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401A -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401A
KR20160029401A KR1020140118877A KR20140118877A KR20160029401A KR 20160029401 A KR20160029401 A KR 20160029401A KR 1020140118877 A KR1020140118877 A KR 1020140118877A KR 20140118877 A KR20140118877 A KR 20140118877A KR 20160029401 A KR20160029401 A KR 20160029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direction
passenger
train
evacu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746B1 (ko
Inventor
조현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코스
Priority to KR102014011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746B1/ko
Priority to EP15837463.7A priority patent/EP3190570B1/en
Priority to ES15837463T priority patent/ES2894038T3/es
Priority to PCT/KR2015/009377 priority patent/WO2016036208A1/ko
Priority to CN201580059949.1A priority patent/CN107077771B/zh
Priority to JP2017533148A priority patent/JP6687925B2/ja
Priority to US15/509,058 priority patent/US10083580B2/en
Publication of KR20160029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열차의 운행시 발생 되는 재해 또는 사고로부터 승객들을 안전한 장소로 용이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열차의 이동경로 상에서 재해 또는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비상상황 감지부와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에서 재해 또는 사고 발생 유무에 대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에서의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방향 생성부 및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전달받아 승객들에게 승객 대피방향을 제공하는 대피방향 제어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Passengers evacuated direction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열차의 운행시 발생 되는 재해 또는 사고로부터 승객들을 안전한 장소로 용이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이나 철도를 포함하는 열차는 대도시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운영되어 왔으며, 지속적으로 그 노선이 확장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열차는 지하공간인 터널 내에서 운행되는 시간이 길고 야간에 운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터널 내에서나 운행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재해 또는 사고로부터 승객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는 안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터널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는 어두운 장소 또는 야간에서는 승객들이 시야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라, 승객들이 안전 장소까지의 대피 경로를 인지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안내 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터널 내에 비상구 안내램프를 설치하여 재해 및 사고로부터 승객들을 안전 장소로 안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방법은, 긴박한 상황에서 승객들이 상기 비상구 안내램프를 발견하는데 어려움을 유발하고 또한 승객들의 현재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이 비상구와 가장 가까운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승객들을 안전 장소로 대피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군다나, 열차의 구조상 다수개의 출입문으로 각각 빠져나오는 승객들의 대피방향이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기 때문에, 비상구 안내램프와 같은 안내등 만으로는 지하철 또는 철도의 각 출입문으로 빠져나오는 승객들에게 대피방향을 일일이 안내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심각하게는 승객들의 오판단으로 인해 인명피해가 늘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47919호의 '비상탈출 유도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차의 이동경로 상에서 재해 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열차의 각 출입문으로 빠져나오는 승객들에게 효율적으로 대피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차의 이동경로 상에서 재해 또는 사고 발생시 상기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을 위한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방향 생성부;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열차의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에 승객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대피방향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상물은, 상기 열차의 주변에 위치한 벽면, 바닥면 및 천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광(光)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에 상기 승객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대피방향 조사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은, 상기 열차의 출입문 또는 상기 출입문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대상물 감지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에 감지된 상기 대상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 사이의 초점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객 대피방향의 표시에 대한 선명도를 조절하는 초점 조절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객 대피방향은, 대피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또는 승객들의 현재위치에서 안정장소까지의 대피경로가 표시된 약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상기 승객들에게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출력모듈은, 상기 