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유압 스위치로부터의 신호가 시간적으로 연속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검지된 경우에만, 마찰 체결 요소의 작동 유압이 목표 유압에 도달했다고 판단함으로써, 유압 제어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유압 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는 컨트롤러는, 소정의 연산 주기로 유압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한다. 그로 인해,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 내에서 유압 진동이 발생하고, 이 유압 진동에 의해 유압 스위치의 채터링이 발생한 경우, 채터링의 타이밍에 따라서는, 유압 스위치의 채터링을 컨트롤러로 정확하게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채터링에 의해 유압 스위치가 온과 오프를 반복하여 출력하고 있었다고 해도, 이 온/오프의 주기가 컨트롤러의 연산 주기보다도 짧은 경우, 컨트롤러는 타이밍에 따라서는 유압 스위치의 신호가 항상 오프이다라고 처리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유압 스위치는 정상임에도, 고장이라고 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오판정은,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판정의 대책으로서, 유압 스위치의 채터링이 발생하는 주행 조건이나 운전 영역을 특정하고, 이 주행 조건이나 운전 영역에서는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을 금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채터링의 원인이 되는 유압 진동의 발생은, 주행 조건이나 운전 영역에 의존하지 않고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유압 진동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행 조건이나 운전 영역을 특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967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에 있어서, 오판정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 목적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나타내는 각 구성에 의해 유도되는 작용 효과이며,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는 얻을 수 없는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1) 여기에서 개시하는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에 개재 장착되어, 공급 전류의 변화에 수반하여 상기 자동 변속기의 마찰 체결 요소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을 변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유압 회로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마찰 체결 요소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상기 작동 유압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에서 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유압이 상기 임계값 미만에서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유압 스위치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와 상기 유압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압 스위치의 고장을 판정하는 고장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장 판정 수단은 소정의 주행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상기 공급 전류를 소정 전류값 이하로 제어해서 상기 유압 스위치의 고장을 판정한다.
(2) 상기 소정 전류값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작동 유압을 상기 임계값으로 하는 공급 전류값보다도 소정량 이상 작은 전류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또한, 상기 자동 변속기는 무단 변속 기구와, 상기 무단 변속 기구와 직렬로 설치되어, 상기 마찰 체결 요소로서 발진에 사용하는 제1 클러치와 해당 제1 클러치보다도 변속비가 작은 제2 클러치를 갖는 부변속 기구를 구비한 무단 변속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소정의 주행 조건에는, 상기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운전 영역을 피함과 함께 상기 부변속 기구의 변속 제어를 방해하지 않는 운전 영역인 것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공급 전류가 작을수록 상기 작동 유압을 높게 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고장 판정 수단은, 상기 공급 전류를 상기 소정 전류값 이하로 제어했을 때의 상기 유압 스위치의 신호가 오프 신호이면, 상기 유압 스위치가 오프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프 고장이라 함은 유압이 공급되고 있음에도, 유압 스위치가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즉, 오프측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5) 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공급 전류가 작을수록 상기 작동 유압을 낮게 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고장 판정 수단은, 상기 공급 전류를 상기 소정 전류값 이하로 제어했을 때의 상기 유압 스위치의 신호가 온 신호이면, 상기 유압 스위치가 온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 고장이란, 유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음에도, 유압 스위치가 온 신호를 출력하는 것(즉, 온측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개시한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에 의하면, 솔레노이드 밸브에의 공급 전류를 소정 전류값 이하로 제어하고, 유압 진동의 영향을 배제한 상태에서 유압 스위치의 고장을 판정하므로,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의 블록 구성 및 이 고장 판정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유압 제어 회로의 일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공급 전류와 작동 유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a)는 노멀 하이, (b)는 노멀 로우이다.
도 4는 변속 맵의 일례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고장 판정 장치에서의 고장 판정에 관한 흐름도의 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명시하지 않는 다양한 변형이나 기술의 적용을 배제할 의도는 없다. 이하의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은, 그것들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필요에 따라 취사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1. 장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단 변속 기구의 제어 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차량은 구동원으로서 엔진(내연 기관)(1)을 구비한다. 엔진(1)의 출력 회전은,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2), 제1 기어열(3), 무단 변속기(4)[이하, 간단히 변속기(4)라고 함], 제2 기어열(5) 및 마지막 감속 장치(6)를 통하여 구동륜(7)에 전달된다. 제2 기어열(5)에는, 주차 시에 변속기(4)의 출력축을 기계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로크하는 파킹 기구(8)가 설치된다.
차량에는 엔진(1)의 동력 일부를 이용해서 구동되는 오일 펌프(10)가 설치된다. 또한, 오일 펌프(10)로부터의 유압을 압력 조절해서 변속기(4)의 각 부위에 공급하는 유압 제어 회로(11)와, 유압 제어 회로(11) 등을 제어하는 변속기 컨트롤러(12)가 설치된다.
