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478A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8478A KR20160028478A KR1020167003270A KR20167003270A KR20160028478A KR 20160028478 A KR20160028478 A KR 20160028478A KR 1020167003270 A KR1020167003270 A KR 1020167003270A KR 20167003270 A KR20167003270 A KR 20167003270A KR 20160028478 A KR20160028478 A KR 201600284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elevator
- range
- elevator car
- sp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1—Shafts divided into z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공통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이 도달할 수 없는 층상의 증가를 억제하여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공통의 승강로 내에, 각각이 독립하여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10a, 10b)과,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에 대해서,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및 호출 등록 상황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승강 구간의 최대 범위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로서 설정하는 점유 범위 설정 수단(33)과, 상기 점유 범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이 최다가 되도록,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 수단(3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1개의 승강로 내를 쌍방향으로 주행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다른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의 리퀘스트(request)가 발행되면,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주행 방향, 서비스 방향, 운행 속도, 호출의 발생 상황 또는 긴급 낙하 거리에 기초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는 제한 구간을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의해 주행이 규제될 가능성이 있는 다른 엘리베이터 칸을 피(被)구속 상대로서 결정하고, 제한 구간 밖에 피구속 상대가 있으면 당해 피구속 상대에 대해서 진입 금지 지령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공통의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 끼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제한 구간을 설정한다. 그렇지만, 제한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각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이 도달할 수 없는 층상이 생긴다. 특히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제동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제한 구간이 확대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도달할 수 없는 층상도 증가하기 때문에, 서비스성이 크게 저하된다.
이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공통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이 도달할 수 없는 층상의 증가를 억제하여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얻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공통의 승강로 내에, 각각이 독립하여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에 대해서,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및 호출 등록 상황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승강 구간의 최대 범위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로서 설정하는 점유 범위 설정 수단과, 상기 점유 범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이 최다(最多)가 되도록,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공통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이 도달할 수 없는 층상의 증가를 억제하여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 및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 내에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은 엘리베이터의 승강 경로를 따라서, 여기에서는 연직(鉛直)으로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10a)은,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를 승강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10a)의 상단에는 제1 주로프(3a)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1 주로프(3a)의 타단은 제1 균형추(balancing weight)(4a)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균형추(4a)는 승강로(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주로프(3a)의 중간부는, 승강로(1)의 정부(頂部)에 설치된 제1 구동 시브(5a)에 감겨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1 균형추(4a)는, 제1 주로프(3a)에 의해서 승강로(1) 내에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승강하는 두레박 모양으로 매달려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에 더하여, 제2 엘리베이터 칸(10b)도 설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10b)도, 제1 엘리베이터 칸(10a)과 같이,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를 승강한다.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상단에는 제2 주로프(3b)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2 주로프(3b)의 타단은 제2 균형추(4b)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균형추(4b)는 승강로(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주로프(3b)의 중간부는, 승강로(1)의 정부에 설치된 제2 구동 시브(5b)에 감겨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엘리베이터 칸(10b) 및 제2 균형추(4b)는, 제2 주로프(3b)에 의해서 승강로(1) 내에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승강하는 두레박 모양으로 매달려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10a)은 승강로(1) 내에 있어서 제2 엘리베이터 칸(10b)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엘리베이터 칸(10a)은 항상 승강로(1)에 있어서의 제2 엘리베이터 칸(10b)보다도 상측에 있다. 반대로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은 제1 엘리베이터 칸(10a)보다도 항상 승강로(1)에 있어서의 하측에 있다. 이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가 제어 대상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는, 동일한 공통되는 승강로(1) 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인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이 각각 독립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이른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이다.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이 정지 가능한 건물의 복수의 층상의 각각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칸(10b)에 이용자가 승강하기 위한 승강장(20)이 마련되어 있다. 각 승강장(20)에는, 승강장 조작반(2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 조작반(21)에는, 이용자가 소망하는 방향(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의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호출 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 조작반(21)은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10a)의 엘리베이터 칸 실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11a)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엘리베이터 칸 실내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11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에는, 엘리베이터 칸 안의 이용자가 소망하는 행선층으로의 행선층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행선층 버튼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행선층 버튼이 조작되면, 제1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11a), 제2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11b)은,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구동 시브(5a)는 제1 구동 모터(6a)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제2 구동 시브(5b)는, 제2 구동 모터(6b)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 제1 구동 시브(5a)는 제1 제동 장치(7a)에 의해 그 회전이 제동된다. 제2 구동 시브(5b)는 제2 제동 장치(7b)에 의해 그 회전이 제동된다. 추가로, 제1 구동 시브(5a)의 회전수가, 제1 인코더(8a)에 의해 검출된다. 제2 구동 시브(5b)의 회전수는, 제2 인코더(8b)에 의해 검출된다. 이들 인코더에 의한 검출 결과는 검출 신호로서 각 인코더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제어장치(3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30)는 승강장 조작반(21), 제1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11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11b)의 각 조작반으로부터 출력되는 버튼의 조작 신호와, 제1 인코더(8a) 및 제2 인코더(8b)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운전을 제어한다.