승객 대피방향이 표시될 대상물이 존재하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승객 대피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에서 감지되는 대상물은, 열차를 탑승한 승객들이 출입문을 통해 열차의 외부로 빠져나올 때, 승객들이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에서 조사하는 승객 대피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순위로 감지되고 결정되며, 상기 순위는 벽면, 바닥면, 천장면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차의 운행경로 상에서 재해 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시에, 열차의 출입문을 통해 빠져나오는 승객들에게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피방향 제어부가 승객들이 빠져나오는 출입문 각각에 마련되기 때문에, 승객들의 현재 위치에서 안전장소까지의 대피경로를 승객들에게 다각적으로 제공하여 대피상황에 따른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빛이 유입되지 않는 터널이나 야간에도 승객들에게 대피경로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피방향 제어부의 상세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피방향 제어부에 의해 벽면에 승객 대피방향이 조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피방향 조사부에서 출력되는 승객 대피방향표의 구현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피방향 제어부가 열차의 출입문 각각에 마련된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100)은, 열차가 운행중일 시에 열차 내에서나 열차의 이동경로 상에서 발생되는 재해 또는 사고로부터 승객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대피방향을 안내하는 시스템으로서, 열차의 이동경로 상에서 재해 또는 사고 발생시 상기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을 위한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방향 생성부(10)와,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에서 생성되는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열차의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에 승객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대피방향 표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의 이동경로 또는 열차 내에서 재해 또는 사고 발생유무를 판단하는 비상상황 감지부(5)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5)는, 열차의 이동경로 또는 열차 내에서 발생되는 재해 또는 사고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경로 또는 열차 내에 다수개로 마련되는 감시 카메라 또는 화재감지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시 카메라 또는 화재감지센서는 열차의 이동경로 또는 열차 내에서의 재해 또는 사고 발생 유무를 실시간 감지하고, 재해 또는 사고 발생시에는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에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시 카메라 또는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열차의 이동경로 상에서 발생되는 재해 또는 사고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감지 시스템 등이 사용되어 재해 또는 사고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는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5)에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는 중앙관제센터(40) 또는 기관실(50)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는,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이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을 회피하면서 비상구와 같은 안전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역사 또는 열차의 이동경로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간 데이터 베이스 및 다수개의 이동로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11)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는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5), 중앙관제센터(40), 기관실(5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에서의 공간 정보와 이동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11)에서 추출하여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에서 안전지점까지의 대피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전달받아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안전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객 대피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광(光)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에 상기 승객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대피방향 조사모듈(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은 열차의 마련된 복수개의 출입문 또는 상기 출입문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열차는 일반적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출입문이 마련되어 있는바, 재해 또는 사고 발생시에 상기 다수개의 출입문으로 빠져나오는 승객들의 대피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출입문으로 각각 빠져나오는 승객들은,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1)에 의해, 자신의 현재위치에서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을 고려하여 안전장소와 가장 가까우면서도 안전한 대피방향을 지시하는 승객 대피방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은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 또는 레이져 프로젝터(laser projector)와 같은 영상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출입문으로 각각 빠져나오는 승객들은,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0)에 의해, 자신의 현재위치에서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을 고려하여 안전장소와 가장 가까우면서도 안전한 대피방향을 지시하는 승객 대피방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에서 조사되는 승개 대피방향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토대로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을 