변속기(4)는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20)[이하, 배리에이터(20)라고 함]와, 배리에이터(20)에 직렬로 설치되는 부변속 기구(유단 변속 기구)(30)를 구비한 자동 변속기이다. 「직렬로 설치되는」이라 함은, 엔진(1)으로부터 구동륜(7)에 이르기까지의 동력 전달 경로에 있어서, 배리에이터(20)와 부변속 기구(30)가 직렬 접속된다고 하는 의미이다. 여기에서는, 부변속 기구(30)는 배리에이터(20)의 출력축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변속 기구(30)는 그 밖의 변속 내지 동력 전달 기구(예를 들어, 기어열)를 개재해서 배리에이터(20)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배리에이터(20)는, 벨트 접촉 직경의 변화에 따라 변속기 입력 회전수와 변속기 출력 회전수의 비인 변속비(즉, 변속기 입력 회전수/변속기 출력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화시키는 무단 변속 기능을 구비한다. 배리에이터(20)는 프라이머리 풀리(21)와, 세컨더리 풀리(22)와, 이들 2개의 풀리(21, 22) 사이에 걸쳐 감아지는 V 벨트(23)를 갖는다.
프라이머리 풀리(21), 세컨더리 풀리(22)는, 각각 고정 원뿔판과, 이 고정 원뿔판에 대하여 시브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고정 원뿔판과의 사이에 V 홈을 형성하는 가동 원뿔판과, 유압 실린더(24a, 24b)를 갖는다. 유압 실린더(24a, 24b)는, 각 가동 원뿔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유압(작동 유압)이 조정됨으로써 각 가동 원뿔판을 축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유압 실린더(24a, 24b)에 공급되는 유압은, 변속기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된다. V 홈의 폭이 변화되어 V 벨트(23)와 각 풀리(21, 22)의 접촉 반경이 변화됨으로써, 배리에이터(20)의 변속비가 무단계로 변화된다.
부변속 기구(30)는, 전진 2단·후진 1단의 유단 변속 기구이다. 부변속 기구(30)는, 2개의 유성 기어의 캐리어를 연결한 라비뇨형 유성 기어 기구(31)와, 라비뇨형 유성 기어 기구(31)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전 요소에 접속되고, 그것들의 연계 상태를 변경하는 복수의 마찰 체결 요소(32 내지 34)를 구비한다. 각 마찰 체결 요소(32 내지 34)에의 공급 유압을 조정하고, 각 마찰 체결 요소(32 내지 34)의 체결·해방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이 변경된다.
여기에서는, 마찰 체결 요소로서, 발진에 이용되는 Low 브레이크(제1 클러치)(32)와, Low 브레이크(32)보다도 변속비가 작은 High 클러치(제2 클러치)(33)와, Rev 브레이크(34)가 설치된다. 이들 Low 브레이크(32), High 클러치(33) 및 Rev 브레이크(34)는, 각각 공급되는 유압(작동 유압)에 따른 전달 토크를 발생시킨다. 또한, 이들 Low 브레이크(32), High 클러치(33) 및 Rev 브레이크(34)에 공급되는 유압은, 변속기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Low 브레이크(32)를 체결하고, High 클러치(33)와 Rev 브레이크(34)를 해방하면,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은 1속이 된다. 차량 발진 시에서의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은 통상 1속이므로, 발진 시는 Low 브레이크(32)만이 체결된다. 또한, High 클러치(33)를 체결하고, Low 브레이크(32)와 Rev 브레이크(34)를 해방하면,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은 1속보다도 변속비가 작은 2속이 된다. 또한, Rev 브레이크(34)를 체결하고, Low 브레이크(32)와 High 클러치(33)를 해방하면,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은 후진이 된다.
유압 제어 회로(11)는, 복수의 유로(유압 회로)와 복수의 유압 제어 밸브(솔레노이드 밸브나 전환 밸브 등)로 구성된다. 유압 제어 회로(11)는, 변속기 컨트롤러(12)로부터의 변속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압 제어 밸브를 제어해서 유압의 공급 경로를 전환함과 함께, 오일 펌프(10)에서 발생한 유압으로부터 필요한 유압을 조정한다. 그리고 조정한 유압을 변속기(4)의 각 부위[유압 실린더(24a, 24b) 및 마찰 체결 요소(32 내지 34)]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배리에이터(20)의 변속비 및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이 변경되어, 변속기(4)의 변속이 행하여진다.
유압 제어 회로(11)의 일부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는, High 클러치(33)의 유압 회로(35)의 모식도이다. 유압 회로(35)에는, 듀티 제어형의 High 클러치(33)용의 솔레노이드 밸브(36)가 개재 장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36)는, 유압 회로(35)의 제1 유로(35a)와 제2 유로(35b) 사이의 개방도에 의해 유압을 조정하고, 과잉 유압은 드레인 회로로부터 배출한다.
솔레노이드 밸브(36)는, 공급 전류의 변화에 수반하여 High 클러치(33)에 공급되는 유압을 변화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36)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전류가 작을수록, High 클러치(33)에 공급되는 유압을 높게 하는 특성(노멀 하이)을 갖고, 공급 전류가 제로일 때에 가장 유압을 높게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는, 변속기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된다.