제어장치(30)는 제1 인코더(8a) 및 제2 인코더(8b)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 각각의 위치,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장치(30)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a),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b), 호출 등록 제어부(32), 점유 범위 설정부(33), 주행 속도 설정부(34) 및 우선도 결정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a)는 제1 구동 모터(6a) 및 제1 제동 장치(7a)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1 엘리베이터 칸(10a)의 주행을 제어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b)는, 제2 구동 모터(6b) 및 제2 제동 장치(7b)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주행을 제어한다.
또한, 제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b)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과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이 이상하게 접근하거나, 이들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1)의 종단에 이상하게 접근하거나 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제동시킨다. 또, 기기의 고장이나, 지진·화재 등의 재해의 발생이 감지되었을 경우도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제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호출 등록 제어부(32)는 각 조작반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에 대한 호출 등록을 제어한다. 호출 등록 제어부(32)는 조작된 각 조작반의 버튼에 따른 방향 또 행선층으로의 호출을 등록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b)는, 호출 등록 제어부(32)에 의해 등록된 호출의 상황에 기초하여, 각각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주행을 제어한다.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각각에 대해서,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및 호출 등록 상황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승강 구간의 최대 범위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로서 설정한다.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각각에 대해서, 점유 범위 설정부(33)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이 최다가 되도록,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설정한다.
이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한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주행 속도의 설정과, 점유 범위 설정부(33)에 의한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점유 범위의 설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주행 속도 설정부(34)가 설정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주행 속도는, 미리 정해진 최저 주행 속도 vmin 이상이면서 또한 미리 정해진 최고 주행 속도 vmax 이하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제한되어 있다.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운행 중의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에 대해서,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및 호출 등록 상황, 및 점유 범위의 설정 상황을 상시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점유 가능한 최대의 범위(이하, 「점유 가능 범위」라고 함)를 확인하고 있다. 이 점유 가능 범위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 및 승강로(1)의 종단 중 어느 것에도 도달하지 않는 최대 범위이다.
다음으로,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이 최다가 되도록,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최저 주행 속도 vmin로 설정한다.
호출 등록 제어부(32)는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해 설정된 주행 속도(최저 주행 속도 vmin)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가능 범위 내에서 비상 제동시에 정지할 수 있고, 또한 통상의 감속 수단에 의해 정지할 수 있는 층을,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으로서 인식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11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11b)에는, 표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 수단은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에 대해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해 설정된 주행 속도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을 이용자에 대해서 표시한다.
이 표시 수단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서비스 가능한 층의 행선층 버튼의 버튼 램프를 점멸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혹은,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과 별개로, 엘리베이터 칸 내에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를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용자는, 이러한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표시에 의해 서비스 가능한 층을 알 수 있다.
제어장치(30)는 이용자에 의해 행선층이 등록될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이 대기 중에 있어서도, 제어장치(30)는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 상황의 변화의 감시를 계속하고 있다. 대기 중에 있어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 상황이 변화했을 경우에는,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가능 범위를 재차 확인하여 갱신한다.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가능 범위가 갱신되었을 경우에는, 호출 등록 제어부(32)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의 정보를 갱신한다.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서비스 가능한 층의 정보가 갱신되면, 표시 수단에 의한 서비스 가능한 층의 표시도 갱신된다.