회피하여 안전장소를 향해 일방향으로 대피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로 구현될 수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들의 현재위치에서 안전장소까지의 대피경로를 다방향의 화살표로 표시한 재해 또는 사고 발생지점의 약도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0)는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대상물 감지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에서 감지하는 대상물은,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에서 조사하는 승객 대피방향이 승객들의 육안에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열차 이동경로 상의 터널 벽면이나 바닥면 및 천장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에서 감지되는 대상물은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에서 조사되는 승객 대피방향이 출력되는 스크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에서 감지되는 대상물은, 열차를 탑승한 승객들이 출입문을 통해 열차의 외부로 빠져나올 때, 승객들이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에서 조사하는 승객 대피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순위로 감지되고 결정되며, 상기 순위는 벽면, 바닥면, 천장면 순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에서 감지되는 대상물이 벽면으로 감지되면, 출입문을 통해 빠져나오는 승객들이 자신과 마주하는 벽면에 조사된 승객 대피방향을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열차 이동경로 상에서 벽면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벽면이 열차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은 바닥면과 천장면 순서로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바닥면이 천장면보다 우선순위로 감지되는 이유는 출입문을 통해 열차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승객들이 천장면에 출력된 승개 대피방향보다 바닥면에 출력된 승객 대피방향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0)는, 승객 대피방향이 조사된 대상물의 위치를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하여 알려주는 음성 출력모듈(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이 승객 대피방향을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이 감지한 벽면으로 조사할 경우, 상기 음석 출력모듈(25)은 열차의 출입문을 통해 빠져나오는 승객들에게 벽면을 바라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석 출력모듈(25)은,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에서 감지할 대상물이 존재하지 않거나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나, 또는,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대상물을 감지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대피방향 정보를 토대로하여 승객들에게 대피방향을 음성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출입문을 통해 열차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승객들에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라는 음성을 출력하여 승객들의 대피경로를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0)는,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에서 감지하는 대상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 사이의 초점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객 대피방향 표시에 대한 선명도를 조절하는 초점 조절모듈(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점 조절모듈(27)은, 대상물에 조사된 승객 대피방향이 흐린 상태로 상기 대상물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차의 출입문으로 빠져나오는 승객들이 상기 승객 대피방향을 선명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승객 대피방향이 대상물에 흐릿하게 조사될 경우 승객들은 대피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안전장소로 이동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0)는, 대상물의 위치에 대응되어 대피방향 조사모듈(21)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모듈(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모듈(29)은,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에서 출력되는 승객 대피방향의 조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23)에서 감지된 대상물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각도 조절모듈(29)에 의해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21)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성은 리니어 모터 등과 같은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0)는, 역사 내의 중앙관제센터(40) 또는 열차 내의 기관실(50)에서 안전 관리자 또는 기관사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중앙관제센터(40) 또는 상기 기관실(50)에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20)의 대피방향 조사모듈(21)을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승객들에게 승객 대피방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100)은, 열차의 이동경로 상에서 재해 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시에, 열차의 출입문을 통해 빠져나오는 승객들에게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100)은, 대피방향 표시부(20)가 승객들이 빠져나오는 출입문 각각에 마련되기 때문에, 승객들의 현재 위치에서 안전장소까지의 대피경로를 승객들에게 다각적으로 제공하여 대피상황에 따른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 : 비상상황 감지부 10 : 대피방향 생성부
11 : 데이터 저장부 20 : 대피방향 표시부
21 : 대상물 조사모듈 23 : 대상물 감지모듈
25 : 음성 출력모듈 27 : 초점 조절모듈
29 : 각도 조절모듈 40 : 중앙관제센터
50 : 기관실

Claims (10)

  1. 열차의 이동경로 상에서 재해 또는 사고 발생시 상기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을 위한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방향 생성부;