솔레노이드 밸브(36)는, 한쪽 단부에 솔레노이드를 갖고, 전자력에 의해 도 2 중 좌측 방향으로의 압박력을 제어한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36)의 다른 쪽 단부에는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과, 솔레노이드 밸브(36)에 의한 압력 조절 후의 유압이 공급되는 제2 유로(35b)로부터 분기한 피드백 유로(35c)로부터의 피드백압이 작용한다.
유압 회로(35)의 High 클러치(33)와 솔레노이드 밸브(36) 사이의 부분[제2 유로(35b)]에는, High 클러치(33)에 공급되는 유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유압 스위치(48)가 개재 장착된다. 유압 스위치(48)는, High 클러치(33)에 공급되는 유압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에서 온 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임계값 미만에서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스위치이며, 여기에서는 임계값에 히스테리시스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이 임계값을, 유압 스위치(48)의 온/오프 전환 임계값이라고도 한다.
즉, 온/오프 전환 임계값에는 유압 스위치(48)가 오프일 때 사용하는 제1 임계값 PTH1과, 유압 스위치(48)가 온일 때 사용하는 제2 임계값 PTH2가 설치되고, 제1 임계값 PTH1과 제2 임계값 PTH2는 PTH1>PTH2의 관계를 갖는다. 유압 스위치(48)는, 유압 상승 시에는 유압이 제1 임계값 PTH1에 달하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고, 유압 저하 시에는 유압이 제2 임계값 PTH2를 하회하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다. 유압 스위치(48)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변속기 컨트롤러(12)에 입력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유압 스위치(48)의 온/오프 전환 임계값으로서 제1 임계값 PTH1과 제2 임계값 PTH2의 2개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온/오프 전환 임계값은 하나라도 된다. 즉, 유압 스위치(48)가 오프일 때 사용하는 임계값과, 유압 스위치(48)가 온일 때 사용하는 임계값이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Low 브레이크(32)의 유압 회로에도, 듀티 제어형의 Low 브레이크(32)용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재 장착되고, 이 솔레노이드 밸브와 Low 브레이크(32) 사이에는 상기와 마찬가지인 유압 스위치가 개재 장착된다. 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High 클러치(33)용의 솔레노이드 밸브(36)와는 반대로, 공급 전류가 작을수록 유압을 낮게 하는 특성(노멀 로우)을 갖고, 공급 전류가 제로일 때에 가장 유압을 낮게 한다. 이 솔레노이드 밸브에의 공급 전류도 변속기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된다.
변속기 컨트롤러(12)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 그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기억된 ROM, CPU에서의 연산 결과 등이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RAM, 외부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등을 구비한 컴퓨터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기 컨트롤러(12)에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40), 프라이머리 회전 속도 센서(41), 세컨더리 회전 속도 센서(42), 아웃풋 회전 센서(43), 엔진 회전 속도 센서(44), 인히비터 스위치(45), 브레이크 스위치(46), 전후 G 센서(47), 유압 스위치(48), 유온 센서(49) 등의 각종 센서 및 스위치가 접속되고, 이들 센서 및 스위치로 검출된 센서 정보나 스위치 정보가 입력된다.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40)는, 도시하지 않은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량(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을 검출한다.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는, 운전자의 가속 의사나 발진 의사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이다. 프라이머리 회전 속도 센서(41)는, 프라이머리 풀리(21)의 회전 속도[변속기(4)의 입력 회전 속도] Npri를 검출하고, 세컨더리 회전 속도 센서(42)는 세컨더리 풀리(22)의 회전 속도[부변속 기구(30)의 입력 회전 속도] Nsec를 검출한다.
아웃풋 회전 센서(43)는, 변속기(4)의 출력축 회전 속도를 아웃풋 회전 속도 Nout로서 검출한다. 아웃풋 회전 센서(43)에 의해 부변속 기구(30)의 출력 회전 속도(아웃풋 회전 속도) Nout가 취득된다. 엔진 회전 속도 센서(44)는, 예를 들어 크랭크 샤프트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수를 엔진 회전 속도 Ne로서 검출한다. 인히비터 스위치(45)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되는 시프트 레버(셀렉트 레버)의 위치(레인지 위치)를 검출하고, 레인지 위치에 따른 레인지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브레이크 스위치(46)는, 풋 브레이크의 답입을 검출하는 온/오프 스위치이다. 브레이크 스위치(46)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액압이 소정의 임계값 PBTH 이상인 경우(즉 브레이크 답력이 큰 경우)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액압이 임계값 PBTH 미만인 경우(즉 브레이크 답력이 작은 경우)에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전후 G 센서(47)는, 차량에 작용하는 전후 G(전후 방향의 가속도)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전후 G 센서(47)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사용하여, 차량의 기울기나 차량의 거동이 산출된다.
유압 스위치(48)는, 상술한 바와 같이, High 클러치(33)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의 상태를 검출하는 온/오프 스위치이다. 유온 센서(49)는, 오일의 온도(유온)를 검출한다. 유온은 오일의 점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오일 펌프(10)가 적절하게 작동할 수 있는 유온인지 여부를, 유온 센서(49)를 사용하여 체크한다.