호출 등록 제어부(32)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을 행선층으로 하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이 행선층으로의 호출의 등록을 허가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b)는 등록을 허가한 행선층으로의 호출을 등록한다. 한편,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하지 않은 층을 행선층으로 하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호출 등록 제어부(32)는 이 행선층으로의 호출의 등록은 허가하지 않는다. 등록이 허가되지 않은 행선층으로의 호출은 등록되지 않는다. 또한, 이후에 있어서는, 「행선층으로의 호출」을 간단하게 「행선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호출 등록 제어부(32)에 의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이 행선층으로서 등록되면,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예약 점유 범위를 설정한다. 이 예약 점유 범위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행선층 중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먼 층과, 최저 주행 속도 vmin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행선층이 등록되고 나서 새롭게 행선층이 추가해서 등록되는 일 없이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는,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점유 범위를 확정시킨다. 이 점유 범위의 확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먼저,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행선층 중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먼 층에 도착하기 전에 비상 제동을 개시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가능 범위 내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빠른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v1를 구한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는 최고 주행 속도 vmax를 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v1의 최고치는, 최고 주행 속도 vmax이다.
다음으로,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해 구해진 주행 속도 v1에 기초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를 확정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 속도 v1에서 가장 먼 행선층으로의 주행 중에 비상 제동을 개시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승강 구간의 최대 범위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로서 확정한다.
그 후, 호출 등록 제어부(32)에 의해 등록된 각각의 호출에 대해서 응답할 수 있도록, 제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a)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을 주행시킨다. 또, 마찬가지로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b)는,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을 주행시킨다. 이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는,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해 결정된다.
즉,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할 때마다,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다음 정지층에 도착하기 전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다음 정지층에 도착하기 전에 비상 제동을 개시했을 경우에, 점유 범위 설정부(33)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v2로 설정한다. 또한, 이 주행 속도 v2도 주행 속도 v1의 경우와 같이, 최저 주행 속도 vmin 이상이면서 또한 최고 주행 속도 vmax 이하의 범위 내이다.
이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주행 속도 v2는, 1회의 주행마다, 비상 제동시에도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갈 우려가 없는 범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b)는, 이와 같이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해 설정된 주행 속도 v2에 따라서, 각각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주행을 제어한다.
또한, 어느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행선층이 1개밖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행선층으로 실제로 주행할 때의 주행 속도 v2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를 확정할 때에 이용된 주행 속도 v1과 같아진다.
여기서,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의 한쪽에 주목했을 경우, 주행 속도 및 점유 범위의 설정이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보다 먼저 행해지는지 후에 행해지는지에 따라서, 이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 최종적으로 설정되는 주행 속도 및 점유 범위가 다를 수 있다.
이에, 제어장치(30)에는, 우선도 결정부(3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우선도 결정부(35)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 중 어느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시에,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의 우선도를 결정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먼저, 우선도 결정부(35)는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시에,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 및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 등록 상황을 이용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 및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의 현재의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 예정 시간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우선도 결정부(35)는, 이 산출한 주행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 및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우선도를 결정한다. 그리고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제1 엘리베이터 칸(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10b) 중, 우선도 결정부(35)에 의해 결정된 우선도가 높은 쪽의 주행 속도를 우선적으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의 흐름에 대해서, 도 2의 플로우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스텝 S1에 있어서,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가능 범위를 확인한다. 그리고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먼저,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이 최다가 되도록,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최저 주행 속도 vmin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호출 등록 제어부(32)는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해 설정된 최저 주행 속도 vmin와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가능 범위에 기초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을 구한다. 그리고 표시 수단은,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을 이용자에 대해서 표시한다. 스텝 S2 후는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호출 등록 제어부(32)에 의해 등록된 호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1로 돌아간다. 한편,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호출 등록 제어부(32)에 의해 등록된 호출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 있어서는,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로부터 가장 먼 층으로의 호출 등록과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해 설정된 최저 주행 속도 vmin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점유 범위를 예약한다. 그리고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정지 대기 타이머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돌아간다. 이 정지 대기 타이머란, 이용자에 의한 행선층의 등록 조작을 기다리는 시간을 계시(計時)하기 위한 것이다. 정지 대기 타이머가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 있어서는,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먼 호출 등록층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가능 범위에 기초하여, 최고 주행 속도 vmax 이하에서 최대한 빠른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v1를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 있어서는, 다음으로,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스텝 S6에서 설정된 주행 속도 v1에 기초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를 확정한다. 그리고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8에 있어서는,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가장 가까운 호출 등록층, 즉,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다음 정지층과,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에 기초하여, 최고 주행 속도 vmax 이하에서 최대한 빠른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v2를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9에 있어서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a) 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b)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을, 스텝 S8에서 설정된 주행 속도 v2로, 가장 가까운 호출 등록층, 즉,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다음 정지층으로 주행시킨다. 그리고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에 있어서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은, 가장 가까운 호출 등록층인 다음 정지층에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는, 제어장치(30)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호출 등록이 남아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호출 등록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가 된다.