    상기 대피방향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승객 대피방향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열차의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에 승객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대피방향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상기 열차의 주변에 위치한 벽면, 바닥면 및 천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광(光)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에 상기 승객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대피방향 조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은,
    상기 열차의 출입문 또는 상기 출입문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대상물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에 감지된 상기 대상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 사이의 초점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객 대피방향의 표시에 대한 선명도를 조절하는 초점 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대피방향은,
    대피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또는 승객들의 현재위치에서 안정장소까지의 대피경로가 표시된 약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방향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상기 승객들에게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출력모듈은,
    상기 승객 대피방향이 표시될 대상물이 존재하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승객 대피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감지모듈에서 감지되는 대상물은,
    열차를 탑승한 승객들이 출입문을 통해 열차의 외부로 빠져나올 때, 승객들이 상기 대피방향 조사모듈에서 조사하는 승객 대피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순위로 감지되고 결정되며,
    상기 순위는 벽면, 바닥면, 천장면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KR1020140118877A 2014-09-05 2014-09-05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KR10165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77A KR101653746B1 (ko) 2014-09-05 2014-09-05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EP15837463.7A EP3190570B1 (en) 2014-09-05 2015-09-04 Passenger evacuation direction guidance system
ES15837463T ES2894038T3 (es) 2014-09-05 2015-09-04 Sistema de guiado de dirección de evacuación de pasajeros
PCT/KR2015/009377 WO2016036208A1 (ko) 2014-09-05 2015-09-04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CN201580059949.1A CN107077771B (zh) 2014-09-05 2015-09-04 乘客疏散方向引导系统
JP2017533148A JP6687925B2 (ja) 2014-09-05 2015-09-04 乗客待避方向案内システム
US15/509,058 US10083580B2 (en) 2014-09-05 2015-09-04 Passenger evacuation direction guid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77A KR101653746B1 (ko) 2014-09-05 2014-09-05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01A true KR20160029401A (ko) 2016-03-15
KR101653746B1 KR101653746B1 (ko) 2016-09-02

Family

ID=5544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877A KR101653746B1 (ko) 2014-09-05 2014-09-05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83580B2 (ko)
EP (1) EP3190570B1 (ko)
JP (1) JP6687925B2 (ko)
KR (1) KR101653746B1 (ko)
CN (1) CN107077771B (ko)
ES (1) ES2894038T3 (ko)
WO (1) WO20160362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778B1 (ko) * 2019-09-30 2020-05-13 인포뱅크 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탑승객 안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200806B1 (ko) * 2020-04-07 2021-01-11 인포뱅크 주식회사 환승제어가 가능한 자율주행차량의 탑승객 안전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6170B (zh) * 2017-12-29 2021-08-17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室内路线生成方法、装置及系统
US11064338B2 (en) * 2019-06-27 2021-07-13 Johnson Controls Fire Protection LP Heads up mass notification
CN110285858A (zh) * 2019-07-18 2019-09-27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无线传感器的铁路列车运营环境监测装置
CN110837944A (zh) * 2019-08-27 2020-02-25 北京轨道交通路网管理有限公司 调度方法、装置及系统
CN113628551A (zh) * 2021-08-06 2021-11-09 宁波Gqy视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指引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349A (ko) *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3953A (en) * 1967-08-18 1971-09-07 John E Lindberg Fire detector circuit
US6181251B1 (en) * 1997-10-28 2001-01-30 Robert R. Kelly Combination smoke detection device and laser escape indicator
US6150943A (en) * 1999-07-14 2000-11-21 American Xtal Technology, Inc. Laser director for fire evacuation path
JP2003233153A (ja) * 2002-02-08 2003-08-22 Ricoh Co Ltd 多色画像形成装置
JP2003285737A (ja) * 2002-03-29 2003-10-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異常時誘導案内システム
JP2004284521A (ja) * 2003-03-24 2004-10-14 Sato Kogyo Co Ltd 地下鉄駅構内における案内表示システム
CN2632798Y (zh) * 2003-06-10 2004-08-11 深圳清华彩虹纳米材料高科技有限公司 指示装置
KR100554018B1 (ko) * 2003-08-22 2006-02-22 유영훈 전동차의 비상자동시스템
WO2005079340A2 (en) * 2004-02-13 2005-09-01 Lacasse Photoplastics, Inc. Intelligent directional fire alarm system