변속기 컨트롤러(12)의 ROM에는, 부변속 기구(30)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다. CPU는, ROM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고, 입력 포트(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대하여 각종 연산 처리를 실시해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출력 포트(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유압 제어 회로(11)에 출력한다. CPU가 연산 처리에서 사용하는 각종 값이나 그 연산 결과는, RAM에 적절히 저장된다.
변속기 컨트롤러(12)의 구체적인 제어 대상으로서는, 스로틀 개방도 등에 따라서 목표 라인압을 취득하는 라인압 제어,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배리에이터(20) 및 부변속 기구(30)의 변속 제어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변속 맵의 일례를 사용해서 변속기 컨트롤러(12)에 의한 변속 제어를 설명함과 함께, 유압 스위치(48)의 고장을 판정하는 고장 판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2. 제어의 개요]
[2-1. 변속 제어]
도 4는, 변속기 컨트롤러(12)의 ROM에 저장되는 변속 맵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12)는, 이 변속 맵을 사용하여, 배리에이터(20)의 변속과,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의 변경을 제어한다.
도 4는, 횡축에 아웃풋 회전 속도 Nout로부터 산출되는 차속 Vsp, 종축에 프라이머리 회전 속도 Npri를 취한 변속 맵이며, 변속기(4)의 동작점이 차속 Vsp와 프라이머리 회전 속도 Npri에 의해 정의된다. 변속기(4)의 동작점과 변속 맵의 좌측 하부 구석의 제로점을 연결하는 선의 기울기가 변속기(4)의 변속비[배리에이터(20)의 변속비에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에 대응하는 변속비를 승산해서 얻어지는 전체의 변속비, 이하 스루 변속비라고 함]에 대응한다.
이 변속 맵에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마다 변속선이 설정되어 있고, 변속기(4)의 변속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에 따라서 선택되는 변속선을 따라서 행하여진다. 또한, 도 4의 맵에는 전체 부하 시의 변속선만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부변속 기구(30)가 1속인 경우, 변속기(4)는 배리에이터(20)의 변속비를 최Low 변속비(즉 최대 변속비)로 해서 얻어지는 1st Low선(저속 최Low선)과, 배리에이터(20)의 변속비를 최High 변속비(즉 최소 변속비)로 해서 얻어지는 1st High선(저속 최High선)과의 사이에서 변속할 수 있다.
한편, 부변속 기구(30)가 2속인 경우, 변속기(4)는 배리에이터(20)의 변속비를 최Low 변속비로 해서 얻어지는 2nd Low선(고속 최Low선)과, 배리에이터(20)의 변속비를 최High 변속비로 해서 얻어지는 2nd High선(고속 최High선)과의 사이에서 변속할 수 있다. 부변속 기구(30)의 각 변속단의 변속비는, 1st High선에 대응하는 변속비가 2nd Low선에 대응하는 변속비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이에 의해, 부변속 기구(30)가 1속인 경우에 취할 수 있는 변속기(4)의 스루 변속비의 범위와, 2속인 경우에 취할 수 있는 변속기(4)의 스루 변속비의 범위가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변속기(4)의 동작점이 이 중복 부분에 있을 때는, 변속기(4)는 1속, 2속 중 어떠한 변속단도 선택 가능하다.
이 변속 맵에는, 도면 중 굵은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변속 기구(30)의 변속을 행하는 모드 전환 변속선이 1st High선에 대략 겹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모드 전환 변속선에 대응하는 스루 변속비는, 1st High선에 대응하는 변속비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된다. 1속 주행 중에 차속 Vsp가 상승하고, 변속기(4)의 동작점이 모드 전환 변속선을 가로지르면,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이 1속에서 2속으로 전환된다.
단, 2속 주행 중에 차속 Vsp가 저하되고, 변속기(4)의 동작점이 모드 전환 변속선을 가로지른 경우에 있어서, 2속인 상태에서는 얻을 수 없는 큰 구동력이 필요해지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부변속 기구(30)는 2속이 유지되어, 배리에이터(20)의 변속만으로 변속이 행하여진다.
[2-2. 고장 판정]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기 컨트롤러(12)는,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작동 상태와 유압 스위치(48)의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스위치(48)의 고장을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도 2에 도시한 High 클러치(33)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의 상태를 검출하는 유압 스위치(48)의 오프 고장 판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오프 고장이라 함은, 유압이 공급되고 있음에도, 유압 스위치(48)가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즉, 오프측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고장 판정은, 소정의 주행 조건이 성립되었을 경우에,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가 소정 전류값 I0 이하로 제어되고, 이때의 유압 스위치(48)의 신호를 사용해서 행하여진다. 소정 전류값 I0은, 솔레노이드 밸브(36)가 작동 유압을 온/오프 전환 임계값으로 하는 공급 전류값 IS보다도 소정량 IA 이상 작은 전류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온/오프 전환 임계값으로 하는 공급 전류값 IS라 함은, 유압 스위치(48)의 온/오프 전환 임계값의 유압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값이다.