한편, 스텝 S11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호출 등록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는, 먼저, 우선도 결정부(35)는 정지한 당해 엘리베이터 칸과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주행 예정 시간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우선도 결정부(35)는 이들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산출한 주행 예정 시간을 비교하여, 이들 엘리베이터 칸의 우선도를 결정한다.
그리고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우선도 결정부(35)에 의해 결정된 우선도가 높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v1를 먼저 설정한다.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해 주행 속도 v1가 설정된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를 확정한다. 이어서, 우선도가 낮은 쪽의 주행 속도 v1 및 점유 범위의 설정이 마찬가지로 하여 행해진다. 스텝 S12 후는 스텝 S1로 돌아간다.
또한, 어느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복수의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최종적인 목적층보다도 직전의 층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했을 때,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로부터 최종적인 목적층과는 반대 측에 대해서 점유 범위를 좁게 하도록 재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측의 점유 범위를 좁게 하여,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가능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할 때마다, 점유 가능 범위를 갱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v1 및 점유 범위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엘리베이터 칸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각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v1 및 점유 범위를 갱신하도록 해도 된다. 즉, 먼저, 제어장치(30)는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호출 등록 상황으로부터 주행 예정 거리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30)는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산출한 주행 예정 거리와 정지 예정의 층상수와 주행 속도 v1로부터, 주행 예정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장치(30)는 서로 접근하는 엘리베이터 칸끼리의 주행 예정 시간의 차를 산출한다.
이 주행 예정 시간의 차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이었을 경우, 주행 속도 설정부(34) 및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이들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예정 시간의 차가 작아지도록, 각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v1 및 점유 범위를 재설정한다. 이 재설정은,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해 있을 시에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시간을 평균화하여, 전체적으로의 운행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공통의 승강로 내에 독립하여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에 대해서,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및 호출 등록 상황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승강 구간의 최대 범위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로서 설정하는 점유 범위 설정부(33)와, 점유 범위 설정부(33)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이 최다가 되도록,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주행 속도 설정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통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충돌을 회피함과 아울러, 서비스 가능한 층이 최다가 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설정함으로써, 이용자가 행선층으로서 선택 가능한 층상의 수를 증가시켜,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어느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된 가장 먼 행선층에 도착하기 전에 비상 제동을 개시했을 경우에, 점유 범위 설정부(33)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빠른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구한다. 그리고 점유 범위 설정부(33)는, 주행 속도 설정부(34)에 의해 구해진 가장 빠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를 설정한다.
이 때문에, 등록된 행선층에 따라서, 다른 엘리베이터 칸과의 충돌을 회피 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장 빠른 주행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을 운전할 수 있어, 주행 속도의 저하에 의한 운행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할 때마다,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다음 정지층에 도착하기 전에 비상 제동을 개시했을 경우에, 점유 범위 설정부(33)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1회의 주행마다 주행 속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상황의 변화에 따라 주행 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시에,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 및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 등록 상황을 이용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 및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의 현재의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 예정 시간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주행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 및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우선도를 결정하는 우선도 결정부(35)를 추가로 구비하고, 주행 속도 설정부(34)는, 우선도 결정부(35)에 의해 결정된 우선도가 높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우선적으로 설정한다. 이 때문에, 전체적으로 본 최종적인 운전 효율이 최적화되도록, 각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 발명은 공통의 승강로 내에, 각각이 독립하여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승강로,
2: 가이드 레일,
3a: 제1 주로프, 3b: 제2 주로프,
4a: 제1 균형추, 4b: 제2 균형추,
5a: 제1 구동 시브, 5b: 제2 구동 시브,
6a: 제1 구동 모터, 6b: 제2 구동 모터,
7a: 제1 제동 장치, 7b: 제2 제동 장치,
8a: 제1 인코더, 8b: 제2 인코더,
10a: 제1 엘리베이터 칸, 10b: 제2 엘리베이터 칸,
11a: 제1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 11b: 제2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
20: 승강장, 21: 승강장 조작반,
30: 제어장치, 31a: 제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
31b: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 32: 호출 등록 제어부,
33: 점유 범위 설정부, 34: 주행 속도 설정부,
35: 우선도 결정부.