JP4585793B2 (ja) * 2004-05-21 2010-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04040057A1 (de) * 2004-08-18 2006-03-09 Rauch, Jürgen, Dr.-Ing. Verkehrsleitsystem
JP2006064914A (ja) * 2004-08-26 2006-03-09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KR100547919B1 (ko) 2005-04-15 2006-02-09 (주)등대 비상탈출 유도장치
JP4156017B1 (ja) * 2007-12-12 2008-09-24 広島化成株式会社 協賛式避難誘導案内標示板
GB0804472D0 (en) * 2008-03-11 2008-04-16 Patterson Kieran An evacuation lighting system
US20110084830A1 (en) * 2008-06-13 2011-04-14 Korea Martime & Ocean Enigineering Research Institute Active emergency control system based on real time location system and sensor network
DE102009007491B4 (de) * 2009-02-05 2013-03-28 Airbus Operations Gmbh Türbereich eines Luftfahrzeugs
JP2010225113A (ja) * 2009-03-25 2010-10-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の地震被災時のリスク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DE102009051900A1 (de) * 2009-11-04 2011-05-05 Elektro Grundler Ges.M.B.H. & Co. Kg Vorrichtung zur Anzeige von Sicherheitshinweisen
KR20110059161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JP2011134172A (ja) * 2009-12-25 2011-07-07 Seiko Epson Corp 避難誘導装置及び避難誘導システム
DE102010004116A1 (de) * 2010-01-07 2011-07-14 TÜV NORD Sys Tec GmbH & Co. KG, 22525 Durchgang für ein Fahrzeug, eine Kabine oder dergleichen
KR101127334B1 (ko) * 2010-01-25 2012-03-29 에이 마이스너 제임스 광고 영상용 프로젝터
JP2011170658A (ja) * 2010-02-19 2011-09-01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1255821A (ja) * 2010-06-10 2011-12-22 Toshiba Corp 電気車制御装置
SG187073A1 (en) * 2010-07-20 2013-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Motorman's cab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motorman's cab display apparatus
DE102010055704A1 (de) * 2010-12-22 2012-06-28 Airbus Operations Gmbh System zur Evakuierung von Personen aus einem Fahrzeug
CN202205298U (zh) * 2011-09-16 2012-04-25 广州市地下铁道总公司 地铁隧道内自动疏散指示系统
KR101327899B1 (ko) * 2011-12-02 2013-11-13 유비링크(주) 다기능 프로젝션 유도등
CN102760395A (zh) * 2012-07-20 2012-10-31 王勇竞 地铁用投影显示系统
KR20140073612A (ko) * 2012-11-27 2014-06-17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시 안내 시스템
EP2738060A1 (en) * 2012-11-29 2014-06-0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Passenger guidance system for guidance of passengers with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CN103106716B (zh) * 2013-01-24 2015-09-02 成都新方向科技发展有限公司 交通场站客流检测系统及方法
TW201441987A (zh) * 2013-04-25 2014-11-01 Tai Fu Li Co Ltd 智慧型消防方向指引裝置
US9476730B2 (en) * 2014-03-18 2016-10-25 Sri International Real-time system for multi-modal 3D geospatial mapping, object recognition, scene annotation and analytic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349A (ko) *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778B1 (ko) * 2019-09-30 2020-05-13 인포뱅크 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탑승객 안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200806B1 (ko) * 2020-04-07 2021-01-11 인포뱅크 주식회사 환승제어가 가능한 자율주행차량의 탑승객 안전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3580B2 (en) 2018-09-25
ES2894038T3 (es) 2022-02-11
EP3190570A4 (en) 2018-05-02
CN107077771A (zh) 2017-08-18
US20170263088A1 (en) 2017-09-14
EP3190570A1 (en) 2017-07-12
WO2016036208A1 (ko) 2016-03-10
KR101653746B1 (ko) 2016-09-02
JP2017527496A (ja) 2017-09-21
JP6687925B2 (ja) 2020-04-28
CN107077771B (zh) 2019-06-04
EP3190570B1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46B1 (ko)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JP4706315B2 (ja) 車両の運転支援システム
KR100799317B1 (ko)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51028B1 (ko) 터널용 피난유도장치
JP6855712B2 (ja) 分岐器進入可否判定装置及び分岐器進入可否判定方法
JP2016193669A5 (ko)
JP2014174447A (ja) 車両用危険場面再現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5590747B2 (ja) 運転者危険運転報知装置
KR200490938Y1 (ko) 스쿨존에서의 감속 운전 유도 시스템
JP2019188846A (ja) 物体検知システム
KR20050062889A (ko) 영상돌발검지기를 이용한 열차 비상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266015B1 (ko) 승강장 안전선 및 선로 감시 시스템
JP2017037515A (ja) トンネル内の避難誘導表示装置
KR20150139266A (ko) 철도 건널목 지장물 검지시스템
JP6426438B2 (ja) 軌道接近警告システム
JP2011090513A (ja) 落下物検知システム、落下物検知方法
KR101893873B1 (ko) 카메라 일체형 레이저 검지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497311B1 (ko) 지하철/열차 승하차시 돌발상황 자동 검지 및 경보 방법
JP2006118914A (ja) 物体検出装置
KR20130139104A (ko) 교통 관리 시스템
KR102058967B1 (ko) 버스 안전 운행시스템
KR200420054Y1 (ko) 열차의 안전 주행을 위한 경고시스템
JP6277144B2 (ja) 踏切内滞留者の誘導方法
JP7438738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5198317A (ja) ワンマン運転用触車予防検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