여기에서는 온/오프 전환 임계값에 히스테리시스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공급 전류값이 작아지는 쪽의 임계값(즉 노멀 하이에서는 제1 임계값 PTH1, 노멀 로우에서는 제2 임계값 PTH2)이 되는 전류값을 「온/오프 전환 임계값으로 하는 공급 전류값 IS」로 한다. 또한, 소정량 IA는 고장 판정을 실시할 때에 채터링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값이며, 유압 진동의 진폭에 따라서 설정된다. 즉, 소정 전류값 I0은, 도 3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전류값 IS보다도 소정량 IA 이상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전류값 I0은 High 클러치(33)에 공급되는 유압이 유압 스위치(48)의 온/오프 전환 임계값보다도 충분히 커지는 전류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여기서는 제로(0mA)로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가 제로로 제어되면, 유압 회로(35)에서의 유압 진동이 억제된다. 또한, 공급 전류가 제로인 경우에는 High 클러치(33)에는 반드시 유압이 공급되고, High 클러치(33)는 체결된다.
따라서, 공급 전류가 제로로 제어된 경우, 유압 스위치(48)는 유압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유압 스위치(48)가 정상이면 반드시 온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유압 스위치(48)가 오프 신호를 출력하였다고 하면, 유압 스위치(48)의 신호가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작동 상태와 일치하고 있지 않게 되므로,「유압 스위치(48)는 오프 고장인 것」이라 판정된다.
고장 판정을 실시하는 소정의 주행 조건에는, High 클러치(33)의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운전 영역을 피함과 함께, 부변속 기구(30)의 변속 제어를 방해하지 않는 운전 영역인 것이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고장 판정을 행하는 소정의 주행 조건은, 적어도 이하의 조건 A 및 조건 B를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한다.
조건 A :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이 2속이다
조건 B : 차속 Vsp가 소정 차속 Vth 이상이다
솔레노이드 밸브(36)의 공급 전류를 제로로 제어하면 High 클러치(33)에의 공급 유압은 최댓값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부변속 기구(30)가 2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High 클러치(33)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공급 전류를 제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조건 A는, 변속기 컨트롤러(12)로부터 유압 제어 회로(11)에 출력되는 신호를 보고 판단된다.
또한, 조건 B는 부변속 기구(30)가 2속에서 1속으로 변속되지 않는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조건이다. 운전자로부터의 가속 요구가 급격하게 증대한 경우에는, 큰 토크가 필요해지므로, 부변속 기구(30)가 2속에서 1속으로 변속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2속에서 1속으로의 변속 제어를 실시할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를 세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가속 요구가 그만큼 크지 않으면, 2속 주행을 계속할 수 있다. 조건 B의 소정 차속 Vth는, 2속 주행을 계속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값(예를 들어 60㎞/h)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고장 판정을 실시하는 주행 조건(즉, 상기 조건 A 및 조건 B를 모두 충족시키는 범위)을 도 4의 맵에 사선으로 나타낸다. 즉, 변속기(4)의 동작점이 이 맵의 사선 내일 경우에,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를 제로로 제어하여, 유압 스위치(48)의 고장 판정을 실시한다.
[3. 제어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고장 판정을 실시하기 위한 요소로서, 변속기 컨트롤러(12)에는 검출부(12a)와 고장 판정부(12b)가 설치된다. 이들 각 요소는 전자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소프트웨어로서 프로그래밍된 것으로 해도 되고, 또는 이들 기능 중 일부를 하드웨어로서 설치하고, 그 밖의 일부를 소프트웨어로 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한 변속 제어는 공지된 기술(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923080호)을 채용 가능하고, 여기서는 고장 판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검출부(검출 수단)(12a)는,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다. 검출부(12a)는, 예를 들어 변속기 컨트롤러(12)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신호를 체크해서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변속단으로부터 마찰 체결 요소(32, 33)의 체결 상태를 판단해서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작동 상태를 검출한다.
계속해서 검출부(12a)는, 검출한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이 2속이면, High 클러치(33)가 체결되어 있는 것이 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36)는 High 클러치(33)에 높은 유압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이다」라고 검출한다. 한편, 검출한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이 1속이면, High 클러치(33)가 해방되어 있는 것이 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36)는 High 클러치(33)에 유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라고 검출한다. 검출부(12a)에서 검출된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작동 상태 및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 정보는, 고장 판정부(12b)로 전달된다.
고장 판정부(12b)는, 아웃풋 회전 센서(43) 및 유압 스위치(48)의 정보와 검출부(12a)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유압 스위치(48)의 고장 판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고장 판정부(12b)는, 먼저 고장 판정을 실시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상기한 조건 A 및 조건 B를 모두 충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조건 A는 검출부(12a)에 있어서 검출된 변속단을 사용해서 판정하고, 조건 B는 아웃풋 회전 센서(43)에서 검출된 아웃풋 회전 속도 Nout으로부터 차속 Vsp를 산출해서 판정한다.