3a: 제1 주로프, 3b: 제2 주로프,
4a: 제1 균형추, 4b: 제2 균형추,
5a: 제1 구동 시브, 5b: 제2 구동 시브,
6a: 제1 구동 모터, 6b: 제2 구동 모터,
7a: 제1 제동 장치, 7b: 제2 제동 장치,
8a: 제1 인코더, 8b: 제2 인코더,
10a: 제1 엘리베이터 칸, 10b: 제2 엘리베이터 칸,
11a: 제1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 11b: 제2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
20: 승강장, 21: 승강장 조작반,
30: 제어장치, 31a: 제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
31b: 제2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 32: 호출 등록 제어부,
33: 점유 범위 설정부, 34: 주행 속도 설정부,
35: 우선도 결정부.
Claims (7)
- 공통의 승강로 내에, 각각이 독립하여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에 대해서,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및 호출 등록 상황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승강 구간의 최대 범위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로서 설정하는 점유 범위 설정 수단과,
상기 점유 범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이 최다(最多)가 되도록,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속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주행 속도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을 행선층으로 하는 호출의 등록을 허가하는 호출 등록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속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주행 속도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서비스 가능한 층을 이용자에 대해서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설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된 가장 먼 행선층에 도착하기 전에 비상 제동을 개시했을 경우에, 상기 점유 범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빠른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구하고,
상기 점유 범위 설정 수단은, 상기 속도 설정 수단에 의해 구해진 가장 빠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설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할 때마다,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다음 정지층에 도착하기 전에 비상 제동을 개시했을 경우에, 상기 점유 범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점유 범위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시에,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 및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 등록 상황을 이용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 및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의 현재의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 예정 시간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주행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 및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우선도를 결정하는 우선도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속도 설정 수단은, 상기 우선도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우선도가 높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우선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설정 수단은, 미리 정해진 최저 속도 이상이면서 또한 미리 정해진 최고 속도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3/068879 WO2015004753A1 (ja) | 2013-07-10 | 2013-07-10 |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8478A true KR20160028478A (ko) | 2016-03-11 |
KR101837870B1 KR101837870B1 (ko) | 2018-03-12 |
Family
ID=5227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3270A KR101837870B1 (ko) | 2013-07-10 | 2013-07-10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124986B2 (ko) |
JP (1) | JP6090445B2 (ko) |
KR (1) | KR101837870B1 (ko) |
CN (1) | CN105339291B (ko) |
DE (1) | DE112013007235B4 (ko) |
WO (1) | WO201500475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8971B1 (ko) * | 2013-09-03 | 2018-01-1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 시스템 |
DE102014117373A1 (de) * | 2014-11-26 | 2016-06-02 | Thyssenkrupp Ag | Aufzugsystem |
WO2016151853A1 (ja) * | 2015-03-26 | 2016-09-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ー群管理システム |
US10494229B2 (en) * | 2017-01-30 | 2019-12-03 | Otis Elevator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resilient design and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
US10231167B2 (en) * | 2017-06-30 | 2019-03-12 | Otis Elevator Company | Building access zone specification for mobile applications |
US11434104B2 (en) * | 2017-12-08 | 2022-09-06 | Otis Elevator Company | Continuous monitoring of rail and ride quality of elevator system |
JP6585207B2 (ja) * | 2018-02-20 | 2019-10-02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運用方法 |
JP6966391B2 (ja) * | 2018-07-31 | 2021-11-1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
JP6936776B2 (ja) * | 2018-07-31 | 2021-09-2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装置の制御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86565B2 (ja) | 2001-07-06 | 2008-05-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シングルシャフト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運行制御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7613A (ja) * | 1994-04-11 | 1995-10-24 | Hitachi Ltd | 昇降機システム |