고장 판정부(12b)는, 조건 A 및 조건 B를 모두 충족시킨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를 제로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High 클러치(33)에 높은 유압이 공급되게 되어,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은 2속이 유지된다. 고장 판정부(12b)는, 공급 전류를 제로로 제어한 후의 유압 스위치(48)의 신호가 온이면 유압 스위치(48)가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유압 스위치(48)의 신호가 오프이면 오프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고장 판정부(12b)는 조건 A 및 조건 B 중 적어도 한쪽을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현시점에서는 고장 판정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조건 A 및 조건 B를 모두 충족시킬 때까지 상기한 판정을 반복하여 행한다.
고장 판정부(12b)는, 솔레노이드 밸브(36)의 고장 판정의 결과를 변속기 컨트롤러(12)에 기억한다. 예를 들어 오프 고장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36)의 고장에 대응한 고장 코드를 변속기 컨트롤러(12)에 기억한다. 또한, 운전자에게 고장을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4. 흐름도]
이어서, 도 5를 사용해서 변속기 컨트롤러(12)에서 실행되는 유압 스위치(48)의 고장 판정의 순서의 예를 설명한다. 도 5의 흐름도는, 이그니션 스위치(IG_SW)가 온이 되면, 소정의 연산 주기로 반복하여 실시된다.
스텝 S10에서는, 이그니션 키가 온인지 여부(키 온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키 오프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으로 진행되고, 플래그 FD가 FD=0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플래그 FD는 유압 스위치(48)가 오프 고장이라고 판정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변수이며, FD=0은 유압 스위치(48)가 정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고, FD=1은 유압 스위치(48)가 오프 고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한다.
최초의 연산 주기에서는 플래그 FD가 FD=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어지는 스텝 S40에 있어서 아웃풋 회전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아웃풋 회전 속도 Nout와, 세컨더리 회전 속도 센서(42)에 의해 검출된 세컨더리 회전 속도 Nsec가 입력된다. 스텝 S50에서는, 아웃풋 회전 속도 Nout로부터 산출된 차속 Vsp가 소정 차속 Vth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당해 판정은 상기한 조건 B에 대응하는 것이다. 차속 Vsp가 소정 차속 Vth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S90으로 진행되고, 통상의 변속 제어에 입각한 공급 전류의 제어가 실시되어서, 이 연산 주기를 리턴한다.
한편, 차속 Vsp가 소정 차속 Vth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60에 있어서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이 검출된다. 그리고 스텝 S70에서는, 검출된 변속단이 2속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당해 판정은 상기 조건 A에 대응하는 것이다. 변속단이 2속인 경우에는 스텝 S80으로 진행되고, 2속이 아닌 경우(즉 1속인 경우)는 스텝 S90으로 진행되고, 상기한 제어가 실시되어 이 연산 주기를 리턴한다.
스텝 S80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가 제로로 제어되고, 이어지는 스텝 S100에서는 유압 스위치(48)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스텝 S110에서는, 이 유압 스위치(48)의 신호가 온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유압 스위치(48)가 온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20으로 진행되어, 유압 스위치(48)가 정상이라고 판정되고, 이 연산 주기를 리턴한다. 한편, 유압 스위치(48)가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30으로 진행되어, 유압 스위치(48)가 오프 고장이라고 판정되어서, 스텝 S140으로 진행된다. 스텝 S140에서는, 플래그 FD가 FD=1로 설정되어, 이 연산 주기를 리턴한다.
연산 주기를 리턴한 경우에는, 다시 스텝 S10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40에 있어서 플래그 FD가 FD=1로 설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으로부터 NO 루트로 진행되어, 이 연산 주기를 리턴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유압 스위치(48)가 오프 고장인 것으로서 유압 제어가 실시된다(오프 고장 전용의 유압 제어가 행하여짐).
이그니션 키가 오프가 된 경우에는, 스텝 S10에서 스텝 S30으로 진행되고, 플래그 FD가 FD=0으로 리셋되어서, 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5. 효과]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주행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를 소정 전류값 I0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유압 진동의 영향을 배제한 상태에서 유압 스위치(48)의 고장을 판정하므로,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소정 전류값 I0은, 솔레노이드 밸브(36)가 마찰 체결 요소(33)에 공급되는 유압을 유압 스위치(48)의 온/오프 전환 임계값으로 하는 공급 전류값 IS보다도 소정량 IA 이상 작은 전류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고장 판정을 실시할 때에 유압 진동의 영향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어,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실시 형태의 경우, 소정 전류값 I0을 제로로 설정함으로써, 제어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장 판정을 실시하는 소정의 주행 조건에는, 마찰 체결 요소(33)의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운전 영역을 피함과 함께, 부변속 기구(30)의 변속 제어를 방해하지 않는 운전 영역인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운전 영역의 경우에 고장 판정을 실시함으로써, 주행 성능이나 드라이브 필링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정확하게 고장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공급 전류가 작을수록 작동 유압을 높게 하는 특성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36)에 대해서, 공급 전류를 소정 전류값 I0 이하로 제어해서 오프 고장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36)의 경우, 공급 전류를 소정 전류값 I0 이하로 제어하면 반드시 높은 작동 유압이 마찰 체결 요소(33)에 공급되어, 유압 스위치(48)의 온/오프 전환 임계값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령 유압 진동이 발생했다고 해도, 작동 유압은 유압 스위치(48)의 온/오프가 전환되는 유압보다도 높기 때문에, 유압 진동의 영향을 배제해서 유압 스위치(48)의 고장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장 판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6. 기타]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High 클러치(33)의 유압 회로(35)에 개재 장착된 노멀 하이의 솔레노이드 밸브(36)에의 공급 전류를 제어하여, 이 유압 회로(35)에 개재 장착된 유압 스위치(48)의 고장 판정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Low 브레이크(32)의 유압 회로에 개재 장착되는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ow 브레이크(32)의 유압 회로에 개재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36)와는 반대로 공급 전류가 작을수록 유압을 낮게 하는 특성(노멀 로우)을 갖고, 공급 전류가 제로일 때에 유압을 제로로 하는 것으로 한다. 즉, 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공급 전류를 제로로 제어하면, Low 브레이크(32)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은 제로가 되어, Low 브레이크(32)는 해방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상기 조건 A 및 조건 B가 모두 성립된 경우에, Low 브레이크(32)용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공급 전류를 제로로 제어하고, 이때의 Low 브레이크(32)의 유압 회로에 개재 장착된 유압 스위치가 온 신호를 출력하고 있으면, 이 유압 스위치는 온 고장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온 고장이라 함은, 유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음에도, 유압 스위치가 온 신호를 출력하는 것(즉, 온측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한 High 클러치(33)의 유압 회로(35)에 개재 장착된 유압 스위치(48)의 오프 고장 판정과 동시에, Low 브레이크(32)의 유압 회로에 개재 장착되는 유압 스위치의 온 고장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이 온 고장 판정에 있어서도, 가령 유압 진동이 발생했다고 해도, 작동 유압은 유압 스위치의 온/오프가 전환되는 유압보다도 낮으므로, 유압 진동의 영향을 배제해서 유압 스위치의 온 고장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장 판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 A가 성립되는 경우, 즉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이 2속인 경우에는, Low 브레이크(32)가 해방된 상태이므로, Low 브레이크(32)의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운전 영역을 피한 운전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상기의 조건 A 및 조건 B가 모두 성립되는 경우에는, Low 브레이크(32)의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운전 영역을 피함과 함께, 부변속 기구(30)의 변속 제어를 방해하지 않는 운전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때에 Low 브레이크(32)의 온 고장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급 전류의 제어에 있어서 소정 전류값 I0을 제로로 설정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소정 전류값 I0은 제로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 체결 요소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이, 유압 스위치(48)의 온/오프 전환 임계값이 되는 공급 전류값 IS보다도 소정량 IA 이상 작은 전류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 작동 유압의 값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작동 상태를 검출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자동 변속기로서, 배리에이터(20)와 부변속 기구(30)를 구비한 무단 변속기(4)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자동 변속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단식 자동 변속기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진 2단·후진 1단의 부변속 기구(30)를 예시했지만, 전진용의 마찰 체결 요소를 3개 이상 갖는 유단 변속 기구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단 변속 기구에 라비뇨형 유성 기어 기구(31)를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유성 기어 기구를 사용하는 등, 다른 구조의 유단 변속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구동원은 엔진(1)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동기라도 된다.

Claims (5)

  1. 차량에 탑재되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에 개재 장착되어, 공급 전류의 변화에 수반하여 상기 자동 변속기의 마찰 체결 요소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을 변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유압 회로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마찰 체결 요소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상기 작동 유압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에서 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유압이 상기 임계값 미만에서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유압 스위치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와 상기 유압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압 스위치의 고장을 판정하는 고장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장 판정 수단은, 소정의 주행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상기 공급 전류를 소정 전류값 이하로 제어해서 상기 유압 스위치의 고장을 판정하는,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전류값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작동 유압을 상기 임계값으로 하는 공급 전류값보다도 소정량 이상 작은 전류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속기는, 무단 변속 기구와, 상기 무단 변속 기구와 직렬로 설치되어, 상기 마찰 체결 요소로서 발진에 사용하는 제1 클러치와 당해 제1 클러치보다도 변속비가 작은 제2 클러치를 갖는 부변속 기구를 구비한 무단 변속기이며,