ATE256625T1 (de) * | 1995-10-17 | 2004-01-15 | Inventio Ag | Sicherheitseinrichtung bei multimobil- aufzugsgruppen |
US7389857B2 (en) * | 2004-03-26 | 2008-06-24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
CN1972858B (zh) * | 2004-06-21 | 2011-07-06 | 奥蒂斯电梯公司 | 在竖井内包括多个轿厢的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
DE502005000701D1 (de) * | 2005-03-05 | 2007-06-21 |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 Aufzuganlage |
JP2007055692A (ja) * | 2005-08-22 | 2007-03-08 | Yaskawa Electric Corp | シングルシャフト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群管理装置 |
CN101351396B (zh) * | 2005-12-15 | 2014-11-26 | 奥蒂斯电梯公司 | 与呼梯相关的电梯轿厢标识 |
JP4841264B2 (ja) * | 2006-02-24 | 2011-12-21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JP2008063017A (ja) * | 2006-09-04 | 2008-03-21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
CN101568482B (zh) * | 2006-12-22 | 2013-12-25 | 奥蒂斯电梯公司 | 在单个井道中具有多个车厢的电梯系统 |
EP1970342A1 (de) * | 2007-03-15 | 2008-09-17 | Inventio Ag | Anzeigevorrichtung und Kommunikationsverfahren für ein Aufzugsystem |
CN101801790B (zh) * | 2007-09-18 | 2012-07-18 | 奥蒂斯电梯公司 | 包括轿厢分离控制器的多轿厢井道 |
FI122498B (fi) * | 2010-02-17 | 2012-02-29 | Kone Corp | Hissijärjestelmä |
DE112010005335T5 (de) * | 2010-03-01 | 2012-12-06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Steuervorrichtung eines fahrstuhls mit mehreren kabinen |
US8424651B2 (en) * | 2010-11-17 | 2013-04-23 |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 Motion planning for elevator cars moving independently in one elevator shaft |
US9708158B2 (en) * | 2012-04-16 | 2017-07-1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Multi-car elevator using an exclusion zone and preventing inter-car collision |
US9650226B2 (en) * | 2015-09-28 | 2017-05-16 | Smart Lifts, Llc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elevator cabs in an elevator shaft |
-
2013
- 2013-07-10 DE DE112013007235.1T patent/DE112013007235B4/de active Active
- 2013-07-10 WO PCT/JP2013/068879 patent/WO201500475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7-10 US US14/890,526 patent/US10124986B2/en active Active
- 2013-07-10 CN CN201380077417.1A patent/CN105339291B/zh active Active
- 2013-07-10 KR KR1020167003270A patent/KR10183787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7-10 JP JP2015526064A patent/JP6090445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86565B2 (ja) | 2001-07-06 | 2008-05-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シングルシャフト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運行制御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3007235B4 (de) | 2019-11-07 |
JPWO2015004753A1 (ja) | 2017-02-23 |
KR101837870B1 (ko) | 2018-03-12 |
US20160122156A1 (en) | 2016-05-05 |
CN105339291A (zh) | 2016-02-17 |
US10124986B2 (en) | 2018-11-13 |
CN105339291B (zh) | 2017-05-17 |
JP6090445B2 (ja) | 2017-03-08 |
DE112013007235T5 (de) | 2016-04-07 |
WO2015004753A1 (ja) | 2015-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7870B1 (ko)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
JP4784509B2 (ja) |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 |
KR20080090240A (ko)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CN111498626B (zh) | 控制电梯轿厢的移动 | |
JP6131137B2 (ja) |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 |
JP2013095576A (ja) |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5738948B2 (ja)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
WO2014016902A1 (ja) |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 |
JPWO2012131755A1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 |
JP4969540B2 (ja) | 群管理エレベーター | |
CN110775768B (zh) | 多轿厢电梯以及轿厢移动控制方法 | |
JP2007055692A (ja) | シングルシャフト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群管理装置 | |
JP5721249B2 (ja)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
CN108349693B (zh) | 电梯及电梯的运转方法 | |
JP2010089877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US20190300328A1 (en) | Super group dispatching | |
KR101283643B1 (ko) |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 |
JP5665078B2 (ja) | エレベータ | |
JP2019099325A (ja) | エレベーター | |
JP2011213477A (ja) | エレベータシステム | |
JP2011111240A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システム | |
JP2002220161A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JP2001233553A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
JP5928609B2 (ja) |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 |
KR20110029252A (ko) |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시 속도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