    상기 소정의 주행 조건에는, 상기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운전 영역을 피함과 함께 상기 부변속 기구의 변속 제어를 방해하지 않는 운전 영역인 것이 포함되는,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공급 전류가 작을수록 상기 작동 유압을 높게 하는 특성을 갖고,
    상기 고장 판정 수단은, 상기 공급 전류를 상기 소정 전류값 이하로 제어했을 때의 상기 유압 스위치의 신호가 오프 신호이면, 상기 유압 스위치가 오프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공급 전류가 작을수록 상기 작동 유압을 낮게 하는 특성을 갖고,
    상기 고장 판정 수단은, 상기 공급 전류를 상기 소정 전류값 이하로 제어했을 때의 상기 유압 스위치의 신호가 온 신호이면, 상기 유압 스위치가 온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KR1020167004973A 2013-09-30 2014-09-24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KR101780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3568 2013-09-30
JPJP-P-2013-203568 2013-09-30
PCT/JP2014/075170 WO2015046189A1 (ja) 2013-09-30 2014-09-24 油圧スイッチの故障判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051A true KR20160036051A (ko) 2016-04-01
KR101780607B1 KR101780607B1 (ko) 2017-09-21

Family

ID=5274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973A KR101780607B1 (ko) 2013-09-30 2014-09-24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44853B2 (ko)
EP (1) EP3054198A4 (ko)
JP (1) JP6006884B2 (ko)
KR (1) KR101780607B1 (ko)
CN (1) CN105579748B (ko)
WO (1) WO2015046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340A1 (ja) * 2015-09-11 2017-03-16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及び自動変速機の故障判断方法
US10724896B2 (en) * 2015-10-14 2020-07-28 Nidec Tosok Corporation Oil vibration diagnosis apparatus and oil vibration diagnosis method
JP6617693B2 (ja) * 2016-12-09 2019-12-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US11397129B2 (en) * 2017-02-24 2022-07-26 Jatco Ltd Device for determining normality of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JP6576987B2 (ja) * 2017-08-10 2019-09-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CN109882252B (zh) * 2019-03-21 2021-08-03 广东核电合营有限公司 给水泵故障检测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12666899A (zh) * 2019-10-16 2021-04-16 新特能源股份有限公司 调节阀组的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24166B (zh) * 2021-03-17 2023-01-06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溢流阀故障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074Y2 (ja) 1993-03-17 1999-03-17 株式会社アマダ ラム駆動用電磁クラッチの制御器
JP3519161B2 (ja) 1995-03-22 2004-04-12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車用制御装置
JP3579962B2 (ja) 1995-06-02 2004-10-2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装置
JP2000035115A (ja) 1998-07-21 2000-02-02 Fuji Heavy Ind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3424159B2 (ja) 1998-08-25 2003-07-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直動バルブ式自動変速機のインターロック防止装置
JP3656004B2 (ja) 1999-03-19 2005-06-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油圧検出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3937122B2 (ja) 2000-09-18 2007-06-27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目標油圧判断装置
JP4907019B2 (ja) 2001-09-06 2012-03-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7057057A (ja) * 2005-08-26 2007-03-08 Jatco Ltd 自動変速機のフェール検出装置
JP4341631B2 (ja) * 2006-01-31 2009-10-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異常判定装置
JP4779938B2 (ja) * 2006-11-13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油圧制御装置
US8113988B2 (en) * 2008-04-04 2012-0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module for vehicle transmission and diagnostic detection method for the same
JP5051007B2 (ja) 2008-06-03 2012-10-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駆動系のアイドルストップ解除時制御装置
JP4593654B2 (ja) * 2008-06-10 2010-12-08 ジヤトコ株式会社 有段自動変速機
JP2012514720A (ja) * 2009-01-09 2012-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オンオフ制御弁の制御装置
JP4923080B2 (ja) 2009-03-27 2012-04-25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5335563B2 (ja) 2009-06-02 2013-1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スイッチの故障検知装置
CN103403401B (zh) * 2011-03-25 2015-08-12 加特可株式会社 自动变速器的控制装置
KR101509985B1 (ko) 2013-11-25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클러치 솔레노이드밸브 고장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46189A1 (ja) 2017-03-09
JP6006884B2 (ja) 2016-10-12
KR101780607B1 (ko) 2017-09-21
CN105579748A (zh) 2016-05-11
CN105579748B (zh) 2017-06-16
EP3054198A1 (en) 2016-08-10
US20160223075A1 (en) 2016-08-04
US10344853B2 (en) 2019-07-09
EP3054198A4 (en) 2016-11-09
WO2015046189A1 (ja)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607B1 (ko) 유압 스위치의 고장 판정 장치
US7993225B2 (en)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160137902A (ko) 무단 변속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9144802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810341B1 (ko) 유단 변속 기구의 제어 장치
JP6554545B2 (ja) ベルト無段変速機及びその故障判断方法
US9638318B2 (en)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6554546B2 (ja) ベルト無段変速機及びその故障判断方法
CN110325834A (zh) 电磁控制阀的正常判定装置
KR102004634B1 (ko)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변속기의 제어 방법
JP2013217443A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939527B1 (ko)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변속기의 제어 방법
JP2017067227A (ja) 油圧回路の制御装置及び油圧回路の制御方法
KR101999935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
WO2017043340A1 (ja) 自動変速機及び自動変速機の故障判断方法
WO2016194597A1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935190B1 (ko)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변속기의 제어 방법
KR101930189B1 (ko)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변속기의 제어 방법
JP6689722B2 (ja) バルブの異常診断装置
US11460103B2 (en) Lock-up disengagement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11524670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20170008259A (ko)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496854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9082187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